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시적 화자에 대한 교육의 양상과 과제

        정한기(Jeong Han-gi),김용재(Kim Yong-jae) 국어문학회 2021 국어문학 Vol.78 No.-

        본고의 목적은 시적 화자 교육의 양상과 과제를 살펴보는 것이다.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시적 화자에 대한 이해이다. 시적 화자 교육의 양상을 정리하기 위한 기준은 2015 교육과정의 성취기준인 시적 화자의 ‘관점’이다. 시적 화자의 관점이란 대상․상황을 바라보는 태도, 대상·상황에 대해 생각하는 태도 등으로 시적 화자의 정서와 관련된다. 시적 화자의 정서란 상황에 반응하는 시적 화자의 태도이다. 학습독자는 시 작품을 읽고 시적 화자를 이해하고 평가한다. 이해에는 거리두기를 통한 이해와 공감하기를 통한 이해가 있다. 둘째, 시적 화자 교육의 양상과 과제이다. 시적 화자 교육의 양상이다. 첫째, 학습독자가 시적 화자의 경험을 파악하고 자신의 경험을 떠올린다. 초등학교 고학년에서 이루어진다. 둘째, 학습독자가 시적 화자의 관점을 파악한다. 초등학교 고학년과 중학교에서 이루어진다. 중학교에서는 시적 화자의 관점을 파악하고 상징적 표현의 효과를 알고, 시적 화자의 관점을 파악하고 자신의 삶을 성찰하고, 시적 화자의 관점을 파악하고 시적 화자의 효과를 안다. 셋째, 학습독자가 시적화자의 심미적 체험을 이해하고, 심미적 체험을 확충한다. 시적 화자의 관점과 관련된 용어로 초등학교에서는 인물의 생각, 추구하는 가치(삶) 등이 있고, 중학교에서는 추구하는(바라는) 삶, 말하고자 하는 바(전달하고자 하는 바), 시적 화자의 태도 등이 있다. 시적 화자 교육에서 초등학교와 중학교의 연계성을 위한 과제이다. 첫째, 시적 화자의 관점에 대한 용어의 일관성이 필요하다. 초등학교와 중학교에서 시적 화자의 관점을 파악하는 학습활동에서는 시적 화자의 생각·감정을 표출하는 면을 찾는다는 점이 공통되고, 인용된 시에 상황이 있고 시적 화자의 태도가 있다는 점이 공통된다. 시적 화자의 생각·감정의 표출은 주제와 관련되고, 시에서 주제는 정서와 관련된다. 정서는 상황에 반응하는 태도이다. 시적 화자의 태도란 용어로 일관성을 유지하는 것이 필요하다. 둘째, 시적 화자의 관점을 파악하는 단계가 필요하다. 관점은 상황에 반응하는 태도이므로 단계는 ‘상황 파악하기 → 태도 파악하기’이다. 셋째, 학습독자의 반응에 대한 일관성이 필요하다. 시적 화자에 대한 이해와 평가가 연결되어야 하며, 학습독자는 자신을 시적 화자와 비교하여 시적 화자를 평가한다. 초등학교에서의 학습활동에는 시적 화자를 평가하는 것이 없고, 중학교에서의 학습활동에는 학습독자가 자신을 시적 화자와 비교하여 시적 화자를 평가하는 활동이 있다. 일관성이 필요하다.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research the aspect and task of poetic speaker education. The result is as follow. The understanding about poetic speaker : The standard for arranging the aspect of poetic speaker education is the achievement standard of 2015 curriculum. The achievement standard of 2015 curriculum is the viewpoint of poetic speaker. The viewpoint of poetic speaker is the attitude that poetic speaker react to the state of affairs. The studentreaders interpret the poetic speaker and estimate the poetic speaker The aspect and task of poetic speaker education : The aspect of poetic speaker education is as follow. The studentreaders identify the poetic speaker’s experience and recall own’s experience in the elementary school. The studentreaders identify the poetic speaker’s viewpoint. The studentreaders identify the poetic speaker’s viewpoint in the elementary school. The studentreaders identify the poetic speaker’s viewpoint and know the effect of symbolic expression, identify the poetic speaker’s viewpoint and reflect on oneself, identify the poetic speaker’s viewpoint and know the effect of the poetic speaker in the middle school. The studentreaders identify the poetic speaker’s esthetic experience and expand own’s esthetic experience in the middle school. The task of poetic speaker education is as follow. The consistency of poetic speaker’s viewpoint is necessary. The step of identifying poetic speaker’s viewpoint is necessary. The consistency of studentreaders’s interpreting and estimating the poetic speaker is necessary.

      • KCI등재

        고려속요의 시적화자와 다층적 면모

        하성운 한국 리터러시 학회 2021 리터러시 연구 Vol.12 No.5

        Goryeo's folk songs have a very diverse process of forming, and the poetic narrator in the works has various aspects. In this paper, the poetic speaker of Koryo was viewed as a dramatic figure known to wear a mask that distinguished him from the actual poet. Based on this, the poetic speaker of the Goryeo genus was examined, and the variability of the poetic speaker that occurs in the process was tracked. In this paper, we divided the aspects of the poet of Goryeo into monolithic and polyphonic cases. First, we looked at the works featuring a poet in the Goryeo folk song. Even if the same poetic speaker appeared, there were differences in speech methods and tones. On the other hand, works featuring several poetic speakers together had a different tendency than those of monophonic poetic speakers. In <(Goryeo)Cheoyonga>, several characters appeared according to their roles in the Narye ceremony of the wall photography scene, which kicked out evil spirits and blessed them, requiring a number of poetic speakers. <SeoKyung-byeolgok> is believed to have been sung by two poetic speakers, who appear to be male and female, while exchanging conversations. In <Ssanghwajeom>, many poetic speakers appeared in the Yeonhui space and exchanged words with songs. Most of the Goryeo folk songs featuring a large number of poetic speakers were sung in a space called theatrical Stage. We looked at the variability of poetic speakers in relation to the adaptation of the first and second fast-track lyrics. The poetical speaker of Goryeo's folk songs had one single voice or a number of multiple voices. Even if it was the same first-person poet's inner voice, each piece had a different way of speaking and a different tone. On the other hand, the poet and the narrator also experienced a change in the early Joseon Dynasty when the Goryeo song was adapted into a system-friendly content. In the lyrics of the song, which was adapted to the early Goryeo period, the poetic speaker was uniformly standardized and changed to a uniformly instructive voice. 고려속요는 본디 다기한 형성과정을 갖고 있고, 작품 속의 시적화자도 다양한 면모들 보이고 있다. 이 논문에서는 고려가요의 시적화자를 실제 시인과 구별되는 가면을쓰고 연출되는 극적 인물로 보았다. 이를 바탕으로 고려속요의 시적화자에 대한 면모를 살펴보고, 아울러 그것이 선초에 개작되는 과정에서 일어나는 시적화자의 변동성에 대해 추적하였다. 본고에서는 고려속요 시적화자의 면모를 탐색하기 위해 단성적인 경우와 다성적인경우로 나누어 검토하였다. 먼저 고려속요 작품에서 1명의 시적화자가 등장하는 작품을 살펴보았다. 같은 1명의 시적화자가 등장하여도 발화방식이나 어조 등에서 각각의 차이가 있었다. 반면에 한 작품에서 여러 시적화자가 등장하는 작품은 단성적인 시적화자의 경우와는 작품 성향이 달랐다. <(고려)처용가>에서는 악귀를 쫓아내고 복을 비는 벽사진경의 나례 의식에서 역할에 따라 여러 인물이 등장하면서 다수의 시적화자가 필요했다. <서경별곡>은 남녀로 보이는 2명의 시적화자가 대화를 주고받으며 가창된 것으로 판단된다. <쌍화점>에서는 연희 공간에 다수의 시적화자가 등장하여 노래로 말을 주고받는 형식이었다. 다수의 시적화자가 등장하는 고려속요는 대부분 연희 무대라는 공간에서 불렸던 특징이 있었다. 선초 속악가사의 개작과 관련하여 시적화자의 변동성을 살펴보았다. 고려속요의시적화자는 1명의 단성적인 목소리가 나오거나 다수의 다성적인 목소리가 등장하였다. 그리고 같은 일인칭 시적화자의 속요라 하더라도 작품마다 발화방식이나 어조가서로 달랐다. 반면에 조선초기에 고려속요를 체제 옹호적인 내용으로 개작하면서 시적화자도 변동을 겪게 된다. 선초에 고려속요가 개작된 속악가사에서는 시적화자가획일적으로 규범화되며 한결같이 교술적인 목소리로 바뀌었다.

      • KCI등재후보

        초등 학습자의 시적 화자 이해 양상과 교육적 접근 방향

        신헌재 ( Hun Jae Shin ),이향근 ( Hyang Geun Lee ) 서울敎育大學校 初等敎育硏究所 2012 한국초등교육 Vol.23 No.1

        시 텍스트 수용을 소통의 관점에서 바라볼 때 독자의 시적 화자 이해는 필요조건이다. 본고에서는 초등 학습자의 시적 화자 이해 양상을 살펴보고 이를 바탕으로 시적 화자 교육의 방향성을 제시하였다. 먼저 초등학교에서 시적 화자 교육의 필요성을 제안하고, 초등 고학년 학습자의 시적 화자 이해 양상을 살펴보기 위하여 정량적 및 정성적 연구를 실시하였다. 시적 화자의 유형에 따라 4 편의 시 텍스트를 선정하여 학습자들에게 1·2 차에 걸쳐 설문을 실시하였다. 또한 시적 화자를 잘 이해하고 있는 학습자와 함께 ‘상징적 표상’ 활동을 수행하고 그 결과를 질적으로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초등 고학년 학습자들은 현상적 화자에 대한 이해 수준이 내포적 화자에 대한 이해 수준보다 높았다. 시적 화자에 대한 이해 수준이 높은 학습자들은 ‘나’나 ‘내’ 라는 표지를 통해 시적 화자를 쉽게 찾고 시적 화자가 처한 상황이나 정서를 이해하였으며, 표지가 불명확한 경우 시적 화자의 모습을 적절하게 구성하는 양상을 보였다. 연구 결과를 통해 시적 화자 교육의 방향성을 다음과 같이 제안하였다. 첫째, 초등 수준에서는 현상적 화자에 대한 교육 경험이 제공되어야 한다. 둘째, 시적 화자에 대한 오개념을 해결하기 위해 시적 화자의 개념을 지도해야 한다. 셋째, ‘상징적 표상법’ 은 시적 화자를 지도하는 데 효과적인 방법이 될 수 있다. It is important that teachers make children entice literature field in elementary school period. In other to succeed the process, teachers provide tangible literary experience to them. Poetic speakers have been carried on discussion in literature education in Korea Language Art curriculum. However, elementary instructers would not have taught poetic speakers. However, understanding poetic speaker became a academic standard on 5~6th elementary level on 2011korean Language Arts curriculum. Therefore, the poetic speaker has to be illuminated a new approach. This paper examined how children to understand the teach poetic and what approach is appropriate to them. we surveyed 427 students on 5-6th grade in elementary schools of various areas. I ascertain that students of 15% on them deeply understood poetic speakers which could find the first person speaker of some poems and conducted the invisible speaker on some poems which is not represented the poetic speaker. Then, we interviewed two students about understanding the poetic speaker. They showed some sufficient evidence some stand points about the poetic speakers. They realized who is the visible poetic speaker finding some mark; "I", "me". In the invisible poetic speaker, students conducted the invisible poetic speaker as referencing and analogical inferencing poetic words. In conclusion, we could suggest the poetic speaker instruction that as follows. Firstly, elementary students in 5-6th grade should be taught the visible poetic speaker. Secondly, students should be taught who is the poetic speaker of poems and poets have no choice but to use the poetic speaker writing poems. Thirdly, ``Symbolic Representation Interview`` is a teaching method of understanding poetic speaker. This approach gives children shaping subject experience on reading poems which lead to identification their own.

      • KCI등재

        시 그림 속 시적 화자 표현의 문제와 과제 -2015 초등 『국어』 교과서의 시 제재를 중심으로-

        한명숙 한국아동문학학회 2024 한국아동문학연구 Vol.- No.48

        시적 화자는 시에서 말하는 이로, 시를 이해하고 감상하는 데 중요한 기능을 하는 시의 특질 중 하나다. 이 시적 화자를 초등 국어과 교과서는 시 제재 수록 면에 특정하게 형상화한 그림으로 나타내기도 하는데, 특정한 모습으로 표현한 시적 화자의 모습이 특정한 의미를 만들어내면서 그림동화의 그림처럼 ‘시 그림’의 위상을 보이기도 한다. 그런데 2015 『국어』 교과서 수록 시 제재 42편의 ‘시 그림’을 분석한 결과 시적 화자를 특정한 이미지로 한정하여 형상화한 시 그림에서 두 가지 문제점이 드러났다. 첫째, 시 텍스트에 언표되지 않은 시적 화자를 특정의 성별과 나이로 표현함으로써 독자가 시적 화자를 상상하는 기회를 빼앗는다. 둘째, 시적 화자의 모습 및 행동을 특정한 이미지로 표현함으로써 독자 스스로 시의 세계를 이해 및 해석하며 감상하는 상상력을 제한한다. 이와 같은 문제는 시 그림 속에 인물의 모습을 표현한 결과가 시를 이해하고 해석하는 데 이미지 기호로 작용함으로써 발생하며, 그 결과가 학생의 시 감상을 방해할 수 있다는 점에서 개선이 필요하다. 시 그림이 독자의 시 감상을 방해하거나 한정하지 않도록 개선하는 방향은 독자가 그림의 간섭에서 벗어나 시적 화자를 자유롭게 상상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어야 바람직하다. 아울러 초등 시 교육에서 시 텍스트가 함의한 시적 화자를 어떤 ‘시 그림’으로 표현하여 시의 이해와 감상을 도울지 관련 후속 연구가 이루어져 차기 국어과 교과서 개발을 뒷받침해야 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problem of representing personas in poetic images in elementary Korean language textbooks. Understanding the persona as a speaker in a poem is important for comprehending the poem. However, the personas are represented through pictures, and some of these image code cause problems. First, the existence of the persona, which is not expressed in poetic words in the poetic text, is expressed as an image symbol that is limited to a specific gender and age. This deprives the reader of the opportunity to imagine who the speaker is in the poem. Second, the appearance and behavior of the persona were expressed in a specific image. This limits the imagination of readers to understand the poem. In order to we provide good poetry education in elementary schools, we need to improve problems like this. And we need to research what image symbols should be used to represent the persona in textbooks.

      • KCI등재

        서정시의 화자 개념과 갈래적 특성 고찰

        박현수 한국문학언어학회 2020 어문론총 Vol.85 No.-

        Existing research on the 'poetic speaker'(poetic I) has a limitation that it has neglected to clarify its essence by focusing on typology and utility theory. In order to overcome this limitation, this paper supplemented the preceding discussions related to the speaker concept by confining to lyric poetry, and based on this, the characteristics that distinguished the poetic speaker from the speakers of other genres were identified. First, in terms of conceptual historical supplementation, the errors made by the existing research were corrected: The problems of the distinction between the speaker and the persona, the inaccuracy of lyrical I and poetic I concepts, and the limitations of the concept of '시적 주체(poetic subject)’ as a translation of a poetic speaker. And the 'poetic personality' of Yang Ju-dong was discovered and introduced as a pioneering concept of poetic speaker. Next, as the genre characteristics of the poetic speaker, ‘pan-contextualized subject’, ‘substitutable subject’, and ‘elevated subject’ were suggested. The 'pan-contextualized subject' is a generalized and abstract self in which the poetic speaker does not have a specific spatio-temporal background and does not have a specific identity such as a clear identity or name. The 'substitutable subject' is the self that the reader can easily substitute for the 'I' in the poem, and the 'elevated subject' is the self in which the 'I' in the poem is superior to the actual poet. ‘시적 화자’에 대한 기존 연구는 유형론, 효용론적 측면에 치중하여 그것의 본질에 대한 규명에 소홀하였다는 한계를 지닌다. 이런 한계를 극복하기 위해, 본고는 서정시에 한정하여 화자 개념 관련 선행 논의를 보완하고, 이를 바탕으로 시적 화자가 다른 갈래의 화자와 구별되는 특성을 규명하였다. 먼저, 개념사적 보완에 있어서는 기존 연구가 범한 오류를 바로잡았다. 화자와 퍼소나의 구별이 지닌 문제, 서정적 자아와 시적 자아 개념의 부정확성, ‘시적 주체’라는 개념이 지닌 한계 등을 지적하였으며, 시적 화자의 선구적 개념으로서 양주동의 ‘시적 인격’을 발굴하여 소개하였다. 다음으로 시적 화자의 갈래적 특성으로는 ‘범맥락화된 주체’, ‘치환 가능한 주체’, ‘고양된 주체’를 제시하였다. 범맥락화된 주체는 시적 화자가 구체적인 시공간적 배경을 지니지 않고, 명확한 신분이나 이름과 같은 구체적인 정체성도 가지지 않는 일반화되고 추상적인 자아라는 점을 지적한 것이다. 치환 가능한 주체는 시 속의 ‘나’에 독자가 쉽게 자신을 기입할 수 있는 특성을, 고양된 주체는 시 속의 ‘나’가 실제 시인보다 더 우월한 자아로 나타난다는 특성을 지적한 것이다.

      • KCI등재

        동시조의 형식적 특징과 교육적 의미 - 박경용 동시조를 중심으로

        정한기,주상현 한국시조학회 2024 시조학논총 Vol.60 No.-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research the formal features and educational meaning of Children’s Sijo. written by Park Gyeong-yong. The results are as follows. The formal features of Children’s Sijo are as follows: The first and second of the three verses correspond to the final verse. The phenomenon correspond to poetic speaker's response to the phenomenon. The subject consciousness is included in the poetic speaker's response. This poetic speaker's response is referred to as the poetic speaker's view. There are three such views in the final verse: In the first, the poetic speaker discovers the universal meaning in the final verse; in the second, the poetic speaker discover the personal meaning, which is related to self-examination in which the poetic speaker regrets his wrongdoings or engages in self-reflection, in the final verse; in the third, the poetic speaker empathizes with the object in the final verse. The educational meaning of Children’s Sijo is as follows: The student resembles the poetic speaker in the text, who discovers the universal meaning in the final verse, exercising an attitude of discovery and thus improving his creative ability. The student resembles the poetic speaker who engages in self-examination in the final verse, exercising self-examination and thus cultivating his good character. The student further resembles the poetic speaker who empathizes with the object in final verse, empathizing with others and thus cultivating his good character. Finally, the educational meaning of Children’s Sijo is found in the fact that students’ creative abilities are able to be improved and their good characters are able to be cultivated. s writting 본고의 목적은 박경용 동시조의 형식적 특징과 교육적 의미를 살펴보는 것이다.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박경용 동시조의 형식적 특징이다. 박경용의 동시조에는 초중장과 종장이 대응되는 특징이 있다. 초중장에서는 현상이 종장에서는 시적화자의 반응이 나타난다. 시적화자의 반응은 현상의 주체를 확인하고, 현상을 해석하고, 현상을 전환하고, 현상을 비유하는 것 등으로 표현된다. 초중장에서 어렴풋하던 것이 종장에서 명확해진다. 시적화자의 반응은 세 가지이다. 첫째, 종장에서 시적화자가 보편적인 의미를 발견한다. 둘째, 종장에서 시적화자가 자아를 성찰한다. 셋째, 종장에서 시적화자는 대상에 공감한다. 둘째, 박경용 동시조의 교육적 의미이다. 학습자가 박경용의 동시조에 드러난 시적화자의 반응을 따라 읽게 되면 창의력이 향상되고 인성이 함양된다. 시적화자가 종장에서 의미를 발견하는 것을 보고, 의미를 발견하는 태도가 훈련이 되어 창의력이 향상될 수 있다. 시적화자가 종장에서 자아를 성찰하는 것을 보고, 자아를 성찰하는 태도가 훈련되어 정서적으로 안정을 취해 인성이 함양될 수 있다. 시적화자가 대상에 공감하는 것을 보고 타인에게 공감하는 태도가 훈련되어 타인을 존중하여 인성이 함양될 수 있다. 박경용 동시조는 학습자로 하여금 창의력이 향상되게 하고 인성이 함양되게 하는 교육적 의미가 있다.

      • KCI등재

        고전시가 감상 국면의 재미 흥미 의미 - <백설이 □자진 골에>의 감정이입과 공감 체험을 중심으로

        조희정 ( Cho Hee-jung ) 한국고전문학교육학회 2015 고전문학과 교육 Vol.29 No.-

        본 논문은 고전문학의 감상 국면에서 학습자가 경험하는 감정이입과 공감 체험을 통한 재미/흥미/의미의 가능성을 탐색하였다. 본 논문은 재미/흥미/의미를 유사한 범위의 개념 범주로 설정하고, 고전문학교육의 재미/흥미/의미에 관심을 지닐 때 고전문학교육의 어떤 사태에 주목하여 그것을 해결 할 수 있는가에 집중하였다. 고전문학의 재미/흥미/의미가 발현되는 위치는 ‘사이[between]’이다. 즉, 고전문학의 재미/흥미/의미는 고전문학 텍스트와 학습자의 사이에서 발생하는 동시에 고전문학 텍스트와 학습자의 상호작용이 일어나는 시작과 끝지점 사이에서 드러난다. 전자는 고전문학교육에서 발현되는 재미/흥미/의미의 주체 문제를 제기하며, 후자는 고전문학교육에서 재미/흥미/의미는 반드시 시간적 지속을 필요로 한다는 점을 말해준다. 고전문학교육의 목표인 학습자의 문학능력 신장을 위해 교사와 연구자가 체계화하여 학습자에게 제공하는, 일련의 교수-학습 활동을 ‘하나의 교육적 경험’[An Experience]으로 명명할 수 있다. 본 논문은 고전시가 학습자에게 익숙한 개념이되, 낯선 체험인 ‘감정이입’과 ‘공감’에 집중하여 하나의 교육적 경험에 산포되어 있을 재미/흥미/의미의 가능성을 탐색하였다. 감정이입과 공감의 공통점은 자아와 분리된 타자의 위치에서 ‘관점 취하기 [Perspective-Taking]’를 통한 정서 체험이라는 점이며 차이점은 취하는 관점의 방향에서 비롯한다. 본 논문은 학습자가 자신이 시적 화자와 같은 상황에 처할 경우 자신의 정서를 상상하는 것을 감정이입으로, 반면 학습자가 시적 화자의 위치에서 시적 화자의 정서를 상상하는 것을 공감으로 구분하였다. 학습자를 감정이입이나 공감으로 이끌기 위한 첫 번째 단계는 ‘시적 화자의 자리에 위치’시키는 일이다. 시적 화자에 대한 이해는 시적 화자가 처한 자리, 곧 시적 상황에 대한 이해와 연결된다. 이 단계에서 학습자들에게 시적 상황에 내포된 모호성을 드러내는 교수-학습 활동을 제시할 수 있다. 고전시가의 해석 장면에서 찾아내는 모호성은 학습자들에게 선택 상황을 제공하며 모호성을 해결하기 위한 관련 근거를 요구하기에 더 깊은 이해로 나아가는 단서를 제공한다. 이후 학습자는 자신의 선행 경험을 끌어와 텍스트 내 시적 화자에게 감정이입하거나 시적 화자의 관점을 취하여 시적 화자의 행동과 처지를 이해하는 공감 활동을 시도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고전문학교육에서 감정이입과 공감 경험을 구체화하여 설계할 때, 교사와 연구자는 학습자가 감지할 재미/흥미/의미에 대해 단언할 수 없다. 다만 교육적 경험을 구체화하는 입장이라면 교육적 경험에서 비롯할 재미/흥미/의미의 가능성을 예상할 수 있을 뿐이다. 감정이입과 공감 경험은 학습자들이 ‘하나의 교육적 경험’에 참여함으로써 얻게 되는 재미/흥미/의미, 다른 인물 되기의 재미/흥미/의미, 시적 모호성 속에서 문제 상황을 발견하고 해결하는 주체가 되는 재미/흥미/의미, 자신의 선행 경험을 되돌아보거나 일상생활에서는 겪지 못한 상황 속 정서를 상상적으로 경험하는 재미/흥미/의미 등을 제공할 수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earch for fun, interest and meaning in the empathic experience when one appreciates a classical poem. In the Korean classical education, fun, interest and meaning between a Korean classical text and an learner are close categories in the way that they have similar operations and effects. This thema leads to pay attention to who the subject experiencing fun and interest and giving meaning is. It is a learner. This study designs an educational Experience - empathy which is familiar concept but strange experience - for fun, interest and meaning between a Korean classical poem and a learner. A method for a learner to experience empathy has three steps: The first step is to take a poetic speaker's position in a Korean classical poem. The second is to search for the ambiguities of the poem to understand the poetic situation. The third is divided into two types, which one is self oriented perspective-taking, the other is other oriented perspective-taking. There might be various fun, interest and meaning in the educational experience : for example fun, interest and meaning of taking part in the educational experience, being another character, finding a problematic situation and solving it in the ambiguities of the poem, reflecting the previous life or imagining emotions that a learner has never undergone.

      • KCI등재

        시적 화자를 활용한 문학사교육 방안 연구 - 고전시가·현대시의 ‘여성적 화자’에 대한 비판적 검토를 중심으로

        김민지(Kim, Min-Ji) 전남대학교 한국어문학연구소 2021 전남대학교 한국어문학연구소 학술지 어문논총 Vol.- No.39

        본 연구는 문학 갈래의 통시적 변화 양상과 작가, 작품에 대한 이해를 바탕으로 하는 거시적 문학사교육의 한계를 극복하고, 학습자를 중심으로 한 미시적 문학사교육의 한 가지 방향을 제안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에서 주목한 문학사교육의 쟁점은 고전시가와 현대시의 ‘여성적 화자’로, 이 ‘여성적 화자’의 개념과 논쟁적 지점에 대해 문학사적으로 살펴보고 이를 통해 교육적 지점을 도출하였다. ‘여성적 화자’는 그동안 많은 논쟁이 이루어졌던 주제다. ‘여성화자’가 “남성에 의해 왜곡된 타자성의 발현”이라는 여성주의적 시각과, 이를 현실의 성별과는 별개로 시학적 관점에서의 문학적 형상으로 보아야 한다는 주장 등 다양한 논의들이 이어져 왔다. 본 연구는 이 중 어느 하나의 입장을 취하기보다는, ‘여성적 화자’라는 개념을 비판적으로 바라볼 필요가 있다는 전제 아래, 학습자로 하여금 그러한 비판적 검토와 문학사적 재구성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하는 문학사교육을 구안하는 데에 목적을 두었다. 구체적으로는 학습자가 시적 화자의 특성을 파악하고 이를 바탕으로 유사한 특성을 지닌, 혹은 지녔다고 판단되어 온 화자가 고전시가와 현대시에서 어떻게 나타나는지를 비교하는 활동을 통해 문학사적 안목을 형성하고, 나아가 스스로 화자를 중심으로 한 문학사를 비판적, 주체적으로 구성해볼 수 있도록 하는 것을 목표로 하여 학습자 중심의 문학사 교육 방안을 마련하고자 하였다. This study tried to overcome the limitations of macroscopic literary history education which is based on the understanding of diachronic change, writers, and works, while proposing a direction for microscopic literary history education centered on learners. The issue of literary history education focused on in this study is the "feminine(female) speaker" in classical poetry and modern poetry. In this study, the concept and the controversial points of this "feminine(female) speaker" were examined in a literary historical context, while educational points were derived from it. The ‘feminine(female) speaker’ has been a topic of much debate. Various discussions have continued, such as the feminist view that the ‘female speaker’ is a “manifestation of otherness distorted by men” and the argument that this should be viewed as a literary form from a poetic point of view independent of gender in reality. Rather than choosing between the two positions, under the premise that it is necessary to look at the concept of the "feminine(female) speaker’ critically, this study would devise a literary history education that enables learners to carry out such a critical review and obtain literary historical reconstitution. Specifically, this study suggested a learner-centered way of literary history education. Futhermore, the aims of this literary history education are that learners understand the characteristics of the poetic speaker, and based on this, the development of the literary historical perspective through the activity of comparing how the speakers who have, or have been judged, to have similar characteristics when appearing in classical poetry and modern poetry. Moreover, it should reconstitute the literary history focused on the speaker both critically and subjectively.

      • KCI등재

        백호 시의 미적 특질 -주로 시적 화자의 유형과 연계하여-

        박종우 ( Jong Woo Park ),이창희 ( Chang Hui Lee ) 고려대학교 민족문화연구원 2013 民族文化硏究 Vol.59 No.-

        이 글은 백호 임제의 한시에 나타나는 미적 특질을 시적 화자의 유형과 심미성의 상관관계를 통해 해명하고자 한 시론적 고찰이다. 백호 시의 경우 사대부남성에서 기녀까지 다채롭고 편차가 큰 화자가 한 자리에 존재한다. 적어도 화자만 놓고 보면 한국 한시사에서 백호만큼 다양한 사례는 찾아보기 힘들다. 따라서 백호 시의 개성적 국면과 미적 특질을 화자의 제 양상과 연계하여 살펴보는 것은 유효한 접근법으로 보인다. 실제 백호의 문집을 일별하면 다양한 화자가 등장함을 확인할 수 있다. 정황에 따라 1인칭 주인공과 3인칭 관찰자의 화자가 선택되고, 대상에 따라 남성과 여성으로 노래한다. 남성 화자도 사대부 문인, 武將등이 보이고, 여성 화자도 규방여인, 기녀 등이 나타난다. 물론 이러한 화자의 유형이 백호만의 것은 아니다. 하지만 이렇게 다양한 화자들이 한 시인에게서 모두 나타나는 것은 드문 사례이다. 우선 사대부 문인 화자는 일상적 사물을 관찰하고 그 과정에서 스스로의 삶을 반성하는 관조적 자세를 표현하는 데에 유용하다. 사대부 문인 화자의 다른 유형으로 보국안민의 책무를 자임하는 위정자의 형상이다. 이 화자는 부조리한 현실과 고통 받는 백성의 문제에 대한 비판적 시각을 뚜렷하게 드러낸다. 백호의 시에는 변방의 전장에서 외롭게 서 있는 무장의 화자도 자주 등장한다. 여기서 무장은 당연히 상상 속의 화자로서 현실에서 실제 하지 않는 시적 장치인데, 시의전면에 놓인 호방한 풍격과 웅장한 상상력은 강한 시적 개성을 보인다. 백호 시의 화자에서 또 하나 흥미로운 것은 여성을 주제로 하는 시편이 다수전한다는 점이다. 백호는 여성을 3인칭의 관점에서 원근법적으로 관찰하거나 직접 여성의 목소리를 내기도 한다. 이른바 염정시라고도 부르는 일련의 시작품들은 백호 시 세계의 한 국면을 이룬다. 이 화자는, 남녀의 이별과 여인의 슬픔을 노래하면서 감정을 정감 어린 시선으로 아우르고, 나아가 그 감정의 의미를 강조하며 옹호하는 역할을 담당한다. 또 하나의 화자는 규방 여성이 아니라 기녀를 다룬 시작품도 많이 나타난다. 대체로 깊은 슬픔이나 괴로움과 같이 감정의 극한적 정황을 표현하는 데에 유효하게 작동한다. 아울러 이러한 유형의 시편들은 3인칭이 아닌 1인칭 주인공으로 화자가 설정되는 점이 특징임을 확인하였다. This thesis is for clarifying a few poetic narrators appearing in Lim-je Hansi(林悌漢詩). A poetic narrator is a kind of a imaginative thing that a poet designed. This narrator is a very important subject of Lim-je Hansi(林悌漢詩)`s poem world, so that we are going to make it clear. First, we thought about a displaying nobleman narrator in his own poem world, and we found out this figure always appeared in considering problems of his society and nation. Also we know there is a soldier narrator in a imaginary space. The second is a woman figure, and we found out this figure appeared in their own condition of adversity. Finally we talked about a Gisaeng(妓生) narrator, and we found out this figure appeared in a emotional subject of their poem world. The purpose of this thesis is discussing a aspect of Lim-je Hansi(林悌漢詩)`s poem world in 16th century with analyzing their chinese poetry. First of all, I referred to their political and social background in 16th century of Chosun(朝鮮). With the basis of this background, I examined thoroughly typical themes of their chinese poetry. There are two typical themes in their chinese poetry. One is that they had a feud with wicked world. The other is that they prided themselves on their own noble character. Finally, I discussed their own literary characters analyzing their chinese poetry. And I found that there are two literary characters. One is the freehearted literary character, and the other is the literary character of sorrow. Now we have a some problem awaiting solution. We have to study out whole aspects of Lim-je(林悌)`s literary works. This problem is needed to require further examination. In the end, I```m so sure that we will get a prospect of their literature.

      • KCI등재

        황진이 시조에서 독백의 문제

        김은미(金恩美) 한국국학진흥원 2015 국학연구 Vol.0 No.27

        황진이의 시조는 서정시이며 대개 독백의 형식으로 이루어져 있다. 이 연구는 기녀라는 특수한 신분의 작가에서 벗어나, 황진이 시조에 나타난 시적 화자에 주목하였다. 황진이는 자기 응시를 통해 자신의 존재가 모순적 위치에 놓여있음을 알게 된다. 이런 모순적 존재로의 자기 규정은 적극적으로 자신을 타인에게 내보이기보다는 스스로 자신의 내면을 그려내는 독백의 어조로 시화되었고, 시적 화자의 독백적 어조 안에서 모순적 시간성도 융합해 내고 있다. 황진이의 시조에서는 대립적 구도로 세계를 인식하는 점도 특징적인데, 이 인식은 시적 화자의 위치에서 시적 화자를 중심으로 세계를 상대적으로 파악하는 것이다. 이것은 시적 화자가 가지는 세계와의 단절감을 드러내는 것이며, 이 단절감 또한 독백적 어조로 귀결된다. 결국 황진이 시에서 나타나는 시적 화자의 독백적 어조는 존재의 모순성 인식과, 이로 인한 자신의 단절감 표현으로 설명할 수 있다. 화자와 세계 사이의 단절감을 독백으로 표현한 것이다. 이는 화자와 세계와의 불화에 기인한다. 시적 화자의 독백 속에 자신의 모순성과 단절감을 담아낸 황진이는 독백의 시인인 것이다. Hwang Jini’s Sijo’s are lyrics and most of them are formed in monologue. This study pays attention to the poetic narrator in her Sijo’s beyond the view of her particular status as a Gisaeng. Hwang Jini realizes through glaring at herself that her being lies in an ironic position. Under this definition of herself as an ironic being, she does not actively show herself to others but does create poems in the tone of monologue that draws her inside, and melt ironic temporality in her soliloquial tone. It is characteristic in Hwang’s Sijo’s to recognize the world in a system of opposition. This recognition means to relatively grasp the world in the position of the poetic narrator with focus on the narrator. This reveals the poetic narrator’s sense of alienation from the world, and this sense of alienation also reduces to the soliloquial tone. After all, the poetic narrator’s soliloquial tone in Hwang Jini’s poetry can be explained as her recognition of the irony of her being, and expression of her sense of alienation. She expresses the narrator’ssense of alienation from the world in monologue. This is due to the discord between the narrator and the world. Hwang Jini is the poet of monologue as she contains her ironic status and sense of alienation in the poetic narrator’s monologu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