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스포츠윤리학의 역사와 과제, 그리고 전망

        박성주 국민체육진흥공단 한국스포츠정책과학원 2019 체육과학연구 Vol.30 No.2

        [Purpose] This study aims to contemplate the identity and significance of sport ethics as an independent academic field by examining how it began and developed, where it is now, and where it will or should be moving forward. [Methods] First, a history of sports philosophy which gave birth to sport ethics is surveyed. Second, the emergence of sport ethics in the historical development of sport philosophy is analyzed. Third, major methodologies and theoretical frames of sport ethics are introduced. Last, what needs to be done in South Korea in relation to sport ethics is suggested. [Results] Sport ethics in the future is expected to resort to interdisciplinary approaches which combine a variety of academic disciplines and methodologies. In addition, sport ethics must relate its theory to practice. The pressing task for sport ethics in South Korea is to establish its identity as a separate academic field. In order to do this, we should figure out what to study in sport ethics, and continue to study about the range, methodology, and theoretical frame of sport ethics. [Conclusions] The establishment and development of an academic field becomes only possible when fully supported by numerous scholars’ work, practical achievement of the field, and a diversity of policy and institution, and a continued discussion and agreement on the content and methods of the discipline. In order to enhance its status as well as professionalism of sport ethics scholars, researchers of various academic backgrounds should study sport ethics, exchange ideas on theory and methodology, and spread results of studies through education, guiding through the development of sports. [목적] 본고는 하나의 학문으로서 스포츠윤리학의 정체성과 의의를 성찰하는 근본적인 목적을 가지고, 스포츠윤리학이 어디에서부터 시작되고, 어떻게 성장해 왔으며, 현재 어떠한 위치에 와 있고, 향후 어떻게 나아갈 것인지, 그리고 나아가야 하는지에 대해 구체적으로 살펴보고자 한다. [방법] 이를 위해, 먼저 스포츠윤리학의 부모 학문이라 할 수 있는 스포츠철학의 역사를 살펴보고, 둘째, 스포츠철학의 역사적 과정에서 스포츠윤리학의 등장과 그 배경을 분석하며, 셋째, 스포츠윤리 연구의 주요 방법론과 이론적 틀을 고찰하고, 끝으로 국내 스포츠윤리학의 과제와 전망을 제시하였다. [결과] 향후 스포츠윤리학은 다양한 학문과 연구방법을 종합하는 융합적인 접근방법으로 나아갈 것으로 예측되며, 또한 앞으로 스포츠윤리학은 이론과 실천이 긴밀하게 연결된 학문으로서 나아가야 한다. 국내 스포츠윤리학이 당면한 과제는 스포츠윤리학의 학문적 정체성 정립이다. 이를 위해서는 한국 스포츠윤리학이 연구해야 될 지향점을 찾고, 스포츠윤리학의 연구영역과 연구방법론, 그리고 그 근간이 되는 이론적 틀을 도출하는 연구가 활성화되어야 할 것이다. [결론] 어떤 학문 분야의 성립과 성공적인 발전은 그것을 전공하는 학자들, 그들의 수많은 연구물과 실제 현장에서의 실천적 성과, 다양하고 현실적인 정책적·제도적 뒷받침, 그리고 그 학문의 연구내용과 방법론에 대한 지속적인 논의와 합의들이 축적되었을 때 가능한 일이다. 스포츠윤리학도 다양한 학자들이 스포츠에서 발생하는 윤리적 이슈와 쟁점에 대해 연구하고, 연구자간 학술적 교류를 통해 이론적 기반과 연구방법의 타당성을 지속적으로 논의하며, 그것이 실제 현장에 보급·확산되어 스포츠의 바람직한 발전과 방향을 제시하는 나침반의 역할을 할 수 있을 때, 학(學)으로서의 체계와 위상을 정립하고 그 전문성도 제고할 수 있을 것이다.

      • KCI등재

        스포츠윤리 교육 어떻게 할 것인가?

        남중웅,구강본,강경환 한국체육철학회 2008 움직임의철학 : 한국체육철학회지 Vol.16 No.4

        This research has the purpose to explore important tasks in forming environment for sports ethics education. The most important issue at the moment is to form the consensus of sports community on the necessity of sports ethics education. Sports ethics should not be limited as something only to observe, but need be recognized as practical and essential element in ever changing and diversifying real society and sports field. In other words, there should be prevalent concept that sports ethics is an essential element for normal practice of sports. Such concept may need be internally admitted in all the sectors like leaders, umpires, athletes, academic community and education field etc, and that is because social consensus can be formed only when internal reflection and introspection are accomplished. Based on such theoretic background, we pursued solutions for the following four questions by the stages. First, why is sports ethics necessary? Second, who should have sports ethics education? Third, what are the contents of sports ethics education? Fourth, what is the basis of sports ethics education? Based on the results, we proposed that sports ethics education requires theoretic foundation and is necessary as education course. Also, we claimed that sports ethics education should be mandatory and education organization for verification and authorization of sports ethics be installed. After all, the educational function of sports will grow positive when efforts are made to institutionize sports ethics followed by ceaseless emphasis on it through strengthened public relations toward nationals. 이 연구는 스포츠윤리교육에 대한 여건을 형성하는데 있어서 중요한 과제가 무엇인지를 탐색하는데 연구의 목적이 있다. 지금 시점에서 가장 중요한 것은 스포츠윤리 교육이 왜 필요한가에 대한 스포츠계의 공감대의 형성이다. 스포츠윤리는 지켜야할 막연한 대상으로 국한된 것이 아니라 복잡 다변화하는 현실사회와 스포츠현장에서 실천적이고, 필연적인 하나의 구성요소로써 인정받아야 할 것이다. 즉 스포츠가 정상적으로 작동하기 위한 필수요소로의 인식이 확산되어야 할 것이다. 이러한 인식은 내부적으로 지도자, 심판, 선수, 학계, 교육계 등 모든 부분에서 받아들여야 할 것이다. 스스로의 반성과 자기성찰이 선행될 때 사회적인 공감대가 형성될 수 있기 때문이다. 이러한 이론적 배경을 바탕으로 다음과 같은 네 가지에 대한 해답을 찾고자 하였다. 첫째, 왜 스포츠 윤리교육이 필요한가? 둘째, 스포츠윤리 교육의 대상은 누구인가? 셋째, 스포츠윤리 교육의 내용은 무엇인가? 넷째, 스포츠윤리 교육의 기반은 무엇인가를 단계적으로 살펴보았다. 이러한 결과 스포츠윤리 교육에 대한 기반에 있어서 무엇보다 이론적 토대가 필요하며, 교육과정으로써의 역할이 필요함을 제시하였다. 또한 스포츠윤리 교육의 의무시행은 물론 스포츠윤리의 검증 및 공인교육기관의 설치를 주장하였다. 결국 스포츠윤리의 제도화를 위한 노력이 선행되어야 함은 물론 대국민 홍보를 강화하여 필요성을 끊임없이 제기될 때 스포츠의 교육적 기능이 긍정적으로 강화될 수 있을 것이다.

      • KCI등재

        스포츠에서의 덕 윤리 적용 가능성 연구 : A. MacIntyre 덕 윤리에서 ‘실천’ 개념을 중심으로

        이지항 한국기독교사회윤리학회 2015 기독교사회윤리 Vol.31 No.-

        This study attempts to approach sports from a ethical viewpoint, in keeping with the current trend of academic convergence. Preceding researches on the ethical issues of sports typically brought up the several critical issues like biased judgment, drug use, beating and gender discrimination, and tried suggest ethical standards in order to overcome such problems. However, it is often unclear to determine either ‘right' or 'wrong' without disputes. In particular, in the contemporary society, too much emphasis on the outcome of sports and disregards of the essence in sports, inevitably, results in ethical disputes among parties. Such situations, of course, are not limited to sports. Facing such incommensurable ethical judgements, A. MacIntyre proposes 'virtue ethics' as an alternative ethics applicable to sports. Based on MacIntyre's virtue ethics, sport science researchers like P. Arnold has also proposes a new sports ethics. When compared to the 'act-centered’ ethics, Virtue ethics are 'agent-oriented' approach of ethics in an effort to settle the ethical conflicts of the contemporary society. First, the necessity for applying MacIntyre's virtue ethics to sports was introduced by recognizing current problems. Then, discussions about the necessity of recovering the essence of sports followed. In particular, through the reinterpretation of 'sports' based on the concept of 'practice' proposed by MacIntyre in his definition of virtue, an effort was made to diagnose the problems of current sports and suggest a possible solutions. Thus, this paper concentrates mainly on re-establishment of sports through the introduction of virtue ethics and the concept of virtue, and tries to avoid the conventional introduction and interpretation of sports ethics as an applied ethics. The overall discussion puts significant emphasis on the convergence of sports and virtue ethics to evade the negative viewpoints toward sports, and to reestablish the original form of “healthy life,' the essence of sports. 본 논문은 학문간의 통합이 요구되는 시에 맞춰, 스포츠를 윤리학으로 시선으로 바라보는 하나의 시도이다. 그동안 스포츠에서의 윤리 문제는 편 정, 약물 복용, 구타, 성 차별 등을 극복하기 해서 도덕 기을 제시하는 방향 으로 논의되어 왔다. 하지만 이러한 문제들에 해 일으로 ‘옳음’과 ‘그름’을 결정하기는 쉽지 않다. 특히 스포츠의 본질을 잃고 결과만을 요하게 여기는 사회에서 상반된 도덕 단들은 마다의 정당성을 주장하는 도덕 논쟁 에 그치고 있다. 물론 이러한 상황은 스포츠에 국한된 것은 아니다. 윤리학 자 맥킨타이어(A. MacIntyre)는 이러한 통약불가능한(incommensurability) 도 덕 단들이 직면한 상황 앞에 ‘덕 윤리’(Virtue Ethics)를 안으로 제시했다. 스포츠 학계에서도 아놀드(P. Arnold) 등 몇몇 학자들이 맥킨타이어의 덕론에 근거해서 새로운 스포츠 윤리를 제시하고 있다. 덕 윤리는 결과지향인 ‘행 심’이 아닌 ‘행자 심’의 윤리로의 이행을 통해 사회의 도덕 갈등을 해결하고자 하고 있다. 본 논문은 맥킨타이어 덕 윤리가 왜 스포츠에 용되어야 하는지에 한 문제의식을 시작으로 ‘덕 ’의 특성을 ‘스포츠’에 용하고, 이를 통 해 스포츠 본질 회복의 필요성을 논의하고자 했다. 특히 매킨타이어가 덕을 정의 하면서 제시한 ‘실천’ 개념을 통해 ‘스포츠’를 재해석하면서, 재 스포츠의 문제 을 진단하고 그 해결의 단를 제시하고자 했다. 본 논문은 반인 구성상 기존의 응용 윤리학으로서의 스포츠 윤리학에 한 소개 해석은 제외하고, 덕 윤리에 한 소개와 덕 개념을 통해 재구성된 스포츠를 규명하는 데 집했다. 본 논문은 ‘스포츠’와 ‘덕 윤리’의 만남이 사회에서 스포츠를 향한 부정인 시선이 극복되고 스포츠의 본질인 ‘좋은 삶’의 원형을 회복하기 한 하나의 시도 라는 데 의의를 두고 있다 .

      • KCI등재

        스포츠선수의 윤리적 의사결정과 환경적 특성

        임다연 ( Dayoun Lim ),박성주 ( Sungjoo Park ) 한국스포츠정책과학원(구 한국스포츠개발원) 2021 체육과학연구 Vol.32 No.1

        〔목적〕 이 연구는 Haidt의 사회적 직관주의 이론(social-intuitionist theory)을 토대로 스포츠선수와 일반인의 윤리적 의사결정에 있어 차이점을 분석함으로써 스포츠선수의 윤리적 판단 성향을 이해하고 판단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환경적 특성 측면에서 고찰하였다. 이를 통해 스포츠선수의 윤리의식 제고를 위한 교육의 방향과 제도적 방안마련에 대한 시사점을 제공하는 데 연구의 목적이 있다. 〔방법〕 이러한 연구목적을 위해 대한체육회에 10년 이상 운동선수로 등록된 20대 엘리트선수 200명과 서울에 소재하고 있는 5개 대학교에서 200명의 20대 대학생을 비교 대상으로 선정하였다. 문항별 반응경향은 백분율을 통해 조사되었으며, 엘리트선수 8명의 심층면담을 통한 질적 데이터가 분석되었다. 〔결과〕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스포츠선수는 일반적인 윤리적 상황에서는 대체적으로 원칙을 강조하는 의무론적 윤리관을 드러냈으나 스포츠상황에서는 결과에 비중을 두고 판단하는 결과론적 윤리관을 매우 강하게 보이는 이중적 의식구조를 나타냈다. 둘째, 스포츠선수는 일반인에 비해 윤리를 당위규범으로 인식하는 유교적 윤리관을 강하게 견지하고 있으며, 이로 인해 윤리적 의사결정에 있어 합리주의보다는 온정주의가 비교적 강하게 작용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스포츠선수는 개인의 생각이나 이익보다는 타인의 생각과 집단의 이익을 윤리적 의사결정에 있어 중요한 기준으로 여기고 있으며, 집단의 조화나 관계를 강조하는 집단중심 성향을 보였다. 넷째, 일반인은 훌륭한 스포츠선수의 잣대를 뛰어난 실력과 그에 걸맞은 좋은 인성을 갖춘 선수로 인식하며 스포츠선수의 도덕성을 중시여기는 반면, 정작 스포츠선수는 자신의 성공에 있어 도덕성의 영향과 그 중요성을 비교적 낮게 인식하고 있었다. 끝으로 스포츠선수의 가치관 형성에 크게 영향을 미치는 인물은 선수의 코치나 감독인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 스포츠계의 윤리의식 제고를 위해서는 스포츠 구성원의 윤리의식에 대한 심층적인 이해가 우선되어야 한다. 본 연구가 스포츠선수의 윤리의식을 사회문화적 맥락에서 접근하는 연구의 활성화에 촉매제 역할을 할 수 있기를 기대한다. [Purpose] Based on Haidt's social-intuitionist theory, this study analyzes the differences in ethical decision-making between sport athletes and the general public in order to understand the ethical judgment tendencies of athletes and examine the determining factors influencing their judgment from the perspective of their environment. In so doing, this study hopes to motivate education for enhancing ethical consciousness as well as institutional policy. [Methods] To this end, 200 elite athletes in their twenties registered for more than 10 years at the Korean Sports Association and 200 college students in their twenties from five universities in Seoul were selected for comparison. Response trends for each item were analyzed by percentage, and differences between groups were confirmed by the χ2 test method. [Results]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in general ethical situations, athletes usually showed a compulsory ethical view that emphasized principles, whereas in a sports situation, they showed a double consciousness and revealed a very strong consequential ethical view which put much emphasis on outcome. Second, athletes strongly maintained a Confucian ethical view that recognized ethics as a norm compared to the general public and, as a result, it was found that paternalism was relatively stronger than rationalism in their ethical decision making. Third, athletes regarded other people's thoughts and group interests as important criteria for ethical decision-making rather than individual thoughts and interests, and showed a group-centered mindset which emphasized group harmony and relationship. Fourth, while the general public viewed excellent athletes as those with excellent skills and good personality, and valued their morality, athletes thought relatively little of the influence and importance of morality in their success. Finally, it was found that coaches and managers were fundamental to the formation of the athlete’s moral view. [Conclusion] An in-depth understanding of sports participants' ethical awareness should come first in order to enhance ethical consciousness in sport. I hope this study will work as a catalyst for research which approaches athletes' ethical consciousness from a socio-cultural context.

      • KCI등재

        스포츠윤리 담론의 한계와 과제에 대한 고찰

        김정효 한국체육철학회 2013 움직임의철학 : 한국체육철학회지 Vol.21 No.1

        최근 스포츠 상황의 급변은 많은 윤리적 문제를 양산하고 있다. 도핑과 승부조작, 스포츠도박 등은 스포츠 가치의 근간을 뒤흔드는 매우 심각한 문제들이다. 그러나 이런 문제에 대한 우리 학회의 담론과 대처는 반드시 논리적 정합성을 갖는다고 보기 어렵다. 현상에 대한 표면적 분석과 윤리학 이론에 기댄 섣부른 계몽적 결론으로 이루어진 기존의 논문들은 학문적 깊이와 자기반성적 실천을 간과해 왔다. 본 논문은 이러한 문제의식을 바탕으로 지금까지 논의되어 왔던 스포츠윤리학의 담론을 거시적 관점에서 비판적으로 분석해 본 것이다. 이를 위해 스포츠규범의 정당화 논의, 스포츠윤리의 실천 윤리적 위상, 그리고 스포츠윤리의 교육적 가능성이라는 세 가지의 주제를 중심으로 기존의 스포츠윤리학 담론이 갖는 한계와 이를 극복하기 위한 과제가 무엇인지를 철학적 관점에서 논의를 전개하였다. 먼저 스포츠에서 발생하는 도덕적 요청은 규범의 선험성에 있는 것이 아니라 도덕성의 원리를 찾으려는 치밀한 논의에 의해 획득되는 것이라는 점을 명확히 하였다. 도덕성의 원리는 스포츠윤리를 실천적 영역으로 규정할 경우에도 그대로 적용되는 것으로, 규범에 대한 반성적 사유 없이 실천을 요구하는 것은 강제에 지나지 않는다는 점을 분명히 하였다. 끝으로 교육으로서의 윤리가 스포츠에서 요구되는 윤리적 행동에 대한 반성적 사고를 거쳐 보편적 도덕 법칙이 무엇인지를 찾고 실천하게 만드는 작업이라는 점을 강조함으로써, 스포츠윤리학의 당위성과 외연은 결국 학문적 연구의 깊이에 의해 획득되어진다는 결론을 얻을 수 있었다. Recently, many ethical problems have arisen around sport. Recent increases in doping, match fixing, and gambling have sullied the value of sport and present the future of sport with serious problems. However, the methods so far offered by our society to resolve such problems are not logically sufficient. The existing studies which reveal the external analysis of the present condition and an illuminative conclusion have overlooked both the academic depth of the problem as well as the basis of practice. This study analyzes the arguments on existing sport ethics critically from a philosophical viewpoint. In order to justify the limits and foci of current studies, this study focuses on three questions: 1) What is the basis of the justification of normative sport ethics? 2) What is the meaning of practical ethics in sport performance? And 3) How we can uncover the educational possibilities inherent in sport ethics? Initially, we find that the moral appropriateness required in sport is not based on the apriority of a norm, but instead relies on precise logical study to determine the true principle of morality. The principle of morality also offers a logical base from which we may explore and specifically define the practical character of sport ethics. Clearly, practice based solely on norms, without reflection on a norm, is just compulsion. We increase the value of education in sport when we manage to employ reflexive thinking about universal ethics and moral behavior through one's practice.

      • KCI등재

        스포츠윤리의 이론적 기초

        박성주 한국체육철학회 2014 움직임의철학 : 한국체육철학회지 Vol.22 No.3

        Showing increasing interests in sport ethics, a large number of articles on doping, sportsmanship, gender discrimination, match fixing, and fair play have been published in the Journal of Korean Philosophic Society for Sport and Dance. Considering that the discussion on sport ethics just emerged recently in South Korea, these articles evince that the Korean sport philosophy academia is up to undertaking sport ethics as a new discipline. In contrast of the flooding publications on specific topics, however, there has been few metaphilosophical reflections on sport ethics per se; can sport ethics exist within sport philosophy as an independent field? what are some characteristics of sport ethics? are there methodological grounds that would cause sport ethics to remain as a separate discipline? An attempt to answer these questions, this paper, rather than discussing specific topics of sport ethics, analyzes sport ethics as such in order to provide a theoretical frame for the study of sport ethics. First, my paper examines the relationship between sport and ethics, the forms taken by normative judgments in sport, and what constitutes the object of ethical consideration in sport. Then I suggest for a theoretical frame the four theories of ethics―utilitarian ethics, deontological ethics, contractarian ethics, and virtue ethics. These theories, I believe, can provide guidelines to making decisions and behaving as one tries to solve ethical problems raised in fields of sport. 스포츠윤리에 대한 관심 고조로 도핑, 스포츠맨십, 성차별, 승부조작, 페어플레이 등 특정 주제에 관한 학문적 연구는 상당한 진척을 보여 한국체육철학 학술지에 관련 논문이 상당 수 게재되고 있다. 국내에서 스포츠윤리에 대한 논의가 본격적으로 시작된 지 그렇게 오래되지 않은 현실을 감안하면 이러한 연구 성과는 한국체육철학계에 스포츠윤리의 학문적 작업을 감당할 만한 잠재적 역량이 풍부함을 보여주는 고무적인 일이다. 하지만 주제 연구에 비해, 스포츠윤리가 무엇인지, 즉 스포츠윤리의 목적과 대상은 무엇이고 이 대상을 어떤 방법으로 연구하는지, 스포츠윤리를 하나의 학문으로 성립시키는 방법론적 근거들은 있는지 등과 같은 스포츠윤리 자체에 관한 철학적 고찰은 거의 이루어지지 않고 있다. 본고는 바로 이러한 문제의식에 따라 스포츠윤리가 다루고 있는 구체적인 주제는 논외로 하고 스포츠윤리 자체를 탐구의 대상으로 삼아 스포츠윤리가 무엇인지를 규명함으로써 스포츠윤리 연구의 이론적 토대를 제공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먼저 스포츠와 윤리의 관계는 무엇인지, 스포츠에서 제기되는 규범적 판단의 형태는 무엇인지, 그리고 학(學)으로서 스포츠윤리의 독자성과 탐구영역은 무엇인지에 대하여 고찰하였다. 끝으로 스포츠 윤리문제의 분석과 해결을 위한 최소한의 틀로서 공리주의, 의무론적 윤리, 계약론적 윤리, 덕 윤리를 제시하고 이러한 윤리이론들이 실제 스포츠 상황에서 직면하는 윤리적 문제의 해결을 위한 의사결정이나 행위의 지침을 제공할 수 있음을 주장하였다.

      • KCI등재

        쇼펜하우어의 윤리적 관점에서 본 스포츠

        김지영 한국스포츠학회 2020 한국스포츠학회지 Vol.18 No.4

        현대사회는 윤리가 강조되는 반면, 스포츠의 승부조작, 도핑, 폭력과 관련된 윤리적 문제는 지속되고 있다. 스포츠 에서 지속되고 있는 윤리적 문제는 스포츠선수 개인의 행복뿐만 아니라 사회에 부정적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 작용할 수 있다는 점에서 스포츠선수의 윤리의식은 의무시되고 있다. 따라서 스포츠철학에서는 스포츠의 윤리적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대안을 마련하기 위한 연구가 지속되고 있으나, 스포츠선수가 중심이 되는 연구는 미흡한 실정이다. 본 연구의 목적은 ‘스포츠선수는 행복함과 동시에 윤리적일 수 있을까?’ 라는 질문을 통해 쇼펜하우어의 윤리적 관점에서 스포츠를 고찰하였다. 연구방법은 문헌연구로 쇼펜하우어의 사상을 파악할 수 있는 저서와 선행연구를 중심으로 고찰하였다. 쇼펜 하우어의 사상에서 행복과 윤리는 고통의 벗어남으로 실현된다는 점에서 고통이 동시에 도출됨에 따라 양립가능성을 확인할 수 있었다. 쇼펜하우어의 윤리적 관점에서 스포츠의 승부조작, 도핑, 폭력과 관련된 윤리적 문제는 고통을 벗어나 지 못하여 초래된 것으로 볼 수 있으며, 스포츠도 하나의 표상으로서 행복과 윤리를 실현하기 위해서는 고통을 벗어날 수 있어야 한다. 이를 토대로 스포츠선수가 고통에서 벗어날 수 있는 대안을 마련한다면, 스포츠는 행복과 윤리가 실현되 는 장(場)이 될 수 있을 것으로 여겨진다. 이는 스포츠윤리교육에 적용이 가능하고 도움이 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While ethics are highlighted in modern society, ethical issues related to match fixing, doping and violence in sports are continued. The ethical awareness of sports players is mandatory, given that continued ethical problems in sports can serve as factors that have a negative impact on society as well as on the individual well-being of sports players. Thus, researches are continued in sports philosophy to come up with alternatives to solve the ethical problems of sports, but the sports players-oriented research is insufficient still.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sports from the ethical perspective of Schopenhauer by asking 'Can a sports player be happy and ethical at the same time?' The method of research was focused on books and literature studies that could identify Schopenhauer's ideas through literature research. In Schopenhauer's thought, the happiness and ethics are realized as going out of pain, the compatibility was able to be confirmed as the pain has been derived from either areas at the same time. From Schopenhauer's ethical perspective, it can be seen that the ethical problem related to match-fixing, doping and violence in sports is caused because the sports cannot go out of pain, and sports must also go out of pain in order realize happiness and ethics as a representation. Based on this, sports are believed to be a field where happiness and ethics are realized beyond pain if an alternative is provided for an athelte to be free from the pain. This is expected to be applicable and helpful to the sports ethic education.

      • 스포츠윤리 교육프로그램 개발

        김소은 ( Kim Soeun ) 국민대학교 스포츠윤리연구소 2022 스포츠와 윤리 Vol.2 No.2

        본 논문의 목적은 스포츠 현장에서 다양한 방식으로 활용할 수 있는 중·고등학교 학생선수를 위한 스포츠윤리 교육프로그램을 개발하는 데 있다. 이러한 목적을 위해, 첫째, 스포츠윤리교육 관련 문헌 및 선행연구를 고찰함으로써 학생선수들의 윤리적 민감성과 판단력을 증진할 수 있는 교육내용을 구성하였다. 둘째, 해외 스포츠윤리교육의 교수방법으로 주목을 받고 있는 사례기반학습에 대한 분석을 토대로 사례기반 교수방법을 효과적으로 활용하기 위한 다양한 사례들을 개발하였다. 셋째, 개발한 교육내용과 교수방법을 바탕으로 스포츠윤리 교육프로그램을 개발하고 이를 현장에 적용하여 그 효과를 분석하였다. 넷째, 스포츠윤리교육의 효과 분석과 전문가 검토를 통해 수정·보완의 과정을 거쳐 최종 스포츠윤리 교육프로그램을 개발하였다. 스포츠윤리 교육프로그램을 적용한 결과, 교육 실시 전(M=3.23)보다 교육 실시 후(M=6.93) 학생선수들의 스포츠윤리성 점수가 높게 나타났으며, 대응표본 t-검증 결과 유의수준 0.01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스포츠윤리교육에 대한 만족도 조사결과, 전체 문항의 평균값은 4.23으로 스포츠윤리교육에 대체적으로 만족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으로 나타나 학습에 대한 만족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학생선수를 위한 스포츠윤리 교육프로그램 모형을 개발함으로써 스포츠윤리교육의 활성화를 도모하고, 스포츠윤리 관련 교재 및 교육자료 개발의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develop and apply a sports ethics education program for prospective sports athletes and high school students that can be used in various ways in the sports field. First, we developed a sports ethics education program based on case-oriented learning that can be used in various cases in sports ethics education at sports sites. Second, the program guidance developed was applied to the sports scene, and the effect was analyzed through pre- and post-sports ethics awareness surveys and questionnaires. As a result of applying sports ethics education program learning, the sports ethics consciousness score was shown to be 3.7 points higher on average after applying than before application (M = 3.23), and the corresponding sample t- verification results were found to be statistically significant at a significance level of 0.01. Therefore, learning sports ethics education programs has had a positive impact on improving sports ethics awareness among middle and high school athletes. The results of the Education Satisfaction Survey showed that the overall question average result was 4.23, resulting in higher satisfaction with learning. This shows that the sports ethics education program of this t-study has increased learners' interest and satisfaction in learning in terms of methods.

      • KCI등재

        예비 스포츠지도사의 윤리적 민감성과 직업윤리의식의 관계

        백승엽 한국스포츠학회 2018 한국스포츠학회지 Vol.16 No.2

        본 연구의 목적은 예비 스포츠지도사들의 윤리적 민감성과 직업윤리의식의 관계에 대하여 알아보는 것이다. 본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연구대상은 2017년 K대학의 스포츠지도사 연수원에서 운영하는 스포츠지도사 자격연수 과정에 참가한 예비 스포츠지도사들로서 생활스포츠지도사 97명과 유소년스포츠지도사 81명 등 총 178명을 대상으 로 하였다. 본 연구의 조사도구는 설문지를 사용하였고 이를 바탕으로 결과를 분석하여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첫 째, 예비 스포츠지도사들의 윤리적 민감성은 연령별과 지도경력별로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예비 스포츠지도사들의 통제위치와 마키아벨리즘에 따른 민감성은 유의한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예비 스포츠 지도사들의 윤리적 민감성은 직업윤리의식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예비 스포츠지도사들의 통제위치 는 직업윤리의식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마키아벨리즘은 직업윤리의식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 on the ethical sensitivity and the consciousness of the vocational ethics from prospective sports instructors. 178 prospective sports instructors, 97 instructors for the life sport and 81 instructors for youth sports, participating in trial process in 2017 held by K university have been participated and analyzed. For completion of this study, the questionnaires for the ethical sensitivity including locus of control and Machiavellism and the consciousness of the vocational ethics have been used. The results are followings. First, there was significantly difference in gender and teaching career on the ethical sensitivity from 178 prospective sports instructors. Second, there was no significantly difference in locus of control and Machiavellism on the ethical sensitivity from 178 prospective sports instructors. Third, the ethical sensitivity had an effect on the consciousness of the vocational ethics. Lastly, locus of control from 178 prospective sports instructors did not have an effect on the consciousness of the vocational ethics whereas Machiavellism had an effect on the consciousness of the vocational ethics.

      • KCI등재

        스포츠윤리연구의 자기성찰과 새로운 도전

        이학준,권욱동 한국체육철학회 2018 움직임의철학 : 한국체육철학회지 Vol.26 No.3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self-reflection and new challenge of sports ethics research. The result is as follows. First, research in sports ethics is philosophical. It could also make a mistake of hasty generalization to look at only a few parts of the study rather than at the whole of it, and to argue that it is not philosophy. How to overcome this can be found in the clear understanding of the ethics theory and the consistency of the argument. Second, the limit of sports ethics research is to try to solve ethical issues through the reinforcement of individual moral autonomy. The solution to this problem can be found in the harmony and balance of personal and social ethics. Third, sports ethics studies should be made to help athletes and sports leaders at the site. Rather than enlightenment and lecture, we should study, apply, and practice sports ethics on a logical and coherent basis. From the above, the following directions of sports ethics research could be found. New challenge of sports ethics research can be found in the search for victory by the athlete for his or her own interests, in the combined study of theory and practice, and in the communication of athletes and leaders. Ultimately, sports ethics will have to explore the rational solutions to winning and morality in sports, and sports ethics as a practical ethics required in the field. 이 연구의 목적은 국내 스포츠윤리연구의 자기성찰과 새로운 도전을 탐구하는 것이다. 이를 위하여 국내 스포츠윤리연구를 한정하여 연구하였다.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우선 스포츠윤리연구의 자기성찰이다. 첫째, 스포츠윤리연구가 논증의 형식을 갖추고 있는가이다. 이를 해결할 수 있는 방법은 윤리이론의 명확한 이해와 적용 그리고 논증의 정합성에서 찾을 수 있다. 둘째, 스포츠윤리연구의 한계는 무엇인가이다. 한계는 개인의 도덕적 자율성 강화만을 통해서 윤리적 문제를 해결하려고 하였다는 것이다. 이 문제의 해법은 개인윤리와 사회윤리의 조화와 균형에서 찾아보았다. 셋째, 스포츠윤리연구가 현장을 개선 할 수 있는가이다. 현장에 도움을 줄 수 있는 스포츠윤리연구가 되어야 한다. 계몽과 훈계보다는 논리적 정합성, 합리적 근거, 도덕적 정당성 차원에서 스포츠윤리를 연구하고 실천해야 한다. 스포츠윤리연구의 새로운 도전은 자기이익으로서의 승리와 규칙준수로서의 도덕의 조화, 이론과 실천의 융합 그리고 연구자와 지도자의 소통에서 찾아보았다. 결국, 스포츠윤리연구는 스포츠에서 승리와 도덕의 정당성 확보와 현장에서 필요한 실천윤리를 연구하는데 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