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한국인 스페인어 학습자의 발화에 대한 음향음성학적 연구: /p, t, k/ 및 /b, d, g/를 중심으로

        문정 ( Jeong Mun ) 고려대학교 스페인·라틴아메리카연구소 2015 스페인라틴아메리카연구 Vol.8 No.2

        본 논문은 한국인 스페인어 학습자(이하 KS 학습자)에 의한 스페인어 파열음소가 어떻게 실현되는지, 원어민의 발화와는 어떠한 차이가 있는지에 관한 연구이다. 스페인어를 배우는 한국인 대학생들이 발화한 스페인어 무성 파열음소 /p, t,k/와 유성 파열음소 /b, d, g/의 변이음을 녹음한 후, 음성분석프로그램인 프라트(Praat)를 사용하여 폐쇄구간, 개방구간, 유성음화 비율, 접근음화 비율 등을 측정하여 발화 양상을 분석하였다. 실험 결과, KS 학습자가 스페인어의 [p, t, k]를 발화시에는 약기음화, 강경음화 현상이 일어났다. 한국어에 경음이 존재하기 때문에 KS 학습자가 스페인어의 경음을 강하게 발화할 수 있었다고 볼 수 있다. 원어민의 경우 무성 파열음의 무성성과 유성 파열음의 유성성에 충실하였으나 KS 학습자의 경우 무성 파열음의 무성성과 유성 파열음의 유성성에 상대적으로 충실하지 못하였다. 또한, KS 학습자는 한국어에 존재하지 않은 스페인어의 접근음에 습득에 어려움을 겪는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Flege(1995)가 주장한 바와 마찬가지로 L2의 접근음이 한국어에 존재하지는 않지만 음성적 거리가 가깝기 때문에 L1의 음성범주에 동화되어 스페인어 접근음의 습득이 어려웠던 것이다. KS 학습자의 스페인어 학습에 영향을 미치는 언어학적 변인으로는 총 공부기간, 거주 경험, 거주기간임이 나타났다. 본 논문은 지금까지 연구되지 않았던 KS 학습자의 발화에 관하여 음향음성학적으로 실험한 논문으로 앞으로 스페인어 발음 연구를 위한 자료로 활용될 수 있다는데 의의가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how the Spanish phonemes /p, t, k, b, d, g/ are produced by Koreans and what is the difference compared to Spanish native group. After recording allophones produced by Korean university students, it uses a speech analysis program Praat to analyze the closure duration, release burst duration, rate of sonorization, and rate of approximantization. According to the results of this study, when native Koreans who are learning Spanish language (hereinafter, ``KS learners``) pronounce the Spanish [p, t, k], ``weak aspiration`` and ``strong fortisation`` phenomenon can occur. As Korean language has its own fortis, Korean participants tend to pronounce the tense sounds of the Spanish language strongly. The pronunciation of voiced and voiceless plosives by native Spanish speakers is faithful to the voiced-voiceless distinction. However, the Koreans are relatively less faithful to the voiced-voiceless distinction due to the influence of their mother language. In addition, they have difficulty acquiring approximants [β, δ, y] that do not exist in the Korean language. As argued by Flege (1995), the L2-approximants that do not exist in the Korean language are assimilated to the phonetic category of L1 due to phonetical closeness. Lastly, linguistic variables that have significant influence on the learning of Spanish language by KS leaners are: total learning period, stay experience in Spanish-speaking countries, and period of stay. This article conducts an analysis of acoustic-phonetic characteristics of KS leaners, an uncharted field of study. The results of this study can be utilized as basic data for future studies on the production of Spanish language.

      • KCI등재

        필리핀에서 스페인어의 소멸과정에 관한 고찰

        김우성 부산외국어대학교 중남미지역원 2018 이베로아메리카 Vol.20 No.2

        This article attempts to describe processes that are underlying the disappearance of the Spanish language in the Philippines. The main causes of the displacement of this language are presented here in a historical overview of the situation of the Spanish language in relation with indigenous languages and with English. During the colonial rule, Spanish was the language of education, trade, politics and religion. By the 19th century, it became the country’s primary language although it was used by the educated people. As a result of Spanish-American war, the English language began to be promoted instead of Spanish, and the use of Spanish declined promptly. Spanish lost its official status in 1987. Nowadays Spanish is regarded either as a language of the elite among the Filipinos of Spanish descent or as a legacy of the past that no longer exists. 스페인어는 스페인이 필리핀을 정복한 16세기부터 사용되기 시작한 이후 19세기 말까지 국가의 공용어로서 기능했다. 그러나 스페인어는 대다수 국민들이 태어나면서부터 배우게 된 모어는 아니었다. 이는 필리핀에서 스페인어가 사라진 중요한 이유 중의 하나이다. 이 외에도 스페인어가 필리핀에서 널리 뿌리를 내리지 못한 이유로는 식민지 시절 교육을 담당했던 수사나 성직자들의 스페인어 교육에 대한 소극적인 태도, 본국과의 거리가 너무 멀고, 경제적인 부의 부재로 인해 이민자들의 숫자가 적어 원주민들과 광범위한 혼혈이 이루어지지 않은 점, 너무 늦게 도입된 보통 교육제도 그리고 수많은 섬으로 이루어진 지리적 특성으로 인한 상호간의 소통부재 등을 들 수 있다. 그러나 필리핀에서 스페인어가 사라진 결정적인 요인은 1898년 스페인-미국 전쟁에서 미국이 승리한 후 필리핀에서 추진한 미국화 정책이라고 말할 수 있다. 미국의 대대적인 영어교육으로 인해 스페인어는 그 사용이 급격히 감소하였고, 1987년 헌법에서는 공용어의 지위를 상실했다. 현재 필리핀에서 스페인어는 공적인 영역에서는 어떠한 기능도 하지 못하고, 대부분의 사람들에게는 일부 상류층에서 사용되는 과거 식민지 시대의 유산 정도로 간주되고 있다.

      • KCI등재

        한국어 화자의 스페인어 접어 대명사 습득

        양성혜(Yang, Sunghye) 한국외국어대학교 중남미연구소 2020 중남미연구 Vol.39 No.4

        스페인어 접어대명사는 한국어에 비해 통사적으로나 인지적으로 유표적인 문법 항목이다. 스페인어 접어 대명사 사용에 대한 한국어 화자의 중간언어를 연구하기 위해 한국어 화자의 스페인어 구두 발화에 대한 실험을 실시하였다. 실험집단은 국내 대학생 30명으로 구성했고, 비교집단은 원어민 2명과 한국어-스페인어 이중언어 사용자 4명으로 구성하였다. 실험집단을 구성하는 실험 참가자들의 스페인어 전반에 대한 능숙도를 알아보기 위해 약식 DELE 시험을 실시하였고, 본 실험에서는 <빨간모자 Caperucita Roja> 동화의 내용을 반영하는 연속된 11개의 이미지를 보여주고 스페인어로 이야기를 구술하게 하였다. 수집된 구두 발화 자료를 분석한 결과 다음과 같은 한국어 화자의 스페인어 중간언어의 특징을 추출할 수 있었다. 첫째, 한국인 스페인어 학습자들은 L2 스페인어 구두 발화에서 접어대명사를 거의 사용하지 않았다. 대격 접어보다 여격 접어 사용 빈도가 낮고 특히 비양도성 신체구문에서의 여격 사용은 전혀 이루어지지 않고 있었다. 하지만 접어대명사의 낮은 사용 빈도에도 불구하고 스페인어 능숙도가 높은 학습자들에게서 접어대명사 사용이 상대적으로 더 빈번히 관찰되었다. 둘째, 접어대명사 대신 가장 빈번하게 사용하는 공지시 표현은 인접한 문장에서 이미 언급한 명사나 고유명사를 그대로 반복하는 것이다. 이와 같은 지시표현은 원어민 화자들에게는 찾아 볼 수 없는 표현이었다. 셋째, 또 다른 오류 형태는 비율은 낮지만 대격접어 la와 여격 접어 le 대신 강세형 대명사를 써서 ‘(a) ella’로 표현한 경우로 한국어 화자의 특이한 중간언어 현상이라고 볼 수 있다. 넷째, 한국어 화자 스페인어 학습자들은 비양도성 신체구문을 표현하는데 있어 여격 접어를 사용한 외재적 소유구문을 쓰지 않고, 100% 소유자를 전치사 de와 연결하여 피소유체에 후치시키는 내재적 소유구문을 쓰고 있었다. 이와 같은 한국어 화자의 스페인어 접어대명사 사용에 나타나는 중간언어의 특징은 이들의 L1인 한국어의 공지시 표현 양상과 매우 깊은 관련이 있다고 보며, 이러한 학습자의 모국어에 기반한 인지구조가 L2 스페인어 습득에서 간섭으로 작용한다고 해석할 수 있다. Spanish clitic pronouns are marked grammatical items compared to Korean syntactically and cognitively. I conducted a study of Korean speakers Spanish L2 learners" oral productions on Spanish clitic pronouns to analyze their Spanish Interlanguage. A total of 30 subjects were recruited in a university setting for participation in the study and the control group was made of 2 Spanish native speakers and 4 bilingual speakers of Korean and Spanish. All the participants of the experiment were required to complete a revised DELE test, which could permit me to measure their general proficiency in Spanish, and to tell a story based on eleven sequential images of <Little Red Riding Hood>. Results of the analysis of their oral data revealed the following properties of Spanish Interlanguage of Korean speakers. First, Korean Spanish learners scarcely used clitic pronouns in their L2 Spanish oral productions. They seemed less successful with dative clitics than accusative ones. Particularly, they didn"t use any dative pronouns in inalienable possessive constructions. In spite of the low frequency of use of clitic pronouns, learners with higher proficiency of Spanish tended to use more clitic pronouns. Second, the most frequent coreferential expression that Korean Spanish learners used instead of clitics was repeating the same nominal phrase previously mentioned in a prior sentence. In contrast, Spanish native speakers didn"t show that performance. Third, another peculiar type of error of Korean speakers in Spanish Interlanguage was the use of stressed pronouns like "(a) ella" instead of clitics such as "la" and "le". Fourth, in terms of inalienable possessive constructions, Korean speakers Spanish L2 learners exclusively used internal inalienable possession constructions in which the possessor is expressed with the preposition "de" inside the NP of the possessed. These idiosyncratic properties of Spanish Interlanguage by Korean Speakers can be interpreted as a consequence provoked by the interference of their cognitive system structured along their L1 development in respect to coreference.

      • KCI등재

        히스패닉공동체: 스페인의 영원한 꿈 - 스페인 · 중남미 관계의 이상과 현실 -

        전홍조(Chun, Hong-jo) 한국외국어대학교 중남미연구소 2021 중남미연구 Vol.40 No.1

        본 연구는 19세기초 스페인의 중남미 식민지들의 독립 이후 스페인-중남미 관계의 흐름을 스페인의 시각에서 고찰하였다. 히스패닉공동체는 스페인이 과거 식민지들과 동일한 언어, 종교, 혈연을 바탕으로 구축하려는 국가공동체로서 19세기 이후 스페인의 대중남미 정책의 근간이었다. 본 연구에서는 스페인이 히스패닉공동체(이후 이베로 아메리카공동체) 구현을 위해 적용한 사상과 정책수단, 국내외 환경, 추진결과를 시대별로 분석, 평가하고, 향후 과제를 제시 하였다. 또한 스페인의 대중남미 역사적, 문화적 유대감과 인적 네트워크를 활용하여, 한국이 스페인을 통해 중남미와 협력을 강화하는 방안에 대해서도 다루었다. This study examines the history of relations between Spain and Latin America from the perspective of Spain after the independence of the Spanish colonies in Latin America in the early 19th century. The Hispanic Community is a community of nations that Spain has sought to build with its former colonies based on the same language, religion, and blood ties, and has been the pillar of Spain"s policy toward Latin America since the 19th century. This paper analyzes and evaluates the ideologies and policy tools which Spain applied to realize the Hispanic Community(later the Ibero-American Community), the domestic and foreign environments and its results by period, and also presents future tasks. In addition, it deals with how Korea could strengthen cooperation with Latin America through Spain by utilizing Spain’s historical and cultural ties and human networks with Latin American.

      • KCI등재

        안데스 스페인어의 생성 배경과 특징 연구

        김경래(Kim, Kyoung-lai) 한국외국어대학교 중남미연구소 2021 중남미연구 Vol.40 No.4

        본고에서는 오늘날 중남미 스페인어의 하위 범주를 형성하고 있는 안데스 스페인어 방언의 생성 배경과 언어적 특징에 관해 살펴본다. 안데스 지역에서는 잉카 정복 이후 스페인 사람들이 주로 안데스 산맥의 서쪽 해안 지역에 정착하였다. 따라서 리마를 중심으로 한 해안 지역은 이른 시기에 토착어가 사라지고 스페인어가 사용되기 시작한 반면 안데스 산간 지역에서는 토착어를 사용하는 원주민들이 대다수를 구성하고 있었고 식민화 사업으로 인해 점차 스페인 사람들이 출현하기 시작하면서 스페인어와 토착어들이 접촉하는 상황이 전개되었다. 하지만 식민지 시기에는 물론 안데스 지역 국가들의 독립 이후에도 원주민들에 대한 스페인어 교육은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았고 스페인어 대중화 운동이 활발해진 20세기 중반이 되어서야 안데스 스페인어가 지금의 안정적인 방언으로 자리 잡기 시작하였다. 안데스 스페인어 연구는 이 지역의 주요 토착어인 케추아어나 아이마라어가 스페인어와 접촉하면서 나타난 현상들에 주목하여 진행한 연구들이 주를 이룬다. 본고에서는 필자가 2014~2017년에 직접 쿠스코의 마라스구와 리마의 투페구에서 현지조사를 통해 입수한 자료를 제시하며 안데스 스페인어의 특징적인 언어적 현상들에 대해 살펴보았다. 이로써 두 지역의 이중 언어 화자들에게서도 기존에 보고된 안데스 스페인어의 특징적인 자질들이 매우 유사하게 나타나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The purpose of this article is to study the origin and some characteristics of Andean Spanish. In the Andean region, the Spaniards settled basically on the coast of the this region where the Castilianization was carried out very quickly while in the Andes there were lots of indigenous inhabitants, and with the arrival of the Spanish people the indigenous languages of this region began to coexist with the Spanish Language. However, the Hispanicization was very slow during the colonial period and it is suggested that the emergence of Andean Spanish is a phenomenon of the 20th century. To observe some distinctive features of Andean Spanish I presented the linguistic data that I obtained from field work carried out in 2014-2017 in Maras, Cuzco and in Tupe, Lima, through which it was possible to verify that some features of the Andean Spanish spoken in the two places correspond to the phenomena found in other places in the Andean region.

      • KCI등재

        스페인의 '외국어로서의 스페인어' 교육 정책

        송예림 서울대학교 국어교육연구소 2014 국어교육연구 Vol.34 No.-

        본 연구는 스페인의 '외국어로서의 스페인어' 교육 정책을 고찰하는 데 그 목표가 있다. 세계 21개국의 공식 언어이자 4억 명 이상이 모국어로 사용하는 스페인어의 국제적 영향이 확대되면서 스페인어에 대한 학습 수요도 크게 늘자 외국어로서의 스페인어 교육은 스페인 정부의 주요 정책 과제가 되었다. 우선 이러한 교육 정책이 본격적으로 시작된 1990년대 이후의 역사를 두 단계로 나눠 알아보았다. 첫 번째는 1988년 스페인어 공인 자격증인 DELE 시험제도의 창설과, 1991년 스페인어권 언어와 문화를 보급하기 위한 공공 기관인 인스띠뚜또 세르반테스를 설립하면서 성장의 기반을 다지게 되는 시기이다. 두 번째는 유럽 연합의 『언어 학습, 교육, 평가를 위한 유럽 공통 참조 기준』(2001)의 발간과 구체적인 스페인어 커리큘럼인 『인스띠뚜또 세르반테스의 커리큘럼 플랜』(2006)이 출판되며 본격적으로 성장해 나가는 시기이다. 외국어로서의 스페인어 교육을 위한 대표적인 정책은 첫째, 교수·학습을 활성화하는 원동력으로서의 DELE 자격증 제도, 둘째, 커리큘럼의 통일을 바탕으로 한 양질의 스페인어 강좌, 셋째, 체계화된 교사 교육, 넷째, 다양한 정보기술 프로그램의 활용, 다섯째, 학술 연구의 지원 및 스페인어 현황을 분석한 연감의 발간, 여섯째, 스페인 어문학 전문가 육성을 위한 장학금 지원으로 요약될 수 있다. 본 연구는 이러한 정책 연구를 통해 외국어로서의 스페인어 교육 정책의 현황과 과제를 알아보고, 한국어 교육에의 시사점도 제시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policy for the teaching of Spanish as a foreign language in Spain, a major policy task for the Spanish government. This study first reflects on the history of the policy making for Spanish education. The first phase focused on building a foundation for growth through the creation of the DELE in 1988 and the establishment of the Instituto Cervantes in 1991. The second phase focused on growing in earnest, with the introduction of Common European Framework of Reference for Languages by the Council of Europe in 2001 and the publication of Curricular Plan of the Instituto Cervantes in 2006. There are six representative policies: (1) the organization of the DELE, (2) the provision of Spanish courses, (3) the provision of training courses for Spanish teachers, (4) the introduction of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5) the support for research and publication of yearbooks, and (6) the provision of scholarships. Finally, this study also suggests implications for Korean language education.

      • KCI등재

        스페인어권 공통어 명칭 사용에 관한 고찰

        김우성(Kim, Uh-Sung) 한국외국어대학교 중남미연구소 2021 중남미연구 Vol.40 No.1

        현재 스페인과 중남미 국가들의 공통어를 나타내기 위해서 까스띠야어(castellano)와 스페인어(español)라는 두 가지 명칭이 사용된다. 그러나 현실적으로 스페인어권에서 각국의 공용어 내지는 공통어를 지칭할 때는 이 두 명칭 중의 하나를 선택해야 한다. 국제적인 관례와 언어의 통합적인 면을 고려하는 사람들은 스페인어라는 명칭을 선호하는 경향이 강하고, 언어와 무관하게 자신들이 속한 지역의 사회 · 정치적인 상황 혹은 전통적인 관습을 고려하는 사람들은 까스띠야어라는 명칭에 대한 선호가 강하다. 이러한 두 가지 명칭의 사용은 스페인어권 국가들의 헌법에도 반영되어 스페인 및 남미의 많은 국가에서는 헌법의 공용어 관련 조항에 까스띠야어라는 명칭이 사용되고, 중미와 카리브 국가 헌법에는 스페인어라는 명칭이 쓰인다. 그러나 일상 언어에서는 멕시코, 과테말라, 엘살바도르, 온두라스, 니카라과, 코스타리카, 파나마, 쿠바, 도미니카공화국, 푸에르토리코, 콜롬비아, 에콰도르, 우루과이에서 스페인어란 명칭의 사용이 우세하고, 페루, 볼리비아, 파라과이, 아르헨티나에서는 까스띠야어라는 명칭의 사용이 선호되며, 스페인, 베네수엘라, 칠레에서는 두 명칭에 대한 선호도가 비슷하다. 스페인에서 두 가지 명칭이 선택되는 맥락과 중남미에서의 맥락은 다르다. 스페인에서 어느 명칭을 사용하느냐는 자신의 정치적 신념과 상대방이 누구냐에 따라 달라진다. 그러나 중남미에서는 두 개의 명칭이 상대방의 정치적, 이념적 성향과 무관하게 동의어로 사용된다. 특히 까스띠야어라는 명칭이 사용되는 지역에서는 그렇다. 이 지역에서는 인터넷 사용의 증가, 미국 문화의 영향, 나이, 사회계층, 교육수준, 교육기관에서의 언어 관련 과목의 명칭이 이 두 가지 명칭 중 하나를 선택하는 데 중요한 요소로 작용한다. Currently, two names are used to denominate the common languages of Spain and Latin American countries: Spanish and Castilian. However, in reality, when referring to the official language of each country in the Spanish-speaking world, one of these two names should be chosen. Those who consider international customs and the integrative aspect of the language tend to prefer the term Spanish, and those who consider the social and political situation or traditional customs of their countries, regardless of the language, show strong preference for the term “Castilian”. The use of these two names is also reflected in the constitutions of Spanish-speaking countries, and in Spain and many countries in South America, the term “Castilian” is used in the provisions related to the official language of the constitution, and the term “Spanish” is used in the constitutions of the Central American and Caribbean countries. However, in everyday language, the use of the term “Spanish” predominates in Mexico, Guatemala, El Salvador, Honduras, Nicaragua, Costa Rica, Panama, Cuba, Dominican Republic, Puerto Rico, Colombia, Ecuador, and Uruguay, the term “Castilian”, is preferred in Peru, Bolivia, Paraguay, and Argentina, and The preference for the two names are similar in Spain, Venezuela and Chile. The context in which the two names are chosen in Spain and in Latin America are different. In Spain, which name you use depends on your political beliefs and who your interlocutor is. However, in Latin America, the two names are used synonymously regardless of the other"s political or ideological orientation. This is particularly the case in areas where the use of the term “Castilian” is predominant. In this region, the increasing use of the Internet, the influence of American culture, age, social class, educational level, and the name of official language-related subjects in educational institutions are important factors in choosing between these two names.

      • KCI등재

        스페인 주식시장과 한국 주식시장의 상호 미치는 영향에 관한 실증적 연구

        임병진 아시아.유럽미래학회 2023 유라시아연구 Vol.20 No.2

        본 연구에서는 2018년 1월 5일부터 2022년 11월 24일까지 스페인 주식시장과 한국 주식시장을 대표하여 나타내는 256개의 스페인 주가지수가 한국 주가지수 주간 시계열 자료를 사용하여 한국 주식시장과 스페인 주식시장에 상호 미치는 영향에 관한 실증적인 연구를 하였다. 문헌적인 연구방법으로 스페인과 한국의 주가지수에 관한 기존의 연구를 검토하였고. 실증적인 연구방법으로 연구에사용할 시계열의 안정성 여부의 판정을 위한 스페인 주가지수와 한국 주가지수의 단위근 검정, 한국과스페인 지수 간의 장기적이며 안정적인 관계 존재의 여부 판정을 위한 한국 주가지수와 스페인 주가지수의 공적분(cointegration)검정, 변수 간의 상호 영향력 분석을 위한 한국 주가지수와 스페인 주가지수의 VAR 모형을 이용한 예측오차의 분산분해기법과 한국 주가지수와 스페인 주가지수의 충격반응 분석 및 한국 주가지수와 스페인 주가지수의 Granger Causality 검정으로 실증분석을 하였다. 스페인 주식시장과 한국 주식시장의 주간 시계열 자료의 모든 분석은 Eviews version 7.0을 통해 수행하였다. 한국 주가지수와 스페인 주가지수에 관한 연구의 중요한 결과들을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스페인 주가지수와 한국 주가지수의 주간 자료 수준변수에 대한 안정성 검정 결과는 불안정적으로 나타났다. 둘째, 스페인 주가지수와 한국 주가지수의 주간 자료 차분변수 자료에 안정성 검정 결과는 모두 안정적임을 알 수 있었다. 셋째, 스페인 주가지수와 한국 주가지수의 주간 자료의 수준변수 간 공적분 관계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차분변수는 공적분 관계가 존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스페인 주가지수와 한국 주가지수 주간 시계열 자료 간의 상관관계는 0.086623으로 약한 양의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나 KOSPI와 IBEX는 서로 어느 정도 영향을 미칠 수는 있으나 상대적으로 약한 관계임을 시사하는 결과이다. 상관관계가 낮다고 하여 Granger(1969)의 그랜저 인과관계(Granger Causality)가 없는 것은 아니다. 다섯째, 한국 주가지수 분산분해에서 한국 주가지수의 변화는 한국 주가지수 자체의 내재적 변화가 95.23% 이상을 설명하고 있고, 스페인 주가지수의 설명력은 4.77% 미만을 설명하고 있다. 반면에 스페인 주가지수 분산분해에서 스페인 주가지수의 변화는 스페인 주가지수자체의 내재적 변화가 61.99%이상을 설명하고 한국 주가지수의 설명력은 38.44% 이상을 설명하고 있다. 여섯째, 스페인 주가지수 변화는 한국 주가지수 변화에 1% 유의수준에서 그레인저 인과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스페인 주가지수 변동이 한국 주가지수 변동에 인과적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의미한다. 스페인 주식시장과 한국 주식시장에 관한 연구의 한계점으로는 다양하고 충분한 데이터가 없다는 것이다. 스페인 주식시장과 한국 주식시장에 상호 미치는 영향을 세밀하게 분석하려면 주가지수 자료 외에 다양한 자료로 분석을 해야 만이 정확한 분석이 가능하다. 현재까지 스페인 주식시장과 한국 주식시장에 관한 주가지수 자료 외에 다양한 자료가 없어서 스페인 주가지수와 한국 주가지수 자료를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그러나 향후 스페인 주식시장과 한국 주식시장에 관한 다양한 자료가 제공된다면 다양한 자료를 이용하여 세밀한 스페인 주식시장과 한국 주식시장에 관한 연구가 계속되어야 할 것으로 판단 ...

      • KCI등재

        스페인 안달루시아에 이주한 북아프리카인 실태 연구 : 모로코인을 중심으로

        고용희 ( Yong Hee Ko ) 조선대학교 인문학연구소 2015 인문학연구 Vol.0 No.50

        스페인을 여행하다 보면 외국인 이민자들을 자주 볼 수 있는데 특히 북아프리카 모로코 출신의 이민자들이 눈에 많이 뜨인다. 스페인 사람들로부터 별로 좋은 인상을 받지 못하는 초라한 복장의 그들이 어떻게 스페인을 찾게 됐으며 또 스페인에서 어떤 생활을 하고 있는지 궁금했었다. 2007년 연구년으로 다시 스페인을 찾게 되자 그들과 자주 대화할 수 있었고 그들의 이야기를 부분적이나마 공유해야 되겠다는 의욕이 본 논문을 쓰게 된 동기이다. 본 논문은 먼저 스페인에 대한 간단한 소개를 시작해서 북아프리카, 특히 모로코 사람들이 많이 거주하고 있는 스페인 남쪽의 안달루시아와 스페인 이민사에 대한 설명이 그 뒤를 잇는다. 또한, 어쩔 수 없이 이방인에게 점점 더 까다로워지고 있는 스페인 이민법 일부를 간추려 보았으며 나아가서 스페인 이민 현황과 스페인정부의 불법체류 외국인 구제조치, 그리고 안달루시아에서 농업에 종사하면서 어렵게 살고 있는 모로코 사람들의 이민 생활을 구체적으로 예를 들어 가면서 살펴보았다. 마지막으로 스페인 사람들이 왜 외국인 이민자들을 점점 더 혐오하는가에 대해서 정리했다. 비록 시간·공간적인 한계로 인하여 모로코사람들의 스페인 생활 실태를 일부밖에 다루지 못했지만 본 논문이 앞으로 꿈을 갖고 한국을 찾는 외국인 이민자들을 바라보는 우리들의 시선이 좀 더 따뜻해지는데 기여할 수 있기를 기대해본다. The motivation to write this article has its roots in the observation that the Moroccans living in humble conditions in Spain are generally rejected by the Spanish people. I was interested to know the reason why they go to live in Spain and their living conditions. In 2007, during my sabbatical year, I decided to travel to Spain to talk and to know more about the Moroccan people living in Madrid, actually, not far from my house. This article begins with a brief introduction of the Spanish history and in particular, the history of Andalucia, where many Moroccans live, and the history of immigration. Secondly, I have reviewed the Spanish immigration laws, and how the Spanish government has dealt with illegal immigration and the present situation. On the next chapter, I have focused on the situation of the Moroccans who live from the agriculture and their living conditions. The last part of the article try to answer the question: Why there is an increasing hate to immigrants from Spanish society especially in the recent years? Although this article only deals with a part of life in Spain for the Moroccans, framed in terms of location and time, I hope that the immigrants entering to Korea are happy and fulfilling their dreams to improve their lives.

      • KCI등재

        스페인어 통일성과 다양성 논쟁에 관한 고찰

        김우성(Kim, Uh-Sung) 한국외국어대학교 중남미연구소 2020 중남미연구 Vol.39 No.1

        본고에서는 스페인어에 존재하는 통일성과 다양성에 대한 스페인어권 학자 및 지식인들의 담론에 나타난 다양한 견해를 기술하여 그 방향성을 살펴보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현재 스페인어는 중남미, 유럽 그리고 아프리카에 걸쳐 총 21개국에서 4억 5천만의 인구가 사용하는, 중국어에 이어 두 번째로 모어 화자 수가 많은 언어이다. 이렇듯 광활한 지역에서 사용되는 언어인 스페인어는 지역마다 서로 조금씩 다르게 나타난다. 오늘날 대부분의 스페인어 학자들은 스페인어에는 비록 다양한 지역적인 변이형이 존재함에도 불구하고 서로간의 소통을 가능하게 해주는 부인할 수 없는 통일성이 존재한다는 데 모두 동의한다. 다시 말하면 다양성 속의 통일성이 존재한다. 그러나 이러한 통일성 내에 존재하는 서로 간의 차이의 정도에 대해서는 의견이 일치되지 않는 것 또한 사실이다. 지금까지 표출된 스페인어의 통일성과 다양성에 대한 태도와 의견은 매우 다양하다. 스페인어가 다른 언어로 분화할 것이라는 두려움의 표출부터 중남미의 언어민족주의, 중남미 스페인어의 동질성에 대한 과장, 중남미의 언어순화주의 그리고 스페인의 언어가부장주의에 이르기까지 다양한 의견이 개진되었다.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describe various directions in the discourses of Spanish-speaking scholars and intellectuals on the unity and diversity of the Spanish language. Spanish is now the second most spoken language after Chinese, spoken by 450 million people in 21 countries across Latin America, Europe and Africa. Spanish, a language used in such a vast region, varies slightly from region to region. Most Spanish scholars today agree that there is an undeniable unity that allows Spanish-speaking people to communicate with each other, even though there are many local variations. In other words, there is unity in diversity. However, it is also true that there is disagreement about the degree of difference between each other within this unity. The attitudes and opinions on the unity and diversity of the Spanish language expressed so far vary widely, ranging from opinions of the fear of its fragmentation, Latin American linguistic nationalism, exaggeration of Latin American Spanish homogeneity, Latin American linguistic purism and linguistic patriarchism of Spai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