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한국어의 수량범주와 그 표현 양상

        채옥자 ( Cai Yuzi ) 국어학회 2013 국어학 Vol.68 No.-

        수량범주의 표현은 모든 언어에서 나타나는 보편적인 현상이나 그 구체적인 표현 단위나 형식에 있어서는 개별 언어의 특성에 따라 상이하게 실현된다. 한국어의 경우 수량범주의 표현은 형태소로부터 어휘, 구나 절에 이르기까지 다양한 단위로 나타나며 게다가 수량을 표현하는 어휘들은 통사적으로 매우 다양한 범주에 걸쳐 나타나고 있다. 이런 수량범주를 기존의 한국어문법 연구에서는 문법 내에서 수사, 분류사, 수량사, 양화사 등으로 한정시켜 주로 통사론적으로 다루어 왔었는데 본고에서는 시각을 달리하여 의미적 범주의 차원에서 한국어의 수량범주의 특성 및 체계를 파악하고 그 표현 양상을 검토함으로써 한국어에서 수량범주는 양태범주, 공간범주, 시간범주 등과 같은 의미문법연구의 일환으로 자리매김할 수 있음을 논의하였다. 우선, 수량의 개념을 비롯하여 수량범주의 개념을 정립하고 다음 수량범주의 특성을 밝히었으며 그다음 수량범주에 대하여, 3장에서 얻어진 특성을 바탕으로, 기본 분류를 비롯한 세부적인 분류를 시도하여 체계를 세웠다. 한편 이러한 체계가 문법연구에 있어서 가지는 의의를, 주로 한국어 분류사의 분류체계를 재조명해 보는 것을 통하여 논의하였다. 마지막으로 한국어의 수량범주의 표현 양상에 대해 문법적으로 살펴보았는데 이런 연구가 한국어의 의미문법연구의 빈 칸을 채우는 기초연구가 될 수 있기를 기대해본다. The quantity category is a general phenomenon in all languages, however, specific expressions can be very different along with a specific language. For example, in Korean, morpheme, words and even phrases are used to express the quantity category. And at the same time, the words may follows different categories to represent the quantity meaning. In the traditional grammar system, we have been doing research on morphosyntactic numeral, classifier and quantifier. With a different point of view, in this paper, the quantity category can be regarded as a stage of semantic grammar just like modality category, category of space and time through figuring out the characteristics, system and doing research on image expressions. Firstly, the conceptions of quantity and this category are founded. Then the characteristics has been explained. Last but not the least, based on the characteristics in 3 chapters, I tried to do some more detailed classification to set up a system. It makes great sense in grammar research with a new exploring in the categorization system of classifier of Korean. It will be very satisfactory if the research on expression aspects analyzed can play a role as the basic foundation of the grammar research of Korean.

      • KCI등재

        현대 중국어 수량N1+VP+수량N2 구문 연구 - 구문상속 개념을 통한 일반화 관계 포착

        남양우 한국외국어대학교 중국연구소 2019 中國硏究 Vol.80 No.-

        본고는 수량N1+VP+수량N2 형식이 구문문법에서의 구문(construction)이라고 가정하고, 다양한 유형의 수량N1+VP+수량N2 구문들 간에 존재하는 일반화를 포착하려 시도하였다. 기존연구와 다양한 예문들을 통해 수량N1+VP+수량N2 구문을 의미역에 따라 총 7가지로 분류하였다. 그리고 이 중에서 원형적 구문을 찾으려 시도하였고, 유형1과 유형4중 유형1이 원형적 구문임을 논증하였다. 이에 대해 총 4가지 논거를 제시하였다. 첫째, 전경-배경 역전 현상의 현저성에 있어 유형1이 더욱 컸다. 수량N1+VP+수량N2 구문은 문장성분들을 우리의 상식과 다르게 배열한다. 이러한 유표적 배열은 특정한 의도가 내포되어 있으며, 수량N1+VP+수량N2 구문에서는 그 의도를 ‘이용가능’이라고 볼 수 있다. 따라서 이와 관련된 전경-배경 역전 현상의 현저성은 중요한 위상을 가진다. 둘째, 구문의 논항수와 동사의 논항수의 일치도에서 유형1은 일치하는 데 반해, 유형4는 일치하지 않았다. 구문의 논항수와 원형적 구문의 동사 논항수는 일치해야 한다. 셋째, 다수의 유형들에서 <행위자 대상>을 필수 논항으로 가지는 동사가 많았다. 이것은 유형1이 원형적 구문이 되어 다른 구문으로 확장, 파생된 결과들로 볼 수 있다. 넷째, 유형4도 ‘사물+V+사람’ 어순이라는 점에서 유형1과 같다. 즉, 유형1을 주형으로 해서 유형4와 같은 용법이 생겼다고 볼 수 있다. 수량N1+VP+수량N2 구문의 구문 논항에 대해서 논의하였다. 이용물, 이용자 논항은 일반적 논항이 아니지만, 왜 이러한 논항의 설정이 필요하고 어떤 근거에서 이러한 논항을 설정할 수 있는지 논의하였다. 구문문법에서의 구문상속 개념을 통해, 7가지 유형의 수량N1+VP+수량N2 구문들 간에 존재하는 체계적 관계에 대해 논의하였다. 그 결과 수량N1+VP+수량N2 구문들은 다의성 연결을 통해 서로 유기적으로 관련을 맺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각각의 유형들은 원형적 수량N1+VP+수량N2 구문을 주형으로 하여 파생, 발전된 것으로 볼 수 있다. This paper assumes that the form of quantity N1+VP+quantity N2 is the construction of the construction grammar, and attempts to capture the generalization that exists between the different types of quantity N1+VP+quantity N2 construction. Based on existing studies and various examples, we classified quantity N1+VP+quantity N2 construction into seven categories according to their semantic roles. We tried to find out the prototype construction among these, and we argued that type 1 is the prototype construction. There are four grounds for an argument. First, Type 1 is the greatest in terms of the significance of the foreground-background reversal phenomenon. Quantity N1+VP+quantity N2 construction arranges participants differently from our common sense. This marked arrangement implies a specific intention, we can regard the intention as 'available'. Thus, the degree of foreground-background reversal phenomenon has an important status. Second, the type 1 matches the number of construction argument and the number of verb's argument, whereas type 4 does not. The the number of construction argument and the number of verb's argument must be matched. Third, there were many verbs that had <theme agent> as a mandatory argument in many types. This can be seen as the result that type 1 is a prototype construction and it has been extended to other constructions. Fourth, Type 4 is also the same as type 1 in that it is in the order of 'object +V+human'. In other words, type 4 was derived by type 1. We discussed the construction argument of the quantity N1+VP+quantity N2 construction. Although the use or user argument is not a general argument, it was discussed why setting up such argument is necessary and on what grounds it could be established. This paper also discussed the systematic relationship existing among the seven types of quantity N1+VP+quantity N2 construction based on the construction inheritance. As a result, we found out the quantity N1+VP+quantity N2 constructions are organically related to each other through polysemy link. The prototype quantity N1+VP+quantity N2 construction is their template, and they were derived and developed through this prototype construction.

      • KCI등재

        한국어 교육을 위한 수량사구 연구: -말뭉치 분석을 중심으로-

        윤희수 ( Yun Hui-su ),이선웅 ( Yi Seon-ung ) 한민족문화학회 2018 한민족문화연구 Vol.62 No.-

        한국어에서 수량사구는 수사, 단위명사, 수량화 대상 명사 등의 다양한 요소가 관여하여 여러 가지 형태로 형성된다. 동일한 의미의 수량 표현이 다양한 유형으로 실현되는 것은 각 유형의 기능과 그것이 사용되는 환경이 다르다는 것을 의미한다. 따라서 한국어 교수· 학습 상황에서 각각 유형과 그것을 사용할 수 있는 상황 및 변별된 의미를 함께 제시해야 한다. 선행 연구에서 분류된 수량사구 유형은 실제 사용하는 결합 가능한 모든 수량사구를 반영하기에는 부족하므로 새로운 수량사구 유형 분류를 제시하였다. 선행 연구의 유형 분류에 ‘묶음 수량사’라는 새로운 유형을 추가하여, 수량사구 유형을 모두 일곱 가지로 분류한 뒤, 이를 말뭉치 분석 기준으로 삼았다. 수량화 대상 명사가 수량사구 안에 실현되느냐에 따라 ‘단일 구성’과 ‘복합 구성’으로 나누었고, ‘복합 구성’은 다시 수량화 대상 명사의 성격과 위치에 따라 ‘묶음 수량사’, ‘후행 구성’, ‘선행 구성’으로 나누었다. 말뭉치 분석을 통해 쓰임이 제한적인 수량사구를 제외하고, 수량사구 유형을 총 6가지로 설정하였다. 실제 언어생활에서 나타난 수량 표현의 모습을 바탕으로 수량사구의 유형별 특징을 분석하고, 객관적인 수치와 함께 제시하였다. 이는 효율적인 수량사구 교수를 위한 교육 문법으로서 의의가 있다. In Korean, the numeral phrase consists of multiple elements such as number words, unit nouns, and quantification target nouns. Various numeral phrases differ in meaning, function, and environment in which they are used in the sentence. It is necessary to define the proper context for using the numeral phrases in Korean teaching and learning situations. Previous works did not reflect all the possible combinations for numeral phrases. In this work, we aim to rebuild the classification of the numeral phrases and describe the features and meanings for each category focusing on corpus analysis. we classified the numeral phrases in six classes and developed a new class based on bundled quantity; mainly we divided into two main categories that we named single and complex composition respectively. The previous categories composed the first level of hierarchical structure that evaluated if the numeral phrases include quantification target noun. We derived complex composition, into bundled quantity, pre-composition, and postcomposition categories by the nature and location of the quantification target nouns in the sentence. As a result of our study, the proposed classification expanded the study of numeral phrases by analyzing corpus data and emphasized its significance as a primary work for the pedagogical grammar for the numeral phrases.

      • KCI등재

        수량어 ‘만큼’ 구성의 의미 통사적 기능 연구

        신혜선 어문연구학회 2019 어문연구 Vol.101 No.-

        A Korean word, ‘mankum’ has functions and attributes of a bound noun and an auxiliary particle. This paper puts an in-depth study on ‘mankum’ as an auxiliary particle and as a dependent noun in comparison sentences. However, a study on ‘mankum’ as a quantifier which is supposed to be converted into a numeral noun has still something yet to learn. Therefore, this paper acknowledges the reality that the study of lexical quantifier which is used as a sole vocabulary in quantitative nouns, numerical adverbs or quantity adverbs was dominant in lexical numeral affixal quantifiers. Instead, this study puts a great significance on ‘mankum’ in terms of the attributes of an affix quantifier. A quantifier with attributes of an affix is used as a prefix in ‘holeomi’ and ‘gotseumul’ and as a suffix in ‘hanasik’ and ‘aideul’. It is also used as an auxiliary particle in ‘1kg namkum’ and ‘saram mada’. This paper focuses on the composition of ‘mankum’ as ​​an auxiliary particle and investigates the meaning of quantification word and its syntactic functions. Above all, this paper examines the meaning function of a quantifier ‘mankum’ and how significantly it plays different roles in different sentences. The lexical constitution of a quantifier ‘mankum’ is examined in two aspects with syntactic status along with syntactic combining forms and its constraints. Firstly, the constraints in an antecedent word which combines with ‘mankum’ and the constraints in lexical constitution of ‘mankum’ which combines with a quantifier ‘mankum’ according to particle. Lastly, this study explores constraints in the co-existence of a universal quantifiers and existential quantifiers which combines with ‘mankum’ as a particular quantifier. This paper suggests a motivation to investigate a quantifier with attributes of an affix which remains as an unexplored field in the study of Korean quantifiers and studies on the meaning and syntactical aspects of Korean quantifiers beyond the conventional notion which suggests quantifiers in Korean are not only placed in a grammatical category. 한국어에서 ‘만큼’은 보조사와 의존명사로서의 쓰임을 갖는다. 이러한 ‘만큼’에 대한 연구는 비교구문에 쓰이는 보조사로서의 ‘만큼’과 의존명사로서의 ‘만큼’ 구성에 집중되어 왔다. 그러나 보조사 ‘만큼’이 ‘만큼’ 구성을 형성하여 수량어로서의 지위를 가지고 쓰이는 경우에 대한 연구는 미미한 것이 현실이다. 그래서 본 논문에서는 수량 명사나 수 관형사 또는 수량 부사 등 문장에서 단독 어휘로 쓰이는 수량어에 대한 연구가 수량어 연구의 중심에 있었음을 인정하는 것에서 시작한다. 그 대신 본 연구는 보조사 ‘만큼’에 초점을 두고 수량어 ‘만큼’ 구성에 대한 연구를 시도했음에 의의를 둔다. 의존 형태소로 분류되는 수량어는 ‘홀어미’, ‘갓스물’에서처럼 접두사로 쓰이는 경우에서, 그리고 ‘하나씩’, ‘아이들’에서처럼 접미사로 쓰이는 경우, 그리고 ‘고기 1kg만큼’, ‘사람마다’나 ‘사과 한 개만’, ‘사과 한 개뿐’, ‘사과 한 개밖에‘에서처럼 보조사로 쓰이는 경우에서 볼 수 있다. 본 논문은 이 중 보조사 ’만큼‘에 주목하여 그것이 수량 보조사로 서 어떠한 의미 특징을 지니는지, 그리고 ’만큼‘에 선접하는 수량어와의 결합 양상은 어떠한지를 살펴보고, 그러한 ’만큼‘ 구성에 초점을 두고 그 의미 통사적 기능에 대하여 연구를 하였다. 본 논문은 다음과 같은 순서로 진행된다. 먼저, 수량 보조사 ‘만큼’ 구성의 의미기능을 살펴보고, 다음으로 수량어와 그에 덧붙은 수량 보조사 ‘만큼’을 「‘만큼’ 구성」으로 칭하였는데, 그 구성이 수량어로서 문장에서 어떠한 통사적 지위를 지니는지를 두 가지로 나누어 문장을 통해 검증해 보았다. 하나는 수량화되는 선행 명사와 같은 격을 취하며 선행 명사를 수량화하는 경우와 다른 하나는 부사어로 쓰여 서술어를 수식하며 선행 명사를 수량화하는 경우인데, 이 두 양 갈래의 기능을 대비하면서 그 통사적 지위를 살펴보았다. 이어서 본격적으로 문장에서 ‘만큼’ 구성이 어떠한 통사적 양상을 드러내는지를 세 가지로 나누어 살펴보았는데, 첫째, ‘만큼’과 직접 결합하는 수량어에 대한 제약을, 둘째, 수량어 ‘만큼’ 구성이 격조사를 취할 때 어떤 양상과 제약을 보여주는 지를 검토하였다. 이 과정에서 다른 수량 보조사 ‘만’, ‘뿐’, ‘밖에’와 비교함으로써 수량 보조사 ‘만큼’이 어떠한 독특한 특징을 지니는지도 또한 검토하였다. 마지막으로 특칭 수량어로 볼 수 있는 ‘만큼’ 구성과 그와 결합하는 전칭/특칭 수량어와의 공존 제약에 대해 연구해 보았다. ‘만큼’ 구성은 선행 명사를 수량화하면서 문장에서 특칭 수량어로서의 기능을 담당하게 된다. 이렇게 한 문장에서 특칭 수량어로서 기능을 담당하는 ’만큼‘ 구성과 여타의 다른 특칭이나 전칭 수량어와의 공존 제약을 검토한 결과는 ’만큼‘의 수량 보조사로서의 지위를 거듭 확인케 해 주었다.

      • KCI등재

        “정치적 성공, 지적 실패”: 수량사회학의 사회학

        이기홍(Lee, Ki Hong) 한국이론사회학회 2021 사회와 이론 Vol.40 No.-

        이 글은 한국사회학에서 수량사회학의 지배를 주류 미국사회학의 추세의 답습이라고 지적하고 미국사회학에서 수량적 연구 지배의 역사적 형성을 서술하는 것에서 출발한다. 그리고 수량적 연구가 왜 실증주의의 철학적 가정들과 결합했는가를 해명하고, 둘의 결합이 ‘성공적인 예측’을 사회학 연구의 실질적인 목표로 만들었고, 예측의 실용적 가치에 힘입어 수량사회학이 지배적 지위를 유지한다고 설명한다. 숫자와 수량화가 근대의 과학과 사회적 삶에서 필수적인 요소가 된 것은, 자연과학에서 그것의 눈부신 성공 때문이 아니라, 원격의 기술, 신뢰의 기술 그리고 통치의 기술로서 그것의 특성 때문이라고 논증한다. 숫자는 중립적이고 객관적인 소여가 아니라 합의와 측정에 의해 사회적으로 생산되는 기호이다. 그러므로 숫자 사용의 매력은 확실성과 객관성의 보증이라는 외양에 있는 것이 아니라 사회세계의 객체들을 단순화 균일화하여 재현함으로써 계산가능하고 통치가능한 것으로 만드는 데 있다. 수량사회학은 사회세계의 더 많은 영역들을 ‘과학적으로’ 수량화함으로써 계산가능한 것으로 만들고 그것에 의해 사회세계의 객체들을 길들이고 통제하려는 권력의 필요와 이익에 복무한다. 이 때문에 국가와 자본은 수량사회학을 지원하고 이것에 의해 수량사회학은 지배적 지위를 확보하며 정치적으로는 성공했다. 그러나 지적으로는, 특히 실증주의와의 결합에 의해, 사회현실에 대한 과학적 설명을 제공하는 것에 실패했다. This paper points out that the domination of quantitative sociology in Korean sociology is a follow-up to the trend of mainstream American sociology, and starts by describing the historical formation of the domination of quantitative research in American sociology. It explains why quantitative research was combined with the philosophical assumptions of positivism. It accounts that the combination of the two made ‘successful prediction’ as the practical goal of sociological research, and that quantitative sociology maintains a dominant position by virtue of the practical value of prediction. It argues that numbers and quantifications have become essential elements of modern science and social life, not because of their dazzling successes in the natural sciences, but because of their characteristics as the technology of distance, the technology of trust and the technology of governance. Numbers are not the neutral and objective givens, but signs socially produced by agreement and measurement. Therefore, the seductions of quantification lies not in the appearance of guaranteeing certainty and objectivity, but in making objects in social world calculable and manageable by simplifying and uniformizing them in numbers. Making more domains of the social world calculable by quantifying scientifically, quantitative sociology serves the needs and interests of the power to tame and control the objects of the social world. For this reason, the state and capital supported quantitative sociology. This made quantitative sociology politically successful to secure the dominant position in sociology. But intellectually, especially in conjunction with positivism, it failed to provide a scientific explanation of the social reality.

      • KCI등재

        별도로 대가를 지급하지 않고 연간 구매수량의 일정 비율만큼 추가 공급받은 물품에 관한 관세평가 문제 ―대법원 2022. 11. 17. 선고 2018두47714 판결을 중심으로―

        윤준석 한국세법학회 2023 조세법연구 Vol.29 No.3

        별도로 대가를 지급하지 않고 연간 구매수량의 일정 비율만큼 물품을 추가 공급받기로 특약하고, 그에 따라 추가 공급받은 물품을 무상 수입물품으로 보아 그 과세가격을관세법 제31조에 따라 동종․동질 물품의 거래가격으로 결정할지, 아니면 1년 단위로 연간 총 지급액과 총 구매수량이 확정되는 계약으로 보아 관세법 제30조에 따라 실제지급가격을 거래가격으로 결정할지 문제가 된다. 대법원 2022. 11. 17. 선고 2018두47714 판결(이하 ‘대상 판결’)은 위 쟁점에 관하여 최초로 판시한 판결이다. 먼저, 어느 범위에서 가격조정약관을 인정할지는 사안별로 따져봐야 하겠지만, 거래당사자들 사이에 거래가격을 산정하는 방법 또는 공식이 수입 이전에 구체적으로 확정되어 있고, 거래 당사자들이 통제할 수 없는 객관적으로 수량화할 수 있는 요소에 기초해서 가격이 산정되는 경우, 가격조정약관에 의해 조정된 금액을 거래가격으로 인정할수 있다. 그런데 연간 구매수량의 일정 비율만큼의 수량을 추가 공급하기로 하는 특약은가격조정약관으로 보기 어려울 것이다. 수입 이전에 이미 구매자가 판매자에게 지급해야 할 대금이 확정되었거나, 구매자의 통제 가능한 변수인 연간 구매수량에 기초해서 가격이 산정된다고 볼 수 있기 때문이다. 다음으로, 연간 구매수량의 일정 비율만큼 추가로 공급된 물품을 무상 수입물품으로볼 수 있을지는 계약 해석을 어떻게 할지의 문제이다. 계약의 체결 경위, 거래 관행, 계약의 목적, 계약 체결 이후의 사정 등을 종합해서 구매자가 수입할 당시에는 대가를 지급하지 않았지만, 전년도에 지급한 물품 대금에 그 대가가 포함된 것으로 보아, 전년도구매수량에 무료샘플수량을 합산해서 거래가격이 결정되는 거래로 보아야 하는 경우가있다. 대상 판결의 사례가 바로 그러한데, 문제된 거래의 실질은 구매수량이 많아짐에따라 단가가 내려가는 구조 또는 직접 가격할인을 받는 대신에 그 비율에 해당하는 물품을 공급받는 것, 즉 구매수량에 따른 가격할인이다. 끝으로, 수입 신고 당시를 기준으로 할인을 받을 수 있을지가 확정되어 있어야 하고, 그 할인과 관련된 내용을 확인할 수 있는 객관적인 자료가 존재해야 수량할인을 거래가격에 반영할 수 있다. 대상 판결 사안의 경우, 그 할인을 받을 수 있는 조건을 충족한다고 볼 수 있다. 전년도 구매수량이 확정됨에 따라 구매자가 판매자로부터 물품을 추가로받을 수 있는 조건이 충족되었고, 그 수량 역시 확정되었기 때문이다. 대상 판결은 연간 구매수량의 일정 비율만큼 추가로 공급받은 물품이 무상 수입물품이 아니라고 판시한 점에서 그 의의가 있다. 추가로 공급받은 제품에 대한 대가가 전년도에 지급한 물품 대금에 포함되었다고 보는 것이 거래의 실질에 부합한다는 것이다. This article reviews on the Supreme Court Decision(hereafter ‘the decision’) rendered on November 17, 2022. The basic issue of this case is how to consider the rebates or deferred quantity discounts subsequent to importation in determining the transaction value of imported merchandise. The decision is the first ruling on the above issue. First, a price, which is determined pursuant to a formula that is in existence prior to the importation of goods, represents transaction value. The formula must be based on the basis of some future event over which neither the seller nor the buyer has any control. In this case, the final sale prices depended on the factors within the control of the importer, i.e. importer’s ultimate sales of merchandise. So the alleged formula is not accepted as so-called price review clause or formula used in determining transaction value. The second issue is a matter of how to interpret the contract that provides a price adjustment or additional piece of goods. Considering transaction practices, purpose of the alleged contract, circumstances after the conclusion of the contract, the importer’s payment to the seller in the previous year included the additional piece of goods, and it should be viewed as a transaction in which the transaction price is determined by adding the free sample quantity to the previous year's purchase quantity, which means that the unit price goes down as the purchase quantity increases. Lastly, the discounted price represents the price actually paid or payable, when the parties agree to a volume discount prior to the importation of merchandise wherein the importer receives an additional piece of merchandise based on certain percentages of sales made in the previous year. In the case of the decision, the conditions to receive the annual rebates are met. As the purchase quantity of the previous year was confirmed, so the conditions for the importer to receive additional goods from the seller were met.

      • 소규모 농업용 저수지 유역단위 관개회귀수량 추정

        남원호 ( Won-ho Nam ),문영식 ( Young-sik Mun ),신용철 ( Yongchul Shin ),김종건 ( Jonggun Kim ),이광야 ( Kwang-ya Lee ),( Ha-young Kim ) 한국농공학회 2020 한국농공학회 학술대회초록집 Vol.2020 No.-

        수리시설물에서 공급되는 농업용수는 4월부터 10월 관개기에 집중적으로 공급되고 있지만, 전량 작물에 의해 소비되는 것이 아니며, 포장으로 공급되지 않고 용수로를 통해 배수되기도 한다. 포장으로 공급된 수량은 작물소비수량을 제외한 상당부분의 용수는 물꼬를 넘어 배수 되기도 하고, 일부는 침투되어 지하수를 통해 하천으로 회귀하게 된다. 이처럼 농업용수 공급량 중 소모되지 않고 하천으로 유입되어 재이용 가능성을 갖고 있는 수량을 관개회귀수량 (irrigation return flow)으로 정의하고 있다. 농업유역의 하천 유량을 구성하는 중요한 요소인 관개회귀수량을 조사하고 추정하는 것은 용수공급계획 수립 및 취수시설의 설계와 관개조직의 운영, 용수수급계획, 하천 건전화 방지, 환경용수 방류량의 결정 측면에서 중요한 가치가 있다. 수자원장기종합계획에서는 농업용수 공급량의 약 35 %가 하천으로 회귀되는 것으로 추정하고 있으며, 국내외에서 회귀수량 산정에 관한 연구가 다방면적으로 이루어지고 있으나 농업용수 회귀율은 지역별로 용수 공급 현황과 물관리 방식에 따라 약 32∼85 %의 범위로 다양하게 조사되고 있다. 이는 농업용수 회귀수량의 장기간 모니터링 자료를 수집하기 위해서는 상당한 비용과 인력을 필요로 하며, 개별 수리시설물 단위의 유역 및 수혜지역, 하천의 특성, 용수계통도, 용수공급계획이 다양하여 표준화된 정량화된 값을 추정하기 어렵기 때문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농업용수 회귀수량 및 회귀율 추정을 위한 모니터링 자료 및 모델링 등을 활용하여 표준화된 모형을 개발하고자 한다. 시범지역으로 강원도 원주시 흥업면에 위치한 흥업저수지로 선정하였으며, 공급량 산정을 위한 저수율 및 저수량은 한국농어촌공사 농촌용수종합정보시스템의 저수지 수위 모니터링 자료를 활용하였다. 시점부 수로부의 수위-유량 및 배수로 배수량, 무효방류량, 취입보 취수량, 외부 지류하천의 유입량 등을 모니터링 하고, 관개기 농업용수의 공급량과 배수량을 분석하여 신속회귀수량, 지연회귀수량을 추정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향후 통합물관리 측면에서 농업용수 이용 계획 수립을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가능하며, 하천의 환경생태유지의 필요유량을 확보하고 농업용수의 효율적인 사용에 활용될 수 있을것으로 판단된다.

      • KCI등재

        수량할인의 형태로 무상수입된 물품의 과세가격원칙에 관한 연구

        이정선,허은숙 한국무역보험학회 2023 무역금융보험연구 Vol.24 No.6

        본 논문은 연간 구매수량의 일정비율에 해당하는 물품을 무상으로 공급받은 물품이 관세법시행령 제17조의 무상수입물품에 해당되는지를 판단한 판례로, 무상공급된 물품이 수량할인에 해당된다는 수입자의 주장과 대가를 지급하지 않고 공급받은 무상수입물품에 해당된다는과세당국의 주장에 대한 법원의 판단을 검토하였다. 1심과 2심은 과세당국의 손을 들어주었으나, 대법원은 이 사건 계약이 연간 구매수량의 일정비율에 해당하는 물품의 추가 공급이 예정된 연간 구매계약으로, 잠정적인 기본가격을 설정하고 연간 구매수량에 따라 추가 공급수량이 확정되면 연간 총지급액과 연간 총구매수량에 따라1년 단위로 최종적인 거래가격이 결정되는 구조의 계약으로 무료샘플이 무상으로 수입되었다고 볼 수 없다고 판시했다. 이러한 대법원의 판결은 명목상 무상물품이라도 그 실질이 유상구매와 같다면 총금액을 총수량으로 안분한 단가가 적정한 과세가격이고, 무상물품의 과세가격 판단 시 해당 거래의 실질에 대한 정확한 판단이 필요함을 시사하고 있다. 그러나 거래의 실질에 근거한 수량할인 형태의 무상물품에 대한 과세가격 결정기준이 명확하지않은 상황으로, 거래가격에 따른 과세가격을 결정함에 있어 가격할인 또는 수량할인과 관련한구체적인 기준을 마련하는 것이 필요하다. 이를 위해 타 국가들의 수량할인과 관련된 사례에적용된 세부기준들을 검토하여 기준을 마련하는 것이 권고된다. 과세당국의 이러한 기준이 명확하게 제시될 때 기업 및 과세당국 간의 충돌로 인한 행정적 비용 낭비 및 관세포탈을 예방할수 있을 것이다 Purpose : This study introduces the U.S. standards applied in determining quantity discounts to ascertain whether imported goods free of charge, equivalent to a certain percentage of the annual purchase quantity, fall under free import goods as stipulated in Article 17 of the Enforcement Decree of the Customs Act. Then, we would like to analyze Korean precedent based on those standards. Research design, data, methodology : This study analyzes the precedents of the first, second, and third trials related to the imposition of taxes on goods supplied free of charge(Hanmi Pharmaceutical v. Seoul Regional Customs). Results : The Supreme Court's ruling that “free samples imported under a contract in which additional goods are supplied according to the annual purchase quantity cannot be considered to have been imported free of charge” requires an accurate judgment on the substance of the transaction. Conclusions : Customs authorities must establish specific standards related to price discounts or quantity discounts when determining the customs value based on the transaction price. For customs authorities, it is recommended to review the detailed standards applied in relation to quantity discounts in other countries. In addition, when these standards of customs authorities are clearly presented, it will be possible to prevent the waste of administrative costs caused by conflicts between companies and customs authorities and customs evasion.

      • KCI등재

        관수량 조절이 시설 토마토 과실의 당도와 수량에 미치는 영향

        강남준(Nam Jun Kang),조명환(Myeong Whan Cho),권준국(Joon Kook Kweon),이한철(Han Chul Rhee),최영하(Young Hah Choi) (사)한국생물환경조절학회 2006 생물환경조절학회지 Vol.15 No.4

        관수량 조절이 시설 토마토 과실의 당도 증진과 수량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한 결과, 관수량은 관행 관수 (-15㎪)에 비해 -20㎪, -30㎪ 및 -40㎪ 처리에서 각각 11%, 25% 및 41%가 절감되었다. 전반적으로 과실의 당도는 관수량을 줄임으로써 급격하게 증가한 반면 수량은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으며 화방 간에 뚜렷한 차이가 있었다. 관행 관수에 비해 관수량을 줄이면 1화방에서는 수량 감소 없이 당도가 증가하였지만, 2화방과 3화방에서는 당도 증가와 더불어 수량 감소가 심하였다. 과실의 당도는 화방에 따라 처리 간 차이가 있었지만, 평균 당도는 관행관수 처리에서는 5.4˚Brix인데 비해 -30㎪와 -40㎪ 처리에서는 각각 6.2˚Brix와 7.0˚Brix로 15%와 30% 증가하였다. 총수량은 관행 관수 대비 -30㎪과 -40㎪ 처리에서 각각 13.6%와 26.4% 감소하였지만, 과실크기를 기준으로 한 상품과는 -30㎪과 -40㎪ 처리에서 각각 27.8%와 25.9% 증가하였다. Effects of deficit irrigation by different soil moisture-based water potential on total soluble sol-ids and fruit yields in fresh tomato were investigated. Amount of irrigation was saved about 11%, 25% and 41% at -20 ㎪, -30 ㎪ and -40 ㎪ treatment compared to the -15 ㎪ treatment as a standard practice, respectively. Deficit irrigation with -30 ㎪ and -40 ㎪ treatment significantly increased total soluble sol-ids by 11% and 24% at first truss compared to the -15 ㎪ treatment, with no significant loss of yield, respectively. However, deficit irrigation with -30 ㎪ and -40 ㎪ treatment significantly increased total soluble solids at second and third truss, but resulted in substantial yield loss compared to the standard practice. Total fruit yields at -30 ㎪ and -40 ㎪ treatment was decreased by 16.5% and 25.1% compared to the -15 ㎪ treatment. However, marketable fruits based on fruit size (150-250g) was increased by 27.8% at -30 ㎪ treatment compared to the -15 ㎪ treatment.

      • 농업용수 회귀수량이 하천 수생태에 미치는 영향

        임은진 ( Eunjin Im ),김종건 ( Jonggun Kim ),신용철 ( Yongchul Shin ),남원호 ( Won Ho Nam ),임경재 ( Kyoung Jae Lim ),이광야 ( Kwangya Lee ) 한국농공학회 2020 한국농공학회 학술대회초록집 Vol.2020 No.-

        최근 우리나라에서 농업용수의 다원적 기능에 대한 공감대가 형성되고 작물생육에 필요한 관개용수로만 인식되던 농업용수의 개념이 농촌생활환경개선을 포함하는 다양한 지역용수로의 포괄적 개념으로 전환되고 있다. 농업용수는 식량생산 이외의 효용을 위한 다원적 기능을 가지며 농촌지역의 각종 생산활동과 생활조건의 유지개선을 위한 농업용수의 다원적 기능에 관한 관심이 증가하는 추세이다. 농업용수에서 발생하는 회귀수는 유역의 용수공급계획, 하천 유황의 예측, 관개용수 사용량 결정, 하천 건전화 방지, 수생생태계 보호 및 생물 다양성 확보 등 농업용수의 효율적 사용 및 환경생태유지를 위해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다. 농업용수 회귀수량은 농업용수 중 하천으로 회귀하는 수량을 의미한다. 본류의 생태 유량 확보에 농업용수 회귀 수량이 기여하고 있으며 본류 하천의 환경 보전 기능을 하고 있다. 또한, 수생태계 보호 및 생물 다양성 확보 등 환경 생태 유지에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다. 하지만 농업용수 회귀수량이 하천 수생태에 미치는 영향 분석 연구는 미흡한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의 목적은 대사 저수지 유역을 대상으로 농업용수 회귀 수량이 하류 하천 수생태에 미치는 영향을 정량적으로 평가하고자 한다. 본 연구에서는 회귀 수량은 관개용수량, 배수량, 침투량, 담수심 등 물수지 항목을 논물수지 모형에 적용하여 산정하였으며, 하류 하천의 생태유량 산정을 위해 대사저수지 하류에 위치한 생물측정망 자료를 통해 대표 어종을 선정하였다. PHABSIM 모형을 이용해 모의 대상지역 특성 자료 및 인근 소하천 생물측정망 자료를 바탕으로 HSI 기반 대표 어종 서식처 환경에서 최적 생태유량을 산정하였다. 이를 통해 추정된 농업용수 회귀 수량에 따른 필요 유량이 어류 서식환경에 미치는 영향을 평가하였다. 본 연구 결과 대사저수지 하류 하천에서 농업용수 회귀수량이 차지하고 있는 기여도 큰 것으로 분석되었으며, 최적 생태유량과 비교한 결과 농업용수 회귀수량이 수생태(어류)에 미치는 영향이 큰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농업용수 회귀수량은 하류 하천의 하천유지수량뿐만 아니라 하천 환경생태유지에도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