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스마트폰의 소비가치와 소비만족도에 관한 연구

        한성희 ( Sung Hee Han ) 한국소비자학회 2011 소비자학연구 Vol.22 No.3

        본 연구는 20~40대 남녀소비자를 대상으로 스마트폰의 소비행태 및 소비가치와 소비만족도를 분석하였다. 스마트폰의 소비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 사회인구학적 요인, 스마트폰 소비행태, 소비가치 등을 선정하여 집단별 차이를 검증하고 관련요인들의 상대적 영향력을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분석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스마트폰 구매결정시 구매정보원으로 가장 많이 사용하는 것은 인터넷이었으며 매장판매원과 신문기사 및 잡지에 대한 이용률을 현저히 낮게 나타났다. 스마트폰의 이용장소는 50%이상이 교통수단 및 길거리였으며 스마트폰 이용기능은 정보검색과 오락기능에 대한 것이 높게 나타났다. 스마트폰 월평균 이용금액은 71,500원이었다. 둘째, 스마트폰 소비가치는 요인분석을 통해 2개의 요인(쾌락적 가치, 차별화·상징가치)이 추출되었다. 스마트폰의 사용가치는 사회인구학적 요인과 스마트폰 소비행태에 따라 집단별 차이를 보였다. 차별화·상징가치는 40대, 기혼자, 전문직인 경우 높게 나타났고 쾌락적 가치는 기혼자인 경우와 스마트폰의 이용기능이 의사소통에 해당하는 경우 높게 나타났다. 셋째, 스마트폰 구매결정시 가장 중요하게 고려하는 사항은 사후관리(AS), 제품, 기능의 순으로 나타났다. 중요도는 사회인구학적 요인에 따라 집단별 차이를 보였다. 사후관리에 대한 중요도는 여성소비자의 경우, 기능의 중요도는 대학생/대학원생인 경우 높게 나타났다. 넷째, 스마트폰의 소비만족도는 중요도의 가중치를 이용하여 산출하였다. 스마트폰의 디자인과 기능에 대한 만족도가 높았고 가격과 사후관리에 대한 만족도는 낮게 나타났다. 이는 스마트폰 구매결정시 나타난 중요도에 대한 결과와 상반된 결과로 중요도에 따라 소비만족도가 상이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 스마트폰의 소비만족도에 가장 큰 영향력을 갖는 요인은 스마트폰의 쾌락적 소비가치였으며 스마트폰의 이용기간과 가격, 기능의 중요도 또한 통계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미쳤다. 이로써, 스마트폰의 소비행태 및 소비가치, 중요도가 사회인구학적 요인에 따라 차이가 있음이 입증되었으며 스마트폰의 소비가치, 소비행태, 그리고 중요도가 스마트폰의 소비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결정적인 요인임을 밝혔다. 향후 스마트폰에 대한 소비자 특성별 요구도를 세분화하여 소비자 니즈를 충족시킬 수 있는 정보를 생성하고 전달할 수 있는 채널을 확보할 수 있는 연구가 진행되어야 할 것이다. This study analyses the usage pattern and the consumption satisfaction and usage value of the smart phone users of the age of 20~40s. The socio-demographic factor, the usage pattern and the usage value of smart phone were selected as the elements affecting consumer satisfaction factors on smart phones. The difference between groups and its relative influences were analyzed with those elements.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internet was the most favorite information source of purchasing of smart phones, and the information usage from the sales clerks and the articles on magazine or newspapers were ranked low. The information from the internet is filled with diverse information from commercial usage such as PR or advertising to comments from smart phone users. Thus, it is necessary to investigate the internet sites that consumers use and to analyze the specific contents of the information. Compared to receiving detailed information from other sources, consumers relatively rely lower on the information given from sales clerks. It means consumers need to receive useful product information and not just information that has commercial related intentions from product sellers. An in-depth analysis of the product information given to consumers before purchasing smart phones could contribute to consumers being more effectively informed and receiving detailed product information they wish to learn more about from different information sources. The 50% or more of smart phone users used their phones in the transportation or along/on the streets. The surfing web-site or searching information and entertainments were measured as the main functions of the smart phone usage. Consumers who use smart phones on average of two hours or less per day is the highest ranked which is about 36%. And also, consumers who use smart phones three hours or more show to be about 17%. A monthly average of the phone charge was 71,500. Second, A factor analysis results of smart phone usage extracted two factors of the enjoyment value and differentiate/symbolic value. The usage value of the smart phone showed difference between groups according to socio-demographic factors and usage patterns. The differentiate/ symbolic value was measured high with the 40s, the married and the professional practices. The enjoyment value was high with the married and the smart phone usage case of communication. Considering the short time of release for smart phones and the 93% of smart phone users within one year, the different consumer values with owning a smart phone such as a differentiate/symbolic value to an enjoyment value or another value needed to be examined. According to the usage period of smart phones, the consumption values and evaluation that may change over time is recognized by consumers. In other words, consumers who have a differentiate/symbolic value are more likely to recognize the enjoyment value while they use their smart phone and as they increase their usage period over time. Conversely, consumers who recognized the enjoyment value by using various smart phone applications may change to the differential value over increasing usage periods. Because the usage of smart phones and functions from applications changes their daily life, it comes to be unconsciously a part of their life. Third, the most important details when purchasing of smart phones were found to be A/S (After service), the products and the function. The importance was varied with groups. The women users ranked high with the A/S and the university/graduate students recognized high with the functions. A/S service (After Service being warranties or product replacement provided to consumers) is the most important purchasing factor for consumers when making a decision to buy a smart phone. It means that consumers know the poor A/S service as a risk factor which can reduce the benefits and satisfaction of using a smart phone. Consumer`s dissatisfaction comes from the psychological or economical inconvenience of the current inadequate A/S service. Therefore, it would be necessary to develop a more efficient A/S service and should notify consumers where they can receive this in the future. Forth, when consumption satisfaction analyses of smart phones were done with weight factor of the importance, the design and the function were highly satisfied, and the satisfaction of the price and the A/S were low. There were two contrasting views between the results of purchasing decision and the results of the consumer satisfaction of smart phones. This showed the consumption satisfaction would vary with the importance. The most important influential factor on the consumer satisfaction was enjoyment value, and the usage time, price and functional importance were significantly influenced on the satisfaction. Thus, it is verified that there are differences in usage patterns, values, and importance depending on socio-demographic factors. And also, these three decisive factors impact consumer satisfaction regarding smart phones.

      • KCI등재

        수입자동차 시장에서 소비자의 양면성이 소비가치와 제품 평가에 미치는 영향

        류정혜,김선중,간형식 한국상품학회 2017 商品學硏究 Vol.35 No.6

        This study is about the effect of mediating consumption value and product attributes on the evaluation, which is recognized by imported automobile consumers. The two types of consumers are divided into perceived functional value and recognized emotional value category. We also provide suggestions by identifying differences between two-sided consumers and one consumer (non-contradictions) in a path that contributes to a two-sided measurement study and product attributes affect product evaluation. Empirical results of this study indicate that functional and functional aspects have a positive impact on functional consumers. The theoretical implication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we divide consumer groups into consumption values and classify commerce consumers as well. Previous research has focused on focusing on the emotions and attitudes of both consumers by determining their ambivalence by grouping them through consumption value or by marketing mixed factors. However, this study classified them into functional, emotional, and contradictory groups, . Second, previous studies attempted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 between product attributes, consumption values or product attributes, purchase valuations, and consumption val- ues and purchase valuations, but this study has implications for product attributes, consumption values and purchasing valuations. In terms of studying the importance of In connection with the practical implications of this study, it can contribute to planning alternatives for future related projects. Consumers of imported cars are more accurately based on their findings. By reviewing the relationship between product attributes, consumer value, and product appraisal, you can identify market trends based on the ambivalence of imported car consumers, helping to create more practical and specific marketing strategies. 소비자의 지적 능력이 성숙해지고, 요구가 세분화되고, 다양한 유형의 소비자가 등장하며 소비자의 주관적 소비가치는 더욱 중요해졌다. 선행 연구에서는 소비가치를 다차원적 구성 개념으로 간주하여 소비행태에서 느끼는 감정을 반영하는 데 초점이 맞추어져 소비가치를 상대적 선호경험으로만 규명하였다. 본 연구는 소비자가 추구하는 소비가치에 따라 제품 속성이 제품 평가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았다. 최근 디젤과 소형 차량 시장으로 확대되고 있는 수입 자동차 시장에서 양면적 소비가치를 추구하는 소비자들의 현재 소비행태를 살펴보았다. 양면적 소비자는 기능적 가치와 감정적 가치를 양방향으로 지각한다는 선행연구를 바탕으로 지각된 소비가치가 제품 속성이 평가에 미치는 영향에 대하여 지각된 기능적 가치와 지각된 감정적 가치로 구분하여 분석하여 양면적 소비자를 심층적으로 연구하였다. 이와 함께 양면적 소비자가 두 개의 소비가치를 추구함으로써 제품 속성이 제품 평가에 미치는 영향에 대하여 단면적 소비자인 기능적, 감정적 소비자와의 차이를 구분하여 보았다.

      • KCI등재

        소비자가 지각한 복합쇼핑몰의 가치가 삶의 행복에 미치는 영향

        이성호,정환,정연승 한국유통학회 2022 流通硏究 Vol.27 No.3

        Due to the recent development of distribution and logistics-related technologies, the shopping environment and consumption patterns are changing, and at the same time, offline retail stores are experiencing unprecedented environmental difficulties due to the unexpected global pandemic of COVID-19. In addition, in order to protect and strengthen the competitiveness of conventional small business retailers, the last government was trying to expand regulations on business hours and compulsory closure of complex shopping malls following the regulation of large discount stores. However, despite these consumption trends and changes in the environment, research has been mainly limited to marts, department stores, or the retail industry in general, and studies on psychological and behavioral factors from the consumer side of complex shopping malls are insignificant. Accordingly, in this study, as part of the research on the revitalization of complex shopping malls and consumer aspect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the value that complex shopping malls provide to consumers. Specifically, we empirically analyzed what the value provided by the complex shopping mall is, how the perceived value of such a complex shopping mall affects consumer happiness using the complex shopping mall, and how consumer happiness ultimately affects their happiness in life. For empirical analysis, survey data were collected from 1,000 consumers who had experience using the complex shopping mall, and the structural causal relationship between perceived value → consumption happiness → life happiness was analyzed and verified by a structural equation model. As a result of the analysis, it was found that except for the social value of the complex shopping mall, the emotional value and the experiential value had a positive effect on the consumption happiness felt while using the complex shopping mall. Among them, emotional value had a relatively greater effect on consumption happiness than experiential value. However, through further analysis, it was found that social values had a direct effect on the happiness of consumers’ lives. In addition, it was found that consumption happiness felt while using the complex shopping mall ultimately had a positive effect on the overall happiness of consumers’ lives. Taken together, this study will help establish revitalization measures for companies that operate complex shopping malls and the value to be provided to consumers. At the same time, empirical results are being presented to local governments that want to attract complex shopping malls to gauge what value they bring to local residents. 최근 유통․물류 관련 기술발달로 인하여 쇼핑환경과 소비성향이 변화하고 있으며, 동시에 예상하지 못했던 COVID-19라는 전 세계적 팬데믹 현상으로 인해 오프라인 소매점들은 유례없는 어려움을 겪고 있다. 또한 지난 정부는 소규모 재래상점들을 보호하고 그들의 경쟁력을 강화하기 위하여 대형마트에 이어 복합쇼핑몰의 영업시간 및 의무휴업일까지도 규제를 확대하려 하였다. 그러나 이러한 소비 트렌드와 환경의 변화에도 불구하고 주로 마트나 백화점 또는 소매업 전반에 대한 연구로 한정되었으며, 복합쇼핑몰에 대한 소비자 측면에서의 심리 및 행동요인에 대한 연구는 미미한 실정이다. 이에 따라 본 연구에서는 복합쇼핑몰의 활성화와 소비자 측면 연구의 일환으로, 복합쇼핑몰이 소비자에게 제공하는 가치는 무엇인지 확인하고자 하였다. 구체적으로, 복합쇼핑몰이 제공하는 가치가 무엇이며, 이러한 복합쇼핑몰의 지각된 가치가 복합쇼핑몰을 이용하는 소비자들의 소비행복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고, 소비행복이 궁극적으로 소비자들의 삶의 행복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를 실증 분석하였다. 실증분석을 위해 복합쇼핑몰 이용경험이 있는 소비자 1,000명을 대상으로 설문 데이터를 수집하였으며, 복합쇼핑몰의 지각된 가치 → 소비행복 →삶의 행복에 대한 구조적 인과관계를 구조방정식모형으로 분석․검증하였다. 분석 결과, 복합쇼핑몰의 사회적 가치를 제외하고, 정서적 가치와 경험적 가치는 복합쇼핑몰을 이용하면서 느끼는 소비행복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 중 정서적 가치가 경험적 가치에 비해 소비행복에 상대적으로 더 큰 영향을 미치고 있었다. 하지만 추가분석을 통해 사회적 가치는 소비자의 삶에 대한 행복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복합쇼핑몰을 이용하면서 느낀 소비행복은 궁극적으로 소비자들의 삶의 전반적인 행복감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들을 종합해볼 때, 본 연구는 복합쇼핑몰을 운영하는 기업들에게 활성화 방안과 소비자에게 제공해야 하는 가치를 정립하는 데 시사점을 제공할 것이다.

      • KCI등재

        소비가치와 기업의 공유가치창출활동이 구매의도에 미치는 영향 - 아웃도어 브랜드 중심으로-

        이길구,이선규 중소기업융합학회 2019 융합정보논문지 Vol.9 No.1

        본 연구는 아웃도어 브랜드 소비자의 소비가치와 기업의 공유가치창출활동이 소비자의 구매의도에 미치는 영향을 실증적으로 분석하였다. 소비자의 구매의도에 미치는 영향요인으로 소비가치의 하위변수는 기능적 가치, 상황적 가치, 감정적 가치로 설정하였고, 기업의 공유가치창출활동의 하위 변수는 경제적 가치, 관계적 가치, 사회적 가치로 설정하였다. 분석결과, 소비가치의 기능적 가치, 상황적 가치, 감정적 가치는 구매의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분석되었고, 기업의 공유가치창출활동의 경제적 가치, 사회적 가치, 관계적 가치도 모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분석결과에 따라 아웃도어 브랜드 소비자의 소비가치와 기업의 공유가치창출활동은 모두 구매의도에 긍정적인 요인으로 작용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이러한 결과는 아웃도어 브랜드 산업에서 소비자의 소비가치나 기업의 공유가치창출활동은 이미 소비자의 구매의도에 충분히 반영되었다고 추론할 수 있었다. This study empirically analyzed the effect of outdoor brand consumer 's consumption value and company' s creating shared values activity on consumers' purchase intention. The sub-variables of consumption value were set as functional value, conditional value, and emotional value as factors affecting consumers' purchase intention. The sub-variables of company' s creating shared values activities were set as economic value, relational value, social value . As a result of analysis, functional value, conditional value, and emotional value of consumption value were found to have a positive effect on purchase intention, and economic value, social value, and relational value of company' s creating shared values were all positively influenced Respectively. According to the results of the analysis, it is found that both consumption value of outdoor brand consumers and company' s creating shared values activities are positive factors for purchase intention. This result can be deduced that consumers 'consumption value and company' s creating shared values activities in outdoor brand industry are already reflected in consumers' purchase intention.

      • KCI등재

        소비자의 사회심리특성이 구매 후 감정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손준상 한국경영컨설팅학회 2020 경영컨설팅연구 Vol.20 No.4

        In this study, the impact of consumer social psychological characteristics on post-purchase emotion was analyzed. Consumption values and self concepts were used as social psychological characteristics, which were closely related to consumer purchasing behavior. In this study, utilitarian consumption value and hedonistic consumption value were used separately as sub-values of consumption value, and personality self and social self were used separately as sub-concepts of self concept. For the establishment of hypotheses, prior studies on consumption values and self-concepts were reviewed. For hypothesis testing, a survey was conducted focusing on university students in the Seoul metropolitan area, and factor analyses and regression analyses were conducted using the SPSS 26 statistical package. The AMOS 25 package was used in the confirmative factor analysis. The analyses show that the utilitarian consumption value did not have a significant impact on impulse purchase, but the hedonic consumption value had a significant impact on impulse purchase. And while the personality self concept did not have a significant impact on impulse purchase, the social self concept showed a significant impact on impulse purchase. The hypothesis test results on the effect of consumption value on post-purchase emotion showed that utilitarian consumption value does not affect negative post-purchase emotion, but hedonistic consumption value has a significant effect on negative post-purchase emotion. Even in self-concepts, personality self concept did not affect negative post-purchase emotion, but social self concept had a significant effect on negative post-purchase emotion. 본 연구에서는 소비자의 사회심리특성이 구매 후 감정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사회심리특성으로는 소비자의 구매행동과 밀접한 관련이 있는 소비가치와 자아개념을 사용하였다. 본 연구에서 소비가치는 실용적 소비가치와 쾌락적 소비가치로 구분하여 사용하였고, 자아개념은 성격적 자아와 사회적 자아로 구분하여 사용하였다. 가설의 설정을 위해서는 사회심리특성인 소비가치와 자아개념에 관한 선행연구들을 검토하였다. 가설검증을 위해서는 수도권의 대학생을 중심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으며, SPSS26통계패키지를 이용하여 요인분석과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확인적 요인분석에서는 AMOS25패키지를 사용하였다. 분석결과를 보면 실용적 소비가치는 충동구매에 유의적 영향을 미치지 못하였으나, 쾌락적 소비가치는 충동구매에 유의적 영향을 미쳤다. 그리고 성격적 자아는 충동구매에 유의적 영향을 미치지 못하였으나 사회적 자아는 충동구매에 유의적 영향을 미친 것으로 나타났다. 소비가치가 구매 후 감정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가설검증 결과에서, 실용적 소비가치는 구매 후 부정적 감정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쾌락적 소비가치는 구매 후 부정적 감정에 유의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자아개념에서도 성격적 자아는 구매 후 부정적 감정에 영향을 미치지 못하였으나 사회적 자아는 구매 후 부정적 감정에 유의적 영향을 미쳤다.

      • KCI등재

        현대 소비자의 소비가치는 소비상황에 따라 다르게 작용하는가? - 여대생 소비자의 소비지향성과 소비목적에 따른 4가지 소비상황을 중심으로 -

        장은지 ( Jang Eun Ji ),김기옥 ( Kim Kee-ok ) 한국소비자학회 2018 소비자학연구 Vol.29 No.1

        본 연구는 현대 소비자가 추구하는 소비가치가 다양한 소비상황에서 다르게 나타나는지 살펴보고자 하였다. 본 연구의 목적은 지금까지 소비자학에서 소비가치를 다룰 때 간과한 소비상황을 고려함으로써 소비가치에 대한 이해의 폭을 넓히고자 한다. 본 연구에서는 소비상황을 소비지향성(타인지향, 자기지향)과 소비목적(실용목적, 쾌락목적)의 두 가지 측면에서 2x2, 즉 4가지 소비상황(타인지향-실용목적, 타인지향-쾌락목적, 자기지향-실용목적, 자기지향-쾌락목적)에서 소비가치를 탐구하였다, 국내 4년제 여자 대학생 319명을 대상으로 온라인 설문조사를 실시하였고, 자료의 분석은 SPSS 22.0을 이용하여 기술통계 분석, 탐색적 요인분석, 내적일관성 분석, 대응표본 t검정, 반복측정 분산분석(repeated ANOVA),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연구결과 첫째, 각 소비상황에 해당하는 제품으로 실제 어떤 제품을 구매했는지 알아본 결과, 타인지향-실용목적에서 스마트폰을, 자기지향-실용목적에서 노트북을, 타인지향-쾌락목적과 자기지향-쾌락목적에서 색조화장품을 가장 많이 응답하였다. 의류(코트)는 타인지향과 자기지향의 복합적 소비지향성이 나타났고, 핸드백은 실용과 쾌락의 복합적 소비목적으로 구매하는 경향을 보였다. 반면 인형은 자기지향-쾌락목적에서만 두드러지게 응답되었다. 둘째, 다양한 소비상황에서 추구하는 소비가치가 구체적으로 어떠한지 살펴본 결과, 자기지향-실용목적 상황을 제외한 모든 소비상황에서 여대생들이 가장 많이 추구하는 소비가치는 감정적 가치로 나타났다. 한편 자기지향-실용목적에서는 기능적 가치가 가장 높게, 사회적 가치가 현저히 낮게 나타났다. 셋째, 소비지향성과 소비목적에 따라 소비가치의 차이를 분석한 결과, 타인지향 상황일 때 사회적 가치, 진귀적 가치, 상황적 가치를, 자기지향 상황일 때 기능적 가치와 감정적 가치를 더 많이 추구하는 것으로 나타났고, 실용목적 상황에서는 기능적 가치를, 쾌락목적 상황에서는 사회적 가치, 감정적 가치, 진귀적 가치를 더 추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소비지향성과 소비목적의 4가지 소비상황에 따라 소비가치의 차이가 있는지 알아본 결과, 기능적 가치와 감정적 가치는 자기지향 상황에서 전자는 실용 후자는 쾌락목적 상황에서, 사회적 가치와 상황적 가치는 실용이든 쾌락이든 타인지향 상황에서, 진귀적 가치는 자기지향이든 타인지향이든 쾌락목적 상황에서 더 많이 추구한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다섯째, 응답자의 사회·인구학적 특성에 따라 4가지 소비상황에서 추구하는 소비가치가 차이가 있는지 살펴본 결과, 연령, 주거지(서울겅기 대 비서울경기), 아르바이트, 전공(인문사회 대 자연과학), 주관적 사회계층, 월평균소비지출액에 따라 부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본 연구를 통해 조사대상자인 여대생 소비자가 추구하는 소비가치는 소비지향성과 소비목적에 따라 다르게 나타나 각 소비상황별로 추구하는 소비가치가 다르다는 것이 확인되었다. 이는 소비가치를 다룰 때, 소비상황 요인에 대한 이해가 선행되어야 함을 시사한다. 또한 소비상황에 따른 소비가치에서 가장 두드러진 결과는 개인의 주관적 만족을 우선시한다는 것이다. 결과적으로 현대 소비자는 어느 소비상황에서나 주관적 가치를 반영하고 자신의 만족을 충분히 충족시켜줄 수 있는 선택 대안을 구매한다는 것을 시사한다. 보다 합리적인 소비생활을 영위하기 위하여 무엇보다도 소비자 스스로 자신이 추구하는 가치에 대한 정확한 이해와 가치 확립이 요구된다. This study examines change in consumption values by different consumption situations. Consumption situations are classified with two dimensions, one with consumption orientation either others-oriented or self-oriented, and the other with consumption purpose either utilitarian or hedonic. Consumption situations are divided into four with the two dimensions: others- oriented utilitarian purpose, others-oriented hedonic purpose, self-oriented utilitarian purpose, and self-oriented hedonic purpose. Three hundred nineteen college women in Seoul were participated in the questionnaire survey and fifteen replies were deleted. Date for this study was consisted with 304 replies. The results summarized as follows: First, college women replied the most frequently purchased item in others-oriented utilitarian purpose situation as smart-phones, in self-oriented utilitarian purpose situation as notebooks and in the rest situations as cosmetics. Clothes are the most frequently replied items in either others-oriented or self-oriented situations. Dolls are highly replied in self-oriented hedonic purpose situation. Second, college women pursued highly ‘emotional value’ in all consumption situations except self-oriented utilitarian situation, while ‘functional value’ was highly pursued in self-oriented utilitarian situation. Thirdly, college women pursued highly ‘social value’, ‘epistemic value’, ‘situational value’ in others-oriented situation, while ‘functional value’ and ‘emotional value’ were highly pursued in self-oriented situation. They pursued highly ‘functional value’ in utilitarian purpose situation, while ‘social’, ‘emotional’, and ‘epistemic’ values were highly pursued in hedonic purpose situation, Fourthly, ‘functional’ and ‘emotional’ values were highly pursued in self-oriented situation, while ‘social’ and ‘situational’ values were highly pursued in others-oriented situation. ‘Epistemic value’ was pursued highly in hedonic purpose situation. Fifthly, consumption values pursued in four consumption situations were partially different by socio-democratic backgrounds such as age, region, work, major fields, perceived social class, and average monthly consumption expenditures. This study revealed the fact that consumers pursue different consumption values in different consumption situations. Among the consumption values, consumers most highly pursued ‘emotional value’. This implies that contemporary consumers put high importance on self-satisfaction and subjective happiness and, therefore, ‘emotional value’ is the most important value in any consumption situation. This highlights the fact that understanding consumption situation should be preceded when dealing with consumption value in consumer science. In conclusion, consumers always pursue their subjective values in any consumption situation and purchase items that can satisfy their values the most. Therefore, it is crucial that consumers accurately understand what value they pursue in any consumption situation in order to be rational consumers.

      • KCI등재

        외식가치가 고객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 노년소비자와 비노년소비자의 비교분석 -

        남궁영,유원위 한국관광학회 2011 관광학연구 Vol.35 No.3

        인구의 고령화에 따라 매력적인 소비계층으로 부상하고 있는 노년소비자의 외식행동에 대한 명확한 이해를 위해서 노년소비자와 비노년소비자의 외식행동 추구가치에 대한 유사점과 차이점을 분석해보았다. 대부분의 외식가치 항목에 대한 중요도는 두 집단 간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으며, ‘동행인과 편안하게 얘기 할 수 있는 친교의 시간이 됨’ 항목에 대한 중요도는 비노년소비자(5.667±1.17)집단이 노년소비자(5.387±1.38)집단보다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높은 반면(p<0.05), ‘교통, 주차 등이 편리함’항목에 대한 중요도는 노년소비자(5.450±1.42)집단이 비노년소비자(5.082±1.40)집단보다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높게 나타났다(p<0.01). 외식가치항목에 대한 요인분석 결과 경험적 가치, 실용적 가치, 편의적 가치 요인이 도출되었으며, 외식가치 요인(경험적, 실용적, 편의적)이 레스토랑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관계를 분석한 결과, 노년소비자의 경우 경험적 가치만이 레스토랑 만족도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비노년소비자의 경우 경험적 가치와 실용적가치 요인이 레스토랑 만족도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Given the growing number of older people in the society, the consumer behaviors of this group are an increasingly important area for marketers and practitioners. This study focused on the dining-out values of older consumers as compared to younger consumers in the foodservice industry. Data were collected from 407 people in Seoul and Gyeonggi province from June to July 2010. Results of a factor analysis suggested three different factors of dining-out value: 'hedonic/experiential value,' 'utilitarian/economic value,' and 'convenience value.' Results also revealed that hedonic value and utilitarian value significantly affect customer satisfaction among younger respondent group, while only hedonic value had a positive significant effect on customer satisfaction among older respondent group. Based on the findings from this study, implications for the successful management of consumers' value perceptions in restaurant management were discussed.

      • KCI등재

        중ㆍ고등학교 가정과교과서 소비자교육 내용에 따른 대학생의 소비가치에 관한 연구

        김현정,유두련 한국소비자정책교육학회 2017 소비자정책교육연구 Vol.13 No.1

        본 연구의 목적은 중․고교 가정과교과서를 통하여 실시된 학교소비자교육이 이들이 대학생이 되었을 때 소비가치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를 알아보고자 하는 것이다. 대구․경북지역에 재학 중인 대학생을 대상으로 설문지 조사를 통하여 진행하였으며, 총 555부가 분석에 사용되었다. 연구문제 분석을 위해 기초통계 및 요인분석, 신뢰성 검증, t-검증, 다변량분석, Duncan's test를 통한 사후검증,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및 시사점은 다음과 같다. 첫째, 중․고등학교 가정과교과서 소비자교육 내용별로 어떠한 하위차원으로 구성되었는지 알아보기 위해서 요인분석을 실시한 결과 소비자문제 및 해결교육, 합리적소비자교육, 소비문화교육, 소비자의사결정교육등 4개 요인으로 나타났으며, 대학생의 소비가치는 요인분석 결과 차별성, 과시성, 경제성, 윤리성, 심미성, 자기중심성 등 6개 요인으로 나타났다. 둘째, 소비자문제 및 해결교육은 부모와 광고의 영향을 많이 받을수록 교육인지 수준이 높으며, 합리적소비자교육에서는 광고의 영향을 많이 받을수록 교육인지 수준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소비문화교육에서는 친구의 영향은 적게 받지만, 부모의 영향은 많이 받는 2학년 학생들이 교육인지 수준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소비자 의사결정교육은 친구의 영향과 연예인의영향은 적게 받지만 부모의 영향은 많이 받는 2학년 남학생이 교육인지수준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소비자교육 인지수준에 따른 소비가치의 차이분석 결과 전체소비가치는 소비자교육 모든 항목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여 소비자교육은 올바른 소비가치 형성에 중요한 역할을 함을 알 수 있다. 넷째, 대학생의 소비가치에 영향을 주는 요인을 알아보기 위해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한 결과 과시성은 소비자의사결정교육을 많이 할수록 낮아지며, 경제성은 합리적소비자교육, 윤리성은 소비자의사결정교육, 자기중심성은 합리적소비자교육을 많이 할수록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의 결과를 통해서 중․고등학교 가정과교과서의 소비자교육 내용별로 올바른 소비가치 형성을 위해 강화되어야 할 중요 소비자교육 내용을 밝혀 봄으로써, 학교소비자교육 내용강화를 위한 기초 자료로 제공될 수 있을 것이며, 대학에서 소비자 교과목 개발이나 민간단체의 다양한 교육 프로그램 개발 및 소비자교육 정책 방향을 제시할 때 중요 자료로 활용 될 수 있을 것이다. The aim of this study is to determine the effect of administered via home economics textbooks in middle and high schools university students’ consumption behavior and values. In this study, a questionnaire survey was conducted on students from who are currently enrolled in universities. In order to analyze the research topic, posteriori tests were conducted on the 555 responses to the survey using basic statistics and factor analysis, a reliability test, a t-test, multivariate analysis, the Duncan's test, and regression analysis. The results of the study and their implications are as follows. First, factor analysis was carried out to find out the variables in the contents of consumer education in middle school and high school home economics textbooks. Factor analysis revealed that the textbooks dealt with consumer problems and solutions, rational consumer education, consumer culture education, and consumer decision-making education. The results of factor analysis on the consumption values of university students showed that they depended on six factors: differentiation, visibility, economics, ethics, aesthetics, and self-awareness. Second, the study showed that students have higher levels of cognition when they are influenced by their parents and advertisements regarding education on consumer problems and solutions. Moreover, in the education toward becoming rational consumers, students were found to have higher cognitive levels regarding consumption behavior if they are influenced by advertisements. With regard to education on consumer culture, second-year students who are more influenced by their parents than by their friends turned out to have higher cognitive levels about consumption values. Male students in the second year who are highly influenced by their parents and not much by friends or celebrities are seen to have higher cognitive levels of education in terms of consumer decision making. Third, a differential analysis conducted on consumption values based on the awareness level of consumer education demonstrated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entire consumption value range between consumer education in its entirety and each subdivision of consumer education. Therefore, this study concluded that consumer education plays an important role in the formation of proper consumption values. Fourth, from the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of the factors affecting the consumption value of college students, the degree of visibility decreased with the increase in consumer decision- making education. Economic efficiency was found to be higher in rational consumer education, ethics in consumer decision-making education, and self-awareness in rational consumer education. From these results, this study proposes that consumer education content should be improved in middle and high school courses for the formation of proper consumption values. Hence, the study provides the basic data for improving the content of consumer education in schools in accordance with the consumer education policy and serve as an important point of reference in proposing the development of consumer subjects at universities or in the different education programs offered by private organizations, besides providing direction for consumer education policies.

      • KCI등재

        일반소비자의 웰빙가치와 웰빙태도가 스포츠 소비행동에 미치는 영향

        이재형,김기오 한국스포츠사회학회 2012 한국스포츠사회학회지 Vol.25 No.1

        This study aims to understand the effect on sports consumption activities by general consumer's well-being value and well-being attitude. is conducted on 683 general consumers aged 20 and older live in Busan city, collected data is conducted by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using SPSS/PC+ Windows for 14.0 Version program, we have led us to the following conclusions; First, well-being value is shown a significant effect on sports consumption activities. In order words, the consumption of joining sports directly has effect on the matters of health-family value, environment-friendly value, and recognition- emotional value positively, sporting goods consumption has effect on the matters of recognition-emotional value, functional value, distinction value, and environment- friendly value positively. The consumption in watching games, media and web has effect on recognition-emotional value positively, sports experiential tourism consumption has effect on recognition-emotional value and environment-friendly value positively but has effect on health-family value and functional value negatively. Second, well-being attitude is shown a significant effect on sports consumption activities. In order words, well-being attitude in stability of mind and body has a positive effect on the consumption of joining sports directly sports, high rank fashionable well-being attitude has a positive effect on watching games, media and experiential tourism consumption, the consumption of sporting goods and web have a positive effect on high rank fashionable well-being attitude and well-being attitude in stability of mind and body. 본 연구는 일반소비자의 웰빙가치와 웰빙태도가 스포츠 소비행동에 미치는 영향을 규명하는데 목적이 있었다. 이를 위하여 20세 이상의 일반소비자 683명을 대상으로 얻은 자료를 토대로 분석되었고, 본 연구에 이용된 통계분석방법은 다중회귀분석이었으며,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첫째, 일반소비자의 웰빙가치는 스포츠 소비행동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직접참여 소비에는 건강가족가치, 친환경가치, 인정감성가치가 정적 영향을 미치며, 용품 소비에는 인정감성가치, 기능적 가치, 차별적 개성가치, 친환경가치가 정적 영향을 미친다. 경기관람, 매체정보 및 웹 소비에는 인정감성가치가 정적 영향을 미치며, 체험관광 소비에는 인정감성가치, 친환경가치가 정적 영향을 미치고 건강가족가치, 기능적 가치가 부적 영향을 미친다. 둘째, 일반소비자의 웰빙태도는 스포츠 소비행동에 유의한 영향을 미친다. 즉, 직접참여 소비에는 심신안정적 웰빙태도가 정적 영향을 미치고, 경기관람, 매체정보 및 체험관광 소비에는 고급유행적 웰빙태도가 정적 영향을 미치며, 용품 및 웹 소비에는 고급유행적 웰빙태도와 심신안정적 웰빙태도가 정적 영향을 미친다.

      • KCI등재

        한국과 중국 소비자의 쇼핑 경험가치 지각과 브랜드자산 및 점포충성도의 관계에 관한 비교 연구: 대형 할인점을 중심으로

        황순호,오종철,윤성준 한국마케팅학회 2012 ASIA MARKETING JOURNAL Vol.14 No.2

        오늘날의 소비자들은 가격, 제품의 품질 등 실용적 가치 보다 쇼핑의 즐거움, 라이프스타일의 구현, 매력적인 점포쇼핑환경, 브랜드 애착심 등의 정서적 가치를 더 중요하게 생각하고 있다. 이처럼 소비자들은 단순히 상품만을 구매하기보다는 다양한 가치를 얻기 위해 쇼핑을 한다는 사실은 여러 연구에서 제안되었다(안광호와 이하늘 2011; Mathwick 등 2001). 이렇듯 소매점포 선택과 관련한 소비자행동차원의 쇼핑경험가치와 브랜드자산에 대한 중요성과 관심이 높아지고 있지만 관련 연구는 미미한 실정이며 이와 관련한 비교문화적 연구는 매우 미비한 실정이다(황순호 2010). 본 연구는 한국과 중국의 소비자들의 소매점포 선택과 관련한 소비자행동연구의 필요에 의해 시작되었다. 또한 소비자행동분야에서 소비자 경험이 중시되면서 소매점내 쇼핑경험가치에 초점을 맞추었다. 본 연구는 정치, 경제, 사회, 문화적으로 서로 다른 한국과 중국의 소비자들을 대상으로 대형할인점 소매점포에서 고객들이 지각하는 쇼핑 경험가치와 브랜드자산과의 관계를 밝혀내고 이를 통해 점포 충성도와의 관계를 찾아내어 소매점의 쇼핑 경험가치와 관련된 시사점을 찾아내기 위한 국가 간 비교 연구를 시도하였다. 본 연구는 이론적 배경으로 쇼핑가치와 유통브랜드 자산, 그리고 점포 충성도에 대한 이론적 배경을 소개하였으며, 가설 검증을 위한 자료 수집을 위하여 한국과 중국의 대형할인점 고객들을 대상으로 한국과 중국의 대도시 (서울 과 북경) 소비자들을 표본프레임으로 설정하고, 대면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연구의 결과 한중간 소비성향 차이 비교에 대한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한국소비자와 중국 소비자 간의 소비성향차이를 검정한 결과 중국 소비자들은 심미적 소비성향과 상징적 소비성향의 평균값이 한국 소비자들에 비해 높게 나타났으며 한국 소비자들은 쾌락적 소비성향이 중국소비자들에 비해 상대적으로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대형할인점에 대한 한국과 중국의 브랜드 자산 지각에 대한 연구결과 중국에 비해 한국 소비자들이 브랜드 인지와 브랜드 이미지를 모두 높게 지각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한국과 중국에서 편의점과 할인점 이용 고객들이 지각하는 소매점에서의 쇼핑경험에 대한 탐색적 요인분석결과 각각의 국가에 따라 각기 다른 쇼핑경험가치가 나타났다. 한국의 할인점에서는 소비자이익 가치, 심미성가치, 유희성 가치가 중요한 쇼핑가치로 도출되었다. 또한 중국의 할인점에서는 유희성 가치, 심미성 가치, 소비자이익 가치, 서비스우수 가치가 중요한 쇼핑경험가치로 도출되었다. 이러한 연구의 목적에 대한 실증적 분석을 바탕으로 한국과 중국의 대형할인점 소비자들의 쇼핑경험가치과 브랜드자산을 바탕으로 한국의 대형할인점에 있어서 경험가치의 이론적 중요성에 관한 새로운 통찰력을 제공하여 주며 충성도 제고에 있어서 브랜드관리의 중요성에 대한 이론적 시사점을 제공하여 준다. 이와 더불어 유통의 국제화 시대에 있어서 대형할인점의 국제화에 요구되는 한국과 중국 간의 고객 가치의 차이점에 대한 비교문화적 관점에서 중요한 실무적 시사점을 제시한다. 즉, 해외유통전략을 실행하는데 있어서 쇼핑가치에 기반한 현지화 전략의 중요성에 대한 시사점을 제시하여 주며 국가차원에서의 차별적 유통전략의 개발 필요성을 제안하 ... 1. Research Purpose Consumers rely on various clues to evaluate their decision to patronize a retail store, and store brand is one of them (Dodds 1991; Grewal et al. 1998). As consumers find ever increasing variety of contact points connecting them to specific store, the value of experiential shopping as a means of increasing store’s brand equity warrants greater attention from scholars of retail management. Retail shopping values are credited for creating not only cognitive experiences like brand knowledge but also emotional experiences such as shopping pleasure and pride (Schmitt 1999). This may be because today’s consumers place emphasis on emotional values associated with shopping pleasure, lifestyle brought to life, brand relationship, and store atmosphere more than utilitarian values such as product quality and price. Many previous literature found this to be true (Ahn and Lee 2011; Mathwick et al. 2001). This brings forth important research issues and questions regarding the roles of shopping experiential values and brand equity with regard to consumer’s retail patronage choice. However, despite this importance, research on this area remains quite inadequate (Hwang 2010). For this reason, this study aims to verify the relationships among experiential shopping values, retail store brand equity and tries to link that with customer loyalty by surveying large-scale discount store shoppers in Korea and China. * Dept. of Business Administration, Ansan University(hshphj1003@naver.com)** Dept. of Business Administration, Ansan University(drpeter@ansan.ac.kr)*** Dept. of Business Administration, Kyonggi University(sjyoon@kgu.ac.kr) 2. Research Contents In order to carry out the research objective, this study conducted comprehensive literature survey on previous literature by discussing major findings and implications with regard to shopping values and retail brand equity and store loyalty. For data collection, researcher employed survey-based research method where data were collected in two major cities of Korea (Seoul) and China (Bejing) and sampling frame was based on patrons of large discount stores in both countries. Specific research questions raised in this study are as follows;RQ1:How do Korean and Chinese consumers differently perceive of shopping values regarding shopping at large-sclae discount stores?RQ2:Are there differences in consumers’ emotional consumption propensities?RQ3:Do Korean and Chinese consumers display different perceptions of brand equity towards large-scale discount stores?RQ4:Are there differences in relationships between shopping values and brand equity for Korean and Chinese consumers?For statistical analysis, SPSS17.0, AMOS17.0 and SmartPLS were employed. 3. Research Results The data collected through face-to-face survey conducted in Seoul and Bejing revealed appropriate data validity and reliability as a result of exploratory/confirmatory factor analysis and reliability tests, andh SEM model yielding satisfactory model fitness. The result of the study may be summarized by three main points. First, as a result of testing differences in consumption dispositions, Chinese consumers showed higher scores in aesthetic and symbolic dispositions, whereas Korean consumers scored higher in hedonic disposition. Second, testing on perceptions toward brand equity of large discount stores showed that Korean consumers exhibited more positive perceptions of brand awareness and brand image than Chinese counterparts. Third, the result of exploratory factor analysis on the experiential shopping values revealed different factors for each country. On Korean side, consumer interest value, aesthetic value, and hedonic value were prominent, whereas on Chinese side, hedonic value, aesthetic value, consumer interest value, and service excellence value were found salient. 4. Research Implications While many previous studies on inter-country differences in retailing area mainly focused on cultura...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