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고고자료로 본 소가야의 권역과 변천

        김규운 한국고대사학회 2018 韓國古代史硏究 Vol.0 No.92

        In summing up the overall changing process of Sogaya, Goseong area, a center of Sogaya, grows through external trade given relics in Dongwoidong in the 3rd and 4th centuries. Literary documents which illustrate movements of Sogaya in this period are about ‘seashore 8 states’ war’. In regard to ‘seashore 8 states’ war’, there are many different opinions about its exact time, its target of attack, its details, and the location of seashore 8 states, but this writer accepted and examined a hypothesis that small city states led by Gozaguk which had grown based upon seaborne trade attacked Anlaguk to secure a stable agricultural foundation. In a consequence of losing the war, earlier regions of Sogaya are inferred to have been under the influence of Haman type pottery culture. As this period of the 3rd and 4th centuries pass and the 5th century begins, Sogaya witnesses formation and development stages. The reason is that Sogaya expanded its territory with active trade activities after Goguryeo‘s expeditionary campaign of southern part of the peninsula. After that, Sogaya advanced into eastern part of Jeolla Province, exercised its influence upon areas of Masan, Changwon, Jinryae, Chilwon, etc. and maintained a wide territory up to the mid 5th century, though it lost some of its territory because of movements of Daegaya beginning with the mid 5th century. But with the beginning of the 6th century, Daegaya, which lost a trade route at the mouth of the Seomjin River, took actions of negotiating with regional groups within Sogaya territory and movements of advancing into Changwon area and Sacheon Bay, and so the solidarity of Sogaya became weakened. With the same intention as Daegaya, Silla also took movements of negotiating with each regional group of Sogaya via the Southern Sea by establishing Kimhae as a bridgehead. 소가야양식토기의 분포 양상을 통해 5세기 전반을 시작으로 6세기 중반까지 소가야의 권역에 대해 추정하였다. 먼저 5세기 전반에는 고성을 중심으로 경남 서남부지역을 비롯해 남원 아영지역, 전남 동남부지역까지 세력을 넓히게 된다. 5세기 중반에는 합천 서부지역과 남원 아영지역이 권역에서 벗어나는 반면 마산·창원·김해·칠원지역에 영향을 끼치게 된다. 그리고 5세기 후반에는 기존의 권역을 유지하는 가운데 5세기 중반이후 대가야에 의해 호남 동부의 제지역이 모두 권역에서 벗어나게 된다. 이후 6세기에는 소가야의 권역이 급격하게 축소하게 되고, 소가야 내의 제지역 집단의 결속력 또한 완화되는 등의 변화를 보이는 것으로 상정하였다. 이러한 권역의 변화를 토대로 소가야의 성립과 전개, 그리고 멸망에 이르기까지의 동향에 대해 검토하였다. 소가야의 중심지이면서 소가야 성립 이전의 고자국으로 비정되는 고성지역의 동외동 유적의 경우 기왕에 알려진 패총뿐만 아니라 3~4세기대에는 철생산, 생활, 의례 등으로 공간을 구획하여 이용했던 것을 알 수 있었다. 이 가운데 크고 작은 수혈을 중복으로 배치하고 그 안에 조문청동기, 토기 등을 매납하는 의례행위를 엿볼 수 있었으며 이러한 의례행위는 비단 3~4세기대에만 한정된 것이 아니라 삼국시대까지 이어진다. 더욱이 진주 무촌유적에서도 같은 형태의 의례행위를 한 것으로, 동일한 토기 양식을 보이는 점과 더불어 같은 권역 내의 집단임을 확인하였다. 이 시기 소가야의 움직임을 보여주는 것으로 포상팔국전쟁 기사가 있다. 이 기사는 그 시기와 공격대상, 내용, 포상팔국의 위치 등에 대해 여러 견해가 있지만 3세기 후반 해상교류를 바탕으로 성장한 고자국을 중심으로 내륙의 안정적인 농업기반을 확보하기 위해 안라국을 공격하였다는 견해를 수용하는 입장에서 검토하였다. 그리고 결국 전쟁에서 패한 고자국 등은 함안양식 토기 문화의 영향을 받게 되는 것으로 파악하였다. 이후 400년 고구려 남정으로 기존 세력이 약화되면서 소가야가 활발한 교역활동을 통해 성립·발전하게 된다. 그리고 호남 동부지역과 마산·창원·진례·칠원 등지에까지 영향을 끼치고 신라, 아라가야와 접경을 이룰 만큼 5세기 후반까지 넓은 권역을 유지하게 된다. 그러나 6세기 들어 섬진강 하구의 교역로를 상실하게 된 대가야가 소가야 권역 내 제지역 집단과의 교섭, 또는 창원지역, 사천만으로의 진출 등의 움직임을 보임에 따라 소가야 권역 내의 결속력은 약화된다. 신라 역시 대가야와 같은 맥락으로 김해지역을 교두보로 남해안을 통해 제지역 집단과 교섭하게 된다. 이러한 이해관계의 결과로 6세기 이후 고성지역에는 수장묘역인 송학동고분군뿐만 아니라 내산리고분군 등에서도 대가야 문물과 신라 문물, 그리고 왜계문물과 영산강유역의 문물까지 이입되는 것이다. 따라서 그 행위의 능동성이 얼마나 큰지가 관건이 되겠지만 이 시기 소가야가 대외교류의 중추적인 역할을 한 것은 분명한 것으로 판단하였다.

      • KCI등재

        고고학으로 본 소가야의 성립과 변천

        하승철 동아시아고대학회 2018 동아시아고대학 Vol.0 No.51

        Sogaya was a major political force that formed the federation of Gaya states (A.D.350~A.D.562). Sogaya was most likely the term that referred to many tribal states that existed in the western part of today’s Gyeongsangnam-do area. Based on pottery forms, tomb style and distribution of tombs, the development of Sogaya could be described in terms of three stages: foundation period (A.D~450), period of growth (A.D 450~525), period of decline (A.D 525~560) Pottery culture unique to Sogaya began to form around A.D. 5th century and geographic characteristics become prominent as time passed. During the growth period, production and distribution of Sogaya’s potteries took place in many regions: the Nam-gang river area including Sancheong and Jinju; the southern sea coast area including Goseong, Tongyoung, Sacheon and Hadong In terms of tomb style of Sogaya, wooden coffin tombs are built during the 4th and the early 5th century, which are replaced by stone coffin tombs by the middle of the 5th century. Then, beginning in the 6th century, stone chamber tombs began to spread widely, starting with the upper class people. The greater territory of Sogaya was defined by southern coastal area region and Nam-gang River area. The central polity includes tombs group in Songhak-dong in Goseong, Joongchon-li in Sancheong and Samga in Hapcheon. It is speculated that Sogaya responded to their more powerful neighboring states by forming a collaborative network of central and smaller forces within their influence. Based on the scale of kofun group, people who built kofuns in Joongchon-li in Sancheong was the earliest leader of Sogaya states, followed by people who built Samga kofun group. People who built Songhak-dong tombs in Goseong is considered a leader of Sogaya from the late 5th to early 6th century. However, the leaders of Sogaya did not appear to have power enough to dominate other states in terms of the strength of federation and their leadership in the federation. After the mid-6th century, Baekja and Shilla began to encroach upon Gaya region, which led to the fall of Sogaya. The influence of Daegaya and Baekjae expanded and the territorial expansion of Shilla in the southern coastal region began. Baekjae, after occupying Seomjin-gang River area in the early 6th century, began to invade Gaya area in full scale. the fall of Sogaya is speculated to be around A.D. 560. 2000년대 가야고고학은 괄목할만한 성과를 거두고 있다. 소가야에 대한 연구도 크게 진전되어 5∼6세기에는 대가야, 아라가야와 함께 가야의 3대 세력 중 하나였음이 밝혀졌다. 소가야 성립기는 5세기 1/4분기부터 2/4분기이다. 소가야는 재지의 토기 제작 전통을 바탕으로 선진적인 아라가야 토기 제작 기술을 수용하면서 새로운 토기문화권을 형성한다. 분포권은 산청․진주 등 남강수계와 고성․사천 등 남해안 일대이다. 소가야 성립기의 묘제는 목곽묘이다. 중심고분군은 산청 중촌리고분군과 합천 삼가고분군이다. 소가야 발전기는 5세기 3/4분기부터 6세기 1/4분기이다. 소가야양식 토기는 의령, 창원과 전남 동부지역으로 확대된다. 묘제 역시 역동성을 반영한다. 세장방형석곽묘가 유행하고, 고성․통영을 중심으로 분구묘가 출현한다. 6세기 전엽에는 왜계석실과 함께 횡혈식석실분이 도입된다. 소가야는 가야의 대외교역을 주도하였고, 남해안을 통해 백제와 왜의 국제교역에도 주도적으로 참여하였다. 소가야 쇠퇴기는 6세기 2/4분기부터 3/4분기이다. 소가야양식 토기의 분포권은 산청 단성권, 진주권, 고성권, 사천권으로 축소되는 반면, 대가야토기와 신라토기의 반입이 급증한다. 묘제는 수장층을 중심으로 횡혈식석실분이 유행하고 중․하위층은 석곽묘가 축조된다. 합천 삼가고분군은 대가야로 편입되고, 중촌리고분군은 급격히 위축된다. 백제는 하동을 거쳐 진주방면으로 진출한다. 고성권에는 신라의 영향력이 확대된다. 소가야는 신라, 백제의 영역확장 정책으로 세력들이 분열하면서 급격히 쇠퇴한다. 소가야는 고성을 중심으로 마지막까지 세력을 유지하였으나 560년경 신라에 의해 멸망한다. 고고학 자료로 보아 소가야는 남강수계와 남해안 일대에 존재했던 다수의 정치체를 포괄한다. 소가야는 몇 개의 권역별 중심세력이 등장하여 횡적으로 연결되고, 권역별 종적구조가 생겼을 것으로 가정된다. 남강수계는 산청권, 합천 삼가권을 중심으로 진주권이 결합한 구조이다. 남해안은 고성권을 중심으로 통영권․사천권․하동권이 종적인 구조를 형성한다. 소가야의 성립배경은 자원부족과 교역 등 경제적 요인과 군사적 위협에 대한 공동 대응을 꼽을 수 있다.

      • KCI등재

        묘제를 통해 본 5~6세기 소가야연맹체 연구

        여창현 영남고고학회 2017 嶺南考古學 Vol.- No.78

        This study paid attention to the distribution pattern and formation of Sogaya Style of based on the perception that Sogaya political system was composed as a alliance structure, and explored the transitional process of Sogaya Alliance. Looking into the tomb box arrangement of stone coffin tombs, multi stone coffin tombⅠ and multi stone coffin tomb II are defined as Sogaya type tomb style. The transition of Sogaya tomb was grasped as 3 stages by dividing emergence of multi stone coffin tombs, and occurrence of multi stone coffin tombs, and hierarchy of multi stone coffin tombs. At Stage Ⅰ, stone coffin tomb is introduced to Changwon region early-stage multi stone coffin tombs appeared due to the effect of Changwon region's geographical location. Often, it is mixed with existing wood stone coffin tomb groups, and stone coffin tomb groups are built, but it is constructed in group at a certain space separated from stone coffin tomb groups. At this age, influenced by the tomb system of the Yeongsangang basin, surrounding ditches are first confirmed at the burial facilities of Sogaya region. At Stage Ⅱ, multi stone coffin tombs take place in most Sogaya region. Looking at the adoption of a specific stone wall building type and association phase between stone coffin tombs, this can be defined as an original tomb type typifying Sogaya at this time. At stage Ⅲ, with the appearance of multi stone coffin tomb II as a high tome style, hierarchical phase comes into being in Sogaya region. As multi stone coffin tomb II is built at old tomb groups in Songhak-dong, Yuldae-ri, and Naesan-ri, Goseong region, and Samga, Hapcheon-gun, it surfaces as a central old tomb group in Sogaya region. Looking into the tomb style, the emergence of the central group building high multi stone coffin tomb is finally judged as an age horizontal structural system formed in a loose relation was developed into an alliance structure on the condition of a hierarchial relation of the center and surroundings. 본고는 소가야정치체는 복수의 중심고분군으로 연계된 동열정치체(peer-polity)인 연맹의 구조로 이루어졌다는 인식을 바탕으로 고분의 구조와 분포권에 주목하여 소가야연맹체의 변천과정을 살펴보았다. 수혈식석곽묘의 축조방식을 분석하여 다곽식석곽묘Ⅰ과 다곽식석곽묘Ⅱ를 소가야식 묘제로 규정하였다. 소가야 고분의 변천은 수혈식석곽묘의 등장과 소가야 집단의 출현, 다곽식석곽묘의 확산과 연맹체의 성립, 고총의 다곽식석곽묘의 계층화로 구분하여 모두 3단계로 파악하였다. Ⅰ단계는 창원권의 지리적인 입지의 영향으로 인해 초기 석곽묘가 등장하고 점차 이서지역으로 수혈식석곽묘가 유입된다. 기존의 목곽묘군과 혼재되어 석곽묘군이 조영되는 경우도 있지만 목곽묘군과 분화된 일정한 공간에 군을 이루어 축조된다. 이 시기 영산강 유역의 묘제의 영향으로 소가야권역의 매장시설에서 분구묘적 요소가 처음 확인된다. Ⅱ단계가 되면 대부분의 소가야권역에서 다곽식석곽묘가 발생한다. 특정한 벽석 축조방식의 채용과 다곽식석곽묘의 확장 양상을 볼 때 이 시기 소가야를 대표하는 독창적인 묘제라고 볼 수 있다. Ⅲ단계는 고총고분인 다곽식석곽묘Ⅱ의 등장으로 인해 소가야권역 내에서 계층화 양상이 나타난다. 6세기 초 무렵의 고성권의 송학동, 율대리, 내산리 고분군 등과 합천권의 삼가 고분군 등에서 다곽식석곽묘Ⅱ가 축조되면서 소가야권역 내에서 중심고분군으로 대두한다. 묘제를 통해 볼 때, 고총의 다곽식석곽묘를 축조한 중심집단의 등장은 결국 느슨한 관계로 결성된 수평적 구조의 체제가 중심과 주변의 상하관계를 전제로 한 연맹의 구조로 발전된 시기로 파악되며, 이러한 연맹체의 구조는 가야 서남부권에 소국형태를 이루는 다수의 지역집단이 존재하였다는 포상팔국의 사실과 그 궤를 같이 한다.

      • KCI등재

        5~6世紀小加耶樣式土器設定

        김규은(Gyuun Kim) 한국고고학회 2010 한국고고학보 Vol.76 No.-

        가야의 고고학적 연구는 토기가 중심으로 대가야(大加耶), 아라가야(阿􆦯加耶) 등의 토기 양식에 대해서는 대체로 이견이 없다. 그러나 소가야양식(小加耶樣式) 토기에 대해서는 자료 부족 등의 이유로 양식의 설정 및 명칭, 중심지 등에 대해 이견이 많으므로 소가야양식 토기 설정이 가능한지에 대해 검토하였다. 먼저 소가야지역에서 출토되는 토기 중 무개식(無蓋式) 삼각투창고배(三角透窓高杯), 유개식(有蓋式) 삼각투창고배, 일단장방형투창고배(一段長方形透窓高杯), 이단교호투창고배(二段交互透窓高杯), 개(蓋), 수평구연호(水平口緣壺), 대부직구호(臺附直口壺), 수평구연발형기대(水平口緣鉢形器臺), 통형기대(筒形器臺), 대부파부수완(臺附把手宛), 파수부배(把手附杯)를 각 기종별로 특징적인 속성에 따라 형식분류(型式分類)하고 순서배열(順序配􆨴)한 후 이를 토대로 I~VII의 7단계로 구분하였다. 그리고 각 단계별로 일부 문헌을 이용하여 하한을 정하고 대가야, 신라양식 토기, 스에키(須惠器) 등과의 교차편년(交差編年)을 통해 5세기 1/4분기~6세기 2/4분기까지의 연대를 부여하였다. 이렇게 분석한 토기들은 각 기종별로 분포권을 달리하는 것이 아니라 같은 분포정형을 보이고 있고, 제 기종들의 전체적인 변화양상이 거의 같음을 확인하였다. 즉, 토기의 생산체계부터 부장양상까지 같은 맥락을 보이고 있는 것이므로 하나의 양식으로 설정하였다. 그리고 이 토기들의 중심지에 대해 고고자료뿐만 아니라 문헌자료를 토대로 고성지역(固城地域)을 중심으로 하는 소가야를 나타내는 것이 분명함을 논하면서 소가야양식 토기로 명명하였다. Studies on the Three Kingdoms period in the Youngnam Province have mainly been aimed at identifying the characteristics of the polities of each region, such as Silla or Gaya. But due to the lack of historical documents, many scholars think negatively about the hypothesis that Sogaya may have formed a polity. Thus, this study began with the following question: “What are the archaeological materials which prove Sogaya’s entity?” Among pottery excavated in the Sogaya territory, this study carried out form classification on the ‘triangled javelin thrower figurine dish without cover’, ‘triangled javelin thrower figurine dish with cover’, ‘unmounted rectangular javelin thrower figurine dish’, ‘mounted reciprocal javelin thrower figurine dish’, ‘cover’, ‘jar with horizontal mouth’, ‘big axe pattern jar with straight mouth’, ‘bowl-shaped stand with horizontal mouth’, ‘cylinder-shaped stand’, ‘big axe pattern bowl with handle’, and ‘cup with handle’ according to the characteristic traits of each type of ceramic vessel. They were then arranged in order and defined as Sogaya type pottery. On the basis of the results, they were divided into seven phases (I~VII). The lowest time limit of each period was established based on reference literature, and each period was dated through crossdating with Daegaya type pottery, Silla type pottery, Japanese Sueki, etc. There are many different opinions regarding the center of Sogaya type pottery, since little is known about the pottery culture of the Goseong area in the 5th century. But according to excavations recently carried on in the areas of Goseong and Tongyeong, the Goseong area can be confirmed as the center of Sogaya from the first half of the 5th century till its collapse in that Sogaya type pottery belonging to the first half of the 5th century was excavated in this area and Sogaya style tombs were confirmed.

      • KCI등재

        소가야양식 토기의 분포정형과 집단의 추이

        여창현(Yeo, Chang Hyun) 영남고고학회 2021 嶺南考古學 Vol.- No.90

        본고는 경남 서부지역의 남강 수계와 남해안의 만을 거점으로 형성된 다수의 고분군 중 같은 양식의 토기를 공유한집단을 소가야 세력으로 인식하고, 영남 각지에서 후기가야의 소국들이 출현하는 5세기 전반 무렵부터 가야가 멸망하는 562년까지의 시간적 범위에서 소가야양식 토기를 편년하고 단계별 토기의 분포정형을 통해 중심고분군의 변천을살펴보고자 하였다. 소가야양식 토기의 편년은 10기종을 대상으로, 발생순서배열법(Occurrence seriation)에 따른 ‘속성-형식-형식조열(일괄관계)-분기’의 분석 과정을 통해 Ⅰ~Ⅴ단계로 구분하였다. 편년은 400년 이후로 상정되는 일본 열도 초기 스에키 연대와 풍납토성에서 출토된 소가야계 토기의 하한(475년)을 근거로, 이후 TK208~TK10형식까지 스에키와 공반된소가야양식 토기의 연대를 비정하고 영남지역의 주요 고분군의 병행 관계 유물을 검증하여 도출하였다. 소가야양식 토기의 형식변화와 단계별 분포정형을 통해 출현기-성립기-성행기1-성행기2-쇠퇴·소멸기로 구분하고, 토기양식 분포정형의 변화를 소가야 중심고분군의 변천으로 이해하였다. 5세기 전반 무렵 함안지역의 말이산 고분군축조 집단의 영향으로 형성된 소가야 세력은 5세기 중후반 중심고분군의 축조와 함께 다자간 결합된 비정형적인 토기양식의 분포를 보인다. 6세기 초에는 남강 수계의 내륙 집단은 중촌리 집단과 삼가 집단의 결합으로 재편되며, 남해안의 고성만을 중심으로 송학동 집단이 새로운 중심 세력으로 대두된다. 이후 소가야 세력의 쇠퇴와 점적인 영역의 변동과 축소 과정은 대가야의 남진, 530년을 전후한 신라의 가야 남부 제국의 병합, 562년에 이르러 최종적으로 가야 전역이 복속되는 일련의 과정에서 이해할 수 있었다 Among the many ancient tombs formed in the southwestern part of Gyeongsangnam-do and the bay on the south coast, recognized the groups that shared the same type of stoneware as a group of Sogaya, and wanted to examine the development of the ancient tombs through the distribution of stoneware from the first half of the fifth century to 562 when Gaya collapsed in various parts of Yeongnam. The type of stoneware of the Sogaya style was divided into I-V stages through the analysis process of Property-Form-Formation-Formation under the Occurrence Sequence Act. Based on the lower limit (475) of the Sogaya-style stoneware excavated in the early Japanese archipelago and Pungnaptoseong, which is assumed to be from 400 years later, the date of the Sogaya-style stoneware, which was then found in the TK208 to TK10 types, was irregularly dated and the parallel relationship relics of major ancient tombs in the Yeongnam region, was verified. The distribution of stoneware forms was understood as the trend of the Sogaya group by dividing the variation in the construction groups of the major ancient tombs in the Sogaya region into the emergence period, the formation period, the sex period1, the sexual period, the decline, and the extinction period. The Sogaya group formed around the first half of the 5th century under the influence of the Malisan Ancient Tombs in Haman area shows an unformal distribution of stoneware, which is a multilateral combination with the construction of the central ancient tombs in the mid- to late 5th century. In the early 6th century, the inland group of the Namgang River was reorganized into a combination of the Jungchonri group and Samga groups, and a new central force emerged around Goseong Bay on the southern coast. Later, the decline of the Sogaya group and the process of the change and reduction of the viscous area were understood in the process of merging the Southern and Southern Gaya empires around 530 years ago, and finally the entire Gaya territory in 562.

      • KCI등재

        소가야지역 분구묘의 특징과 형성과정 연구

        권용대 한국문화유산협회 2007 야외고고학 Vol.0 No.2

        소가야지역의 분구묘는 원형의 성토분구를 먼저 마련한 다음 묘광을 굴착하여 석곽이나 석실 등을 조성하였다. 옹관, 목관·목곽 등을 수평 내지는 수직으로 추가 매장하여 분구의 형태가 다양한 영산강 유역의 분구묘와 소가야 周邊諸國의 봉분묘 축조방법과 뚜렷한 차이를 보이므로 소가야식분구묘로 설정하였다. 소가야식 분구묘는 제1 매장주체부를 제외하고는 유구의 구조, 규모, 부장유물에서 피장자간의 우열 관계가 명확하지 않다. 따라서 소가야식분구묘는 혈연을 중심으로 한 가족묘의 성격을 띠고 있음을 알 수 있다. 한편, 이러한 성격의 분묘형태는 청동기시대 구획묘에서도 확인할 수 있다. 청동기시대의 구획묘는 周溝나 石築을 조성한 다음 내부에 1기 내지 2기 이상의 매장주체부가 마련된다. 하나의 묘역을 공유하면서 다곽식으로 연접시켜 배치한 형태는 분구묘와 구획묘의 공통점이라 할 수 있다. 청동기시대와 삼국시대는 사회발전단계에서 차이를 가지지만 매장습속에서 관련 있음을 시사한다. 이러한 구획묘와 분구묘는 남해안지역의 특징적인 묘제로 판단되며 政治權의 범위를 넘어선 하나의 墓制文化圈이 존재하였을 것으로 생각된다. 그렇지만 소가야지역에서 영산강유역과 유사한 삼한시대 주구묘가 거의 확인 되지 않아 청동기시대부터 삼한, 삼국시대까지 묘제의 계보를 파악하기 어렵다. 오히려 영남지방에서 주구묘는 경주와 울산, 대구 등지에서 관찰된다. 따라서 삼한시대 주구묘는 정치체마다의 고유한 전통적 기반 위에서 선택적으로 채용되었을 것으로 생각된다. 소가야지역에서 분구묘가 축조될 수 있었던 배경은 당시 대가야와 신라, 백제, 왜와 관계를 맺으면서 해상과 내륙의 거점지로서 독자적인 세력을 형성하여 성장할 수 있었기 때문일 것이다. 특히 분구묘는 외래계 유물과 함께 지배집단의 독점적 지위를 과시하는 상징물로 판단된다. Mounded tombs from the Sogaya region consist of circular earthen mounds into which multiple stone cist and stone lined burials were incorporated. These multiple burial mounded tombs present a stark contrast to those of the Yeongsan River Basin in which the later addition of jar burials, wooden coffin burials and wooden cist burials resulted in earthen mounds of varying shapes. The mounded tombs of the Goseong (Sogaya) area can broadly be divided into two phases. The Phase I tombs contain multiple stone lined pit burials of a narrow rectangular shape which were constructed at different times. Phase II tombs have stone burial chambers with tunnel-like entrances into which later burials were incorporated. The lack of differentiation in terms of burial structure, size and grave goods - apart from the primary burials - suggest that these mounded tombs may represent communal burials of blood-related kin. This form of kin based communal burial can also be observed in the 'stone boundary burials' of the Middle Bronze Age. The stone boundary burials consist of one or two burial compartments, often attached in a row, which are surrounded by a common stone boundary delineating the mortuary space. The use of multiple graves within a common burial space, in both Sogaya multiple mounded tombs and the stone boundary tombs, indicates the continuation of a common burial tradition within the differing social contexts of the Three Kingdoms period and the Bronze Age. As these two forms of burial are characteristic of the Namhae (southern coastal) region, it is possible to suggest the existence of a common burial tradition which went beyond the boundaries of political entities. Multiple mounded tombs of the Three Ham period have yet to be identified in the Goseong area, however, indicating a discontinuity in burial tradition. It may be that in the Three Han period, stone boundary tombs came to be replaced by wooden coffin tombs which were introduced into the region along with the 'bowl with clay stripe' culture. It is argued that the geographic position of the Goseong area, which enabled it to establish relationships with Daegaya, Silla, Baekje and Wae and act as a key locale between inland and costal regions, played a key role in ensuring the political independence of the Sogaya polity. It is in this political context that the mounded tombs came to used in the Goseong area, symbolizing, along with foreign objects, the independent status of the ruling elite.

      • KCI등재

        고성 내산리 소가야묘 팔찌에 대한 검토

        이한상 ( Lee Hansang ) 국민대학교 한국학연구소 2021 한국학논총 Vol.56 No.-

        이 논문은 소가야의 중심고분군 가운데 하나인 고성 내산리고분군 출토 팔찌에 관하여 살펴본 것이다. 소가야는 5세기 이후 고고학적 실체가 뚜렷하지만 소가야양식 토기를 제외하고는 어떤 것을 소가야적인 고고자료로 볼 수 있는지 밝혀지지 않았다. 이 글에서는 금속장신구에 소가야적 특색이 발현되었는지 살펴보려 한다. 내산리 소가야묘군의 경우 7기의 유구에서 11점의 팔찌가 출토되었다. 34호분 주실에서 4점, 60호분에서 2점, 여타 무덤에서는 1점씩 출토되었다. 금팔찌는 없고 은팔찌가 2점, 동팔찌가 9점이다. 대부분 망자의 좌우 팔목에 착장시켜 매장한 양상이다. 팔찌의 부장에는 다양한 방식이 혼재되어 있어 소가야만의 특색이 확인되지 않는다. 내산리고분군 출토 팔찌는 문양의 유무나 형태에 따라 3류로 나눌 수 있다. 문양이 없는 것이 2점, 각목문을 갖춘 것이 7점, 돌기형 장식을 갖춘 것이 2점이다. 각목문 팔찌는 신라의 그것과 형태에서 차이가 있어 백제-대가야에서 계보를 구할 수 있다. 다만 제작지를 특정하기는 어려우며 일부는 현지산일 가능성도 있다. 팔찌의 상한 연대는 5세기 후반으로 설정할 수 있다. 돌기가 장식된 팔찌는 신라에서 계보를 구할 수 있으며 신라로부터의 반입품일 가능성이 있다. 6세기 전반의 늦은 단계나 6세기 중엽의 연대를 부여할 수 있다. 내산리고분군 출토 팔찌에서는 다양성이 보인다. 이는 다양한 외래토기가 함께 묻히는 발굴 양상과도 맥이 닿는다. 이는 해상교통의 요지에 자리잡고 주변국과 다양한 인적ㆍ물적 교류를 수행하며 생활하던 소가야인들의 면모를 잘 보여주는 현상이다.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examine whether bracelets excavated from the Naesan-ri Tombs have characteristics of Sogaya(小加耶). Sogaya is known to have a unique culture among Gaya countries. In this paper, I would like to examine whether there is a Sogaya-style in the bracelets as in the pottery. Naesan-ri Tombs are located on the beach of Goseong, Gyeongsangnam-do, and have been excavated several times. In the meantime, 11 bracelets have been excavated from seven tombs. In particular, four were excavated from Tomb No.34. So far, no gold bracelets have been discovered, but 2 silver bracelets and 9 bronze bracelets have been discovered. Most of them are worn on the left and right wrist of the person buried in the tomb. In Naesan-ri Tombs, there are various ways to bury bracelets in tombs, and the characteristics of Sogaya are not identified. Bracelets excavated from the Naesan-ri Tombs can be divided into three types based on patterns. There are two without patterns, seven with line patterns, and two with protrusions. As the bracelets with a line pattern excavated from these tombs have a difference in shape from that of Silla, it can be compared to Baekje or Daegaya(大加耶) bracelets. However, it is difficult to specify the production site, and some of them seem to have been made in Sogaya. The bracelets excavated from these tombs were made after the late 5th century. Among them, the bracelet which is decorated with protrusions seems to have been made in the 6th century. The variety of bracelets excavated from Naesan-ri Tombs reflects the openness of Sogaya culture. Sogaya dominated the hub of maritime transportation and interacted with various countries. The bracelet excavated from Naesan-ri tombs symbolizes the politics and culture of Sogaya.

      • KCI등재

        소가야 출토 마구의 성격과 의미

        류창환 ( Ryu Chang-hwan ) 국민대학교 한국학연구소 2021 한국학논총 Vol.56 No.-

        본고에서는 소가야의 중심지로 이해되고 있는 경남 고성의 여러 고분에서 출토된 마구를 집성하여 편년하고 그 성격과 의미를 검토함으로써 문헌 기록상 그 실체를 잘 알 수 없는 소가야의 일면을 밝혀보고자 하였다. 그리하여 먼저 소가야 출토 마구 중에서 좌우 비대칭의 부품으로 구성된 것이 있는지에 대하여 주목하였다. 그러한 이유는 좌우 비대칭의 부품으로 구성된 마구는 사용 중에 파손된 것을 보수한 것으로 이해되므로, 이를 통해 마구의 실용성을 말할 수 있기 때문이다. 고성 율대리와 내산리 고분 출토 재갈에서 확인되는 보수흔은 그러한 사례라고 생각한다. 다음으로 소가야 출토 마구의 경우 거의 예외없이 갑주와 대도, 철모, 철촉 등과 같은 무기·무구와 함께 출토되고 있는 사실에 주목하였다. 이는 소가야 출토 마구의 실용성과 무장성을 말해주는 것으로, 그 실체는 고구려 고분벽화의 경장기병 또는 중장기병과 같았을 것이다. 한편 소가야의 고분에는 그 위계에 따라 재갈과 안장, 등자로 구성된 기본마구, 철제의 장식용 마구, 금동장 장식마구 등으로 구분되어 부장된 사실도 확인되는데, 이는 당대의 마구가 실용품을 넘어 피장자의 권위와 위세를 상징하는 위세품으로도 활용되었음을 말해주는 것으로 볼 수 있다. 끝으로 소가야 출토 마구 중에는 계통을 달리하는 외래계 마구가 다수 포함되어 있는 점에 주목하였다. 대가야계·백제계·신라계·왜계 마구 등이 그러한 것으로, 이러한 외래계 마구는 소가야가 당대의 대가야와 신라, 백제, 그리고 바다 건너 일본열도의 여러 세력과 교류 또는 교섭했음을 알려주는 명백한 증거이다. In this book, we gathered harnesses excavated from ancient tombs in Goseong, Gyeongsangnam-do, which are understood to be the center of Sogaya, to examine their characteristics and meanings, and to reveal one aspect of Sogaya, which is not well known in the literature. First of all, we focused on whether there were parts consisting of asymmetrical left and right parts among the sogaya excavated harnesses. This is because harnesses consisting of parts of left and right asymmetries are understood to have repaired broken during use, which allows us to address the practicality of harnesses. Such cases are believed to have been found in the excavation of ancient tombs in Yuldae-ri and Naesan-ri, Goseong. Next, it was noted that the sogaya excavation harnesses were excavated along with weapons and weapons such as Gapju, Daedo, iron helmet, and ironhead. This indicates the practicality and armament of the sogaya- excavated harness, which would have been similar to that of the light cavalry or mid- to long-term soldiers of Goguryeo tomb murals. Meanwhile, it is also found that Sogaya's tombs were divided into basic harnesses consisting of gravel, saddle, stirrups, iron ornamental harnesses, and gilt-bronze ornamental harnesses, indicating that the harnesses of the time were used beyond practical goods. Finally, it was noted that many of the sogaya excavation harnesses included foreign horse harnesses with different systems. Daegaya, Baekje, Silla, and Waegye Magu. These foreign harnesses are clear evidence that Sogaya exchanged or negotiated with Daegaya, Silla, Baekje, and other Japanese powers across the sea.

      • KCI등재

        小加耶樣式 土器의 編年 硏究

        金志姸(Kim, Jiyeon) 부산고고학회 2013 고고광장 Vol.- No.12

        In this paper, as collecting whole pottery datum, detail attribution analysis and the type classification was done by forms to solve the problems of the chronological study of the So-Gaya style pottery. As considering spatial characteristics as well as chronological characteristics, each type reflecting chronological and spatial characteristics was set up. The phase was divided into five-Ⅰ~Ⅴ-by the occurrence seriation based on the type combination. The appearance and the extinction of forms and types as standard is noticed in the phase set. The first phase is divided into two phases: the old phase that the pottery separated from the Haman style of the old-type Dojil pottery and the new phase that the pottery of So-Gaya appears with new forms. The So-Gaya style pottery is completed in the second phase. It is also divided into two phases. All forms are appeared in the old phase except a cylinder-shaped pottery stand, a mounted-dish with cross opening, a flat cup with a cover. In the new phase, a mounted-dish with cross opening appears, and the a mounted-dish with triangular opening and rectangular opening with a cover, a mounted jar with straight neck is also checked. In the third phase, a cylinder-shaped pottery stand and the last type-Ⅵ type- of the a mounteddish with triangular opening with no cover appears. All forms except a mounted-dish with cross opening and a cylinder-shaped pottery stand are checked abundantly, and take archetypal form. In the fourth phase, the pottery stand with horizontal plane lip decreases and new shaped pottery stand and a flat cup with a cover appears. While a mounted-dish with cross opening increases, a mounted-dish with triangular opening declines. A lip of the pottery stand and a jar shows perfect horizontal line. A mounted part of a mounted jar changes from a double layer to a single layer. A grip of a mounted-dish with rectangular opening with no cover disappears as well. In this phase, the style of So-Gaya pottery changes that a form of pottery appears or disappears. In the fifth phase, the last type of each form in all potteries is checked and most type tends to be small. Each phase belongs each quarter from the second quarter of the 5th century(Ⅰphase) to the first quarter of the six century (Ⅳphase) and the Ⅴphase belongs from the second quarter to the first half of the third quarter of the 6th century based on the existing chronological idea, the cross dating of pottery with Sueki, Dae-Gaya, Ara-Gaya and Silla, the literature and the harnessry. In the first quarter of the 6th century(Ⅳphase), as the type and combination of the pottery changes, it can be seen as an epoch-making phase of the So-Gaya pottery culture. In about A.D 562, the change of the So-Gaya style pottery is getting slower and begins to collapse. 본고는 기존의 소가야양식 토기 편년 연구의 문제점들을 보완하기 위해 우선 토기 자료를 집성하여, 각기종별로 세밀한 속성 및 형식 분류를 행하였다. 기왕의 연구와 같이 시간성 파악만을 염두에 둔 것이 아니라 공간성도 고려하였기에 시·공간성을 반영한 다양한 범주의 것이 개별 형식으로 설정되었다. 각 기종의 형식 조합을 토대로 발생순서배열법에 따라 단계를 설정하였다. 이러한 단계 설정은 기종의 생성과 소멸에 주목하였고, 다음으로 형식의 생성과 소멸을 기준으로 삼아 진행하였다. 그 결과 5단계의 시기구분을 도출하였다. Ⅰ단계는 고식도질토기단계의 함안양식 토기로부터 분화·발전하여 형식 변화한 것으로 판단되는 古 단계와 여러 기종이 새롭게 등장함으로써 소가야양식이 출현하기 시작한 新단계로 나뉜다. Ⅱ단계는 소가야양식의 성립이 완성되는 단계로서, 역시 古·新단계로 구분된다. 古단계는 통형기대·이단교호투 창고배·개배를 제외한 全 기종이 성립·발전한다. 新단계가 되면 이단교호투창고배가 출현하며, 유개식 삼각투창고배와 유개식 일단장방형투창고배, 대부직구호 등의 몇몇 기종에서 전형적인 형식이 확인 된다. Ⅲ단계에는 통형기대가 등장하며, 무개식 삼각투창고배는 최말기 형식인 Ⅵ식이 출현한다. 또한 이단교호투창고배 및 통형기대를 제외한 모든 기종의 토기 출토량도 상당하며, 전형적인 형태를 갖춘다. Ⅳ단계에는 수평구연발형기대가 급감하며, 이와 동시에 새로운 형태의 발형기대가 출현하고 蓋杯도 등장한다. 이단교호투창고배는 출토량이 급격히 늘어나며 성행하기 시작한다. 반면 삼각투창고배는 쇠퇴·소멸기를 맞이한다. 수평구연발형기대와 호의 구연부는 완전한 수평면을 가지며, 대부직구호는 대각이 2단에서 1단 구성으로 변한다. 무개식 장방형투창(파수부)고배는 파수가 탈락되기 시작한다. 이처럼 Ⅳ단계가 되면 토기의 기종도 이전 단계들과는 달리 새롭게 출현하거나 소멸하는 것들이 많아져 양식 자체에 변화가 생기며, 각 기종별 형식 내에서도 큰 변화들이 간취된다. Ⅴ단계에는 全 기종에서 最 後의 형식이 확인되며, 전체적으로 이 단계의 토기 형식은 소형화되는 경향을 보인다. 이들 각 단계는 기존의 편년안과 스에키 및 대가야·아라가야·신라 등 주변 지역과의 교차편년을 중심으로 관련 문헌사료 및 공반된 마구 자료에 근거하여, Ⅰ기(5세기 2/4분기)~Ⅴ기(6세기 2/4분기~3/4 분기 전반)까지의 연대를 부여하였다. 6세기 1/4분기(Ⅳ단계)가 되면 토기의 형식 및 기종 구성 등에서 상당한 변화가 간취되어, 이 시기는 劃期로 想定된다. 소가야는 562년 전후로 토기의 변화가 둔감해지 고, 쇠퇴의 길을 맞이하게 된다.

      • KCI등재

        全南東部地域의 加耶系 土器와 歷史的 性格

        이동희(Dong Hee Lee) 한국상고사학회 2004 한국상고사학보 Vol.46 No.-

        최근에 조사된 활성화로 전남동부지역에서는 4~6세기의 아라가야계·소가야계·대가야계 토기 외에 가야계 고총고분도 일부 확인되고 있다. 전남동부지역에서 가야계 토기가 등장하기 시작하는 4~5세기에는, 영산강유역이나 경남서부지역과 달리 독자적인 묘제나 토기문화가 성립되지 못하였다. 이러한 이유로 독자적인 지역연맹체를 형성할 만한 주체적인 역량을 갖추지 못한 점이 가야의 영향력하에 놓이게 되는 배경이었던 것으로 보인다. 전남동부지역의 가야계토기는 경남서부지역과 거의 동일하게 아라가야계토기→소가야계토기→대가야계토기의 순으로 나타난다. 4세기말에서 5세기중엽에 이르는 시기에는 아라가예 토기와 이른 단계의 소가야계토기가 등장하늗네 섬이나 해안·강변에서 간헐적으로 출토되고 생활유적에서 재지계토기가 공반되므로 일시적인 교류나 교역의 산물로 판단된다. 반면 5세기 후엽 이후에는 소가야토기가 출토되는 소가야계 분묘유적의 비율이 증가한다. 소가야계 묘제와 토기가 전남동부지역에 확산되는 5세기 후엽에는 한시적으로 소가야연맹체(서남부가야연맹체)에 속했을 가능성이 크다. 6세기 이후가 되면 소가야토기의 토착화가 진전되어 재지에서 제작된 변형된 소가야토기가 등장하여 6세기 중엽까지 지속된다. 6세기 이후에 소가야토기의 토착화 시점은 대가야토기의 등장과도 궤를 같이하는데, 이는 대가야세력의 확장에 의해 소가야의 영향력이 축소됨을 보여준다. 현재까지의 고고학적 자료로 보면 전남동부지역에서 대가야계 토기의 출현은 500년을 전후한 시점이라고 판단된다. 전남동부지역에서의 대가야계 토기는 크게 2단계로 구분해 줄 수 있다. 즉 530년을 기준으로 전기(6세기 초엽)와 후기(6세기 중엽)로 나누어 볼 수 있다. 그 기준점인 530년은 백제가 전남동부지역을 점차 영역화를 진행함에 따라, 대가야가 간접저긍로나마 전남동부지역에 영향을 끼치던 하한시점으로 볼 수 있다. 전기에는 주로 전형적인 대가야토기가 출토되는데 반해, 후기로 갈수록 현지에서 제작되어 변형된 대가야계 토기나 백제토기의 속성과 혼합된 양식이 증가하게 된다. 이는 대가야 세력이 전남동부지역에 일정한 정치적 영향을 미치다가 백제에 밀려 이 지역에서 벗어났지만, 대가야 토기문화는 토착화 및 혼합화 과정을 겪으면서 6세기 중엽까지 잔존하고 있음을 의미한다. 전남동부지역은 任耶四縣으로 비정되고 있는데, 그와 관련된 중심지는 선사시대 이래로 지역 거점이면서 소가야·대가야·백제 토기뿐만 아니라 관련 墓制가 확인된다. 이는 외래의 새로운 정치세력이 토착의 거점세력과 연계하여 그 영향력을 행사하였음을 시사한다. 대가야계 토기가 출토되는 고분군은 대가야 세력이 전남동부지역으로 진출하는 과정에서 대가야와 관계를 맺은 재지 거점세력이 조영한 것으로 판단된다. 즉 전남동부지역은 대가야 토기와 고분이 출토되는 지역거점의 수장층이 고령의 대가야와 연맹관계를 맺은 대가야연맹체의 일부였다고 볼 수 있다. Thanks to the recent active investigation, part of the Gaya-lineage ancient tombs are being confirmed in addition to the Aragaya-, Sogaya- and Daegaya-lineage potteries. When the pottery of Gaya-lineage began to appear in the eastern area of Chon-nam Province in 4-5th centuries, unlike Youngsan valley or western area of Gyungnam Province, unique patterns of grave system and pottery culture had not been yet completed in the eastern of Chon-nam Province. The failure to secure the standing-alone power strong enough to form any independent regional federation due to the above reason, seems most likely the background that the region had to ne under the Gaya's influence. Aragaya-lineage and Sogaya-lineage potteries appeared in the period between the end of 4th and the middle of 5th centuries. As they were occasionally found on the island along the sea or riverside and were also found together with natively-developed potteries from the living remains, they could be understood as the products for the temporary intercjange or trading. On the other hand, since later 5th century, the ratio of the tombs of Sogaya-lineage in which Sogaya potteries were found, increased. When the grave system and potteries of Sogaya-lineage spread to the eastern area of Chon-nam Province late in the fifth century, it was highly possible that it temporarily belonged to Sogaya Alliance. Potteries of Daegaya-lineage could be mainly divided into two categories in the eastern area of Chon-nam Province and it could be classified into the former period (early of 6th century) and the latter period (middle of 6th century) when we set the year of 530 as the standard. In the former period, typical Daegaya potteries were mainly found. However, with the time nearing to the latter period, on the rise were variations of Daegaya potteries locally manufactured, or hybrid potteries of characters between Baek-je and Daegaya. After power of Daegaya influenced the eastern area of Chon-nam Province politically for the time being, it had to leave this area due to the power of Baek-je. However, it meant that the pottery culture of Daegaya still remained through the localization and mixture process until the middle of 6th century. The ancient tomb groups in which Daegaya-lineage potteries were unearthed are assumed to have been made by the local warlords which kept partnership with the Daegaya in the process of advancing to the eastern Chon-nam Provinc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