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종교개혁자들의 성찬론 비교연구 -츠빙글리와 칼뱅을 중심으로

        임종구 연세대학교 신과대학 연합신학대학원 2022 신학논단 Vol.110 No.-

        본 연구는 종교개혁자들의 성찬론을 츠빙글리와 칼뱅에 초점을 맞추어 연구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따라서 사전연구의 차원에서 제1, 2차 성찬논쟁을 살핀 후 1525년에 츠빙글리에 의해 시작된 개혁교회의 첫 성찬이후 칼뱅에 의해서 성경적인 성례가 정착되는 과정을 츠빙글리와 칼뱅의 연속성과 불연속성을 살피는 것으로 전개할 것이다. 츠빙글리의 성찬론은 1528년의 베른에서의 첫 번째 설교에서 집대성되는 것을 발견할 수 있다. 그는 자신의 성찬론은 사도신경에서 나왔다고 말하면서 루터파의 성자의 인성의 편재를 비판한다. 츠빙글리가 개혁신학에서 기여한 것은 루터의 종교개혁이 온전히 성경에 이르지 못하는 부분에 대해서 분명하게 반대하고 개혁신학의 성찬론의 정초를 놓았다는 점이다. 1525년에 처음으로 행하여진 취리히의 개혁된 성찬론은 회중이 떡과 잔을 받는 이중배찬이 시행되었고, 떡에 경배하지도 절하지도 않았으며 무릎을 꿇고 받은 것이 아니라 서서 받았다. 한편 칼뱅의 성찬론의 특징은 말씀과 성례를 연결하고 있다는 점이다. 이것은 츠빙글리가 성례를 도구로 보지 않았던 것과는 대조가 되며, 칼뱅은 성례를 은혜의 방편에 편입시킨다. 또한 칼뱅은 성령의 역사를 입한다. 그러므로 칼뱅은 루터의 그리스도의 임재라는 초기의 사상을 가져오되 육체적 임재를 거부하면서 영적 임재와 연합으로 나아가며, 츠빙글리의 문자적 상징론과 기념이라는 개념의 한계를 넘어 성령을 통해 그리스도의 몸에 참여하게 하신다는 연합과 효력을 주장한다. 1525년에 취리히에서 첫 개혁교회의 성찬이 시행되었다면 1541년에 제네바에서 올바른 성찬이 비로소 시행되었다고 평가할 수 있을 것이다. 츠빙글리에 배경을 둔 베른 모델은 칼뱅에 의해서 제네바 모델과 충돌을 일으킨다. 대표적인 것은 성찬에서의 무교병의 사용과 성찬에 참여하는 자의 자격에 대한 부분, 성찬의 시행 횟수에 대하여 충돌을 일으켰다. 칼뱅과 제네바는 1541년에 제네바 모델을 완성하고 취리히와 다른 길을 걷게 된다. 그러나 1549년 취리히 일치신조를 통해서 성찬론의 회복을 도모한다. 칼뱅은 츠빙글리의 어깨를 넘어선다. 한국교회에서의 성찬론은 초라하다. 개혁교회, 장로교회의 정체성은 말할 것도 없고, 개혁교회의 성찬론이 올바르게 목회현장에서 실천되고 있다고 말할 사람은 없을 것이다. 개혁신학의 성찬론을 재정립하고 현대교회에 어떻게 적용할 것인가에 대한 연구가 절실히 필요하다. This study aims to study the Reformers’ doctrine of the Lord’s Supper, focusing on Zwingli and Calvin. Therefore, after examining the 1st and 2nd sacramental debates in terms of preliminary research, after the first communion in the Reformed Church started by Zwingli in 1525, the process of establishing the biblical sacrament by Calvin is to examine the continuity and discontinuity of Zwingli and Calvin. will unfold Zwingli’s doctrine of the Lord’s Supper can be found compiled in his first sermon in Bern in 1528. He criticizes the omnipresence of the Lutheran saint’s personality, saying that his doctrine of the Eucharist came from the Apostles’ Creed. Zwingli’s contribution to Reformed theology is that he clearly opposed Luther’s Reformation to the part that did not fully reach the Bible and laid the foundation for the Eucharist of Reformed theology. Zurich’s reformed doctrine of the Lord’s Supper, which was first conducted in 1525, was practiced in which the congregation received the bread and the cup. On the other hand, the characteristic of Calvin’s doctrine of the Eucharist is that it connects the Word and the sacrament. This is in contrast to Zwingli’s not seeing the sacrament as an instrument, and Calvin incorporates the sacrament into the means of grace. Also, Calvin introduces the work of the Holy Spirit. Therefore, Calvin brought Luther’s early idea of the presence of Christ, but rejecting the physical presence, moving toward spiritual presence and unity, and going beyond the limits of Zwingli’s literal symbolism and the concept of commemoration, to participate in the body of Christ through the Holy Spirit. It asserts unity and efficacy. If the first Reformed communion was performed in Zurich in 1525, it can be evaluated that the proper communion was performed in Geneva in 1541. The Bern model based in Zwingli clashes with the Geneva model by Calvin. A representative case is the use of unleavened bread in the sacrament, the qualifications of those who participate in the sacrament, and the number of times of the sacrament. Calvin and Geneva completed the Geneva model in 1541 and walked a different path from Zurich. However, through the Zurich Unity Creed in 1549, the doctrine of Eucharist was restored. Calvin rises above Zwingli’s shoulders. The doctrine of Eucharist in Korean churches is shabby. Not to mention the identity of the Reformed Church and the Presbyterian Church, no one will say that the Reformed Church’s doctrine of the Lord’s Supper is being properly practiced in the ministry field. There is an urgent need for a study on how to redefine the doctrine of Eucharist in Reformed theology and apply it to the modern church.

      • KCI등재

        Educational Implications for the Context of the Eucharist in the Presbyterian Church of Korea with Attention to Eucharistic Hospitality

        Hyoung Seop Shin(신형섭) 장로회신학대학교 세계선교연구원 2017 선교와 신학 Vol.43 No.-

        본 연구는 예전학자 클라우디오 카발해스의 성찬적 환대의 관점을 중심으로 한국 장로교 성찬의 현장을 비판적으로 분석하여, 보다 합당한 성찬적 이해와 실행을 위한 기독교교육적 함의들을 찾아보고자 한다. 성찬은 반복적이고 형식적인 의례를 넘어서서 하나님의 백성들이 적극적으로 환대를 받고, 그들의 삶의 이야기와 이슈들이 복음안에서 새롭게 해석되며, 그들의 신앙과 세상 속에서의 삶이 소망안에서 다시 변혁되어지는 형성적인 의례이다. 기독교 의례는 참여하는 회중들의 신앙에 대하여 형성적인 특징을 갖고 있기에, 회중들의 성찬적 환대에 대한 이해와 실천과 경험은 그들의 신앙형성과 변혁에 영향을 주게 된다. 이러한 관점에서, 본 연구는 다음의 질문을 제기한다. “현재 한국 장로교에서 실행하는 예배의 현장에서의 성찬과 교실에서 가르치는 성찬교육은 회중들로 하여금 성찬을 환대의 예전으로 이해하고 참여하게 돕고 있는가?”“만일 환대의 예전으로 이해하고 참여함에 제한점이 있다면, 이를 개선하기 위하여 어떠한 기독교교육적인 실천들과 함의들이 요구 되어지는가?” 이를 위하여, 본 연구는 첫째 성찬적 환대에 대한 이해와 신학적이고 예전적인 이슈들을 카발해스의 이론을 중심으로 요약 및 정리하고, 둘째, 이를 바탕으로 저자가 속한 교단(장로교통합)에서 현재 사용하고 있는 성찬에 관한 공식적 예전문서들과 목회메뉴얼과 성경공부 커리큘럼자료를 비판적으로 분석하며, 셋째, 보다 나은 성찬실행과 성찬교육을 위한 한국교회의 기독교교육적 함의들을 찾아보고자 한다. 본 연구는 환대의 예전으로서의 성찬이 보다 비판적으로 실천되어지고,지속적으로 갱신되어지며, 창조적으로 응답되어지기 위해서, 성찬의 신학적이고 예전적인 기준들이 성찬에 참여하는 회중들의 구체적인 삶의 이야기들과 보다 적극적이고 역동적으로 대화하여야 하며, 나아가 이를 실천하기 위하여 회중들의 역할과 책임이 수동적이고 반복적이고 참여자로부터 창조적이고, 협력적이고, 비판적인 반추자 및 축하자로 재개념화 되어져야 함을 강조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ind educational implications for the context of the Eucharist in the Presbyterian Church of Korea with attention to eucharistic hospitality through critical analysis of the existing eucharistic texts and curriculum materials in light of Cláudio Carvalhaes’ understanding of hospitable eucharistic borderless border. According to Carvalhaes, the eucharistic hospitality is the biblical, theological, and liturgical imperative with serious understanding of the Eucharist not as a liturgy of static, repetitive, and formal rite but as a liturgy of ongoing, creative, and formative rite, where God’ people including the marginalized are welcomed actively and their life stories and issues are reinterpreted critically in the light of Gospel, and their faith and Christian life in the world are recreated innovatively. Since Christian liturgy is either formative or deformative depending on its methods and practices, appropriately celebrated eucharistic practices rooted in sound, and robust understanding of the eucharistic hospitality can help people’s faith to be formed and transformed. In this regard, this study raises the following generative questions: “How much do current contexts of the Eucharist help congregation members understand and experience the Eucharist as the liturgy of hospitality both at the eucharistic table in a sanctuary and in a classroom of the Eucharist?” “If there are limits, what will need to be challenged and changed in the view of Christian education?” With these questions in mind, this study identifies the theological understanding, issues, and conversations of the eucharistic hospitality in the view of Carvalhaes, critically analyzes the current eucharistic texts and curriculum materials found in the Book of Common Worship (PCK) and Minister’s Manual for Worship Ministry, and find educational implications that help congregation members understand and participate in the Eucharist as a formative liturgy of the hospitality. I hope that this study may help liturgists and congregation members in Korean Church to understand the Eucharist as a formative liturgy of hospitality and to participate in it fully, actively, and consciously both by reforming eucharistic practices critically not only sound biblical, theological, and liturgical foundations but also sociopolitical, contextual considerations and by reconceptualizing their roles and responsibilities as creative, collaborative, and critical reflectors and co-celebrants.

      • KCI등재

        개신교 성찬 예배를 위한 제언

        김순환 한국실천신학회 2010 신학과 실천 Vol.0 No.24

        성찬은 초대교회로부터 전수된 전통적 지혜요, 관습이다. 오늘날 많은 개신교회들이 이를 주일 공예배 안에 제대로 복원하여 사용하고자 하는 관심은 높아졌지만 그럼에도 불구하고 목회 현장에서 더 이상의 두드러진 변화는 나타나지 않고 있다. 이런 이유는 비록 교회가 과거에 비하여 예배 내의 성례전의 비중을 강화하고자 하는 관심은 높아졌지만 그럼에도 불구하고 현대 개신교들이 처한 특정의 사회문화적 환경에, 특히 그런 정황에 맞게 적용하려는 노력을 심도 있게 기울이지 못하는 것이 주원인이라 할 수 있다. 오늘의 사회를 사는 사람들은 고대 사회의 사람들과 문화적 패러다임에 있어서 전적으로 다르며 그들이 경험한 성찬은 그들 자신의 문화적 배경 하에 존재하는 상징 및 소통 미디어로 포장된 것이었음을 잊어서는 안 된다. 종교개혁시대의 기독교인들이 그랬던 것처럼 오늘의 신자들은 급격하게 변화하는 새로운 다중 매체 환경에 빠르고 효과적으로 적응하기 위해 부단한 노력을 기울이지 않을 수 없는 현실 속에서 살고 있다. 그러므로 만일 현재의 개신교회들이 보다 전략적이고도 사려 깊은 태도와 검토 없이 성찬의 원형적 형식과 내용을 존중한다는 명분으로 과거 그대로 복원하려고 시도한다면 이는 반드시 형식주의에 빠지거나 결과적으로 실체적인 성찬 경험을 가져오는 데 실패하고 마는 결과를 낳고 말 것이다. 오늘의 세계 속의 사람들은 과도하게 문어적인 표현의 옛 스타일 속에 들어 있는 지루하고 불필요한 표현들에 대해 편안함을 느낄 수가 없다. 이런 인식 위에서 오늘의 교회는 그 현실을 직시하고 소중한 상징 복음인 성찬을 현대 기독교인들 가운데 지속적으로 의미 있게 주어지도로 하기 위한, 좀 더 세밀하고 상황 변용적 기획 등의 노력을 더 한층 기울여야 할 것이다.

      • KCI등재

        성찬 참여자의 자격에 대한 고찰 및 제언

        박해정 한국실천신학회 2018 신학과 실천 Vol.0 No.59

        오늘날 한국의 개신교 예배 상황에서 성찬 수찬자의 자격은 크게 논란이 되지 않는다. 대부분의 교단들이 세례자 성찬을 시행하고 있기 때문이다. 성찬 참여자의 자격에 대해서 교단법으로 명시한 교단도 있고, 비록 법으로 명시하고 있지는 않지만, 전통적으로 성찬의 자리가 세례를 받은 자들에게만 열려 있는 것으로 알고 시행하고 있다. 하지만, 오늘날 교회에서는 성찬 수찬자의 자격을 세례자로 한정하기 어려운 목회 현실을 경험하고 있다. 더욱이 대형교회의 경우 세례자인지 비세례자인지 확인할 방법이 없다. 그리고 세례자들만 성찬상 앞으로 나오라는 표현을 하는 것도 목회적으로 어렵다. 이미 서구 교회에서는 고교회 전통에 있는 교회에서도 성찬 수찬자의 자격에 대한 포괄적이며 수용적 입장을 취하고 있다. 샌프란시스코에 위치한 성 그레고리 닛사 교회는 40여 년 전부터 예배의 형식도 전통적인 성공회의 것을 따르지 않았으며, 성찬 참여자의 자격도 오픈 성찬의 형식을 취하였다. 성공회의 교회법은 아직도 세례인에게만 성찬을 허락하고 있지만, 북미대륙의 많은 성공회에서는 미사에 참여한 모든 사람은 성찬의 자리에 초대받고 있는 상황이다. 북미대륙의 개신교회는 성찬 수찬자의 자격에 대한 폭넓은 신학적 논의가 이루어졌으며, 지금도 예배학에서 가장 뜨거운 논쟁의 주제 가운데 하나이다. 더욱이 예전복고운동(Liturgical Movement)의 영향으로 매주 성찬을 강조하고 있는 북미대륙 개신교 상황에서, 교회를 방문하였거나 새로 나온 이들의 성찬 수찬에 대한 논쟁이 증폭될 수밖에 없는 상황이다. 성찬의 비중이 점점 늘어나고 있는 한국 개신교 예배 상황에서 성찬 수찬자의 자격에 대해서 어떤 자세를 취하는 것이 성서적 전통과 초대교회적 이해에 부합되는 것인지를 이 논문을 통해서 다루고자 한다. 특별히 오픈성찬의 신학적 정당성은 어디 있으며, 이를 시행함에 있어서 고려해야 될 영역이 무엇인지 살펴본다. ‘Who would be invited to the Lord's Table?’ is not a main question in Korean protestant churches. In Korean protestant church context, the baptized has been only invited to the table according to either its denominational law or tradition. However, in western churches, 'who would be invited to the Lord's table?' is one of the most controversial subjects in the liturgical gatherings either in academia or in ministry. In general, so called high church tradition denominations including Episcopal and Lutheran have been firmly maintained closed communion. However, about four decades ago, one of the local Episcopal churches in San Francisco opened the communion for those who attended its mass in the name of hospitality of Jesus. Since then, regarding the condition of participant of the communion brought up an controversial issue. Even though Korean protestant churches are not yet facing about 'who would be on the table?' I strongly believe that sooner or later, it would be a challenging matter to the church. In this paper, I examined how the Scripture and writings of the primitive church and its leaders deal with qualification of participants of the Lord's Supper. Additionally, I examined theological issues of open communion and the baptized communion in western context and Korean context. I proposed several reasons of supporting open communion. When the church performs open communion, there are several matters to be considered. I do not mean that I oppose the baptized communion. As a liturgical scholar, I strongly believe that the baptized communion must be accepted as a genuine and prototype sacrament presenting Christ's self giving grace. Unfortunately, from my observation, in Korean protestant ministry the ritual of baptism is not properly prepared and performed. I believe that the baptism cannot be a condition of communion. From Wesleyan perspective, communion is a converting ordinance, and the table can be open for those who earnestly repent their sin and love the Lord Jesus Christ. However, the open communion cannot be treated as cheap grace but free grace.

      • KCI등재

        성찬설교의 표상적인 의미 연구

        김병석 한국실천신학회 2017 신학과 실천 Vol.0 No.56

        성찬설교는 기독교복음의 핵심적인 메시지이다. 성찬설교는 성찬이 있는 예배에서의 메시지이며, 성찬 집례자가 말하는 물질적인 성찬에 대한 해석과 설명을 의미한다. 전자와 후자는 모두 그리스도 중심적 예배와 그리스도 중심적 설교로 표상화 된다. 성찬설교는 성찬을 구술적인 언어로 표상화 하는 과정을 의미하고, 구술적인 예배는 성서에 등장하는 회당예배 유형에서 찾을 수 있다. 회당예배는 개신교의 말씀의 예전과 비슷하다 볼 수 있다. 성찬은 그 자체로서 성서 메시지를 내포하며 이를 위한 시각적 언어효과를 자아내는 이미지이다. 이처럼 시각적인 언어로 표상화 되는 것이 성찬이라면, 이런 성찬의 시각적인 표상을 구술적인 언어로 표상화 하는 것이 성찬설교이다. 성찬은 예수 그리스도께서 명시한 복음의 핵심을 유비적인 메타포로 세상에 선포하는 기독교 의례 양식이다. 성찬의 재료, 즉 빵과 포도주에 담긴 예수 그리스도의 몸과 피의 의미는 주님께서 명확하게 설명한 복음 그 자체로서 이보다 더 우선되는 다른 성찬의 의미는 없다. 이처럼 성찬이 성찬 본래의 의미인 예수 그리스도의 대속의 의미, 예수 그리스도의 몸과 피가 인류에게 주는 ‘죄 사함’의 의미가 아닌 기타 다양한 의미에 대한 표명의 수단으로 전해지는 것은 성찬의 원초적 본래성을 훼손할 위험성을 다분히 갖는다. 성찬은 칼빈의 통찰처럼 ‘보이는 말씀’이기 때문에, 이미 그 안에 내포되어 있는 인류를 향한 다양한 유의미한 확장성이 있다. 따라서 성찬설교가 성찬을 통해서 예수 그리스도의 몸과 피를 통한 대속적인 의미, ‘죄 사함’의 의미 외에 인간학, 사회문화의 파생적 의미들에 머무는 것은 성찬의 우선성과 거리가 있다. 성찬 본래의 의미인 예수 그리스도의 ‘십자가의 대속적 죽음과 인류의 죄 사함’을 위한 주님의 ‘몸과 피’가 우선적인 성찬의 제1의 의미이다. 성찬의 제1의 의미, 성찬의 우선적인 의미가 훼손되는 성찬설교는 예수 그리스도께서 명시한 것에 위배되며, “오직 성경”이라는 개혁교회 정신의 명시성과도 거리가 멀다. 교회 공동체와 오늘날의 성찬신학은, 성찬설교가 성찬의 본래적 의미를 파생적으로 확장시키는 경향성, 곧 성찬설교의 본래적 가치의 훼손을 초래하는 원인을 바로 알아야 한다. 또한 신앙 공동체는 지켜야 할 성찬의 명확성을 분명히 해야 한다. 오늘날 교회 공동체는 성찬설교가 지향해야 하는 성찬 해석에 대한 명시적인 과제를 분명히 하고, 성찬설교가 선포해야 할 바른 성찬의미를 세상에 굳건히 세워야 한다. Preaching Eucharist is the central message of the Christian Gospel. The Preaching Eucharist is a message in a Sacramental Worship, which means the interpretation and explanation of the material Sacrament the priest speaks. This is all expressed as a Christ-centered Worship and a Christ-centered Preaching. Preaching Eucharist means the process of representing the Sacrament in verbal language, and oral Worship can be found in the type of Synagogue Worship that appears in the Bible. The Synagogue Worship is similar to that of the Protestant Worship. The Eucharist itself is an image which implies the message of the Bible and gives visual language effect for it. The Eucharist is the visual gospel, and the Preaching Eucharist portrays the visual effect of the Sacrament in oral language. The Eucharist is a form of Christian ritual proclaiming Jesus Christ's Gospel to the world in an analogous metaphor. The substance of the Eucharist, the Body and Blood of Jesus Christ in Bread and Cups, is the Gospel itself that the Lord clearly explains, and there is no other meaning Eucharist of higher priority. When the Eucharist is concerned with other various meanings than the meaning of the Redemption Death of Jesus Christ, the original nature of the Eucharist is undermined. If the Eucharist remains an integral part of anthropology and social culture, the original meaning of the Eucharist will be undermined. If the original meaning of the Eucharist is undermined, what Jesus Christ has stated is undermined, and the spirit of the Reformed Church, "Only the Bible," is destroyed. The Church community and today's Eucharist theology should know the damage of tendency to expand the original meaning of the Eucharist, that is, the destruction of the original value of the Preaching Eucharist. The community of faith should clarify the clarity of the Eucharist to be observed in Biblical clarity. So the Preaching Eucharist must be firmly established in the world to mean the right Eucharist to be proclaimed.

      • KCI등재

        초기 한국교회 찬송가에 나타난 성찬이해

        김태규 한국복음주의실천신학회 2014 복음과 실천신학 Vol.33 No.-

        성찬은 생명을 주시는 하나님의 은혜의 수단이며, 반복적 특성이 있는 예식이다. 본 논문에서는 한국교회 초기 찬송가사에 나타난 성찬이해를 살펴보았다. 『찬양가』는 한국교회 최초의 악보판 개인 찬송가집으로, 최초로 한국인의 창작시 성찬가사라는 점에서 의의를 지닌다. 『찬셩시』는 장로교 최초 공식찬송가로 성찬을 그리스도의 몸과 피를 상징하며 동시에 성찬의 효과를 실제적인 것으로 이해하고 있다. 『찬숑가』는 최초의 장로교· 감리교 연합 찬송가이며 성찬가사가 성찬 참여자 개인(“나”)에 맞추어져 성찬의 공동체적인 면이 덜 강조되고 있다. 『신증복음가』는 성결교 찬송가로서, 일본 성결교회 목사의 찬송시를 번역한 것이며, 성찬의 의미를 과거, 현재, 미래적 차원에서 골고루 강조하고 있다. 『신뎡찬송가』는 감리교 전용 찬송가로서 여기서는 성찬의 잔치적 성격을 잘 드러내고 있다. 한국교회 찬송가에는 한국인의 성찬 창작가사가 초기 여러 찬송가를 비롯하여 『통일찬송가』에 이르기까지 『찬양가』의 성찬가사 외에 거의 반영되어 있지 않다. 한국교회는 선교 120년을 지나고 있는 이 시점에서 찬송가에 세계 여러 나라의 전통적, 복음적 성찬찬송을 적절하게 반영하고 계승할 뿐 아니라, 더 나아가 한국인이 지은 성찬 찬송가사와 곡을 더 많이 활용하여야 할 것이다. 또한 이 논문에서는 최근 발행된 찬송가에 나타난 성찬찬송를 다루지 못했으므로 이에 대한 연구가 이루어지기를 바란다. A Holy Communion is a means of grace of God and a sacrament that has a repetitive aspe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understandings of the Lord’s Supper as expressed in the words of early Korean hymnalsChangyangga, the first personal hymnbook with musical notes in the history of Korean church. The significance of this hymn is that it is the first Eucharist hymn wirtten by a Korean. Chansungsi, the first offical hymnal of the Presbyterian Church. The Eucharist represents the body and blood of Christ, and understands the effect of the Eucharist to be real. Chansongga, the first United Hymnal of Presbyterian and Methodist Church. Because the focus is on a person who participates in the Eucharist, the communal aspect of the Holy Communion is less emphasized. SinjeungBokeumga, the hymnal of the Holiness Church. This is a translation of a hymn written by a Japanese Holiness pastor, and emphasizes the past, present, and future aspects of the Holy Communion. SinjeungChansongga, the Methodist Church's hymnal. The festive aspect of the Holy Communion is stressed. Eucharist hymns written by Koreans are rarely found in the Korean Church's hymnal, old or new hymnal Tongil Chansongga, except the one in Changyangga. It is important to have Korean Eucharist hymns that contain our emotions, either in words or in melody. It is fortunate that there are more hymnal written and composed by Koreans than in the past. At this important point of 130 years of Christian mission, the Korean Church is required not only to keep the traditional and evangelical hymnals, but also to include more hymnals by Koreans. The further study regarding Eucharist hymns published in recent years is suggested because it is not done in this study.

      • KCI등재

        성찬에 대한 질적 연구

        양승아 21세기기독교사회문화아카데미 2022 신학과 사회 Vol.36 No.2

        This study examines whether the sacrament, which is currently performed in Korean churches, functions as a social ritual. And this study tried to find a way to restore the social function of the Eucharist. For this purpose, this study used a qualitative research method on the sacrament. The scope of this study was limited to medium-sized churches (300-1000 members) located in Seoul. In this study, the study participants of the ethnographic interview were five Christians attending a medium-sized church in Seoul. In this study, two churches were selected as the study subjects of observational study. Among the churches to which the study participants belonged, these churches allowed observation of the Eucharist. The following facts were confirmed through this study. First, the number of sacraments is related to the Christian's understanding and experience of the sacraments. Second, the sacrament is not united with worship. And the Lord's Supper is performed in the same way regardless of the season. Third, the image of the Eucharist that the participants know is limited to the 'Sacrifice and Salvation of Jesus Christ'. Fourth, the lack of understanding of the sacrament and the absence of in-depth experience makes the communion participants passively participate without expectation of the sacrament. This sacramental experience does not produce a changed life.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this study proposes the following for the change of the sacrament of the Korean church. First, education on the Lord's Supper should be provided in the Korean church. Second, worship and the Lord's Supper must be united. Third, the Korean church should try to change the way the sacrament is performed according to the seasons. Fourth, the Korean church should consider the number of communion. This study hopes that the Eucharist can fully express its function as a social ritual through change and try. So, I hope that the Korean church will be able to establish itself as an alternative community that changes society with the values of Christianity. 본 연구는 현재 한국교회에서 수행되는 성찬이 사회적 의례로서 기능하고 있는지 를 살펴보았다. 그리고 성찬이 사회적 기능을 회복할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하고자 하 였다. 이를 위해 본 연구는 성찬에 대한 질적 연구방법을 사용하였다. 연구범위는 서 울에 위치한 중형교회(교인 수 300-1000 명)로 제한하였다. 민족지적 인터뷰의 연구 대상자는 서울에 있는 중형교회에 출석하는 다섯 명의 기독교인으로 선정하였고, 관 찰 연구 대상은 연구대상자들이 속한 교회 중 성찬에 대한 관찰을 허락한 두 교회로 선정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다음과 같은 사실을 확인할 수 있었다. 첫째, 성찬의 횟수는 기독 교인의 성찬에 대한 이해와 경험과 연관된다. 둘째, 성찬은 예배와 일체되지 못하고 있다. 그리고 성찬은 절기와 상관없이 동일한 방식으로 수행되고 있다. 셋째, 참가자 들이 알고 있는 성찬에 대한 이미지는 ‘예수 그리스도의 희생과 구원’과 관련된 이미 지로 한정되어 있다. 넷째, 성찬에 대한 이해의 부족과 깊이 있는 경험의 부재는 성 찬에 기대감 없이 수동적으로 참여하게 만든다. 이러한 성찬 경험은 변화된 삶으로 이끌어가지 못한다. 이런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한국교회 성찬의 변화를 위해 다음과 같이 제언하고자 한다. 첫째, 성찬에 대한 교육이 이루어져야 한다. 둘째, 예배와 성 찬의 일체되어야 한다. 셋째, 절기에 따라 성찬 수행 방식이 변화되도록 시도해 보아 야 한다. 넷째, 성찬의 횟수에 대해 고려해 보아야 한다. 성찬은 기독교의 성례전이자 사회적 의례이다. 한국교회에서 성찬의 교육이 이루 어지고, 성찬과 설교 더 나아가 성찬과 예배가 일체되고, 절기에 따라 성찬의 다양한 이미지 중 절기의 의미를 부각시킬 수 있는 성찬이 수행되어 기독교인으로 하여금 성찬에 대한 이해와 성찬에 대한 깊이 있는 경험을 하게 함으로써, 성찬을 통해 삶 이 변화될 수 있기를 바란다. 그렇게 성찬의 변화를 통해 성찬이 사회적 의례로서의 기능을 온전히 발현하여, 한국교회로 하여금 기독교의 가치로 사회를 변화시키는 대 안공동체로 자리할 수 있길 기대해본다.

      • KCI등재

        성찬, 세례받은 자들의 공동식사: 유아/아동 세례자의 성찬 참여에 대한 고찰

        Choi, Seungkeun 한국복음주의실천신학회 2023 복음과 실천신학 Vol.68 No.-

        There has been some discussion about allowing baptized children to participate in the Eucharist before they are confirmed, since the Eucharist is a communal meal given to the baptized. More denominations are now practicing infant communion. But even within these denominations, there is reluctance, unwillingness, or opposition to children participating in communion. Although many reasons are given for their reluctance and opposition, they can be boiled down to two main reasons based on 1 Corinthians 11: “discerning the body” and “teaching about the Eucharist. In this paper, I make several arguments regarding the practice of the Eucharist with children: The practice of the Eucharist with children is a proper implementation of Paul's teaching on “discerning the body” in 1 Corinthians 11. Since the sacrament is a special communal meal given to the community of the baptized, Paul’s teaching on the discernment of the body must be interpreted communally; the practice of the Eucharist with children can be an important and effective place for children and their parents to learn about and become familiar with the sacrament; the practice of the sacrament with children can be an important way of forming the church into a countercultural community; and it must be accompanied by post-Eucharistic teaching. 성찬은 세례받은 자에게 허락된 공동식사이기에, 유아/아동 세례를받은 이들도 성찬에 참여케 해야 한다는 논의가 지난 수십 년 동안 있었고, 오늘날 유아/아동 성찬을 시행하는 교단의 수도 점차 많아지고있다. 그러나 그러한 교단들 내에도 어린이들의 성찬 참여를 꺼리며(적극적으로) 시행하지 않거나 반대하는 교회들도 적지 않다. 많은 이유가 언급되지만, 고린도전서 11장을 토대로‘몸의 분별’과 그것을 위한‘성찬 교육’으로 수렴될 수 있을 것 같다. 본 연구자는 이 논문을 통해 아동 성찬 시행과 관련하여 몇 가지를 주장하고자 한다: 아동 성찬시행은 고린도전서 11장의‘몸의 분별’에 대한 바울의 가르침을 올바르게 실천하는 것이다. 성찬은 세례받은 자들의 공동체라는 교회에 허락된 특별한 공동식사이기에 바울이 말한 몸의 분별은 공동체적으로해석해야 하기 때문이다; 아동 성찬 시행은 아이들 뿐 아니라 그들의부모가 성찬을 배우고 익숙해질 수 있는 중요하고 효과적인 장이 될 수있다; 또한 아동 성찬 시행은 교회를 대항 문화적인 공동체로 형성하는중요한 통로가 된다; 그리고 성찬 후 교육은 함께 실행되어야 한다.

      • KCI등재

        Educational Implications for the Context of the Eucharist in the Presbyterian Church of Korea with Attention to Eucharistic Hospitality

        신형섭 장로회신학대학교 세계선교연구원 2017 선교와 신학 Vol.43 No.-

        본 연구는 예전학자 클라우디오 카발해스의 성찬적 환대의 관점을 중심으로 한국 장로교 성찬의 현장을 비판적으로 분석하여, 보다 합당한 성찬적 이해와 실행을 위한 기독교교육적 함의들을 찾아보고자 한다. 성찬은 반복적이고 형식적인 의례를 넘어서서 하나님의 백성들이 적극적으로 환대를 받고, 그들의 삶의 이야기와 이슈들이 복음안에서 새롭게 해석되며, 그들의 신앙과 세상 속에서의 삶이 소망안에서 다시 변혁되어지는 형성적인 의례이다. 기독교 의례는 참여하는 회중들의 신앙에 대하여 형성적인 특징을 갖고 있기에, 회중들의 성찬적 환대에 대한 이해와 실천과 경험은 그들의 신앙형성과 변혁에 영향을 주게 된다. 이러한 관점에서, 본 연구는 다음의 질문을 제기한다. “현재 한국 장로교에서 실행하는 예배의 현장에서의 성찬과 교실에서 가르치는 성찬교육은 회중들로 하여금 성찬을 환대의 예전으로 이해하고 참여하게 돕고 있는가?”“만일 환대의 예전으로 이해하고 참여함에 제한점이 있다면, 이를 개선하기 위하여 어떠한 기독교교육적인 실천들과 함의들이 요구 되어지는가?” 본 연구는 첫째 성찬적 환대에 대한 이해와 신학적이고 예전적인 이슈들을 카발해스의 이론을 중심으로 요약 및 정리하고, 둘째, 현재 사용하고 있는 성찬에 관한 공식적 예전문서들과 목회메뉴얼과 성경공부 커리큘럼자료를며셋째, 보다 나은 성찬실행과 성찬교육을 위한 한국교회의 본 연구는 환대의 예전으로서의 성찬이 보다 비판적으로 실천되어지고,지속적으로 갱신되어지며, 창조적으로 응답되어지기 위해서, 성찬의 신학적이고 예전적인 기준들이 성찬에 참여하는 회중들의 구체적인 삶의 이야기들과 보다 적극적이고 역동적으로 대화하여야 하며, 나아가 이를 실천하기 위하여 회중들의 역할과 책임이 수동적이고 반복적이고 참여자로부터 창조적이고, 협력적이고, 비판적인 반추자 및 축하자로 재개념화 되어져야 함을 강조한다. In this regard, this study raises the following generative questions: “How much do current contexts of the Eucharist help congregation members understand and experience the Eucharist as the liturgy of hospitality both at the eucharistic table in a sanctuary and in a classroom of the Eucharist?” “If there are limits, what will need to be challenged and changed in the view of Christian education?” With these questions in mind, this study identifies the theological understanding, issues, and conversations of the eucharistic hospitality in the view of Carvalhaes, critically analyzes the current eucharistic texts and curriculum materials found in the Book of Common Worship(PCK) and Minister’s Manual for Worship Ministry, and find educational implications that help congregation members understand and participate in the Eucharist as a formative liturgy of the hospitality. I hope that this study may help liturgists and congregation members in Korean Church to understand the Eucharist as a formative liturgy of hospitality and to participate in it fully, actively, and consciously both by reforming eucharistic practices critically not only sound biblical, theological, and liturgical foundations but also socio-political, contextual considerations and by reconceptualizing their roles and responsibilities as creative, collaborative, and critical reflectors and co-celebrants.

      • KCI등재

        성찬, 경배의 대상인가?: 루터파와 후스파의 대화를 통해 본 종교개혁적 성찬 이해

        김동주 한국기독교교육정보학회 2017 기독교교육정보 Vol.0 No.55

        The study explores meaning of the Lord's Supper in terms of Protestantism by investigating Martin Luther's idea on the Lord's Supper. This theme is described in the context of Luther's encountering with and responding to Bohemian groups. In the 16th century, Bohemian church and Lutheran church searched for theological solidarity, but the main issue between them was the understanding of the sacrament. Unlike Catholicism who did not offer the cup, these two sects practiced the Lord's Supper with two elements, that is bread and cup, by distributing to the whole congregation. Nevertheless, some of the theological implications contained therein were not agreed upon among them. Followers of Huss was under the influence sacramental symbolism due to the impact from the Swiss Reformers. This is reflected in the Bohemian church's teaching materials for the youths. Luther, who was interested in the ideas of Bohemian group and after reading this little book, wrote a new lesson on the sacrament with the aim of providing sound protestant theology on the Sacraments. Bohemian's attitude in participating in the Lord's Supper was cohesive and obligatory, asking people to adore the elements. However, Luther emphasized that the issue of adoration of the sacrament belongs to a believer's free choice. The most important proposition in Luther's thought about the sacrament is acceptance of God's faithful covenant of salvation and trust in the unchanging Word which is present in the Table. First, Lord's Supper is not a Mass which is offered to God. Rather, it is a gift from God to us. The reformer encourages Christians to always focus on promises that enable the sacrament. And that showing faith in the promise with respect for the heart is a worthy worship of the sacrament. Second, the sacrament is not an ordinance raised by our outward actions. This is the act of the Lord giving us a covenant, pouring out love, and supplying the eternal life. We participate in the sacrament and always eat the amazing body of Christ and drink blood. The living Christ has placed us in his own covenant, fulfilling all the covenants of the Old Testament, and enjoys the gift of this covenant through the sacrament. The time for the sacrament is when Christ actually fulfills and pours out the covenant promise to us. After Luther revealed his thoughts on the sacrament to Bohemia, he asked for their answers. Huss' followers, however, could not keep up with Lutheran. Since 1532, two groups accepted other party's confessional stance and the Bohemian church agreed with Luther on the issue at stake. 종교개혁 성찬 이해는 루터의 사상에서 기본적으로 발전되었다. 그런데 그의 성찬 이해는 후스파로 불리는 보헤미아 교도들과의 대화 과정에서 구체적인 틀을 갖추게 되었다. 특히 성찬에 대한 보헤미아 그룹의 청소년 교범은 루터의 큰 관심을 끌었고 양종 성찬 같은 외형적 틀은 유지하나 신학적 성찰은 루터에 의해 제공되기 시작했다. 성찬에 대한 루터의 견해를 반영한 후스파의 교범은 모범적이다. 아동 교육에 관한 부분에 있어 후스파의 노력은 루터파를 앞선 것이었다. 유아세례를 받은 아동들 중 신앙을 고백할 수 있는 자녀들은 누구든지 성찬에 참여하는 것을 허락하였다. 이는 참으로 기독교 역사에서 혁명적인 사고였다. 보헤미아의 새로운 교육서는 당시 아동 교육에 후진적이었던 개신교회 진영에 큰 영향을 끼쳤는데 그 내용들은 지금도 적용 가능한 것들이다. 보헤미아 청소년 교범이 성찬의 실제적인 교훈을 제공한다면 보헤미아 교도들을 위해 루터가 저술한 논문은 성찬의 영적인 교훈을 제시하고 있다. 첫째, 종교개혁의 그리스도에 대한 가르침은 부드러운 그리스도이시다. 은혜의 그리스도는 우리 안에 거하시며 늘 우리를 설득하시고 권면하시고 엄청난 인내와 관용으로 대하시며 옛 아담을 죽음에 넘기시며 우리를 새로운 생명과 사랑의 사역으로 이끌어 가신다. 둘째, 루터의 성찬 교훈은 하나님의 언약이요 선물로서의 이해이다. 성찬은 우리의 행위로 올려드리는 의식이 아니다. 이것은 우리에게 언약을 선물하시고 사랑을 부어주시고 생명을 공급하시는 주님의 내리시는 행위이다. 셋째, 우리가 외적인 예배에만 집중한다면 종교개혁의 본질인 내적 예배를 놓치는 것임을 루터는 지적한다. 넷째, 루터의 성찬 대화를 통해 우리는 관용에 대한 그의 생각을 배운다. 그는 신자가 그리스도의 몸에 합당한 경배를 하거나 않거나 자유라고 말한다. 다섯째, 성찬은 결국 우리를 이웃에게 이끈다. 성찬의 다른 이름은 “사랑의 성례(Sacrament of Love)”이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