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계시적 모드로서의 성례

        한재동 한국실천신학회 2013 신학과 실천 Vol.0 No.36

        본고는 개신교의 예전과 신학에 있어서 성례전의 위치 문제를 현대적 사고경향을 배경으로 다룬다. 종교개혁은 “말씀”과 성례전의 균형과 상호관계를 원론적 및 실천적으로 강조했음에도 역사적 맥락상 전자에 비중을 더 둠으로 실제적 균형유지가 어려웠다. 특히 근대의 자연주의적 합리주의의 영향과 함께 그나마 명목상으로 유지되던 균형마저 붕괴되고 말았다. 20세 중반부터 성례전의 중요성이 재인식되고 특히 성만찬의 거행빈도가 늘어나는 추세는 다행이지만 문제는 성례전에 대한 개신교의 관심이 성례전 자체에 대한 신학적 각성보다 외적인 상황변화에 따라 생겼기 때문에 개신교 예배와 신학에서 성례전의 위치는 여전히 애매하다는 것이다. 특히 “말씀”과 계시를 강조해 온 개신교 전통에서 “말씀”과 성례전의 관계가 명확히 설정되지 않고 있으며 따라서 예배에서 보다 많은 성만찬을 거행한다 해도 성만찬의 의의는 모호한 상태로 남아 있는 것이다. 본고는 “말씀”과의 관계에서 성례전의 위치와 의의를 해명하되 특히 성례전의 가치를 다시금 주목하게 만든 현대적 상황과 사고패턴과의 관계에서 조명한다. 성례전의 의의는 상황과 사조의 산물이 아님에도 상황과 사조의 영향을 받아왔기 때문이다. 본고는 두 가지 반어적 접근을 보여준다. 한 편에서 성례전을 개신교의 전통적인 말씀신학의 틀을 통해 접근하면서 전통적인 말씀신학의 한계를 드러내는 방식으로 성례전의 당위적 위치를 확인한다. 즉 개신교의 말씀신학 자체가 성례전을 불가피하게 요청한다는 것이다. 다른 한 편에서 성례전이 전제하는 초자연적 실재에 대한 거부로 성례전을 수용할 수 없는 현대적 사고가 오히려 인간 언어와 인식의 신체-물리적 제약성과 텍스트와 기호의 해석학적 확장에 의해 성례전적 의의를 지지한다는 것이다. 본고의 논지는 성례전은 성육적 말씀을 은유적 및 유비적으로 드러내는 최적의 계시적 수단으로 의도되었으며 이 점에서 성례전은 또 다른 계시적 수단인 성경과 균형을 이루면서 성경을 안내하는 역할을 한다는 것이다. 따라서 성례전은 말씀으로서의 성경과 균형을 이뤄야 하는, 필수적인 또 다른 말씀으로서 그 위치를 예배와 신학에서 회복해야 한다는 것이다. The article deals with the problematics about the status of the sacraments in Protestant liturgies and theologies in view of contemporary thought patterns. Even though the Reformation emphasized the balance and interrelationship between the “Word” and the sacraments in principle and practice, it had difficulty in maintaining the actual balance because the historical setting made it give weight to the former. Especially, influenced by the modern naturalistic rationalism, even the nominally kept balance was lost. Though the importance of the sacraments has been recognized and the frequency of its practices increased since the mid-twentieth century, the problem is that the status of the sacraments in Protestant liturgies and theologies still remains ambiguous because Protestant churches’ concerns with the sacraments were brought about by situational changes external to the sacraments rather than by a theological awakening about them as such. Especially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Word” and the sacraments is not understandably established in the Protestant traditions that have emphasized the Word and revelation; and then the significances of the Eucharist remains obscure while it may be now more frequently performed. The article attempts to explicate the status and significances of the sacraments in connection with the “Word,” especially in light of the contemporary situations and thought patterns. The significances of the sacraments are not a result of situations and thought trends, but they are in fact influenced by them. The article demonstrates two ironic approaches. On the one hand, it uses the traditional Word theology as an access to the significances of the sacraments and at the same time has it expose the necessary status of the sacraments through its disclosed limitation. That is, the Protestant word theology itself requires the necessity of the sacraments. On the other, it shows that the contemporary thought trend, which cannot accept the sacraments because of its denying the supernatural reality presupposed by the sacraments, supports the sacramental significances by its discovery of the body-bound nature of human language and episteme and its hermeneutic expansion of the boundary of text and sign. The argumental point of the article is that the sacraments are intended to be a optimum revelatory means to metaphorically and analogically disclose the incarnate Word and then in this sense the sacraments should be balanced with the Bible as another revelatory means and be worked as an interpretive guidance for the latter. Therefore, the sacraments are another Word, whose status should be restored in worship and theology.

      • 성례전적 예배 공동체: 포스트 코로나 시대의 교회론

        박해정(Haejung Park) 감리교신학대학교 2021 신학과세계 Vol.- No.100

        코로나를 경험하며 모이기를 힘쓰는 기독교 공동체는 큰 위기를 경험하고 있다. 목회데이타 연구소의 조사에 따르면 코로나 이후에도 온라인 예배를 통해서 신앙생활을 하겠다고 응답한 개신교인의 숫자가 증가하고 있음을 볼 수 있다. 이와 같은 현상은 함께 모여서 예배를 드리기에 힘써야 하는 교회의 공동체성에 심각한 위기를 가져올 수 있다. 교회는 단순히 예배를 드리기 위해서 모이는 장소가 아니다. 교회는 그리스도의 몸을 이루는 지체들이 상호 유기적 관계성 속에서 하나님 나라를 경험하는 성례전적 공동체이다. 이는 성경의 가르침을 통해서도 명확하게 알 수 있다. 예수는 세례와 성찬을 행할 것을 명령하였다. 몸소 죄인의 자리에까지 내려와서 세례를 행함으로 교회가 어떻게 이를 행해야 하는지 보여주었다. 자신의 살과 피를 나누는 것이라는 가르침을 통해서 서로가 서로를 사랑하고 주님을 기념하는 방식도 교회에 알려주었다. 초대교회로부터 교회는 성례를 지키는 데 소홀히 하지 않았다. 때로는 은밀하게, 때로는 공적으로 성례를 행하며, 교회는 다음 세대에게 은총의 수단을 가르쳤다. 초대교회 교부들의 가르침과 그들의 기록을 통해서 알 수 있듯이, 초대교회는 성례 공동체였다. 철저한 세례 교육과 세례 예식을 통해서 공동체성을 공고히 하였고, 연이은 성찬을 통해서 교회가 그리스도의 몸 된 지체됨을 말씀으로 듣고, 눈으로 보고, 몸으로 참여하여, 이를 먹고 마심으로 주님을 경험하고 고백하도록 하였다. 초대교회 예배 공동체에 대한 지향성을 가지고 있었던 존 웨슬리 역시 그의 설교를 통해서 교회는 성례전적 이해 위에 세워져야 함을 가르치고 있다. 그는 설교 ‘교회에 관하여(Of the Church)’를 통해서 교회 존재의 당위성을 선포하고, 성례전적 이해 위에 교회가 있음을 가르치고 있다. 이와 같은 그의 가르침은 기독교대한감리교의 성례신학에서도 잘 나타나 있다. 코로나시대에 교회는 교회의 본질에 대한 신학적 성찰을 통해서 오늘의 위기를 극복해야 한다. 교회는 성례를 통해서 교회의 본질과 그 정체성을 다시 한 번 숙고해야 한다. The Christian community, which is struggling to gather in era of corona pandemic, is experiencing a big crisis. According to a survey conducted by the Pastoral Data Institute, the number of Protestant Christians, who said they would live their faith through online worship even after corona pandemic, is increasing. Such a phenomenon could pose a serious crisis to the community of the church, which must come together and work hard to worship. The church is not simply a place to gather for worship. The church is a pre-Holy community where the body of Christ experiences the kingdom of God in a mutual organic relationship. Also, this can clearly be seen from the teachings of the Bible. Jesus ordered his followers to perform baptism and communion. He came down to the place of sinners and was baptized to show how the church should do it. Through the teaching of sharing His own flesh and blood, Jesus also taught the church how to love each other and commemorate the Lord. From the early church, the church did not neglect to observe the Sacrament. Sometimes secretly, sometimes in public, the church taught the next generation the means of grace. The primitive church was a sacramental community, as evidenced by the teachings of the early church Fathers and their writings. John Wesley, who had an orientation toward the early church worship community, also taught through his sermon that the church should be built on sacramental understanding. Through his sermon "Of the Church," he proclaimed the justification for the existence of the church. Additionally he taught that the church was on the basis of the traditional understanding of the Sacrament. His teachings are also well illustrated in the theology of sacrament at the Korean Methodist church. In corona era, the church must overcome today’s crisis through theological reflection on the nature of the Catholic Church. The Church must reconsider its nature and its identity through the Holy Spirit.

      • KCI등재

        성례전 신비설교 : 암브로시우스와 테오도르

        김형락 한국실천신학회 2011 신학과 실천 Vol.0 No.28

        예수 그리스도의 세례 이후부터 세례예식은 새 기독교인의 입문 예식으로 거행되어 왔다. 따라서 많은 초대교회의 교부들과 지도자들은 세례예식이 무엇을 의미하는 지 가르치려고 했으며, 이러한 가르침은 여러 문헌을 통해 지금까지 전해지고 있다. 4세기경에 이르러 밀라노의 주교 암브로시우스, 몹스에스티아의 감독 테오도르, 콘스탄티노플의 주교 존 크리소스톰, 그리고 예루살렘의 감독 씨릴리우스 같은 기독교 지도자들은 그들의 해석적 도구들을 사용해서 기독교 성례전에 대한 의미를 좀 더 길게 설명하는 설교들을 작성하고 실제 세례예식 때 사용하였다. 이 설교문들은 세례예식 전 설교문과 세례 예식 후 설교문으로 나뉘는데, 세례 예식 후 설교문을 기독교 역사 속에서 흔히 성례 신비설교(Mystagogy)라고 불렸다. 이 논문에서는 위에서 언급했던 4세기경의 성례 신비설교 중에 두 전통을 대표하는 두 명의 학자들의 설교를 다루려고 한다. 서방전통의 밀라노의 암브로시우스, 동방전통의 몹수에스티아의 테오도르의 설교들 속에서 성례전이 어떻게 거행되어왔는지, 그들이 세례예식을 어떻게 이해했는지, 그들이 설명한 성례전 속에서 일어나는 신비들이 무엇이었는지, 그리고 그 이해를 위한 방법론들은 무엇이었는지를 고찰하고 비교하면서 크게 동방 전통과 서방 전통의 성례전 신학에 대한 이해를 분석하고, 이 초대교회의 성례전에 대한 교육을 현대적으로 어떻게 수용할 것인가에 대해 논했다. Since the end fo the first century, the baptismal rite has been regarded as one of the most important rituals in Christianity. Therefore, many theologians and Christian leaders have tried to teach what the baptism is, remaining their written suggestions or possible interpretations about Christian baptism. In the fourth century, Christian scholars such as Ambrose of Milan, Theodore of Mopsuestia, John Chrysostom, and Cyril of Jerusalem began to write and preach longer instructions about the baptism and Eucharist, using their own theological methods. This instructions were divided into two parts: pre-baptismal catechesis and post-baptismal catechesis. Usually, the post-baptismal catechesis is known as "mystagogy" or "mystagogical catechesis." In this research, I specifically deal with the two mystagogies delivered by Ambrose of Milan from Western tradition as well as Theodore of Mopsuestia from Eastern tradition in the fourth century, answering followed issues: how each rites were performed; how they understood the Sacraments; how they explan the mystery of the Sacraments; what methodologies they used to explain the Sacraments. Answering these issues regarding mystagogies, I compared the differences of Sacramental theologies between Western tradition and Eastern tradition. In addition, I suggested some issues to develop these crucial education about the Sacraments in the context of contemporary Korean Christian church.

      • KCI등재
      • KCI등재

        성례전적 삶으로서 레이트루기아에 관한 연구

        김광석 한국실천신학회 2020 신학과 실천 Vol.0 No.69

        “성례전적 삶으로서 레이투르기아”는 공예배가 가지고 있는 삶의 대한 영역을 회 복하려고 하는 것에 초점이 맞추어져 있다. 우리의 예배는 하나님과 세상을 향하여 열려있고 세상을 섬기는 것으로 구체적으로 드러날 때 예배의 가치를 증명받게 된다. 삶의 변혁적 레이투르기아는 ‘성례전적 삶으로서 레이투르기아’이다. 성례전적 삶으 로서 레이투르기아는 “예배공동체 안에서의 예배”를 통하여 계시 공동체로서 정체성 을 세우고, 다른 한편으로 하나님의 사랑으로 세상을 섬기는 “삶의 자리에서의 예배” 이다. 즉 레이투르기아로서 세상을 향한 섬김의 삶을 살아내는 성례전적 삶으로서 공 적예배이다. 그러므로 성례전적 삶으로서 공적예배는 성서와 전통, 그리고 삶의 방식 의 통전적 이해를 통하여 세상을 변혁하는 삶을 살아가는 것이다. 성례전적 삶으로서 레이투르기아 신학에 관해서 두 가지 구조 속에서 논의하였다. 성례전적 예배신학의 토대를 마련하기 위하여 성례전적 삶과 공적신학의 관계를 정립 하였다. 하나님의 화해의 역사가 인간과 타자와 세상을 향하여 개방되어짐과 같이 우 리의 예배의 영역에서도 공적인 기능들을 타자와 세상을 향하여 열어야 한다. 그렇다 면 공적인 예배는 무엇인가? 공적예배는 ‘예수그리스도를 토대로 예전적 교회가 세상 을 섬기는 것’이다. 그것은 종말론적 희망 안에서 타자와 세상을 반추하고, 우주적 쉐 히나로서의 성례전적 삶을 살아가는 것이다. 하나님의 쉐히나의 역사가 인간을 넘어 타자로, 그리고 세상과 전 우주적 성례전적인 역사로 변화되어야 하고, 우리는 타자와 세상, 만유를 향한 책임적 삶을 살아야 한다. 우리는 하나님의 현존으로서 레이투르기아의 자기희생(사랑)과 하나님의 행위로서 레이투르기아의 삶, 그리고 하나님의 자기영광으로서 레이투르기아의 영광에 관하여 논의하였다. 변혁적 레이투르기아로서 삶은 무엇인가? 존재론적으로 하나님의 현존방 식인 자기희생의 사랑의 공동체를 이루는 것이며, 하나님의 행위로서 타자를 향하여 섬기는 삶을 살아가는 것이며, 이 모든 것이 모여서 하나님의 영광을 높여드리고, 그 영광 안에서 ‘함께 느리면서 포기 할 수 없는 춤’을 추는 영광에 참여함이다. 삼위일 체의 레이투르기아로서 성례전적 삶이란 하나님의 자기희생적 사랑과 삶을 통하여 살 아내는 삶의 섬김과 하나님의 영광에 참여하는 것이다. “Leitourgia as Sacramental Life” is focused on the restoration of the areas of the life in public worship. Our worship verifies its own values while not only is it opened toward the world and God, but it is also materialized that it serves society. Leitourgia as transformational life is “Leitourgia as Sacramental life”. “Leitourgia as Sacramental life” establishes its identity as a revelation community through “Worship in the worship community” while on the other hand, it is “worship in the field” that serves society by the love of God. In other words, it is public worship as sacramental life toward society by Leitourgia. Therefore, public worship as sacramental life is life that transmutes the world through bible, tradition and holistic understanding. In this thesis, “Leitourgia as Sacramental life” is discussed in two ways. In order to establish the foundation of the sacramental worship theology, the relationship between sacramental life and public theology has been constructed. Like God’s reconciliation has been opened toward humanity and society, public functions in worship area have to be revealed. If so, what is public worship? Public worship is 'Liturgical churches coming together to serve society in the name of the Jesus Christ’. It means ruminating the society and others in this apocalyptic hope and living the sacramental life as cosmic ‘Shekhinah’. Beyond human, Not only should God’s history of the Shekhinah be transformed to others and to universal sacramental history, but also to Christians who should live a responsible life for others, society and universe. The sacrifice of the Leitourgia (Love) as God’s existence and the life of the Leitourgia as God’s action, and the glory of the Leitourgia as his glory are treated below. What is the Leitourgia as renovating life? In the ontology, the answer is the building the community of the love and sacrifice like God’s way of existence, and then not only do these all together increase his glory, but also make us participate in the dance of ‘enjoying and persevering’ in his glory. The sacramental life as the Leitourgia of the trinity is to participate in his glory and serve others through God’s sacrifice, love and life.

      • KCI등재

        칼뱅의 성례전 신학

        김선권 ( Kim Sunkwon ) 한국조직신학회 2021 한국조직신학논총 Vol.63 No.-

        이 논문은 칼뱅의 성례전 신학을 정의하며 규정하고 이것이 가진 신학적 함의를 밝히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칼뱅에게서 성례는 세례와 성찬을 다루기 전 그것의 서론적 역할로서 제한되지 않는다. 칼뱅의 전체 신학을 이해하는 중요한 관점을 제공한다. 그의 신학의 핵심적 내용 안에서 성례전적인 특징인 드러냄, 표상함이 나타난다. 성례는 인간 본성의 특징과 하나님 은혜의 역사를 동시에 드러내며, 인간이 하나님을 어떤 방식으로 만나는지 그 성격을 계시한다. 칼뱅이 말하는 성례전이란 하나님의 은총의 수단으로서 외적인 도움이며, 하나님의 행동과 인간의 행동이 통전적으로 결합되며, 보이지 않는 은혜에 대한 보이는 표이다. 칼뱅은 성례전 안에서의 그리스도와의 연합을 강조한다. 즉 성례는 그리스도와 이미 연합되어 있다는 사실을 확증하는 것이다. 게다가 그 안에서도 연합은 일어난다. 즉, 신자와 그리스도의 만남, 그리스도를 전적으로 향유하는 신비적 연합이 일어난다. 세례는 그리스도와 연합의 시작 표시이며 성찬은 그리스도와의 연합의 계속 표시이다. 칼뱅의 성례전 신학은 교회에서 성도들이 주기적으로 실천하는 성례를 더욱 의미화시키며 생동감 있게 참여할 수 있는 신학적 토대를 제공한다. 칼뱅의 성례전 신학은 성례전적인 신학을 지향한다. 성례의 본질은 보이지 않는 은혜와 진리가 보이는 것을 통해 제시된다. 바로 이러한 사실은 창조세계, 설교, 그리스도인의 삶에서 분명하게 드러난다. 신적 계시로서의 창조세계는 성례전적이며, 그 계시의 정점에 있는 그리스도는 하나님의 형상으로서 우리에게 하나님을 드러내며 그리스도의 현존과 연합으로서의 설교는 그리스도의 현현 자체이며 그리스도인의 삶 역시 성례전적으로 그들 안에 사는 그리스도의 형상이 드러난다. 기독교인의 삶은 그리스도와 연합되어 그리스도의 형상을 삶의 모든 자리에서 드러내는 데 있다. Cet article definit la theologie sacramentelle de Calvin et a pour but de reveler son sens theologique. Pour Calvin le sacrement n’est pas limite en son role preliminaire avant de traiter du bapteme et de la Cene. Il fournit un point de vue important pour comprendre la theologie totale de Calvin. Il revele a la fois les caracteristiques de la nature humaine et l’action de la grace divine, et montre comment l’etre humain rencontre Dieu. Le sacrement est un moyen de grace divine: l’action de Dieu et l’action de l’homme s’unissent a la fois. Il est le signe visible de la grace invisible. Calvin a mis l’accent sur l’union avec Christ dans le sacrement. Le sacrement confirme le fait que le chretien et Christ sont deja reunis. De plus, l’union se produit presentement dans le sacrement. Le bapteme est le signe inaugural de l’union avec Christ et le signe continuant de l’union avec Christ. La theologie sacramentaire de Calvin fournit une base theologique qui permet aux croyants d’y participer dynamiquement. Le sacrement est un appendices qui est ajoutee aux paroles de Dieu. Par consequent, c’est la parole de Dieu qui fait le sacrement. La theologie calvinienne du sacrement se dirige vers la theologie sacramentaire. C’est son essence qui represente la grace invisible et la verite par les choses visibles. Cela revele clairement dans la creation, par la predication et la vie chretienne.

      • KCI등재

        초기 교회에서의 성례 형성과 그 논쟁을 통해서 본 오늘의 예배와 성례에 대한 조망 - AD 1-5세기에 있었던 주요 성례 논쟁을 중심으로

        김운용 한국실천신학회 2013 신학과 실천 Vol.0 No.34

        신학은 끊임없는 “재해석의 작업”이다. 우리가 그 작업을 온전히 수행하기 않게 되면 성장하지 못하게 되고, 그렇게 되면 우리는 하나님의 은혜를 헛되게 할 수 있다. 재해석의 작업은 그 본래의 의미와 본질을 되찾는 작업이며, 그것이 바로 될 때만 기독교 신앙과 신앙행위는 바른 의미를 찾게 되며 바른 실행을 수행할 수 있다. 그런 점에서 보면 예배와 성례는 본질적으로 이런 재해석의 작업을 필요로 한다. 기독교의 예배와 성례는 오랜 기간 이런 재해석과 재평가를 통해 형성되고 발전되어 왔다. 그러므로 역사의 굴곡마다에서 실행(practice)와 의미(meaning)에 대해 지속적인 연구와 검토가 이루어졌다. 기독교 예전 연구는 그 기원, 역사, 발전, 실행에 대해 그러한 검토가 없이는 그 방향성과 진정성을 상실할 수 있게 된다. 예전은 우리를 형성하고, 우리는 교회를 형성한다. 기독교의 예배의 신학과 실행은 과거와 단절될 수 없으며, 오늘 우리가 실행하고 있는 것에 대해 깊이 주목함으로써의 경험되는 것이요, 세워나가는 것이다. 본고는 초기의 예배와 성례 형성 과정을 간단하게 살펴보면서 1-5세기에 성례를 중심으로 한 교리논쟁에는 성례의 유효성에 대해서 뿐만 아니라 예배자와 사역자의 덕성과 영성의 문제와 깊인 연결되어 있음을 발견하면서 그 배후에 담긴 예배자의 삶의 문제, 사역자의 건덕과 윤리의 중요성과 깊이 연관되어 있음을 밝히는 일종의 재해석의 작업이다. 바른 교리를 찾아가면서 잃어버린 것은 무엇이며, 예배와 성례의 실행에서 바른 것이 무엇인지를 새롭게 모색하게 되는 당위성 앞에 서 있게 된다. 그런 점에서 초기 교회가 경험했던 예배와 성례와 관련된 문헌과 주요 논쟁들을 살펴보면서 내러티브적 배경과 논쟁의 쟁점과 성례와 관련하여 고려되었어야 할 사항들을 살펴보고, 오늘의 예배 성례 형성과 실행에 끼친 영향을 예배의 역사에 대한 ‘재해석’이라는 관점에서 살펴보면서 오늘의 예배와 성례 현장에 그러한 논쟁이 제시하는 긍정적, 부정적 영향을 평가하는데 있다. Theological studies are a work of “a continual reappraisal of our past, in order that we my better understand the present, and have a secure hope for the future.” If we are not reinterpreting, as Lawrence Stookey mentioned, the we are not growing; and when we do not grow, we frustrate the grace of God. Reappraisal of our past is trial to find the original meaning and essence and the process used to provide orthopraxis to the church and Christians. Christian worship and sacraments have formed and developed by its reappraisal and reinterpretation. Liturgy shapes us and we shape the church community and tradition. The study of Christian worship can lost its right direction without the kind of reappraisal of origin, history, development, and practice of Christian worship. Searching the process of formation of the sacramental doctrine in the early church, in particular, AD 1-5 centuries, this article is a kind of reappraisal on connection between the issue of sacramental validity and moral issues and spirituality of church leaders like bishop and the Christians who became an apostate in the early church. This article focused on the reappraisal of the sacramental controversies and on the reinterpretation of the process for the practice of sacraments in the contemporary church.

      • KCI등재후보

        리마문서에서 교회일치의 성례성에 관한 연구

        위형윤 한국실천신학회 2009 신학과 실천 Vol.0 No.19

        가톨릭교회는 제사장적, 성례전적 조직 교회 그 자체가 구원의 유일한 재현적 매개체이다. 이와 반면에 개신교는 바르멘 신앙고백서에 나와 있는 대로 예수 그리스도가 성령을 통하여 말씀과 성례전속에서 주님으로 “현재 활동하시는 공동체”라는 상반된 견해를 가지고 교회가 분열되어 있는 것이다. 그러나 만날 수 없는 분열된 교회도 성례전의 일치를 위한 교회적 수렴을 위한 합의가 있었는데 1982년 1월 페루의 수도 리마에서 모인 WCC의 ‘신앙과 직제위원회’에서 채택한 ‘세례’, ‘성만찬’, ‘사역’(Baptism, Eucharist and, Ministry = BEM) 문서이다. 이 문서는 로마 가톨릭교회, 정교회 및 성공회를 포함한 개신교를 망라한 “수렴을 위한 공동 합의문”이라는 점에서 교회 일치 운동은 성례전에서 시작되었고, 또한 이 리마 수렴을 위한 합의 문서를 어떻게 이끌어 갈 것인가가 교회 일치를 위한 중요한 과제가 아닐 수 없는 것이다. 교회일치의 성례성을 회복하는 길은 교파간의 신학적인 연구와 신앙적 공감대, 생활과 증언에서, 교회와 세계의 일치를 넘어서 창조세계의 일치를 하나님이 천지를 창조하셨다는 창조세계의 코이노니아적 일치, 즉 자연과 코이노니아, 온 인류의 코이노니아, 교회의 코이노니아를 이룩해야 할 것이다. 그러나 교회 안에도, 밖에도 그 긴장이 팽배해 가고 있다. 하나님의 창조성을 거부하고 사람과 사람과의 차별은 심화되고 있다. 그러므로 교회의 성례성을 회복하는 길은 일치를 지향하는 1993년에 스페인의 ‘산티아고 데 콤포스텔라’에서 모인 제5차 ‘신앙과 직제’ 세계대회의 ‘코이노니아적 일치’ 즉 ‘교회의 성례성인 친교를 통한 축제성과 성령의 역사’ 속에서 그 회복의 가능성을 찾아야 할 것이다. 다시 말하면 교회의 성례성의 폭을 넓혀가야 한다. 그래서 교회의 일치는 리마문서에서 그 성례성을 회복해야 하고 동시에 이미 공감대 형성은 이루어 졌으나 세계교회를 대표하는 신앙과 직제 위원들이 세례, 성만찬, 교역에서 일치를 위한 공인한 것이 아니라, 그것을 인정하고 안하고는 개교회가 할 일이다. 소위 “수렴문서”로서 교회일치를 지향해 나가자는 것이다. 왜냐하면 “비교교의학적 접근이나 논쟁을 피하고 서로가 같은 입장에서 함께 탐구해나가는 공동모색을 선택하고 있다. 다양성을 부인하는 일치를 추구하는 것이 아니라 다양성을 초월한 일치를 추구하는 신학적 공감대를 형성하자는데 큰 의의가 있는 것이다.” The priestly and sacramental church organization itself is entirely the medium of reappear for salvation in the Catholic Church. On the other hand, there is a different opinion in the Protestant church. The different opinion is related with the faith in Jesus. Ons is the Jesus Christ through the Holy Spirit to the Lord in Word as shown in the Barmen confession and the other is the Jesus Christ "the community which are currently activating". However, the divided church tried to have consensus for the agreement of sacrament in Lima, the capital of Peru in 1982. The document of the agreement is 'Baptism', ‘Eucharist' and 'Ministry', namely BEM) adopted by WCC's faith and the organization committee. This document is "the joint agreement on convergence". The convergence includes the Roman Catholic Church, the Orthodox, Protestant, and Anglican church. And the consistent sacrament movement started in a sense. How to keep the ideology of the consensus document for the Lima agreement will be an important task.  In order to restore the church's sacramental theology, the church should achieve the theological study and form the consensus in faith. The church should also achieve the Koinonia agreement in the life and testimony and beyond the agreement between the church and the world, that is the Koinonia in the nature, human being, and the church. However, the tension is surging both in and out of the church. God's creativity is likely to be denied and the discrimination among people is getting critical. Therefore, the Sacrament of the Church needs to be restored. One of the ways to restore is to find the possibility of recovery in "the koinonia unity", that is "adult sacramental fellowship of the church history of festivals and through the Holy Spirit" made at the 5th World Commission of "faith and the organization" which was held in Kompo de Stella, Santiago. In other words, the church should expand the width of the church's sacramental. So the church's unity should recover the sacrament in the Lima document. At the same time the consensus was made, however faith and the church organization representing the world church was not authorized. The matter of authorization depends on the church members. The church unity should be made as so-called "convergence document". The unity tries to avoid comparative approach, dispute with each other and in the same position, explore for the common target. There is a significant meaning in forming theological consensus. It is not in seeking agreement denying diversities but in seeking agreement beyond diversities.

      • 로마 가톨릭의 칠성례에 대한 칼빈의 비판: 그 원칙과 방법, 그리고 목적

        김요섭(Yosep Kim) 신학지남사 2021 신학지남 Vol.88 No.1

        16세기 종교개혁자들에게 로마 가톨릭의 칠성례가 대표하는 성례의 왜곡을 개혁하는 과제는 비본질적 문제(adiaphora)가 아니라 기독교 “종교”(religion)의 본질과 관련한 문제였다. 본 연구의 목적은 칼빈이 로마 가톨릭의 칠성례 비판할 때 정당한 성례의 기초로서 하나님의 분명한 말씀의 약속을 삼위일체적 논의의 관점위에서 강조했음을 규명하고, 이 원칙이 그의 칠성례 반대 논증을 위한 해석적 방법론에도 적용되었음을 증명하는 것이다. 또 칼빈의 비판이 칠성례에 대한 단순한 반대가 아니라 성례의 참된 의미를 재확인함으로써 교회를 그리스도의 참된 몸으로 회복하려 한 교회 개혁의 추구였음을 논증한다. 칼빈이 성례의 회복을 통해 교회의 개혁을 주장할 때 견지한 가장 중요한 신학적 원리는 이 몸의 유일한 머리가 그리스도라는 성경의 진리였다. 이는 그리스도께서 교회의 유일한 최고의 통치자로서 그의 말씀을 통해 모든 지체들을 다스리시고 가르치셔야 함을 의미한다. 성례는 그리스도의 말씀에 의한 통치를 위해 교회의 공적인 사역으로 제정되어 주어졌다. 성례는 그 자체로 작동하지 않으며 오직 하나님의 구원의 약속을 완성하신 그리스도를 깨닫게 하시는 성령의 특별한 은혜의 사역을 통해 효력을 발휘한다. 오늘날 한국교회는 칼빈의 칠성례 비판 논증으로부터 교회 개혁의 바른 방법과 목적을 재확인할 수 있다. 그것은 각각 말씀에 대한 신실한 순종과 그리스도의 주권적 통치를 드러내기 위한 전적인 자기부인의 헌신이다. For the sixteenth-century reformation, the reformation of the Roman Catholic seven sacraments was not a matter of adiaphora but one of the essential matters of true religion. This study aims to manifest that Calvin’s criticism of the seven sacraments was presented with the consistent principle of the evident God’s promise in the trinitarian perspective, and to argue that this principle was applied in his hermeneutical method in refuting papists’ arguments for the seven sacraments. In addition, this study tries to show that Calvin’s criticism ultimately pursued the reformation of the Church as the body of Christ by reconfirming the genuine meaning of sacraments. When Calvin envisioned the reformation of the true church by recovering the two biblically legitimate sacraments, he maintained the theological principle of Christ’s sovereign headship in the Church. This means that Christ, the sole lord and master of the Church, rules every member of the church with his Word. According to Calvin’s theology, sacraments were specially instituted by God to effectuate Christ’s reign over the Church. Therefore, sacraments do not work by themselves. Only the Holy Spirit, who illuminates believers that Christ is the substance of God’s promise of salvation in sacraments, can bring the spiritual benefits of sacraments. In Calvin’s criticism of the seven sacraments, Korean Church can find the right way and the ultimate purpose of the continuous reformation: faithful obedience to God’s Word and full commitment to Christ’s sovereign authority for the glory of God.

      • KCI등재

        주님의 만찬으로서 성찬 성례전 방안

        민장배,이재민 한국실천신학회 2022 신학과 실천 Vol.- No.82

        오늘날 코로나 팬데믹을 겪으며 한국교회를 향한 무너진 대중의 인식 회복이 쉽지 않은 상황이다. 여러 이유 중, 교회가 하나님 사랑에 초점이 맞추어져 예수님께서 말 씀하신 새 계명인 하나님 사랑과 이웃 사랑이 균형적이지 않았음을 유추할 수 있다. 이에 본 연구는 예배가운데 성찬 성례전이 가지고 있는 의미를 조명하여 오늘날 한국교회가 겪는 시대적 상황인 부정적 인식을 극복할 방안으로 제시했다. 한국교회 는 전통적으로 실행하는 유월절 식사의 성찬 성례전에서 초대교회 예배 연구를 기반으 로 식사와 교제의 주님의 만찬으로서 성찬 성례전를 조명했다. 많은 교회들이 초대교회를 지향하며 예배와 선교를 진행하는데 정작 초대교회의 예배에 대한 연구와 적용이 미흡한 현실이다. 초대교회의 예배는 4중 구조인 만남, 말 씀, 성찬, 파송으로 이루어졌고, 모든 순서가 예수님이 중심이 되었다. 특히 본 연구에 서 다루는 성찬 성례전은 당시 식사로 이루어졌고, 예배에서 찬양과 말씀, 기도로 하 나님과 예배자의 관계에서 끝나는 것이 아닌 식사를 진행하여 예배자 간의 교제가 진 행되어 예수님의 사랑을 체험하고 이웃에 전하는 체험의 예배였다. 예수님 사역 당시 죄인의 집에서 먹고 마시며 구원을 선포했던 사건과 초대교회에서 실행했던 성찬 성례전은 엄숙한 분위기에 행사로서 진행되는 것이 아니었다. 주님 의 만찬으로서 성찬 성례전은 예수님을 중심으로 하는 교회의 실제적인 교제의 장이 되어 하나님 사랑과 이웃 사랑을 경험하여 세상에 파송되어 체험한 사랑을 전하는 교 회의 근본적인 정신을 제공했다. 초대교회 예배의 4중 구조는 성서적 예배 모형이고, 예배에서 예수님 안에서 먹고 마시는 성도의 교제의 회복을 추구했다. 하나님과 예배자 간의 교제가 넘치는 예배의 회복은 이웃 사랑의 촉매제로 작용하여 교회와 대중이 기대하는 교회의 공공성 회복 과 하나님 나라 확장에 기여할 것으로 기대한다. Today, it is not easy to restore the public's perception toward the Korean church due to the COVID-19 pandemic. among reasons, As the church focuses on God's love, it can be inferred that God's love and neighbor's love, the new commandment Jesus said, were not balanced. Therefore, this study illuminated the meaning of the sacrament of the eucharist during the practice of worship and suggested an alternative as a way to overcome the negative perception of the times experienced by the Korean church today. As a way to this end, based on the study of the worship of the early church, not the sacrament of eucharist, as a Passover meal traditionally practiced by the Korean church, the Lord's Supper was illuminated as a relationship with the Lord's Supper. Many churches conduct worship and missionary work toward the first church, but research and application of the first church's worship are insufficient. The early Church has included four words, gathering, word, table or response, and sending. and all of these sequences were centered on Jesus. In particular, the sacrament of eucharist exhibition covered in this study consisted of meals at the time, it was an experience service that did not end in the relationship between God and worshipers with praise, words, and prayers in the service, but rather a meal was held to experience the Jesus’s love and deliver it to the neighbors. As a the Sacrament of Lord’s supper of the Church today is not an event in a solemn atmosphere, shedding illuminated the events of Jesus' ministry, which proclaimed salvation, and the meaning of the first church. It becomes the actual field for the church's relationship centered on Jesus, and provides the fundamental spirit of the church that experiences the love of neighbors and is sent to the world to convey the love of Jesus. The researcher proposed that the quadruple structure of the worship of the first church is a biblical worship model, and that the recovery of the fellowship of the saints eating and drinking in Jesus in the worship will lead to the restoration of worship. and restoration of worship, which is full of fellowship between God and worshipers, is expected to serve as a catalyst for the love of neighbors, contributing to the restoration of the church's public nature and the expansion of the kingdom of Go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