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기후변화에 따른 한반도 난온대 상록활엽수의 잠재 생육지 변화 예측

        윤종학 ( Jong Hak Yun ),( Katsuhiro Nakao ),박찬호 ( Chan Ho Park ),이병윤 ( Byoung Yoon Lee ),오경희 ( Kyoung Hee Oh ) 한국환경생태학회 2011 한국환경생태학회지 Vol.25 No.4

        본 연구는 기후변화에 따른 한반도 난온대 상록활엽수의 생육지 변화를 예측하기 위하여 CT-model을 이용하여 현재기후(1961~1990)와 3종류의 미래기후(2081~2100) 시나리오에서의 잠재 생육지를 예측하였다. 반응변수로서 난온대 상록활엽수의 실제 분포에서 추출한 유/무자료와 4가지 기후변수(온량지수, 최한월최저기온, 동경강수량, 하계강수량)를 예측변수로 사용하였다. 현재기후에서 잠재 생육지(PH)는 28,230km2로 예측되었으며, 3종류 미래기후 시나리오(CCCMA-A2, CSIRO-A2, HADCM3-A2)에서는 77,140~89,285km2로 예측되었다. 현재기후에서 토지 이용을 고려한 잠재 생육지(PHLU)는 8,274km2로 예측되었으며, 잠재 생육지의 29.3%를 차지하였다. 미래기후에서 토지 이용을 고려한 잠재 생육지는 35,177~45,170km2로 예측되었으며, 26.9~36.9% 증가하였다. 기후변화에 따른 난온대 상록활엽수의 분포 확대는 토지 이용에 제한되어 생육지 파편 형태로 진행되고 있다. 난온대 상록활엽수의 생육지 증가는 난온대 낙엽활엽수림과의 경쟁이 예상되며, 난온대 상록활엽수림대의 확대 및 북상을 시사하고 있다. The research was carried out for prediction of the potential habitats of warm-temperate evergreen broad-leaved trees under the current climate(1961~1990) and three climate change scenario(2081~2100) (CCCMA-A2, CSIRO-A2 and HADCM3-A2) using classification tree(CT) model. Presence/absence records of warm-temperate evergreen broad-leaved trees were extracted from actual distribution data as response variables, and four climatic variables (warmth index, WI; minimum temperature of the coldest month, TMC; summer precipitation, PRS; and winter precipitation, PRW) were used as predictor variables. Potential habitats(PH) was predicted 28,230㎢under the current climate and 77,140~89,285km2 under the three climate change scenarios. The PH masked by land use(PHLU) was predicted 8,274km2 and the proportion of PHLU within PH was 29.3% under the current climate. The PH masked by land use(PHLU) was predicted 35,177~45,170km2 and increased 26.9~36.9% under the three climate change scenarios. The expansion of warm-temperate evergreen broad-leaved trees by climate change progressed habitat fragmentation by restriction of land use. The habitats increase of warm-temperate evergreen broad-leaved trees had been expected competitive with warm-temperate deciduous broadleaf forest and suggested the expand and northward shift of warm-temperate evergreen broad-leaved forest zone.

      • KCI등재

        마룡산(406.7m, 울진군)과 대소산(286m, 영덕군) 일원의 관속식물

        김영철 ( Young-chul Kim ),채현희 ( Hyun-hee Chae ),박유철 ( You-cheol Park ),이선미 ( Seon-mi Lee ),남기흠 ( Gi-heum Nam ) 한국환경생태학회 2021 한국환경생태학회지 Vol.35 No.5

        지역적인 규모에서 식물다양성의 보전을 위해서는 기초적인 정보가 바탕이 된다. 조사의 결과로 나타나는 식물의 종수는 조사의 면적과 조사지역 내에 분포하는 다양한 생육지의 수와 밀접하게 연관된다. 경상북도 울진군의 마룡산과 대소산 일원에서 각각 9회와 6회에 걸쳐 식물자원을 조사하였다. 조사경로에 다양한 생육지가 포함되도록 계획하였다. 조사의 결과로 마룡산 일원에서는 112과 349속 548종 10아종 34변종 2품종 594분류군이 대소산 일원에서는 89과 270속 400종 9아종 25변종 434분류군이 조사되었다. 21개의 생육지로 구분하여 관찰된 식물을 정리하면 계곡주변의 전이대에 분포하는 식물과 건조한 초원에 분포하는 식물이 높은 비율을 차지하였다. 해안에 위치한 전통적인 묘지는 식물의 주요한 분포지로 기능하였다. 2개 지역에서 한국고유종은 19분류군이 조사되었다. 2개 지역에서 식물구계학적 특정식물종은 Ⅴ등급이 1분류군, Ⅳ등급이 11분류군, Ⅲ등급이 24분류군이 조사되었다. 귀화식물은 총 77분류군이 조사되었고 그중 생태계교란외래식물은 4 분류군이 분포하였다. 마룡산 일원과 대소산 일원에 분포하는 식물에서 나타나는 차이는 먼저 조사지역 내에 분포하는 각각의 생육지 크기 차이에 따른 것으로 판단되었다. 또한 대소산 일원이 주변의 산지와 연결되어 있지 않고 주거지와 경작지에 둘러싸인 고립된 공간에 해당하였기 때문으로 판단되었다. Basic information such as flora and their distribution are the key factors to consider for preserving plant diversity on a regional level. The number of plant species identified through a survey is closely related to the survey area and the number of habitats distributed within the survey area. In this study, we surveyed the flora of Mt. Maryong-san (PH) and Mt. Daeso-san (YH) located in Uljin-gun, Gyeongsangbuk-do, six and nine times, respectively. We planned to include a variety of habitats in the survey routes. As a result, we identified a total of 594 taxa composing of 112 families, 349 genera, 548 species, 10 subspecies, 34 varieties, and 2 formulas in the Mt. Maryong-san (PH) area and a total of 434 taxa composing of 89 families, 270 genera, 400 species, 9 subspecies, and 25 varieties in the Mt. Daeso-san (YH) area. Of the plants observed in the 21 habitats, the plants distributed in the transition zone around the valley and the dry grassland accounted for the highest proportion. The traditional graveyards located on the coast also served as the major habitat for the distribution of some plant species. In the two graveyards, 19 taxa of endemic plant species were surveyed. Moreover, the identified floristic target species included 1 taxon for grade Ⅴ, 11 taxa for grade Ⅳ, and 24 taxa for grade Ⅲ. A total of 77 taxa of naturalized plants were identified, and four of them were invasive alien plants as designated by the Ministry of Environment. The differences in the plants distributed in the area of Mt. Maryong-san (PH) and Mt. Daeso-san (YH) were mainly due to the difference in the size of each habitat distributed within the survey area. Moreover, it was judged that the entire vicinity of Mt. Daeso-san (YH) was not connected to the surrounding mountains and was an isolated area surrounded by farmland and residential areas.

      • KCI등재

        멸종위기 부엽식물 가시연꽃 개체군의 분포, 멸종 원인 key factor에 대한 실험과 보전을 위한 관리전략

        유영한,김해란 한국습지학회 2010 한국습지학회지 Vol.12 No.3

        가시연꽃은 우리나라 멸종위기식물 중에서 유일한 1년 생 부엽식물이다. 가시연꽃의 씨는 중요한 한약재로 사용되고 있고, 과거에는 강릉까지 폭넓게 출현했던 종이었으나 현재는 멸종위기식물로 지정되어 있다. 본 연구는 가시연꽃이 사라진 근본적인 원인을 파악하고, 이를 기본으로 생육지 관리에 적용하고자 시도되었다. 먼저 가시연꽃의 분포지를 조사하였고, 멸종의 원인(가설)을 부영양화, 저수지 집수역 내 토지이용 변화에 의한 토양퇴적, 습지의 수심 증가 등으로 설정하여 이를 실험으로 검증하고, 그 원인을 초기 발아의 특성과 관련지어 설명하고자 하였다. 가시연꽃은 과거에 비하여 그 분포지역이 위도 1° 나 줄어들었고, 자연 생육지는 열 곳에 불과하였다. 수질의 부영양화는 가시연꽃이 더 잘 자라게 하였고. 생육지에 토양이 퇴적되거나, 수심이 100cm 이상이면 유식물이 정착 되지 않았다. 따라서 가시연꽃의 생육지는 발아가 되는 봄철에 수심이 50cm 내외가 되도록 습지의 물을 조절하고, 주변에서 흙이 유입되지 않도록 줄과 같은 정수식물의 식생대를 조성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판단된다.

      • KCI등재

        기후변화에 따른 한반도 사스레피나무의 생육지 예측과 영향 평가

        윤종학,박정수,최종윤,나카오 카츠히로,Yun, Jong-Hak,Park, Jeong Soo,Choi, Jong-Yun,Nakao, Katsuhiro 한국환경영향평가학회 2017 환경영향평가 Vol.26 No.5

        본 연구는 사스레피나무의 분포를 규정하는 기후요인과 종분포 모델을 이용하여 현재기후와 미래기후에서의 잠재생육지를 분석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4개 기후요인(온량지수, 최한월최저기온, 하계강수량, 동계강수량)은 모델에서 독립변수로 사용하였다. 17개 전지구 기후모델(GCMs; General Circulation Models)에 의한 RCP(대표농도경로) 8.5 시나리오를 2050년(2040~2069)과 2080년(2070~2099)의 미래기후로 사용하였다. 사스레피나무(Eurya japonica)에 대한 종분포 모델은 높은 분포예측 모델로 구축되었다. 사스레피나무의 분포모델에서 최한월최저기온이 사스레피나무 분포를 규정하는 주요 기후요인으로 분석되었다. 최한월최저기온 $-5.7^{\circ}C$이상 지역은 사스레피나무의 높은 출현확률을 나타내었다. 사스레피나무의 잠재 생육지는 2050년과 2080년에서 현재기후에서 보다 각각 2.5배, 3.4배 증가되었으며, 기후변화에 의해 점점 확대될 것으로 판단되었다. 사스레피나무는 한반도에서 기후변화 지표종으로 가능하며, 잠재 생육지를 모니터링 할 필요가 있다. The research was carried out in order to find climate factors which determine the distribution of Eurya japonica, and the potential habitats (PHs) under the current climate and climate change scenario by using species distribution models (SDMs). Four climate factors; the warmth index (WI), the minimum temperature of the coldest month (TMC), summer precipitation (PRS), and winter precipitaion (PRW) : were used as independent variables for the model. Seventeen general circulation models under RCP (Representative concentration pathway) 8.5 scenarios were used as future climate scenarios for the 2050s (2040~2069) and 2080s (2070~2099). Highly accurate SDMs were obtained for E. japonica. The model of distribution for E. japonica constructed by SDMs showed that minimum temperature of the coldest month (TMC) is a major climate factor in determining the distribution of E. japonica. The area above the $-5.7^{\circ}C$ of TMC revealed high occurrence probability of the E. japonica. Future PHs for E. japonica were projected to increase respectively by 2.5 times, 3.4 times of current PHs under 2050s and 2080s. It is expected that the potential of E. japonica habitats is expanded gradually. E. japonica is applicable as indicator species for monitoring in the Korean Peninsula. E. japonica is necessary to be monitored of potential habitats.

      • 가시연꽃(Euryale ferox)의 생태학적 연구 : 가시연꽃(E. ferox) 생육지의 몇가지 수서환경요인에 대해서

        고재기 慶山大學校 1996 論文集 Vol.14 No.1

        Some aquatic environmental factors in devil lotus(Euryale ferox) habitats in Kyungsan city was investigated in early October, 1995. The values for water depth, conductivity, turbidity, dissolved oxygen, pH, organic matter of bottom deposit and pH of bottom deposit in Dangeum reservoir showed 110∼220Cm, 500∼774㎲/Cm, 1∼130 mg/l, 3.15-9.64 mg/l, 7.70∼8.20, 6.04∼15.79%, 7.05∼7.95, respectively, and the values for same foctorsinSangchonreservoirshowed140∼200Cm, 427∼481 S/Cm, 2∼10mg/1, 4.40∼10. 92 mg/l, 7.65∼9.12, 5.83∼11.11%, 7.30∼7.55 respectively, and the values for same foctors in Daepoong reservoir showed 55∼110Cm, 556∼705 ㎲/Cm, 1∼71 mg/l, 31.68∼13.01 mg/l, 7.35∼8.16, 3.57∼8.90%, 6.15∼7.95 respectively. The value for conductivity of devil lotus present sites was very high(427-774 ㎲/Cm). Devil lotus present sites and absent sites were discrete in two dimensional direct ordination by dissolved oxygen of surface water and organic matter of bottom deposit gradient. The organic matter of bottom deposit in the devil lotus present sites were higher than that in the absent sites and dissolved oxygen of surface water in the devil lotus present sites were lower than that in the absent sites.

      • KCI등재

        동강유역 생태・경관보전지역의 관속식물

        채현희,김영철,이규송,남기흠,이새롬,이윤중,이윤경 한국환경생태학회 2019 한국환경생태학회지 Vol.33 No.2

        Securing reference information (inventory) is essential for proper conservation and management of protected areas. Moreover, the investigation results should be available for comparison and evaluation. For this study, we established seven investigational lattices and carried out the field examinations to obtain comparable data in the Donggang river basin ecological and scenery conservation area, We conducted a total of 16 field surveys and identified a total of 830 taxa that is composed of 127 families, 408 genera, 716 species, 10 subspecies, 88 varieties, and 16 forms. We identified a total of 487 taxa in the 6th investigational lattice and 457 taxa in the 4th. We observed 6 species (grade Ⅱ) designated by the Ministry of Environment as the endangered plants, one "species to monitor" designated by the Ministry of Environment, and 23 taxa designated as endemic species. Regarding the floristic characteristics plants, 15 taxa of grade Ⅴ, 27 taxa of grade Ⅳ, 38 taxa of grade Ⅲ, 31 taxa of grade Ⅱ, and 19 taxa of grade Ⅰ were identified. The 6th investigational lattice showed the largest number of taxa at 70. A total of 58 taxa were identified as the naturalized plant, and the 6th investigational lattice showed the most at 35 taxa. The Donggang river basin ecological and scenery conservation area was assessed to be an extremely important area to conserve and maintain plants species diversity not only in the regional scale but also national scale. 보호지역에서 적절한 보전과 관리를 수행하기 위해서는 기초 정보의 확보는 필수적이다. 뿐만 아니라 각각의 조사결과를 비교하여 평가할 수 있어야 한다. 본 연구에서는 비교 가능한 정보 확보를 위해 7개의 격자를 설정하고 정밀조사를수행하였다. 총 16회의 조사를 통해 127과 408속 716종 10아종 88변종 16품종 830분류군이 정리되었다. 중점조사지역6번에서 가장 많은 487분류군이 조사되었고 다음으로는 중점조사지역 4번에서 457분류군이 조사되었다. 환경부 지정멸종위기야생식물은 6분류군이 조사되었고 관찰종으로 1분류군이 조사되었다. 한국고유종으로는 총 23분류군이 조사되었다. 식물구계학적특정식물은 Ⅴ등급이 15분류군, Ⅳ등급이 27분류군, Ⅲ등급이 38분류군, Ⅱ등급이 31분류군그리고 Ⅰ등급이 19분류군이 정리되었고 중점조사지역 6번에서 가장 많은 70분류군이 관찰되었다. 귀화식물은 총58분류군이 조사되었고 중점조사지역 6번에서 가장 많은 35분류군이 조사되었다. 동강유역생태・경관보전지역은 지역적인 규모에서 뿐만 아니라 국가적인 규모에서 식물다양성을 유지하고 보전하는데 있어서 중요성이 높다고 평가되었다.

      • KCI등재

        从 “控制” 到 “支持”:中国生育政策变迁与执行变化

        Luo Sai,진승권 현대중국학회 2023 現代中國硏究 Vol.25 No.3

        As a pivotal component of China's national strategy, the country's reproductive policy plays a paramount role in the demographic transition and socio-economic development. The protracted implementation of the family planning policy facilitated a swift transition towards a demographic scenario characterized by low birth rates, low mortality rates, and subdued natural population growth. However, it also precipitated challenges such as diminished fertility rates and an aging population. Presently, with the liberalization of the “three-child policy”, China's reproductive strategy has undergone a transformation from “control” to “support”. This article, tracing the historical continuum, retrospects China's reproductive policies from the founding of the nation in 1949 to the present. Focusing particularly on three facets of the policy implementation mechanism—policy objectives, organizational management, and the executional content and means—it conducts an in-depth analysis of the policy implementation during the era of family planning. Simultaneously, it delves into the current state of China's reproductive support system. The article contends that, in tandem with shifts in demographic dynamics and population policies, there is a substantive transformation in China's reproductive policy execution paradigm. From the standpoint of policy objectives, the current population strategy has shifted towards addressing the challenges posed by low fertility. Concerning organizational structure, the traditional top-down management model persists, yet local governments now wield enhanced leadership authority. In terms of executional content and means, erstwhile constraints from the family planning era have been dismantled, although the nascent reproductive support system is still under construction, necessitating the design and establishment of institutional frameworks.

      • KCI등재

        염생식물을 이용한 항만 녹색공간 창출기법에 관한 연구

        명현호(Myeong, Hyeon-Ho),이점숙(Lee, Jeom-Sook),전지영(Jeon, Ji-Young),송만순(Song, Man-Soon) 한국해안해양공학회 2011 한국해안해양공학회 논문집 Vol.23 No.1

        항만생태계 녹색공간 창출을 위해 우리나라 항만에 분포하는 식물상특성, 환경요인분석, 항만유형분석, 적합종, 최소보존면적산출을 통해 식재모식도를 작성하였다. 50개 조사지역에서 44과 174종의 관속식물이 출현하였으며, 그중 염생식물은 19과 48종이 분포하였다. 우점군락은 통보리사초, 갯그령, 좀보리사초, 갯씀바귀, 순비기나무, 갯메꽃, 해당화, 갯완두, 솔장다리, 우산잔디, 번행초, 칠면초, 해홍나물, 갯잔디, 갈대를 포함하여 15개 군락이 분포하였다. 조사지역에 분포하는 식물군락과 환경요인과의 Canonical Correspondence Analysis(CCA) 결과 Clay marsh, Sand marsh, Sand gravel marsh 유형으로 분류되었다. 생육지 유형별 적합종으로 clay marsh는 칠면초, 갈대, 갯잔디, 해홍나물 sand marsh는 갯그령, 갯씀바귀, 통보리사초, 좀보리사초 sand gravel marsh는 갯메꽃, 순비기나무가 선정되었다. 적합종에 대한 최소보전면적을 산출하고 항만생태계 세부 유형별로 가이드라인과 모식도를 작성하였다. To make conservative port and coast ecosystems and creative the greenspace, We were investigated with characteristic of flora, environmental factors, types of port, adaptive species, minimum conservation area and plantation model. In 50 sites of study areas, there are 19 families and 174 species of vascular plants and 19 families and 48 species of halophytes. Dominant communities in port ecosystem contains Carex kobomugi community, Elymus mollis community, Carex pumila community, Ixeris repens community, Vitex rutundifolia community, Calystegia soldandlla community, Rosa rugosa community, Lathyrus japonica community, Salsola komarovi community, Cynodon dactylon community, Tetragonia tetragonioides community, Suaeda japonica community, Suaeda maritima community, Zoysia sinica community and Phragmites communis community. We carried out Canonical Correspondence Analysis(CCA) for ordinations on the vegetation and plant communities-environmental variable matrices in 50 sites. The communities tended to cluster into three types: Clay marsh, Sand marsh, Sand gravel marsh types. Adaptive species in habitate types are selected that sand marsh-type communities in ports contained Elymus mollis community, Ixeris repens community, Carex kobomugi community, Carex pumila community, Clay marsh-type communities contained Suaeda japonica community, Phragmites communis community, Zoysia sinica community and Suaeda maritima community, Sand gravel marsh-type communities contained Vitex rutundifolia community, Calystegia soldandlla community. We are conducted the estimation of minimal area for plantation of adaptive plant species and carried out guide line and plantation model for creation of green space in port ecosystem.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