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기업지배구조와 기업실패 : 생존분석을 응용한 지배구조의 영향 분석

        김동욱,김병곤 한국금융공학회 2020 금융공학연구 Vol.19 No.3

        This paper explores the effect of corporate governance on corporate failure with survival analysis technique. Using cross-sectional and time series data on total 26,592 Korean listed firms, we estimate the failure probability with the life table, and analysis the effect of corporate governance attributes on corporate failure.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cumulative 5-year failure probability is 0.01%, but after that the failure probability is sharply increased. Second, when the samples are divided by two sectors of large firms and small-medium firms, the failure probabilities are big difference after the 5th year between the sectors. SMEs’ failure probability is more sharply increased than that of large firms. Third, we find that Korean listed firm’s governance structure effects on corporate failure. Corporate failure is less likely when a firm is characterized by larger size of board, higher ratio of outside directors, and more insider ownership. 본 연구에서는 생존분석기법을 응용하여 기업지배구조 속성이 기업의 실패 가능성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이를 위해 본 연구에서는 세 가지 측면을 분석하였다. 첫째, 한국거래소의 유가증권시장과 코스닥시장에 상장된 기업을 대상으로 생존분석기법에서 사용하고 있는 생명표방법을 이용하여 특정기간 내에 기업이 실패할 확률을 추정하였다. 둘째, 한국기업에 있어 지배구조가 기업실패에 영향을 미치는가를 확인하고, 기업실패에 영향을 미치는 핵심적인 지배구조 속성을 발견하고자 하였다. 셋째, 이와 같은 분석을 대기업과 중소기업으로 구분하여 실시함으로써 기업규모에 따라 그러한 특성들에 차이가 있는가를 확인해 보았다. 이러한 분석을 위해 1997년부터 2017년까지의 분석기간을 선정하고, 이 기간 동안 한국거래소의 유가증권시장과 코스닥시장에 상장된 총 26,592개(연도-기업) 표본을 대상으로 분석하였다. 분석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생명표를 이용하여 기업실패확률을 추정한 결과에 의하면 기업설립 이후 5년 이내는 실패확률이 0.01%에 불과하지만, 기간이 경과함에 따라 실패확률이 크게 상승한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특히 중소기업은 대기업에 비해 실패 가능성이 매우 높고, 조기에 실패할 가능성도 크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둘째, Cox비례위험모형을 이용하여 지배구조가 기업실패 가능성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한 결과에 의하면, 지배구조를 구성하고 있는 이사회의 규모가 크고, 사외이사비율과 내부지분율이 높을수록 기업 실패 가능성이 낮아진다는 것을 발견하였다. 특히 내부지분율의 효과는 대기업과 중소기업에 동일하게 나타나지만, 이사회규모와 사외이사비율의 영향은 중소기업에서 더 뚜렷하게 나타난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 KCI등재

        식량작물에 피해를 주는 진딧물 4종의 발육과 번식에 미치는 온도의 영향

        안정준,최경산,서보윤,정진교 한국응용곤충학회 2021 한국응용곤충학회지 Vol.60 No.4

        진딧물은 직접적으로 식물의 체관부를 흡즙함으로써 식물 피해를 줄 뿐 아니라 식물 바이러스를 매개하고 그을음병을 유발시켜 식물에 이차적인 피해를 준다. 식량작물에 영향을 주는 기장테두리진딧물(Rhopalosiphum padi), 싸리수염진딧물(Aulacorthum solani), 아카시아진딧물 (Aphis craccivora), 완두수염진딧물(Acyrthosiphon pisum)의 발육, 생존, 번식에 미치는 온도의 영향을 생명표분석을 통하여 비교하였다. 10, 15, 20, 25, 30°C에서 얻은 발육단계별 발육기간, 생존율, 성충수명, 성충산자 자료를 암수이용생명표분석(age-stage, two-sex life table analysis) 방법을 이용하여 생명표매개변수를 추정하였다. 싸리수염진딧물은 30도에서 성충으로 발육하지 못하였다. 15°C를 제외한 모든 온도에서 기장 테두리진딧물의 내적자연증가율이 가장 높았으며 (10, 20, 25, 30°C에서 0.12, 0.34, 0.47, 0.32) 30도에서 완두수염진딧물의 내적자연증가율은 음의 값 (-0.04)이었다. 식량작물을 가해하는 진딧물 4종의 생명표 매개변수 비교분석을 통해 저온 적응성이 높은 종은 싸리수염진딧물이었고 고온 환경에서는 기장테두리진딧물이 우점할 것으로 추정되었다. Aphids can damage plants directly by absorbing their phloem sap and indirectly by transferring plant viruses and causing sooty mold. We compared the thermal effect on the development, survivorship, and reproduction of four cereal crop-damaging aphid species, Rhopalosiphum padi, Aulacorthum solani, Aphis craccivora, and Acyrthosiphon pisum using a life table analysis method. We investigated the stage-specific development period, survivorship, adult longevity, and fecundity of the abovementioned four aphids at 10, 15, 20, 25, and 30°C, respectively, and analyzed their life table parameters using the age-stage, two-sex life table analysis. A. solani nymphs could not complete their development to adulthood at 30°C. The intrinsic increase rate of R. padi was the highest at all tested temperatures except for that at 15°C (0.12, 0.34, 0.47, and 0.32 at 10, 20, 25, and 30°C, respectively), and that of A. pisum displayed negative values at 30°C (-0.04). It is speculated that R. padi would be a dominant species under high temperature conditions and A. solani is a highly adaptive species at low temperatures through the comparative analysis of the life table parameters of four aphid species damaging to cereal crops.

      • KCI등재

        생존분석을 이용한 사회적협동조합의 생존 결정요인에 관한 연구

        최희성(Hui-Seong Choi),민병익(Byoung-Ik Min) 한국지방정부학회 2022 지방정부연구 Vol.26 No.3

        본 연구의 목적은 생존분석기법을 활용하여 사회적협동조합의 생존율과 생존기간을 살펴보고, 생존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파악하는 것이다. 이를 위하여 전국 510개 사회적협동조합의 경영공시자료(2016년~2020년)를 분석에 활용하였으며, 생존의 영향요인으로 조직특성요인, 재정요인, 정부정책요인, 사회적가치요인, 네트워크요인 등 5가지 요인을 설정하여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첫째, 생명표분석에서 5년간의 사회적협동조합의 생존율은 58%였으며, 1년차 폐업발생위험이 5.3%, 2년차 10.2%, 3년차 10.2%, 4년차 16.3%로서 연차가 증가할수록 폐업발생위험이 증가하였다. 둘째, 정부지원유형별 생존율은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으며, 정부지원이 없거나 중단된 조합은 모두 시간이 경과함에 따라 위험률이 증가하였고, 정부지원이 중단된 조합의 경우 4년차 폐업발생위험률이 32%로 가장 높게 나타났다. 셋째, 조직유형별로는 유의미한 차이는 없었으나 위탁사업형의 생존기간이 4.7년으로 다소 짧았으며 4년차 폐업발생률이 37%로 가장 높았고, 모든 조직에서 연도별 폐업발생위험이 전반적 증가추세를 보였다. 넷째, 콕스회귀분석결과 정부지원금, 총회 및 이사회 개최빈도, 지역사회기여도 등이 주요 영향요인으로 도출되었다. 정부지원이 중단된 조합은 지속된 조합보다 폐업발생위험이 10배 이상 높았으며, 총회개최는 한 단위 증가할수록 폐업발생위험률은 42%만큼 감소하였고, 이사회개최 횟수는 폐업발생위험률이 2.2%만큼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다. 전반적으로 사회적협동조합의 생존은 조직과 재정요인보다 정부정책요인, 사회적가치요인, 네트워크 요인이 생존에 더 크게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본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사회적협동조합의 생존율 제고 방안 및 정책적 시사점 등을 제시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survival rate and period of survival of social cooperatives using survival analysis techniques, and to identify factors affecting survival. Management disclosure data(2016-2020) of 510 social cooperatives across the country was used for analysis, and five factors such as organizational characteristics, financial factors, government policy factors, social value factors, and network factors were used as factors influencing survival. The main research results are follows. First, in the life table analysis, the survival rate of social cooperatives for 5 years was 58%, and the risk of business closure in the first year was 5.3%, the second year 10.2%, the third year 10.2%, the fourth year 16.3%. As the years increased, the risk of co-operative closure increased. Second,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survival rate by type of government support, and the risk increased over time in all cooperatives that had no government support or stopped receiving government support. In the case of cooperatives whose government support was stopped, the risk of business closure in the fourth year was the highest at 32%. Third,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by organization type, but the survival period of the consignment project type was rather short at 4.7 years, and the 4th year business closure rate was the highest at 37%, and the risk of business closure by year showed an overall increasing trend in all organizations. Fourth, as a result of Cox regression analysis, government subsidies, the frequency of general meetings and board meetings, and contribution to the local community were derived as major influencing factors. The risk of business closure was 10 times higher for cooperatives whose government support was stopped than for cooperatives that continued to support the government, and the risk of business closure decreased by 42% as the number of general meetings increased by one unit. The number of board meetings showed a tendency to decrease the risk of business closure by 2.2%. Overall, it was confirmed that government policy factors, social value factors, and network factors had a greater influence on the survival of social cooperatives than organizational and financial factors.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measures to improve the survival rate of social cooperatives and policy implications were presented.

      • KCI등재

        톱다리개미허리노린재의 수정란을 이용한 산란모형과 생명표분석

        안정준,최경산,고상욱,Ahn, Jeong Joon,Choi, Kyoung San,Koh, Sang Wook 한국응용곤충학회 2019 한국응용곤충학회지 Vol.58 No.2

        톱다리개미허리노린재는 콩과작물과 과수에 경제적 피해를 주는 주요해충이다. 본 연구는 톱다리개미허리노린재의 온도에 따른 산란특성을 규명하고 수정란을 이용한 산란모형과 생명표 매개변수를 추정하기 위하여 15.8, 19.7, 24.0, 27.8, 32.6, 34.0, $35.5^{\circ}C$ 정온조건에서 실험을 실시하였다. $15.8^{\circ}C$를 제외하고 조사된 모든 항온온도조건에서 산란이 가능하였다. 암컷 성충 수명은 $15.8^{\circ}C$ (110.5일)에서 가장 길었으며 온도가 올라갈수록 짧아지는 경향을 보였다($19.7^{\circ}C$에서 76.6일, $35.5^{\circ}C$에서 20.6일). 전체 산란수와 수정란수는 $24.0^{\circ}C$ (193.5와 151.2)에서 가장 많았으며 부화율은 $27.8^{\circ}C$ (84.0%)에서 가장 높았다. 전체 산란수와 수정란수를 이용하여 산란모형과 생명표 매개변수를 비교하였다. 수정란수를 이용시 온도별 총산란수 모형의 추정된 총산란수(159개)는 전체 산란수(190개)를 이용했을 때보다 적었다. 생명표분석에서 수정란을 이용하였을 때 개체군순증가율과 평균세대기간은 전체 산란수를 이용한 결과보다 작은 값을 나타내었다. 수정란을 이용한 산란모형 작성과 생명표분석은 실질적인 개체군변이를 이해하는데 도움이 될 것이다. Riptortus pedestris (Fabricius) (Hemiptera: Alydidae) is an economically important insect pest of soybean and fruit trees. We investigated the temperature effects on the adult fecundity and longevity, and determined the parameters of oviposition models and life table at different constant temperatures 15.8, 19.7, 24.0, 27.8, 32.6, 34.0, and $35.5^{\circ}C$. R. pedestris females reproduced successfully from 19.7 to $35.5^{\circ}C$ except $15.8^{\circ}C$. The longevity of R. pedestris was longest at $15.8^{\circ}C$ and it decreased with increasing temperature (76.6 days at $19.7^{\circ}C$ and 20.6 days at $35.5^{\circ}C$). The number of total eggs and viable eggs was highest at $24.0^{\circ}C$ (193.5 and 151.2). Egg hatchability was highest at $27.8^{\circ}C$ (84.0%). We compared the results of oviposition models and life table parameters using both total eggs and viable eggs. The parameter value (c: the maximum reproductive capacity) (190 eggs) of temperature dependent total fecundity model using total eggs was higher than that of the model using viable eggs. When we analyzed the life table parameter the values of net reproductive rate and mean generation time using viable eggs were lower than those using total eggs. The oviposition models and life table analysis using viable eggs will be helpful to understand the real population transition of R. pedestris in agricultural system.

      • KCI등재

        자격취득이 장애인 재취업 및 구직기간에 미치는 영향

        홍성표,정진철 한국장애인고용공단 고용개발원 2015 장애와 고용 Vol.25 No.3

        이 연구는 자격취득 여부가 장애인 재취업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분석하는데 목적이 있다. 연구방법: 장애인고용패널 1차~5차년도 자료를 활용하여 선택편의를 최소화하기 위해 경향점수매칭을 실시했다. 자격취득에 따른 재취업 여부와 기간을 분석하기 위해 생명표 분석을 사용했으며, 콕스회귀분석을 활용하여 장애인 재취업에 미치는 요인을 도출했다. 연구결과: 첫째, 자격취득자가 미취득자보다 재취업 여부, 기간, 속도에서 더 높은 수치를 보였다. 자격취득자의 경우 실업 후 48개월까지 재취업에 성공한 사람은 34.1%였으나 자격미취득자의 경우 같은 기간 동안 재취업에 성공한 사람은 11.3%에 그쳤다. 둘째, 자격을 취득한 장애인이 자격을 취득하지 않은 장애인보다 실업상태에서 벗어날 가능성이 1.579배 더 높았으며 장애정도와 건강상태, 가구원 수, 고용서비스 경험여부도 장애인이 재취업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시사점: 이 연구를 통해 장애인의 자격취득 및 활용에 대한 지원이 필요하며 고용서비스 및 직업훈련과의 연계를 통해 자격취득을 촉진하는 시스템을 구축할 필요가 있음을 제시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whether acquisition of certificate has an effect on reemployment of disabled. Method: For the purpose of this study, the data from “Panel Survey of Employment for the Disabled” which was conducted from 2008 to 2012, was used. 622 samples were selected by using Propensity score matching to minimize the selection bias, and analyzed by the frequency and period of reemployment by using Life-Table Model. The Cox Proportional Hazard Model was also used to analyze the factor which affected the reemployment of disabled. Results: The followings were the major results. First, the difference of reemployment and time until reemployment depended on the possession one or more certificates. The percentage of disabled who possessed certificates succeeding in finding a job was 34.1% from the starting point of unemployment to 48 months, however, the percentage of disabled who did not possess certificates succeeding in finding a job was just 11.3%. This result demonstrated that the possibility of reemployment was higher with disabled who possessed one or more certificates than disabled who did not possess one or more certificates. Seconds, possessing one or more certificates had an effect on reemployment of disables. Disables who possessed one or more certificates had a 1.579 times higher chance of being reemployed compared to those who does not possess any certificate. Also, the degree of disability, conditions of health, number of family members, and the experience of employment service also had a effect on reemployment of disabled. Implications: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the support is necessary for acquisition of certificate and utilization. and constructing facilitation system which connected with job service and vocational training is demanded

      • KCI등재

        아동보호체계 내 조기지원사례의 하위집단 분류와 재신고 특성

        강지영 한국아동복지학회 2020 한국아동복지학 Vol.69 No.2

        This study aimed to identify subgroups of “early support” cases in Korean CPS(child protective services) system and examine the characteristics of re-reports by subgroups. Early support cases are those that are unsubstantiated but are at risk of child maltreatment. The sample included 1,165 early support cases of CPS in 2014. The latent class analysis found three groups: high-risk caregivers and their school-aged children with problem behaviors, medium-risk mothers and their preschoolers, and low-risk caregivers and their school-aged children. When we followed the participants through the end of the year 2016 to observe re-reports, the re-report rate was 12%-13%, and the rate of substantiated re-report was 9-10% across the subgroups. These rates were higher than the re-report rate among the substantiated initial cases, as indicated in previous studies. The life-table method showed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re-report rate by time among the subgroups. However, the results of the chi-square analysis revealed that the high-risk caregivers and their school-aged children with problem behaviors had significantly more prior CPS report than the two other subgroups. Based on the results, we discussed ways to strengthen a prevention-oriented approach in the Korean CPS system. 본 연구는 우리나라 아동보호체계 내 조기지원사례에 대한 이해를 증진하기 위해 하위집단을 분류하고 재신고 관련 특성을 비교해 보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조기지원사례는 아동학대 발생의 증거는 없으나 위험이 존재한다고 판단된 사례로, 2014년 아동보호체계에서 조기지원사례로 판단된1,165사례를 대상으로 아동학대 위험요인을 활용하여 잠재계층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결과, 조기지원사례는 고위험 양육자와 문제행동 학령기 자녀집단, 중위험 모와 영유아 집단, 저위험 양육자와 학령기 자녀 집단의 세집단으로 분류되었다. 연구대상을 2016년 12월말까지 관찰하여 재신고 및재신고 시 사례판단 결과를 살펴본 결과, 세 집단 모두 재신고율은 12-13%, 재신고 되어 아동학대사례로 판단 받은 비율은 9-10%로 비슷하였다. 이는선행연구를 통해 알려진 아동학대사례의 재신고 및 재학대 발생비율보다높은 비율이다. 생존분석의 생명표 방법을 통해 하위집단 간에 시간에 따른재신고 비율을 비교한 결과 유의한 차이는 없었다. 다만 교차분석 결과, 하위집단 중에 고위험 양육자와 문제행동 학령기 자녀 집단이 이전에 아동보호체계에 신고 된 비율이 다른 집단보다 유의한 수준에서 높았다. 연구결과를 토대로 우리나라 아동보호체계의 개선방안을 논의하였다.

      • KCI등재

        호박꽃과실파리 성충의 수명과 생명표분석

        전성욱,강택준,조명래,김광호,이상계,김지수,박해웅,Jeon, Sung-Wook,Kang, Teak-Jun,Cho, Myoung-Rae,Kim, Kwang-Ho,Lee, Sang Guei,Kim, Ji Soo,Park, Hae Woong 한국응용곤충학회 2012 한국응용곤충학회지 Vol.51 No.4

        호박꽃과실파리(Bactrocera scutellata Hendel)의 성충 수명과 산란수를 7개 온도(15, 18, 21, 24, 27, 30, $33{\pm}1.0^{\circ}C$, RH $65{\pm}5%$, 14L : 10D)에서 조사하여 생명표를 작성하였다. 온도별 성충수명은 $21^{\circ}C$에서 수컷이 138.0일 암컷이 131.2일로 가장 오래 살았으며, $21^{\circ}C$를 기준으로 저온부와 고온부로 갈수록 수명이 급격히 감소하였다. 온도별 암컷은 $18^{\circ}C$이하의 온도에서 산란을 하지 않았으며, $33^{\circ}C$에서는 짝짓기가 가능한 시기까지 살지 못하고 모두 사망하였다. 짝짓기한 암컷의 총 산란수는 111.4개, 일일 산란수는 1.0개로 $24^{\circ}C$에서 가장 많은 산란수를 보였고 순증가율($R_o$)은 $21^{\circ}C$에서 52.27로 가장 높은 수치를 나타냈다. 내적자연증가율($r_m$)은 $27^{\circ}C$에서 0.07을 보였으며, 배수기간(${\lambda}$)은 $27^{\circ}C$에서 10.02로 가장 짧았다. 기간증가율($D_t$)은 $27^{\circ}C$에서 1.07로 가장 큰 값을 보였고, 평균세대기간(T)은 $27^{\circ}C$에서 50.39였다. The life table of the Striped Fruit Fly, Bactrocera scutellata, was analyzed by using adult longevity and fecundity of B. scutellata at seven constant temperatures (15, 18, 21, 24, 27, 30, $33{\pm}1.0^{\circ}C$) with 65% RH and 16L:8D in the laboratory. The highest values of longevity were observed at $21^{\circ}C$ with the values of 138.0 days for male and 131.2 days for female, respectively. Females of B. scutellata did not oviposit under $18^{\circ}C$ and larvae of B. scutellata could not survive to adulthood over $33^{\circ}C$. The highest value of total fecundity was observed at $24^{\circ}C$ (111.4 eggs) and daily fecundity per female was observed at approximately 1.0. The parameters of the life table were calculated by using the data from eggs to adults of B. scutellata at 4 different temperatures. Net reproduction rate ($R_o$) was highest at $21^{\circ}C$ (52.27). The intrinsic rate of increase ($r_m$) and the finite rate of increase per day (${\lambda}$) were highest at $27^{\circ}C$ (0.07 and 1.07), respectively. The doubling time ($D_t$) was shortest at $27^{\circ}C$ (with 10.02). The mean generation time (T) was shortest at $27^{\circ}C$(50.39).

      • KCI등재후보

        아동학대 재발생의 유형과 요인에 대한 다변량 생존분석

        배화옥(Hwa Ok Bae) 한국아동복지학회 2004 한국아동복지학 Vol.- No.18

        아동학대는 위급성 뿐만 아니라 지속성과 반복성을 띄고 있기 때문에 수많은 아동들이 외부로 노출되지 않은 채 끊임없이 반복학대의 위험성에 처해 있다. 따라서 아동학대의 반복고리를 끊는 것이 아동학대를 예방하는 선결과제이다. 본 연구는 구득 가능한 국외 자료를 이용하여 아동학대 학계에서 이제까지 다루어지지 않았던 아동학대 재발생의 비율과 빈도, 시간적 확률분포 유형, 그리고 재발생과 관련성이 있는 요인을 분석하였다. 아동학대의 재신고율은 37% 수준 이상으로 상당히 심각한 양상을 보여준다. 시간적 확률분포를 도식화해 보면 연구기간 5년 5개월 동안 첫 3~5개월째가 가장 높은 발생시기로 나타났는데 이는 학대가 신고된 후 신속한 초기개입이 있어야 됨을 입증해 주는 것이다. 정신병리학적 이론과 사회학적 이론을 통합한 생태학적 모델을 분석틀로 활용하여 아동특성과 가족특성을 선정하여 아동의 연령, 아동의 성, 인종, 가족유형, 가족규모를 설명변수로 투입하였다. 사례특성인 초기사례의 학대유형과 판정여부를 통제하였을 때, 대부분의 설명변수들이 아동학대 재발생에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영향을 가지고 있음이 발견되었다. 아동학대 재발생 요인분석의 계량분석방법으로는 다변량생존분석법을 활용하였다. Child maltreatment is a social problem that affects a significant number of children every year. Many of the children who were maltreated grow into adults with serious health, mental, and emotional problems. Children who experience multiple episodes of maltreatment are more likely to have short-term and long-term negative consequences than those who experience a single incident of maltreatment. Prior studies have not identified epidemiological characteristics of the child maltreatment such as recurrence. The primary objectiv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rates, patterns, and correlates of child maltreatment recurrence using survival analysis method. o answer the research questions, this study analyzed a sample of 25,504 families who were followed up to have experienced maltreatment recurrence covering 5.4 years. The first recurrence rate was 37.0% over the study period. The risk of child maltreatment recurrence (hazard rate) was highest for the third, fourth, and fifth month. This means that early intervention is crucial for restraining child maltreatment recurrence. This study selected child and family characteristics from an ecological perspective to examine correlates associated with child maltreatment recurrence. Study results show that age of child victim, race/ethnicity, family structure, and number of dependent children in the home significantly predicted the risk of child maltreatment recurrence when controlling for abuse type and substantiation at initial report. Study results will help to guide unprecedented research areas for scholars and to develop successful interventions to restrain chronic child maltreatment.

      • KCI우수등재

        근로빈곤층 장애인가구의 빈곤탈출 분석

        심진예(Sim, Jinye) 한국사회복지학회 2015 한국사회복지학 Vol.67 No.4

        본 연구는 근로빈곤층 장애인가구의 빈곤의 양상과 빈곤탈출 요인을 동태적 관점에서 분석하였으며, 장애인고용패널조사(1∼6차년도)를 분석자료로 사용하였다. 분석결과, 장애인가구의 근로빈곤율은 전 체 근로빈곤율의 약 3배 정도 높은 수준이며, 장애인 근로빈곤층의 규모는 전체 장애인 빈곤층의 평균 21.4%를 차지해 근로빈곤은 장애인 빈곤의 주요한 형태로 나타났다. 그리고 전체 인구의 단기간의 빈 곤탈출확률은 60%를 넘어서는데 비해 근로빈곤층 장애인가구는 54.6%에 그쳐 빈곤탈피가 어려운 것 으로 나타났다. 또한, 경제활동요인은 장애인가구의 근로빈곤의 탈출에 영향을 미치는 주요 요인이나, 취업은 반드시 빈곤의 탈출로 귀결되지 않으며, 근로시간, 종사상 지위 등의 취업의 질이 빈곤탈출에 주요한 요인으로 나타났다. 이 같은 결과는 장애인 근로빈곤의 해소를 위해 장애인의 고용지속성 확보 와 더 나은 일자리로의 상향이동 촉진, 장애친화적인 근무환경 조성 그리고 사회안전망 내실화가 필요 하다는 점을 시사한다. This study attempted to empirically investigate the determinants of poverty transition of the working poor with disabilities from a dynamic perspective. Analyses were conducted on the data from Panel Survey of Employment for the Disabled(PSED, Year 1-6), included the households with a disabled head of household. The working poor were defined as the household of which income fell below 120% of the absolute poverty line among the households just described. As results, The 6-year mean poverty rate for the working poor with disabilities included in the analysis was 31.4%, approximately three times of the poverty rate of the total population and the working poor with disabilities were found to have greater difficulty with poverty exit once having fell into poverty than all households living in poverty. And it was found that the economic activity factor was the key determinant of in-work poverty. In addition, employment of the working poor with disabilities did not lead straight to poverty exit, and the quality, rather than the status of, employment was the key determinant of poverty exit. The implications of the findings of this study are that it is essential to increase decent jobs, expand the social safety net of the working poor with disabilities and establish poverty reduction measures for each class of the working poor with disabilities to exit from poverty.

      • KCI등재

        한국 중ㆍ노년기 은퇴 경험자들의 노동시장 재진입에 미치는 결정요인에 관한 연구

        백주희(Ju Hee Baek) 한국노년학회 2012 한국노년학 Vol.32 No.1

        본 연구는 한국노동연구원의 2006년 고령화연구패널조사(KLoSA: Korean Longitudinal Study of Aging)와 2007년 직업력조사 응답자들 중 50대까지 월급을 받는 상시 임금근로자로 장기근속의 조건에 부합되는 262명을 추출하여, 중ㆍ노년 실업자의 재취업 전이율과 이에 영향을 미치는 결정요인을 사건사 분석(Event History Analysis)을 활용하여 알아보았다. 먼저, 분석대상의 재취업 전이율 알아내기 위해 생명표(Life Table)를 산출해낸 결과, 50대까지 월급을 받는 상시 임금근로자로서 10년 이상 근무한 사람들은 50대 실직 후 평균적으로 65세 이전까지 재취업으로의 진입을 거의 대부분 완료하였다. 다음으로 중ㆍ노년 실업자의 재취업으로의 진입에 어떠한 요소가 영향을 주는지 콕스 회귀분석(Cox Regression Analysis)을 실시한 결과, 퇴직연령, 성별, 그리고 퇴직 전 근무했던 직종이 재취업으로의 전이에 영향을 미치는 유의한 변수로 드러났다. 즉, 퇴직연령이 높을수록 재취업 전이율은 낮아졌고, 여성 실업자가 남성 실업자에 비해 재취업 전이율이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다음으로, 퇴직 전 근무했던 직종의 경우 단순노무 종사자로 일하다 실업한 사람들이 다른 직종 경험자에 비해 재취업까지 걸리는 시간이 가장 빨랐고 재취업 가능성 또한 가장 높았다. 이러한 연구결과의 시사점이 결론에 제시되었다. Using a nationally representative longitudinal sample, this study analyzed transition rates from retirement to re-entry into workforce and factors contributing the transition for middle and old-age people with the experience of regular age workers. First, the life table indicated that most of retirees tended to make a transition from retirement to re-entry into workforce before age 65. Second, Cox regression analyses showed that retirement age, gender, and the type of occupation before retirement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factors for the transition from retirement to re-entry into workforce. Specifically, younger retirees were more likely to make the transition into workforce sooner than older retirees. Male retirees were more likely to be hired sooner than female retirees. Finally, retirees who worked as manual workers were more likely to get jobs sooner than retirees with the other occupational experiences. The implication of results was discusse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