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국민기초생활보장제도의 사회적 신뢰 제고 효과 분석

        임완섭 ( Wan Sub Lim ) 한국사회복지정책학회 2014 사회복지정책 Vol.41 No.2

        대인신뢰, 일반화된 신뢰 등으로 불리 우고 있는 사회적 신뢰는 사회적 자본의 핵심요소로 경제 및 사회활동의 거래비용을 감소시켜 경제의 성장률 제고 및 사회통합에 기여하는 것으로 알려지고 있다. 본 연구는 사회적 자본 형성에 제도적 역할이 중요하다는 관점에서 한국의 대표적인 공공부조제도인 국민기초생활보장제도의 사회적 신뢰 제고 효과를 추정해 보았다. 본 연구는 한국복지패널 자료를 활용하여, 개인수준의 사회적 신뢰 결정요인을 파악한 후 국민기초생활보장제도 수급자들의 신뢰수준을 수급집단과 유사한 비수급집단과 비교하여 사회적 신뢰 제고효과를 측정하였는데, 이렇게 두 가지 접근을 통해 효과성을 파악하는 이유는 사회적 신뢰와 신뢰의 결정요인으로 선택된 변수들 사이에는 상호인과성 문제와 선택편의의 문제가 내포되어 있기 때문이다. 본격적인 분석에 앞서 기술분석을 실시한 결과 수급자들의 신뢰수준은 비수급자들에 비해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사회적 신뢰 결정요인을 분석한 결과 국민기초생활보장제도 수급은 신뢰형성에 부(-)의 효과를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정요인 분석과 함께 비모수적인 매칭 방법을 통해 기초생활보장제도 수급집단과 유사한 비교집단을 구성하여 기초생활보장제도의 신뢰제고 효과를 살펴본 결과 앞에서 행한 결정요인 분석과 마찬가지로 부(-)의 효과가 나타났다. 하지만 관찰 불가능한 시간불변의 교란항을 이중차이 분석을 통해 제거한 후 제도의 사회적 신뢰 제고 효과를 살펴보면, 근로능력에 따라 구분된 집단들의 경우 처리집단인 기초생활보장제도 수급자들의 사회적 신뢰수준이 비교집단보다 더 높은 것으로 파악되었다. 이러한 결과는 국민기초생활보장제도가 기초소득 보장이라는 본연의 역할과 함께 사회적 신뢰 제고의 역할을 담당하고 있음을 추론해 볼 수 있다. 한편으로는 제도의 성과를 한 시점의 횡단면 자료만으로 분석하는 것은 한계가 있으며 정책 수행의 시간경과에 따라 사회적 신뢰에 대한 효과성이 가변적이라는 시사점도 얻을 수 있다. This paper aims to identify the effect of National Basic Livelihood Security System (NBLSS) on Social trust formation, using data from Korea Welfare Panel Study. Social trust is a key element of social capital. Also It is reported that Social trust reduces transaction cost and improves potential growth rate. But It is complex and difficult to analyse the causality between Social trust and welfare program because of endogeneity and selection bias problems. To avoid methodological difficulties, this study examined using matching method based on propensity score which was calculated by logit and multi-level logit model. After matching, this study calculated average treatment effect on the treated (ATT) to evaluate effectiveness. Finally, this study used difference-in-difference to eliminate time-invariant bias. The major findings show that the effect on Social trust formation of NBLSS less then Social trust formation of control group. But after eliminating time-invariant bias, the treatment group have more positive effect on Social trust formation of NBLSS than social trust formation of control group. Therefore, It is reasonable to infer that NBLSS has a key role in social trust formation.

      • KCI등재

        팀 내 사회적 관계와 네트워크 특성이 리더신뢰에 미치는 영향

        이기현(Kihyun Lee),오홍석(Hongseok Oh),정명호(Myung-Ho Chung) 한국인사조직학회 2016 인사조직연구 Vol.24 No.1

        리더신뢰는 현대 조직에서 구성원들이 자신들에게 부여된 역할을 적극적으로 수행하고, 리더가 제시하는 성과목표를 달성하기 위하여 노력하도록 만드는 중요한 요소이다. 지금까지 리더신뢰에 대한 연구는 리더와 구성원의 개인적 특성, 리더-구성원 간 사회적관계, 그리고 팀과 조직의 공식적 맥락에 초점을 둔 반면, 사회구조적 요인이 리더신뢰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본 연구는 제한적이었다. 신뢰는 신뢰주체(trustor)에게 신뢰대상(trustee)에 대한 정보를 제공해 주는 사회적 상호작용을 통해 형성되며, 이러한 사회적 상호작용에는 신뢰주체-신뢰대상 간 양자관계뿐 아니라 제3자와의 관계와 그러한 관계들이 배태되어 있는 사회적 구조까지도 포함한다. 즉 신뢰는 본질적으로 사회적 현상이므로 사회적 구조를 통해서 신뢰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을 보다 명확하게 이해할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리더-구성원 간 사회적 관계, 그리고 팀 리더와 구성원들이 함께 배태되어 있는 사회적 구조를 반영하는 리더의 네트워크 중심성과 팀 네트워크 밀도를 다수준(multi-level)적 관점에서 함께 고려함으로써 리더신뢰가 형성되는 과정을 이론화하고 검증하였다. 4개의 국내 설계디자인 회사에 소속된 651명(팀장 96명, 팀원 555명)의 직원들을 대상으로 수집된 자료를 위계선형모형(HLM: hierarchical linear modeling)을 통해 분석한 결과, 리더-구성원 간 사회적 관계, 리더의 네트워크 중심성, 팀 네트워크 밀도는 모두 리더신뢰를 유의하게 높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기존의 연구에서 강조 되었던 리더-구성원 간 사회적 관계뿐 아니라 사회적 구조도 리더신뢰의 중요한 선행요인이 될 수 있다고 강조하였던 본 연구의 이론적 모형이 타당하다는 것을 입증하는것이다.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본 연구의 이론적 의의와 실무적 의의, 연구의 한계, 그리고 향후 연구를 위한 제언을 제시하였다. Trust in leadership is important because it makes followers willing to accept the leader’s goals, activities and decisions and then work hard to achieve them. Previous studies on the antecedents of trust in leader have primarily focused on a set of individual attributes and relationships between a leader and his or her followers, but have rarely considered team-level social contexts. Trust in leader is inherently social in that team-level social contextual variables provide more direct environments within which a leader and followers are embedded. Thus, we adopt a social network perspective to theorize on and examine the effects of social contexts on trust in leaders. In order to investigate the influence of social characteristics on trust in leaders, we take a close look at leaders’ network positions and the team network density as well as the relationship between a leader and a follower. A field study involving 555 followers and 96 team leaders representing four Korean companies provided the evidence that social relationship and network characteristics are related to trust in leader. As hypothesized, the social relationship between a leader and a follower, the leader’s network centrality, and the team network density were positively related to trust in the leader. The limitations and implications for theory and practice are discussed.

      • KCI등재

        기업의 사회적 책임활동과 충성도에 있어서 신뢰의 역할

        황수현,이상환,박현정 한국기업경영학회 2011 기업경영연구 Vol.18 No.3

        Corporate Social Responsibility(CSR) refers to the obligations of businessmen to pursue those politics,to make those decisions, or to follow those lines of actions which are desirable in terms of the objectives and values of society. Recently Consumers and Companies have been interested in Corporate Social Responsibility. Many kinds of companies have recognized that CSR is one of the essential elements of sustainable management. Consumers have asked corporate to conduct social responsible actions such as producing environment, friendly products, fair labor conditions in developing countries. So, it is necessary for companies to make consumers pay attentions and perceive CSR activities. This study examines the role of trust-“Product trust and Company trust” in Corporate Social Responsibility and Loyalty. Also, the dimensions of CSR are classified under environmental dimension,social dimension, economic dimension, philanthropic dimension, consumer dimension. It also examines how CSR activities affect trust and loyalty. A total of 350 people filled out a questionnaire and 296 valid questionnaires were used for statistical analyses. The main result of this study is as follows. First, the corporate economic responsibility and consumer responsibility have a positive impact on the product trust. Second, the corporate environmental responsibility and consumer responsibility have a positive impact on the company trust. Third, both product trust and company trust have a positive impact on the loyalty. Finally, corporate consumer responsibility has a greater effect on the product trust and the company trust than any other dimensions. The results of this research will help corporations to understand the five different responsibilities in influencing two kinds of trust and to plan the strategy effectively to allocate different resources in corporate social responsibility. 본 연구에서는 기업의 사회적 책임 활동이 고객충성도 형성에 영향을 미치는데 있어 제품과 기업에 대한 신뢰의 매개역할을 고찰하고자 한다. 연구모형을 통해 기업의 사회적 책임활동의 차원인 환경적차원, 사회적 차원, 경제적 차원, 자선적 차원, 소비자 차원이 제품에 대한 신뢰와 기업에 대한 신뢰에 영향을 미치는지 검정하고, 제품에 대한 신뢰, 기업에 대한 신뢰와 충성도 간의 영향관계를 검정하고자 한다. 설문지를 통해 데이터를 수집하였으며, 분석에 사용된 응답자수는 296명이다. 기업의 사회적 책임활동과 제품에 대한 신뢰에 대한 가설 검정 결과, 기업의 사회적 책임활동 중 경제적 차원과 소비자 차원의 책임활동은 제품에 대한 신뢰에 정(+)의 영향을 미치고, 그 외에 차원의 사회적 책임활동은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기업의 사회적 책임활동과 기업에 대한 신뢰에 대한 가설 검정 결과, 기업의 사회적 책임활동 중 환경적 차원과 소비자 차원의 책임활동은 기업에 대한 신뢰에 정(+)의 영향을 미치고, 그 외에 차원의 사회적 책임활동은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신뢰와 충성도에 대한 가설 검정결과, 제품에 대한 신뢰와 기업에 대한 신뢰 모두 충성도에 정(+)의 영향을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 KCI등재

        사회적 기업 역할 및 영역 확대의 필요성 분석: 국회의원의 신뢰를 중심으로

        유두호(柳杜昊),엄영호(嚴永鎬) 한국공공관리학회 2020 한국공공관리학보 Vol.34 No.2

        본 연구의 목적은 국회의원의 신뢰를 중심으로 우리나라 사회적 기업의 역할 및 영역 확대 필요성 인식의 영향요인을 실증적으로 분석하는 것이다. 분석을 위해 사회적가치 연구원의 국회의원 대상 <사회적 가치 서베이> 2016년 조사 자료를 활용하였으며, 사회적 기업의 특성을 바탕으로 하여 신뢰의 유형을 세분화하였다. 분석결과, 첫째, 국회의원들은 사회적 기업의 경제적 가치 창출에 대한 신뢰 즉, 사회적 기업이 정부 보조금에만 의존하는 것이 아니라 수익창출을 한다고 믿더라도 사회적 기업의 역할 및 영역 확대의 필요성을 부정적으로 보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법적·윤리적 신뢰와 전문경영능력에 대한 신뢰는 사회적 기업의 역할 확대에 긍정적으로 나타났다. 국회의원들은 사회적 기업을 사회문제 해결의 주체로 인식은 하지만 경제적 가치에 대한 여전한 의문이 존재하고 있음을 유추할 수 있다. 둘째, 국회의원들은 사회적 가치 창출을 통한 지역주민의 삶의 질 개선에 대하여 신뢰를 가지며, 사회문제 해결을 통한 삶의 질 개선에 있어 사회적 기업의 명확한 역할이 필요함을 확인하였다. 이를 종합해 볼 때, 사회적 기업의 역할과 영역을 확대하기 위해서는 사회적 기업의 자체적인 역량 향상과 국회의 원으로 하여 사회적 기업에 대한 신뢰를 통해 관련 법 제정이 효과적으로 진행되어야함을 시사한다.

      • KCI등재

        사회적 신뢰는 어떻게 형성되는가?: 언론인 평가와 뉴스정보 신뢰도, 정치사회 관심도를 중심으로

        최미연 ( Choi Miyeon ),이형석 ( Lee Hyungseok ) 단국대학교 융합사회연구소 2024 공공정책과 국정관리 Vol.18 No.1

        Trust in media continues to decline, particularly when media fails to meet public expectations of responsibility. This study investigates the interplay between perceptions of media issues, evaluations of journalists, and trust in news, and their collective impact on social trust. Utilizing data from the 2023 Media Acceptance Survey conducted by the Korea Press Promotion Foundation, the results demonstrate that evaluations of journalists and trust in news mediate the relationship between perceptions of media issues and social trust. Furthermore, the audience’s level of interest in political and social affairs moderates the relationship between journalist evaluations and social trust. Conversely, interest in politics does not significantly influence the relationship between trust in news and social trust. These findings highlight the critical need to reinforce trust in contemporary society by enhancing the overall reliability of media and news, and ensuring that media roles are in line with societal expectations. 언론의 신뢰는 지속적으로 감소하고 있는 경향을 보인다. 언론 신뢰는 사회적 신뢰를 형성하여 민주주의를 실현하는 데에 있어 주요 요인으로, 언론 신뢰의 기반인 언론 및 언론인에 대한 평가와 인식이 중요하게 다뤄져왔다. 이에 본 연구는 사회적 신뢰 형성에 있어 미디어 수용자가 인식하는 언론문제 인식과 언론인에 대한 평가 및 뉴스정보 신뢰도, 수용자의 정치사회 관심도의 통합적 관계를 실증적으로 모색하였다. 이를 위해 2023년 한국언론진흥재단에서 실시한 <2023 미디어수용자 조사> 데이터를 활용하여 SPSS PROCESS macro를 통해 조절된 매개효과를 분석하였다. 주요 연구결과는 첫째, 언론문제 인식이 부정적일수록 사회적 신뢰에 부정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언론문제 인식과 사회적 신뢰 관계에서 언론인 평가와 뉴스정보 신뢰의 매개효과를 확인하였다. 셋째, 언론인 평가와 사회적 신뢰 간 관계에서 언론 수용자의 정치사회 관심도에 따른 조절효과를 확인하였다. 그러나 뉴스정보 신뢰와 사회적 신뢰 간 관계에서 수용자의 정치사회 관심도는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를 통해 현대 사회에서 신뢰가 갖는 의미와 사회의 발전을 위한 중요성을 재확인하고, 언론의 역할과 책임에 대한 사회적 기대를 투영하여 언론 및 언론인, 뉴스정보에 대한 전반적인 신뢰도를 향상시켜야함을 강조할 수 있다.

      • KCI등재

        사회적 자본과 조직신뢰, 추천의도 및 이직의도 간의 관계에 관한 연구

        한나영,권혁기 대한경영정보학회 2016 경영과 정보연구 Vol.35 No.1

        본 연구는 사회적 자본이 조직신뢰에 미치는 영향, 둘째, 조직신뢰가 추천의도, 이직의도에 미치는 영향을분석하고자 한다. 이를 통해 사회적 자본이 어떤 경로를 통해 추천의도, 이직의도에 영향을 미치는지를 통합적으로 분석하고자 한다. 부산 소재 중소 제조업체를 대상으로 공변량 구조방정식모형을 통하여 실증 분석하였다. 실증분석 결과, 첫째, 사회적 자본 중 관계적 차원이 조직신뢰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사회적 자본 중관계적 차원이 조직신뢰에 가장 큰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관계적 차원은 구성원들 간의 관계형성을의미하며 상하 간의 관계, 동료와의 관계, 부서 사이의 관계 등의 상호작용에 있어 중요한 가치를 지닌다. 둘째, 사회적 자본 중 인지적 차원은 조직신뢰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지 않았으며 구조적 차원은 조직신뢰에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구조적 차원은 구성원들 간에 존재하는 사회적 연결망 혹은 유대관계에서 나타난 자본적 가치를 의미하며 조직에서 최적의 네트워크를 구축하는 것에 의해 형성된다. 셋째, 조직신뢰는 추천의도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조직신뢰는 이직의도에 부(-)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사회적 자본과 추천의도 및 이직의도 간의 관계에서 조직신뢰가 일부 매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끝으로 본 연구의 요약 및 시사점, 한계점 그리고 미래의 연구방향을 제시하였다.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impact of the social capital on organization trust, and the impact of the organization trust on recommendation intention, and turnover intention. And by this it is also to integrally analyze through what route social capital affects the recommendation intention and turnover intention. An actual analysis through covariance structural equation model was made targeting the members of small and medium sized manufacturing companies. The results of the actual analysis showed that the relational dimension in the social capital had an positive(+) and the most pervasive effect on the organization trust. Relational dimension refers to the formation relationships among members and has a significant value in the interaction in the relation between subordinates and superiors, between colleagues, and between departments. Secondly, the cognitive dimension in the social capital was revealed to have no significant effect on the organization trust and structural dimension was revealed to have a positive(+) effect on the organization trust. Structural dimension refers to the capital value which shows itself in the social network and relationship existing between the members and is formed through building the best network within an organization. Thirdly, organization trust was revealed to have a positive(+) impact on the recommendation intention and to have a negative(-) impact on the turnover intention. Finally, the summary, implications, limitations, and future research direction of this study were presented.

      • KCI등재

        사회적기업에 대한 소비자의 연상이 기업태도에 미치는영향: 신뢰의 매개효과와 자아 일치성의 조절효과 중심으로

        김창봉,백남육 사단법인 사회적기업학회 2018 사회적기업연구 Vol.11 No.1

        사회적 경제(social economy)와 관련된 기업들이 주목을 받고 있다. 일자리 확대정책의 일환으로 사회적기업의 활성화가 대두되고 있고, 성숙한 시민사회의식 등에 힘입어 사회적기업, Impact 투자, 소셜 벤처등 사회적 경제와 관련된 이슈는 많은 관심과 논의를 불러 오고 있다. 본 연구는 소비자들의 사회적기업에 대한연상을 사회적 가치를 추구하는 사회적 책임 활동 영역과 기업 경영의 전문성을 나타내는 기업역량 영역으로 나누어서 보고, 각각의 영역이 기업태도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 지 그 정도의 차이와 방향성을 규명하고자 하였다. 또한 일반 소비자들이 사회적기업에 대한 기업태도를 형성함에 있어서 신뢰와 자아 일치성이어떠한 구조적 영향을 주는 지 실증적으로 검증하고자 했다. 사회적기업에 대한 소비자 관점에서의 마케팅시사점을 찾아보고, 사회적기업으로서의 마케팅 전략 방향 및 구체적인 실행 대안을 제시하고자 한 것이본 연구의 목적이다. 실증적 검증을 위해서 사회적기업에 대한 이해도가 있는 일반소비자 432명의 샘플을본 연구에 사용하였다. 그 결과를 요약하면 첫째, 일반소비자들의 사회적기업에 대한 연상 중에서 사회적책임 활동과 기업역량에 대한 연상은 두 영역 모두 사회적기업에 대한 신뢰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으며, 그러한 신뢰를 매개로 사회적기업에 대한 기업태도에도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사회적 책임 활동은 기업태도에 직접적인 영향을 긍정적으로 미치고 있으나, 기업역량은 기업태도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지 못함을 나타내고 있다. 이는 일반소비자들의 연상 중에서 사회적기업은 사회적 가치(환경친화가치, 지역공헌가치, 기업윤리가치, 법적책임가치)를 충실히 수행할 것이라는 인식이 이미 자리 잡고 있어서 신뢰를 통한 매개효과뿐 아니라 기업태도에 대한 직접효과도 미치는 것으로 추정하였다. 반면에 기업역량(혁신성, 고품질, 적정가격, 근무환경, 공정채용)에 대한 일반소비자들의 연상은 사회적기업에 대한신뢰에는 유의할 수준으로 영향을 미치고 있으나, 그러한 기업역량 요인이 기업태도에 직접적인 영향은 못미치고 신뢰를 매개로 해야만 기업태도에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일반 소비자들이 갖고 있는자아 일치성은 사회적 책임 활동과 기업태도 사이에서는 유의한 조절효과를 갖고, 기업역량 및 신뢰와 기업태도사이에서는 유의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조사대상자들 중에서 자아 일치성이 높은 그룹과낮은 그룹을 비교하면 자아 일치성이 높은 그룹의 조절 효과가 강하게 나타난 바, 일반 소비자들이 사회적기업에 대한 보다 긍정적인 기업태도를 갖게 하기 위해서는 사회적기업들이 그들 각각의 이미지와 소비자들의 자아 일치성을 효과적으로 조화시켜야 효율적인 마케팅이라고 판단된다. 이러한 연구 결과는 사회적기업의 영업력 확대를 위해서는 소비자 관점에서 출발하는 시장 접근이 더욱 필요하고, 이를 위해서는 사회적기업의 사회적 책임 활동 수준을 소비자들의 기대치 이상으로 강화하고, 사회적 가치 활동에 대한 홍보, 소비자 참여도를 높여서 자아 일치성을 적극적으로 활용하는 새로운 방식의 마케팅을 전개할 것을 시사하고 있다. 새로운 방식이란 착한기업이라는 막연하고 정서적인 이미지, 정부의 제도적 판로 지원에 주로의존하는 기존의 행태에서 벗어나 ... Companies related to social economy have been garnering attention. As partof the policy to increase the number of jobs, social enterprises have becomeincreasingly vitalized, while more mature awareness for a responsible, civilsociety has driven robust discussion and interest in the areas related to socialeconomy such as social enterprises, impact investment, and social ventures. This study distinguishes consumers’ association with social enterprises interms of social responsibility actions that pursue social values and corporatecompetency that represents the professional capability of corporate businessmanagement. This study then tries to define and compare how each of thoseareas affect corporate attitude, in terms of their magnitude and direction. Moreover, this study attempts to empirically verify the structural impact oftrust and self-congruity on general consumers’ formation of corporate attitudeon social enterprises. This study seeks to discover the implications inmarketing for social enterprises from the consumer’s perspective, also suggeststhe direction for marketing strategy and a specific action plan to ensure thesustainability of social enterprises. For the empirical verification, this studyuses a sample of 432 general consumers who possess understanding of socialenterprises. The results of the verification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in theassociation of general consumers on social enterprises, the associations oncorporate action for social responsibility and corporate competency were bothshown to have positive impact on the consumers’ level of trust for the social enterprises. Such trust was also shown to have mediated a positive effect onthe consumers’ corporate attitude towards social enterprises. Second, sociallyresponsible activity by corporations were shown to have a directly positiveimpact on corporate attitude, whereas corporate competency was not to shownto have direct impact on corporate attitude. This demonstrates how theimpression that social enterprises will faithfully carry out social values(including those for environment-friendliness, community contribution,corporate ethics, and legal responsibility) is so set in stone in the associationsof the general consumers it leads to the mediating affect of trust and thedirection effect on corporate attitude. In contrast, the general consumers’association with corporate competency (defined by level of innovation, highquality service or products, appropriate pricing, work environment, and fairemployment) was shown to have significant impact on the level of trust insocial enterprises, but not a direct impact on corporate attitude; only throughthe mediating effect of trust was the corporate competency shown to have animpact on corporate attitude. Third, the self-congruity of general consumerswas show to have significant moderating effect between socially responsibleactivity and corporate attitude, but no significant effect between corporatecompetency, trust, and corporate attitude. In particular, the sample group witha high level of self-congruity was shown to have a stronger moderating effectcompared to the group with a low level of self-congruity. This suggests that in order to induce more positive corporate attitude ingeneral consumers, it would be important for social enterprises to effectivelyalign their respective brand image with the self-congruity of the consumers inorder to facilitate the social enterprises’ approach to the market. Such resultsimply that in order to expand their business competence, social enterprisesshould increase their effort to approach the market from the consumers’perspective. In order to do so, the social enterprises should engage in a newform of marketing that makes active use of self-congruity, such as elevatingthe level of their socially responsible activity above and beyond theexpectations of the consumers, actively promoting the value of sociallyresponsible activities, and expanding consumer i...

      • KCI등재

        소비자가 지각한 기업의 사회적 책임 활동에 따른 기업명성, 기업신뢰 및 행동의도의 관계 분석 : CSR진정성의 조절효과 중심으로

        주윤황,조희영 피터드러커 소사이어티 2019 창조와 혁신 Vol.12 No.4

        오늘날 우리나라에서도 윤리경영에 대한 중요성이 널리 인식되어 기업의 사회적책임이 기업의 윤리적인 부분의 중심으로 자리 잡고 있다고 할 수 있으며, 많은 기업들에 있어서 기업의 사회적 책임이 전략적인 중요성으로 주목받고 있는 실정이다. 최근에는 기업이 단순하게 기부와 같은 행동에서 넘어서 기업이 지니고 있는역량과 사회적 요구를 연결하는 전략적인 사회공헌 활동으로 진화하고 있다. 이에따라 소비자가 지각하고 있는 기업의 사회적 책임 활동이 기업의 명성이나 신뢰 및행동의도와 어떠한 관계를 형성하고 있는지 분석하여 기업의 사회적 책임 활동의전략적 활용에 의미 있는 제언을 도출하고자 하였으며, 연구에 따른 결과는 다음과같다. 첫째, 기업의 사회적 책임활동인 환경보호 활동, 사회공헌 활동, 지역문화사업활동에 대해서 소비자들은 기업이 수행해야 할 사회적 책임활동이라기 보다는 당연히 수행해야하는 활동으로 인식한다는 것으로 분석되어 기업은 지극히 당연하게기업의 사회적 책임활동을 수행하여야 할 것이다. 둘째, 소비자들은 기업이 사회공헌 활동을 통해 기업시민으로서의 역할을 수행할 때 해당 기업을 더 신뢰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따라서 기업의 사회적 책임활동을 통해 신뢰를 증가시킬 수 있는 전략적 마케팅 활동이 필요하며, 이를 통해 고객의 이탈을 방지하고 장기적인 관계를 구축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셋째, 기업의 사회적 책임활동을 하는 기업의 제품이나 서비스를 프리미엄 가격을 지불하고서라도 기꺼이 구매할 의향이 있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이에 대한 전략적 활용이 필요한 것으로 여겨진다. 넷째, 기업의 사회적 책임활동과 기업명성을 통해 형성된 기업신뢰는 소비자와의 장기적인 관계형성에도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음을 시사하고 있다. 다섯째, 기업의 사회적 책임활동으로 형성된 기업명성과 기업신뢰는 해당 기업의 제품이나 서비스에 대한 행동의도를 향상시킬 수 있는 전략적 수단임을 시사하고 있다. 또한 전략적 관점에서 기업의 사회적 책임활동이 기업명성 제고 및 기업신뢰 향상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뿐만 아니라 기업의 매출향상에 기여할 수 있음을 시사하고 있다. 여섯째, 기업의 사회적 책임활동의 진정성이 어떤 목적이나 타의에 의한 것이 아니라 사회발전과 더불어 기업의 성장을 추구하는 측면에서 진정성을 갖고 자발적으로 수행하는 사회적 책임활동만이 기업의 지속가능경영을 가능하게 하는 것임을시사하고 있다. 마지막으로, 기업은 전략적으로 기업의 특성에 맞는 사회적 책임활동뿐만 아니라 기업명성과 기업신뢰를 향상시킬 수 있는 활동들을 지속적으로 수행하여야 할것으로 판단된다. Today, the importance of ethical management is widely recognized in Korea, and corporate social responsibility is at the center of the ethical part of the company. For many companies, corporate social responsibility is attracting attention as a strategic importance. Recently, the company has evolved from a simple donation-like action to a strategic social contribution activity that connects the company's capabilities and social needs. Accordingly, we analyzed the relationship between corporate social responsibility activities perceived by consumers and corporate reputation, trust, and intention to draw meaningful suggestions for strategic utilization of corporate social responsibility activities. The result is as follows. First, it is analyzed that consumers perceive the environmental protection activities, social contribution activities, and local cultural business activities, which are corporate social responsibility activities, as activities that must be performed rather than socially responsible activities. Social responsibility activities should be undertaken. Second, consumers are more likely to trust the company when it plays a role as a corporate citizen through social contribution activities. Therefore, strategic marketing activities are needed to increase trust through corporate social responsibility activities, which will prevent customers from leaving and build long-term relationships. Third, it is analyzed that they are willing to purchase products or services of companies that perform corporate social responsibility activities even at a premium price. It seems to require strategic utilization of this. Fourth, corporate trust created through corporate social responsibility and corporate reputation can have a positive effect on long-term relationship with consumers. Fifth, corporate reputation and corporate trust formed by corporate social responsibility activities suggest that it is a strategic means to improve the behavioral intention of the company's products or services. It also suggests that corporate social responsibility activities not only have a positive impact on corporate reputation and corporate trust, but also contribute to corporate sales. Sixth, since the sincerity of corporate social responsibility activities is not based on any purpose or any other cause, only socially responsible activities that are genuine and voluntary in terms of pursuing corporate growth along with social development will enable the company's sustainable management. It suggests that. Lastly, it is judged that companies should continue to carry out activities that can strategically improve their corporate reputation and trust as well as socially responsible activities.

      • KCI등재

        개인의 가치관이 정치적 신뢰 수준에 미치는 영향: 사회적 신뢰의 매개효과와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정선영 ( Sun Young Jung ),김은이 ( Eun Yi Kim ),문성진 ( Sung Jin Moon ) 경희대학교 사회과학연구원 2015 社會科學硏究 Vol.41 No.2

        본 연구는 개인의 가치가 정치적 신뢰 수준에 미치는 영향력을 분석하였으며, 개인의 가치관이 사회적 신뢰를 매개하여 정치적 신뢰 수준에 영향을 미치는 매개효과와 개인의 가치관이 사회적 신뢰 수준과 상호작용하여 정치적 신뢰 수준에 영향을 미치는 조절효과를 각각 살펴보았다. 이를 위하여 전국에 거주하는 19세 이상 성인남녀 1,243명에게서 자료를 수집하였으며, 개인의 가치관으로 능력주의와 물질주의를 고려하였다. 주요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응답자의 연령, 교육수준, 사회적 계층이 높을수록 정치적 혹은 사회적 신뢰 수준이 높았으며, 물질주의 가치관에 대한 중요도는 연령대가 낮을수록 높았다. 둘째, 능력주의 가치관에 대한 중요도가 높을수록 정치적 신뢰 수준은 낮았다. 셋째, 사회적 신뢰 수준이 높을수록 정치적 신뢰 수준도 높았다. 넷째, 능력주의 가치관이 정치적 신뢰에 미치는 영향력은 사회적 신뢰 수준을 매개하는 않았다. 다섯째, 사회적 신뢰 수준이 낮을 때에는 능력주의 가치관에 대한 중요도가 정치적 신뢰를 상당히 낮추지만, 사회적 신뢰가 형성되었다고 느낄 때에는 능력주의 가치관에 대한 중요도가 정치적 신뢰를 낮추지는 않았다. 이에 따른 함의와 추후 연구가 제시되었다. This study aimed to examine the effects of personal values on the levels of political trust and focused on mediating and/or moderating roles of interpersonal trust. For this, it used data collected from 1,243 adults nationwide and considered meritocracy and materialism as representative values in the society. The main findings are as follows. First, age, educational level, and subjective socio-economic status of the respondents showed positive relationships with political trust or interpersonal trust. Second, the levels of importance of meritocracy was positively related with the levels of political trust. Third, the levels of interpersonal trust showed a positive relationship with the levels of political trust. Fourth, the mediating role of interpersonal trust in the relationship between meritocracy and the levels of political trust was not significant. Fifth, even though low levels of interpersonal trust increased negative effects of meritocracy on the levels of political trust, high levels of interpersonal trust weakened those effects. Implications based on these findings were suggested.

      • KCI등재

        공기업의 CSR활동과 사회적 신뢰와의 관계분석:

        임성환(Lim, Seong hwan),박병식(Park, Byoungsik) 한국지방정부학회 2018 지방정부연구 Vol.21 No.4

        공기업은 경영이익 달성과 함께 공공성을 확보하기 위해 CSR활동을 수행하고 있다. 공기업의 CSR활동은 사회 서비스 제공과 소득재분배 활동 등을 통해 공공성을 추구하여 기업의 이미지를 제고하며 지역사회에 공기업에 대한 사회적 신뢰를 확산시킨다. 본 연구는 ㈜한수원의 CSR활동이 사회적 신뢰에 어떻게 영향을 미치고 있는지를 조사하고, CSR활동의 진정성과 적합성에 대한 인식이 사회적 신뢰에 미치는 영향과 개별 CSR활동들의 사회적 신뢰의 증진정도를 분석하여 공기업의 사회적 신뢰 제고방안을 제시해 보고자 한다. 연구결과 한수원 CSR활동의 진정성(β=.221)이 지역사회의 사회적 신뢰에 긍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을 보여 주고 있다. 또한, 거주지역별 CSR활동 요인별 영향력을 검증한 결과 양남면은 ‘CSR활동의 진정성(β=.295)’, 양 북면은 ‘CSR활동의 지역봉사활동사업 적합성(β=.381)’, 감포읍은 ’CSR활동의 지역차세대지원사업 적합성(β =.347)‘이 각각 사회적 신뢰에 긍정적 영향을 미치고 있는 것을 발견할 수 있었다. 이는 거주지역별 여건에 따라 차별화된 CSR활동의 추진 필요성을 보여주고 있다. The CSR activity of the public enterprise seeks public character through provision of a social service and the income redistribution activity, raises credibility of the enterprise and spreads in a local community social trust as regards the public enterprise. This research aims at finding out what influence the CSR activity of Korea Hydro & Nuclear Power Co.(KHNP) is having upon social trust. Also, by analyzing the influence awareness of authenticity and appropriateness has upon social trust, and the extent to which individual CSR activities enhance social trust, the author aims at proposing ways to raise social trust. The result of the research shows that authenticity of the CSR activity of KHNP has positive influence(+) on social trust of the local community. In addition, as a result of verifying the influence of each CSR activity factor by residence area, the author found positive influence on social trust in Yangnam-myeon by ‘authenticity of the CSR activity( β =.295)’, in Yangbuk-myeon by ‘appropriateness of the local volunteer activity project of the CSR activity( β =.381)’, in Gampo-eup by ‘appropriateness of the support project, of the CSR activity, for the local future generation( β =.347)’, respectively. This shows the necessity of propulsion of a CSR activity that is differentiated according to conditions of each residence area.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