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한 · 중 사정변경원칙에 관한 연구

        박영현(Young-Hyun PAK),웨이졘숴(Jian-Shuo WEI) 한국무역상무학회 2020 貿易商務硏究 Vol.87 No.-

        사정변경원칙은 "계약엄수 원칙"의 예외 조항으로 많은 국가가 사정변경원칙을 채택하고 있다. 당사자가 예견할 수 없는 객관적인 사정변경이 발생하고 당사자에게 귀책사유가 없을 경우 계약을 계속 이행하면 당사자에게 불공평하거나 목적 달성이 어렵기 때문에 당사자는 사정변경원칙을 적용해 계약을 수정 · 해지할 수 있다. 한 · 중은 각 각 사정변경원칙을 인정하고 있지만 사정변경원칙 적용에 차이가 상당히 있기 때문에 사정변경원칙을 분명하게 파악해야 원칙 적용으로 인한 무역 분쟁을 피할 수 있다. 한· 중 양국은 사정변경원칙을 비교적 최근에 채택하여 이에 대한 판례가 많이 부족하므로 본고는 한·중 양국 사정변경원칙의 과정, 구성 요건 및 법적 효과의 차이점 및 판례 분석을 통해 보완이 필요한 부분을 검토하여 사정변경원칙을 보다 적절히 활용하고 불필요한 분쟁을 감소시키고자 한다. The principle of change of circumstances began in Roman law, and as the world economy developed rapidly after the 19th century, many countries adopt the principle of change of circumstances. However, some countries did not adopt the principle of change of circumstances as a general principle, but in such cases, the principle of change of circumstances was recognized and clearly stipulated. The general assessment change principle is considered to be significantly unfair to the parties or to fail to achieve its objectives if the parties continue to perform the contract when the basis for the performance of the contract is lost and objective circumstances arise that cannot be held accountable to the parties. In this case, the principle of change of circumstances is applied to enable the parties to change or terminate the contract. Each country has recognized the principle of change of circumstances, but there are considerable differences in the application of the principle, the composition requirements and legal effects of this principle must be identified and clarified to avoid trade disputes arising from misunderstanding the principle. Korea and China have been highly experienced as countries that have recognized the principle of change in circumstances, so that Korea and China can find differences by explaining the history, composition requirements, and legal effects of the principle of change in the bilateral situation, analyze relevant precedents in the principle of change in the Korea-China situation, review the areas that need to be supplemented, and use the principle of change the assessment more appropriately to reduce unnecessary disputes.

      • KCI우수등재

        사정변경의 원칙

        이영준 한국민사법학회 2018 民事法學 Vol.82 No.-

        대법원은 근래에 사정변경에 인한 계약의 해제를 계약준수의 원칙의 예외로 긍정하는 판결을 하고 최근에는 이 사정에 주관적 사정도 포함되는 듯한 판결을 하였다. 2004년, 2013년의 법무부안은 사정변경에 인한 계약의 수정을 규정하고 있다. 이를 계기로 사정변경의 사정은 주관적 사정을 포함하는가, 현행법 하에서 법관은 당사자의 계약을 수정할 수 있는가, 수정청구권의 실체는 무엇인가, 사정변경에인한 수정이 해소에 우선인가, 당사자는 이를 위한 교섭의무를 지는가, 법관은 당사자의 교섭을 촉진할 의무를 지는가, 각 이룰 긍정한다면 그 실정 법적근거는 무엇인가, 사정변경을 민법총칙(신의칙), 계약의 효력, 해제, 위험부담 어디에 규정할 것인가 등이 문제된다. 사정변경의 원칙을 민법 제2조(신의칙)에 의하여 특별하게 인정되는 “예외적인법정책임”으로 보아서는 문제에 답하기 어렵다. 사정변경을 계약의 틈으로 파악하고 보충적 해석에 의한 당사자의 가상적 의사로 이 틈을 메울 수 있다. 민법 제137 조(무효)와 제138조(무효행위의 전환)는 가상적 의사에 의한 사적자치의 실정법적근거이다. 이른바 주관적 행위기초에 포섭될 수 있는 당사자 쌍방의 공통의 동기의착오에서 학설과 판례가 발전시킨 당사자의 가상적 의사에 의한 계약의 보충을 사정변경에 확장하여 적용할 수 있다. 사정변경에 인한 계약의 해소는 당사자가 사정변경을 계약체결 당시에 알았더라면 계약을 체결하지 않았을 것으로 인정되는 가상적 의사의 법률효과이다. 그리고사정변경에 인한 계약의 수정은 당사자가 사정변경을 알았더라면 계약의 내용을 이에 따라 변경하여 체결하였을 것으로 인정되는 가상적 의사의 법률효과이다. 사정변경에 인한 계약의 해소와 수정은 입법자의 의사에 부합되므로 법관은 민법 제1조 소정의 조리에 근거하여 명문의 규정이 없는 현행민법 하에서도 이를 할수 있다. 민법중개정법률안이나 민법개정시안이 이를 규정하고 있다는 사실 자체도이러한 조리의 근거로 된다. 충분하지는 않지만 민법 제103조, 제137조, 제138조의법리를 보완하여 사정변경의 원칙을 실정 민법에 정립 할 수 있다. 법질서는 개개의 사정변경에 부응하여 부단하게 자동적으로 당사자의 계약을 수정하거나 해소하여 법질서에 부합하는 상태로 존속시키고 당사자의 청구가 있는 경우에 법관은 이를 확인하여 당사자에게 실현하여 주는 것이다. 사적자치와 법질서의 양면으로부터 고찰한 사정변경의 원칙은 동일한 실체로 들어 난다. 사정변경에 인하여 계약이 해소 또는 수정되더라도 계약관계는 청산관계 또는 수정된 이행관계로 존속하고, 이것은 당사자의 가상적 의사에 의하여 행하여지는 것이므로 계약은 당사자의 의사에 따라 내용을 달리하여 계속 존수된다. 사정변경의 원칙은 계약준수의 원칙의 예외가 아니고 이를 완성하는 것이다. 사정변경의 원칙은 이행이 곤란한 경우에 인정되는 채무불이행의 亞種이다. 이행이 사실적으로 불가능하지는 않기 때문에 불완전 이행이나 하자담보책임에 있어서와 같이 수정된 이행청구가 인정될 뿐이다. 따라서 사정변경에 인한 계약의 해소와 수정에 관하여 채무불이행의 규정을 광범위하게 적용 할 수 있다. 아시아계약법원칙(PACL, Principles of Asian Contract Law)의 초안은 사정변경의 원칙을 채무불이행편 제30조에 규정하여 이러한 우리민법의 법리와 궤를 같이... Der Oberste Gerichtshof in Korea hat die Auflösung eines Vertrags wegen der Änderung der Geschäftsgrundlage mit dem Grund des Prinzipes von Treu und Glauben anerkannt, während es früher solch eine Auflösung ausdrücklich verneint hat. Er erwähnt, dass das Prinzip der Änderung der Geschäftsgrundlage eine Ausnahme von pacta sunt servanda wäre, die Literatur unterstützt das Urteil. Die Geschäftsgrundlage hier sei die sogenannte objektive. Aber neuerdings deutet das Oberste Gericht in einem Urteil an, dass die Geschäftsgrundlage auch die subjektive enthalte [Oberster Gerichtshof 2017.6.8., 2016 da 249557]. Die Entwürfe der Regierung von 2004 und der Reformkommission von 2014 regeln neuerlich die Anpassung und Auflösung des Vertrages als Rechtsbehelfe wegen der Änderung der Geschäftsgrundlage unter Berücksichtigung der Neigung der internationalen Gesetzgebung. Anlässlich dieser Gelegenheit werden die folgenden Fragen gestellt: Wo sollte diese Bestimmung geregelt werden? Zum Beispiel im Zusammenhang mit Art. 2 [Treu und Glauben], mit Art. 538 [Gefahrübergang], mit Art. 544 [Rücktritt] oder in einem eigenen Abschnitt? Mit welchem Rechtsgrund kann der Richter den Vertrag der Parteien anpassen? Sollen die Parteien verpflichtet werden, über ihre Forderung der Anpassung zu verhandeln? Sollen die Richter verpflichtet werden, die Verhandlungen zu beschleunigen? Wenn ja, was sind die Rechtsgründe hierfür? Soll die Anpassung des Vertrages der Auflösung vorhergehen? Um diese Fragen zu beantworten, muss zunächst das Wesen der Änderung der Geschäftsgrundlage erklärt werden. Wenn man davon ausgeht, dass die Anpassung und Auflösung eines Vertrages wegen der Änderung der Geschäftsgrundlage eine ausnahmsweise im Grunde von Treu und Glauben anerkannte spezielle Haftung darstellt, kann man die oben genannten Fragen nur schwer beantworten. Da dem geltende BGB in Korea eine Bestimmung über die Änderung der Geschäftsgrundlage fehlt, sollen für dessen Rechtsbehelfe die traditionellen Rechtslehren und Rechtsinstitutionen herausgezogen werden. Der Verfasser dieses Beitrages sieht die Änderung der Geschäftsgrundlage als eine Vertragslücke an und füllt diese Lücke mit ergänzender Auslegung aus. Es ist daher ein hypothetischer Parteiwille gesucht worden, der existieren soll, wenn den Parteien die Änderung der Geschäftsgrundlage bewusst gewesen wäre. Das Oberste Gericht hat schon den beiderseitigen Beweggrundirrtum, der meist die subjektive Geschäftsgrundlage betrifft, durch den hypothetischen Parteiwillen gelöst. Diese Methode kann erweitert und auch im Bereich der objektiven Geschäftsgrundlage angewendet werden. Obwohl die objektive Geschäftsgrundlage verschieden von der subjektiven ist, gibt es kein Hindernis, diese Methode hier anzuwenden. Die Auflösung wegen der Änderung der Geschäftsgrundlage ist dann erlaubt, wenn die Parteien den Vertrag nicht abgeschlossen hätten, wenn sie von der Änderung der Geschäftsgrundlage gewusst hätten. Die Anpassung des Vertrags ist dann erlaubt, wenn die Parteien den Vertrag mit geänderten Inhalt auch dann geschlossen hätten, wenn sie von der Änderung gewusst hätten. Die Auflösung und die Anpassung des Vertrags sind nichts anders als Rechtsfolgen der ergänzenden Auslegung des Vertrags. Dieses Resultat ist ein Aspekt des Prinzips der Änderung der Geschäftsgrundlage aus Perspektive der Privatautonomie. Es ist eine Lücke, dass im Gesetz die Auflösung und die Anpassung des Vertrags wegen der Änderung der Geschäftsgrundlage nicht vorhanden sind. Die Ergänzung des Gesetzes durch den Richter ist dann erlaubt, wenn sie mit der Rechtsordnung übereinstimmt. Dafür muss der Richter durch vergleichbare Bestimmungen des Gesetzes den Willen des Gesetzgebers herausfinden, der gelten würde, wenn der Gesetzgeber von der Lücke des Gesetzes gewusst hätte. Danach kann der Richter mit dem Rechtsgrund des Art.1 BGB [Natur der Sache] den Vertrag auflösen oder anpass...

      • 손해사정사의 업무범위 확장에 관한 연구 -합의 및 분쟁의 조정 대리권을 중심으로-

        최유정 ( Yujeong Choi ),김진형 ( Jinhyung Kim ) 한국손해사정학회 2019 손해사정연구 Vol.19 No.-

        1978년 보험업법의 개정으로 국내에 손해사정사제도가 처음 도입된 이후 40여년간 제도적·실무적으로 많은 발전을 이루어 왔다. 손해사정은 보험소비자의 손실에 대한 경제적 보상을 실현시켜주는 수단으로, 손해사정사는 보험계약자의 권익보장과 보험산업 내의 불필요한 분쟁을 최소화하기 위해 자신의 업무에 임한다. 하지만 손해사정사의 업무 영역에 대한 잦은 분쟁으로 인해 손해사정사에 대한 사회적 가치가 훼손되고, 이와 더불어 보험계약자의 보험금 지급 청구에 대한 정당한 권리요구의 기회마저 박탈되고 있다. 손해사정사의 업무영역에 관한 분쟁의 주요 원인은 현재 손해사정사에 대한 명확한 법적 정의가 부재하고, 손해사정 실무를 포괄하지 못하는 규정으로 인해 분쟁소지가 다분하며, 손해사정사의 대리권이 다른 전문자격사들에 비해서도 지나치게 제한되고 있다는 점에 있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손해사정사제도의 입법취지를 살리기 위해, 현재 발생하고 있는 업무범위 분쟁을 최소화하면서도, 손해사정사에게 보험금 지급청구나 사정에 관한 합의를 진행할 수 있는 대리권을 부여하고, 관련 분쟁조정의 참여를 통해 전문자격사로서의 업무를 지속할 수 있는 방안에 대해 논의하고자 한다. After the claims adjuster system was first introduced in Korea with the revision of the 1978 Insurance Business Act, there have been many institutional and operational developments over the past 40 years. Claims adjustment is a way to realize economic compensation regarding the loss of insurance consumers and the claims adjuster fulfills their duties to guarantee the rights and interests of policyholders and to minimize unnecessary disputes within the insurance industry. However, frequent disputes regarding the work scope of claims adjuster harm their social value and in addition, policyholders are being deprived of their opportunities to legitimately demand their rights regarding insurance payment requests. The main cause of disputes regarding the work domain of claims adjuster is that there is no clear legal definition regarding claims adjuster, there are many possibilities for dispute due to regulations that do not include the practical affairs of claims adjustment, and the representation rights of claims adjuster is excessively limited compared to those of other professional appraisers. Therefore, to revive the legislative intent of the claims adjuster system, this thesis attempts to discuss methods that will minimize work scope disputes that are currently occurring, offer representation rights to claims adjuster with which they can request payment of insurance and conduct settlements regarding claims, and allow claims adjuster to continue their work as professional appraisers through participation in related dispute mediations.

      • KCI등재

        국제계약상 사정변경의 원칙

        손경환,최성규 국제거래법학회 2014 國際去來法硏究 Vol.23 No.1

        계약은 사적자치의 원칙에 따라 당사자 사이의 자유로운 의사의 합치에 의하여 이루어지고, 그에 따른 상호간 구속력이 발생하므로 어떠한 사정 변경이 있더라도 그 구속력에는 변함이 없으며, 당사자 사이의 계약은 약정한 대로 이행되어야 하는 것이 계약의 기본적인 원칙이지만, 계약체결 후 당사자가 예측할 수 없었던 상황의 변경으로 인하여 계약의 균형이 근본적으로 변경된 경우 이로 인하여 일방 또는 쌍방의 계약당사자가 당초의 계약대로 이행하기가 곤란하거나 불가능한 경우가 발생하며, 이러한 경우에는 당초 계약대로 이행을 강제하는 것은 신의칙 및 형평에 맞지 않으므로 계약을 수정하거나 해제•해지를 허용할 필요가 있다고 하여 이를 ‘사정변경의 원칙’이라고 부르며, 오랫동안 논의되어 왔다. 동 원칙은 각 국가에 따라 자국법에 명문화 된 경우가 있으나 이 경우에도 동 원칙이 적용되기 위한 상세한 요건 및 그 효과는 각 국가의 실정법마다 다르고, 명문화 되어 있지 아니한 경우라도 개별조항에서 그 의미를 내포하고 있거나, 법원의 사법적 해석상 나타내는 경우도 있다. 이러한 경우에, 국제계약이 체결되는 경우에는 동 원칙의 적용여부가 당사자 사이의 계약상에 명시적으로 규정된 조항의 존부(혹은 그 해석의 가능여부) 및 당해 계약의 준거법에 따라 달라질 것이다. 나아가 당사자 사이의 계약상에 명시적으로 사정변경에 관한 조항이 없는 경우나 당해 계약의 준거법에 사정변경에 관한 규정이 없는 경우, 동 원칙을 적용할 수 없는 것인지 또는 당사자 사이의 계약이나 준거법에 명시적으로 사정변경의 원칙을 배제하기로 한 규정이 있는 경우, 사정변경의 원칙이 강행법규로서 이러한 배제규정에 우선하여 적용될 수 있는가 하는 점에서 실제적인 문제에 부딪힌다. 관련 판례에서 직접적인 준거법이 아니라도 보충규범으로나마 관련 국제규범의 적용이 가능하다면, 해당되는 국제규범에서 규정하고 있는 사정변경의 원칙을 적용하는 것은 가능한 것이 확인되었으나, 준거법합의시나 준거법 검토시 사정변경의 원칙에 대해서도 준거법이나 국제규범마다 요건과 효과가 구체적으로는 차이가 있으므로 준거할 규범의 내용을 잘 이해할 필요가 있겠다. 한편, 계약에 명시적으로 사정변경의 원칙을 배제한 경우라도 사정변경의 원칙이 강행법규로 이해되는 국가에 있어서는 사정변경원칙 배제 합의는 무효로 해석될 것이며, 준거법인 외국법의 적용이 법정지의 공서에 반하는 때에는 그 적용을 배척할 수 있으므로 사정변경의 원칙의 적용을 부인하는 준거법이 법정지의 공서에 반하는 때에는 그 준거법의 적용을 배척할 수 있겠다. 2004년 우리 민법 개정안에서 사정변경의 원칙을 명문화 하였고 주변국인 일본이나 중국에서도 계속해서 입법화를 시도하고 있으며, 대만에서는 입법되기도 하는 등, 사정변경원칙은 더 이상 계약준수원칙의 반대편에 위치한 법리 내지 원칙이 아니라, 현재의 법을 반영하는 법규범이라고 할 수 있겠다. 그러한 관점에서 아시아 주요국을 기점으로 아시아계약법원칙을 규범화 하려는 흐름과 특별법의 입법에 부응하여 우리 민법에 있어서도 국제규범들과의 조화로운 적용 또는 해석을 위하여 사정변경의 원칙을 명문화하여야 할 것이다. In this paper, we examined applicability of the Principle of Changes in Circumstancesto International Contracts. Contracts are entered into, based on the principle of privateautonomy, upon the agreement between the parties’ free intentions, and a mutualbinding effect forms following the contract, which under any circumstances cannot bechanged, and the principle of freedom of contract is to fulfill the contract as agreedbetween the parties. However, if the balance of the contract is fundamentally altereddue to unexpected changes in circumstances after the contract conclusion, situations arisewhere one or both parties in the contract can’t perform the original contract, andcompelling the fulfillment of original contract is against the good faith and fairness, the‘Principle of Changes in Circumstances(clausula rebus sic stantibus)’ states that suchcontract should be allowed for modifications or terminations, and it has been discussedfor a long time. Although such principle may be stipulated in each country’s law, itsspecific requirements to be in effect or its effects are different according to eachcountry’s positive law, or in other cases, it may connote the signification of theprinciple in individual clause if not stipulated, or be implied in the court’s judicialinterpretation. In such circumstances, the applicability of the principle in internationalcontract may change based on the existence (or feasibility of interpretation) of theclauses that explicitly states such in the contract or the governing law of the contract. Furthermore, if the contract does not explicitly state about the change in circumstances,or there is no regulation on change in circumstances in governing law, or an article thateither states that the principle is inapplicable or explicitly excludes the principle ofchange in circumstances in the contract or governing law, the principle of change incircumstances faces the practical problem of whether it can precede such exclusion andbe applied. It was confirmed in the precedents that, if the international rule can beapplied at least as a suppletion if not an actual governing law, the principle of change in circumstances defined by the relevant international rule can be applied, but even eachgoverning law or international rule has different specific requirements or effects, thecontents of the article to comply with must be thoroughly understood. However, even ifthe Principle of Changes in Circumstances is explicitly excluded in the contract, suchagreement of exclusion is void in countries where the Principle of Changes inCircumstances is a mandatory law, and since the application can be excluded if theforeign law, which is the governing law, is against the public policy of the forum state,if the governing law that denies the application of the principle goes against the publicpolicy of the forum state, the application of such governing law can be excluded. The 2004 Bill of the Korean Civil Code provided the principle of changes incircumstances, neighboring countries such as Japan and China are continuously trying tolegalize it, and it has already been enacted in Taiwan. Like this, the principle ofchanges in circumstances is no longer a principle of law or rule that stands on theopposite side of the principle of freedom of contract and pacta sunt servanda principle,but a rule of law that reflects the current legal norm. From such viewpoint, to meet thetrend of major Asian countries’ effort to formulate the Principles of Asian ContractLaw, the Korean Civil Code should explicitly provide the principle of changes incircumstances for harmonious application or interpretation with the international normson contract.

      • 입학사정관 전문성 강화를 위한 교육훈련 프로그램 현황 분석

        조희권 ( Cho Hee Kwon ),이승아 ( Lee Seung-a ),김은혜 ( Kim Eun-hye ),김화신 ( Kim Hwashin ) 경희대학교 입학전형연구센터 2020 입학전형연구 Vol.9 No.-

        본 연구는 학생부종합전형을 운영하고 있는 대학의 교육훈련 프로그램 현황을 분석하여 입학사정관 평가역량 전문성 강화 방안을 모색하고자 하였다. 2019년 고교교육 기여대학 지원사업에 선정된 대학 중 분석가능한 데이터를 보내 준 18개 대학 입학사정관 교육훈련 프로그램현황을 분석하였고, 10개 대학 입학사정관 교육훈련 담당자에게 심층설문을 실시하였다. 교육훈련 이수시간은 전임(신임)사정관이 148.6시간으로 가장 많았고, 위촉(연임)사정관이 32시간으로 가장 적었다. 교육훈련 주제는 이론교육이 차지하는 비율이 74.2%로, 실무교육 25.8%보다 3배 정도 높았다. 교육시기별로 보면 7월부터 9월에 교육훈련 운영빈도가 55.5%로 가장 집중적으로 이루어졌다. 입학사정관 연차별 프로그램은 전임(신임)사정관은 대교협 연수와 내부이론교육 위주로 운영되었고, 전임(경력)사정관은 실습 위주의 교육과 전형분석 및 전형설계를 위한 교육이 추가로 진행되었다. 위촉(신임)사정관은 대교협 연수 위주로 교육이 구성되었고, 모의평가 등의 실습교육을 신임과 연임위촉사정관이 함께 받는 경우가 많았다. 입학사정관 교육훈련을 담당하는 사정관은 <고교교육과정 및 학생부의 이해>, <대입제도의 이해>, <입학사정관 직무윤리>, <소속대학의 전형의 이해>, <대학 및 모집단위별 인재상>을 입학사정관이 필수적으로 이수해야 하는 기본적인 교육내용으로 인식하고 있었다. 또한 심화교육과정으로 <대입전형 결과 분석(통계분석을 위한 실습)>과 <대입전형 설계>를 선택하였다.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way for enhancing the evaluation expertise of the admission officer by analyzing the current status of education and training programs of universities that operate the comprehensive student record screening system. For this study, the available data of present condition of education and training programs for admission officers, which were sent from 18 universities among the universities selected for the project regarding contributing to high school education in 2019, were analyzed, and in-depth surveys were conducted on 10 university admissions officers. Full-time(newcomer)officers had the largest number of hours to complete education and training with 148.6 hours, while commissioned(experienced)officers had the lowest number of education and training hours with 32 hours. When it comes to the theme of education and training, the theoretical education was carried out with 74.2%. Referring to the education period, 55.5% of education and training were intensively implemented from July to September. The admission officers who are in charge of the education and training for the admission officer recognized several courses which are < Understanding High School Curriculum and comprehensive school records >, < Comprehension the University Entrance System >, < Work Ethics of University Admission Officer >, < Comprehension of Admission method in Affiliated University >, < The Concept of Talent of University and Each Admission Unit > as a basic essential courses for all admission officers. In addition, by means of advanced training courses, < Analysis of the Results of the University Admission (Practice for statistical analysis) > and < Design of the University Entrance System > were selected.

      • KCI등재

        사정변경의 원칙에 관한 현안의 정리 및 검토

        송덕수 ( Tuck-soo Song ) 이화여자대학교 법학연구소 2018 法學論集 Vol.23 No.1

        이 논문은 우리나라에서 사정변경의 원칙에 관하여 지금까지 발표된 수많은 연구문헌을 읽고 판례와 외국법도 참고하여 사정변경원칙에 관한 현안을 모두 추출·정리하고 그 각각에 대하여 검토를 한 것이다. 그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해석론에서의 문제 사정변경원칙을 인정하여야 하는가에 관하여는 긍정하여야 하며, 그 근거는 신의 칙에서 찾아야 한다. 판례가 사정변경원칙을 인정하고 있는가에 대하여는, 우리 판례가 계속적 보증계약의 경우에는 물론이고 일반적으로도 사정변경원칙의 법리는 확실하게 인정하고 있다고 이해해야 한다. 사정변경원칙의 요건에 관하여는 학설이 나뉘고 판례도 대법원 2007. 3. 29. 선고 2004다31302 판결([제1판결]이라 함)과 대법원 2017. 6. 8. 선고 2016다249557 판결([제2판결]이라 함)이 차이를 보인다. 소수설은 사정변경원칙의 적용범위를 제한하려고 하는데 통설처럼 부정해야 한다. 그리고 요건으로서 ‘해제권 취득자에게 유책사유가 없을 것’은 필요하다고 해야 한다. 사정변경원칙에서 사정은 객관적 사정만을 가리킨다고 해야 한다. 이행불능과 사정변경은 구별되어야 하는데 그에 관한 이론으로 우리나라에서 주장되고 있는 학설은 받아들일 만하다. 그리고 이행불능과 사정변경원칙 사이에 경합이 생긴다면 이행불능의 법리를 우선시켜야 한다. 위험을 인수한 경우와 사정변경을 구별할 때에는 모든 사정을 종합하여 판단해야 한다. 사정변경원칙의 요건으로 ‘중대한 불균형을 초래하거나 계약목적을 달성할 수 없는 경우’를 드는 것보다는 ‘신의칙에 반할 것’을 드는 것이 낫다. 사정변경원칙의 일반적 효과로서는 계약의 해제·해지와 계약의 수정이 모두 인정되어야 한다. 그런데 그 효과 각각이 발생하는 경우를 일정한 경우에 한정시키는 것은 적절하지 않다. 그리고 계약수정을 계약해제·해지에 우선시킬 것도 아니다. 또한 재교섭의무도 인정되지 않는다고 해야 한다. (2) 입법론에서의 문제 사정변경원칙의 입법이 필요한지에 관하여는 견해가 나뉘는데, 찬성해야 한다. 2004년 개정안에 대하여는 전체적으로 또는 부분적으로 비판적인 의견이 많다. 2014년 개정안에 대하여는 부분적으로 비판하고 있는 문헌들이 약간 존재한다. 입법내용과 관련하여 우선 사정변경원칙 규정의 위치에 대하여는 2014년 개정안처럼 ‘계약의 효력’의 관에 두는 것이 바람직하다. 사정변경원칙의 요건을 입법할 때에는 통설 및 [제1판결]에 따르는 것이 좋다. 사정변경원칙의 효과로서 재교섭의무나 재교섭청구권은 규정하지 않아야 한다. 그리고 계약해제·해지와 계약수정은 법원의 권한으로 할 것이 아니고 당사자의 권한으로 규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계약해제·해지와 계약수정은 병렬적으로 규정해야 하고, 계약수정을 우선시킬 것이 아니다. 계약준수의 원칙은 합리적으로 생각한다면 명문화하지 않는 것이 민법의 체제에 맞지만 사정변경원칙의 남용이 우려된다면 명문화를 고려할 수도 있다. (3) 공통의 동기의 착오는 해석이나 입법의 둘 모두의 경우에 사정변경원칙의 법에서보다는 착오법에서 해결하는 것이 더 바람직하다. Im vorliegenden Beitrag werden alle aktuellen Fragen in Hinsicht auf die Lehre von der Geschaftsgrundlage anhand der Analyse der zahlreichen Literatur und Rechtsprechung in dem koreanischen BGB, sowie der Rechtsvergleichung behandelt und untersucht. Die Ergebnisse sind wie folgt zusammengefasst. (1) Probleme de lege lata Die Lehre von der Geschaftsgrundlage ist als Konkretisierungen des Treu und Glauben-Prinzips anzuerkennen. Der jetzige Standpunkt des koreanischen Gerichts sollte dahin verstanden werden, dass die Geltung der Geschaftsgrundlagelehre in der Rechtsprechung nicht nur im Fall der Burgschaft, die ein Dauerschuldverhaltnis ist, sondern auch im Allgemeinen durchaus anerkannt ist. Uber die Anwendungsvoraussetzungen der Geschaftsgrundlagenstorung besteht sowohl in der Rechtsprechung (KOG, Urt v. 29.03.2007, 2004Da31302; a.A. Urt. v. 08.06.2017, 2016Da249557) als auch in der Literatur Uneinigkeit. Eine Mindermeinung im Schriftum wolle den Geltungsbereich der Geschaftsgrundlagenstorung einschranken, was aber wie in der herrschenden Lehre verneint werden soll. Zunachst ist erforderlich die Voraussetzung, dass der Inhaber des Rucktrittsrechts die Storung der Geschaftsgrundlage nicht zu vertreten hat. Als Geschaftsgrundlage sollten allein die objektiven Umstande in Betracht kommen. Zudem ist die in Korea neulich vertretene Auffasung, die die Geschaftsgrundlagenstorung von der Unmoglichkeit der Leistung unterscheidet, akzeptabel. Im Konkurrenzverhaltnis zu der Unmoglichkeit sollte die Regel der Unmoglichkeit Vorrang gegenuber der Geschaftsgrundlagelehre haben. Bei der Unterscheidung zwischen den Fallen der Ubernahme des Risikos der Anderung und der Geschaftsgrundlagenstorung mussen alle Umstande berucksichtigt werden. Fur die Geschaftsgrundlagenstorung sollte vorausgesetzt werden, dass ein Festhalten am Vertrag nach Treu und Glauben nicht mehr zuzumuten ist, aber nicht dass ein großes Missverhaltnis zwischen dem Leistungsinteresse des Glaubigers und dem Aufwand des Schuldners besteht oder ein Vertragszweck nicht mehr erreichbar ist. Als Rechtsfolgen der Geschaftsgrundlagenstorung sind sowohl die Vertragsanpassung als auch das Rucktrittsrecht bzw. die Kundigung zu bejahen. Dabei sollte der Eintritt der jeweiligen Rechtsfolge nicht vom jeweiligen Tatbestand abhanig gemacht werden. Im Weiteren durfte der Vertragsanpassung kein Vorrang gegenuber dem Rucktrittsrecht bzw. der Kundigung zukommen. Zudem sollte die Neuverhandlungspflicht oder -obliegenheit abgelehnt werden. (2) Probleme de lege ferenda Streitig ist, ob eine Kodifikation erforderlich ist. Das Gesetz sollte damit die Geltung der richterrechtlich entwicklten Doktrin ausdrucklich anerkennen. Der Entwurf fur die Anderung des koreanischen BGB in 2004 war einerseits einer allgemeinen, aber auch einer zum Teil heftigen Kritik ausgesetzt. Zu dem Entwurf von 2014 sind einige kritische Auffassungen vertreten worden. Wie im Entwurf von 2014 vorgeschlagen wurde, ware es angemessen, dass die gesetzliche Regelung unter dem Abschnitt ,,Wirkugen des Vertrags“ zu finden ist. In Hinsicht auf die Voraussetzugen ware der Standpunkt der herrschenden Lehre und des oben genannten Urteils (2004Da31302) sachgerecht. Die Neuverhandlungspflicht bzw. der Anspruch auf Neuverhandlung sollte nicht vorgeschrieben werden. Es ware angemessen, dass nicht das Gericht, sondern eine Vertragspartei zur Vertragsanpassung sowie zum Rucktritt bzw. zur Kundigung befugt ist. Im Weiteren sollten die Vorschriften uber die Rechtsfolgen nebeneinanderstehen, also sollte die Vertragsanpassung dem Rucktritt und der Kundigung nicht vorgeschaltet werden. Zwar durften die Grundsatze der Vertragstreue und Vertragsbindung nach der ganzen Systematik des koreanischen BGB nicht normativ anerkannt werden, jedoch konnte die normative Regelung zum Schutz vor Missbrauch der Geschaftsgrundlagestorung in Betracht kommen. (3) Der Fall des beiderseitigen Motivirrtums ist sowohl in de lege lata als auch in de lege ferenda sachgerecht nach Irrtumsregeln zu behandeln.

      • KCI등재

        사정변경 원칙론의 일본에서의 연혁과 입법동향

        김희동 서울시립대학교 서울시립대학교 법학연구소 2017 서울법학 Vol.25 No.2

        In Japan, the principle of change of circumstances is justified by Katsumoto, and the theory established by Igarashi has a legitimate view, and in practice, the principle of change of circumstances has been accepted as an exceptional principle for the principle of contract compliance. However, the Supreme Court of Japan has been cautious about the application of the principle of change of circumstances. Compared to the strict position of the Supreme Court, the subordinate courts are relatively active in the principle of change of circumstances and emphasizes the role of the court by actively presenting the right to modify the contract in relation to its effect. In the course of the revision of the Japanese Civil Law, there was a proposal to prescribe the principle of change of circumstances. However, due to the prescription of the principle of change of circumstances, which is only an exceptional jurisprudence, There is a concern that it may be unreasonable and abusive and arbitrary, and that it is extremely difficult to prescribe principle of change of reason in terms of legal and analytical aspects as appropriate and reasonable words. It is pointed out that, even if the principle of change of circumstances is prescribed, the role of the court and the limitation of the judicial authority should be carefully examined in order to recognize the right of the contract modification as well as the cancellation of the contract. In the end, Japan decided not to prescribe the principle of change of circumstances in the amendment of the civil law. In the process of reflecting such diverse opinions of the various fields based on the theories and legislative trends of Japan, especially in the legislative work, there is a meaning and substantial implications as a comparative legal reference for the revision of the Civil Law. It is reasonable and appropriate to secure individual and concrete validity based on the new rules, as in the past, rather than simply stipulating the principle of change of circumstances. On the other hand, I think that the role of the court and the limitation of the judicial authority should be carefully examined in order to recognize the contract modification as well as the cancellation of the contract. Prior to the discussion of how to make the requirements and effects on the premise of changing the circumstances of the jurisprudence, we will conduct in-depth research based on the background and history of the introduction of the principle of change of circumstances in Korea, A fundamental consensus should be made about sufficient discussion and externalization of external risks and efficiency. 일본에서 사정변경의 원칙은 카츠모토에 의하여 정당화되고, 이가라시가 정립한 이론이 통설적 견해를 이루고 있고, 실무상으로도 사정변경의 원칙은 계약존중의 원칙에 대한 예외적 법리로 수용되어 왔다. 다만 일본 최고재판소는 그 요건의 해석과 관련해서 예견불가능성을 부정하거나 신의칙에 반하지 않는다고 함으로써 사정변경의 원칙의 적용에 신중한 입장을 보이고 있다. 최고재판소의 엄격한 입장에 비해서 하급심은 상대적으로 사정변경의 원칙에 적극적이고, 그 효과와 관련하여 계약내용의 개정권을 적극적으로 제시함으로서 법원의 역할을 강조하고 있다. 이러한 실무의 경향은 원칙적으로 학설의 다수설의 경향을 따르고 있는 것으로 평가되고 있다. 일본의 채권법 개정작업 과정에서 사정변경의 원칙을 명문화하는 제안이 있었으나, 이에 대하여는 예외 법리에 불과한 사정변경 원칙의 명문화로 인해서 채무의 이행거절이나 변제 조건의 변경에 관해 당사자가 재판내ㆍ외를 불문하고 남용적이고 독단적인 주장을 남발할 우려가 있고, 또한 법기술적ㆍ해석적 측면에서도 사정변경의 원칙을 적절하고 합리적인 문언으로 명문화하는 것은 명확성의 면에서 극히 어렵다는 반론이 제기되었다. 그리고 사정변경의 원칙을 명문화 하더라도 그 효과적인 측면에서 계약의 해제뿐만 아니라 계약조정 또는 수정권을 인정함에 있어서는 법원의 역할과 사법적 권한의 한계에 대해서도 반드시 신중하게 검토되어야 할 것이라는 지적이 있었다. 결국 일본에서는 최종 민법개정 요강안에서는 사정변경의 원칙을 명문화하지 않기로 하였다. 이러한 일본의 이론과 입법동향, 특히 입법 작업 내에서 기존의 연구를 바탕으로 한 각계의 다양한 의견을 반영하는 과정에서 나타난 명문화 논의는 우리 민법 개정작업에도 하나의 비교법적인 참고로서 유용한 의미와 상당한 시사점을 주고 있다. 사정변경의 법리를 굳이 명문화하는 것보다는 기존과 같이 신의칙에 근거해서 개별적ㆍ구체적 타당성을 확보하는 것이 합리적이고 적절한 측면이 있다. 한편, 그 효과적인 측면에서 계약의 해제뿐만 아니라 계약수정권을 인정함에 있어서는 법원의 역할과 사법적 권한의 한계에 대해서도 반드시 신중하게 검토되어야 할 것이라고 생각한다. 사정변경 법리의 명문화를 전제로 그 요건과 효과를 어떻게 할 것인가라는 논의에 앞서, 우리나라에서 사정변경의 원칙의 도입 배경이나 연혁을 기초로 한 깊이 있는 연구와 함께, 명문화로 인해 초래될 재판내ㆍ외적 리스크나 효율성에 대한 충분한 논의와 명문화 자체에 대한 근본적 컨센서스가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 KCI등재

        사정변경의 원칙과 관련한 입법방향

        김성욱(Kim, Sung-Wook) 한국법학회 2014 법학연구 Vol.55 No.-

        사정변경의 원칙이란 계약체결의 기초가 된 사정이 당사자가 예견할 수 없었던 상황의 발생으로 변경됨으로서 본래의 계약내용대로 구속력을 인정하는 것이 신의칙상 부당한 경우가 발생할 경우에 예외적으로 계약을 수정하거나 내지 해소할 수 있는 법리를 말한다. 이러한 사정변경의 원칙은 다른 국가에서도 다양한 모습으로 논의되어 왔는데, 예를 들어 독일에서는 행위기초론, 프랑스에서는 불예견론, 영미에서는 계약좌절(Frustration)의 법리로 주장되었고, 이러한 법리들은 입법과정에 반영되었는데, 특히 UNIDROIT 국제상사계약원칙(PICC), 유럽계약법원칙(PECL), 유럽계약법 공통참조기준초안(DCFR) 등 국제통일계약법에서는 사정변경의 원칙이 명문화되었다. 우리나라의 경우에도 사정변경의 원칙에 대한 논의가 전개되어 왔으며, 최근에는 매매계약에서 사정변경의 원칙을 인정할 수 있는 태도를 보인 대법원 판례도 있었고, 사정변경의 원칙을 도입한 2004년 법무부 민법개정안을 계기로 관련논의가 활발하게 진행되기도 하였으며, 아파트나 상가의 분양계약에 있어서의 사정변경문제, 키코계약(KIKO, 통화옵션계약)에 있어서의 환율급등문제에 대한 소송도 있었다. 특히 2012년 법무부 민법개정안에서는 사정변경의 규정이 신설됨으로서 사정변경의 원칙에 대한 논의는 더욱 활발하게 전개되고 있다. 생각건대, 사정변경으로 인하여 신의칙상 부당한 결과를 초래할 수 있는 계약을 이행하라고 강제하는 것은 사적자치의 본질과 계약적 정의에도 반한다는 점에서 사정변경의 원칙은 인정되어야 한다. 그리고 법 질서의 정립과 올바른 운용을 위해서 명문화가 필요하다고 본다. 다만, 사정변경의 원칙의 인정요건은 계약준수의 원칙과의 관계를 고려할 때 엄격할 필요가 있다. 따라서 사정변경의 원칙의 인정요건에는 사정변경의 현저성, 예측불가능성, 계약유지의 신의칙상 부당성이 포함되어야 한다. 다만, 이번 민법개정안에서 사정변경의 원칙이 명문규정으로 신설되었다고 하더라도, 계약의 구속력이 약화되는 방향으로 당해 규정이 적용되는 것은 타당하지 않고, 신중하게 적용될 수 있도록 운용되어야 할 것이다. In case binding the contract parties to original contract is severely unjust because of the occurrence of an unforeseen change in the circumstance as a base of contract, the parties can modify or terminate a contract exceptionally by the principle of change of circumstance. In that sense, the principle of change of circumstance and the principle of contract observance are two conflicting values, which at the same time, make an interface between legal stability and fitness. Various countries have discussed this matter based on different theories, such as “Fundamental conduct theory” of Germany, “Unanticipated circumstance theory” of France, “Doctrine of frustration” of Common law. Today, legislation through Civil Law revision is being actively progressed, and the principle of change of circumstances is being stipulated particularly in international contract law such as PICC, PECL, DCFR, etc. In Korea, the principle of change of circumstances has been discussed for decades, especially recent judgement of Supreme Court which showed a positive attitude towards the principle of change of circumstances in sales contracts and Civil Law revision by Ministry of Justice which adopted the principle of change of circumstances triggered animated discussion. And lawsuits about the change of circumstance in parcelling-out contracts, exchange rate in KIKO, and the 2012 amendments to Civil Law have generated even more active discussion about the principle of change of circumstances. The principle of change in circumstances should be adopted in that forcing to implement a contract without considering change of circumstances can cause unreasonable result which stands against the principle of private autonomy and contractual justice. Furthermore, it should also be precisely stipulated for the establishment of law and order. The principle of change of circumstances should be strictly ruled considering the relation with the principle of contract observance. Core requirements of the principle of change of circumstances which must be stated in Korean Civil Law are fundamental change in objective circumstance, unpredictability, injustice of maintenance of contract in good faith principle. It is also important that the circumstance amendment principle should be applied in the exceptional circumstances. Otherwise it could be used as an excuse to all sorts of inconvenient obligations and this will weaken the binding power.

      • KCI등재

        사정변경의 원칙에 관한 입법 논의에 대한 연구

        김나래 한국법학원 2023 저스티스 Vol.199 No.-

        사정변경의 원칙은 민법 제2조상의 신의성실원칙을 근거로 하고 있지만, 이에 대한 일반조항은 존재하지 않고, 개별적인 조항에서 이 원칙을 반영하고 있다. 학설과 판례는 오래 전부터 사정변경의 원칙을 인정하고 있다. 물론 사정변경의 원칙에 대하여 부정하는 견해가 존재하지만, 다수설에 따르면, 이 원칙은 민법 제2조의 신의성실원칙의 파생원칙으로 인정함으로써 일정한 조건이 충족된 경우에 계약내용을 수정하거나 해제 내지 해지를 인정하고 있다. 이에 반하여 판례는 사정변경의 원칙의 적용 요건을 엄격히 함으로써 그 적용에 있어서 소극적인 입장을 취해왔다. 이러한 종래의 학설 및 판례의 태도를 반영하여 일정한 요건에 따라 사정변경의 원칙을 민법에 명문화하기 위한 시도가 두 차례 있었다. 2004년 민법개정안 제544조의4(사정변경과 해제․해지), 2012년 민법개정시안 제538조의2(사정변경)의 신설이었다. 이는 사정변경의 원칙을 명문화하는 국제적인 흐름을 반영한 것으로서, 비록 최종적으로 개정되지는 못하였지만, 괄목할만한 성과라고 볼 수 있다. 본 논문에서는 사정변경의 원칙에 관한 다양한 논의를 바탕으로 입법론적 개선방안을 마련하고자 한다. 이를 통하여 사정변경의 원칙을 명문으로 규정하는 경우에 어떤 내용과 방법을 따르는 것이 타당한지에 대하여 검토함으로써 차후에 우리 민법의 개정과정에 있어서 논의의 단초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논문의 내용을 간단히 정리하면, 급변하는 사회 환경에 대응하기 위해서는 사정변경의 원칙이 일반 원칙으로서의 역할을 하면서, 실제로 구체적인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역할도 할 수 있도록 요건과 효과가 구체화 될 필요가 있다. 첫째, 계약성립 당시 기초가 되었던 사정이 현저하게 변경되었을 것, 둘째, 사정의 변경을 당사자가 예상하지 못하였고 예상할 수 없었을 것, 셋째, 사정의 변경이 당사자의 귀책사유로 인한 것이 아닐 것, 넷째, 계약내용대로 구속력을 인정할 경우, 당사자의 이해에 중대한 불균형을 초래하거나 계약을 체결한 목적을 달성할 수 없어야 한다. 계약준수의 원칙은 최초의 계약의 내용대로 반드시 계약이 이행되어야 한다는 것이지만, 사정이 변경되었음에도 불구하고 강제로 일방당사자에게 부담을 주면서 계약의 내용에 따르게 하는 것이 계약준수의 원칙의 기본적인 취지는 아니라고 생각한다. 변경된 사정에 맞게 계약의 내용을 수정하여 급부의무를 이행하도록 하는 것이 타당하다면, 그러한 것이 계약준수의 원칙에 더욱 부합하는 것이다. 그러한 측면에서 사정변경의 원칙의 효과로서 계약수정권과 계약해제ㆍ해지권 모두 인정해야 하며, 당사자의 선택에 따라서 이러한 권리를 행사할 수 있도록 하여야 한다. 그리고 계약 당사자 사이에 계약의 수정에 대한 합의가 이루어지지 않는다면, 법원이 개입하여 한 번 더 계약의 내용에 대해 수정할 수 있는 기회를 가지도록 하는 것이 합리적이라고 생각한다. 법원을 통하여 사정변경에 따른 계약 내용의 불합리한 점을 수정함으로써 계약 당사자간의 이해관계를 합리적으로 조정할 수 있기 때문이다.

      • KCI우수등재

        「사정변경의 원칙」 적용론 - 대상판결: 대법원 2021. 6. 30. 선고 2019다276338 판결 -

        장보은(Chang, Bo-Eun) 한국민사법학회 2021 民事法學 Vol.97 No.-

        사정변경의 원칙은 신의칙에 근거한 계약법상 법리로, 계약준수의 원칙에 대한 예외로 이해된다. 그동안 우리 법원은 법리로서 사정변경의 원칙이 인정된다는 것을 분명히 하면서도, 실제 사안에서 사정변경을 이유로 계약의 해제 또는 해지를 인정하는 데에는 매우 인색하였다. 그런데 지난 해 대법원에서는 사정변경의 원칙을 이유로 임대차계약의 해지를 인정한 바 있고, 대상판결도 같은 취지로 계약의 해지를 인정하였다. 이러한 경향은 하급심으로도 이어지고 있는바, 이러한 일련의 판결을 통해 사정변경의 원칙이 더 이상 이론적인 법리에 불과한 것이 아니라 실천적인 규범이라는 점을 확인할 수 있다. 사정변경의 원칙은 기술의 발전이나 전염병의 발생 등으로 예상하기 어려운 현대 사회에서 더 많은 역할을 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사정변경의 원칙을 적용하면, 계약을 그대로 이행하여야 한다거나 불능이 되었으므로 이에 대한 책임을 전부 면한다고 하는 것에 비하여, 다양한 방식의 문제 해결이 가능할 것이다. 다만, 급변하는 환경에 시의적으로 대응하기 위해서는, 한편으로는 신의칙에서 근거하는 만큼 유연성을 유지하면서, 다른 한 편으로는 실제로 이 원칙이 문제를 해결하는 실효성을 가질 수 있도록 그 요건과 효과를 더욱 구체화할 필요가 있다. 이 글에서는 대상판결을 계기로, 사정변경의 원칙과 인접한 법적 개념들을 구별함으로써 사정변경의 원칙이 고려될 수 있는 경우를 분명히 하고, 사정변경의 원칙을 적용하는 경우 그 요건과 효과와 관련하여 관련된 쟁점들을 두루 살펴보고자 하였다. 향후 사정변경의 원칙과 관련하여, 구체적인 사건에의 적용을 염두에 둔 보다 실질적인 논의가 계속되기를 기대한다. The doctrine of change of circumstances is a legal doctrine under the contract law based on the principle of good faith. It is recognized as an exception to the principle of contract compliance (Pacta Sunt Servanda). In the meantime, while the Supreme Court has made it clear that the “doctrine of change of circumstances” is recognized as a legal principle, but in actual cases, it has been very stingy in accepting the termination of a contract on the grounds of change of circumstances. However, in a case decided in 2020, it reached conclusion of the termination of a contract in a specific case in accordance with this doctrine. The Supreme Court Decision, 2019da276338 rendered on June 30, 2021, also admitted the termination of a contract based upon the change of circumstances. Now it could be faily mentioned that the principle of change of circumstances is no longer just a theoretical legal declaration, but a practical norm. In principle the contract must be fulfilled even if there has been some change, because that was the parties’ intention. However, it could be a different story if the situation occurred was not covered and completely unexpected in the contract. We cannot predicate that the parties’ intention was to force the contract to be complied with in its original form even if it seemed excessively onerous. In these exceptional circumstances, the change of circumstances doctrine will be considered. The change of circumstances may also suggest more flexible and reasonable solutions, other than the both ends of termination of the contract as a whole or maintenance of the original contract as it is. In our society where things are changing rapidly and unpredictably, the doctrine may play a role in solving problems. I order to respond in a timely manner to the rapidly changing environment in the future society, while it should be flexible to cover various changes as a general doctrine, it needs to further refine the doctrine so that it can be effective in solving problems in practic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