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사회봉사명령의 기능에 대한 응답

        박미랑,이정민 대검찰청 2019 형사법의 신동향 Vol.0 No.63

        A community service order refers to ordering those who are found guilty or need for probation to work in society without pay for a certain period of time. As a representative system of treatment in the community, the number has been increasing every year. But what the subjects of this treatment, which requires time and labor to be administered as freedom was restricted for a certain period of time, needed to be verified of the function of the community service order. To that end, the survey was conducted on those who fulfill the community service order, the probation officer who executes it, and the staff of the agency that cooperates with the execution. As a result, the subjects of the community service order recognized the community service order as a punishment before the fulfillment of the community service order, but the recognition changed as a system that gives reflection, contribution to the community and another opportunity while carrying out the social service order. Proation officers and associated the staffs of the agency also recognized the system as a reflection, community contribution and giving another opportunity. On the other hand, among the three groups, the probation officer tended to view the community service order as a punishment strongly. All three groups believe that the community service order has a function as a punishment, but in terms of reflection and another opportunity, we were able to find that the community service order actually plays a real role in re-integration in the community. If we view the community service order as a legal nature of punishment, then a community service order should be predictable. However, the current community service order does not have the standard for the criminal group to be sentenced, nor does it have the standard for the proper service hours for the criminal group. Just as we have created guideline standards to prevent arbitrary, discriminatory and unpredictable sentencing, there is a need for a standards of community service sentencing. As the community service performs the functions of re-integration, reflection, and community contribution of criminals, it is recommended to diversify the interpersonal service type, to motivate volunteer activities (expression of appreciation), and to execute order discontinuously. 사회봉사명령이란 유죄가 인정되거나 보호처분 등의 필요성이 인정된 사람에 대하여 일정시간 동안 무보수로 사회에 유익한 근로를 하도록 명하는 것을 말한다. 사회내 처우의 대표적 제도로서 매년 그 수가 증가하고 있다. 그러나 일정시간 동안 자유가 제한되면서 시간과 노동력을 투여해야 하는 이 처우를 대상자는 어떻게 생각하고 있을지, 보호관찰관 및 협력기관 관계자는 사회봉사명령을 어떻게 인식하고 있는지, 사회봉사명령은 어떠한 기능과 효과가 있는지에 대한 검증이 필요했다. 이를 위해 사회봉사명령을 이행하는 대상자, 집행하는 보호관찰관 그리고 집행을 협력하는 기관의 담당자를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그 결과 사회봉사명령 대상자들은 사회봉사명령을 이행하기 전에는 사회봉사명령을 처벌로서 인식했지만, 사회봉사명령을 수행하면서 반성과 지역사회에 대한 기여, 또 다른 기회를 주는 제도라고 인식이 바뀌었다. 보호관찰관과 협력기관 담당자 역시 반성과 지역사회 기여, 또 다른 기회를 주는 제도라고 인식하고 있었다. 세 집단 모두 사회봉사명령은 처벌로서의 기능을 갖는다고 생각하고 있지만, 그보다 반성과 또다른 기회라는 측면에서 사회봉사명령이 재사회화에 실질적 기능을 담당하고 있음을 발견할 수 있었다. 사회봉사명령이 처벌이라는 법적 성격이 있다면, 사회봉사명령은 예측가능성이 전제되어야 한다. 그런데 지금의 사회봉사명령은 선고되는 범죄군에 대한 기준도 없을 뿐만 아니라 범죄군에 적정한 봉사 시간에 대한 기준도 없다. 우리가 양형기준을 통해 자의적이고 차별적인 예측 불가능한 선고를 예방하려 하듯이 사회봉사명령 선고 기준안 내지 가이드라인이 필요하다. 사회봉사명령이 범죄자의 재사회화, 봉사와 지역사회 기여라는 기능을 갖는 이상, 대인원조형 봉사 분야의 다양화, 봉사 활동에 대한 동기부여(감사표현), 탄력집행 및 야간·휴일집행의 활성화가 필요해 보인다.

      • 노인자원봉사현황과 활성화 방안에 관한 연구

        김창래 ( Chang-lae Kim ) 한국사회복지경영학회 2017 사회복지경영연구 Vol.4 No.1

        이 연구는 오늘날 노인 자원봉사활동의 실태를 살펴보고, 이를 바탕으로 앞으로 노인자원봉사를 위한 활성화 방안을 모색해봄으로써, 노인 자원봉사활동의 활성화를 위한 기초 자료를 제시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우리나라의 경우 아직 선진외국에 비하여 자원봉사활동이 활성화되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며, 특히 노인들의 자원봉사활동은 더욱 저조한 실정이다. 그 이유로는 첫째 일반적으로 노인들은 새로운 도전을 두려워하고 현실에 안주하여 그런대로 지내왔던 생활양식을 고수하며 즐기려는 경향이 높고, 자원봉사를 희생으로 생각하는 노인자신에 대한 문제점에 있으며, 둘째 노인들이 자원봉사활동 프로그램을 통해 보람을 느낄 수 있는 다양한 프로그램이 미비하며, 셋째 노인들을 자원봉사 프로그램과 연결시켜줄 체계적인 조직관리가 미흡하며, 넷째 봉사활동 중에 당할 수 있는 불의의 사고에 대비하여 안심하고 활동할 수 있도록 법적·제도적인 지원체계의 미비를 들 수 있으며, 마지막으로 자원봉사활동을 위한 조직의 운영비, 인건비, 연구비등의 소요경비 등의 재정적 지원이 뒷받침되어 있지 않음을 그 이유를 들 수 있다. 노인자원봉사활동은 노인에게 보다 풍요로운 노년기를 보낼 수 있도록 하며, 노인의 잠재인력을 활용하므로 사회발전에도 기여할 수 있다. 이 논문에서 연구한 결과를 바탕으로 노인자원봉사활동의 활성화 방안을 종합적으로 제언해 보면 다음과 같다. 첫째 노인자원봉사에 대한 인식의 변화와 홍보강화에 있다. 둘째 노인의 자원봉사프로그램의 개발 및 보급에 있다. 셋째 제도적 장치의 마련에 있다. 노인자원봉사활동을 전담한 전문기관의 지정내지 설립이 요청된다. 또한 자원봉사활동을 하는데 있어서 필요한 공적 차원의 체계적ㆍ경제적 지원, 다양한 활동영역 개발 및 확대, 자원봉사활동 교육의 정례화 등이 제기될 수 있는데, 노인자원봉사활동 전문 기관 및 코디네이터 역할을 담당할 기관에서 교육·자원봉사활동 욕구파악ㆍ실행ㆍ사후관리 등에 대한 체계적인 접근이 필요할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esent the basic data for revitalizing the elderly volunteer activities by exploring the present condition of the volunteer activities of the elderly and looking for the activation plan for the elderly volunteer. First of all, if you look at the foreign cases that will be a guide for analyzing the present situation and problems of elderly volunteers in Korea, the United States is a country where volunteerism has developed enough to be called a country of volunteering. It also shows that there is a smooth linkage with the government. Japan also encourages volunteer participation through various programs. In support organizations, the government, local governments, enterprises, schools, and social welfare councils are in charge of financial, And so on. In Korea, however, volunteer activities are not yet active compared with advanced foreign countries. Especially, volunteer activities of elderly people are still poor. The reasons for this are as follows: First elderly people are generally afraid of new challenges, they tend to enjoy life style that they have been living with, and are concerned about volunteering as a sacrifice. Second There is a lack of various programs that can reward volunteer activity programs. Third systematic organizational management that connects elderly people with volunteer programs is insufficient. Fourth And the lack of legal and institutional support system to enable them to work. Finally, the reason for the lack of financial support such as organizational operation costs, personnel expenses, research expenses, etc. for volunteering activities can not be supported . Elderly volunteer activities enable seniors to have more affluent old age, and they can contribute to social development by utilizing potential talents of elderly people. Therefore, in Korea, which has entered the aging society, revitalization of the elderly volunteer is a major task of the elderly welfare.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First there is a change in awareness of elderly volunteers and reinforcement of PR. Second the development and dissemination of volunteer programs for the elderly. Third it is in the provision of institutional devices. Designation or establishment of a specialized agency dedicated to volunteer activities for the elderly is required. In addition, systematic and economic support of the public level necessary for volunteer activities, development and expansion of various activity areas, and regularization of volunteer activity education can be raised. A systematic approach to grasping, implementing, and managing the needs of education and volunteer activities will be needed.

      • KCI등재후보

        봉사-학습을 통한 예비유아교사의 유아다문화교육 인식과 요구도 조사

        박영미 이화여자대학교 이화어린이연구원 2018 영유아교육: 이론과 실천 Vol.3 No.3

        The study aims to examine the effects of pre-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s on the multicultural awareness, multicultural education beliefs and multicultural teaching efficacy of multicultural education through service-learning programs, and to examine the their perceptions for developing the better service-learning program. The data were collected through questionnaires of 15 students and in-depth interviews of pre-service teachers who took multicultural education course and who participated in service-learning. The results showed that the multicultural awareness, multicultural education beliefs and multicultural teaching efficacy of pre-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s who were participated in service-learning were significantly higher than those who were not participated in. And they were higher after the service-learning than before. Second,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perception and needs of pre-service teachers who participated in service-learning, pre-service teachers had the opportunity to interact directly with multicultural children and correct negative prejudice against them. The results of this study showed that, as a learner, pre-service teachers need service-learning to strengthen the competence of early childhood multicultural education because they can learn the teaching methods of teachers who role modeling can be their. However, in order to continue the service-learning, universities should provide mutually beneficial supports such as expanding various multicultural education institutions and providing vehicles to move, and child care center should provide information about multicultural children and volunteer work. 본 연구의 목적은 봉사-학습을 통한 다문화교육 역량 강화를 위한 프로그램이 예비유아교사들의 다문화교육에 대한 인식, 신념, 효능감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조사하고, 봉사-학습 후 유아다문화교육에 대한 인식 및 요구도를 알아보는 것이다. 자료수집은 전남 지역에 소재한 4년제 대학 유아교육학과에서 유아다문화교육을 수강하면서 봉사-학습에 참가한 15명의 예비유아교사들의 질문지와 면담을 통해 자료를 수집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유아다문화교육 프로그램에 참여한 예비유아교사들의 다문화 인식, 다문화 교육신념과 교수효능감은 봉사-학습 전보다 봉사-학습 후에 더 높아졌으며, 봉사-학습에 참여했던 집단이 참여하지 않았던 집단보다 다문화 인식, 다문화 교육신념, 다문화 교수효능감이 유의미하게 높아진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봉사-학습에 참여한 예비유아교사들의 봉사-학습에 대한 인식, 요구도를 분석한 결과, 예비유아교사들은 봉사-학습을 통해 다문화가정 유아에 대한 부정적 편견을 바로 잡고 다문화가정 유아와 직접적으로 상호작용 기회를 갖게 되어 필요하다고 답했다. 학습자로서 예비유아교사들은 담임교사의 수업방법이나 교사의 역할모델링을 학습할 수 있어서 유아다문화교육 역량 강화를 위해 봉사-학습이 필요하다고 답했다. 그러나 봉사-학습을 더 지속하기 위해 대학은 다양한 다문화교육을 위해 봉사기관 확대와 이동할 차량 지원, 유아교육기관의 다문화가정 유아에 대한 정보제공과 명확한 봉사자의 역할제시 등 상호 호혜적 지원이 필요하다고 답했다.

      • KCI등재

        자원봉사자의 자원봉사 지속 의지 영향 요인 분석

        임숙자,임복희,하태수 충북연구원 2023 지역정책연구 Vol.34 No.3

        본 연구는 자원봉사에 대한 사회적 인식은 확산되고 있으나 현장에서 어려움을 겪고 있는 자원봉사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자원봉사 지속 의지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분석하였다. 자원봉사활동을 모범적이고 지속적으로 하고 있는 우수자원봉사자를 대상으로 온라인 설문조사를 실시하고 그 결과를 분석하였다. 자원봉사 참여 동기, 자원봉사활동 관련 요인, 자원봉사 대인관계 요인, 인정보상 등을 독립변수로 자원봉사활동 지속 의지 영향요인을 측정하였다. 분석결과 자원봉사활동 지속 의지에 긍정적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 참여동기(β=.282), 동료 자원봉사자와의 관계(β=.248), 정서적·사회적 인정보상(β=.175), 업무 적절성(β=.150)을 확인하였다. 이러한 분석 결과를 토대로 봉사활동을 관리하는 행정가들에게 실용적으로 도움이 되는 관리 방안들을 제시하고자 한다. This study analyzed factors influencing the continued willingness of volunteers to participate, aiming to address the challenges faced in volunteer work despite the growing social awareness of volunteerism. An online survey was conducted targeting exemplary volunteers who engage in volunteer activities in an exemplary and sustained manner, and the results were analyzed. Independent variables, including motivations for volunteering, job appropriateness, interpersonal factors in volunteer relationships, and recognition in personal information, were measured to assess the factors influencing the continued willingness for volunteer engagement. The analysis revealed that public service motivations (β=.282), relationships with fellow volunteers (β=.248), emotional and social recognition (β=.175), and job appropriateness (β=.150) positively influenced the willingness to sustain volunteer activities. Based on these findings, practical management strategies that can be helpful for administrators responsible for volunteer activities were proposed.

      • KCI등재

        한국 개신교인의 자원봉사영역 선택행동 영향요인 탐색

        정상원(Jong Sang won),변은지(Byun An gie) 연세대학교 사회복지연구소 2016 한국사회복지조사연구 Vol.49 No.-

        본 연구는 개신교인의 자원봉사활동 참여와 자원봉사영역 선택행동을 규명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특히 본 연구에서는 종교를 가진 시민들의 봉사영역 선택 행동에 초점을 두면서 봉사영역을 세 가지로 나누고 ‘종교봉사만 참여’, ‘사회봉사만 참여’, ‘종교봉사와 사회봉사 모두 참여’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대하여 분석하였다. 분석을 위해서 다항로짓회귀분석모형 (multinomial logit model)을 사용하였으며 서울·경기지역의 개신교 교회 38곳에 소속된 1,294명의 개신교인으로부터 자료를 수집하였다. 자원봉사 참여 및 자원봉사 영역 선택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밝히기 위하여 세 가지 이론 즉 사회적자원이론(social resource theory), 행위설정이론(behavior setting theory), 그리고 집단자원봉사이론(group volunteer theory)을 적용하여 연구모델을 설정하였다. 비봉사 집단을 준거집단으로 분석한 결과, 종교봉사만 참여하는 집단의 경우 개인의 믿음, 교회 출석, 교회내 관계망이 정적인(+) 영향을 나타냈고 소속교회의 크기는 부적(-) 영향을 미쳤다. 사회봉사만 참여하는 집단의 경우는 개인의 믿음, 교회내·외의 관계망, 그리고 교회 정기간행물의 사회봉사 정보가 정적으로(+) 유의한 영향이 있었다. 종교봉사와 사회봉사 모두 참여하는 집단 역시 개인의 믿음, 교회출석, 교회내 관계망이 정적인(+) 영향을 나타냈으며 소속교회의 나눔에 대한 설교와 감리교 소속이 두 가지 봉사 모두에 참여하는 데 유의한 영향을 나타냈다. 종교봉사나 사회봉사 한 가지 봉사만 참여하는 집단은 인구사회학적 요인으로부터 유의한 영향이 없었던 반면 종교봉사와 사회봉사 모두에 참여하는 집단은 연령, 직업, 어린자녀 요인에도 영향을 받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연구대상이 수도권 지역 개신교 교인에 국한되어 종교와 시민참여활동을 설명하는 데 한계가 있으나 그간 한국사회에서 드물게 시도된 종교인구의 자원봉사 참여와 자원봉사영역선택행동의 기제를 밝히고자 하는 새로운 시도로서 함의를 갖는다. 또한 한국사회에서 자원봉사활동에 중요한 역할을 담당하는 종교기관의 역할과 자원봉사 동기화를 위한 실천적 함의를 제시하고 있다. This study attempts to explore the volunteering behavior among Christians which is an interesting topic regarding the relation between religion and civic engagement. Particularly, this paper explores determinants of different areas of volunteering: religious only volunteering, secular only volunteering, both religious and secular volunteering, and non-volunteering. For the analysis, this study employs a multinomial logit model. The data are collected from 1,294 respondents from 38 churches in Seoul and Kyeong-gi province. To understand what factors affect volunteering participation and the pattern of volunteering behavior to choose the volunteering area, this study employs three theories: social resource theory(haman, economic, social and cultural capital variables), behavior setting theory(church size), group volunteer theory(denomination, sermon, and bulletin). The result of likelihood test shows that with the non-volunteer group as a reference, the importance of faith, church attendance and in-church network size has a positive effect on religious volunteering but church size has a negative effect. The secular volunteering is affected by the importance of faith, in-church and out-of-church network size and frequency of volunteering information on the church periodicals. Both religious and secular volunteering is positively affected by age, in-church network size, importance of faith, church attendance, Methodist denomination, and frequency of sermon but negatively affected by employment, children, and church size. This study guides a new empirical investigation of the factors affecting on participation in volunteering and the areas they involved in. It broadens and promotes understanding regarding such volunteers’ characteristics and behaviors whose religious organizations should continuously care for and cultivate. It also has practical implications in guiding the volunteer mobilization of religious organizations.

      • KCI등재

        해외교육봉사활동을 인솔하는 교수의 삶과 배움

        한재영(Han, JaeYoung),서혜애(Seo, Hae-Ae),신세인(Shin, Sein),임성민(Im, Sungmin),차정호(Cha, Jeongho),홍준의(Hong, Juneuy) 경인교육대학교 교육연구원 2021 교육논총 Vol.41 No.3

        대학생 해외교육봉사활동을 인솔하는 일은 매우 힘들지만, 이것을 계속하는 교수들이 있다. 이 연구는 해외교육봉사활동에 대해 연구하는 장기 프로젝트의 일부로, 봉사활동을 인솔하는 교수의 경험에 대해 살펴보는 것을 목표로 한다. 이 연구의 참여자는 국립국제교육원의 지원을 받아 해외교육봉사활동을 1회 이상 운영한 교수 7명이다. 봉사활동 일지, 봉사활동 평가 회의록, SNS 대화 내용 등을 모아 기본 자료로 삼고, 참여자 면담을 하여 자료를 수집하였다. 자료 분석 결과는 문화역사활동이론에서 활동체계를 구성하는 6가지 요소에 따라 봉사활동 인솔교수의 삶과 배움의 내용을 기술하였다. 인솔교수는 봉사활동에 많은 시간을 소모하지만 보람을 느끼고, 삶의 모습이 변화된다. 현지에서 많은 문제를 해결하고 개인적인 어려움을 극복하며, 의사소통과 쉼의 중요성, 현지어 학습의 중요성과 정보 공유의 중요성을 깨닫는다. 봉사활동 중 안전 관리, 예산 관리, 현지 기관이나 현지인과 긴밀한 협조 및 의견 조율의 중요성을 깨달으며, 가족과 일상의 소중함도 느낀다. 다양한 역할을 수행하며, 자기 관리와 적절한 역할 배분의 중요성을 알게 된다. 활동체계 안에서 나타나는 갈등은 봉사활동에 대한 가치관이나 태도에 영향을 주며, 인솔교수와 봉사단원의 배움과 발전에 기여한다. 인솔교수는 봉사활동 전체 과정에서 긍정과 부정의 감정을 다양하게 경험하며, 이 연구를 진행하면서 힐링과 행복감을 느꼈다. 이 논문은 봉사활동 관리자 교육에 참고자료로 유용하게 활용될 수 있다. Undertaking overseas educational voluntary activity for university students is very hard, but some professors continue to do this. As part of a long-term research project on overseas educational voluntary activity, this study aims to explore the experiences of professors leading such voluntary activities. The participants were seven professors who had more than once led an overseas educational voluntary activity supported by the National Institute for International Education. We collected data from participants interviews, based on voluntary activity journals, evaluation meeting reports, and dialogues in social network service as basic data sources. Based on data analysis, we described the participants lives and what they learned from their experiences according to the six elements of the Cultural-Historical Activity Theory. Although the activity was time intensive, the professors found it worthwhile and believed that certain aspects of their lives had subsequently changed. They realized the importance of communication, rest, learning the local language, and sharing information while they solved problems and overcame personal challenges. Furthermore, they recognized the significance of safety management, budgeting, close collaboration, and getting along with the locals, as well as the value of their families and everyday lives. As they took on diverse roles, they acknowledged the importance of self-management and adequate role distribution. Conflicts in the activity system affected their values and attitudes toward voluntary activity in a way that contributed to their learning and growth. The professors experienced many different kinds of feelings, both positive and negative, throughout the voluntary activity, which made them experience healing and happiness. This paper can be used as a useful reference to educate voluntary activity managers.

      • 청소년 자원봉사 활동 실태와 활성화에 관한연구

        김창래 ( Kim Chang Lae ) 한국사회복지경영학회 2016 사회복지경영연구 Vol.3 No.2

        외국의 청소년들은 어떻게 자원봉사활동을 수행하고 있는지, 우리나라 청소년의 자원봉사활동 실태와 문제점은 어떠한지 알아보고자 국□내외 문헌 및 연구논문, 연구보고서, 정기 간행물 등의 자료를 수집하여 분석하였고 각종 기관에서 발행하는 통계자료를 살펴보았다. 청소년자원봉사활동 활성화 방안을 제시하기 위하여 청소년자원봉사 활동에 관한 실태를 분석하여 활성화 방안의 제시를 목적으로 연구 하였으며, 청소년자원봉사활동에 대한 전반적인 실태를 바탕으로 다음과 같은 제언을 제시 하였다. 첫째 청소년자원봉사활동이 효율적으로 이루어지기 위해서는 자원봉사단체의 연계□협력이 이루어져야 한다. 둘째 청소년 자원봉사활동 총괄□조정□지원하는 기구의 신설이 필요하다. 셋째 지역별 청소년 자원봉사 지원네트워크의 구축이 필요하다. 청소년자원봉사활동이 성공하기 위해서는 학교, 청소년단체, 사회복지단체, 시설 등과의 유기적인 협조체제의 구축이 필수적이다. 넷째 지원체계의 정형화가 이루어져야 하겠다. 청소년봉사를 교육과정으로 이해하고 이를 적극적으로 수용하는 관심과 자세가 필요하다. 다섯째 교육의 활성화 방안이 필요하다. 자원봉사자들에 대한 교육은 일회적으로 이루어지고 형식적으로 진행되고 있는데 이를 활성화하여 봉사자들의 경험정도에 따른 단계별 체계화가 필요하다. 여섯째 프로그램의 활성화방안이 필요하다. 청소년들의 활동터전에서 청소, 휴지 줍기, 잡초 뽑기 등의 정화활동을 하거나 단순한 업무보조, 정리정돈 활동 등이 있다. 청소년에게는 봉사학습이 개념이 더 우선되어야 하며, 개개인의 특기와 소질을 개발하여 일회성에 그치는 프로그램 활동을 자제하고, 다양한 전문 인력 양성을 위한 직업체험의 기회를 제공하고, 학습으로써 봉사를 강조하여 자원봉사자들 스스로 기획하고 실행할 수 있는 프로그램을 활성화하여야 할 것이다. In order to understand the actual conditions and problems of youth volunteer activities in Korea, we analyzed various literature and data on youth volunteer activities. Through this, the characteristics, concept, management and support system of volunteer activities were examined. In order to find out how volunteer activities are being carried out by foreign adolescents and the actual situation and problems of volunteer activities of youth in Korea, we collected and analyzed data such as national and international literature, research papers, research reports and periodicals. I looked at the statistical data issued.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reality of youth volunteer activities and to suggest ways to activate youth volunteer activities. Based on the overall situation of youth volunteer activities, the following suggestions were suggested. First, in order for youth volunteer activities to be carried out efficiently, the cooperation and cooperation of volunteer organizations should be done. Second, it is necessary to establish a new organization for coordinating and supporting youth volunteer activities. Third, it is necessary to establish a youth volunteer support network by region. In order for youth volunteer activities to be successful, it is essential to establish an organic cooperation system with schools, youth organizations, social welfare organizations, and facilities. Fourth, the formalization of the support system should be done. It is necessary to understand and actively accept youth service as a curriculum. Fifth, it is necessary to revitalize education. Educating volunteers is a one-time and formal process. It is necessary to systematize the volunteers according to their experience. Sixth, it is necessary to activate the program. There are cleaning activities such as cleaning, picking up toilet paper and weeding out of the activity grounds of youths, and simple job aids and arranging activities. For youth, the concept of service learning should be given priority, and it is necessary to develop individual skills and qualities to refrain from one-off program activities, to provide opportunities for job experience for cultivating various professional workers, The volunteers should activate programs that they can plan and implement themselves.

      • KCI등재

        대학 봉사활동 비교 연구 : 순천향대학교 봉사학습 사례를 중심으로

        조성희(Cho, Seong-Hee) 한국교양교육학회 2009 교양교육연구 Vol.3 No.1

        지·덕·체를 겸비한 전인교육의 장으로 역할을 하는 봉사활동에 대한 대학들의 관심이 높아지면서 1996년 한국대학사회봉사협의회가 창립되었으며, 2009년 현재 207개의 대학이 회원교로 참여하고 있다. 회원교들은 최소 12시간에서 최대 400시간까지의 봉사시간을 규정하고 있으며 필수, 선택, 졸업요건 등 다양한 방식으로 봉사 관련 교과목을 운영하고 있다. 이러한 분위기와 맥을 같이하여 순천향대학교는 건학이념인 인간사랑을 실천하고 자기개발과 자아실현을 추구하며 지역사회와 공존하는 대학인을 양성하기 위한 방안의 하나로 2008년 신입생부터 60시간(사전교육 2시간, 봉사활동 56시간, 평가교육 2시간)의 봉사학습을 졸업 필수교과목으로 운영하고 있다. 교양교육원 봉사학습지원실을 전담기구로 두고 사회복지봉사활동 인증센터로 지정을 받아 봉사기관을 개발하고 협약을 체결하는 등 봉사학습 운영에 필요한 틀을 갖추고 정착시키기 위해 노력하고 있다. 결과 불과 3학기 동안 운영하였지만 약 1,400명의 학생들이 참여하여 14,400시간 가까운 봉사활동을 한 것으로 나타나고 있다. 내실 있는 봉사학습으로 자리매김할 수 있도록 전문적이고 체계적인 봉사학습프로그램개발, 봉사기관과의 유기적인 네트워크 구축, 봉사활동에 대한 인식 개선 등 다양한 활동을 적극적으로 추진하고 있다. Since students’ interest in volunteer activities that serve as a place of whole person education with knowledge, virtue, and physical strength is growing, the Korean University Council For Social Service was established in 1996, and 207 universities are participating in it as member schools as of 2009. Member schools are operating courses related to volunteer work in various ways such as required courses, elective courses, and graduation requirements in case of volunteer working from the minimum 12 to maximum 400 hours. In line with this trend, Soonchunhyang University has been operating service learning of 60 hours(pre-education 2hr, volunteer work 56hr, evaluation education 2hr) as graduation required subject from the freshmen in 2008, as one of methods to cultivate graduates who practice love for human, foundation principal, pursue self-development and self-actualization, and coexist with a community. To settle the frame needed for operation of service learning and fix it, Soonchunhyang University installs a service learning center in the cultural educational institute as the professional facility and is authorized as the social welfare service center as well as develops the volunteer service center and concludes an agreement. As the result of its hard efforts, it shows despite, only three semesters operation, about 1,400 participants did volunteer work for around 14,400 hours. Soonchunhyang University is actively pursuing various activities such as development of professional and systematic service learning programs, construction of organic network with social service centers, and improvement of recognition on volunteer activities to position itself as the substantial service learning.

      • KCI등재

        청소년자원봉사활동의 프로그램 활성화에 관한 연구

        안권순 한국청소년학회 2013 청소년학연구 Vol.20 No.5

        This study aims to figure out how to activate volunteer program for adolescents. To fulfill this purpose, this study sets following questions. First, how adolescents and staffs from volunteer centers recognize actual condition of volunteer activities? Second, how adolescents and staffs from volunteer centers differently recognize orientation and post-orientation? Third, How how adolescents and staffs from volunteer centers are aware of volunteer activities? Fourth, how adolescents and staffs from volunteer centers satisfy with volunteer activities? Fifth, how adolescents and staffs from volunteer centers recognize difficulties and problems of volunteer activities? Sixth, how adolescents and staffs from volunteer centers recognize ways to activate volunteer activities? This study includes 243 middle and high school students from Chungcheongnam-do and 77 staffs in volunteer centers from all over the nation. Specifically, 243 students split into 127 middle school students(consist of 62 male students and 65 female students) and 116 high school students(consist of 59 male students and 57 female students). And 77 staffs from volunteer centers consist of 26 male workers and 51 female workers. To investigate actual condition of volunteer activities and ways to activate volunteer activities, questionnaire designed for this study is used. And after questionnaire, the data go through frequency analysis, t-test analysis and difference analysis(X2) for further analysis. Many students primarily participate in volunteer activities for the first time when they are in middle school. Thus, this study tries to emphasize the importance of orientation, post-orientation and feedback after volunteer activities. Furthermore, to promote volunteer activities, this study also discusses ways to strengthen orientation, arrangement of experts in volunteer centers and management of experts. The conclusion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We should develop various volunteer programs, arrange teachers responsible for volunteer activities and enhance method for evaluating volunteer activities. This study suggest that we should approach personality education which is fundamental goals of education, through activating volunteer activities. 이 연구는 청소년자원봉사활동의 프로그램 활성화에 대하여 알아보는데 연구의 필요성과 목적이 있다고 하겠다. 이 연구의 문제는 다음과 같다. 청소년과 자원봉사 기관 종사자들 간에 자원봉사활동 실태는 어떠한가? 청소년과 자원봉사 기관 종사자들 간에 자원봉사 사전 및 사후 교육에 대한 차이는 무엇인가? 청소년과 자원봉사 기관 종사자들 간에 자원봉사에 대한 의식은 어떠한가? 청소년과 자원봉사 기관 종사자들 간에 자원봉사 만족정도는 어떠한가? 청소년과 자원봉사 기관 종사자들 간에 자원봉사 어려움 및 문제점은 어떠한가? 청소년과 자원봉사 기관 종사자들 간에 자원봉사활동의 활성화 방안은 어떠한가? 연구의 대상자는 충청남도에 소재한 중〮〮ㆍ고등학교에 재학 중인 243명의 학생들과 전국 청소년 자원봉사 기관에 종사하고 있는 기관종사자 77명을 연구대상자로 선정하였다. 중학생은 127명(남: 62명, 여: 65명)이었으며, 고등학생은 116명(남: 59명, 여: 57명)이었다. 자원봉사 기관종사자 중 남성은 26명이었고, 여성은 51명이었다. 연구도구는 자원봉사에 대한 실태조사 및 활성화 방안에 대해 조사하기 위해 자체 제작한 설문지를 사용하였다. 자료처리는 위하여 빈도분석, t-검증(t-test) 및 차이검증(X2 )을 실시하였다. 이 논문의 논의는 다음과 같다. 자원봉사에 최초로 참여하는 시기는 중학교 시기이며, 자원봉사의 사전 및 사후 교육의 중요성과 자원봉사 활동 후에 사후평가가 중요다고 본다. 아울러 자원봉사 활성화를 위해 자원봉사 사전교육 강화, 자원봉사 기관의 전문가 배치, 체계적 관리 등이 논의 되었다. 이 연구의 결론은 다음과 같다. 다양한 자원봉사 프로그램이 개발되어야 하고, 봉사활동 전담교사나 봉사활동과 관련된 문제를 상담할 수 있는 전문교사가 배치되어야 한다. 아울러 봉사활동 평가방법이 개선되어야 한다. 이 연구의 시사점은 청소년 자원봉사활동과 프로그램 활성화를 통하여 인성교육이라는 교육의 근본적인 목표에 더욱 접근하여야 할 필요성이 있다고 본다.

      • KCI등재

        전문 노인자원봉사 활동 참여의 효과

        한정란(Jung Ran Han) 연세대학교 사회복지연구소 2015 한국사회복지조사연구 Vol.43 No.-

        본 연구는 2013년 복지부의 전문 노인자원봉사 지원사업에 참여한 노인들의 참여동기와 활동 후 성취를 살펴보고, 참여자들의 봉사활동 만족도 및 봉사활동 전과 후의 생활만족도, 생성감, 자아통합감 등의 변화를 통하여 전문 노인자원봉사활동의 효과를 입증하는 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하여 2013년 전문 노인자원봉사 지원사업 수행기관 중 사전 및 사후 설문지를 모두 충 실하게 작성한 34개 기관 518명 노인자원봉사자들의 자료를 분석하였다. 연구의 주요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봉사 참여자들의 사전 참여동기는 가치, 강화, 이해, 경력, 방어, 사회성 동기의 순으로 나타난 반면, 봉사 성취는 강화, 이해, 경력, 사회성, 방어, 가치 성취의 순으로 나타났다. 전반적으로 봉사자들은 전반적으로 참여 전에 기대했던 것 이상의 성취를 이루었다고 스스로 평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전문 노인자원봉사 활동의 주요 효과를 살펴본 결과 봉사활동에 대해 높은 만족감을 나타냈으며, 봉사 후에 생활만족도, 생성감, 자아통합감 모두 향상되었다. 셋째, 위계적 중다회귀분석 결과 생활만족도 변화, 봉사만족도, 생성감 변화가 자아통합감 변화에 유의미한 영향요인으로 나타났으며, 그 중에서도 생성감 변화의 영향력이 가장 큰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이상의 연구결과에 기초하여 향후 전문 노인자원봉사 활성화 방안을 제언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certify the effects of the Senior Professional Volunteering project supported by the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in 2013. For this purpose, we analyzed senior volunteers motivations to volunteer, achievements of volunteering, satisfactions with volunteering, and pre-to-post changes in their life satisfaction, generativity, and ego-integrity. We carried out the pre- and the post- surveys with 518 senior volunteers from 34 institutes.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① While the motivations of volunteer participation were value, enhancement, understanding, career, protection, and social in order, the achievements of volunteering were enhancement, understanding, career, social, protective, and value in order. And the respondents reported that they achieved more than their expectations. ② The respondents were highly satisfied with their volunteering activities and were significantly improved in life satisfaction, generativity, and ego-integrity after volunteering. ③ As a result of hierarchical regression analysis, the changes in life satisfactions, the volunteering satisfactions, and the changes in generativity were significantly influencing factors of the changes in ego-integrity. Among them, the changes in generativity were the biggest factor. Finally, we suggested several implications for activating the senior professional volunteering for the futur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