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전쟁문학론의 전개와 폭력의 내면화-식민지 말과 한국전쟁기 문학론을 중심으로-

        장은영(Jang, Eun-Young) 우리문학회 2020 우리文學硏究 Vol.0 No.66

        한반도가 경험한 두 번의 전쟁, 식민지 말의 태평양전쟁과 한국전쟁은 전쟁의 시기와 주체가 다르다는 점에서 단절되어 있다. 그러나 근대 국가의 권력이 최대로 응집되었던 두 번의 총력전은 당시 문화인들의 인식에서 나타나듯이 연속적 사건이었으며 전쟁에 대한 문학적 대응에 있어서도 연속성이 발견된다. 이 논문은 두 시기에 대한 문학사적 단절을 넘어서서 한국 전쟁문학론의 전개 양상을 살펴보고자 했다. 먼저 식민지 말 조선의 문인들이 전쟁문학론을 공론화하기 시작하게 된 계기는 일본의 보고문학 『보리와 兵丁』의 번역본 출간을 비롯한 박영희의 『전선기행』, 임학수의 『전선시집』 출간이다. 전장의 체험을 생생하게 담은 이 작품들은 이른바 보고문학이라고 명명되었고, 이에 대한 조선 문단의 반응은 두 갈래로 나누어졌다. 전쟁 경험을 생생하게 전달하고 조선인들에게 전쟁을 환기한다는 호평과 달리 보고문학은 예술성을 담보하지 못하고 문학적으로 가치가 떨어지며 전쟁을 소재화한다는 비판적 의견도 등장했다. 그러나 태평양전쟁이 발발하고 조선인 징병제 실시가 발표되자 징병제를 환영했던 일제 협력 문인들은 소극적인 태도를 버리고 적극적으로 전쟁동원을 도모하는 결전문학으로 전환하기 시작했다. 결전문학은 전쟁의 승리와 일본의 대동아공영을 위해서 문학을 비롯한 문화 활동이 국가에 종속되어야 하며 문화인의 창작 행위도 국가가 통제해야 한다며 강력한 국가주의를 드러내면서 문학의 도구화를 주장했다. 결전문학은 일본의 패전 그리고 해방과 함께 사라지는 듯 보였지만 한국전쟁이 발발하자 전시 문단에서 되살아났다. 자발적으로 전시체제에 협력하고자 한 문인들은 전쟁 동원과 선전에 앞장서서 무기로서의 문학을 주장하며 결전문학의 논리를 펼쳤다. 그들의 즉각적인 전시체제 돌입은 식민지 말 총동원체제에 대한 경험 위에서 가능한 것이었다. 문인들은 식민지 시기의 보고문학을 비판하면서도 국가와 민족을 절대 이념으로 삼는 결전문학의 논리는 그대로 수용한 전쟁문학론을 펼쳤다. 그러나 한국전쟁이 막바지를 향해 가면서 전쟁문학론은 차츰 결전 의지나 전쟁 동원보다는 전쟁의 문학적 형상화 문제로 전환되었고 탈이념화의 목소리도 제기되었다. 문인들은 전쟁의 무기로 전락한 결전문학의 한계를 자각하고 작품성에 의구심을 품으며 전쟁의 문학적 형상화를 위해서는 전쟁에 대한 거리 두기가 필요하다는 점을 인정하기 시작했다. 한국전쟁기에 국한된 전쟁문학론은 사실상 극단적인 국가주의를 근간으로 한 일본의 총동원체제 이념으로부터 자유롭지 않다. ‘파시즘의 시대’였던 식민지 말의 전쟁문학론은 한국전쟁기 전쟁문학론에서 재생산되어 문학을 초월하는 국가주의로 나타났다. 여기에 국민 통합 이념으로써 반공주의가 결합하면서 전쟁문학은 개인을 국가에 종속시키는 데서 나아가 배제와 선별을 거친 인간, 즉 이념적으로 순수한 반공주의적 인간을 옹호하는 기형적 휴머니즘에 봉착했다. 전쟁문학론은 전시 기간에 일시적으로 등장했던 문학 담론이었지만 전쟁문학의 기반이 된 극단적, 초월적 국가주의는 다른 이념들과 결합하며 전쟁기 한국 문학장의 기저를 형성했다. Koreans remember two wars. But the two wars are remembered as disconnected from each other. One is the Pacific War experienced during the colonial period, and the other is the Korean War after the liberation of Joseon. The connection between the two wars have been denied and been considered different events. But the two wars are connected ideologically and culturally. But the two wars are connected ideologically and culturally. Especially in the literary realm, the two wars are linked. In fact, the starting point for the discourse of war-literature during the Korean War was the discourse of war-literature during the Pacific War. At t he e nd o f 1930s, a f ew t he K orean w riters w ho cooperativ e with Japanese colonial policy began discussing war literature after publishing Hino Ashihei’s Barley and S oldier(a Korean translation), Park Young-hee’s Jeonsun-kihang, Lim Hak-soo’s Jeonsun-sijip. These works, which are close to records, were called ‘Bogo-Munhak’. The reactions of the Korean writers were divided into two parts about ‘Bogo-Munhak’. Some people think highly of ‘Bogo-Munhak’. while others say that ‘Bogo-Munhak’ does not guarantee artistry and literary value. When the conscription system for Koreans began in 1943, the discourse of war-literature began to shift to the fascism, extreme nationalism. Some Writers argued that literature should be subordinate to the state and the creative activities of cultural people should be controlled by the state. They argued that literature was needed to win the war. That is a ‘decisive warliterature’. The discourse of war-literature at the end of the colonial period disappeared with the Korean liberation but was revived again as soon as the Korean War broke out in 1950. Korean writers wanted to be a cultural entity that actively cooperated with all-out efforts through the war. They accepted the discourse of war-literature the colonial era and advocated war-literature as a weapon. T he d iscourse o f war-literature e mphasized v ictory i n war and mobilization of war, focusing only on content rather than form. But as the Korean War neared its end, the discourse of war-literature had gradually expanded its subject-matter to the literary formalty. Moreover writers began to pay attention to how would themselves make the nation after war. They recognized the limitations of war-literature which had degenerated into weapons of war. The writers was able to distance literature from war at the end of the war. In a word the cultural control of the total mobilization system during the colonial period was based on fascism and the discourse of war-literature also was based on fascism. Unfortunately, Korean writers reproduced the discourse of war-literature during the Korean War by imitating the discourse of war-literature during the colonial period. As a result the violence of totalitarian national ideology and identity had spread to Korean war-literature.

      • KCI등재

        비교문학의 정전화와 교육: 미국비교문학회 ‘10년 보고서’를 중심으로

        이형진 ( Hyung-jin Lee ) 한국비교문학회 2021 比較文學 Vol.- No.85

        본 연구는 60여 년 이상의 역사를 가진 국내 최초의 비교문학 학회 ‘한국비교문학회’의 학술활동을 중심으로 국내 비교문학 연구의 현황과 문제점을 점검하고, 이에 대한 비교 대상으로 ‘미국비교문학회’의 ‘10년 보고서’의 비교문학 정전화 과정을 분석하고, 이를 기반으로 한국 비교문학 연구와 교육의 발전 방향을 모색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비교문학 학술 담론을 주도하는 ‘미국비교문학회’가 10년마다 미국 내 비교문학 연구와 교육에 관한 진단보고서 성격으로 준비하는 ‘10년 보고서’는 비교문학 연구와 교육에 역사성과 전통을 구축하는 방식으로 학문적 정전화를 주도해 왔다. 국내 인문학 분야의 대표적인 학제간 연구 분야인 비교문학 연구의 학문적 체계화와 정전화를 위해서는, 첫째, 그동안의 학회의 비교문학 학술 결과물에 대한 분석과 체계화를 통해 학문적 역사성을 구축할 필요가 있으며, 둘째, 비교문학 연구에 관한 학회 차원의 학문적 진단과 방향성 점검의 노력이 필요하며, 셋째, 다양한 국가와 문화의 경계를 교차하는 비교문학의 특성상 해외 비교문학 주요 학술서의 적극적인 한국어 번역과 비판적 수용이 필요하며, 넷째, 미국 비교문학의 정전화 기반 구축에 기여한 ‘미국비교문학회’ ‘10년 보고서’의 비교문학 교육방법론과 교과과정에 대한 체계적인 논의로부터 한국 비교문학의 지속가능성과 확장성을 모색할 필요가 있다. 무엇을 어떻게 가르쳐야 할지에 대한 고민과 방법론이 부재한 학문은 학문적 지속가능성을 구축하기 어렵다는 결론을 도출한다. This study intends to examine the status and problems of the comparative literature studies in Korea, and analyze the function of the American Comparative Literature Association(ACLA)’s ‘Decennial Reports’ in the canonization process of comparative literature in the US and identify and provide strategies for the development of comparative literature studies in Korea. For the goal of the solidification and canonization of comparative literature in Korea, first, the comprehensive categorization and analysis of the scholarly achievements by the Korean Comparative Literature Association (KCLA) which was founded in 1959 is needed in order to build up the historicity of comparative literature studies in Korea. Second, the KCLA should be responsible for periodically reviewing and evaluating the status of comparative literature studies and providing strategies and directions for the development of the discipline. Third, there is a critically growing urgency for the Korean translation of contemporary global scholarly references on comparative literature discourses, published abroad to be share with comparative literature scholars in Korea. Fourth, more attention should be paid to the educational value and methodology of the teaching of comparative literature with a priority in what to teach and how to teach, which is expected to enhance the expansion and sustainability of comparative literature studies in Korea. The vitality and sustainability of comparative literature and its education lie in the discipline’s inherent expansionality which will provide the discipline of comparative literature with a renewed identity as well as an academic motivation, driven by a creative and productive sense of inquietude.

      • KCI등재

        ‘전태일’의 이름으로 문학을 한다는 것-1980년대 전태일문학상의 주체와 양식의 문제를 중심으로

        정고은 상허학회 2019 상허학보 Vol.57 No.-

        This paper discusses the 1980s ‘Jeon Tae-il Literary Award’ as an important object in the study of labor literature and labor writing. This paper analyzes the subjects, genres, and cultural background surrounding of the Award. Various people―who belong to union or workers’ literary clubs, writers who has a progressive ideas, and students, etc.―participated in this award as a subject of writing. Also ‘Jeon Tae-il Literary Award’ tried to form a nationwide field of working class writing through various attempts such as the “Proletarian Literature Night” and the publication of the “Workers Literature News”. The fact that life-writing of working class and report of struggle that cannot be found in other literary awards have become the awarding sections shows the uniqueness of ‘Jeon Tae-il Literary Award’. These two genres existed as workers became the subject of writing themselves and played a role of revealing workers life and struggles as socially meaningful events. On the other hand, novels were often recognized as exclusives of intellectuals. But the novels in the Award were created in close connection with the development of the actual labor movement. The ultimate goal of these novels was to inform the world of the reality of workers' lives and struggles and to change this society. These facts indicate that ‘Jeon Tae-il Literary Award’ sought literature that workers could write and read about their reality for themselves, and supported literature that contributed to changing reality based on the life and struggle of workers. And only such literatures could be placed next to Jeon Tae-il's name. 전태일문학상은 ‘노동해방, 인간해방을 위한 문학’이라는 기치를 내걸고 1988년에 제정되어 현재까지 생활글, 투쟁기, 시, 소설 등 당대 노동자들의 삶과 투쟁을 형상화한 글을 한 데 모아 출간하는 중요한 역할을 수행하고 있다. 이 글에서는 제1회부터 4회까지의 전태일문학상 수상작품집을 토대로 문학상에 참여한 주체의 유형을 정리하여 노동조합이나 문학회에 속한 노동자들, 특정한 조직에 소속되지 않은 사람들, 진보적 문인들과 대학생 등 다양한 존재들이 글을 쓰는 주체로서 전태일문학상에 참여했음을 밝혔다. 또한 초기 전태일문학상이 전국의 노동자문학회와 연계하여 ‘노동자문학의 밤’ 행사를 열고 『노동자문학신문』을 발간하는 등의 다양한 시도를 통해, 작품의 우열을 가리는 제도가 아니라 전국적인 노동자글쓰기의 장과 네트워크를 형성하고자 했음에 주목했다. 다른 문학상에서는 찾아볼 수 없는 생활글과 투쟁기가 수상부문으로 자리 잡은 것은 전태일문학상의 독특성을 보여준다. 생활글과 투쟁기는 노동자가 스스로 글쓰기의 주체가 되어 자신과 동료 노동자, 나아가 노동계급의 삶과 투쟁 경험을 사회적으로 의미 있는 사건으로 가시화하는 역할을 수행하는 양식으로서 존재했다. 한편 소설은 기성의 예술 장르로서 지식인의 전유물로 인식되곤 했으나, 전태일문학상에 실린 소설들은 실제 노동운동의 전개와 밀접한 연관 속에서 창작되었다. 이들 소설의 궁극적인 목표는 노동자의 삶과 투쟁의 현실을 세상에 알리고 이 사회를 변혁하는 데 있었다. 이처럼 전태일문학상은 엘리트주의와 문학주의를 넘어 노동자들 스스로 자신의 노동현실에 대해 쓰고 읽을 수 있는 문학, 노동자의 삶과 투쟁에 기반을 두고 현실을 바꾸어나가는 데 기여하는 문학을 추구했으며, 그러한 문학일 때만이 ‘전태일’의 이름과 나란히 놓일 수 있음을 보여준다.

      • KCI등재

        학습자 주도적인 ‘비교’ 활동을 통한 고전문학교육의 새로운 길 찾기 -‘재미’ 찾기를 위한 대학 신입생 대상 수업의 사례 보고를 통해

        박경주 ( Park Kyeong-ju ) 한국고전문학교육학회 2016 고전문학과 교육 Vol.31 No.-

        이 글에서는 현재를 살아가는 우리가 예전의 자료를 가르치고 공부한다는 고전문학교육의 기본적 속성에 의거하여, 고전문학 교육의 새로운 교수 학습 방법으로서 ‘학습자 주도하의 비교 활동’을 제안하고자 했다. 구체적으로는 대학교 국어국문학과에 갓 입학한 1학년 학생들의 첫 학기 수업에서 고전문학에 대한 재미를 찾게 하기 위해 ‘비교’ 활동을 진행한 사례 보고 형식을 갖추고 있다. 그간 한국고전문학교육학회 기획주제를 통해 고전문학교육, 혹은 고전문학과 재미를 연결시키는 다양한 논의들이 진행되었는데, 본고에서는 그 결과를 점검, 정리한 후 이를 대학의 국문과 수업에 적용하는 사례 연구를 시도하고자 한 것이다. 구체적으로 ‘비교’의 방식을 통해 고교 학습과 연계되면서도 입시 위주 교육에서 벗어나 자발적으로 고전문학에 흥미를 가질 수 있는 방법을 도모하고자 했다. 이를 위해 한국고전문학교육학회에서 ‘고전문학의 재미, 흥미, 의미’라는 기획주제 하에 발표된 논문들을 분석하면서 ‘비교’가 지닌 ‘재미’와의 관련성을 밝혀내고, ‘비교’의 방식을 유형화 하였으며, 이를 실제 수업에 적용한 사례를 소개했다. ‘비교’의 방식은 ①원형(패턴)을 활용해 구체적 작품을 창작하는 방식 ②고전 작품의 현대적 작품으로의 변용 ③고전 작품의 구체적 경험에 입각한 현대적 재해석의 세 가지 유형으로 정리할 수 있었다. 이 가운데 ①유형의 경우 그 원형의 활용 기준이 되는 단위에 따라 고전문학 수업을 재미있게 이끄는 구체적 방법이 본고에서 제시한 수준 이상으로 더 다양하게 전개될 수 있다. 또한 ②나 ③유형의 경우 역시 새로운 비교항들을 통해 창의적인 고전문학 학습 방법을 만들 가능성은 충분하다. 그런 차원에서 볼 때 본고에서 제시한 수업 사례는 필자가 재직 중인 대학과 학과의 특성을 고려하여 설계한 하나의 예시에 불과하며, 비교의 방식에 기초를 두면서도 수업 내용은 학습자나 수업 상황의 변화에 따라 무궁무진하게 다르게 설계될 수 있다. 학습자들이 느끼는 재미의 양상에 따라 고전문학이 가지는 시대적 의미 또한 달라질 것이므로, 그 재미의 수준이 하향화되지 않으면서 갈수록 수업의 질을 높여가는 동력이 될 수 있어야 하리라고 본다. This study examined the method of allowing freshmen to learn cla ssic works with fun, using the comparison method, linking their lear ning with their high school day learning, and intriguing fun about cla ssic literature voluntarily away from the burden of education for coll ege entrance examination. Towards that end, Korean Classic Literatu re Education Association’s papers on Classic Literature, Its Fun, Inter est, and Meaning were examined so as to identify the relationship be tween comparison and fun and to define three comparison methods, a nd this method was applied to actual classes. Of three methods: ① th e specific method - which is designed to lead classic literature class es with fun according to units which are the standard for the prototy pe utilization with regard to the method of creating specific works us ing a circle (pattern) - can be further developed in diverse ways tha n proposed herein; and there are sufficient possibility of developing c reative methods of studying classic literature using new comparison items ② if classic works are modified into modern works, and ③ if classic works are re-interpreted based on specific experiences. Accor ding to learners’ perceived patterns of fun, classic literature’s meanin g of today can also be differentiated. Not to lower the fun level, the method is expected to upgrade the class quality.

      • KCI등재

        다카하시 토오루[高橋亨]의 경성제국대학 강의노트 내용과 의의

        이윤석 ( Lee Yoon-suk ) 연세대학교 국학연구원 2016 동방학지 Vol.177 No.-

        다카하시 토오루는 동경제국대학을 졸업한 후 1903년 조선에 일본어 교사로 부임하여 여러 교육기관에서 근무했다. 그는 식민지 조선의 유일한 대학인 경성제국대학의 조선문학 강좌 담당교수로 1926년 개교할 때부터 1939년 3월 정년퇴직할 때까지 재직했다. 그가 경성제국대학에서 가르친 학생들은 근대적인 대학교육을 받은 제1세대 한국문학 연구자가 되고, 해방 후 남북으로 흩어져 남북한에서 한국(조선)문학을 연구하며 후진을 양성했다. 이제까지 이들 경성제국대학 조선문학 전공 학생들에 관한 연구는 많이 있었지만, 이들이 받은 교육의 구체적인 내용이 무엇이었는지는 알려진 바가 없었다. 최근 다카하시가 경성제국대학에서 강의할 때 사용한 강의노트 110권이 알려졌는데, 66권은 사상관련 강의노트이고, 44권은 문학관련 강의노트이다. 현재 사상 관련 노트는 일본에 있고, 문학관련 노트 44권은 필자가 갖고 있다. 이 글에서는 문학 관련 강의노트 44권의 내용을 소개하면서, 이 강의노트가 갖고 있는 의의를 살펴보았다. 그리고 강의노트와 함께 다카하시가 지도한 몇몇 학생의 학부 졸업논문과 민요 수집 보고서도 입수한 것이 있어서 그 내용도 간단히 소개했다. 앞으로 이 강의노트를 검토하여 한국문학1세대 연구자들이 받은 교육의 내용을 파악할 수 있을 것이고, 학생들의 졸업논문과 보고서를 이들의 해방 후 연구와 비교 분석하여 어떤 변화가 있었는지도 알아볼 수 있을 것이다. After Takahashi Toru (1878-1967) graduated from Tokyo Imperial University, he was appointed as a Japanese language teacher to Joseon in 1903 and worked at various educational institutions. At Keijo Imperial University, the only university in colonial era Joseon, he was employed as a lecture professor of Joseon literature from the founding of the institution in 1926 to his retirement in March 1939. The students he taught at Keijo Imperial University became the first generation of scholars of Korean literature to receive modern education. Following liberation, they ended up in both North and South Korea where they continued to research and advance the study of Korean (Joseon) literature in both countries. Although there has been a great deal of research on those who studied Joseon literature at Keijo Imperial University, no information has yet been presented on the specific details of their education. Recently, it has been revealed that Takahashi left behind one hundred and ten volumes of notes he used for his lectures at Keijo Imperial University, sixty six of which deal with ideological topics and forty four on literary topics. While the notes on ideology are currently in Japan, the notes on literature are in my possession. In this essay, I introduce the contents of the forty-four volume notes on literature and examine their significance. In addition to Takahashi`s lecture notes, I also look briefly at the graduation theses and reports on collections of folk songs written by his students. The analysis of the lecture notes makes it possible to determine the nature of the education received by the first generation of researchers on Korean literature. A study of the students` theses and reports also allows us determine the changes in their scholarship following liberation, through a comparative analysis of their work.

      • KCI등재

        조선총독부 학무국 ‘전설 동화 조사’ 보고서를 활용한 『조선동화집』의 개작 양상 고찰

        김광식 한국고전문학회 2015 古典文學硏究 Vol.48 No.-

        The edit department which issued a textbook of the Government- General of Chosun. The chosun oral literature investigation which was being put into effect over 3 times in 1910's as a reference book on the one hand was put in order. <Chosun folk investigation> series were started around 1920 as the result thing. The report put into effect in "the chosun fairy tale collection" (1924) and 1913 in it was compared and contrasted by this paper, and its relation was considered. 6 accounts of common fairy tale was analyzed specifically and the change was analyzed in detail. When reducing the feature of Tanaka's rewrite to three, it's as follows. First, Tanaka made them purify the contents and an expression of the talk which is originally, and reorganized a character to improve the Japanese learning effect of the chosun child. A sexual expression also made ease. In the second, Tanaka corrected the style of the talk which is originally for effective Japanese learning substantially. Modal dialogue build, repetition expression, thinking aloud and exaggeration were introduced into a compensation. In the third, Tanaka generally maintained an outline and a motif faithfully. But Tanaka seems to have rewritten the contents at the destination to produce 'good child'. Tanaka described the character of the person who battles for it immorally further. On the other hand, Tanaka described the character of the main character more gently. 조선총독부 교과서를 발행한 학무국 편집과는 교과서를 발간하는 한편, 참고도서로 1910년대 실시한 3번의 구비문학 조사를 정리해, 1920년 전후에 4권의 <조선민속조사> 자료집을 발간했다. 본고에서는 그 중 『조선동화집』(1924)과 1913년 보고서를 비교 대조하여 그 관련성을 고찰하였다. 공통되는 6편의 설화를 구체적으로 분석해 그 개작 양상을 검토하였다. 다나카의 개작 내용의 특징을 세 가지로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로, 조선인 아동의 일본어 학습을 유도하기 위해, 원 설화의 내용 및 표현을 순화시켜 등장인물을 재구성하였고, 성적 표현도 완화시켰다. 둘째로, 효과적 일본어 학습을 위해 원 설화의 문체를 대폭 수정해, 대화체, 반복 학습, 혼잣말, 과장법 등을 도입하였다. 셋째로, 전반적으로 줄거리와 모티브를 유지했지만, ‘착한 어린이상’을 창출하기 위한 목적으로 내용의 개작을 시도하였다. 이를 위해 갈등 인물의 성격을 더욱 악하게 묘사하고, 주인공의 성격을 더욱 온순하고 착하게 기술하였다.

      • KCI등재

        주제 근대 전환기 한국 고전문학의 대응 조선총독부 학무국 “전설 동화 조사” 보고서를 활용한 『조선동화집』의 개작 양상 고찰

        김광식 ( Kwang Sik Kim ) 한국고전문학회 2015 古典文學硏究 Vol.48 No.-

        The edit department which issued a textbook of the Government- General of Chosun. The chosun oral literature investigation which was being put into effect over 3 times in 1910`s as a reference book on the one hand was put in order. <Chosun folk investigation> series were started around 1920 as the result thing. The report put into effect in the chosun fairy tale collection (1924) and 1913 in it was compared and contrasted by this paper, and its relation was considered. 6 accounts of common fairy tale was analyzed specifically and the change was analyzed in detail. When reducing the feature of Tanaka`s rewrite to three, it`s as follows. First, Tanaka made them purify the contents and an expression of the talk which is originally, and reorganized a character to improve the Japanese learning effect of the chosun child. A sexual expression also made ease. In the second, Tanaka corrected the style of the talk which is originally for effective Japanese learning substantially. Modal dialogue build, repetition expression, thinking aloud and exaggeration were introduced into a compensation. In the third, Tanaka generally maintained an outline and a motif faithfully. But Tanaka seems to have rewritten the contents at the destination to produce ``good child``. Tanaka described the character of the person who battles for it immorally further. On the other hand, Tanaka described the character of the main character more gently.

      • KCI등재

        僧家文學에 있어 自我表出과 그 문학사적 의의

        김승호(Kim Seung-ho) 불교학연구회 2008 불교학연구 Vol.20 No.-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lluminate a point in the aspect of literature history that Buddhist monks had been positive in revealing "me" from the early times compared to the literature in Confucian scholars. What reveals self as the narrative entity and hero is said to be Oriental tradition. However, Buddhist monks didn"t hesitate comparatively to clarify own past, inner world, and journey through travel sketches, letters and others. The works belonging to it are typical in the travel sketches by the monk Hyecho, letter by the monk Uicheondaesa, Yusangi(遊山記) and letter by the monk Cheonchaek, and the letter by the monk Seosan. Among those things, the travel sketches by the monk Hyecho and the monk Cheonchaek allow the hero to be in the position of well reporting directly the strange world as the narrator and simultaneously as the entity of travel. Also, the letters by the Daegakguksa(national preceptor with great enlightenment) and the monk Cheonchaek are clarifying to other person based on self-experience about how the person of first entering the Buddhist priesthood reached the deep world of Buddhism and about what the characteristics in Buddhism are. Finally, the monk Seosan saw the world as a dream, and enjoyed expressing by comparing to the existence of walking aimlessly in it. Given arranging this, heros are shown to be entity in report, transcendental, and sleep-walking. Through this, the Buddhist literature is revealed to mobilize diverse sights even in expressing "me". Writing in this method of seeking for self seems to be one of important characteristics in Buddhist literature, which is distinguished from Confucian literature, as well as being conformed to autobiography in a modern sense.

      • KCI등재

        동향 : 노근리 트라우마, 그 상처와 화해 정은용 실화소설『그대, 우리의 아픔을 아는가』(1994)의 경우

        김응교 ( Eung Gyo Kim ) 민족문학사학회·민족문학사연구소 2013 민족문학사연구 Vol.52 No.-

        한국전쟁 발발 직후인 1950년 7월 26일부터 29일까지 나흘간 충북 노근리 일대에서 벌어진 미군의 민간인 학살사건을 다룬 정은용 실화소설 『그대, 우리의 아픔을 아는가』는 비극적인 ‘느근리 트라우마’를 치료하는 길을 보여주었다. 이 책으로 인해 빌 클린턴 대통령에게 보고되면서, 미군에 의한 한국인 민간인 학살이 있었다는 사실이 알려지게 되었다. 김대중 대통령이 노근리 사건에 대한 진상규명을 지시하면서 1999년 10월부터 2001년 1월까지 15개월간 노근리 사건에 대한 한·미 양국의 공동조사가 진행됐다. 그리고 양국의 진상조사결과보고서와 한·미 공동발표문이 발표됐다. 노근리사건특별법은 2004년 국회를 통과했다. 이와 같은 노력은 전쟁의 비극, ‘노근리 트라우마’를 치료하는 과정이다. 이 글에서 기록문학의 문제, 소설의 구성, 그리고 트라우마의 극복 문제를 다루어보았다. 결론적으로 이 작품은 감추어져있던 노근리 학살사건을 역사 위에 내놓은 큰 역할을 했다. 특히 선과 악을 극단적이며 도식적으로 대비시킨 것이 아니라. 선과 악 사이에 다양한 가능성을 풍부하게 제시하고 있다. ‘전문적 문인이 아니지만’이라는 표현은 실례에 가까울 정도로 4장까지의 묘사는 밀도 있는 표현이 빛난다. 그러나 10장에 이르러 묘사의 정밀도가 급격히 떨어지고, 사건을 나열하는 방식으로 서술되어 아쉬움이 남는다. 실화소설 『그대, 우리의 아픔을 아는가』이 드러냈던 어둠의 세계는 한국뿐만 아니라, 지금도 소말리아와 이라크와 여러 나라에서 그 비극이 반복되고 있다. 이 작품은 드러낸 어둠의 세계는 비극적 기억의 ‘반복’을 통해서 다시는 비극이 일어나지 않도록 막는 종요로운 역할을 할 저작이다. The Nogunri Massacre took place from July 25 to 29, 1950, a month after the beginning of the Korean War. 300 South Korean civilians were killed by U.S. soldiers. True story novel, “Have You Heard of Our Agony?” show us how they treat the pain of the tragic ``Nogunri Trauma``. Because of this book, President of South Korea, Kim Dae-jung called on the US government to conduct an inquiry into the alleged mass killing of Korean civilian refugees by US soldiers at a railway bridge No Gun Ri. President Clinton expressed regret over the deaths of Korean civilians shot by retreating U.S. The South Korean government`s victims review committee concluded in 2005. In this article I studied the problem of reporting literature, novel configurations, and how to overcome the problems of trauma by massacre. This work reported the hidden massacre story of Nogunri and played a important role. In particular, Jeong wrote the various possibilities of the between extremely good and evil in abundance. The description of Novel is good till Chapter 4. But After the Chapter 10, the description of novel came rapidly falling. True story novel, “Have You Heard of Our Agony?” revealed the dark side of Korean War, as well as South Korea, Somalia and Iraq and now in many countries. Jeong wrote, “We should remember. If we forget, it will repeat over and over.” If we forget, the tragedy will be repeated. This work exposed the tragic memories of the world of tragedic darkness.

      • KCI등재후보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