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마룡산(406.7m, 울진군)과 대소산(286m, 영덕군) 일원의 관속식물

        김영철 ( Young-chul Kim ),채현희 ( Hyun-hee Chae ),박유철 ( You-cheol Park ),이선미 ( Seon-mi Lee ),남기흠 ( Gi-heum Nam ) 한국환경생태학회 2021 한국환경생태학회지 Vol.35 No.5

        지역적인 규모에서 식물다양성의 보전을 위해서는 기초적인 정보가 바탕이 된다. 조사의 결과로 나타나는 식물의 종수는 조사의 면적과 조사지역 내에 분포하는 다양한 생육지의 수와 밀접하게 연관된다. 경상북도 울진군의 마룡산과 대소산 일원에서 각각 9회와 6회에 걸쳐 식물자원을 조사하였다. 조사경로에 다양한 생육지가 포함되도록 계획하였다. 조사의 결과로 마룡산 일원에서는 112과 349속 548종 10아종 34변종 2품종 594분류군이 대소산 일원에서는 89과 270속 400종 9아종 25변종 434분류군이 조사되었다. 21개의 생육지로 구분하여 관찰된 식물을 정리하면 계곡주변의 전이대에 분포하는 식물과 건조한 초원에 분포하는 식물이 높은 비율을 차지하였다. 해안에 위치한 전통적인 묘지는 식물의 주요한 분포지로 기능하였다. 2개 지역에서 한국고유종은 19분류군이 조사되었다. 2개 지역에서 식물구계학적 특정식물종은 Ⅴ등급이 1분류군, Ⅳ등급이 11분류군, Ⅲ등급이 24분류군이 조사되었다. 귀화식물은 총 77분류군이 조사되었고 그중 생태계교란외래식물은 4 분류군이 분포하였다. 마룡산 일원과 대소산 일원에 분포하는 식물에서 나타나는 차이는 먼저 조사지역 내에 분포하는 각각의 생육지 크기 차이에 따른 것으로 판단되었다. 또한 대소산 일원이 주변의 산지와 연결되어 있지 않고 주거지와 경작지에 둘러싸인 고립된 공간에 해당하였기 때문으로 판단되었다. Basic information such as flora and their distribution are the key factors to consider for preserving plant diversity on a regional level. The number of plant species identified through a survey is closely related to the survey area and the number of habitats distributed within the survey area. In this study, we surveyed the flora of Mt. Maryong-san (PH) and Mt. Daeso-san (YH) located in Uljin-gun, Gyeongsangbuk-do, six and nine times, respectively. We planned to include a variety of habitats in the survey routes. As a result, we identified a total of 594 taxa composing of 112 families, 349 genera, 548 species, 10 subspecies, 34 varieties, and 2 formulas in the Mt. Maryong-san (PH) area and a total of 434 taxa composing of 89 families, 270 genera, 400 species, 9 subspecies, and 25 varieties in the Mt. Daeso-san (YH) area. Of the plants observed in the 21 habitats, the plants distributed in the transition zone around the valley and the dry grassland accounted for the highest proportion. The traditional graveyards located on the coast also served as the major habitat for the distribution of some plant species. In the two graveyards, 19 taxa of endemic plant species were surveyed. Moreover, the identified floristic target species included 1 taxon for grade Ⅴ, 11 taxa for grade Ⅳ, and 24 taxa for grade Ⅲ. A total of 77 taxa of naturalized plants were identified, and four of them were invasive alien plants as designated by the Ministry of Environment. The differences in the plants distributed in the area of Mt. Maryong-san (PH) and Mt. Daeso-san (YH) were mainly due to the difference in the size of each habitat distributed within the survey area. Moreover, it was judged that the entire vicinity of Mt. Daeso-san (YH) was not connected to the surrounding mountains and was an isolated area surrounded by farmland and residential area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