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VFSMOD-W를 이용한 초생대 유사저감효과 모의

        김주영 ( Jooyoung Kim ),서정훈 ( Jeonghoon Seo ),최경숙 ( Kyungsook Choi ) 한국농공학회 2013 한국농공학회 학술대회초록집 Vol.2013 No.-

        밭 경지에 초생대기법을 적용하였을 경우 유사저감효과를 규명하기 위해 초생대 토사유출저감 모의를 위해 개발된 VFSMOD-W를 이용하여 우리나라 일반적인 밭경지 조건을 적용하여 모의해 보았다. 이를 위해 먼저 농업토양정보시스템에서 제공하는 통계자료를 토대로 우리나라 일반적인 밭경지 규모, 경사, 토양, 배수등급에 대해 조사해 보았다. 그 결과 밭 규모는 1.0 ha 이하가 우리나라 전체 밭경지의 86.16 %를 차지하였으며, 경사는 7~15 % 정도가 62%를 차지하였고, 토양의 특성은 양토, 사양토, 미사질 양토 순이었으며, 대부분 양호한 배수 특성을 나타내었다. 이러한 자료를 토대로 모의를 위한 시나리오를 개발해 보았다. 우리나라 밭경지 규모를 고려하여 밭의 크기는 0.1 ha, 0.5 ha, 1.0 ha로 하였고, 다양한 밭 형상을 고려하여 밭의 폭과 길이의 비율을 1 : 0.1, 1 : 0.5, 1 : 1, 1 : 3으로 세분화 하였다. 밭의 경사는 7%와 15%로 선정하였으며, 토양 특성은 양토로서 수문학적 토양그룹은 Type B로 하였다. 농촌지역 소규모 밭경지에서 여러 종류의 밭작물을 재배하고 있는 특성을 감안하여 CN을 선정하였으며, AMC-Ⅱ조건에서 모의하였다. 초생대의 규모는 초생대 효과가 나타나는 구간부터 시작하여 밭경지 면적의 최대 20 % 범위 내에서 초생대 길이를 다양하게 적용해 보았으며 초종은 잔디초생대로 설계하였다. 강우조건은 20~100 mm의 일강우량을 적용하였으며, NRCS의 대표적 강우분포인 storm type Ⅱ를 적용하여 모의하였다. 그 결과 20mm 강우조건에서 밭의 경사 7%인 경우 20mm에서 밭경지의 유사량은 2.85~100.9kg, 초생대를 통과한 유사량은 0kg으로 유사저감율이 100%였으며, 40mm 강우조건에서 밭경지 유사량은 342.8kg~9,160kg, 초생대 유사량은 0.049kg~4169kg으로 유사저감율이 54%~99%로 나타났다. 100mm강우에서는 밭경지 유사량이 2,634kg~123,000kg, 초생대 유사량이 928.2kg~80,870kg로 증가하였으며, 유사저감율은 34%~64%로 낮아졌다. 밭경사 15%의 경우 20mm강우조건에서 밭경지 유사량은 6.9kg~360kg, 초생대 유사량은 0kg으로 밭경사 7% 일때와 마찬가지로 유사저감율이 100%였으며, 40mm강우조건에서 밭경지 유사량은 660.3kg~32,840kg, 초생대 유사량은 177.5kg~25,140kg으로 유사저감율은 23%~97%로 나타났다. 또한 100mm강우에서 밭경지 유사량은 6,011kg~429,700kg, 초생대 유사량은 3,439kg~298,400kg으로 유사저감율은 19%~44%를 나타내었다. 강우량과 밭경지 규모 및 경사, 그리고 경사장이 증가할수록 초생대 길이가 짧을수록 유사저감효과가 현저하게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20mm 이하의 강우조건에서는 유사량이 발생하더라도 밭경지 규모에 비해 비교적 유사량 발생규모가 적어 초생대에서 유사가 모두 차단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 새만금 초생대 유사저감효과 분석

        이슬기 ( Seulgi Lee ),최경숙 ( Kyungsook Choi ) 한국농공학회 2017 한국농공학회 학술대회초록집 Vol.2017 No.-

        본 연구에서는 밭경지의 비점오염저감대책 중 하나인 초생대(VFS; Vegetative Filter Strips) 기법을 이용하여 밭경지 비점오염의 주원인인 유사에 대한 저감 효과를 분석하므로 초생대기법의 효과적인 적용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새만금 유역의 밭경지를 대상으로 VFSMOD-W모형을 이용하여 초생대의 유사저감효과를 모의하였다. 다양한 밭경지 특성을 고려하고자 밭경지 규모 및 경사인자와 더불어 기상인자인 강우를 이용하여 다양한 현장여건을 반영한 시나리오를 개발하였다. 새만금지역의 토성은 주로 양토(Loam)가 83.7%를 차지하며, 밭경지는 대부분 15% 이내의 경사를 가지고 있는 여건을 고려하여, 현장시나리오에 적용한 밭경지 규모는 1ha, 5ha, 10ha이며, 밭경사의 경우 7%, 15%을 채택하였다. 강우량은 일우량 50mm, 100mm, 150mm, 200mm를 채택하였다. 또한 초생대 적용을 위해 밭경지 하단부의 10% 면적은 초생대 구역으로 가정하여 우리나라 잔디 특성에 가까운 Grass mixture을 적용하였다. CN값은 NRCS에서 제공하는 CN값 중 줄작물, 곡물류 등을 재배하는 수직경작지에서의 배수등급 양호하며 수문학적 토양그룹인 B인 경우로 87.3으로 선정하였다. 그 결과 모의시나리오에 따른 초생대 유출저감효과는 2.9%~13.5%의 범위로 경사 7%에서 0.1~1.4% 정도 높은 저감 효과를 나타내었으며, 밭경지 면적이 클수록 저감 효과도 높게 나타났다. 초생대 유사저감효과는 36.0~97.0%로 나타났으며 경사 7%에서 6%~38.5% 정도 높은 저감 효과를 보였다. 밭경지 면적의 규모에 따라 큰 면적일수로 유사발생량이 컸으나, 초생대에 의한 유사저감효과는 상대적으로 밭경지 면적이 작을수록 효과가 높게 나타났다. 10ha 미만의 규모의 경사 15% 이하의 밭경지에 10% 규모의 면적에 초생대를 설치할 경우 유출 및 유사저감효과를 기대할 수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새만금유역의 밭경지에 초생대 기법을 적용한다면 새만금호의 수질개선에 기여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 밭농업 기계화 촉진을 위한 밭경지정리 문제점 최소화 방안

        서동욱 ( Donguk Seo ),김영화 ( Younghwa Kim ),이준구 ( Joongu Lee ),최원우 ( Wonwoo Choi ) 한국농공학회 2016 한국농공학회 학술대회초록집 Vol.2016 No.-

        앞으로 시행하는 밭기반정비사업은 계속 감소하는 농가 인구와 가속화 되는 노령화에 대비하고 현재의 노령층 영농인력이 세대교체가 되면 영농방식이 기계화영농으로 바뀔 수 밖에 없으므로 이에 대비하여 노동생산성을 높이고 편리한 영농을 위해 밭경지정리가 필요할 수 있다. 그러나, 실제 경지정리를 필요로 하는 현장에서는 감보 발생과 영농손실 등으로 인해 사업을 꺼려하는 문제점이 있어 밭기계화율을 높이기 위한 기반정비가 어려운 상황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위와 같은 문제점들을 최소화하기 위한 방안을 검토하였다. 감보율 최소화 방안으로는 신설되는 단지내 도로나 배수구거 등 공용시설부지는 공유지분으로 접속 필지에 포함하여 환지하고, 기존의 용·배수로 및 도로 등의 공용시설이 사유지에 설치된 경우에는 공용시설부지를 제외한 실경작면적으로 환지권리면적을 산정토록 환지개념의 변화를 도입하며, 규모가 큰 용·배수로나 도로부지는 용지매수하여 국·공유지로 편입함으로써 감보율을 저감시키도록 한다. 또한 환지에 대해서는 종전 소유토지보다 환지 받은 토지가 위치나 토질 등이 나쁘다는 인식이 있으므로 원지 환지를 우선으로 하며 분산된 필지의 통합은 당사자간의 합의로 교환·분합토록 하고, 교환·분합시 지가 차이가 있는 경우에는 공사 전·후 토지평정가로 정산토록 한다. 공사중 영농손실 우려에 대해서는 공사기간을 단축하고 공사시기를 조정하여 실농을 최소화할 수 있다. 사업구역을 매입 후 임대 또는 환매하는 방식도 고려할 수 있으나, 밭기반 정비예정지구에 소유자가 자발적으로 조합을 결성하여 밭기반 정비지구 고시하여 미동의자에 대해서 평가 후 매수하는 방식을 고려해 볼 수 있다. 경사지는 정지작업에 따라 필지별 고차에 의하여 밭두렁이 발생하게 되어 실경작면적이 감소하게 되는 것은 밭두렁의 일부를 깍아 석축, 콘크리트, 호안블럭 등으로 사면 유지공을 설치하는 등의 방안강구가 필요하고, 경작토심을 확보하기 위해 정지토량 이동 전 경작토를 표토처리하고, 표토처리만으로 경작토심 유지가 안되는 경우는 객복토 처리를 할 수 있다. 이같은 방안을 통해 밭농업 기계화 촉진을 위한 밭경지정리 사업이 원활하게 수행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 밭경지 비점오염제어를 위한 초생대 적용

        최경숙 ( Kyungsook Choi ),장정렬 ( Jeongryeol Jang ) 한국농공학회 2011 한국농공학회 학술대회초록집 Vol.2011 No.-

        밭은 논농사와 비교할때 농약과 비료의 사용량이 대체적으로 높기 때문에 논에 비해 비점오염물질 배출양이 훨씬 심각하다. 또한 밭경지는 논보다 상대적으로 경사가 크며, 밭토양의 특성상 강우시 비점오염물질 유출 가능성이 매우 높다. 따라서 농경지에서 유출되는 비점오염부하 중 밭 경지에 의한 비점오염 기여도가 상당히 크기 때문에 농경지 비점오염저감을 위해서는 밭 비점오염 저감기법 개발 및 제어대책 수립이 매우 중요하다. 이에 본 연구는 밭 비점오염 물질을 저감하기 위한 일환으로 초생대를 적용하여 그 효용성을 살펴보고자 하였다. 밭 경지 초생대 적용을 위해 경상북도 군위군 효령면 화계리에 위치한 경북대학교 농업생명과학대학 부속농장의 밭경지 면적 1,500㎡를 선정하여 연구를 수행하였으며, 시험포는 대조구 1개와 처리구 6개로 구성하였으며, 각 시험구 규모는 길이 12m × 폭 4m (초생대 길이 2m × 폭 4m 포함)로 하였다. 초생대 초종은 초생대 조성이 용이하고 관리효율성이 높은 초종으로서 손쉽게 구할 수 있고 우리나라 기후와 토양특성에 적합하며 초생대 기능에 부합된 초종으로 6개를 선정하였다. 밭경지 작물로는 한지형 마늘을 선정하였으며, 농촌진흥청에서 제시한 표준재배법에 준하여 경작하였다. 두 번의 인공강우실험을 통해 초생대 적용에 따른 밭경지 비점오염부하 저감율은 TS의 경우 35.4~93.6%, T-P의 경우 8.8~73.1%, T-N의 경우 1.3~63.1% 정도를 나타내었다. 이러한 결과는 제한된 실험조건하에 진행되어 나온 결과이므로 향후 자연강우상태에서의 초생대의 비점오염저감효과에 대한 연구를 병행할 예정이다.

      • KCI등재

        새만금유역 밭경지 초생대 유사저감효과 모의

        이슬기,장정렬,최경숙,Lee, Seul Gi,Jang, Jeong Ryeol,Choi, Kyung Sook 한국수자원학회 2018 한국수자원학회논문집 Vol.51 No.6

        본 연구에서는 VFSMOD-W 모형을 활용하여 새만금 유역의 초생대 기법 적용에 따른 유사저감효과를 예측하고자 하였다. 먼저 모형의 신뢰도 확보를 위해 새만금 유역 내 초생대 실측치를 활용하여 매개변수를 보정하였으며, 새만금 유역 내 밭경지 특성을 파악하여 이를 토대로 모의 시나리오를 개발하였다. 다양한 밭경지 특성을 반영하기 위해 개발된 모의시나리오는 밭경지 규모 1 ha, 5 ha, 10 ha로 밭의 폭과 길이 비는 1 : 1를 적용하였으며, 밭의 경사는 7%, 15%를 고려하였다. 또한 강우조건은 50 mm, 100 mm, 150 mm, 200 mm 일강우량을 적용하였다. 그 결과, 초생대의 유출저감효과는 밭경사 7%와 15%에 대해 2.9~13.5%, 2.9~12.1%로 각각 나타났으며, 유사저감효과는 33.8~97.0%, 27.1~85.9%로 각각 나타나 유출저감효과에 비해 상대적으로 높은 저감효과를 나타내었다. 유출 및 유사 발생에 영향을 미치는 밭규모, 경사 및 강우량 인자에 따라 초생대 효과는 큰 차이를 나타내었다. 본 모의 결과를 바탕으로 새만금 유역내 밭경지 규모 10 ha 미만, 경사 15% 이내의 조건에서 밭면적 10% 규모로 초생대를 조성할 경우 유사저감 효과를 기대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The study was intended to simulate the sediment reduction effects of the Vegetative Filter Strip (VFS) in uplands of Saemangeum watershed through VFSMOD-W model application. The model was calibrated by using the field data and the simulation scenarios were designed based on the investigation of uplands characteristics in Saemangeum watershed. The simulation scenarios were considered various size and slope of uplands including 1 ha, 5 ha, 10 ha of field size with width-length ratio of 1 : 1 having 7% and 15% of slopes under the daily rainfall of 50 mm, 100 mm, 150 mm, and 200 mm in order to mimic the different fields conditions. The effluent reduction ranged from 2.9~13.5% and 2.9~12.1% for runoff, and 33.8~97.0% and 27.1~85.9% for sediment under the field's slope of 7% and 15%, respectively. The VFS reduction effects showed different degree of influence from field size, slope, rainfall amounts. Based on the simulated results, the sediment contributing non-point source pollution expected to be reduced in the condition of VFS constructed 10% of fields in outlet of less than 10 ha of uplands having less than 15% of the slope.

      • KCI등재

        Simulation of sediment reduction effects of VFS in uplands of Saemangeum watershed

        Lee Seul Gi,Jang Jeong Ryeol,Choi Kyung Sook 한국수자원학회 2018 한국수자원학회논문집 Vol.51 No.6

        본 연구에서는 VFSMOD-W 모형을 활용하여 새만금 유역의 초생대 기법 적용에 따른 유사저감효과를 예측하고자 하였다. 먼저 모형의 신뢰도 확보를 위해 새만금 유역 내 초생대 실측치를 활용하여 매개변수를 보정하였으며, 새만금 유역 내 밭경지 특성을 파악하여 이를 토대로 모의 시나리오를 개발하였다. 다양한 밭경지 특성을 반영하기 위해 개발된 모의시나리오는 밭경지 규모 1 ha, 5 ha, 10 ha로 밭의 폭과 길이 비는 1 : 1를 적용 하였으며, 밭의 경사는 7%, 15%를 고려하였다. 또한 강우조건은 50 mm, 100 mm, 150 mm, 200 mm 일강우량을 적용하였다. 그 결과, 초생대의 유출저감효과는 밭경사 7%와 15%에 대해 2.9~13.5%, 2.9~12.1%로 각각 나타났으며, 유사저감효과는 33.8~97.0%, 27.1~85.9%로 각각 나타나 유출저감효과에 비해 상대적으로 높은 저감효과를 나타내었다. 유출 및 유사 발생에 영향을 미치는 밭규모, 경사 및 강우량 인자에 따라 초생대 효과는 큰 차이를 나타내었다. 본 모의 결과를 바탕으로 새만금 유역내 밭경지 규모 10 ha 미만, 경사 15% 이내의 조건에서 밭면적 10% 규모로 초생대를 조성할 경우 유사저감 효과를 기대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The study was intended to simulate the sediment reduction effects of the Vegetative Filter Strip (VFS) in uplands of Saemangeum watershed through VFSMOD-W model application. The model was calibrated by using the field data and the simulation scenarios were designed based on the investigation of uplands characteristics in Saemangeum watershed. The simulation scenarios were considered various size and slope of uplands including 1 ha, 5 ha, 10 ha of field size with width-length ratio of 1 : 1 having 7% and 15% of slopes under the daily rainfall of 50 mm, 100 mm, 150 mm, and 200 mm in order to mimic the different fields conditions. The effluent reduction ranged from 2.9~13.5% and 2.9~12.1% for runoff, and 33.8~97.0% and 27.1~85.9% for sediment under the field’s slope of 7% and 15%, respectively. The VFS reduction effects showed different degree of influence from field size, slope, rainfall amounts. Based on the simulated results, the sediment contributing non-point source pollution expected to be reduced in the condition of VFS constructed 10% of fields in outlet of less than 10 ha of uplands having less than 15% of the slope.

      • KCI등재

        밭 비점오염저감을 위한 초생대 적정 초종 선정

        최경숙,장정렬 한국수자원학회 2014 한국수자원학회논문집 Vol.47 No.10

        본 연구는 밭경지 현장실험을 통해 다양한 초생대 초종을 적용하여 밭의 비점오염저감효과 분석 및 초생대에 적용 가능한 적합한 초종을 선정하고자 하였다. 경북 군위군에 위치한 면적 1,500m2, 경사 5%의 밭경지를 선정하여 시험포를 조성하였으며, 시험포내에는 대조구 1개와 초생대 처리구 6개로 구성된 총 7개의 시험구를 조성하였다. 츄파, 피, 바랭이, 잔디, 톨페스큐, 켄터키블루그라스를 포함하는 6개의 초종을 선정하여 초생대 실험을 수행하였다. 현장실험 결과 대조구 대비 초생대의 유출저감효과는 6.1~77.8%였으며, 비점오염저감효과는 TS의 경우 15.6~90.3%, T-P의 경우 49.9~96.6%, T-N의 경우 6.7~91.1%를 나타내었다. 전체 오염인자 중에 초생대로 인해 전반적으로 높은 비점오염저감 효과를 나타낸 것은 TS, T-P, T-N, SS인 반면, BOD, TOC와 NO3-는 낮은 저감효과를 보였다. 비점오염저감 및 유지관리측면에서 가장 유리한 초생대 초종은 잔디로 평가되었다. 본 연구결과를 통해 우리나라 농촌지역 밭 비점오염저감을 위한 관리기법으로 초생대가 효과적으로 활용가능하리라 사료되며, 보다 장기적이고 다각적인 현장실험을 통해 초생대 현장적용을 위한 설계지침서 개발이 요구된다. This study focused on the selection of appropriate plant species of VFS(vegetative fiter strips) and the assessment of VFS effects for reducing NPS(non-point source) pollution from uplands. The experimental field was constructed with 1 control and 6 treated plots in the upland area of 1,500㎡ with 5% slope which is located in Gunwi-gun, Gyeongbuk province. Six vegetation including Chufa, Common crabgrass, Barnyard grass, Turf grass, Tall fescue, Kenturky bluegrass, were applied to install VFS systems during the study period from June 2011 to Dec. 2012. The results of this study showed that 6.1~77.8% in runoff and 15.6~90.3% in TS, 49.9~96.6% in T-P, and 6.7~91.1% in T-N were reduced from the VFS treated plots. Generally high reduction effects were observed from TS, T-P, T-N, and SS, while BOD, TOC, and NO3- showed low reductions. The best vegetation type was Turf grass showing higher reduction effects of NPS pollutions and having relatively easier maintenance efforts compared to other vegetations selected in this study. Based on these results, VFS technique found to be an effective management practice for reducing agricultural NPS pollutions in Korean upland conditions. Further study needs to be performed through various field experiments with long term monitoring in order to develop a design manual of VFS system for practical applications.

      • 빅데이터와 무안지역 밭작물을 위한 기반정비

        서종석,유승환,최수명,박현호 韓國食品流通學會 2018 한국식품유통학회 학술대회 Vol.- No.하계

        이 논문은 논농업에 비하여 기반정비 및 기계화율이 현저히 낮은 밭농업을 대상으로 정책과 현실 사이에서 나타나는 부접합을 해소하려는 목적으로 수행되었다. 규모화와 기계화 측면에서 효율성만을 강조하던 과거의 산업적 관점의 틀에서 벗어나 환경적 그리고 사회적 관점의 틀을 보완하되, 생산·환경·공간 빅데이터를 중첩 활용하여 밭작물의 경지를 유형화하여 경지이용 활성화방안을 모색한다. 대표 사례지역으로 무안지역이 활용된다. 산업·환경·사회 측면의 틀을 기준으로 무안군 지역의 마을중심과의 거리, 경영규모를 참작하여 권역수와 면적(최댓값, 평균, 최소값)이 제시되는데, 이는 다른 지역에 대해서도 동일한 방식으로 적용이 가능할 것으로 판단된다.

      • 초생대 적용을 위한 초종 연구

        최경숙 ( Kyungsook Choi ),장정렬 ( Jeongryeol Jang ) 한국농공학회 2012 한국농공학회 학술대회초록집 Vol.2012 No.-

        밭비점오염저감을 위해 미국을 비롯한 선진국에서는 다양한 관리기법들이 개발되고 현장에 적용되고 있으나 우리나라는 아직 농경지 비점오염관리기법에 대한 기술개발 및 체계적인 연구가 진행되지 않아 현장적용에 많은 어려움이 있다. 이에 따라 본 연구에서는 밭 비점오염물질을 저감하기 위한 일환으로 해외에서 널리 적용되고 있는 초생대 기법을 밭경지에 적용하여 현장실험을 통해 우리나라 여건에 적합한 초생대 설치가이드라인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초생대를 이용한 밭비점오염저감은 초종의 선정이 매우 중요하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초생대 최적기법 제시를 위해 초기단계로서 초생대에 가장 적합한 초종이 무엇인지를 알아보고자 하였으며 이를 위해 초생대에 적용가능한 다양한 초종을 선정하여 생육모니터링 및 비점오염저감효과를 분석하여 최종적으로 우리나라에 적용가능한 최적의 초종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를 위해 선정된 초종은 다년생, 일년생, 월동일년생으로 구성하여 초생대 조성이 용이하고 관리효율성이 높은 초종으로서 손쉽게 구할 수 있고, 우리나라 기후와 토양특성에 적합하며 초생대 기능에 부합한 초종을 선정하였다. 선정된 초종은 보리, 호밀, 헤어리비치, 자운영, 톨페스큐, 켄터키블루그라스, 잔디, 피, 바랭이, 츄파이며, 생육시기를 고려하여 적정시기에 파종하여 초생대를 조성하였다. 초생대 초종의 생육모니터링 결과, 초종의 생육은 작물과 같이 초기에는 느린 생장을 보이다가 어느 시점부터는 급속한 생장을 나타내는 전형적인 S자 곡선의 생육과정을 나타내었으며, 대체적으로 일년생 및 월동일년생과 같이 어느 시기 이상이 되면 급격한 생육현상을 나타내는 초종보다는 완만한 S자곡선을 나타내는 다년생 초종이 예초 등의 유지관리측면에서 유리하고 4계절 초생대 기능을 유지 할 수 있어 초생대에 보다 적합한 초종으로 파악되었다. 초생대 시험포의 강우-유출패턴은 초종에 따라 유출률이 다르게 나타났으며, 실험방법에 따라 14.5~95.8%정도의 유출량 차이를 나타내었다. 초생대의 유출저감효과는 대조구에 비해 8.8~42.5% 정도의 유출저감효과가 있는 것으로 조사되었으며, 초생대설치에 따른 초종별 비점오염저감효과는 TS의 경우 15.6~90.3%, T-P의 경우 49.9~87.8%, T-N의 경우 6.7~91.1%의 저감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들을 종합적으로 분석해 볼 때 유출 및 비점오염저감효과와 유지관리측면에서 가장 유리한 초종은 잔디로 나타났으며, 켄터기블루그라스도 초생대에 적용가능한 적합한 초종으로 조사되었다.

      • KCI등재

        기후변수가 강원도의 농업에 미친 경제적 효과 분석

        정준호 ( Jun Ho Jeong ),김광배 ( Kwang Bae Kim ) 한국경제지리학회 2012 한국경제지리학회지 Vol.15 No.2

        본 연구는 가후변수가 논과 밭이라는 경작유형별로 경지면적과 토지가치에 미친 경제적 효과를 강원도의 농업을 사례로 추정하였다. 기후, 지리 및 토양, 사회·경제적 변수들에 대한 패널자료를 1992-2010년 동안 강원도 11개 시 군에 대해 구축하고 리카디언 방법을 사용하였다. 분석결과에 따르면, 기온변수가 논과 밭의 토지가치와 경작연적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다는 것이 밝혀졌다. 아는 자구온난화에서 강수량변수보다는 기온변수가 더욱더 중요하다 는 기존의 연구결과를 뒷받침하고 있다. 다른 한편으로, 경작지의 토지가치와 경작면적의 결정요인은 논과 밭의 경작 유형에 따라 상이한 것으로 나타났다. This study estimates how much climate variables affect the land price and acreage of rice paddy and dry farm field in agriculture with the case of Gangwon-do in Korea. To this end, we capitalize upon the Ricardian approach based upon the panel data on climate, soil and geography, farmland prices and acreage, other economic and social variables for 11 municipal units comprising Gangwon-do during the period of 1992-2010. Our empirical analysis shows that the temperature variable has negative economic impacts on the price and acreage of rice paddy and dry farm field, confirming that the temperature variable is much significant than that of precipitation in global warming. On the other hand, the other determinants of farmland price and acreage are different with the type of farmland in Gangwon-do.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