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방울토마토 꼭지제거 요인시험

        김영수 ( Yeong Su Kim ),김준희 ( Junhee Kim ),우승민 ( Seungmin Woo ),두윰우예다니엘 ( Uyeh Daniel Dooyum ),김윤수 ( Yunsu Kim ),강석호 ( Seokho Kang ),하유신 ( Yushin Ha ) 한국농업기계학회 2019 한국농업기계학회 학술발표논문집 Vol.24 No.2

        토마토 시장에서 방울토마토의 반입량이 해마다 증가하면서 취식의 편의성으로 꼭지가 없는 방울토마토 소비가 증가하고 있다. 또한 보관 시 꼭지로 인해 저장성이 저하되는 연구가 보고되어 저장성 저하 문제와 꼭지 제거의 불편함을 해소하기 위하여 방울토마토 자동 꼭지제거기의 개발이 이루어져야 한다. 방울토마토는 품종에 따라 물성이 다양하여 각 품종에 알맞은 성능선정이 요구된다. 꼭지 제거장치의 필요성능을 선정하기 위해 인장압축기를 이용하여 봄철과 여름철 방울토마토의 꼭지제거응력 및 방울토마토 과피의 항복점을 측정하였다. 또한 장치적용시험을 위하여 다구찌 기법을 사용하여 실험을 설계하였고, 내란으로는 각 장치 요인, 외란으로는 방울토마토의 규격으로 방울토마토의 꼭지 제거율과 손상율에 대한 특성을 분석하였다. 실험은 원형방울토마토와 대추방울토마토를 이용하였으며, 컨베이어 이송속도, 브러시 길이, 브러시 간극, 브러시 지름 4가지 요인에 대하여 3수준으로 진행하였다. 봄철과 여름철 방울토마토의 평균적인 응력에는 큰 차이를 보이지 않았으나 방울토마토 품종별 응력은 원형의 경우 꼭지제거응력이 평균 9.07N, 과피의 항복점이 11.7N이고, 대추형의 경우 꼭지제거응력 3.91N, 과피의 항복점 17.85N으로 차이가 크게 나타났다. 꼭지제거장치의 요인시험에 대한 망목특성 결과 원형방울토마토의 제거율 및 손상율 모두 브러시 지름에 가장 큰 반응을 보였다. 하지만 제거율과 손상율의 상반되는 효과로 인해 성능선정에 제약이 따른다. 대추방울토마토의 경우 제거율 및 손상율 모두 브러시 간극에 가장 큰 반응을 보였으며, 브러시 간극이 20mm일로 가장 작을 때 제거율이 상승하고, 손상율은 감소하는 효과를 보였다. 꼭지제거장치의 요인시험에 대한 망목특성 결과 계속해서 증가하거나 감소하는 요인은 없었다. 본 연구에서는 방울토마토의 꼭지 제거를 위한 응력을 알 수 있었으며, 방울토마토의 항복점을 초과하지 않은 범위에서 꼭지제거기의 개발이 요구된다. 또한 꼭지제거에 있어서 방울토마토의 품종 및 물성에 따라 꼭지 제거장치의 가변 가능한 장치의 개발과 메뉴얼 작성이 요구된다.

      • 방울토마토 꼭지제거 요인시험

        김영수 ( Yeong Su Kim ),김준희 ( Junhee Kim ),우승민 ( Seungmin Woo ),두윰우예다니엘 ( Uyeh Daniel Dooyum ),하유신 ( Yushin Ha ) 한국농업기계학회 2019 한국농업기계학회 학술발표논문집 Vol.24 No.1

        방울토마토는 2016년 기준 재배면적은 18,362 ha이며, 생산량은 114,977ton을 보인다. 연평균 도매가격이 17,105원/5kg으로 선호하는 과일 5위에 달한다. 이러한 방울토마토는 꼭지가 부착된 상태여야 신선도가 높은 것으로 인정되어 높은 가격을 받을 수 있다. 하지만 보관 시 꼭지로 인해 저장성이 저하되는 연구가 보고된바 있으며, 취식전에 꼭지를 제거해야 하는 불편함이 있다. 이러한 저장성 저하 문제와 꼭지 제거의 불편함을 해소하기 위하여 방울토마토 자동 꼭지제거기의 개발이 이루어져야 하며, 기계의 성능선정을 위해 꼭지 제거에 소요되는 응력과 방울토마토가 다치지 않고 허용할 수 있는 최대 응력측정이 요구된다. 방울토마토의 꼭지제거 및 허용응력을 측정하기 위하여 장치구성은 인장압축기(LTCM-100, Ametek, USA)와 바이스 및 프로브를 이용하여 실험하였다. 실험은 꼭지를 제거하는 인장시험 및 방울토마토 허용응력측정을 위한 압축시험을 진행하였다. 꼭지를 제거하는 실험은 인장시험을 통해 35 mm/min의 속도에서 실험하였으며, 방울토마토의 꼭지를 고정한 상태에서 방울토마토를 인장하여 이탈되기 전까지의 응력을 측정하였다. 3회 반복실험한 결과 Tension Peak는 평균 3.9 N, Maximum Load는 평균 3.18 N이며, 꼭지가 완전히 떨어져 나간 실험소요시간은 평균 40.8 s, Average Load는 평균 1.27 N이다. 방울토마토 허용응력실험은 압축시험을 통해 35 mm/min의 속도에서 실험하였으며, 방울토마토를 금속원판 위에 올려놓은 상태에서 방울토마토를 압축하여 표피가 터질 때까지의 응력을 측정하였다. 3회 반복실험한 결과 Tension Peak는 평균 18.9 N, Maximum Load는 평균 17.9N이며, 표피가 압축하는 힘을 견디지 못하고 터질 때까지의 실험소요시간은 평균 30.8 s, Average Load는 평균 9.5 N이다. 실험 경과 시간의 경우 방울토마토의 꼭지를 제거할 때의 경과 시간이 10 s 더 길었으며, Tension Peak, Maximum Load, Average Load의 경우 방울토마토의 표피가 다치지 않고 허용하는 응력이 더 크게 나타났다. 본 연구에서는 방울토마토의 꼭지 제거를 위한 응력을 알 수 있었으며, 방울토마토의 허용응력을 초과하지 않은 범위에서 꼭지제거기의 개발이 요구된다.

      • 송이를 이용한 방울토마토 養液裁培時 生育 및 養液과 植物體 主要成分 含量의 推移에 關하여

        玄海男,吳大民,張田益 濟州大學校 亞熱帶農業硏究所 1995 亞熱帶農業硏究 Vol.12 No.-

        養液栽培에서 제주송이가 다른 培地와 비교하여 방울토마토의 生育에 미치는 영향과 養液成分 變化와 토마토 식물체내의 주요성분을 분석하여 제주송이를 養液栽培用 固形培地로 실용화하기 위하여 시험할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乾葉比, 乾果比, 糖酸比는 송이 區中 1日 1回 1時間 湛液後 완전 排水한 區에서 높았다. 2. 방울토마토 生果重은 上位 花房으로 갈수록 rock wool區와 湛液水耕區는 작아졌으나, 송이區와 日向土區, perlite區등 固形培地耕에서는 무거웠다. 3. 방울토마토의 生育이 旺盛한 시기에 養液成分중 多量元素를 분석한 결과는 송이 培地區에서 燐酸과 칼슘 濃度가 낮았다. 4. 방울토마토의 수량과 당도는 rock wool과 日向土區에서 높은 경향을 보였다. 5. 일반적으로 養液栽培에서는 水分의 蒸發과 植物의 수분 吸收 蒸散作用으로 肥料鹽의 濃度가 높아가는데 송이區도 다른 固形培地耕과 비슷한 결과를 보였다. 6. 방울토마토 植物體의 窒素含量은 生育 전반기에 많았고 후반기에 적은 경향을 보인 반면 칼슘과 마그네슘은 生育 후반기에 그 含量이 많았다. 한편 燐酸과 칼슘은 전 生育其間을 통하여 변화를 보이지 않았다. 7. 濟州 송이 養液栽培用 固形培地로 손쉽게 이용할 수 있는 가벼운 資材로 加工開發 硏究가 있어야 할 것으로 본다. The main purpose of these studies were to clarify difference in Cheju-scoria and other solid media on growth and development of cherry tomatoes and on shift of component of the nutrient solution, seasonal change of content in tomato plant and to use practically Cheju-scoria as an excellent solid culture medium. The results obtained were summarized as follows; 1. Among scoria plots, the rares of dry weight, fruits and their sugar-acid ratio were higher in the plot was drained well with deep flow for one hour once a day. 2. Fresh fruits weights were lighter in rock wood and deep flow technique, but larger in scoria, Hyugashi (artificial gravel, Φ10∼12mm) and perlite in moving to higher flower cluster. 3. The results of analysis on macroelement among solution components showed decrease of concentrations of P and K in the period of growth and development. 4. Yeilds and brix of cherry tomato showed a tendency to increase in rock wool and Hyugashi than anothers. 5. The concentration of fertilizer base was increased in general solution culture. Transpiration and absorption were similar in Scoria plot and other media. 6. Nitrogen content in cherry tomato leaf showed a tendency to decrease at the latter half of the growth and development than the first half, and yet calcium and magnensium content were in the latter half. In the case of phosphorus and potassium showed no change the change in the growing period. 7. More studies of the Cheju-scoria development is required in order to use it as a soild medium for solution culture.

      • KCI등재

        시설방울토마토에서 호박벌(Bombus ignitus)의 방화활동 및 과도한 방화가 토마토에 미치는 영향

        이상범,배태웅,김삼은,윤형주,이명렬,채영,Lee, Sang-Bum,Bae, Tae-Woong,Kim, Sam-Eun,Yoon, Hyung-Ju,Lee, Myung-Ryul,Chae, Young 한국응용곤충학회 2003 한국응용곤충학회지 Vol.42 No.4

        This study examined the foraging activities and the Influence of excessive foraging activity by B. ignitus workers on the quality of cherry-tomato fruits in cherry-tomato green-house. The peak time of pollination by B. ignitus worker was recorded at 8:00 and the average of foraging time on each flower was 11.7 secs. The total pollinating time of B. ignitus was 41 mins and 37 secs and its total number of visiting flowers was 195.2. The average time of staying on flowers was 8.8 ${\pm}$5.4 secs when two bumblebees were allowed to pollinate per Pyong (3.954 square yards) in the green house of tomatoes for 24 hours, but it was two times shorter (4.0${\pm}$3.1 secs) compared with that when one bumble-bee was allowed to pollinate per Pyong for one hour. The stamen color of tomato flowers visited by the bumblebee for one hour was brown while the stamen color for 24 hours was dark brown due to the frequent visiting. The average fruit bearing rate of the 4th-6th clusters of tomatoes visited for one hour was 48.9%, which was not significantly different from those allowed to visite for 24 hours. However, the number of seeds of flowers visited for 24 hours was 64.0, which was more than 55.3 seeds of flowers visited for one hour. The weight of fruit was 25.4 g and 24.4 g, respectively. The sweetness was not different significantly between one and 24 hours of visit (P > 0.05). The result revealed that end pro-duct of cherry-tomato was not influenced by over foraging activity of B. ignitus workers on tomato flowers. 방울토마토에서 호박벌의 방화활동과 과도한 방화가 토마토 생산물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한 결과 호박벌의 최대 방화활동시각은 08:00였으며, 한 개의 꽃을 방문하기 위하여 걸리는 시간은 평균 11.7초였다. 일벌의 1회 외역활동시 총 방화시간은 평균 41분 37초였으며 평균 195.2개의 꽃을 방문하였다. 평당 2마리의 일벌이 활동한 24시간 소문개방구에서 꽃에 체류하는 시간은 8.8$\pm$5.4초로, 평당 1마리 호박벌이 활동한 1시간 소문개방구에서 체류한 4.0$\pm$3.1초에 비해 두 배 이상 길었다. 1시간 소문개방구의 토마토 수술의 색깔은 대부분 갈색인 반면, 24시간 소문개방구는 잦은 방화에 의해 흑갈색으로 변하였다. 1시간 소문개방구의 토마토 4-6화방의 평균 착과율은 48.9%로서 24시간 소문개방구의 착과율 43.3%와 유의한 차이는 없었으나, 과실내 종자 수는 24시간 소문개방구가 64.0개로 1시간 개방구 55.3개에 비해 많았다. 1시간 소문개방구와 24시간 소문개방구간의 과중은 각각 25.4g과 24.4g,과실의 당도는 모두 5.1%로 차이가 인정되지 않았다(P>0.05). 이상의 결과로 볼 때 방울토마토의 경우 호박벌 일벌의 과도한 방화활동으로 인하여 생산물에 미치는 영향은 없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 KCI등재

        순환식 수경재배에 적합한 방울토마토 ‘꼬꼬’ 배양액 개발

        유성오(Sung Oh Yu),최기영(Ki Young Choi),전경수(Kyung Soo Jeon),배종향(Jong Hyang Bae) (사)한국생물환경조절학회 2006 시설원예‧식물공장 Vol.15 No.1

        방울토마토 ‘꼬꼬’의 순환식 고형배지경 시스템에서 생육단계별 직불의 양수분 흡수 패턴을 밝히고 최적 배양액을 개발하고자 일본야채시험장 표준액(NO₃­N 16.0, NH₄-N 1.3, PO₄-P 4.0, K 8.0, Ca 8.0, Mg 4.0meㆍL­¹을 1/2배, 1배, 때의 3수준 농도로 조성하여 설험을 하였다. 생육전기와 후기 모두 생육이 높고, 근권내 pH, EC의 변화도 적은 1/2배액의 양수분흡수율을 기준으로 새로운 배양액 조성으로 생육 초기는 NO₃­N, PO₄-P, K, Ca, Mg 농도가 각각 6.8, 2.7, 3.2, 3.6, 1.1meㆍL­¹, 생육 후기는 각각 7.3, 2.2, 3.7, 3.6, 1.1meㆍL­¹인 새로운 배양액을 개발하였다. 개발 배양액의 적합성 검정을 위하여 네델란드 온실 작물연구소의 순환식 PTG 배양액으로 비교 실험을 하였다. 방울토마토의 생육 초기는 PTG와 WU 2배액에서, 생육후기는 PTG 1배액, WU 1배액과 2배액에서 생육이 높았다. WU 2배액은 수량이 가장 높고 근권의 pH와 EC도 안정적인 분포를 보였다. 이상의 결과로 고온기 방울토마토 ‘꼬꼬’의 순환식 수경재배시 개발 배양액 WU 2배액의 EC 1.6-2.0 dSㆍm­¹범위로 관리함으로써 기존 PTG 배양액에 비해 비료의 절감과 함께 안정적인 생육 및 수량을 유지할 수 있다. The experiment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nutrition absorption pattern in the growth stage and develope the optimal nutrient solution hydroponically grown the cherry tomato ‘Koko’ in closed substrate culture system with the nutrient solution of National Horticultural Research Station in Japan into 1/2S, 1S, and 2S. When plant was grown in 1/2S, the growth and yield were high and the pH and EC in the root zone were stable. Suitable composition of nutrient solution for cherry tomato was NO₃-N 6.8, PO₄-P 2.7, K 3.2, Ca 3.6 and Mg 1.1 meㆍL­¹ in the early growth stage, NO₃-N 7.3, PO₄-P 2.2, K 3.7, Ca 3.6 and Mg 1.1 meㆍL­¹ in the late growth stage by calculating a rate of nutrient and water uptake. To estimate the suitability for the nutrient solution in a development of cherry tomato developed by Wongkwang university in Korea (WU), plant was grown in perlite substrate supplied with different solution and strengths(S) by research station for greenhouse vegetable and floriculture in the Netherlands (Proefstation voor tuinbouw onder glas th Mssldwijk; PTG) of 1/2S, 1S, and 2S, respectively. The growth was good at the PTG and WU 2S in the early stage and the PTG of 1S and WU of 1S and 2S in the late stage. The highest yield of cherry tomato obtained in the WU of 2S. pH and EC in root zone of WU of 2S were stable during the early and late growth stage. Therefore when cherry tomato plant was grown in WU of 2S of EC 1.6-2.0 dSㆍm­¹ in the nutrient solution, not only stable growth and yield but also fertilizer reduction can be obtained than that of PTG.

      • KCI등재

        근적외선 확산-투과 분광법을 이용한 방울토마토의 비파괴적 당도 분석

        이용훈,장산하,한송희 한국물리학회 2015 New Physics: Sae Mulli Vol.65 No.5

        We have investigated the feasibility of using near-infrared diffuse transmittance spectroscopy for a nondestructive sugar-content analysis of cherry tomatoes. The diffuse transmittance spectra of cherry tomatoes were recorded in the wavelength region between 900 and 1700 nm. The observed intensities of the transmitted light were normalized with respect to the intensity transmitted at 1069.7 nm. This data processing was found to be effective in improving the measurement precision by compensating for the scattering loss due to the peel, seeds, and fibers of the cherry tomatoes. The intensity of the transmitted light was found to be most sensitive to the sugar content in the cherry tomatoes at wavelengths around 1126.5 nm. The intensity of the transmitted light tended to increase with increasing sugar content in the cherry tomatoes. This is mainly due to the replacement of water with sugar molecules, for which the molar absorption coefficient is lower than that of water. Using the partial least squares regression (PLSR) model, we could obtain a reliable spectral-intensity-to-sugar-content calibration with an accuracy of 0.089˚Bx. 본 논문에서는 근적외선 확산-투과 분광법을 이용한 방울토마토의 비파괴적 당도 분석 가능성에 대해서 보고한다. 900 ~ 1700 nm의 근적외선 파장 영역에서 방울토마토의 확산-투과 스펙트럼을 측정하였다. 이 파장 영역에서 측정된 투과광 세기 값들은 파장 1069.7 nm에서의 투과광 세기 값을 이용하여 정규화하였다. 이 데이터 전처리 방법은 껍질, 씨앗, 섬유질 등 과일에 포함되어 있는 덩어리 물질의 광 산란에 의한 투과광 세기 감소 효과를 보정하여 분석의 정밀도를 크게 향상시킨다. 방울토마토의 당도 변화에 대한 투과광 세기 변화는 1126.5 nm 부근에서 최대가 된다. 방울토마토의 당도가 증가함에 따라 투과광 세기가 증가하는 것이 관찰되는데, 이것은 당도가 높아질수록 물 분자들이 물 분자보다 작은 몰흡광계수를 갖는 당 분자들로 교체되는 효과 때문이다. 방울토마토의 근적외선 투과 스펙트럼에 대해 PLS (partial least squares) 회귀모델을 적용하여 0.089˚Bx 수준의 정확도를 갖는 당도 분석이 가능함을 알 수 있었다.

      • KCI등재

        국내산 방울토마토의 생리활성 효과

        최석현(Suk-Hyun Choi) 한국콘텐츠학회 2022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Vol.22 No.3

        본 연구에서는 국내산 방울토마토의 폴리페놀 및 플리보노이드 함량, 항산화 활성 및 암세포 억제 활성을 알아보았다. Summerking, Qutiquti 및 Minichal 품종의 총 폴리페놀 함량은 각각 12.56±1.88 ㎎/g, 12.50±1.92 ㎎/g 및 11.65±1.85 ㎎/g, 총 플라보이드 함량은 각각 4.58±1.03 ㎎/g, 4.19±0.40 ㎎/g 및 4.30±0.49 ㎎/g이었다. DPPH 및 ABTS radical 소거활성 측정을 통한 항산화 활성 측정 결과 모두 뚜렷한 항산화활성을 나타내었다. 암세포 억제 활성을 알아본 결과 세가지 품종 모두 정상 간세포(Chang)에 대한 세포독성은 관찰되지 않았고 자궁경부암세포(HeLa)에 대해서는 강한 억제 활성을 보였다. 간암세포(HepG2)에 대해서도 생육억제 효과가 확인되었다. 본 연구를 통해 국내산 방울토마토의 생리활성 식품소재로서의 유용성이 밝혀졌다.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elucidate bioacive effects of three domestic cherry tomato cultivars. Total polyphenol and flavonoid of Summerking, Qutiquti, and Minichal cultivar were 12.56±1.88, 12.50±1.92, 11.65±1.85 ㎎/g and 4.58±1.03, 4.19±0.40, 4.30±0.49 ㎎/g(dry weight) respectively. Domestic cherry tomatoes showed antioxidative activity(DPPH and ABTS radical scavenging activities). All of the cherry tomatoes had no cytotoxicity for normal liver cell, but showed strong inhibitory effect against cervical cancer cell(HeLa) growth. These results revealed that domestic cherry tomatoes can be used as a bioactive food material.

      • 방울토마토 수경재배시 이온선택성 전극을 활용한 양액 내 개별 이온 검출

        김주신 ( Jooshin Kim ),김학진 ( Hak-jin Kim ),조우재 ( Woo-jae Cho ),이윤홍 ( Yoon-hong Yi ),김용현 ( Yong-hyun Yi ) 한국농업기계학회 2021 한국농업기계학회 학술발표논문집 Vol.26 No.1

        순환식 수경재배 시 양액 내 NO3-, K+, Ca2+과 같은 주 이온의 불균형과 Na+와 같은 유해 물질의 축적은 식물 생육 장애와 질병을 유발하여 생산량 및 품질 저하로 이어진다. 따라서 양액 내 주요 이온들의 농도를 실시간으로 확인하고 유해 물질을 검출하는 것은 식물재배에 있어 중요한 요소이다. 하지만 현재 시중에 판매되고 있는 양액 제어 장치는 양액 내 이온 성분들을 개별적으로 측정하지 못하고 전체 이온들의 총합을 측정하여 전기전도도(EC) 값으로 나타낸다. 산출된 EC 값을 토대로 시비량이 결정되고 농업용수와 혼합하여 양액을 제조하는데 이때 부족 성분과 과잉성분을 구별하지 못하여 양액 내 이온 불균형이 발생한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연구에서는 이온 선택성 전극(ISE)과 라즈베리파이 3B 모델을 사용하여 개별 이온 농도를 실시간으로 검출하는 시스템을 개발하였다. 1-2W형 비닐하우스에서 방울토마토 모종을 암면 배지에 정식하고 점적 관수 방식으로 Hoagland 양액을 공급하며 NO3-, K+, Ca2+, Na+ 이온 농도를 확인하는 요인실험을 진행하였다. 이온선택성 전극의 계측 값들은 ADC 변환을 거쳐 라즈베리파이에 입력되었고 2점 정규화를 통해 신호 표류 현상을 보상한 후 이온별 현재 농도를 산출하는 데 사용되었다. 그 후 Node-RED 프로그램을 사용해 사용자가 인터넷에서 검출 값을 실시간으로 확인하고, 각 이온 농도가 임계 값을 넘으면 사용자에게 경고 알람을 보내는 시스템을 개발하였다. 개발된 시스템의 이온 농도 검출성능은 15% 이내의 오차를 나타내어 실제 방울토마토 재배에서도 주 이온 성분의 농도 검출에 적용 가능함을 나타내었다. 하지만, 이번 연구에서는 개별 이온 농도 관리를 위한 자동 염 보충은 고려하지 않았기 때문에 추후 연구에서 이를 개선하는 것이 필요하다.

      • KCI등재

        방울토마토 시설재배에서 비벡터링(bee-vectoring) 기술을 이용한 Bacillus Subtilis 포장내 전파

        박홍현,김정준,김광호,이상계,Park, Hong-Hyun,Kim, Jeong Jun,Kim, Kwang-Ho,Lee, Sang-Guei 한국응용곤충학회 2013 한국응용곤충학회지 Vol.52 No.4

        비벡터링은 벌이 수정활동을 하는 동안에 이들로 하여금 병해충 방제용 미생물 제제를 식물체에 전달하게 하여 생력적으로 병해충 발생을 억제시킬 수 있게 하는 새로운 작물보호 기술이다. 국립농업과학원 시험포장과 농가포장의 방울토마토 시설하우스에서 화분매개충인 뒤영벌(Bombus terrestris), 미생물제제인 바실러스 서브틸리스(Bacillus subtilis), 그리고 자체 제작한 분배장치를 이용하여 비벡터링 시험을 수행하였고, 식물체에 전파된 미생물제제의 양과 비율을 측정하였다. 분배장치를 통과한 벌 충체에는 $9.0{\times}10^5{\sim}1.9{\times}10^6$의 세균이 검출되었다. 농과원 시험포장 방울토마토 꽃에서 측정된 세균수는 꽃당 2,600-8,600개 였으며, 80-100%의 꽃에서 검출되었다. 미생물제제를 주 1회와 주 2회 교체한 경우 처리간에는 유의한 차이가 발견되지 않았다. 농가포장에서는 꽃당 1,800-2,400개를 83-93%의 꽃에서 검출할 수 있었고, 비벡터링시험전에 비해 세균수가 75배 증가되었다. 비벡터링 시험에 따른 벌 사망률은 22% 정도로 무처리구와 차이는 없었고, 따라서 미생물제제가 뒤영벌에 대한 부작용은 거의 없는 것으로 판단되었다. 비벡터링 기술 적용에 따른 방울토마토의 수확량은 무처리구와 비교해서 차이가 없었다. 앞으로 뒤영벌에 안전하면서 병해충에 대한 방제효과가 좋은 미생물 제제들을 선발하고, 병해충 발생에 따라 이 기술의 운용 전략 등을 세심하게 가다듬으면 화분매개곤충을 이용하는 토마토, 딸기 재배에서 이 기술의 실용화는 매우 가까이에 왔다고 볼 수 있다. Bee-vectoring is a new crop protection technology used for suppressing insect pests and diseases in crops by disseminating microbial agents into plants during bee pollination activities. In this study, we conducted bee-vectoring trials in cherry tomato greenhouses by using the bumble bee (Bombus terrestris), a microbial agent (Bacillus subtilis) and a new dispenser, and we measured the delivered quantity of microbial agent. Bacterial colony forming units (CFUs) in bees exiting a dispenser ranged from $9.0{\times}10^5$ to $1.9{\times}10^6$ per bee. At greenhouse trials in the National Academy of Agricultural Science (NAAS) trials, 3,300 - 8,500 CFUs per flower were counted and 80 - 100% of the flower samples contained detectable concentrations.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CFU density between microbial replacement intervals (once a week vs twice a week) in the NAAS trials. In a commercial greenhouse trial, 1,800 - 2,400 CFUs per flower were found, and 83 - 93% of the flower samples contained detectable concentrations. CFUs detected in bee-vectored flowers increased by approximately 75 times before bee-vectoring. The mortality of bumble bees in the NAAS trials was, on average, 22% and little negative effects were observed on the bumble bee colonies. The yield difference for cherry tomatoes in the NAAS trials was not significant between treatments. When we select additional microbial agents that can be disseminated using this technology and create a detailed plan based on insect pests and disease incidence, we can apply this technology in greenhouses for growing tomatoes and strawberries in the near future.

      • 방울토마토 꼭지제거장치의 개발

        박재경 ( Jae-kyung Park ),박지혜 ( Ji-hye Park ),진봉구 ( Bong-gu Jin ) 한국농업기계학회 2021 한국농업기계학회 학술발표논문집 Vol.26 No.2

        방울토마토의 꼭지제거를 위하여 회전브러쉬와 타공성형 원통형케이스, 자동/반자동 방울 토마토 공급부로 구성되는 고성능의 생력적 방울토마토 꼭지제거기를 개발하였다. 품종별 응력은 원형의 경우 꼭지제거응력이 평균 9.07N, 과피 항복점 11.7N, 대추형 꼭지제거응력 3.91N, 과피 항복점 17.85N으로 서로 다른 제거 응력이 필요한 것으로 분석되었다. 폴리에틸렌의 경우 높은 강성으로 브러쉬형태로 제작이 가능하였으며, 길이 및 지름의 조절로 꼭지제거에 필요한 성능 조절이 쉬운 것으로 판단되었다. 제거율의 망대 특성을 분석한 결과 브러쉬 지름의 효과가 가장 크다고 판단하였으며, 손 상률의 망소 특성을 분석한 결과 이송 컨베이어 속도의 효과가 가장 큰 것으로 판단되었다. 회전 브러쉬방식은 회전체에 절단면이 고르게 제작된 폴리에틸렌 브러쉬가 가장 성능과 경제적인 면에서 유리하였다. 장치 내벽의 꼭지제거를 위해서는 고리형 폴리에틸렌 브러쉬가 가장 바람직하였다. 손상율의 경우 브러쉬 지름이 1.2일 때 모두 발생했으며, 브러쉬 지름 1.0 이하에서 회전 속도 장치각도 및 브러쉬 수 증가로 제거율이 높아지고 손상율은 감소하였다. 꼭지제거기의 작업성능은 반자동식이 제거능률 302.6kg/h, 제거율 98%, 손상율 0.69%, 자동식이 제거능률 627.5kg/h, 제거율 97.0%, 손상율 3.11%로 개발되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