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라캉의 ‘Coming’의 바로크와 사유의 변곡점

        정재식(Jaesik Chung) 한국비평이론학회 2019 비평과이론 Vol.24 No.1

        17세기 기독교 예술(더 정확히 말하면 카톨릭 반종교개혁 예술)의 정수인 바로크 계보에 속하는 사상가로 자신을 자리매김 하는 라캉은 예수 그리스도의 성스러운 신체와 수난의 이야기가 발산하는 무한과 조우에서 체험하게 되는 근대 주체의 희열에 기반을 둔 바로크 담론을 구축한다. 재현불가능한 타자의 흔적과 그것을 표현하는 과정에서 체험하는 쾌락 원칙을 넘어서는 과잉의 희열을 ‘고양된 외설’(the exalted obscenity)이라 이름붙이는 라캉은 빛과 어둠의 극적 대조, 선(line)과 형상(figure)의 창조적 뒤틀림으로 만들어내는 환영(illusion)을 통해서 고양된 외설성의 깊이와 창조성을 최고로 구현한 실재(the Real)의 예술로 바로크를 정의한다. 고양된 외설성에 관한 위대한 예술이라는 점에서 ‘coming’의 바로크라 이름붙일 수 있는 라캉의 바로크는 근대 이성에 기반을 둔 언어를 사용하는 주체, 즉 ‘말하는 주체’(speaking being)가 예수 그리스도의 신체에 발산되는 신성함과 조우하면서 경험하게 되는 신비적 희열, 더 나아가 그 희열을 다시 자기의 언어로 표현하는 과정에서 체험하게 되는 엑스터시(ecstasy)를 실재(the Real)의 차원에서 형상화한 예술이라고 할 수 있다. 이러한 라캉의 바로크는 기독교적 희열의 정서의 핵심을 정확히 이어받으면서도 대타자의 결핍을 도입하여 남성적 희열과는 다른 양태, 즉 전부-아님의 여성적 희열을 바로크의 최종적 핵심으로 제시한다. 현상계를 초월한 피안의 온전한 실체를 상정하지 않는다는 점에서 기독교적 바로크와 커다란 차이를 보이지만, 들뢰즈와 비교할 때 라캉의 바로크는 기독교적 바로크(특히 카톨릭적 바로크)의 전통 안에서 그 전통의 사유와 감각 그리고 이미지를 충실히 따라가면서 그 내부의 균열을 통해 초월하는 방식을 택한다. 이처럼 온전한 실체로서의 신을 상정한 기독교적 바로크 내부의 결핍을 드러내면서 탈-신학화한 비-전체로서의 정신분석학적 바로크를 제시하는 라캉의 작업은 바로크 담론 연구에서 필수적이라 할 수 있는 기독교적 바로크와 들뢰즈 바로크 사이의 커다란 이론적 간극을 메우는 데 중요한 역할 을 수행할 수 있다. By locating himself in the discourse of the baroque, Lacan dramatizes and highlights the diverse modes of jouissance of the modern subject who encounters the infinity of the sacred body of the Jesus Christ in the discourse. Lacan, who designates exalted obscenity to be the enjoyment of the excess arising from the process of expressing the unrepresentable trace of the Other, defines the baroque as the art of the Real. For him, the baroque embodies the fascinating creativity of exalted obscenity as the mode of the Real with the techniques of the anamorphosis and the chiaroscuro. This paper terms Lacanian baroque to be “the baroque of coming” in the sense that it is the magnificent art that expresses exalted obscenity through the mode of the Real and jouissance. This baroque can be called as the art of the ecstasy in which the speaking being—the subject of modern reason and language—embodies the mystic jouissance that occurred from its encounter with the sacred, emanating from the sacred body of the Jesus Christ on the level of the Real and the unconscious. In the baroque, Lacan suggests the new mode of Not-All feminine jouissance as the core of the baroque of coming, cementing the lack of the Other into the core of Christian ecstasy. Likewise, Lacan differentiates his notion of baroque from the traditional Christian baroque without positing the absolute transcendent substance beyond the phenomenal world. Although he provides a substantial reading of the Christian core of the baroque, Lacan’s project in the baroque ultimately attempts to create the de-theological and psychoanalytic baroque of Not-All by incorporating the lack in the heart of the Christian baroque. In this sense, this baroque of coming can take a crucial step toward bridging the large theoretical gap between the traditional Christian baroque and the Deleuzian baroque that fundamentally deviates from the Christian logic of the baroque.

      • KCI등재

        바로크 시대의 프랑스 남성 헤어양식의 기호학적 해석

        남미우(Nam, Mi Woo) 한국전시산업융합연구원 2016 한국과학예술융합학회 Vol.26 No.-

        본 연구는 첫째, 프랑스 바로크시대의 사회문화적 배경과 건축․회화 양식을 기호학적 분석 방법을 통하여 내재된 미의식을 조사하고 둘째, 프랑스 바로크시대 인물화에 표현된 남성의 헤어양식을 기호학적으로 분석함으로써 헤어양식이 동시대의 미의식을 반영하는 것을 규명하고 프랑스 남성의 헤어양식의 변화에 내재된 의미를 이해하고 향후 미의식에 적합한 남성 헤어양식의 조형적 디자인 발상에 기초적인 자료로 활용하는데 도움을 주고자 하는 것이다. 연구 방법은 미용과 관련된 선행 연구 등을 이용하여 사회 문화, 정치 경제적 배경과 회화 및 건축양식에 관하여 이론적 고찰을 하고, 바로크시대의 인물화를 중심으로 남성 헤어양식의 형태적 특징과 변화를 바르트의 의미작용모델을 근거로 하여 기호학적으로 분석하였다. 본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바로크 초기에는 르네상스의 영향으로 짧은 머리를 유지하다 점차로 머리가 길어지면서 자연스러운 컬과 함께 늘임머리(love lock)가 등장하였다. 둘째, 바로크 중기에는 점차 가발이 일반화되기 시작하면서 남성의 헤어에 장식의 부분으로 가발이 등장하기 시작하였다. 셋째, 바로크 말기에는 가발은 비정상적으로 커져서 후기에는 역사상 가장 큰 가발을 사용하게 되었고 구불구불한 컬과 함께 앞머리는 균형감과 안정감을 나타내는 두 개의 높임 머리 장식을 가지게 되어 당시 유행하는 여성의 머리스타일을 쫓아가는 형태가 나타났다. 이는 정체성의 상실을 상징하며 거대하며 장식적인 가발은 자유로움, 이탈과 함께 불안정적인 바로크적인 역동감과 고전주의적인 웅장함으로 착용자의 지위와 신분을 과시하는 것으로 해석되며 당시 바로크 회화와 건축양식에서 나타나는 미의식이 반영되었음을 알 수있었다. 바로크의 자유로운 감성은 건축, 회화 그리고 남성들의 헤어양식에도 반영되어 고전주의와는 다른 자유롭고, 율동적이며, 장식적인 형태의 바로크 양식이 나타났다. 한편 프랑스는 프랑스의 독자적인 예술양식이 반영되어 바로크의 감성과 프랑스의 정통성이 반영된 우아함과 웅장함이 건축 뿐 만 아니라 남성들의 헤어 양식에도 반영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장식적이고 화려하며 자유로운 형태의 헤어양식에 웅장함까지 더해진 프랑스 남성의 헤어양식은 바로크 후기 유럽 전역에 영향을 미쳤고 바로크의 독특한 양식으로 남게 되었다. 따라서 헤어양식은 당대의 종교와 정치, 경제 사회적 요인 뿐 만아니라 예술양식 등의 영향을 받아 함께 변화되고 있음을 알 수 있어 헤어양식은 문화의 척도가 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understand the aesthetics value of male hair style expressed in figure paintings of French Baroque era. This research uses semiotic analysis as its main tool.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ing:First of all, in the early days of the Baroque, the Renaissance influences men to keep their hair short. However, as their hair gradually lengthen, the love-lock with natural curls starts to appear amongst men. Secondly, in the middle of the Baroque, wigs become much more commonly used; wigs become a big part of decoration in male hairstyles during this period. Thirdly, at the end of the Baroque, wigs become very large in its size, reaching their biggest size in the history during this era. With their twisty curls, the bangs get divided into two parts, with the two high-headed parts displaying balance and stability. The oversized and decorative wigs during this era not only represent the concept of classical styles, but also are used as a means to show off the status and identity of the wearer. The largest wig in Baroque era displays a style that expresses unstable dynamism, grandeur, freedom and departure. Baroque’s aesthetic values are well reflected in architecture, painting and the hairstyle of men; different from the values of classicism, the Baroque style expresses freedom and rhythm. However, unlike other Baroque styles, France has its own distinctive artistic style – it holds the beauty of Baroque’s aesthetic values, however, along with them, has its own French artistic style imbued into it. The sincereness of the French is well reflected in the hairstyles of men and architecture. The French males’ hairstyles, being more grandeur and decorative but also gorgeous and free-formed, remain very distinctive throughout the late Baroque era – art and architecture are also deemed as a unique form of French Baroque during this era. Therefore, it can be seen that hairstyles can be a useful measure of culture as they reflect changes in religious, political, economic, social and artistic values of their respective time period. Such conclusion leads to the idea that hairstyles can be used as key data in understanding the changes within socio-cultural environment.

      • KCI등재

        에두아르도 멘도사의 추리소설 5부작에 나타난 네오바로크 미학 연구: 오마르 칼라브레세의 이론을 중심으로

        김선이 고려대학교 스페인 라틴아메리카 연구소 2019 스페인라틴아메리카연구 Vol.12 No.2

        Baroque represents Spanish literature in the seventeenth century. It was the mainstream of European art at that time, and it was widely applied to different art forms, including architecture, music, costumes, and dance, in addition to literature. Baroque features are dynamic and exaggerated, characterized by disorder, grotesque and ambiguity. These are contrary to the features of the Renaissance, static, balance, order, solemnity, and humanity. The Baroque literature of Spain, which took place during the golden age, entered the twentieth century and leaded to the revival of Neobaroque, which was connected with the genealogy of the past with the 27 generations of Spain and the Modenismo movement of Latin America. However, Neobaroque aesthetics in Spain, with the avant-garde artist at the beginning of the 20th century, emerged briefly in the field of poetry. If so, doesn't Neobaroque fiction exist in Spain, a baroque dominant country? The protagonist of Mendoza's Anonymous Detective Series is an ugly and unnamed detective of low status. Mendoza´s novels have many elements of Baroque aesthetics such as distortion, transformation, excess, perversion, proliferation, repetition, instability, unclearness. As Calabrese mentioned, if the term encompassing the common forms of expression in modern culture is referred to as Neobaroque aesthetics, these series also have the potential to become a Neobaroque novel. Through this study I hope to broaden the horizon of Mendoza's research, which is mainly dealt with in the literary and sociological context. Moreover, Spanish novels have been underestimated as Neobaroque literature since the mid-twentieth century compared to Latin American novels. I also hope that this study will be an opportunity to reassess the value and status of Spanish novels as Neobaroque literature. 바로크는 17세기 스페인문학을 대표하며, 당시 유럽예술의 주류로서 문학 이외에도 건축, 음악, 의상, 춤 등 예술장르 전반에 걸쳐 광범위하게 적용되었던 문예사조이다. 바로크는 정적이며 균형, 질서, 엄숙함, 인간중심 등으로 요약되는 르네상스에 반하여 동적이고 과장되며, 무질서함, 그로테스크, 애매모호함 등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17세기 황금세기를 구가하던 스페인의 바로크 문학은 20세기에 접어들면서 스페인 ‘27세대’와 중남미의 모데르니스모 운동에 힘입어 과거의 계보를 잇는 네오바로크의 부활을 알렸다. 그러나 스페인의 네오바로크 미학은 20세기 초에 아방가르드 예술사조와 맞물려 시 분야를 중심으로 잠시 부각되었으나 20세기 중반부터는 주로 중남미 현대소설의 핵심적인 경향으로 간주되었다. 그렇다면 바로크의 종주국이었던 스페인에서는 네오바로크 소설이 존재하지 않는 것일까? 멘도사의 추리소설 5부작시리즈는 비천한 신분의 못생긴 이름 없는 탐정을 주인공으로 하며 왜곡, 변형, 과잉, 도착, 증식, 반복, 불안정함, 불분명함 등의 바로크 미학의 요소들을 많이 가지고 있다. 칼라브레세가 언급한 것처럼 현대문화에서 나타나는 공통적인 표현양식을 포괄하는 용어를 네오바로크미학으로 지칭한다면, 이 시리즈 또한 네오바로크 소설이 될 수 있는 충분한 가능성을 가지고 있다. 필자는 이 연구를 통해 지금까지 주로 문학・사회학적 맥락에서 다루어져 온 멘도사 연구의 지평을 확장하고, 더 나아가 이 연구가 20세기 중반 이후 중남미 소설에 비해 상대적으로 저평가된 네오바로크 문학으로써의 스페인 소설의 가치와 위상을 재평가할 수 있는 계기가 되기를 바래본다.

      • KCI등재

        Eco’s The Name of the Rose: The Relevance of the Neo-Baroque

        유현주 한국비교문학회 2010 比較文學 Vol.0 No.50

        바로크는 유럽의 르네상스와 로코코 사이에 놓이는 17세기 전반적인 예술경향을 지칭한다. 하지만 바로크를 단지 17세기라는 특정한 시기에만 국한되어 나타난 과거의 예술 경향, 예술 사조라고 보기는 힘들다. 오늘날의 건축, 미학, 사진 등의 예술 운동에서 엿볼 수 있듯, 우리는 17세기 고전 바로크의 예술적 형식이나 경향이 현재 ‘네오-’ 바로크라는 이름으로 새롭게 부활하고 있음을 목격하고 있기 때문이다. 17세기 고전 바로크와 네오 바로크는 모두 ‘근대성, 이성중심주의의 위기’를 경험한 시기로, 서로 유사한 사회적, 문화적, 기술적, 사상적 급변을 겪었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상호계열성’, ‘탈중심’, ‘스펙터클’, ‘리듬’, ‘반복’, ‘상호텍스트성’, ‘카오스’, ‘파편’, ‘도치’, ‘은유’, ‘열린 구조’, ‘미궁’ 등이 바로 17세기 바로크와 네오바로크가 안정되고 균형 잡힌 고전적 형식을 거부하면서 공통적으로 강조하는 것들이라 볼 수 있다. 움베르토 에코의 『장미의 이름』을 네오 바로크소설이라고 불러야 하는 이유는 에코의 소설이 위와 같은 (네오-) 예술적 성향이나 형식적 특징들, 즉 ‘상호계열성’, ‘탈중심주의’, ‘상호텍스트성’, ‘도치’, ‘은유’, ‘열린 구조’, ‘미궁’, ‘독자의 능동성’을 잘 보여주고 있기 때문이다. 무엇보다, 에코의 소설은 언제나 상황과 문맥에 따라 새로운 체계화를 허용하는 백과사전식 기호체계, 기호들끼리의 무한한 상호작용과 상호계열성, 끊임없이 연기되고 미끄러지는 의미화 과정 등의(네오-)바로크 시대의 언어적 특징을 잘 드러내고 있다. 뿐만 아니라, 에코의 열린 기호작용은 진리의 상대성, 해석의 무한성으로 연결되어 결국 그의 작품을 읽는 독자들의 능동적인 개입을 요구할 수밖에 없는데, 이러한 면 역시 에코의 소설이 (네오-)바로크 사상과 밀접한 관련이 있음을 보여준다. 열린 구조와 탈중심적 다양성을 중시하는 (네오-)바로크 예술, 문학 작품에서도 독자나 관객의 능동적이고 적극적인 해석 행위가 강조되고 있기 때문이다. 마지막으로, (네오-) 바로크의 또 다른 특징으로는 로고스 중심에서 기인하는 안정된 형식보다는 불안정성, 역동성, 우연성을 지향한다는 것이다.『장미의 이름』안에 기존 지배질서를 위협하는 무질서, 혼돈, 불안정성, 애매모호한 기호들, 그로테스크한 이미지들은 이러한 (네오-)바로크의 특징을 드러내주고 있는 요소들이다. 에코의 『장미의 이름』을 포스트모더니즘이 아닌 (네오-)바로크의 사상과 연관하여 독해하는 작업은 단지 고전 바로크 시대와 사상에 대한 이해의 폭을 넓히기 위함이 아니다. 이는 오히려, 고전 바로크의 예술 형식과 사상이 새로운 모습으로 부활하고 있는 오늘날의 네오 바로크 시대를 새로운 시각에서 고찰해 볼 수 있는 기회를 준다는 데에 더욱 의의가 있을 것이다.

      • KCI등재

        바로크 시대극에 나타난 영화의상의 조형적 특징

        김주애(Kim, Ju Ae) 한국디자인문화학회 2017 한국디자인문화학회지 Vol.23 No.4

        인체를 강조한 근세 의상에 대한 복식 연구는 주로 16세기와 18세기에만 치중되어, 17세기 복식 연구는 미미하다. 17세기의 바로크시대는 청교도혁명과 계몽주의 등 사회 · 문화적 환경의 영향으로 이전의 르네상스시대와는 의상형태가 확연히 달라지고, 특히 한세기 내에서도 복식의 변화가 현저하여 복식연구에 있어 어느 시기보다도 중요하다. 그러므로 본 연구에서는 바로크시대를 3시기로 구분하여, 그 시대의 복식을 가장 잘 표현할 수 있는 시대극 중 각 시기별 복식을 분석함으로써, 사회 · 문화적 환경이 복식에 끼친 영향과 바로크시대 각 시기별 남녀 복식의 특징을 고찰하였다. 연구방법은 선행연구, 문헌을 통한 이론적 내용을 바탕으로, 바로크시대를 배경으로 한 영상매체중에서 바로크시대 복식 특성이 잘 표현된 영상매체를 선정하여 DVD 플레이어를 통해 시각적 분석을 하였다. 바로크시대 복식의 특징 분석에 적합한 영화〈사총사〉 27개, 〈삼총사 3D〉 25개, 〈레스터레이션〉 25개, 〈아이언 마스크〉 21개, 〈왕의 춤〉 25개, 〈영국식 정원의 살인사건〉 27개를 선정하여 분석하였다. 바로크시대 배경의 시대극 영화 중, 바로크시대 초기의 복식 특징이 잘 반영된 영화 〈사총사〉와〈삼총사 3D〉에서는 슬래쉬, 폴링 칼라, 둥근 스토마커 등을 통해, 16세기 말의 복식이 약간 유지되면서 네덜란드 영향으로 16세기와는 달리 검소하고 단순한 복식으로 변화된 점이 잘 표현되었다. 바로크 예술양식이 성행하던 17세기의 복식 특징이 잘 반영된 영화 〈레스터레이션〉, 〈아이언 마스크〉에서는 짧아진 푸르푸앵, 노출된 셔츠 등으로 바로크시대 중기의 자유분방함과 약동적인 복식 특징이 잘 부각되었다. 영화 〈왕의 춤〉,〈영국식 정원의 살인사건〉에서는 퐁탕주, 버슬 스타일, 쥐스토코르 등으로 바로크시대 말기의 복식특징이 잘 표현된 화려함이 극치를 이루었다. 이 연구는 향후 바로크시대를 배경으로 한 시대극 영화의상 연구의 기초 자료로 활용될 것이다. Research on costumes during the modern period highlighting body line has been done focused on those in the 16th and 18th centuries, and costume research into the 17th century is very rare indeed. Costume in the baroque period during the 17th century was influenced largely by sociocultural environments such as the puritan revolution and the enlightenment and as a result, it showed quite different costume patterns relative to those in the renaissance. Given that change of costume trends may be quite remarkable even within a century, this baroque period may be more important than any other periods for costume research. Thus, this study divided the baroque period into three parts and analyzed costume by each part using historical dramas that could show most effectively the costume of any relevant period. And then it examined the impacts of sociocultural environments on the costumes as well as characteristics of man and woman costumes by each part of the baroque period. The study carried out visual analysis through DVD player by selecting video media expressing features of baroque costume properly out of visual media based on the baroque period on the basis of theoretic contents through preceding researches and literature. For an empirical study, this study analyzed baroque costume expressed in the movie. Of 27 costume in the movie 〈The Four Musketeers〉, 25 in the movie 〈The Three Musketeers〉, 25 in the movie 〈Restoration〉, 21 in the movie 〈The Man in The Iron Mask〉, 25 in the movie 〈The King Is Dancing〉 and movie 27 in the movie 〈The Draughtsman`s Contract〉, this study selected and researched costume suited to express characteristics of baroque costumes. for an empirical study. Of historical play movies with the background of the baroque period, movie 〈The Four Musketeers〉 , 〈The Three Musketeers 3D〉 well reflecting the features of costume in the early baroque period, used slash, rounded stomacher and properly expressed the change of costume to plain and simple style influenced by the Netherlands unlike the 16th century, while maintaining some parts of costume prevailed in the end of 16th century. Movie 〈Restoration〉 , 〈The Man in The Iron Mask〉 well reflecting the features of costume in the mid baroque period - peak time of baroque art style - highlighted free and dynamic features of costume using shortened pourpoint and exposed shirt. On the other hand, movie 〈The King Is Dancing〉 ,〈The Draughtsman`s Contract〉 using fontange, bustle style, justaucorps, reached the height of gorgeousness of costume, reflecting the style toward the end of the baroque period. In the future, this study is going to be used as basic data for research on movie costume of historical dramas against a backdrop of the baroque period.

      • KCI등재

        독일 바로크 민족문학의 해체 및 재구성 : 발터 벤야민의 『독일 비애극의 근원』을 중심으로

        장제형 ( Je Hyung Chang ) 한국독어독문학회 2013 獨逸文學 Vol.128 No.-

        독일 바로크 민족문학의 해체 및 재구성- 발터 벤야민의 『독일 비애극의 근원』을 중심으로장제형 (서울대)독일 민족문학의 효시는 17세기 독일 바로크 문학으로 소급해 올라간다. 암묵적이건 명시적이건 간에 독일 바로크 문학에 내재한 이데올로기적 함의는 독일민족주의 혹은 민족의식의 시원적 형태로 파악할 수 있으며, 이미 그 안에서 독일 “문화민족”의 맹아를 선취하고 있다는 점은 주요 바로크 연구에서 합의된 사항으로 보인다. 여기에서 민족주의의 긍정적 계기와 부정적 측면이 과연 명쾌히분리될 수 있으며, 이에 의거해 이른바 도덕적 시민 애국주의를 통해 국수주의적호전성을 근본적으로 극복할 수 있는지의 여부는 별도의 논의를 요한다. 그러나 바로크 문학에서 발견되는 민족주의의 맹아적 요소는 특히 1871년 독일 통일 전후의 맥락에서 보수적이고 국가주의적으로 해석되면서 집합적 정체성의 정초와 고양을 위한 매우 적절한 토양을 제공하게 된다. 즉, 긍정적이건 부정적이건 간에 독일 바로크 자체에 내재한 민족주의적 잠재성은 그로부터 약 2세기 뒤에 마주칠 독일 통일기의 격렬한 정치적, 사회적, 문화적 재편 과정에 봉사하기 위한 이데올로기적 재전유의 대상이 되는 것이다. 주지하다시피 이러한 흐름은 1차 세계대전을 거쳐 국가사회주의에서 그 절정에 달하면서 전면적인 파국으로 치닫게 된다. 이러한 맥락을 배경으로 독일 민족주의의 가장 극단적이고도 파괴적인 형태인 국가사회주의의 직접적인 희생자였던 발터 벤야민의 저작 『독일 비애극의근원』을 당대 지배적 이데올로기의 기류에 대항하는 고유한 바로크 해석의 한방법론적 시도의 차원으로 읽는 것은 적지 않은 시사점을 던져 주리라 기대한다. 바로크에 대한 전복적 해석을 통해 벤야민은 한 편으로는 바로크에 대한 당대의지배적인 국가주의적 해석에 곧바로 대립하고, 다른 한 편으로는 독일 바로크문학 자체에 내재한 형이상학적이고 표현적인 “이념의 서술”을 자신의 비애극론의 최종목표로 삼는다. 이러한 바로크에 대한 비판적 구제 시도는 독일 바로크에 대한 기존의 통상적인 제한적 관점을 넘어서서, 그것이 세계문학의 차원에까지도 모종의 방식으로 연결될 수 있는 여지까지 고려할 수 있게 만드는 급진적인문제제기를 가능케 한다. 자신의 고유한 문예비평의 방법론적 사고와 실천을 통해 적어도 독일 바로크에 명시적으로 드러나는 민족주의 이데올로기의 전달 내용을 비판적으로 해체 및 재구성함으로써 바로크에 암묵적으로 내재하는 그 이념적 핵심을 바로 자신의 비애극 론의 서술을 통해 보여주려고 했다는 데에 벤야민의 작업의 그 핵심적이고도 발본적인 의의가 있다.

      • KCI등재

        데카르트와 바로크, 그 현대적 조합에 대한 일 고찰

        박치완 한국하이데거학회 2016 현대유럽철학연구 Vol.0 No.42

        In the relation between Descartes, considered as an epithet ‘Socrates of modern philosophy’, and the Baroque can hardly be natural. Especially, the Baroque is estimated that has inconsistent relationship with reason, order, moderation that is the aim of the Renaissance and Classicism. In this sense, it can be easier to find anti-baroque character rather than baroque character in cartesian philosophy. By the way, the researchers of Baroque opened an International seminar named <Descartes et le Baroque> in 1973 in France. This title is enough to be regarded as a kind of scholarly challenge to cartesian philosophy, the founder of modern rationalism. This is the reason why we study the persuasive power of researches of Erik Larsen, Timothée J. Reiss, Jean-Marie Wagner, the topics presented at this seminar. For reference, they suggest a crude equation as <Descartes = The pioneer of the baroque spirit> by that is not inquired to baroque point in overall cartesian philosophy but simply stick on Descartes’s explicit mention about baroque character. Of course, this attempt has its own meanings that throws a light on cartesian philosophy. But though Descartes lived the Baroque and his slight mentions about imagination, sensibility etc that has the affinity with the baroque, it may be asked whether Descartes can be a baroquean. ‘근대철학의 소크라테스’라는 별칭을 고려할 때, 데카르트를 바로크와 연결시키는 것은 자연스러운 연상법이 아니다. 특히 바로크는 르네상스나 고전주의에서 추구한 이성, 질서 등과는 다른 길을 걷는다. 결국 데카르트 철학에서 바로크적 특징을 찾기보다는 반바로크적 특징을 찾는 것이 수월할 수 있다. 그런데1973년 바로크연구자들이 ‘데카르트의 나라’ 프랑스에 모여 <Descartes et le Baroque>라는 국제학술대회를 개최한 바 있다. 이는 합리주의의 교조로 널리회자되고 있는 데카르트 철학에 대한 일종의 ‘도전’이라 할 수 있다. 본고에서 우리가 에릭 라르센(Erik Larsen) 등의 논의가 과연 설득력이 있는 주장인지를 살펴보려는 이유가 여기에 있다. 참고로 이들 학회발표자들은바로크적 특징과 관계된 데카르트의 일부 언급에 천착해 <데카르트 = 바로크정신의 개척자>라는 어설픈 등식을 제안한다. 데카르트 철학을 새롭게 조명해보려고 했다는 점에서는 물론 이들의 작업에 대해 나름의 의미를 부여할 수 있다. 하지만 데카르트가 비록 ‘바로크 시대’에 살았고 또 그의 철학적 언급 속에바로크와 친연성이 높은 상상력, 감성, 이미지 등과 같은 일말의 언급들이 있다고 해서 데카르트가 바로크주의자가 될 수 있는지는 여전히 의문으로 남는다.

      • KCI등재

        로뻬와 띠르소 연극에 나타난 바로크적 요소의 민속적 구현

        윤용욱 ( Yong Wook Yoon ) 韓國世界文學比較學會 2015 世界文學比較硏究 Vol.50 No.-

        A play is a useful means that can examine the social aspects at that time. Therefore, the plays of Lope and Tirso that can be referred to be the most representative playwriters in Spain in the 17th century can be said to be one of the most basic and critical paths in examining and understanding tradition and folkloric patterns of the Spanish society at that time. By examining the plays of these two playwriters reflecting Baroque tendency which was the new aesthetic flow at that time with a folkloric perspective that has not been attempted, this paper is to attempt a new work of connecting Baroque and folklore. To this end, values that can be connected with folkloric aspects at that time should be selected from Baroque tendencies reflected in the plays of these two playwriters and conservative nature of Baroque, ‘fortune’ of Baroque and ‘external essence’ of Baroque may be Baroque values corresponding to them. Conservative nature of Baroque was implemented through a specific custom called ‘primogeniture’ that had existed in the Spanish society at that time in the plays of these two playwriters and Baroque value of ‘fortune’ means fixed systems and rules present in the society, opposition and skepticism against the stable status system and this tendency was described as a specific custom that existed in the society at that time, dangerous love between male and female with different status in the plays at that time. Also, ‘external essence’ of things noted by Baroque is the concept originated from the view regarding all things and phenomena present in the world as variable, unstable and deceptive beings and means that there is no choice but to stick to nature shown of worldly things, i.e. ‘external essence’ because the nature of things constantly change after all. This concept is connected to then society’s unusual and unique sense of virtue more emphasizing how the woman``s chastity is shown to others than the chastity itself of a woman in the plays at that time and unusual customs related to this. As shown above, it turned out that the new aesthetic flow called Baroque around the beginning of the 17th century was being implemented through the folkloric aspects of the society at the time in the plays. 연극은 당시의 사회상을 엿볼 수 있는 하나의 유용한 수단이다. 따라서 17세기 스페인의 가장 대표적인 극작가들이라 할 수 있는 로뻬와 띠르소의 연극이야말로 당시 스페인사회의 전통과 민속적 양상을 살펴보고 이해하는 데 있어서 가장 기본적이고 핵심적인 통로 중의하나라고 할 수 있을 것이다. 본 논문에서는 그동안 시도되지 않았던 민속적 관점을 가지고 당시의 새로운 미학적 흐름이었던 바로크적 성향이 반영된 이 두 극작가들의 연극을 살펴봄으로써 바로크와 민속을 잇는 새로운 작업을 시도해보기로 하겠다.46)이를 위해 이 두 극작가들의 연극에 반영된 바로크적 경향들 중 당시의 민속적인 양상들과 연결이 가능한 가치들을 선별해야 하는데, 바로크의 보수적 성격, 바로크의 ‘우연’, 바로크의 ‘외적 본질’이 바로 이에 해당하는 바로크적 가치들이 될 수 있을 것이다. 바로크의 보수적 성격은 이 두 극작가의 연극에서 당시 스페인사회에 이전부터 존재해왔던 ‘장자상속’이라는 구체적인 풍습을 통해 구현되었고, ‘우연’이라는 바로크적 가치는 사회에 존재하는 고정불변의 체제와 규율, 안정적인 신분제도등에 대한 반발과 의구심을 의미하는데, 이러한 성향은 당시의 연극에서 신분이 서로 다른남녀 간의 위험스러운 사랑이라는 당시 사회에 존재했던 구체적인 풍속으로 묘사되었다. 또한 바로크가 주목하는 사물의 ‘외적 본질’이란 세상에 존재하는 모든 사물과 현상을 가변적이고 불안정적이며 기만적인 존재로 여기는 견해에서 시작된 개념으로, 어차피 사물의 본질은 끊임없이 변하기 때문에 세상 사물들의 보이는 본질, 즉 ‘외적 본질’에 천착할 수밖에 없다는것을 의미한다. 이러한 개념은 당시의 연극에서 어떤 한 여성의 정조도 정조 그 자체보다는 타인에게 그 여성의 정조가 어떻게 보이는가를 더 중요시하는 당시 사회만의 특이하고 독특한 정조관과 이와 관련한 특이한 관습으로 연결되어진다. 이상과 같이, 17세기가 시작될 무렵의 바로크라는 새로운 미학적 흐름이 연극에서는 당시 사회의 민속적 양상을 통해서도 구현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 KCI등재

        바로크 스타일 회화작품이 현대 아트메이크업 디자인에 미치는 영향분석

        조정,김혜균 한국브랜드디자인학회 2021 브랜드디자인학연구 Vol.19 No.1

        과거의 예술 영감은 오늘날의 디자인과 일상생활에 심대한 영향을 끼쳤다. 다시 말해 디자인은 우리 주변의 삶과 항상 밀접하게 연관되어 있으며 서로 분리되어 있지 않다. 이런 예술사적 배경에서 메이크업 디자인은 소비자들의 미적 감성과 감성을 자극하는 분야가 되기도 한다. 이러한 메이크업 디자인의 발달은 소비자들의 욕구를 충족시켜 오늘날의 사회문화에 순응하고 있다. 본 연구는 고전주의 시절 바로크 스타일 회화의 미적 특징을 알아보고 화가 피터 루벤스의 회화에 참고할 만한 요소를 분석하는 것이 연구의 목적이다. 이를 토대로 바로크 스타일을 현대 메이크업 디자인에 접목해 보는 것이 본 연구의 최종적인 목적이라 할 수 있다. 이론적인 배경에 관하여 국내외 전문 문헌 선행연구 및 인터넷 데이터, 회화 작품 조사 연구를 살펴봤다. 또한 바로크풍의 미학적 특징을 보다 정확하게 분석하기 위해 바로크풍의 대표 화가인 작품을 선택했다. 이를 위해 오브제로 사용된 메이크업 디자인, 색채 분석, 전체적인 스타일링 세 가지 방식으로 기존의 단일 창작 개념에서 벗어나 새로운 미의식을 창출할 수 있는 토대를 마련하고 7개의 메이크업 디자인을 제작 연출하고 제시하였다. 연구결과. 바로크 스타일을 바탕으로 한 현대 메이크업 디자인의 특징은 다음과 같다. 첫째, 다양한 오브제가 사용되어 메이크업 디자인에 미적 감각을 불어넣는 작용을 하였고 둘째, 색채 분석에서 바로크적인 과장과 질감, 생동감 있는 색상의 사용, 강렬한 명암을 보여주며 셋째, 화려한 의상과 간단한 메이크업의 강력한 대비로 아름다운 미를 추구하였다. The artistic inspiration of the past had a profound effect on today's design and daily life. In other words, design is always closely related to life around us and is not separated from each other. Against this periodic backdrop, makeup design can also be a field that stimulates consumers' aesthetic and emotional feelings. However, the development of make-up design should also meet the needs of consumers and adapt to today's social culture. The purpose of the study is recognize the aesthetic features of Baroque style painting in classical times and to analyze the elements to refer to in the painting of painter Peter Rubens. Based on,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incorporate Baroque style into modern makeup design. The research of this paper is done through theoretical background and data and analysis. On the theoretical background, we looked at domestic and foreign professional literature data and internet data and research on painting works. He also chose the work, which is the representative artist of Baroque style, to more accurately analyze the aesthetic characteristics of Baroque style. To this end, the object was used to create seven makeup designs in three ways: makeup design, color analysis, and overall styling. It has laid the foundation for creating a new sense of beauty away from the existing single creative ideology.

      • KCI등재후보

        피아노 교육에 있어 바로크 건반음악의 리듬 기보와 해석에 대한 고찰

        이주혜 ( Lee¸ Joo-hye ) 한국피아노교수법학회 2015 음악교수법연구 Vol.15 No.-

        피아노 교육에 있어 바로크시대 음악은 필수적인 교과과정으로 인식되고 있다. 그러나 바로크시대 음악을 가르치는 피아노 교사들은 바로크시대 음악의 리듬적 독보와 해석이 현대의 방식과 다르다는 것에 대해 충분히 인식하지 못하는 경향이 있다. 교사들은 학생들이 바로크 음악 양식에 어울리도록 연주하는 것을 돕기 위해 바로크 음악에서 접하게 되는 부점, 비균등 리듬, 아고긱 악센트와 템포 루바토에 나타나는 리듬적 변용에 대해 가르쳐야한다. 부점이(□) 기보된 경우 곡의 맥락에 따라 3:1, 2:1, 7:1 등의 비율로 해석이 가능하다. 비균등 리듬은 악보에는 균등한 8분음표 등으로 기보되어있지만 실제 연주에서는 길고-짧은 형태로 연주하는 관습으로 노트 이네갈이 대표적이다. 아고긱 악센트와 템포 루바토는 다이나믹이 표현되지 않던 바로크시대 건반악기의 약점을 보완하던 연주방식으로 작곡가들이 리듬적인 변화를 직접 기보하거나 기본 틀에 연주자가 스스로 적용하도록 하기도 했다. 이 논문은 세 가지 리듬 변용에 대한 독보와 해석을 문헌 및 악보의 비교를 통해 고찰하여 바로크 건반음악의 리듬적 연주관습을 가르치는데 도움이 되고자 한다. Baroque music is one of the most important requirements in the piano pedagogy curriculum. However, piano teachers are not fully aware that rhythmic notation and interpretation of Baroque music is different from those after the middle of the 18th century. Piano teachers should inform rhythmic alteration such as dotted rhythm, inequality, agogic accent and tempo rubato to help students playing in Baroque style. Dotted rhythm(□) in Baroque music could be interpreted as not only the ratio of 3:1, but also 2:1 or 7:1 according to the musical context. In the case of inequality, a performer may apply note ineguale, which is performing equally notated fast notes unevenly as long-short rhythm under certain circumstances in French Baroque music. Agogic accent and tempo rubato were useful devices for the expression in Baroque keyboard music, because organ and harpsichord, the representative keyboard instruments of Baroque era, can not control dynamics sensitively. The purpose of the study is suggesting preferable approaches to teaching Baroque music through investigating notation and interpretation of dotted rhythm, inequality, agogic accent and tempo rubato among rhythmic alteration of Baroque performance practice, by means of literature research and comparison of several edition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