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한국민족사상의 내용분석과 그 계승에 관한 연구

        정경환 한국민족사상학회 2022 민족사상 Vol.16 No.4

        This paper is an article that reveals the content and character of Korean national thought and analyzes the strategy of inheriting Korean national thought. There is a tendency to use Korean national thought and Korean thought in combination. However, strictly speaking, there is a difference between Korean national thought and Korean thought. In other words, Korean national thought is an idea based on pure and pure thoughts of the Korean people before foreign thought was introduced. On the other hand, Korean thought refers to the absorption and acceptance of foreign thought based on Korean national thought. In this respect, it can be said that there is a difference between Korean national thought and Korean thought from the time of its occurrence. Korean national thought can be classified into many contents and explained, but if you introduce only important contents, you can first point out anthropology. Human love is a comprehensive love. It is humanity that loves the entire human race, not just between me and you. Second, Korean national thought can be defined as harmony theory. The theory of a win-win relationship between me and you is the theory of harmony. Finally, Korean national thought can be summed up as a theory of Gyeongcheon. He defined the sky as a personality god and always acted while looking up to the sky. We should do our best to inherit Korean national thought with pride. 본 논문은 한국민족사상의 내용과 성격을 밝히고 한국민족사상을 계승하는 전략을 분석한 글이다. 한국민족사상과 한국사상을 혼용하여 사용하는 경향이 있다. 그러나 엄밀히 말하면 한국민족사상과 한국사상은 차이가 있다. 즉 한국민족사상은 외래사조가 유입되기 전 한국민족의 순백하고 순수한 사유에 의한 사상이다. 반면 한국사상은 한국민족사상을 기초로 하여 외래사조가 흡수되어 수용된 것을 말한다. 이런 점에서 보면 한국민족사상과 한국사상은 발생시기부터 차이가 있다고 말할 수 있다. 한국민족사상은 많은 내용으로 분류하여 설명할 수 있지만 개략적으로 중요한 내용만 소개하면 우선 인류애론을 지적할 수 있다. 인류애는 포괄적인 사랑이다. 나와 너 간의 사랑에 국한하지 않고 인류전체를 사랑하는 것이 바로 인류애이다. 둘째, 한국민족사상은 조화론으로 규정할 수 있다. 나와 너 간의 상생적 관계론이 바로 조화론이다. 마지막으로 한국민족사상은 경천론으로 귀결지어 말할 수 있다. 하늘을 하나의 인격신으로 규정하고 늘 하늘을 우러러 보면서 행동을 하였다. 한국민족사상에 자부심을 가지고 계승하는데 최선을 다해야 할 것이다.

      • KCI등재

        한국민족사상과 한국사상 간의 차이점과 유사점

        오일환,정경환 한국민족사상학회 2022 민족사상 Vol.16 No.4

        This paper analyzes the differences and similarities in terms between Korean national thought and Korean thought. Often, Korean national and Korean ideas are used interchangeably. However, in fact, Korean national thought and Korean thought are different from the time of its occurrence. In other words, Korean national thought is the orthodox thought of our people before foreign thought was introduced. On the other hand, Korean thought is an absorption and integration of foreign thought into Korean national thought. In this regard, there are differences and similarities between Korean national thought and Korean thought. The difference between Korean national thought and Korean thought can be said to be more pure in terms of purity. In this respect, Korean national thought has purity. The second can be examined in terms of uniqueness. Uniqueness is an analysis method that occurs in comparison with other ideas. In terms of uniqueness, Korean thought is considered to have uniqueness. Finally, the difference between the two ideas in terms of subjectivity can be analyzed. From the perspective of subjectivity, it can be said that Korean national thought is deeper than Korean thought. If we point out similarities between Korean national thought and Korean thought through these differences, I think there is a difference between the two, but there is an identity at the root. 본 논문은 한국민족사상과 한국사상 간의 용어상의 차이점과 유사점에 대해 분석한 것이다. 흔히 한국민족사상과 한국사상을 혼용하여 사용하는 경우가 많다. 그런데 사실 한국민족사상과 한국사상은 발생시기부터 다르다. 즉, 한국민족사상은 외래사조가 유입되기 전 우리 민족의 정통사상이다. 반면 한국사상은 한국민족사상에 외래사조가 흡수 통합된 것이다. 이런 점에 한국민족사상과 한국사상은 차이점도 있고 유사점도 있다. 한국민족사상과 한국사상 간의 차이점은 우선 순수성에서 한국민족사상이 보다 순수하다고 할 수 있다. 이런 점에서 한국민족사상은 순백성을 지니고 있다. 두 번째는 고유성의 측면에서 살펴볼 수 있다. 고유성은 다른 사상과의 비교에서 발생하는 분석방법이다. 고유성의 측면에서 보면 한국사상은 고유성이 있다고 여겨진다. 마지막으로 주체성의 측면에서 양 사상 간의 차이점을 분석할 수 있다. 주체성의 관점에서 보면 한국민족사상이 한국사상보다는 더 깊다고 할 수 있다. 이러한 차이점을 통해 한국민족사상과 한국사상 간에 유사점을 지적하면 양자 간에는 비로 차이점이 있지만 근저에는 동일성이 있다고 생각한다.

      • KCI등재

        광복 70년, 한국인의 민족 정체성 연구

        조의행(Yui Haeng Cho) 한국인문사회과학회 2015 현상과 인식 Vol.39 No.3

        광복 70주년을 맞이한 오늘, 우리는 여전히 과거의 기억에 발목을 잡혀 있다. ‘우리는 과연 해방되었는가?’라는 질문 자체가 우리는 아직 해방되지 않았다는 반증이다. 이러한 시대문제에 대답하기 위해 이 연구는 오늘날 우리의 민족 정체성을 지난 한 세기의 민족사 쓰기와 민족 · 정치 지도자들의 역할을 통해 재검토해 보았다. 전근대 우리의 정체성은 계급과 신분에 의해 뚜렷하게 갈려 있어 통합된 민족 정체성을 형성시키지 못했다. 외세의 침투와 국권상실을 경험하며 비로소 통합된 민족사 정립의 필요성을 인지했다. 이는 국권상실의 원인을 올곧은 민족사를 바탕으로 한 민족정체성을 형성하지 못했기 때문이라는 자기반성이 있었기 가능했다. 민족 지도자들은 이에 중국적 요소가 거세된 ‘진취적이고 자주적인’ 민족사를 자각하고 집필했다. 그러나 외세에 의해 해방된 우리 민족은 곧 정치적으로 분단된 두 국가를 수립했고, 곧 고착화 되었다. 박 정희 시대는 우리에게 독립 운동가의 민족사 인식을 일부나마 수용할 공간을 제공했으나, 이 역시 체제 공고화를 위한 반쪽짜리 국민 만들기라는 정치적 수단이었다. 1980년대 이후 주류로 등장한 좌파 역시 민족과 민족사를 부르짖었으나, 오히려 이들은 민족사를 축소 및 폄하하였다. 그 결과 오늘날 우리의 민족 정체성에는 민족과 민족사가 사라진 왜곡된 민족 정체성을 가진 채 ‘탈민족’시대를 대면 해야 하는 모순된 현실에 직면하게 되었다. 그러나 통일을 준비해야 우리의 내부 구성원 및 남과 북을 묶는 수단으로서 민족사는 여전히 유효하다. Despite being 70 years after independence, a subject, ‘Are we really independent?’ is still one of the leading social discourses in Korean society. This question per se assumes that Korea and Koreans are not independent yet. In order to gain an answer to this contemporary question, this paper attempts to shed light on Korean national identity in a way which analyzes the relations between national history and the role of national leaders. Pre-modern Koreans had not yet formulated a unified national identity owing to a clear class consciousness and Sino-centralism that the then ruling class had possessed. Confronting threats from the Western powers and the following loss of sovereignty, Korean national leaders keenly felt the necessity of rejuvenating national history so as to form national identity though which all national members can share. They believed that it is the most urgent task for restoring the sovereign rights and establishing the future nation-state. Korean nation was, however, divided by the different political ideologies in the wake of the independence, and it has resulted in being permanent after the Korean War. During the era of President Park Chung-Hee, Koreans had an opportunity to embrace the perspective of national history on which the former national leaders - i.e. Shin Chaeho and Park Eunsik - embarked at the dawn of nationalism in Korea. Nonetheless, it was nothing but a means of stabilizing Park’s regime stability by excluding, and othering, another half of nation living in the North Korea. On the other hand, the Korean left-leaning group also played a critical role in leading democratization since 1980s, in particular. Nonetheless, they have tried to shrink space and time of Korean national history in the name of science. In general, Koreans are now facing the trend of ‘Post-nationalsm’ even before they have not yet establish national identity on the basis of their history. For Koreans wishing to a unified Korea, however, national history is still in effect as the way to unify the divided nations.

      • KCI등재

        한용운 민족사상의 연원

        김광식 한국선학회 2012 한국선학 Vol.31 No.-

        본 고찰은 만해 한용운의 민족사상의 연원을 살핀 논고이다. 한용운 연구는 다양하게 전개되었지만 편 중된 연구, 실증적 자료에 의한 연구 부족, 신비화에 경도되었다. 이에 필자는 한용운 사상을 연구함에 있어 이와 같은 문제점을 극복하려고 유의하였다. 한편 한용운 연구에서 미진한 분야는 한용운 사상이 다. 지금껏 한용운 사상을 언급한 고찰이 있었지만, 아직까지도 한용운 사상을 총체적으로 그려내지는 못하고 있다. 필자는 이런 학계의 연구 성과를 고려하여 한용운 사상 중에서도 민족사상을 다양한 측 면에서 검토하였다. 필자가 이 고찰에서 유의한 것은 한용운의 민족사상을 민족운동이라는 제한적인 분야에서만 다루지 않았다. 즉 한용운이 활동하였던 다양한 방면의 행적에서 민족사상을 찾으려고 하였다. 그리고 한용운 민족사상을 일차적으로 일제하라는 시공간에서의 내용과 성격을 추출하였다. 한용운의 사상은 보편적 , 동아시아적 측면도 배제할 수 없지만 일단은 그가 활동한 것은 근대기 한국이라는 공간임을 유의하 였다. 보편성보다는 한국, 근대라는 특수성을 우선적으로 고려하였다. 이러한 전제와 배경하에서 필자가 한용운 민족사상의 연원의 근거를 다음과 같은 측면에서 추출하였 다. 즉 그는 한용운 출신 및 고향에서의 유교적인 가풍, 민족운동에 나타난 민족사상, 불교활동에 나타 난 민족사상, 작가의 활동에 나타난 민족사상, 생활속에 드러난 민족사상 등이었다. 이런 분석을 통해서 필자는 한용운의 민족사상이 출가 이전의 고향(홍성, 내포)에서의 유교문화에서 연원하였고, 그것이 일생을 관통하였음을 파악하였다. 그리고 그런 연원에서 출발한 민족의식이 국가, 사회, 중생 등에 대한 애정으로 구현되었음도 알게 되었다. 나아가서 그가 전개한 다양한 활동에 민족 의 역사 및 문화에 대한 자각, 애정이 상당하였음도 알 수 있었다. 요컨대 민족의 역사와 문화에 대한 자존심이 민족사상의 근원이었다. This consideration is a treatise on Investigating the origin of Manhae Han Yong-Un's racial thought. Studying on Han Yong-Un laid before in various way, but its study was declined to mystification due to leaning too much towards, lack of an empirical material study. Therefor I kept in view in order to overcome such problem in studying Han Yong-Un. On the other hand lack field of studying Han Yong-Un is Han Yong-Un's Thought. There is a consideration mentioned Han Yong -Un's Thought so far, no one has drawn Han Yong-Un's thought in general yet. I reviewed his racial thought among Han Yong-Un's thoughts in various flank on considering such academic research result. My paying on attention to this consideration is not to deal with the limited field of racial thought as racial movement. In other words I tried to find out racial thought in various whereabouts Han Yong -Un acted. And I extracted contents and character Han Yong-Un's racial thought in time and space under the Japanese Empire firstly. I paid on attention to the space of Korea in modern time he acted even if we can not exclude Han Yong-Un's thought in universal and East Asiatic flank. I considered distinctiveness preferentially as modernity and korea rather than universality. Under such premise and background I extracted the original basis of Han Yong-Un's racial thought. In other words his thoughts are Confucian family tradition, racial thought represented racial movement, racial thought represented buddhist activity, racial thought represented writer's activity and racial thought exposed in life. Through such analysis I apprehended Han Yong-Un's racial thought originated from Confucian culture of his home town(Naepo, Honsung) before renunciation and it penetrated into his whole life. And I have known racial consciousness started from such originality was realized as affection for state, society and people etc. Further more I have known there were a lot of self awareness and affection of racial history and culture in various activities which he spread out. In summary, his pride about racial history and culture is the origin of racial thought.

      • 관학파가 만든 '민족사'에서 우리를 만든 '한국사'로

        이종욱 한국고대사탐구학회 2009 한국고대사탐구 Vol.1 No.-

        There is a reason that we founded the Society for the Study of Early Korean History, publishing our academic journal. Following the methodology of national school historians (Gwanhakpa) in the Japanese Colonial period, the post-colonization historians invented "the national history" arguing for the legitimacy of Tan-gun, based on nationalism and positivism, since the Liberation of 1945. Furthermore, they completely denied the initial records of Samguksagi, the Chronicles of the Three States, erasing the substantial portion of Korean history. In particular, Son Jin-tae, who describes Tan-gun Chosun as the beginning of the national history, praised the history of Goguryo with the glory of the national history, denouncing the history of Shilla which unified the Korean peninsula in alliance with T'ang as the disgrace of the national history. This kind of historiography based on Korean nationalism has long been continued without any criticism, and even the Korean official textbook has followed this tendency. The 'national history' fabricated by the post-colonization historians in the name of positivism, however, is totally different from Korean history. In Gwanhakpa's explanation, 'Minjok' does not mean a nation, but rather a 'race' - they fell into an error to categorize all races which have existed in Korean history as 'Korean nation.' If a Korean wants to trace his/her origin, he/she should chase the history of countries which have left the largest number of Korean family names and cultural heritages to the Korean society. In this context, we can find the beginning of Korean history from the Shilla at the period of Three Kingdoms. We should trace the origin of Korea and Korean people, therefore, in the history of Shilla ascending to the reign of King Naemul, which has been forced to remain silent by the national history, not in the history of the Kochosun - Goguryo separated from the Korean history. Now we propose a brand new research model, "Model 3": we aim to reconstruct the early part of Samguksagi arguing for its authenticity, beyond the scope of the national history. 우리들이 한국고대사탐구학회를 만들어 학술발표회를 갖고 『한국고대사탐구』라는 학술지를 발간하는 데에는 이유가 있다. 일제시대 관학파 사학자들의 연구방법론을 계승한 후식민사학자들은 해방 후 '민족'과 '실증'이라는 슬로건을 내세우며 단군을 정통으로 하는 '민족사'를 발명해냈다. 이와 더불어 그들은 『삼국사기』 초기기록을 철저히 부정함으로써 우리나라 역사의 상당 부분을 말살하기까지 하였다. 특히 단군조선을 민족사의 출발점으로 규정한 손진태는 고구려의 역사를 민족사의 영광으로 칭송하였고 당나라를 끌어들여 삼국을 통일한 신라의 역사를 민족사의 수치로 여겼다. 이러한 민족사 서술 경향은 별다른 비판 없이 현행 국사교과서에 이르기까지 면면히 이어져오고 있다. 그러나 관학파 후식민사학자들이 실증이라는 이름으로 의도적으로 조작해낸 민족사는 '한국사'와는 전혀 다른 개념이며 한국사는 민족사와는 별개로 인식되어야 한다. 관학파가 말하는 민족이란 '민족공조'와는 무관하며 사실상 '種族'에 가까운 개념이다. 그들은 nation 개념이 도입되기 이전 우리 역사상 존재했던 모든 종족을 민족의 범주에 포함시키는 오류를 범하였다. 현대의 한국인이 자신의 근원을 찾고자 한다면 한국인에게 가장 많은 성씨와 문회유산을 물려준 역사 속 국가들을 추적해 나가야 할 것이다. 이러한 맥락에서, 한국사는 마땅히 조선→고려→대신라→삼국시대 신라로 거슬러 올라가 역사를 시작한다는 점을 명확히 알 수 있다. 그러므로 한국ㆍ한국인의 오리진은 한국사와 단절된 고조선ㆍ고구려에 있는 것이 아니라 민족사가 철저히 침묵시켜왔던 내물왕 이전의 신라사에 있다. 이제부터 민족사의 한계를 뛰어넘어, 『삼국사기』 내물왕 이전의 역사를 인정하고 재구성하려는 〈모델 3〉의 세상을 활짝 열어나가야 하지 않을까 생각한다.

      • KCI등재

        제2장 윤봉길의 민족사상과 정치적 함의

        김강녕(Kang-Nyeong Kim) 한국민족사상학회 2008 민족사상 Vol.2 No.1

        이 글은 윤봉길의 민족사상과 정치적 함의를 분석한 것이다. 이를 위해 윤봉길의 생애, 농촌개혁운동과 독립운동, 윤봉길의 민족사상과 의거가 지닌 정치적 함의의 순서로 살펴보았다. 윤봉길(尹奉吉) 의사는 농민의 아들로 태어나 문맹퇴치의 농촌개혁을 통한 민족부흥운동을 주도하다 중국으로 망명, 일본군국주의 군사수뇌부에 철퇴를 가해 한국인의 기개를 세계만방에 과시한 순국선열이다. 잘 알려진 『농민독본』이외의 다른 저술이나 기록문이 잘 시사해주는 바와 같이, 윤봉길은 우리 민족의 단순한 농민운동가, 독립운동가로서 뿐만 아니라 농촌개혁을 통한 새로운 민족발전모델을 구체적으로 제시하려고 노력한 민족사상가로서도 재평가되어야 할 것이다. 윤봉길의 민족사상은 크게 ① 실력배양론, ② 항일독립사상, ③ 민족주의, ④ 평등사상으로 요약되는데, 그의 민족사상은 결코 폐쇄적이지 않고 시대적 어려움 속에서도 희망을 저버리지 않고 혼신을 다해 조국·민족 발전을 위해 바른 길을 제시하려 한 점이 돋보인다고 할 수 있다. 그는 짧아도 굵게 살다간 지식·정보력과 실천력과 정신력을 함께 지닌 항일독립운동가요, 선구자적 농민운동가요, 사상가요, 교육자요, 지도자로서 우리 조국과 민족을 뜨겁게 사랑한 위대한 한국인이 아닐 수 없다. 윤봉길 상해의거 성공은 소위 ‘문화정치’ 하에서 신음하고 있던 국내 한민족의 민족의식을 다시 한 번 일깨워 주고 독립사상을 크게 고취시켰다. 그 결과 한국의 국내외 독립운동은 새로운 활로를 찾게 되고 독립에 대한 민족적 확신과 열의가 확산되는 전기를 마련할 수 있게 되었던 것이다. 우리는 윤봉길의 상해의거는 테러가 아닌 특공작전으로서의 의거의 의미를 지니고 있음을 간과해서는 안 될 것이다. 우리는 나라가 어려웠던 일제강점기에 무지했던 농촌계몽운동과 함께 일제만행을 세계에 알린 4·29의 거정신을 이어받아 오늘의 상황에 적용하고 미래에 투영하여 번영된 국가발전과 민족통일의 과업을 앞당기기 위해 노력해야 할 것이다. This study is to analyze Yun Bong-gil’s national thoughts and the implications of his thoughts, the enlightenment movement for rural communities, the national movement for independence, and his great bombing at Shanghai. Yun Bong-gil, the patriot was born in Siryang-ri, Deoksan-myeon, Yesan-gun, Chungnam-do on June 21, 1908. He attended to Deoksan Elemantary School and also studied in Ochi Seosuk (a village school that taught Korean and Chinese). It was 19 years old in 1926, when he founded a night school in his hometown and began the enlightenment movement for rural communities. At the age of 20, he organized the Kakgok Reading Club and published Nongmin Dokbon(an agrarian reader) etc. At the age of 22, he organized the Woljinhoe and Suam Athletic Association to further implement the national movement for independence in rural communities. He was a great national leader who loved Korean people with all his heart and did his best both physically and spiritually to revitalize Korea. Yun Bong-gil realized the difficulty in continuing independence movement within Korea. He self-exiled to China on March 06, 1930, when he was 23, leaving a note saying “A man who left home would not return home alive.” There he joined the Korean Patriotic Society led by Kim Koo and volunteered to do special missions, and finally succeeded in throwing a bomb which injured seven Japanese military leaders including the commander-in-chief Shiragawa. Yun Bol-gil’s heroic struggle against Japan has great significance in the history of the independence movement. Yun’s heroic deed at Hongkew Park in Shanghai is an eternal meritorious deed to mark a milestone in the history of Korean People’s independence movement.

      • KCI등재

        일제강점기 민족사의 구성과 기자(조선) 인식

        류시현(Ryu, Si-Hyun) 고려사학회 2016 한국사학보 Vol.- No.65

        한말 시기부터 기존의 역사서술과 다른 형식인 민족사가 서술되기 시작한다. 민족사는 역사 단위의 주체인 主族을 설정하고 이를 통해 민족공동체의 과거와 현재 그리고 미래를 연결시키고자 했다. 일반적으로 민족사 서술의 첫 시도로 신채호의 「독사신론」(1908)이 언급된다. 그는 고조선-고구려-발해를 중심으로 한 민족공동체의 역사를 구성하고자 했다. 그렇다면 민족사의 서술과 관련해서 기자(조선)에 관한 서술이 어떻게 이루어졌는지를 살펴보는 것이 중요하다. 한말 일제강점기 민족사의 구성은 ‘부정적인’ 당대에 대비될 수 있는 ‘화려한’ 과거에 주목하는데서 출발한다. 그래서 민족공동체의 ‘보다 나은’ 미래를 전망하고자 했다. 따라서 민족사의 서술 속에서 축소 혹은 배제되어 평가된 대상이 존재한다. 고대사에서 대표적인 사례가 기자(조선)인데, 그 이유는 기자(조선)가 ‘중국적 요소’와 연관되어 있기 때문이다. 본고에서는 한말~일제강점기를 대상으로 당대 역사학자들이 민족사를 구성하는 데 기자(조선)가 어떻게 이해되고 해석되었는지를 살펴보고자 한다. 구체적으로 한말 일제강점기 역사학자들의 기자(조선)에 관한 인식과 서술을 살펴보려고 한다. 특히 최남선의 기자(조선)에 관한 인식을 중심으로 민족주의사학자와 문화사학자의 견해와 비교 검토했다. 검토의 대상 시기는 1926년 「단군론」으로 대표되는 최남선의 1920년대 단군(조선)에 대한 이해를 한말~1910년대와 1930년대와 대비해서 각 시기에 나타난 인식을 비교 검토했다. From the beginning of Modern era, there were writing on the history of ethnic communities based on nation-states. The same as other countries, modern Korean historians had interested in the origin of Korean nation such as Tan-gun who is known as the progenitor of our people and Ancient Korean history. Concretely, Korean people regarded Tan-gun as the key person of Korean’s national future. However, Gija and Gijachosun was very delicate challenges to write National history. Because Gija who was born China and regarded as the founder of Korean enlightenment. During the Japanese colonial period, the understandings of Gijachosun were produced and comprised of many Korean history text books, mass-media such as news papers and magazines. This paper focuses on both the writings of the cultual historians such as Choi Nam-sun. Especially, Comparing their writings of Gija and Gijachosun, we will scrutinized the composition of National history during the late Chosun and the colonial period. Choi Namson was very famous Journalists and national historians in Korean society. But he was very difficult to write the outline of Korean ancient history. This paper researches Choi’s activities and writings on Gija and Gijachosunon based on the classify of period such as 1910s, 1920s and 1930s. Though his distinguished understanding of Gija and Gijachosunon, we will lineage the composing of the origin of Korean national history.

      • KCI등재

        민족사 연구에 관한 고찰-노라와 스미스를 중심으로-

        마은지 한국세계문화사학회 2019 세계 역사와 문화 연구 Vol.0 No.50

        Exploring National History of Pierre Nora and Anthony Smith Eun-Ji MA This paper aims to explore the rise of the paradigm of ‘memory and history’ and its national meaning in historiography. Pierre Nora and Anthony D. Smith meet at the point of national history. Nora created a word the “realms of memory” as new French national history. The “realms of memory” is a history of the national and collective memory of French. On the another hand, it is realized through the imaginary representations and historical realities that occupy the symbolic sites that form French social and cultural Identity. It means the French national history as representation. Smith, a British historical sociologist, provided the distinguish theory of nations and nationalism. He created an approach of nationalism he called ethno-symbolism and national history. He provided the cultural history of the nation as a type of a historical and cultural community. It analyzed tradition, memory, value, myth, symbol that composed the accumulated heritage of cultural unit. Conclusionally, Nora and Smith reconstructed the national things historically. They all sought to write the cultural history of the nation in common. How can one study and write the national history of a collective community through the history of memory and the cultural history of nation? It may be considered that the question will be continued. So the historiographical meaning of Nora and Smith on national history will be continued to interest and study. 본고는 사학사에서 ‘기억과 역사’ 패러다임의 등장과 그것의 민족사적 의의를 살펴보는데 그 목적이 있었다. 피에르 노라의 민족사와 앤서니 스미스의 민족사 연구는 서로 만나는 지점이 있다. 노라는 프랑스의 새로운 민족사로 평가되는 “기억의 장소”의 창안자였다. 기억의 장소는 다른 말로 하면 프랑스인의 민족적인 집단기억의 역사이다. 다른 한편, 기억의 장소는 프랑스인의 사회적 문화적 정체성을 형성하는 상징적 장소들이 응축하고 있는 표상들이자 역사적 실체들로 인식된다. 즉 그것은 표상(representation)으로서의 프랑스의 민족사라 할 수 있다. 스미스는 영국의 역사사회학자로서 민족과 민족주의 이론에서 족류상징주의라는 접근방식을 통해 민족사에 대한 독특한 시각을 제시했다. 스미스는 민족과 민족주의 연구에서 역사적 문화적 공동체의 한 유형으로서 민족의 문화사를 제시했다. 그것은 특정 인구(=민족)의 문화단위의 축적된 유산을 구성하는 전통・기억・가치・신화・상징들을 분석하는 것이었다. 결론적으로 노라와 스미스는 상징과 표상으로서의 민족적인 것들을 역사적으로 재구성해냈다. 그들은 민족의 문화사를 추구했다는 공통점을 갖고 있다. 기억의 역사와 민족의 문화사를 통해 한 집단공동체인 민족의 역사를 어떻게 연구하고 서술할 것인가의 문제는 지속적으로 대두할 것으로 생각된다. 그런 점에서 노라와 스미스의 민족사의 사학사적 의의는 앞으로도 지속적인 관심과 연구가 필요해 보인다.

      • KCI등재

        신용하의 민족사회학:

        유승무(Lew Seung Mu),최우영(Choi Woo Young) 동양사회사상학회 2015 사회사상과 문화 Vol.19 No.3

        한국의 대표적인 사회학자 ‘신용하’의 사회학이란 무엇인가? 바로 ‘민족사회학’이다. 신용하의 사회학적 관심과 대상은 처음도 끝도 ‘민족’이기 때문이다. 이 글은 신용하의 민족사회학에 대한 비평적 소개와 함께 그 의의와 쟁점들을 다룬다. 그는 6.25 동족상잔의 비극을 경험한 뒤 민족에 대해 눈을 뜨게되고, 이후 줄곧 민족을 대상으로 하여 사회학적 연구를 수행해왔다. 사회학자의 연구는 자기 사회를 대상으로 할 때 가장 정열적이고 독창적일 수 있다는 믿음이 신용하 민족사회학의 근간을 이룬다. 아울러 한국사회학이 아직 구미사회학의 수입과 소화에만 급급해 ‘민족’을 학문적 차원에서 다루지 않고 있음을 우려한다. 그의 민족사회학에 대한 관심은 주체적인 한국사회학의 발전에 대한 희망과 다르지 않다. 신용하의 민족형성이론에 의하면, 한국 민족은 서구의 그것처럼 근대의 구성물이 아니라 고대로부터 수 천 년을 관통해온 한국사의 핵심적 실체이다. 이러한 원原민족론은 이른바 서구 근대의 민족국가(nation-state) 논의와는 궤를 달리하며, 한국을 포함한 서구 외 국가들의 연구에 의미있는 시사점을 제공한다. 신용하는 이러한 논의를 단지 추상적, 선험적 차원에서 진행하는 것이 아니라 다양한 고고학, 인류학적 자료를 토대로 실증적으로 개척해나간다. 여기에 실사實事와 구시求是라는 그의 독특한 방법론이 상호 연결되어 보다 완성 된 연구결과를 산출하고 있다. 한국 민족에 대한 인간적 사랑과 학문적 관심, 우리 자신에 대한 주체적 복기와 성찰, 그러면서도 철저하고도 엄밀한 실증적 확인과 검증, 이러한 노력들이 어우러져 오늘의 신용하 민족사회학을 낳은 것으로 보인다. 그의 민족 사회학은 한국사회학의 귀한 전범이며, 싫든좋은 동학과 후학들이 대면(혹은 대결)하지 않을 수 없는 큰 관문임에 틀림없다. Shin Yong-Ha is a representative sociologist in Korea. His study is generally called sociology of nation because he has been doing research on Korean nation within the framework of sociology during life. This article covers the outline, peculiarities and issues on his sociology of nation . According to his theory of nation-building, Korean nation is not a modern outcome unlike the nation-state in western history, but an obvious reality leading to the ancient or primitive society in Korean history. This new and alternative perspective of nation is especially useful for the study of Third-world countries because those societies have had their own identities and concepts of nation distinct from those of western societies. Shin has been doing his unique research not on abstract/a-priori dimension but empirical footing based on the archaeological and anthropological evidences. Shin s sociology of nation consists of normative expectation, autonomous recollection/introspection and strict/empirical verification for Korean nation. Definitely, it is a valuable classic of Korean sociology and huge gateway unavoidable for those who are interested in nation and nation-related issues in the field of sociology.

      • KCI등재

        20세기 초기 몽골 역사가들의 민족사서술과 통사체계의 확립

        이평래 한국몽골학회 2018 몽골학 Vol.0 No.52

        This research analyzes the national history narrative of early twentieth century Mongolian historians, and examines the establishment process of Mongolia’s general history system based on it. The national history narrative of Mongolians started with The Secret History of Mongolia since the early-thirteenth century. There was a gap in writing history due to political turmoils, but the tradition of history narrative has resumed since the seventeenth century. Until the late-nineteenth century, the publishing of so-called Mongolian Chronicle flourished. Well-known chronicles, such as Altan tobči and Erdeni-yin tobči were published during this period as well. While these chronicles inherit the traditional history narrative, they also show varying differences in terms of contents and form depending on the publication date. For example, whereas The Secret History of Mongolia can be seen as a broad collection of tales consisting of oral tradition, chronicles published after the seventeenth century are heavily influenced by Tibetan Buddhism and literature. The latter, specifically, connects the genealogy of the Khan of Mongolia with the Royal line of Buddhism, a marked difference from the former. However, this traditional history narrative undergoes radical changes in the twentieth century. Such a change is inevitably related to the current of the times, but the twentieth century political situation of Mongolia also played a significant role to bring about the change. As known, in 1911, Mongolians declared independence from the Manchu Dynasty after more than 200 years of subjection. A decade later, in 1921, the second revolution of Mongolia took place. 11 years later, in 1932, the New turn policy was installed to appease Mongolian’s reaction against radical socialist policy. The article examines the ways in which national history research and narrative were conducted during an age of fluctuation in which independence from a foreign power, revolution, radical social reform, and installation of appeasement policy unfolded respectively, and how the national general history has been established amidst it. The article analyzes the national history narrative trend after three major events as such: the independence of 1911, second chapter; the revolution of 1921 onward, third chapter; the installation of the New Turn Policy, fourth chapter. The general history representing each decade from the 1910s to the 1930s is the major topic of the analysis. The examination confirms that the country-led general history initiated with the Zarligaar togtooson Mongol ulsyn shastir in the 1910s was systemized through a series of history in the 1920s, and was finally established in the early 1930s as the Short history of Mongolia written by A. Amar exemplifies. This system of general history resulted in the 2003 edition of the History of Mongolia (5 Vols.). 본 연구는 20세기 초기 몽골 역사가들의 민족사서술의 동향을 분석하고, 이를 토대로 20세기 몽골의 通史체계 확립과정을 고찰하는데 목적을 두고 있다. 몽골인들의 민족사서술은 13세기 초기 『몽골비사』에서 시작되었다. 그 후 정치적 격변으로 인하여 한 동안 민족사편찬이 중단되었지만 17세기부터 역사서술 전통이 부활되었다. 이때부터 19세기 말에 이르기까지 이른바 몽골年代記라 일컬어지는 수많은 역사서가 편찬되었다. 잘 알려진 Altan tobči와 Erdeni-yin tobči 등도 이때 편찬된 연대기이다. 이들은 모두 몽골인들의 전통적인 역사서술 방식을 계승하면서도 편찬시기에 따라 서술내용과 형식에서 많은 편차를 보인다. 예컨대 『몽골비사』가 구전자료를 폭넓게 수용한 설화집성의 형태를 갖추고 있다면, 17세기 이후 몽문연대기는 모두 티베트불교와 티베트어문헌의 영향을 강하고 받고 있다. 특히 후자는 몽골 칸의 系譜를 불교 王統 계보와 연결시키고 있다는 점에서도 『몽골비사』와 큰 차이가 있다. 그러나 이러한 몽골인들의 전통 역사서술 방식은 20세기에 들어와 급격한 변화를 맞는다. 이는 근대라는 시대적 추세와도 관련이 있지만, 20세기에 전개된 몽골 정치상황의 변화와도 깊은 관련이 있다. 주지하듯이 1911년 몽골인들은 200여 년에 걸친 淸朝의 지배로부터 벗어나 독립을 실현했다. 10년 후인 1921년에는 몽골 땅에 세계에서 두 번째로 혁명이 일어났다. 그로부터 11년이 지난 1932년에는 급격한 사회주의화 정책에 대한 반발의 수습책으로서 신전환정책이 추진되었다. 本稿는 이처럼 외세로부터의 독립과 혁명 및 급진 사회개혁과 유화정책이 이어진 격변의 시기에 민족사연구와 서술이 어떻게 이루어졌으며, 그 과정에서 민족통사가 어떻게 틀을 잡아갔는가를 살펴는 것이다. 제1절에서는 1911년 독립 이후 민족사서술 동향을, 제3절에서는 1921년 혁명 이후 민족사서술 동향을, 제5절에서는 신전환정책 이후 민족사서술 동향을 각각 분석했다. 이 과정에서 1910년대, 1920년대, 1930년대를 대표하는 통사를 주요 분석대상으로 삼았다. 그 결과 전체적으로 1910년대 『欽定몽골국사』에서 시작된 국가주도의 통사가 1920년대 일련의 역사서를 통하여 체계화되고 아마르(A. Amar)의 『몽골略史』 등 1930년대 초기 역사서에서 최종 틀을 갖추게 되었음을 확인했다. 그리고 이러한 통사체계가 2003년 판 “몽골국사”(5권 本)으로 이어졌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