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美的 態度로서의 ‘游’

        손보미 동양고전학회 2013 東洋古典硏究 Vol.0 No.50

        이 글은 {圖畵見聞誌}⋅{林泉高致}⋅{畵眼}}⋅{苦瓜和尙畫語錄}에서 보이는 ‘유’의 용례를 고찰하였다. 고찰의 결과 첫째, ‘유’에서 생성한 미적가치를 유형화하면, 송대의 {도화견문지}의 경우 심이 생성한 정사 → {임천고치}의 경우 심이 생성한 의사 → 명대 {화안}의 경우 고은지사 → 청대 {고과화상화어록}의 경우 일획의 법이다. 둘째, ‘유’의 주요 방법, 즉 미적가치를 얻는 방법은 {도화견문지}의 경우는 찰 → {임천고치}의 경우는 간 → {화안}의 경우는 간득숙 → {화어록}의 경우는 수와 식이다. 셋째, ‘유’는 창작주체의 심이 찰, 간, 간득숙, 수와 식의 방법으로 미적가치를 생성하는 과정이었으며, 이때 미적가치는 사물의 진으로서 신을 추구하였다. 그리고 {도화견문지}의 ‘유’가 생성한 미적가치인 정사는 사물을 사실적으로 표현하는 것 → {임천고치}의 ‘유’가 생성한 미적가치인 의사는 사물의 객관적 표현과 주관적 표현 → {화안}의 ‘유’가 생성한 미적가치인 고은지사는 사물의 생기를 표현하는 것 → {화어록}의 ‘유’가 생성한 미적가치인 일획의 법은 사물의 리와 태를 창작주체의 화법으로 표현하는 것이라는 창작론을 구성하였다. 전신을 목적으로 하는 전통회화에서 ‘유’는 다양한 미적가치를 생성하는 경험을 이끌지만 그에 선행하여 사물의 진으로서의 신을 추구한다는 속성을 가진다는 점에서 미적 태도로서 규명하였다. This study aims to identify the concept of “You(游)” as the aesthetic attitude in the Traditional Chinese Painting Theory. Traditional painting has a purpose to spread painting spirits and have consistently pursued “Xin(神, spiritual being)” as the truth of a thing. However, the contents of “spiritual being”, “form” and “qi” that “describe the spiritual being” have been changed. Therefore, although the theory of form and spirit can be a way to explain chinese paintings, there is a limitation to actively explain the changes in description of spiritual being. In order to find out the basis to explain the changes of spiritual being as the truth of a thing, this study investigated the concept of “You(游)” as the attitude of the artist focusing on "experiences in painting". {Tuhua Jianwenzhi} and {Linquan Gaozhi} in the Song Dynasty adopted the attitude of “You” to explain the painting theory and proceeded exploration on things with the attitude to pursue the “truth” of a thing described in {Eye of Painting} and {KuguahuoshangHuayulu}. The aesthetic values generated in the attitude of “You” refer to “qing si(情思)” and “yi si(意思)” in Song Dynasty; “gao yin zhi si (高隱之思)” in the Meng Dynasty; and the law of “one stroke(一畫)” in Qing Dynasty.

      • KCI등재

        무용가치 식별을 위한 기능구조에 관한 연구

        황인주 한국무용기록학회 2010 무용역사기록학 Vol.18 No.-

        학생들의 창조적 무용표현을 위한 인식적 토대를 확립·강화시킨다는 측면에서 무용작품의 미적 가치를 식별하기 위한 인식기능 및 관련 무용개념에 대한 연구의 필요성은 매우 큰 것으로 판단된다. 이러한 연구필요성에 따라 본 연구에서는 무용작품의 미적 영역에 대한 특성을 토대로 무용작품의 미적 가치를 식별하기 위한 인식구조, 즉 인식기능 및 관련 무용개념을 도출하는데 연구목적을 두고 있다. 무용작품의 미적 가치를 식별하는 것은 작품에서 나타나고 있는 미적 특성에 대한 분석을 토대로, 작품의 의미를 해석하고, 가치를 평가하는 활동을 포함한다. 작품에 대한 해석과 평가는 작품에서 세부적으로 나타나고 있는 미적 특성에 대한 식별, 분석을 통해 이루어진다는 점에서 미적 가치의 식별 및 평가는 단계별 과정을 통해서 수행되며, 각 단계별로 일정한 기능이 요구된다. 본 연구에서 제시된 단계별 인식적 기능구조는 ①구성요소에 대한 식별 기능, ②구성요소간의 관계성 식별 기능, ③미적 의미의 해석 기능, 그리고 ④미적 가치의 평가 기능이라는 네 단계의 단계적 기능으로 구성되며, 각 기능은 안무, 공연, 반응 및 평가라는 무용작품의 미적 영역과 관련된 개념을 토대로 수행되게 된다. 제시된 기능구조는 학생들이 무용작품의 미적 가치를 효과적으로 식별하고 그리고 관련된 기능을 획득, 강화하는데 직접적으로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It is necessary to study the cognitive skill structure to identify aesthetic values in dance, for cognitive skills and related dance concepts may enhance students' base for creative dance expression. Therefore, based on the properties of dance realm, this study purposes to analyze and suggest the cognitive skill structure including skills and related dance concepts. To identify aesthetic values in dance, it is needed to analyze aesthetic properties of dance works, interpret dance meanings, and evaluate dance values. Because interpretation and evaluation are done through identifying and analyzing aesthetic properties in dance works, aesthetic appreciation of dance works is the stepwise process, where appropriate skills are required for each step. The stepwise structure, suggested in this study, consists of four skills: ① identifying skill of dance elements, ② identifying skill of the relationship among dance elements, ③ interpreting skill of aesthetic meanings, and ④ evaluating skill of aesthetic values. Each skill is operated with relevant concepts, being related to dance realm such as choreography, performance, response, and evaluation. It is expected that this skill structure can be used for students to acquire and develop relevant skills for dance appreciation.

      • KCI등재

        미적 감정과 상호주관성

        박인철(In-Cheol Park) 한국철학회 2012 철학 Vol.0 No.111

        미의 문제를 대상의 성질에서가 아니라 오직 주관의 감정에 근거해 해명하고자 하는 칸트는 이 미적 감정이 어떻게 상호주관적 성격을 지니는 지에 대해 집중적인 관심을 갖는다. 칸트는 여기서 미적 감정의 본질적인 성격을 ‘무관심적 쾌감’으로 보고 이것이 야기된 계기를 경험적, 심리학적으로가 아니라 선험적으로 정초하고자 한다. 즉, 선험적인 인식능력인 상상력과 오성의 자유로운 놀이를 통한 양자 간의 조화로운 합치 속에서 미적 쾌감이 야기된다고 봄으로써 이른바 미적대상이 우리의 인식능력에 대해 갖는 주관적인 형식적 합목적성이 미적 감정의 상호주관적 근거임을 주장한다. 그러나 이러한 칸트의 주장은 모든 미의 문제를 주관의 내적인 형식에로만 집중시킴으로써 대상과 세계와의 연관을 배제하고 있다는 점에서 참된 의미의 상호주관성을 정당화하기에는 한계가 있다. 비록 미에 대한 체계적인 이론을 전개하지는 않았지만 후설은 미적 감정의 상관자로서 미적 가치를 전제하면서 이 가치는 주관과 객관의 중간영역, 말하자면 주관과 세계의 상관성 속에서 존재함을 밝히고 있다. 그런 점에서 가치의 객관성을 주장하는 후설의 주장은 나름대로 설득력을 지니게 된다. 나아가 후설에서 가치는 궁극적으로 정상성에 기반을 두게 되며 이 정상성은 하나의 보편적이고 이상적인 세계를 지향하는 목적론에 의해 다시금 정초 지어짐으로써 가치가 지닌 보편적이고 상호주관적인 성격을 밑바탕에서 지지해준다. 따라서 후설에서 미적 감정은 이것이 미적 가치와 이를 지지해주는 정상성과 연관되는 한 칸트에서 나타나는 주관주의적 한계를 나름대로 넘어서게 된다. 그러나 칸트의 미 이론은 감정에 대한 분석에서 만큼은 후설에 비해 어떤 면에서 보다 현상학적인 측면을 보이는데 바로 이는 현상학적 미학이 어떤 성격을 지녀야 할지에 대해 나름의 방향성을 제시해준다. 그런점에서 양자는 상호보완적인 경향을 지닌다. The objective of this study is to elucidate the philosophical basis for the intersubjective character of an aesthetic emotion through comparing Kant’s aesthetic theory with Husserl’s one. According to Kant, an aesthetic emotion is characterized by its disinterested feeling of pleasure which is completely free of all interests in the presence of objects. Kant argues that this disinterested pleasure should be a foundation stone of the intersubjectivity or universal validity of an aesthetic judgement for the taste. The point is then that an aesthetic emotion arises when two cognitive abilities, namely imagination(Einbildungskraft) and understanding(Verstand) accord with each other without any mediation of concepts of understanding. Kant regards this subjective accordance between them as an a priori principle. So the feeling of beauty might have a right to claim for the intersubjective validity to everyone on the ground of the a priori condition of the aesthetic judgement. However, Kant’s argument has a problem in that the a priori condition is not able to be verifiable objectively, but proves to be just a subjective conviction. Husserl’s theory of aesthetic value might be a solution for Kant’s problem. Husserl alleges that an aesthetic value as a correlative of the aesthetic feeling is objective because it is different from the act of feeling and so transcends the limit of a subjective feeling. The aesthetic value, considered from a phenomenological prospective, lies between subject and object. My thesis is then that the value is founded on the normality which is basically supported by the teleology of history and that the intersubjective character of the aesthetic emotion might be finally justified by the aesthetic value rooted in normality and teleology.

      • KCI등재

        제품디자인에서 움직임의 미적 가치 체계와 개념 -모리스 메를로 퐁티의 지각에 근거하여-

        이성호,이재국 한국기초조형학회 2012 기초조형학연구 Vol.13 No.2

        Based on the perception of Maurice Merleau Ponty, This study interprets, defines The Aesthetic Value System and Concept of Moving. The Aesthetic Attitude for this is an Acting of the moving as relations, actions and a form of the aesthetic expression which is inter -dependent and independent on among Living-Product-Mom. The Aesthetic Value System means a structure, principle of an indication, basis, estimation, valuation, grade etc to define The Aesthetic Pleasure. This is based on the aesthetic expression system in a practical dimension which includes an ontological attribute as an aesthetic object and epistemological form as an aesthetic perception of the moving. A start, motivation on the acting of the moving are an aesthetic want, desire of Mom for a sensual pleasure. This is a basis which the moving as an intentionality comes from and Once the intentional moving comes into existence, It is estimated, valuated as the unconditionally good, pleasant. The aesthetic pleasure is a motivation as well as goal and The aesthetic meaning is a contents of this. The Aesthetic Value is the basis of the estimation, valuation and property that the moving like this is, must be acted as the good, pleasant. The Aesthetic Expression is the form of the acting of the moving itself and the highest value having preference to other aesthetic values. A Sensual Movement, Spontaneity, Participation, Individuality, Synthesis, Time-Space, Condition, Efficiency, Materiality, Synaesthesis are subordinate values to form this aesthetic expression system. This offers an explanation, understanding on a practical base of the moving and relations between a beauty and acting, product design and social, cultural phenomenon. 본 연구의 목적은 메를로 퐁티의 지각에 근거하여 움직임의 미적 가치 체계와 개념을 해석, 규정하는 것이다. 이를 위한 미적 태도는 삶-제품-몸 사이의 상호 주체적이며 의존적 인 관계, 작용과 미적 표현 형식으로서 움직임의 행(行)이다. 미적 가치 체계란 즐거움을 규정하는 지시, 기준, 판단, 평가, 서열 등의 구조, 원리를 의미한다. 이는 움직임의 미적 대상으로서 존재론적 성질과 미적 지각으로서 인식론적 방식을 실천적 차원에서 포괄하는 미적 표현 체계에 근거한다. 움직임의 행의 계기, 동기는 감각적 즐거움에 대한 몸의 미적 욕구, 욕망이다. 이는 지향성으로서 움직임이 발생하는 기준이며, 일단 지향적 움직임이 발생했다면 무조건 즐거운, 좋은 것으로 판단, 평가된 것이다. 미적 즐거움은 이의 동기, 목표이며, 미적 의미는 그 내용이다. 미적 가치는 이러한 움직임이 즐거운 것으로 행하여지고, 져야만 하는 판단, 평가와 당위의 기준이다. 표현성은 움직임의 행 그 자체의 형식으로 다른 모든 미적 가치들에 선위하는 최고 가치이다. 감각운동성, 자발성, 참여성, 개인성, 통합성, 시, 공간성, 상태성, 효율성, 물질성, 공감각성은 최고 가치로서 표현성의 체계를 구성하는 하위의 가치이다. 이는 움직임의 실천적인 근거, 미와 행위 그리고 제품디자인과 사회, 문화적 현상 사이의 연관성에 대한 설명, 이해를 제공한다.

      • KCI등재

        예술적 가치란 무엇인가: “예술적 가치”의 두 가지 개념과 그 한계

        양민정 한국미학회 2018 美學 Vol.84 No.1

        This paper aims at clarifying the explanatory power and limitations of the concept of “artistic value”, a hotly debated subject today. “Artistic value” is a concept introduced to accommodate artistic values like originality, cognitive value, and art-historical value, which are hard to explain with the traditional concept of “aesthetic value.” However, different theorists understand “artistic value” differently, and there are theorists who are skeptical about whether “artistic value” has any significant meaning. First, I examine Lopes’ criticism that there is no non-aesthetic artistic value and the responses of various theorists who argue the opposite. Their concepts of “artistic value” include concepts based on the definition of art, the concept of “good art”, the concept of artistic achievement, and the nonessentialist conception of artistic value. Then, I distinguish between the two concepts of “artistic value”, the concept of artistic value as a kind of value and the concept of artistic value as a value only artworks can have. I show that it is the concept of artistic value as a kind of value which Lopes criticizes and that the concept of artistic value as the value only artworks can have, especially the nonessentialist conception of artistic value, is immune to such criticism. Lastly, I show that the nonessentialist conception of artistic value nonetheless has its own limitations. 본고는 “예술적 가치” 개념을 둘러싼 최근의 논쟁들을 살펴보고, 과연 “예술적 가치”라는 개념이 어떤 의미를 가지는 것인지, 그리고 그러한 개념으로서의 “예술적 가치”가 어떤 설명력과 한계를 가지는지 검토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예술적 가치”란 전통적인 미적 가치의 개념으로는 설명하기 어려워 보이는 작품들의 가치를 설명하기 위하여 등장한 개념으로, 미적 가치 외에도 독창성, 인지적 가치, 예술사적 가치 등의 다양한 가치들을 포괄하는 개념으로 제시되어 많은 지지를 받고 있다. 그러나 “예술적 가치”라는 개념을 어떻게 이해하는가는 학자들마다 다르며, 그러한 개념이 “미적 가치” 개념에 비해 더 나은 설명력을 가질 수 있는지에 대해 회의적인 입장도 만만치 않다. 본고는 우선 비미적 예술적 가치란 없다는 로페스의 비판을 살펴보고, 그에 대응하는 이론가들이 내세우는 예술의 정의에 바탕을 둔 예술적 가치 개념, 훌륭한 예술임을 의미하는 예술적 가치 개념, 성취로서의 예술적 가치 개념, 그리고 비본질주의적 예술적 가치 개념을 비판적으로 검토해 본다. 그 다음으로 본고는 “예술적 가치”라는 말이 의미할 수 있는 두 가지 서로 다른 개념을 구분할 것인데, 그 하나는 가치의 한 종류로서의 예술적 가치라는 개념이고, 다른 하나는 예술 작품들만이 가지는 가치로서의 예술적 가치 개념이다. 본고는 로페스가 비판하고 있는 것은 가치의 한 종류로서의 예술적 가치 개념이며, 비본질주의적 예술적 가치 개념과 같은 예술 작품들만이 가지는 가치로서의 예술적 가치 개념은 그의 비판을 피해갈 수 있음을 보일 것이다. 그러나 그럼에도 불구하고 예술 작품들만이 가지는 가치로서의 예술적 가치 개념 역시 그 나름의 한계를 가진다는 것을 보일 것이다.

      • KCI등재후보

        ‘미적 경험’과 가치 생성

        이승훈 한국공공사회학회 2019 공공사회연구 Vol.9 No.2

        This article aims to theoretically examine the possibility of creating values through 'aesthetic experience'. The reason for dealing with the genesis of new values is that one of the most important problems of modern society is the question of 'values'. Value is born out of the process of solving a problem in concrete situations. A critical awareness of existing institutions and realities is a condition for the genesis of new values. In this sense, 'aesthetic experience' can be one cause for creating new values. Through 'aesthetic experience', we can criticize reality and imagine a new world. In this article, we discuss the possibility of creating new values of 'aesthetic experience' in two main directions. First, 'aesthetic experience' makes it possible to create new values by imagining the totality beyond the fragmented reality. This is because great works of art have a qualitative specificity and at the same time they are expressed in a form that realizes universality as a whole. Second, 'aesthetic experience' enables the ordinary people to come up as a political subject by providing opportunities to think and realize for oneself. It contributes to the genesis of new values in that it frees those who have been excluded and concealed. 이 글은 ‘미적 경험’을 통한 가치 생성의 가능성을 이론적으로 살펴보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새로운 가치의 생성을 다루고하 하는 이유는, 현대 사회의 가장 핵심적인 문제 가운데 하나가 ‘가치’의 문제에 있다고 보기 때문이다. 가치란 구체적인 문제 상황에서 그것을 해결하는 과정에서 탄생한다. 기존의 제도나 현실에 대한 비판적 인식이 새로운 가치 생성의 조건이 된다는 것이다. 그런 의미에서 ‘미적 경험’은 새로운 가치 생성을 위한 하나의 원인이 될 수 있다. ‘미적 경험’을 통해서 우리는 현실에 대한 비판과 새로운 세계에 대한 상상을 할 수 있기 때문이다. 이 글에서는 ‘미적 경험’이 낳는 새로운 가치 생성의 가능성을 크게 두 가지 방향에서 논의하고 있다. 첫째, ‘미적 경험’은 파편화된 현실을 초월하여, 총체성을 상상하게 함으로써 새로운 가치의 생성을 가능하게 한다. 위대한 예술작품들은 부분들의 질적 특수성을 갖고 있으면서, 동시에 전체로서의 보편성을 실현하는 형식으로 표현되기 때문이다. 둘째, ‘미적 경험’은 일상의 보통 사람들이 스스로 사고하고 깨우칠 수 있는 기회의 장을 제공하여 정치적 주체로 등장할 수 있도록 한다. 배제되고 감춰졌던 이들을 해방시키고 말을 할 수 있게 한다는 점에서, 새로운 가치 생성에 기여하는 것이다.

      • KCI등재

        노자 <도덕경> 으로 본 동아시아 미적 교육의 현대적 가치에 대한 탐구

        이병준(Byung-Jun Yi),박지은(Ji-Eun Park) 한국문화교육학회 2021 문화예술교육연구 Vol.16 No.5

        노자 <도덕경>은 고전으로 실제로 지혜와 사유능력을 형성해가는 주체로서 인간의 사유능력을 높여주는 역할을 한다. 본 논고는 노자의 <도덕경>의 고전적 가치를 통해 일상의 고정된 틀을 벗어난 동아시아 미적 교육의 현대적 가치를 탐구해보고자 한다. 현실의 미적 교육은 자신의 시시한 감정조차도 인식하지 못한 채 짜여진 프로그램 속에서 수동적인 교육이 이루어지고 있다. 노자사상은 갖춰진 체계 안에서의 움직임을 지극히 제한함에 있어서 인간을 이해하는데 폭넓은 문화적 관점을 수용하게 해준다. 기존의 노자사상 연구들의 다양한 관점의 접목은 그의 사유에서 심미적인 이상을 발견하고, 미적 교육과의 연계를 통해서 열린 성찰을 가능하게 한다. 또한 동아시아의 공통 미적 관점인 노자 사상인 도를 통해 예술적 가치를 찾고, 예술을 바라보는 직관능력을 키우는 게 이 논고의 목적 중의 하나이다. 하나의 경험이 일상의 삶에서 연속되는 의미와 가치를 가지기 위해서는 모든 활동에서 신뢰하고 헌신할 만한 삶의 이상적인 목표가 있어야 한다. ‘무엇이 아름다운 삶인가’라는 명제 앞에서 답이 아닌 삶 속에서 그 질문을 심화시키고 그 질문으로 나아가는 과정 속에서 노자의 미적 사상이 함축되어 되새겨지는 순환의 과정을 통해 질문의 보편성을 넘어 자신만의 특수성을 구해가는 탐구의 과정이 될 것이다. Laozi <Taoteching> is a classic that actually plays a role in enhancing human thinking as a subject that forms wisdom and thinking ability. This paper attempts to explore the modern value of East Asian aesthetic education outside the fixed framework of everyday life through the classical value of Laozi s <Taoteching> In real-life aesthetic education, passive education is being conducted in a program designed without even recognizing one s trivial emotions. The idea of Laozi allows us to embrace a wide range of cultural perspectives in understanding humans in extremely restricting movement within a system. The incorporation of various perspectives of existing research on the idea of Laozi discovered aesthetic ideals in his thoughts and enables open reflection through linkage with aesthetic education. In addition, one of the purposes of this paper is to find artistic values and develop the intuitive ability to see art through Tao, a common aesthetic perspective of East Asia. In order for an experience to have a continuous meaning and value in everyday life, it must have an ideal goal of a life that can be trusted and dedicated in all activities. In front of the proposition What is a Beautiful Life, it will be a process of exploring beyond the universality of questions through the process of deepening the question in life, not the answer, and reflecting on Laozi s aesthetic ideas.

      • KCI등재

        미적 체험의 도덕교육적 함의

        도홍찬(Do Hong Chan) 한국도덕윤리과교육학회 2012 도덕윤리과교육 Vol.- No.37

        세계의 고통이 심화되고, 학교교육이 위기에 처한 오늘날 예술의 가치는 특별히 요청된다. 상상력과 공감을 통해서 예술은 문제의 본질을 통찰할 수 있기 때문이다. 또한 그것의 쾌락 적 기능으로 인하여 예술은 학습을 즐겁게 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예술이 형상화하는 미적 가치와 그 내용이 주는 효과로서 도덕적 가치의 관계는 다양한 유형을 띄고 있다. 도덕교육 적 관점에서 유의미한 시사점을 받을 수 있는 입장은 대표적으로 도덕주의와 반도덕주의라고 할 수 있다. 도덕주의는 미적 가치와 도덕적 가치의 밀접한 연관성에 주목한다. 극단적 도덕 주의는 예술적 내용이 유발하는 도덕적 효과를 기준으로 모든 예술작품의 가치를 판단한다. 이에 비하여 온건한 도덕주의는 특정한 작품이 구현하고 있는 도덕적 장점이나 결함이 미적 장점이나 결함으로 연결될 수 있다고 생각한다. 반면에 반도덕주의는 오히려 예술적 내용으 로서 반도덕성이 미적 장점이 될 수 있으며, 진부한 도덕적 메시지는 작품의 미적 효과를 떨 어뜨린다고 주장한다. 이러한 논의들은 도덕성의 본질에 대한 성찰과 도덕교육적 시사점을 가진다. 예술작품, 특히 문학의 관점으로 보았을 때, 도덕성은 인지․정서․행위의 통합체라 는 것이 더욱 분명하게 부각된다. 예술작품을 도덕교육적으로 활용할 때 인지적 측면에서 장 점은 인지능력이 정교화, 심화된다는 것이고, 정서적 측면에서 도덕적 민감성과 공감능력이 향상된다는 것이며, 행위적 측면에서는 시뮬레이션으로서 도덕적 상상을 통한 행위의 계획과 조율에 있다. Today, aesthetic values are especially required considering the misery of world and the crisis of school education. We can deeply see the bottom of today's problems with aesthetic activities which provide imagination and empathy. Also, we can enjoy the study, because arts give us varieties of pleasure. The relation between aesthetic values and moral values has been widely discussed. Especially moralism and immoralism are important from the perspective of morality and moral education. Strong moralism evaluates every works on the basis of the moral values which are included in the content of artworks. Moderate moralism, on the other hands, links moral merits and demerits to aesthetic merits and demerits at certain artworks which represent moral views. But, immoralism thinks the other way. Immoral contents of artwork can contributes to aesthetic values at some case. These debates can highlight on the morality and moral education. Morality is integrity of cognition, emotion and action especially with the lens of artistic experiences. And moral education can get benefits from art based education in 1) the refining and deepening of moral cognition, 2) the development of moral sensitivity and empathy, and 3) the planning and control of moral action through the simulation and moral imagination.

      • KCI등재

        과학의 미적 가치 인식에 대한 학습자의 응답에 대한 네트워크 및 감성 분석과 머신 러닝을 활용한 탐색적 예측 평가

        조헌국(Hunkoog Jho)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18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18 No.20

        본 연구는 학습자의 과학의 미적 가치에 대한 인식을 조사하고, 그 결과를 네트워크 분석 및 감성 분석을 실시해 그 특징을 표현하였다. 또한 과학의 본성과 기술의 본성의 하위 10개 요인들이 과학의 미적 가치 인식을 얼마나 잘 예측할 수 있는지 머신 러닝을 활용하여 그 가능성을 탐색하였다. 이에 2017년 1학기 과학교양 강의를 이수한 생명과학계열 전공 88명의 학생들을 대상으로 5점 리커트 척도로 구성된 과학의 본성, 기술의 본성 설문 조사와 개방형 문항으로 구성된 과학의 미적 가치에 대한 인식을 수행하도록 하였다. 희소 어휘를 제외하고 65개의 어휘로 구성된 네트워크 분석을 통해 감정과 느낌 등 미적 가치의 외적 속성을 중심으로 인식하는 경향이 있음을 파악하였다. 또한 대칭, 단순, 조화, 균형 등 내적 속성에 대해서는 오히려 부정적으로 인식하고 있었다. 감성 분석 결과 또한 외적 속성에 대해 더 주목하는 경향 을 나타냈다. 과학 및 기술의 본성을 중심으로 한 과학의 미적 가치에 대한 예측 모형 구성은 k-근접 이웃 알고리즘, 서포트 벡터 머신, 분류 트리, 랜덤 포레스트, 그래 디언트부스팅, 인공 신경망 모두 신뢰할만한 결과를 얻지 못하였다. 이를 토대로 본 연구는 과학의 미적 가치 인식에 대한 특징과 그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대한 탐색, 머신 러닝을 활용한 과학교육의 활용 가능성에 대해 시사점을 제공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students ’ perceptions about the aesthetic features of science through network and sentiment analysis, and to evaluate models to predict their perceptions by machine learning in an exploratory way. In this study, a total of 88 students were asked to answer the questionnaires on the nature of science, the nature of technology, and the aesthetic features of science. Semantic network analysis revealed that the students were more inclined to external features of aesthetics whereas internal features such as simplicity and harmony were considered as negative. Sentiment analysis also showed the similar results. The predictive models for students ’ perceptions were developed using k-nearest neighbor, support vector machine, decision tree, random forest, gradient boosting, and artificial neural network. However, all the models did not acquire successful outcomes. Based on the results, this study gave some implications for the exploration of influential factors on the aesthetic perception and the possibilities for applying machine learning to science education.

      • 박물관교육 참여자의 회상을 통해 본 미적경험 연구

        권남희 한국박물관교육학회 2017 박물관교육연구 Vol.- No.17

        Dewey(1934)는 의미 있는 경험은 지적이며, 지적경험을 위해서는 미적인 특징을 가지고 있어야 한다고 언급했다. 박물관은 이러한 의미 있는 경험을 만들기에 적합한 교육의 장으로, 박물관에서 미적경험이 지니는 의미를 박물관교육 참여자의 ‘회상’을 통해 분석해 봄으로써 박물관이 지니는 미적경험의 의미를 밝히고, 보다 유의미한 박물관에서의 미적경험을 제공하고자 한다. 이를 위한 연구 방법으로 John H. Falk & Lynn D. Dierking(1992)의 맥락적학습모형(contextual model of learning)과 Noël Carroll(2006)이 분류한 미적경험 유형인 정서 지향적, 인식론적, 가치론적, 내용 지향적 경험을 적용하여 연구자가 2002년부터 2006년까지 근무하였던 A, B, C 미술관교육 참여자를 추적하여 심층면담을 통한 질적 사례 연구로 진행했다. 그 결과 박물관을 이루는 다양한 요소와 미적경험의 특질에 따라 내용을 구분하기 보다는 정서와 인지를 통해 가치를 발견해 가는 학습의 과정으로 이해하는 것이 미적경험을 완성해 가는 것이라는 점을 발견할 수 있었다. 본 연구는 현재도 진행되고 있으며, 박물관에서의 미적경험에 대한 범주와 개념정리를 박물관교육 참여자의 회상과 평가로 찾아보고자 했던 것에 의미가 있다. 더욱이 포트폴리오를 통한 접근은 연구 참여자들이 박물관교육에 참여한지 10여년이 지난 지금에도 보관하고 있다는 것 자체가 박물관경험의 가치를 확인해 준다고 할 수 있다. 포트폴리오는 교육의 평가적 측면에서도 다양하게 활용이 가능함으로 박물관의 미적경험 강화에 있어서 장기적이고 지속적인 계획 아래, 제작하여 적용할 것을 제언한다. Dewey (1934) noted that a meaningful experience is intellectual and that an intellectual experience should have aesthetic characteristics. In the concept of a museum as a place of education appropriate for making such a meaningful experience, this study would provide a more significant aesthetic experience at the museum by analyzing the meaning of the aesthetic experience in the museum through the ‘retrospection’ of participants in museum education. As research methods for this, this study was conducted as a qualitative case study through an in-depth interview, applying the contextual model of learning of John H. Falk & Lynn D. Dierking (1992) and the types of aesthetic experiences, including affect-oriented, epistemological, axiological and content-oriented approaches, classified by Noël Carroll (2006), tracing participants in the education in Art Museum A, B and C for which the researcher had worked from 2002 through 2006. As a result, it could be found that understanding the process as a process of learning in which they would discover values through emotion and cognition would be the completion of a more aesthetic experience, rather than classifying the contents according to various elements constituting the museum and the features of the aesthetic experience. This study is ongoing, which has a significance that it would look for the categorization and conceptualization of the aesthetic experience in the museum through the memories and evaluations of the participants in the education. Moreover, concerning the approach through a portfolio, judging from the fact that the research participants still keep the educational materials of the museum more than 10 years later, the values of the museum experience could be found, and those materials can be utilized in various ways in terms of the evaluation of education as well. Thus, this study suggests the production of a portfolio under long-term and continuous planning for improving the aesthetic experience in the museum.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