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시각 장애인을 위한 미술교육 프로그램 개발 연구 : ‘보지 못하는 것을 보다’

        장용석(Chang, Yong Sock) 한국미술교육학회 2020 美術敎育論叢 Vol.34 No.2

        본 연구의 목적은 시각 장애인들을 위한 미술교육 프로그램을 만드는 것이다. 특히 감각(haptic)을 기르는데 중점을 두었다. 과거 미술교육에서는 시각(視覺, visual sense)을 전제로 한 미술교육 프로그램을 만들었다. 그 이후 시각 문화(visual culture)가 미술교육에 도입이 되었다. 그리고 근래에는 미술의 영역이 시각을 넘어 다른 감각(촉각, 청각, 후각)을 미술에 포함하고 있다. 이런 개념을 포함 것이 material culture 이다. 이 material culture에서 미술의 개념은 시각을 넘어 다양한 영역과 감각을 포함하고 있다. 이와 같이 ‘확장된 미술 개념’을 기반으로 미술교육에서도 시각적 능력이 다소 부족하거나 어려움을 겪고 있는 시각 장애인들을 위한 미술교육도 받아들여지고 있으며 그 필요성이 인정되고 있다. 같은 맥락에서 본 연구에서는 시각 보다는 ‘촉각’, ‘청각’을 위주로 한 미술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하였다. 기존의 미술교육 프로그램은 정상안인(正常眼人: normal eyes) 미술교육자나 화가들의 입장에서 만들어진 것들이 많았다. 하지만 본 연구에서는 실제 시각 장애인과 장애인 교사들의 경험과 요구를 반영하여 개발하고자 하였다. 본 미술교육 프로그램은 시각 장애인들을 위해서 개발되었지만 일반 학생들에게도 충분히 적용 가능하고 교육적 의미가 있다. 앞으로 예술교육에서는 장애가 더 이상 걸림돌이 되지 않고 장애인을 위한 많은 프로그램과 교육이 활성화되기를 희망한다. The object of this article is to make art education programs for the blind. In the past, most art education programs were made based on the visual sense. After that, visual culture was introduced into art education. The field of art has recently embraced other senses (tactile, auditory, and olfactory) in visual arts. This includes the concept of material culture. This material culture contains not only the concept of (visual) art but also various fields and senses. In this way, art education for the visually impaired, which lacks visual ability or difficulties in arts education, is accepted and recognized as a necessity based on the extended (visual) art concept . In the same context, this study developed an art education program focusing on tactile and auditory rather than visual sense. Previous art programs were made from the standpoint of art educators and painters who are normal. However, in this study, we developed the program reflecting the experiences and needs of teachers and students who are blind. In fact, the art program was applied to students with visual impairments and confirmed its educational effects. This art program was developed for the visually impaired but it is also applicable to general students and has educational significance. In the future, I hope that disability will no longer be a stumbling block in art education and that many programs and education for the disabled will be revitalized.

      • KCI등재

        일본의 민간미술교육운동이 미술교육발전에 미친 사회문화적 영향

        김성숙 한국문화교육학회 2015 문화예술교육연구 Vol.10 No.1

        이 연구는 한국의 미술과교육과정에 지속적인 영향을 미쳐 온 일본의 미술교육발전의 근저에는 여러 민간미술교육단체들의 공헌이 컸다는 점에 주목하여, 그들의 활동상황을 사적으로 고찰, 일본의 민간미술교육운동이 미술교육 발전에 미친 사회문화적 영향을 밝히고, 한국 미술교육 발전에 시사점을 얻고자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일본의 주요 미술교육관련 학회와 협회, 연구회의 운동과 활동들을 역사적으로 개관하고, 그러한 미술교육운동과 활동들이 일본의 미술교육의 발전에 기여한 부분을 사회문화적 맥락에서 고찰하였다. 연구 결과, 민간미술교육운동과정에서 일어났던 여러 주장이나 내용은 후에 일본의 교육과정에 반영되어 학교교육에 적용되었고, 그들의 미술교육에 대한 노력과 실천․사고방식의 축적은 미술교육의 발전에 기반이 되고 큰 원동력이 되었음을 알 수 있었다. 일본은 지난 60여 년간, 민간미술교육운동이나 연구회, 학회, 연맹 등에 의해 주도되고 축적해온 미술교육의 지적‧정신적 유산을 후세에 계승‧발전시켜가기 위해, 현재도 다양한 민간미술교육단체가 활동을 계속하며 더욱 체계적인 작업을 전개하고 있다. 이러한 사실은 사회문화적 맥락에서 한국의 미술교육관계자들에게 시사하는 바가 크다. Focusing on the significant contribution of various civil art education groups in the advancement of Japan's art education that has been influencing the art curriculum of Korea,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review their activities and reveal the sociocultural influence of Japan's civil art education movement on the advancement of art education to obtain implications for the advancement of art education of Korea. Accordingly, it reviewed the history, activities and movements of major art education related societies, association and research groups of Japan to examine in the social and cultural context the areas of contribution made by such art education movements and activities to the advancement of art education in Japan. The study result showed that various assertions or contents that occurred during the process of civil art education movement were later reflected in the National Art Curriculum of Japan and applied to school education, and the accumulation of their efforts, practices and way of thinking regarding art education became a foundation and a significant driving force of the advancement of art education in Japan. For the purpose of succession and advancement of the intellectual and spiritual heritage of Japan's art education that has been led and accumulated by civil art education movement or research groups, societies and federations for the last six decades, various civil art education groups are still continuing their activities to carry out more systematic work. Such fact has a significant implication in the social and cultural context to persons related to art education of Korea.

      • KCI등재

        지역사회 미술 교육을 통한 미술 멘토링의 기대 가치와 경험 고찰

        김형숙(Hyungsook Kim),이재예(Jaeye Lee) 한국미술교육학회 2015 美術敎育論叢 Vol.29 No.3

        This study examines art mentoring through community-based art education, which is focused on drawing activated plans of art mentoring by analyzing the program participants’ expected value and verifying program effectiveness based on participants’ experiences. The existing researches on mentoring are apt to attach weight to numerical analysis for verifying the effectiveness of the mentoring project, which is based on quantitative data analysis. These existing researches have some problems which are in discord with the research results and participants’experiences, and to address these issues, this research first observed the program participants and recorded, interviewed, and analyzed their opinions and experiences. Second, this study investigates the process of participants’ experiences through qualitative research. Finally, this study proposes the importance of the social justice of art education through mentoring cases in the field of art. This study is a qualitative research on art mentoring, which has not been fully discussed in art education, and this study explores the educational value of the preservice programs of art teachers, character education, and social justice in art education 본 연구는 멘토링을 통한 지역사회 미술 교육에 참여한 구성원들의 기대 가치와 경험들을 고찰하고 이를 통한 프로그램의 효과성 검증과 교육적 의미를 도출하는 것에 목적을 둔다. 멘토링에 관한 기존 연구는 양적자료 분석을 바탕으로 수치적 해석에 치중하고 있는 경향이 있다. 이러한 연구들은 연구결과와 참가자들의 경험이 일치하지않는 문제가 제기되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연구자가 기획 및 실행한 프로그램을 바탕으로, 참여 구성원들을 심층 면담하여 미술 멘토링에 대한 기대 가치를 분석하고, 경험의 질적 연구를 통해 참여자들의 변화된 경험을 탐구하고자 한다. 마지막으로 미술 멘토링 프로그램이 미술교육에 미치는 영향과 교육적 함의에 대해 다층적으로 논의해 보고자 한다. 이 연구는 미술 분야에서 아직까지 활성화되지 않은 멘토링에 대해 질적 연구를 바탕으로 분석하여, 예비 미술교사교육과 인성교육으로서의 교육적 가치를 발굴하고, 미술교육에서의 사회적 역할과 정당성을 뒷받침하는데 그 중요성이 있다.

      • KCI등재

        국내ㆍ외 미술영재 교육 프로그램의 비교 분석 - 중ㆍ고등학생 대상 프로그램 중심으로

        김정희(Kim Jeung-Hee) 한국미술교육학회 2006 美術敎育論叢 Vol.20 No.3

          우리나라에서 시행되고 있는 미술영재 교육의 실태를 분석하기 위해 시 교육청 지정 미술영재 교육 프로그램 운영학교인 4개의 고등학교와 2개의 예술 고등학교의 미술영재 교육 프로그램의 내용과 운영을 분석하였다. 또한 외국의 3개 미술영재 교육 기관에서 운영하는 교육 프로그램의 내용과 운영을 분석하여 국내 미술영재 교육에 시사하는 바를 살펴보았다. 4개 고등학교에서 미술영재 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운영을 담당한 교사와의 인터뷰, 문서화된 미술영재 교육 프로그램, 참여한 학생들과의 인터뷰 내용을 기초 자료로 분석하였다. 본고에서는 국내ㆍ외 미술영재 교육 프로그램 각각의 특성을 운영과 교육 내용 측면에서 분석하고 비교하여 이를 기초로 미술영재 교육 프로그램 개발과 운영 방안을 제안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actual conditions of the education for the art talented students. The education programs at 4 high schools and 2 art high schools are analyzed and 3 programs at foreign country(Greenville County"s Public school for the Literay Performimng & Visual Art, The South Carolina Governor"s School for the Arts and Humanities, Israel Art and Science Academy). Analisis focused on the contents and management of programs. This study treats how we have to develope the educational program for the art talented students and what is a point to be considered. The program of Greenville County"s Public school for the Literay Performimng & Visual Art are similar with the program for or the art talented students at high school in Korea that"s the kind of supplementary lessons. But the programs of the South Carolina Governor"s School for the Arts and Humanities and Israel Art and Science Academy are very suggestive specially a viewpoint of interdisciplinary education. This educational institutions"s curriculum can be a model for the art high schools and for the studio art program in university.

      • KCI등재

        Multicultural Art Education for Social Justice - An Equitable Path to Prosperity for Korea -

        장용석 한국초등미술교육학회 2013 미술교육연구논총 Vol.34 No.-

        This paper considers what art education can contribute to cultural change within Korean society and its education system. Korea experienced rapid economic growth and social change after the Korean War. Paralleling this economic growth and societal change, the Korean art education system has also changed and developed. Mainly affected by Western art education, the Korean art education system is becoming an amalgamation of creative self expressionism, Discipline-Based Art Education (DBAE), and traditional Korean art practices (Park, 2002, 2008). Not always based on the changes and developments in Korean society, Korean art education is a compilation of varying art education theories emanating from the United States. With the newer social challenges facing Korea, such as an increasingly foreign population, a low birth rate, and racism, current Korean society, education,and art education are under a strain. To manage these concerns, Korean art education needs to revise goals and to engage Korea’s increasing cultural diversity. This paper examines Korean history with its various past cultural influences and changing perspectives about art education and conclude that why Korean art education needs to embrace multiculturalism and social justice. I consider how art education for social justice has ideals that can be modified, updated, and adapted in a re-envisioned approach to art education in Korea. I believe that art education for social justice could be beneficial in bridging not only the racial differences faced by Koreans but also the rampant socio-economic inequality. 본 연구는 미래 한국 사회의 발전 및 번영을 위해서 앞으로 어떤 미술교육이 적합할것인가에 대한 탐구로부터 시작한다. 한국미술교육도 이러한 사회 변화와 함께 발전해왔다. 일본식민지 시대 및 한국 전쟁 이후 주로 미국을 통한 서양 미술교육의 영향을크게 받았다. 현재는 한국미술교육은 여러 미술교육 사조가 합쳐진 상태가 되었다. 이러한 현상이 일어난 데에는 여러 가지 이유가 있을 수 있으나 한국 전쟁 이후 미국 미술교육의 영향을 받은 것이 가장 크다고 할 수 있다. 21세기 한국은 이제 또 다른 사회변화에 직면하고 있다. 심화되는 국제화, 출산율 저하와 그에 따른 젊은 노동인구 감소, 노령인구 증가, 급속한 외국인 인구 유입, 국제결혼 증가, 한국경제의 대외 의존율증가, 높은 자살률, 심화되는 계층 간의 갈등 등은 예전과 전혀 다른 문제를 야기하고있다. 이러한 사회 현상에 부합하는 미술교육을 지향하기 위해서 예전과 다른 미술교육 패러다임이 필요하다. 이에 따라 본 연구에서는 한국 사회변화와 그에 따른 한국미술교육이 어떻게 변화되었는지를 고찰하였다. 그리고 여러 다문화 교육학자들과 미술학자들의 다문화교육에 대한 중심 개념을 분석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한국 실정에맞는 다문화 교육 개념을 제시하고자 한다. 특히, 인종적 다양성뿐만 아니라 지방(local)과 국제적(global)관계를 이해하고, 증가되는 여러 사회, 문화적 충돌과 불평등(inequality)에 대한 바른 이해에 중점을 두고자 하였다.

      • KCI등재

        교과교육으로서의 미술교육, 수업을 위한 방법론적 접근

        류지영 한국초등미술교육학회 2013 미술교육연구논총 Vol.35 No.-

        This paper is considered that school art education has the potential as an intellectual training for school curriculum. I try to research a methodological guidance to the school art classes. For that, 2011 revision Korean national art curriculum was considered. The new curriculum is not much different from the present curriculum, because it doesn't have the guidance for methodology of teaching as like as present curriculum. And I tried the school field studies through a few cases so some problems of school art education are turned out in the class. The purposes in the class look unclear therefore students' activity seemed futile. I have thought that's why the teachers did not recognize teaching methodology. It is necessary to consider the importance of a methodological approach on class for school curriculum. Art appreciate education is important for that. The concrete approach for guidance method comes to change simultaneously with this by the class purpose. A methodological approach is demanded in the research on teaching, for practicing standpoint of art education for school curriculum. In art class, students is often considered to do creative activities and this is very important point. But another purpose of the class is required for an art class in public school curriculum. To encourage poor self-express to children through art can't help them. Ultimately We have to discuss and configure the purpose and method of art education as school curriculum, for art education improving. 교과교육으로서 미술수업에서는 학습자의 창의적인 활동이나 문화예술교육으로서의 역할도 중요하지만, 일반교육 및 공교육으로서 미술교육의 내적 가능성에 대한 인식이 필요하다. 이는 수업의 목적과 연결되는 미술교육의 의의이며 또한 이를 이루게하는 방법으로서 수업의 방법론에 대해 인식해야 한다. 미술을 통해 자기 표출만이 아니라 미술의 다양한 표현 방법들을 배우고 이해하며 그 과정에서 통찰을 통해 자신에게 적합한 표현 방법을 선택하는 것, 이를 통한 미술의 이해는 미술교육의 중요한 목적 중의 하나이다. 교과교육에서는 미술을 다양한 관점에서 통찰할 수 있는 능력을,축적되는 학습을 통해 기르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본 연구에서는 방법론적 측면을 중심으로 교과교육으로서 미술교육의 성격과 내용을 알아보고, 초등학교를 중심으로 하여 학교 수업으로서 이루어지는 미술교과교육의 현상 및 문제점을 사례연구를 통해 살펴보고 미술교육의 방향을 탐색하고자 한다. 미술의, 미술을 통한 살아있다는 감각,이를 지탱하는 미술적 자유, 그리고 무엇보다도 이를 가능하게 하는, 교과로서의 합리주의적 사고와 이에 대한 인식, 교과 교육으로서 미술교육의 방향과 가능성에 대한 탐색이 필요하다.

      • KCI등재

        미술과 지도에 대한 예비 초등교사들의 어려움에 대한 연구 - 3․4학년 교과서를 중심으로 -

        김해경 한국초등미술교육학회 2011 미술교육연구논총 Vol.29 No.-

        As domestic and global environment change, Korean National Curriculum has been revised several times. In 2007, Korean National Curriculum was revised once more to meet learners' needs and interests. According to the Revised Korean National Curriculum, new textbooks were published and disseminated from 2009. While I have taught art education methods to pre-service elementary school teachers, I found there are certain chapters in art textbooks that many pre-service teachers try to avoid using for their simulation teaching. It is hard to expect that pre-service teachers will provide high quality lessons of the tall chapters which are equally important to promote children's artistic development if they are unwilling to teach certain chapters. To research on which chapters of the new art textbook pre-service teachers are unwilling to teach and the reason that they avoid teaching certain chapters will become a useful data to understand pre-service teachers' difficulty, fear, and awkwardness to teach art. Based on the analysis of pre-service teachers' reaction to the new art textbook, the curriculum of National Universities of Education can be examined. To study pre-service teachers’ readiness to teach the new art textbook, three questions were asked; 1) which chapter are you unwilling to teach in the new art textbook? 2) why are you unwilling to teach the chapter? 3) Is there an art class that you think the university has to offer for someone like you? According to the analysis of pre-service teachers’answers, appreciation and Korean traditional art are big load to teach the new art textbook. In order to help pre-service teachers to have confidence to teach appreciation and Korean traditional art, National Universities of Education can adjust studio classes and theoretical classes to the curriculum and textbooks for elementary school. Also, an art education methods class needs to cover how to appreciate art and how to teach appreciation. 2007 개정 교육과정에 근거해 개발된 새 교과서들은 2009년부터 적용되기 시작해 2011년 올해 초등학교 전 학년에 걸쳐 사용되고 있다. 현재 교육대학교에 재학 중인 예비 초등교사들이 발령을 받게 되면 새로 개발된 교과서로 학생들을 지도하게 될 것이다. 새 미술교과서에 대한 예비 초등교사들의 반응에 대해 연구하여 교육대학교 미술과 관련 교육과정에 반영한다면 예비 초등교사들이 질 높은 미술교육을 제공하는데 도움이 될 것이다. 이를 위해, 예비 초등교사들에게 새 미술교과서에서 가장 가르치고 싶지 않은 단원과 그 이유를 물었다. 또 그 단원을 잘 가르치기 위해 교육대학교 교육과정에 포함시켜야 한다고 생각되는 미술과 관련 수업에 대해 조사하였다. 그 결과 예비 초등교사들은 감상 방법과 감상 지도방법, 미술 관련 지식 부족 등의 이유로 감상 단원을 가르치고 싶어 하지 않는 것으로 드러났다. 또한 전통미술에 대한 지식과 기능의 부족, 정의적 영역에 해당하는 단원 목표 달성의 어려움 때문에 전통미술 관련 단원 지도를 꺼려하는 것으로 밝혀졌다.

      • KCI등재

        2015 개정 중등 미술교과서의 사진단원 분석을 통한 사진교육에 대한 고찰

        박상돈(Park, Sang Dorn) 한국미술교육학회 2019 美術敎育論叢 Vol.33 No.2

        본 연구는 2015 개정 미술과 교육과정이 적용된 중ㆍ고등학교 미술 교과서에서 사진교육 단원을 단원명, 학습 목표, 주요 내용을 중심으로 분류하고 분석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현재 우리 미술교육에서의 사진교육에 대해 고찰하고 미술교육에서 사진교육의 질적 성장을 도모할 수 있는 논의점을 유추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파악된 중등 미술교과서에서의 사진교육은 사진을 미술 표현의 방법 혹은 매체로 활용하여 본질주의적 관점의 미술교육의 도구로 활용하고 있다는 점이다. 이는 상대적으로 비판적 관점의 사진교육에 관한 확장적 논의가 필요함을 인식하게 한다. 또한 본 연구에서는 영상의 한 형식으로써 사진, 사진 표현 방법에 관한 검토, 반복적 사진교육 내용 구성이라는 추가적 고려점이 파악되었다. 이러한 관점과 고려점은 미술교육에서의 사진교육의 한계임과 동시에 발전적 방안을 유추해 낼 수 있는 기제로써 작용한다. 향후 우리의 미술교육에서는 이를 사진교육의 질적 성장과 새로운 방향성을 형성할 수 있는 계기로 삼아야 할 것이다. This study classified and analyzed the photography education unit in the middle school and high school art textbooks, which adopted the 2015 revised art education curriculum, based on the unit title, learning objectives and main contents. Based on this, the paper aimed at studying photography in current art education and drawing key focuses of its qualitative advancement. Photography education in the middle school and high school art textbooks analyzed in this study uses photographs as the method or the form of art expression, making it as the tool of art education from the essentialist perspective. This makes us to recognize the necessity of extensive discussions on photography education from a relatively critical viewpoint. Additional consideration points of photography in art education discovered through this study are photographs as one form of video, review of expression methods of photographs, and repetitive composition of photography education contents. Such viewpoint and considerations work as a limitation of photography in art education and a mechanism to infer a progressive method at the same time. In future, art education of Korea must use this as an opportunity of learning a lesson from negatives to form qualitative development and a new direction photography education in art education.

      • KCI등재

        자연미술 작품을 활용한 초등 환경미술교육 지도 방안

        문채영,이상원 서울교육대학교 초등교육연구원 2018 한국초등교육 Vol.29 No.1

        This study sought the guidance for environment art education utilizing natural art by examining the contents, direction, and role of environmental education and arts education based on 2009 and 2015 revised curriculum of elementary schools. For the concrete way of teaching methods utilizing natural arts in environmental arts education, the 2009 and 2015 revised curriculum was analysed in order to investigate how much the curriculum included contents of environment. For guidance, a plan for teaching and learning was developed depending on the areas of ‘Experience, Expression, Appreciation’, which has the contents of the 2015 revised art curriculum. The conclusion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for the effective guidance of ‘Experience’ area, students should enhance an aesthetic perspective through direct experience of the activities in their life and help to understand the communication style of art and take advantage of them. Also, the link should be considered between ‘Expression and Appreciation’ area before establishing a teaching plan. Second, for the effective guidance of ‘Expression’ area, increasing the motivation of students should be needed through utilizing a variety materials and methods. Also, environmental issues need to be considered in the planning expression activities for effective environmental education in art curriculum. Third, for the effective guidance of ‘Appreciation’ area, it is important to utilize environmental activist, environmental art such as environment-related information and anecdotes and related to the learning contents for increasing student's interest and concern for environmental issues. Also, it should be considered to utilize a variety of viewing perspective like subject, formative elements and principles and environmental and socio-culture background in order to have a comprehensive discernment. In this regard, it is necessary to have an in-depth study on the fact that the contents of the practice and activity are related to the ideology of environmental education. Therefore, further research on the teaching and learning activities are needed. 본 연구는 초등학교 2009 및 2015 개정교육과정을 바탕으로 환경교육 및 환경미술교육의 내용과방향, 역할을 고찰함으로써 자연미술 작품을 활용한 환경미술교육 지도 방안을 모색하였다. 이를 위해2009 개정교육과정 미술 교과서와 지도서, 2015 개정 미술과 교육과정을 분석하여 교육과정 내에 환경교육 내용의 반영 정도를 확인하여 도출된 시사점을 토대로 자연미술 작품을 활용한 환경미술교육 지도방안을 구체화 하였다. 지도방안은 2015 개정 미술과 교육과정의 내용영역인 체험, 표현, 감상영역에따라 교수·학습 지도안을 개발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얻은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체험영역의 효과적인 지도를 위해서는 먼저 학생들이 생활 속에서의 직접적인 체험활동을 통하여 미적 안목을 기를 수있도록 미술의 소통 방식을 활용하고 이해할 수 있도록 해야 한다. 또한 교수ㆍ학습 계획을 수립하는단계에서부터 표현 및 감상영역과의 연계성을 고려해야 할 것이다. 둘째, 표현영역의 효과적인 지도를위해서는 먼저 다양한 방법과 자료를 활용한 발상 지도를 통하여 학생의 표현 동기를 높여야하며 표현활동을 계획하는 단계에서 환경문제를 고려하게 함으로서 미술과 내에서 환경교육이 효과적으로 이루어 질 수 있도록 해야 한다. 셋째, 감상영역에서 교수·학습 지도 시 학습내용과 관련된 환경 운동가, 환경미술 작품, 환경 관련 정보와 일화 등을 활용하여 환경문제에 대한 흥미와 관심을 가지게 해야 하며, 표현방법, 주제, 조형 요소와 조형 원리, 사회 문화적 및 환경적 배경 등 다양한 감상의 관점을 활용하여 학생들이 종합적인 안목을 가질 수 있도록 해야 한다. 본 연구의 결과를 종합해 보면, 미술교육은자연에 대한 기본적인 감성교육과 직접적으로 연결되며 나아가 자연환경과 인공환경의 조화를 중심으로 한 본질, 자연 속에서의 인간의 존재방식 등과 연계됨으로써, 그 실천 및 활동 내용에 있어서 환경교육의 이념과 서로 통하는 부분이 적지 않다는 점에서 이에 대해 깊이 있는 고찰이 필요하다고 생각됨으로 이와 관련된 보다 심층적인 연구와 교수·학습 활동에 대한 후속적인 연구가 필요하다.

      • KCI등재

        자연미술의 이해와 지도의 실제 사례연구 : 초등학교 미술교과를 중심으로

        강주희 한국문화교육학회 2012 문화예술교육연구 Vol.7 No.2

        In urbanized information age, we have been isolated from the natural environment with loss of human dignity. The fundamental solution in this situation is for us to recover close relationship with nature as well as form holistic/ecological world view pursuing nature-friendly life style. Arts help us not only to reflect our ways of life but also to discuss relationship between human and nature, human and human, and human and society. Especially, nature art, an art genre using natural resources based on interrelationship between human and nature, leads us to introspect the relationship with nature as an action of the ecological approach. Nature art requires sensuous experiences in nature to explore and understanding it rather than the process of planning rather. It is based on intuitive ideas of art making from direct and actual experiences in nature. In this sense, nature art is appropriate to teach in an elementary school for children interested in direct and authentic learning experiences. Although for schools located in urban area it is hard to provide students a variety of experiences in nature, we could still use natural resources in everyday life such as small trees, stones, sands, and birds. This might be more meaningful for students to realize that we live with nature. Lastly, nature art in art education should develop ecological world view as well as expansion of media for arts, experimental art making, and a variety of artistic experiences. 자연미술은 작가가 직접 자연 속에 녹아들어 감각적 체험을 통해 받은 영감을 바탕으로 한 작품을 말하며, 자연물, 자연환경, 또는 자연현상을 매체로 사용하는 것이 특징이다. 작품은 시간적•공간적 현장성을 지니기 때문에 시간의 흐름에 따른 자연현상에 의한 변화까지도 작품의 일부로 수용하는 것이 일반적이며, 작품은 사진이나 동영상을 통해 기록되어 전시된다. 또한, 자연미술은 자연과 괴리되어 살아가고 있는 현대 사회의 학생들에게 감각적 체험을 통해 자연이 우리와 공존하고 있는 존재로 일깨워줌과 동시에 자연의 생명력에 대한 존중감과 환경지식, 그리고 환경을 보호하고자 하는 환경의식을 형성하도록 도와준다. 이러한 맥락에서 본고에서는 자연미술에 대한 이해를 바탕으로 자연미술교육에 대한 교육적 가치와 방법을 논하고, 실제 지도 사례를 살펴보았다. 초등학교 4,5,6학년 미술영재학생들을 대상으로 ‘자연과 미술’이라는 주제로 자연미술교육프로그램을 2박3일간 진행하였다. 본 프로그램은 자연미술의 이해를 위한 감상활동, 자연과의 깊이 있는 교감을 위한 미적체험활동, 자연과의 조화를 통한 표현활동으로 구성되었다. 각각의 활동을 통해서 자연에 대한 새로운 시각을 갖게 됨과 동시에 자연과의 의미있는 관계를 형성하게 된다. 그러나 단기간의 교육에는 한계가 있으며, 학생들이 자연의 미적 가치를 이해하고, 표현하는데 자연을 섬세하게 관찰하고 탐구•경험할 수 있는 충분한 시간이 필요하며, 작품의 결과보다는 그 과정을 즐기도록 해 줄 필요가 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