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펼치기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결혼 이민자를 위한 한국어 교육에서의 문화 교육 -연구 및 교육의 실태와 개선 방안-

        김서형 ( Seo Hyung Kim ) 청람어문교육학회(구 청람어문학회) 2015 청람어문교육 Vol.55 No.-

        결혼 이민자는 (예비) 한국인으로서 한국어 모어 화자에 근접하는 수준으로 한국어와 문화를 익혀야 한다. 따라서 이들을 위한 문화 교육은 한국 문화와 모국 문화를 이해하고 존중하여 평등을 지향하는 다문화 교육의 관점에서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그러나 지금까지 이들의 특수성이 고려된 연구가 그리 많지 않았다. 또 한국의 언어와 문화는 내재화를 목표로 해야 함에도 불구하고, 한국어 교재에서의 문화 교육은 대부분 정보전달 차원에서 한국 문화 인식과 이해를 목표로 하고 있다. 따라서 이 연구에서는 결혼 이민자를 위한 문화 교육을 위해 기본 원리와 세부 6가지 원칙을 설정하였다. 학습자 중심 교육의 원리 하에 다문화 교육 관점에서의 문화 교육, 언어 교육과의 연계성을 고려해 문화 교육, 학습자 생활환경을 고려한 문화 내용 선정, 실제성 있는 문화 내용, 내재화를 위한 문화 연습 활동 마련, 문화 교수의 다양화를 위한 대화문 제시 방식을 제안하였다. Marriage emigrants need to learn Korean language and culture near enough to Korean natives. Therefore teaching Korean culture to marriage emigrants pursues multi-cultual approach which aims to understand similarities and differences between Korean and their native culture. However, there are few researches considering their property. Nevertheless the education goal for Marriage emigrants should be internalization of Korean language and culture, most teaching materials has been made in way to simply convey information. This study suggests that teaching Korean cultures to marriage emigrants are taught under following ground principal; learner-centered teaching approach and six rules; based on multi-cultural prospective, accompany education of language and culture, from an early stag, contents containing marriage emigrant’ life environment, contents, real culture contents, internalization of culture education contents, diversity of teaching culture.

      • KCI등재

        문화도시와 로컬 거버넌스: 패러다임 전환은 진행 중인가?

        이선향 ( Lee Sunhyang ) 한국사회역사학회 2021 담론 201 Vol.24 No.2

        문화도시 정책이 정부의 지원을 통해, 다시 말하면 사회적 자원의 재분배를 통해 사회구성원의 직접적인 삶의 환경을 바꾸는 문제가 된다면, 문화도시 정책의 정치과정에 대한 정치적 관점의 분석이 중요하다. 문화도시의 정치적 목표는 무엇인가? 문화도시를 위한 목표와 방향은 무엇인가? 무엇을 위한 정부사업이고, 그 영향은 어떻게 나타나고 있는가? 시민의 문화권이 실현되고, 시민이 문화활동의 주체로 살아가는 사회적 공간이 문화도시라고 한다면, 즉 단지 유명한 관광도시의 수준을 넘어 ‘과거와 현재, 여기’ 사는 사람들의 역사가 쌓여 문화를 만들어내는 도시가 문화도시라면, 그것은 문화권의 구현, 문화민주주의, 그리고 시민사회의 활성화를 통해 추진되어야 한다. 중앙정부의 정책 지원에 의존해온 한국의 문화도시는 20여 년의 추진 과정에도 불구하고, 아직 갈 길이 멀다. 20여 년 동안 다양한 노력과 변화가 이루어졌고, 문화도시를 통한 로컬거버넌스의 패러다임 전환에 대한 기대가 높아지고 있는 것도 사실이다. 그러나 아직 패러다임 전환의 단계에 도달했다고는 보기 어렵다. 그먼 길 가기를 위한 인식 전환과 방향잡기가 우선적 과제이다. It is important to stick to the political perspective of the political process of cultural city policy, if the cultural city policy is implemented through government financial support, in other words, if the cultural city is a matter of changing the living environment of members of society directly through the redistribution of social resources. What are the political goals and directions for the cultural city? What is the cultural city policy for and how is its impact? If a cultural city is to create a social space where citizens’ cultural rights are realized and citizens live as subjects of cultural activities, to go beyond the level of a famous tourist city, and to seek to become a city that creates culture by accumulating the history of the people who live in the past, present and here, it should be promoted through the realization of cultural rights, cultural democracy, and the revitalization of civil society. The cultural city in Korea, which has been dependent on the central government’s policy support, still has a long way to go, despite the 20 years implementation process. Various efforts and changes have been made in relation to the cultural city over the past 20 years. It is also true that expectations for a paradigm shift in local governance through a cultural city are rising. However, it is difficult to say that we have reached the stage of paradigm shift yet. In order to go that long way, the priority task is to reflect the viewpoint and direction for efficient implementation of the cultural city.

      • KCI등재

        비대면 융합 문화예술교육프로그램 개발 및 운영 사례 연구

        권현우(Hyunwoo Kwon) 한국문화융합학회 2022 문화와 융합 Vol.44 No.6

        본 연구에서는 코로나 19 시대의 비대면 온라인 문화예술교육에서 테크놀로지와 예술이 융합한 문화예술교육프로그램의 개발과 운영에 대해 사례를 들어 살펴보고자 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비대면 문화예술교육의 한계점을극복하고, 기술 융합 문화예술교육을 실천해 나가는 방안을 모색하는데 목적을 두었다. 본 목적을 위해 2021년 7 월부터 11월까지 거쳐 온라인으로 진행된 꿈다락 토요문화학교 주말예술캠퍼스 “또 다른 i”의 사례를 중점적으로살펴보았다. 당초 대면 교육으로 기획된 프로그램이었으나, 펜데믹으로 인해 비대면으로 전환되어 비대면 온라인교육으로 기획, 설계, 시행, 평가의 4단계를 거쳐 운영되었다. “또 다른 i”는 VR과 스토리텔링이 결합된 융합 문화예술교육 프로그램으로 현실 세계의 나를 바탕으로 가상현실에서의 나와 만나보며 또 다른 새로운 나를 찾아가는여정을 담은 프로그램이다. 본 사례를 통해 온라인 플랫폼 활용한 소통으로 라포 형성의 가능성을 확인 하였으며 기술과 예술이 융합한문화예술교육의 새로운 개발 및 운영 사례를 제시하였다. 하지만 운영결과에서 나타나는 한계점으로는 온라인 플랫폼의 한계, 참여자 간의 소통 문제, 기술 융합 문화예술교육에서의 적정 기술 수준 문제 등이 나타 났으며, 이러한 한계점을 극복하기 위해 프로그램 준비과정에서 더욱 세밀한 준비와 시큘레이션이 요구된다. 본 연구를 통한시사점으로 비대면 온라인교육에 대한 시각의 변화 요구, 비대면 상황에 맞는 라포 형성 활동, 다양한 플랫폼과소프트웨어에 적응할 수 있는 지속적인 노력, 기술과 결합한 문화예술교육의 프로그램 마련 등을 제시하였다. 비대면 온라인 융합교육이 대면 수업의 대안이 아닌 새로운 형태의 문화예술교육의 한 축으로 나아갈 수 있도록 향후 연구가 지속되어야 한다. In this study, we tried to examine the development and operation of a culture and arts education program that combines technology and art in non-face-to-face online culture and arts education in the era of COVID-19.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overcome the limitations of non-face-to-face culture and arts education and to seek ways to practice technology convergence culture and arts education. For this purpose, we focused on the case of “Another i”, the weekend art campus of Dream Darak Saturday Culture School, which was conducted online from July to November 2021. The program was originally planned as face-to-face education, but due to the pandemic, it was switched to non-face-toface and non-face-to-face online education was operated through four stages: planning, design, implementation, and evaluation. “Another i” is a convergence culture and arts education program that combines VR and storytelling. The possibility of forming a rapport was confirmed through communication using an online platform, and a new development and operation case of culture and arts education that converges technology and art was presented. However, the limitations of the operation results include the limitations of the online platform, communication problems between participants, and problems with the appropriate skill level in technology convergence culture and arts education. ration is required As the implications of this study, it suggested a change in perspective on non-face-to-face online education, rapport formation activities suitable for non-face-to-face situations, continuous efforts to adapt to various platforms and software, and preparation of programs for culture and arts education combined with technology. Future research should be continued so that non-face-to-face online convergence education can move forward as a new form of cultural arts education rather than an alternative to face-to-face classes.

      • KCI등재

        문화도시 조성정책과 문화CSR 연계방안에 관한 연구: 천안시 사례를 중심으로

        윤상오(尹相五),박준형(朴俊炯),현지우(玄知雨),진수영(陳秀英) 한국공공관리학회 2020 한국공공관리학보 Vol.34 No.1

        이 연구는 천안시 사례를 중심으로 문화체육관광부가 추진하는 ‘문화도시’ 조성정책을 기업의 사회적 책임활동(CSR)으로서의 ‘문화CSR’과 연계시키는 방안을 모색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문화도시 천안’ 조성계획, 국내 · 외 및 천안시 기업들의 문화CSR 사례분석, 천안시민 대상 설문조사 및 기업 대상 심층인터뷰 등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문화도시 천안 계획은 기업의 문화CSR에 대한 고려가 부족하고, 기업들의 문화CSR 활동은 문화유형별 · 지원방법별 · 지원채널별 편중현상이 심하며, 시민들의 문화예술활동 참여는 소극적 · 수동적이고 음악이나 미술 등에 편중되어 있고, 관내 기업들은 문화CSR에 대한 이해도는 낮으나 향후 참여의지는 높은 것을 확인하였다. 향후 문화도시 천안의 성공을 위해서는 기업을 문화도시 조성정책의 핵심 주체로 적극 참여시켜야하며, 천안시와 기업은 물론 대학, 시민단체, 문화예술단체 등이 참여하는 다자간 협업체계 구축이 필요하다. 또한 기업의 문화CSR 참여 촉진을 위한 인증, 마일리지, 포상, 조세감면, 홍보제공 등 다양한 인센티브 제도를 도입하는 것과 함께, 시범사업을 통한 단계적 확산과 더불어 기업과 문화예술단체나 동아리 또는 프로그램을 일대일로 매칭시켜 주는 방안도 필요하다.

      • KCI등재

        한 중 고부 관계의 문화적 교육내용 연구

        장옥새(Yuxi Zhang) 한국문화융합학회 2022 문화와 융합 Vol.44 No.6

        본 고의 목적은 홉스테드의 문화 차원 이론을 바탕으로 한 중 TV 가족 드라마에 나타난 고부 관계의 비교분석을 통해 문화적 교육내용을 밝히는 데 있다. 문화 이해와 습득의 결여로 중국인 한국어 학습자는 한국 문화를 접했을 때 내적 갈등 및 충돌을 일으키는 경우가 많다. 이를 완화시키기 위한 하나의 장치로 한 중 문화 간의 ‘문화 차원’을 파악하고자 하였다. 사람의 심리, 행동, 사회적 배경을 반영하는 TV 드라마를 문화 차원을 살펴보기 위한 자료로 선택하였고 시청률이 높은 16편의 한 중 가족 드라마를 비교하여 드라마의 상황과 맥락에 숨겨 있는 문화 차원을 분석하였다. 이를 통해 한 중 문화 차이의 근본 원인을 밝혀내고 교육내용을 도출했다. 가족은 기본적으로 부부관계, 형제 관계, 세대 관계로 나타나는데 본 연구에서는 확장된 관계로서 혈연 관계가 아닌인위적으로 관계로 형성된 고부 관계를 고찰하였다. 홉스테드의 한 중 문화 차원 연구 결과에 근거하여 수치 차이가 가장 큰 3가지 문화 차원을 위주로 분석하였다. 따라서 본 연구는 구조주의 관점에서 출발하여 양국 드라마에 나타난 구체적인 상황을 근거로 들어 고부 이미지 문화 차원의 형태적인 교육내용과 기능적인 교육내용을 밝히고자 한다. 이 연구를 통해 중국인 한국어 학습자가 한 중 문화 차원의 차이를 습득하고 갈등 및 충돌을 해소하여 원활한 의사소통을 하는 데에 도움이 될 수 있기를 기대한다. This paper aims to compare and analyze mother-in-law and daughter-in-law relationship portrayed in Korean-Chinese TV family dramas and reveal cultural educational content through Hofstead’s cultural dimension theory. Due to lack of cultural understanding and acquisition, Korean learners of Chinese often perceive cultural differences in a new cultural environment, leading to conflicts. There is a need to adapt to cultural dimensions between Korean and Chinese cultures to alleviate conflicts in family life. This study compared clues from TV dramas that reflect people's psychology, behavior, and social background data to examine cultural dimension of Korean and Chinese cultures. Cultural dimensions hidden in situation and context of drama was analyzed by comparing 16 Korean and Chinese family dramas with high viewer ratings. Based on the results of Hofstead’s study of cultural dimensions, three cultural dimensions with largest numerical differences were analyzed on Korea and China. The paper revealed morphological and feducational educational content of cultural dimension of high wealth image based on actual situation shown in dramas of Korea and China starting from structuralism that can contribute to Chinese Korean language learners acquire differences in cultural dimension of Korea and China and resolve conflicts.

      • KCI등재

        예비 한국어 교사를 위한 문화적 자의식 교육 사례 연구

        박소연(Soyeon Park) 한국문화융합학회 2022 문화와 융합 Vol.44 No.6

        본 연구는 예비 한국어 교사의 문화간 의사소통 능력 함양을 위하여 ‘문화적 자의식 교육’의 측면에서 정체성에주목하여 이론적으로 고찰하고, 이를 토대로 정체성에 대한 성찰적인 접근으로서 구체적이고 실제적인 상호문화인식 교육 방안을 모색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정체성에 대한 개념 정의 및 유형을 살펴보고, 정체성의 속성, 그리고 언어와 정체성, 문화 간 의사소통과 정체성의 상관성을 확인하였다. 이를 통해 정체성의 복수성, 상대성, 역동성, 가변성을 확인하였으며 문화적 구성 요소로 작용하는 사회적 정체성들에 대한 특성을 검토하였다. 그리고개인의 발화에서 개인적 정체성과 사회적 정체성이 동시에 나타난다는 것을 바탕으로, 문화 간 의사소통 상황에서의 정체성 고찰이 지닌 필요성과 중요성을 확인하였다. 본 연구는 기존 연구에서 거의 다루지 않은, 예비 한국어교사를 위한 문화적 자의식 교육 방안을 정체성 측면에서 구체적으로 제시하고, 그에 대한 효과를 실제 수업 사례를 바탕으로 확인하였다는 데 차별점이 있다. 특히 정체성에 대한 성찰이 이론적 측면에 머물지 않고 실천적 의미에서 문화 간 의사소통 능력 향상을 모색하였다는 데 의의가 있다. This study theoretically considered the identity in terms of 'cultural self-awareness education' in order to cultivate the intercultural communication ability of prospective Korean language teachers. Based on this, as a reflective approach to identity, it was intended to seek specific and practical educational measures for mutual culture awareness. To this end, the concept definition and type of identity were examined. In addition, the correlation between the characteristics of identity, language and identity, and intercultural communication and identity was confirmed. Through this, the plurality, relativity, dynamics, and variability of identity were confirmed. In addition, the characteristics of social identities that act as cultural components were reviewed. In addition, based on the fact that personal identity and social identity appear simultaneously in individual speech, the necessity and importance of considering identity in intercultural communication situations were confirmed. This study specifically presented cultural self-awareness education plans for prospective Korean teachers, which were rarely covered in previous studies, in terms of identity. In addition, there is a difference in that the effect was confirmed based on the actual class case. In particular, it is significant in that reflection on identity is not limited to the theoretical aspect but sought to improve communication skills between cultures in a practical sense.

      • KCI등재

        <아리랑>의 유네스코 세계무형문화유산 목록 등재로 비롯된 한중간 문화갈등 배경 연구 - 중국 조선족 문화의 이중정체성을 중심으로 -

        이정원,공정배,김용범 한민족문화학회 2012 한민족문화연구 Vol.40 No.-

        This paper is the study about the background of cultural conflict between Korea and China and trends and prospects of the expected future conflict between the two countries that were originated from listing folksong <Arirang> in Representative List of the Intangible Heritage of Humanity of UNESCO. Cultural conflict between Korea and China raised by China's Northeast Project 'research projects in 2002 is surfaced as <Gangneung Dano festival> in korea is listed in the Unesco in 2005 and showed contending aspect as China listed <Dragon Boat Festival>, changing the name, in 2009. What is more, when the 「Tonguibogam 주제어 : 중앙아시아 고려말, 종결어미, 대화 등급, 중앙아시아 고려인 소설, ≪레닌기치≫, ≪고려일보≫of Korea is listed in 2009, China listed <Chinese Sewing Kit> in 2011. And cultural conflict between Korea and China is being run in contending aspect for preoccupancy of item while China listed <Nongak> of Korean race as <Farmer's Dance of ethnic Koreans living in China> in 2006. Under these circumstances, the Chinese Ministry of Culture selected <Arirang>, <Pansori>, <Gayageum art> as China's national cultural heritage material through the notification of State Council for the third national cultural heritage materials registration in 2011. China is claiming to advocate the policies that protect minorities' cultural heritage, but behind them the intention that lead the flow of the East Asian cultural identity through preoccupancy of listing heritage that is shared by South Korea, North Korea, and China in Unesco is laid. In its origin, there is ethnic Koreans with different cultural double identity in China as a Chinese citizen in national identity and as Koreans in ethnic identity. And, the conflict that takes place and is overlapped with korea in process ethnic Koreans represent the position of China in culture terrain of international society is the source of cultural conflict between Korea and China. The problem is the fact that the cultural conflict which encircles <Arirang> is just beginning. Korea and China share 17 ethnic Koreans' cultural heritage among three Northeastern provinces of the country's cultural heritage materials in China. The number of cultural heritages that are shared by two countries is increased to 60 when a level is lowered to district cultural heritage material. District cultural heritage material is upgraded to national cultural heritage material through evaluation in any time. When upgrading is regarded as a being listed, the ethnic Koreans' cultural heritages are the factors of cultural conflicts between Korea and China. 본고는 민요 <아리랑>의 유네스코 세계무형문화유산 목록 등재로 비롯된 한중간 문화갈등 원인 및 배경과 향후 예상되는 양국 간 갈등 추이 예측에 관한 연구이다. 2002년 중국의 ‘동북공정’ 연구 사업으로 불거진 한중 문화갈등은 2005년 한국의 <강릉단오제>가 유네스코에 등재됨에 따라 양국 간 문화마찰이 표면화되고 뒤이어 2009년 중국은 <용선축제>로 이름을 바꿔 등재하는 경합 양상을 보였다. 뿐만 아니라 2009년 한국의『동의보감』이 등재되자 2011년 중국은 <중국침구>를 등재했고, 2006년 중국이 한민족의 농악을 <중국에 거주하는 조선족의 농무>라는 이름으로 등재하는 등 경쟁적 아이템 선점 양상으로 진행되고 있다. 이러한 상황에서 2011년 중국 문화부는 제3차 국가급비물질문화유산 등록에 대한 국무원 통지를 통해 <아리랑>, <판소리>, <가야금예술>을 중국의 국가급비물질문화유산으로 선정하였다. 중국은 국가 차원에서 자국 소수민족의 문화유산을 보호하겠다는 정책을 표방하고 있으나, 그 이면에는 한국 중국 북한이 공유하는 문화유산의 유네스코 등재 선점을 통해 동아시아 문화정체성에 대한 흐름을 주도하려는 의도가 내재되어 있다. 그 근원에 중국 국민으로서 국가정체성과, 한민족으로서 민족정체성이 상이한, 문화적 이중정체성을 지닌 조선족이 존재하며, 이들이 국제사회 문화지형 내 중국의 입장을 대변하는 과정에서 한국과 중첩되어 벌어지는 갈등이 한중 문화갈등의 근원이다. 문제는 <아리랑>을 둘러싼 한중 문화갈등이 시작에 불과하다는 점이다. 중국 동북3성의 국가급비물질문화유산 중 17개의 조선족 문화유산을 한국과 중국이 모두 공유하고 있다. 한 단계 아래의 성급비물질문화유산으로 내려가면 한중 양국이 공유하는 문화유산의 수는 60개로 늘어난다. 성급비물질문화유산은 언제라도 심사를 거쳐 국가급비물질문화유산으로 승급할 수 있으며, 승급이 유네스코 목록 등재를 전제한다고 볼 때 조선족의 문화유산은 한중간 문화갈등의 잠재 요소들이다.

      • KCI등재

        한국 다문화사회의 이해와 범죄 대응방안

        김태복,신상민 한국치안행정학회 2011 한국치안행정논집 Vol.7 No.4

        우리나라는 초국가적 인구이동의 확산으로 이해 외국동포, 외국인력, 결혼이민자 등의 급증으로 다인종․다문화사회로 빠르게 변화하고 있다. 국내체류 외국인은 2007년 8월 100만 명을 돌파한 후, 20010년에는 116만 명에 달하는 등 갈수록 증가하고 있다. 다양한 국적의 체류 외국인들이 증가함으로써 예기치 못한 문제들이 수반되고 있다. 따라서 다문화사회를 준비하기 위한 치안확보가 무엇보다도 시급하다고 할 것이다. 본 연구에서는 이미 한국에서 겪고 있는 다문화사회로의 변화 추이를 인식하고 한국의 다문화사회 이해와 범죄현황 분석을 통하여 문제점들을 알아보고 다문화사회의 범죄와 그 대응방안을 알아본다. 우선 다문화사회의 이해와 대안에서는 외국이주주민과의 접촉을 위해 관할서장 뿐만 아니라 지방청장 등 고위간부가 직접 외국이주지역주민들과 관계를 맺고 지역주민과과 공공기관이 외국인 공동체를 위해서 최선의 노력을 다하고 있음을 나타내는 기회를 가져야 한다. 그리고 다문화사회 이해 및 통합을 위한 문화예술 활동과 다문화사회와 가정에 대한 편견과 닫힌 사고에서 벗어나 외국인도 우리의 이웃으로 받아들이는 개방된 사고와 행동이 필요하다. 또한 개혁의 흐름은 과거의 한 기관 중심에서 벗어나 다 체계적․통합적 관점에서 다양한 기관들이 협력을 하는 다기관 협력체제를 통해서 실행되어야 한다. 다문화사회의 문제에 대한 경찰의 범죄 대응방안에서는 전문 인력의 인프라를 구축하고 다문화 전담부서의 신설과 강화와 외국인 거주자가 늘어남으로 인한 발생하는 범죄와 증가를 줄이기 위한 방법으로 외국인지문확인 시스템의 구축 및 확대, 이주민의 경찰채용을 통한 다문화가정의 지원․상담, 외국인 범죄의 예방과 진압 등에 활용한다. By spread of the movement of large scale population as overseas koreans, foreign workforce, a marriage emigrant etc. is increased rapidly, korea has changing quickly to multi-race․multi-cultural society. The number of foreigners residing in the country surpassed the 1 million mark in August, 2007 and reached 1.16 million, 2010 and is still rapidly rising. This dramatic change, however, also has brought some unexpected issues that need to be concerned. In this study, changes of multi-cultural society which is already experienced in Korea will be recognized and problems will be perceived by understanding of the multi-cultural society of Korea. After that, crimes of multi-cultural society and its countermeasures will be found out. First of all, as alternatives and understanding of multi-cultural society, directors of government officers holding high position or chiefs of police need to have close relationship with immigrants living in multi-cultural society. Local people and public institutions do their best for multi-cultural community as much as possible. Furthermore, artistic activities are needed to understand and combine multi-cultural society. Keeping an open mind is also important to accept foreigners as our neighbors. Reforming is implemented by cooperating various institutions in a systematic and integrated way. As police's crime prevention concerning multi-cultural society, professional experts must be employed and specialized department taking multi-cultural society needs to be established and enhanced. As increased number of immigrants is causing various crimes, computerized fingerprint must be established and expanded to identify immigrants as one of methods to reduce increased crime. Also, recruiting polices from immigrants will be useful to consult multi-cultural families and prevent crimes in multi-cultural society.

      • KCI등재

        중국과 한국의 문화산업 통계 자료 비교

        김상욱 ( Sangwook Kim ) 한국비교경제학회 2020 비교경제연구 Vol.27 No.1

        문화산업은 경제발전에서 역할이 점차 중요해지고 있다. 중국과 한국 모두 문화산업이 급속하게 발전하고 있다. 문화산업을 국가별로 비교하기 위해서는 통계 자료가 비교 가능해야 한다. 그러나 국가별로 문화산업에 대한 통계가 다르기 때문에 이에 대한 철저한 비교가 필요하다. 중국은 문화산업에 대한 분류 기준을 2004년, 2012년 그리고 2018년 세 차례 수정하고 있다. 특히 2018년의 분류 기준은 국제 기준에 부합하기 위해 문화산업을 모두 9개 대분류로 재조정하였다. 그리고 문화산업을 문화제조업, 문화도소매업과 문화서비스업으로 구분하고 있다. 이러한 분류 기준은 중국의 문화산업의 발전 정도를 반영하고 있다. 즉 문화산업에서 제조업의 역할을 중요시하고 있다. 반면에 한국의 문화산업은 콘텐츠산업을 기반으로 하고 있다. 한국은 2010년에 콘텐츠산업 분류 기준을 마련하고 2012년에 다시 개정하고 있다. 이에 따라 모두 12개의 대분류로 구성하고 있다. 대분류를 기준으로 할 때 한국의 문화산업 분류가 상대적으로 세분화되고는 있지만 대부분 중국의 문화산업 분류에서의 콘텐츠창작생산의 대분류에 포함되고 있기 때문에 결과적으로 중국의 문화산업이 상대적으로 과대평가 되고 있다. 즉 문화산업 범주에 따라 통계 자료를 비교하면 중국의 문화산업의 규모가 한국보다 상대적으로 크게 나타난다. 그러나 엄격하게 비교하면 한국의 문화산업은 중국의 문화산업에서 문화제조업을 빼고 비교하는 것이 더욱 의미가 있게 된다. The cultural industry more and more important in economic development. In China and Korea, the cultural industry are rapidly developing in both nations. To compare the national cultural industry, it is possible to compare the statistical data. But the nations has not same statistical data in cultural industry. It is need to analyze strictly the difference. China continuously modifies the cultural industry classification criterion in 2004, 2012 and 2018. In particular, 2018 classification criterion modified by nine section in order to agree with the international criterion. And the cultural industry divide into culture manufacture, culture whole and retail trade, and culture service. This classification criterion reflects the China cultural industry development degree. That is regard the manufacturing role as important. On the other hand, Korea cultural industry based on the contents industry. Korea established the classification criterion of the contents industry in 2010, and modified in 2012. The Korea classification criterion consists of twelve section. From the section division, the korea criterion respectively more specific, but the Korea criterion included into creation and manufacture of content in China criterion, as a result, the China cultural industry respectively is overestimated. In cultural industry criterion, compare the statistical data, China cultural industry scale respectively more bigger than Korea.

      • KCI등재

        평화의 문화, 문화의 평화 -‘평화인문학’의 관점에서 살펴본 문화-

        이문영 국제한국문학문화학회 2013 사이 Vol.14 No.-

        The main characteristics of postmodern discourses in the era of globalization are based on the fundamental reflection upon all kinds of modern demarcations (nation-state, race, gender, etc.) and violence by them. It has generated an epistemological change and the problematics of Humanities for Peace as a kind of proposal for the development of peace studies in twenty first century started from this turn. Humanities for Peace, which pursuits to investigate the whole civilizational values of peace in the fundamental level, including all kinds of human thoughts, activities and historio- cultural experiences, is not related to the humanities as a discipline, nor to narrow humanities- centrism. Its essence lays in the organic and synthetic perspectives, which are indispensible for the interdisciplinary nature of peace studies, trying to bring about peace in reality through the profounder understanding of multifaceted and diversified contemporary configurative conflicts. From this point of view this article examines the possibility of development of peace studies with the focus on two concepts ‘peace’ and ‘culture.’ In the main text this work studies general relations between peace and culture (especially artistic culture) and investigates the theoretical relationships between peace studies and cultural studies. Finally in conclusion this work examines the meaning of discussions in the main text, combining them with analysis of the practical cultural activity for peace(<UNESCO Culture of Peace Program>). 지구화 시대 탈근대 담론의 가장 주요한 특성은 국민국가․민족․인종․젠더 등의 구획, 진․선․미의 분화, 인문과학․사회과학․자연과학의 분리 등을 포괄하는 모든 근대적 경계에 대한 근본적 성찰을 촉구하는 데 있다. 이러한 인식의 전환은 평화학의 21세기적 발전을 지향하는 ‘평화인문학’의 문제의식에도 반영되어 있다. 인간 사고와 활동 전반, 인류의 역사적 경험과 문화 전체를 포괄해 평화의 문명론적 가치를 보다 근원적인 차원에서 탐색하고자 하는 평화인문학은 개별분과로서의 인문학이나, 편협한 의미의 인문학 중심주의와 무관하다. 그 본질은 사회과학, 인문학 등의 고립적 경계를 넘어서는 통합학문으로서의 평화학, 특히 지구화 시대의 중층화된 복합갈등에 대한 다차원적 접근 속에 그 이론적, 실천적 해결방안을 제안하고 이를 통해 평화를 실현하고자 하는 노력에 필수적으로 요구되는 융합적 시각을 의미한다. 이런 문제의식에서 이 글은 평화인문학의 가능성과 그 의미를 평화와 문화를 키워드로 살펴보았다. 서론에서는 평화학과 평화인문학의 관계 설정 속에 평화와 문화를 화두로 삼은 논문의 문제의식을 제시하였다. 이어 본론을 통해 평화와 문화의 일반적 관계를 예술문화를 중심으로 살펴보고, 평화연구와 문화연구의 이론적 연관성을 고찰한 후, 마지막으로 평화문화의 실천적 의미를 <유네스코 평화문화 프로그램>의 검토를 통해 분석하고 앞서의 논의와 결합해 그 의미를 밝혔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