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다문화 청소년의 문화적응 스트레스 변화 궤적 유형화: 유형 예측요인과 유형별 심리 · 사회적응

        은선민(Eun, Sunmin),이수현(Lee, Suhyun),이강이(Lee, Kangyi)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 2019 한국청소년연구 Vol.30 No.2

        국내 다문화 청소년은 지속적인 증가 추이에 있으며, 이들의 문화적응 스트레스는 심리사회적 적응을 예측하는 주요 변수로서 통합적인 탐색의 의의가 있다. 이 연구는 다문화 청소년의 문화적응 스트레스의 변화 궤적을 유형화하고, 이를 예측하는 스트레스 조절 자원으로서 이중문화 수용태도, 사회적 지지, 자존감의 역할을 탐색하고자 하였다. 또한 문화적응 스트레스 변화 유형에 따라 우울, 삶의 만족도, 학교적응이 달라지는지 검증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다문화청소년패널 2, 3, 4차년도 조사에 참여한 초등학교 5학년~중학교 1학년 시기 다문화 청소년 1,376명의 응답을 활용하였다. 먼저 잠재계층성장분석을 통해 문화적응 스트레스의 변화 궤적을 유형화하였으며, 다항로지스틱회귀분석을 통해 스트레스 조절 자원의 유형 예측 가능성을 확인하였다. 마지막으로 일원배치 분산분석을 통해 스트레스 변화 유형에 따라 스트레스 결과 요인이 달라지는지 검증하였다. 분석 결과 첫째, 다문화청소년의 문화적응 스트레스 변화 유형은 증가형, 감소형, 하위유지형으로 구분되었다. 둘째, 초등학교 5학년 시기 스트레스 조절 자원 중 가족지지, 친구지지, 자존감이 증가형 및 감소형에 비해 하위유지형을 예측하였다. 셋째, 문화적응 스트레스 변화 유형에 따라 중학교 1학년 시기 우울, 삶의 만족도, 학교적응에서 모두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이 연구의 결과는 청소년의 문화적응 스트레스의 발달적 특성과 개인차를 바탕으로 정책적 지원이 이루어질 때, 다문화 청소년의 심리사회적 건강을 도모할 수 있음을 시사한다. The number of adolescents from multicultural backgrounds have been constantly increasing, and studies have shown that their acculturative stress highly affects their psychosocial development. This study aims to tap into the individual differences and find the relevant patterns in developing acculturative stress during early adolescence. Based on the stress process model, we explored the influence of moderating resources including bicultural acceptance, social support, and self-esteem, on the pattern of acculturative stress development. We also examined the difference in stress outcomes including depression, life satisfaction, and school adjustment, between the identified patterns. The participants were 1,376 multicultural adolescents in Korea who participated in the MAPS (Multicultural Adolescents Panel Study) 2, 3, 4th wave. Latent class growth analysis was conducted to examine patterns of acculturative stress development. The impact of stress moderating resources were examined using multinomial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of variance followed to prove the difference in stress outcomes. The results demonstrated three distinct classes of acculturative stress development: increasing, decreasing, and constant-low. Social support from family and friends and self-esteem predicted the constant-low pattern of acculturative stress development.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levels of adolescents’ depression, life satisfaction, and school adjustment between the stress patterns. Policy support for multicultural adolescents’ psychosocial development and social integration were all discussed in relation to the developmental properties of and individual differences in multicultural adolescents’ acculturative stress.

      • KCI등재

        외국인노동자의 소비문화갈등 및 적응

        박배진 한국소비문화학회 2013 소비문화연구 Vol.16 No.1

        21세기 빠른 세계화와 정보화는 인적, 물적 교류의 확대가 필연적인 것이며, 이에 따라 국내에 유입된 외국인의 수는 빠른 속도로 증가될 것으로 예측된다는 점이다. 그러나 외국인노동자에 대한 문화적응에 대한 분석적인 연구는 매우 부족한 상황이다. 본 연구는 외국인노동자를 대상으로 문화갈등 및 적응 요소와 소비문화적응이 문화수용에 미치는 영향력을 살펴보았다. 그 결과 문화갈등 및 문화적응의 업무적응, 일반적응, 상호작용적응이 문화수용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또한 소비문화적응의 조절효과를 검증한 결과 업무적응과 소비문화적응의 상호작용이 문화수용에 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The republic of korea is experiencing the social and economical effect due to the global change. As of August 2007, the number of foreign residents has reached more than 1,000,000 including short-term foreign population. Thus the total population of foreign residents composes of 2% of legally registered population. Increase of migrant workers is the main reason of korea's multiculturalism. The purposes of this study were to analyze the effects of acculturation on foreign workers' acceptance. For those purposes, a questionnaire was made up based on the literature about acculturation, and a survey was taken among foreign workers in korea. This research is intended to focus from an abjective point of view on acculturation and consumption culture of foreign worker. The results are as follows. Acculturation has a positive effect on the cultural acceptance of foreign workers and consumption acculturation has moderating effects on the cultural acceptance of foreign workers. Therefore, the consumption acculturation of foreign workers should be enhanced to achieve reinforcement of improving acceptance of foreign workers. In the future, more precise and in-depth guestionnaires should be developed to analysis the consumption culture approach of acculturation.

      • KCI등재

        다문화가정 어머니의 문화적응스트레스가 다문화청소년의 자아존중감과 학교적응에 미치는 영향 ; 잠재성장모형을 활용한 종단적 탐색

        김원영 ( Kim Won Young ),정나은 ( Jung Na Eun ) 충남대학교 교육연구소 2020 교육연구논총 Vol.41 No.4

        본 연구는 다문화가정 어머니의 문화적응스트레스와 다문화청소년의 자아존중감과 학교적응의 시간에 따른 변화와 함께 잠재성장 모형을 통해 다문화가정 어머니의 문화적응스트레스가 다문화청소년의 자아존중감, 학교적응에 미치는 시간의 흐름에 따른 영향력을 알아보았다. 본 연구의 분석을 위하여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에서 조사한 다문화청소년 패널(MAPS)의 1차 연도 데이터에서 6차 연도 데이터를 활용하여 총 1206명을 분석대상으로 선정하였다. 연구의 분석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어머니의 문화적응스트레스는 시간의 흐름에 따라 6년간 증가하였으나 다문화청소년의 자아존중감과 다문화청소년의 학교적응의 변화양상은 유의미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어머니의 문화적응스트레스 초기치는 다문화청소년 자아존중감 초기치에 유의미한 부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어머니의 문화적응스트레스 변화율도 다문화청소년의 자아존중감 변화율에 유의미한 부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그러나 어머니의 문화적응스트레스 초기치가 다문화청소년의 학교적응 초기치에 미치는 영향력은 유의미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다문화청소년의 자아존중감 초기치는 다문화청소년의 학교적응 초기치에 유의미한 정적영향을 미치는 반면 학교적응 변화율에는 유의미한 부적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자아존중감 변화율은 학교적응 변화율에 유의미한 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성별은 다문화청소년의 자아존중감 변화율에 유의미한 부적 영향을 미치고 다문화청소년의 학교적응 초기치에 유의미한 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나 남학생이 여학생에 비해 자아존중감의 증가 속도가 빠르고 초기 청소년기 학교적응은 여학생이 더 높은 것으로 확인되었다. 본 연구는 다문화청소년의 학교적응을 위한 실천방안 마련의 기초자료로써 의미가 있다. 이상의 결과를 바탕으로 다문화청소년의 학교적응을 위한 대책과 방안을 논의하였다. This study explores mothers’ acculturative stress in multicultural families and multicultural adolescents' self-esteem and school adjustment over time, examining the relationships between the variables through latent growth modeling. For analysis, data from the 1st to 6th year of the MAPS conducted by the KYPI were acquired. A total of 1206 subjects were selected for the analysis.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mothers’ acculturative stress decreased over six years; however, the other variables did not have significant values. Second, the initial value of mothers’ acculturative stress had a significant negative effect on the initial value of adolescents' self-esteem, and the change rate of mothers’ acculturative stress had a significant negative effect on the change rate of self-esteem. However, the initial value of mothers’ acculturative stress had no significant effect on the initial value of adolescents' school adjustment. Third, the initial value of adolescents' self-esteem had a significant positive effect on the initial value of adolescents' school adjustment, but the initial value of self-esteem had a significant negative effect on the change rate of school adjustment. Additionally, the change rate of adolescents' self-esteem had a significant positive effect on the change rate of adolescents' school adjustment. Fourth, the results of examining differences according to gender confirmed that the male students experienced more increases in self-esteem and that the female students adjusted quicker to school in early adolescence. Based on these results, this study discusses methods for school adjustment for multicultural adolescents.

      • KCI등재

        다문화가족 아동의 문화적응스트레스와 심리사회적응과의 관계에서 이중문화역량의 매개효과: 성별차이를 중심으로

        진은영 한국학교사회복지학회 2015 학교사회복지 Vol.0 No.32

        본 연구는 다문화가족 아동들의 문화적응스트레스와 심리사회적응과의 인과관계를 규명하고, 이중문화역량이 이들 관계를 완화시키는 매개효과를 지니는지를 살펴보고자 하였다. 특히, 성별에 따라 다문화가족 아동들의 문화적응스트레스가 심리사회적응에 미치는 영향이 어떻게 달라지는지 파악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에서 심리사회적응은 심리적응과 학교생활적응으로 구성된다.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문화적응스트레스는 이중문화역량, 심리적응, 학교생활적응에 영향을 미쳤으며 이중문화역량은 심리적응, 학교생활적응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둘째, 다문화가족 아동의 문화적응스트레스가 심리적응과 학교생활적응에 미치는 영향을 이중문화역량이 유의미하게 매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성별에 따른 집단 간 차이에 있어서는 5개 경로 중 4개의 경로가 유의미하였다. 그러나 이중문화역량이 심리적응으로 가는 경로에서는 성별에 따른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성별에 따른 영향력의 차이의 검증을 통하여 학교사회복지의 실천적 함의를 제안하였다. This study aims to examine the causal relationship between acculturative stress and psychosocial adjustment of children in multi-cultural families, and whether the bicultural competence has the mediating effect to ease the relationship between them. Especially, this study is to identify how the effect of acculturative stresses affecting psychosocial adjustment of them by gender. The psychosocial adjustment consists of psychological adjustment and school adjustment in this research. The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the acculturative stress had impact on the bicultural competence, psychological adjustment, and on school adjustment. Also, the bicultural competence had the direct impact on the psychological and school adjustment. Second, the bicultural competence mediates the acculturative stress affecting psychological adjustment and school adjustment of the children in multi-cultural families. Third, among 5 paths regarding gender difference in research model, the 4 paths were relevant. Based on these findings, the implications for school work practices were discussed through observing the difference by their gender.

      • KCI등재후보

        다문화가정 어머니의 문화적응 스트레스가 청소년자녀의 학교적응에 미치는 영향 : 청소년자녀의 성취동기의 매개효과

        김상용(Kim, Sang-youg) K교육연구학회 2022 사회과학리뷰 Vol.7 No.1

        본 연구의 목적은 다문화가정 어머니의 문화적응 스트레스가 자녀의 학교적응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고 매개변인인 자녀의 성취동기가 학교적응에 미치는 매개효과를 검증하는 것이다. 본 연구는 ‘2018년 제8차 다문화청소년 패널 종단연구’자료를 사용하여 매개회귀분석과 연구모형의 적합도를 분석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학교적응 중 교사와의 관계에서 자녀의 성별에 따른 차이가 나타났다. 즉 남학생이 여학생보다 교사와의 관계가 더 긍정적이었다. 교우관계에서는 자녀의 연령이 어릴수록 교우관계가 더 좋은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다문화가정 어머니의 학력이 높을수록 어머니의 문화적응 스트레스가 적고, 자녀의 성취동기가 높으며 학교에서 적응을 더 잘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다문화가정 어머니의 문화적응 스트레스가 학교적응에 부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어머니의 문화적응 스트레스가 적을수록 자녀가 학교에서 적응을 잘하는 것을 알 수 있다. 셋째, 다문화가정 어머니의 문화적응 스트레스는 학교적응에 직접적으로 영향을 미치고 자녀의 성취동기가 학교적응에 간접적으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다문화가정이라는 특수한 사회적 구조보다는 다문화가정 내의 심리적 변인인 다문화가정 어머니의 문화적응 스트레스 변인에 초점을 두고 어머니의 역할을 강조한 연구목적에 부합되었다는 점에서 그 의의가 있다. This study examines the role of multicultural mothers’ stress from cultural adaptation on adolescent children s school adaptations with special emphasis on the mediating role of children s aspirational motivations. Based on data from the 2018 8th Multicultural Family Longitudinal Panel Research, this study conducts and evaluates mediation analyses, and finds the followings: Firstly, we find the gender differences in the multicultural students’ relationship with teachers while they are adapting to school. In particular, male students are more likely to show positive relationships with teachers than female students. We also find that age matters when forming friendships for multicultural students. Moreover, there are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in cultural adaptation stress, children’s aspirational motivations, school adaptation, and school performance by mothers’ educational level. In the children’s aspirational motivations, it found that the younger the age of multicultural adolescents, the better the peer relationship. In terms of mother’s educational level, it found that the higher the mothers’ educational level, the lower the mother s acculturation stress and the higher the children’s aspirational motivations, the better the adaptation at school. Secondly, we find that multicultural mothers’ stress from cultural adaptation has significant effects on children s adaptations to school. More specifically, lower stress from cultural adaption led to better adaptations to school. Thirdly, we find the direct effect of multicultural mothers’ stress from cultural adaptation on children s adaptations to school, and that this effect is mediated by children’s aspirational motivations. The significance of this study is that it emphasizes the role of mothers focusing on the acculturation stress variable of mothers of multicultural families. This is a psychological variable within multicultural families rather than a special social structure of multicultural families.

      • KCI등재

        한국 거주 베트남인의 다문화적응 유형에 관한 탐색적 연구

        임영언 ( Yim Young Eon ) 아시아문화학술원 2017 인문사회 21 Vol.8 No.2

        이 연구의 목적은 재한베트남인을 대상으로 한국에서 문화적응 과정을 살펴보고 시사점을 도출하는데 있다. 연구방법은 광주전남권에 거주하는 재한베트남인을 대상으로 설문조사 및 면접조사를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재한베트남인의 특성은 이주노동자, 결혼이주여성과 유학생이 많고, 한국어 수준이 낮으며 베트남 방문경험이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한국문화 적응에 영향을 주는 요인으로는 직업과 한국어수준이 통계적으로 유의하였다. 셋째, 재한베트남인의 한국문화적응유형은 양국 문화적응유형, 베트남 문화적응유형, 한국문화적응유형 동화와 통합전략의 경향이 강했다. 넷째, 재한베트남인들은 한국어수준과 학력수준이 낮고 연령과 가족동반 수가 많을수록 한국문화적응에 어려움을 겪고 있었다. 결론적으로 재한베트남인은 한국어수준이 낮고 문화정착의 과도기적 형태인 양가적 정체성을 가진 양국문화적응유형이 많은 것으로 나타나 향후 한국어 교육향상 및 베트남 공동체 형성에 필요한 정책적 대안이 마련되어야 할 것으로 생각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process of Vietnamese people`s cultural adaptation in South Korea and to find out the problems and implications of their adaptation to Korean culture.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demographic characteristics of Vietnamese respondents in the survey are focused on the Vietnamese young people in 20-30 ages and many Vietnamese women who are living in Gwangju-Jeonnam area as follows: Migrant workers, marriage migrant women, foreign students, high education but low income people, visitors and so on. Second, the descriptive statistics of the Korean cultural adaptation questionnaire of the Vietnamese people in South Korea showed that Vietnamese people has used the Korean languages in the low level, and they have got the difficulty of exchanging in relation with other people. Third, as a result of the one-way anova analysis methods about the Vietnamese people in South Korea, their level of occupation and Korean language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factors influencing their Korean culture adaptation. Fourth, as a result of the factor analysis, the types of adaptation of Korean culture of the Vietnamese were classified into the culture adaptation with both countries such as Vietnamese cultural adaptation type and Korean cultural adaptation type. In conclusion, the difficulty of cultural adaptation of Vietnamese people showing in the Korean language and the cultural adaptation type of both countries are high. Therefore, it is expected that the policy measures should be more focused on the Korean language education and vocational education for Vietnamese people and the formation of their mutual community.

      • KCI등재

        다문화가정 아동의 사회적 지지가 학교적응에 미치는 영향: 이중문화적응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심미영,이둘녀,박종옥 한국학교사회복지학회 2013 학교사회복지 Vol.- No.25

        The study aimed to understand how social support of children from multicultural families affects the children’s bicultural adaptation and school adaptation. That way, the study proposed basic references to establish measures to improve those children’s school adaptation and multi-cultural family support by having set bicultural education directions for the multicultural children. The results of the analysis a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social supports as family support, teacher support, peer support and neighbor support were observed to have a positive, direct influence on the bicultural adaptation of the children from the multicultural families. Second, the bicultural adaptation appeared to be both positively and immediately related to the school adaptation. In other words, the higher the bicultural adaptation level became, the greater the school adaptation was realized. Third, in terms of peer support and teacher support, they would affect the school adaptation directly but also indirectly via the bicultural adaptation. Fourth, family support and neighbor support would not have a direct connection to the school adaptation and yet, indirectly related to the latter via the bicultural adaptation again. In other words, higher family support and neighbor support would bring about greater bicultural adaptation and, that finding confirmed that the family support and neighbor support would have a positive but indirect influence on the school adaptation. The results of the study suggested that a social support system and other measures should be designed to improve the school adaptation and bicultural adaptation of the children from the multicultural families. In particular, measures to improve the general school adaptation by working on peer support, teacher support, family support and neighbor support all together should be established. 본 연구는 다문화가정 아동 대상으로 사회적 지지가 학교적응에 미치는 영향과 이중문화적응을 매개한 간접효과를 검증함으로써 다문화가정 아동의 학교적응을 위한 개입 및 사회적 지원체계를 통한 다문화가정 지원방안을 위한 기초자료로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분석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가족지지, 교사지지, 친구지지, 이웃지지 등 사회적 지지는 다문화가정 아동의 이중문화적응에 긍정적인 직접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검증되었다. 둘째, 이중문화적응은 학교적응에 정적인 직접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이중문화적응 정도가 높을수록 학교적응은 높게 나타났다. 셋째, 친구지지와 교사지지는 학교적응에 직접적인 영향도 미치지만 이중문화적응을 경유한 간접적 영향을 미침을 알 수 있다. 넷째, 가족지지와 이웃지지는 학교적응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지는 않지만 이중문화적응을 통한 간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즉, 가족지지와 이웃지지가 높을수록 이중문화적응 정도는 높아지고, 이를 통하여 간접적으로 학교적응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침을 알 수 있다. 이러한 결과를 통해 다문화가정 아동의 학교적응을 위해 사회적 지지체계를 개발하고, 이중문화 적응력을 향상시키기 위한 방안이 요구된다. 특히, 친구지지와 교사지지를 높임과 동시에 가족지지와 이웃지지의 향상을 통하여 간접적으로 이중문화적응을 높임으로써 학교적응을 높일 수 있는 방안의 모색이 필요하다.

      • KCI등재

        다문화 청소년의 문화적응 스트레스가 삶의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자아탄력성과 학교적응의 직렬다중매개효과

        최려나,노충래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 2022 한국청소년연구 Vol.33 No.4

        This study examined the mediating effects of ego-resilience and school adjustment in the relationship between acculturative stress and life satisfaction amongst multicultural adolescents. For the purpose of the present study, we used data from the 4th wave of Multicultural Adolescents Panel study (MAPS 1), conducted by the National Youth Policy Institute. The participants comprised 1,325 adolescents from multicultural families in their 1st year of middle school. The finding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acculturative stress had a negative effect on life satisfaction amongst multicultural adolescents. Second, multicultural adolescent’s ego-resilience had a mediating effect on the relationship between acculturative stress and life satisfaction. Third, multicultural adolescent’s school adjustment had a mediating effect on the relationship between acculturative stress and life satisfaction. Finally, ego-resilience and school adjustment had a double mediating effect on the relationship between acculturative stress and life satisfaction. Based on results such as these, this study is able to advance several suggestions which can be used to improve multicultural adolescents’ ego-resilience, school adjustment, and life satisfaction while reducing acculturative stress. 본 연구는 다문화 청소년의 문화적응 스트레스가 삶의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과 이들 관계에서 자아탄력성과 학교적응의 직렬다중매개효과를 검증하여 다문화 청소년의 사회복지 실천적, 정책적 함의를 모색하는 것이 그 목적이다. 이를 위해 본 연구에서는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의 「다문화청소년 패널조사 1기 데이터(MAPS 1)」의 4차년도 자료에서 중학교 1학년생 총 1,325명(남학생 648명, 여학생 677명)을 대상으로 구조방정식 모형을 활용하여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다문화 청소년의 문화적응 스트레스가 높을수록 삶의 만족도는 유의하게 감소하였다. 둘째, 자아탄력성은 문화적응 스트레스와 삶의 만족도 간의 관계를 부분매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학교적응은 문화적응 스트레스와 삶의 만족도 간의 관계를 부분매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자아탄력성과 학교적응은 문화적응 스트레스와 삶의 만족도 간의 관계에서 직렬다중매개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다문화 청소년의 문화적응 스트레스에 대한 개입이 삶의 만족도 향상에 중요하다는 것을 보여줄 뿐만 아니라 스트레스에 직접 개입하지 못할 경우에는 자아탄력성과 학교적응 향상이 삶의 만족도 증진에 도움이 될 수 있다는 점을 시사한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본 연구는 다문화 청소년의 삶의 만족도 향상을 위한 사회복지의 실천적, 정책적 함의를 논의하였다.

      • KCI등재

        다문화청소년의 언어적응 유형별 문화적응 스트레스의 차이

        최인지,신형진 한국인구학회 2023 한국인구학 Vol.46 No.3

        본 연구는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에서 수행한 다문화청소년 패널조사 1기 데이터의 5차년도 자료를 활용하여 다문화청소년의 언어적응(linguistic acculturation) 유형별 문화적응 스트레스(acculturative stress)의 차이를 분석하였다. 국내 다문화청소년의 대다수를 차지하는 한국인 아버지와 외국인 어머니 사이에서 태어난 1,298명으로 표본을 제한하고, 그들의 한국어와 외국어 능력을 다각도에서 측정한 결과를 바탕으로 언어적응 유형을 규정하여 이를 문화적응 스트레스의 핵심적인 예측변인으로 분석하였다. 언어적응 유형을 동화(한국어 구사), 통합(이중언어 구사), 분리(외국어 구사), 그리고 주변화(제한적 언어구사)라는 더미변수로 각각 코딩하고 개인과 가정, 사회적 지지라는 차원에서 측정된 다른 변인들도 투입한 다중회귀분석 결과, 초기 모형에서는 ‘동화와 통합’ 대 ‘분리와 주변화’라는 한국어 능력에 따른 문화적응 스트레스의 차이가 나타났다. 그러나 어머니의 문화적응 요인과 양육태도가 통제된 이후에는 ‘통합’ 유형의 문화적응 스트레스 점수도 ‘동화’ 유형보다 통계적으로 유의한 수준으로 높게 관찰되었다. 이러한 결과는 언어적응이라는 측면에서 다문화청소년들의 문화적응 스트레스가 단지 한국어 능력의 부족에 기인하는 것이 아니라는 것을 시사한다. 즉, 한국과 같이 강력한 동화의 압력이 작용하는 사회에서는 유산문화를 보존하려는 개인의 스트레스가 클 수밖에 없으므로 다문화청소년의 이중언어 능력은 그것이 가져다줄 수 있는 여러 가지 긍정적인 결과에도 불구하고 필연적으로 문화적응 스트레스를 불러올 수 있음을 함의한다.

      • KCI등재

        다문화가정 청소년의 부모애착과 학교적응의 관계에서 문화적응스트레스의 매개효과

        최경란(Choi, Kyungran),홍지영(Hong, Jiyoung)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 2018 한국청소년연구 Vol.29 No.1

        본 연구는 다문화가정 청소년의 부모애착과 학교적응의 관계에서 문화적응스트레스의 매개효과를 검증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전라남도·북도의 초등학교 5학년부터 중학교 3학년까지의 다문화가정 청소년 120명을 대상으로 부모애착 척도, 학교적응 척도, 문화적응스트레스 척도를 사용하여 자료를 수집하였다. 자료는 SPSS 23.0 프로그램과 AMOS 22.0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기술통계분석, 상관분석, 구조방정식 모델링을 통한 매개효과 검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부모애착, 문화적응스트레스, 학교적응 간의 상관관계를 분석한 결과 부모애착과 학교적응의 관계는 유의미한 정적 상관이, 부모애착과 문화적응스트레스는 유의미한 부적상관이, 학교적응과 문화적응스트레스의 관계는 유의미한 부적 상관이 나타났다. 둘째, 부모애착과 학교적응의 관계에서 문화적응스트레스의 매개효과를 분석한 결과 문화적응스트레스가 부모애착과 학교적응의 관계를 부분 매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부모애착은 학교적응에 직접적으로도 관계되며, 문화적응스트레스를 통해 학교적응에 간접적으로 관계 되어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다문화가정 청소년의 학교적응과 관련하여 부모애착과 문화적응스트레스의 관계를 확인하고, 부모애착과 학교적응 관계에서 문화적응스트레스가 매개변인으로 작용하고 있음을 밝힌 것에 의의가 있다. 따라서, 다문화가정 청소년의 학교적응 상담과정에서 부모애착에 대한 고려와 더불어 문화적응스트레스에 대한 청소년시기의 적절한 개입을 통해 학교생활의 어려움을 이해하고 적응을 높이기 위한 노력을 기울여야 할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mediating effects of cultural adaptation stress in the relationship between parental attachment and school adjustment in adolescents of multicultural families. A total of 120 elementary and middle school students took part in the study. The data were analyzed using the SPSS 23.0 and the AMOS 22.0 programs. The study found that first, the correlation analysis showed the following: that the relationship between parent attachment and school adaptation was a significant static correlation, parents attachment and culture adjustment stress, culture adjustment stress, and that school adaptation were significant negative correlations. Second, cultural adaptation stress played the role of a partially mediator in the relationship between parental attachment and school adjustment. This study is significant in that it shows that cultural adaptation stress can act as a mediating variable in the relationship between parental attachment and school adjustment.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