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동작 전 과제 정보의 내용에 따른 무용동작 학습 효과

        설옥경 한국무용기록학회 2009 무용역사기록학 Vol.17 No.-

        본 연구는 동작에 대한 언어적 과제정보가 무용동작 학습에 영향을 미친다는 선행연구를 바탕으로 동작과제에 관한 기능적 설명을 제시하는 비교집단과 동작 분석적 설명을 제시하는 실험집단으로 나누어 과제정보의 내용에 따라서 학습 효과에 차이가 있는지 알아 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18명의 여자 대학생과 대학원생을 실험조건에 따라 각각 9명씩 2개의 집단에 무선 배정하였다. 학습과제는 한국무용동작의 한 발을 들고 뛰는 황새체를 하며 도는 동작을 수행하는 것으로, 이 동작의 시범은 동작을 촬영한 미디어 파일을 노트북을 통해 제시하였고 각 집단별로 기능적 설명과 동작 분석적 설명이 녹음된 오디오 파일을 시범과 함께 동시에 제공하였다. 모든 피험자들은 동일한 실험 절차상에서 연습 없이 이루어지는 1차 검사를 포함한 총 31회의 연습시행을 거쳐 5회씩 6분단의 수행검사, 그리고 1일(약 24시간) 후 5회 수행의 파지검사를 실시하였다. 동작수행에 대해서 4명의 한국무용 전공자가 동작의 정확성, 균형감, 연결성, 리듬감, 방향감, 표현성을 기준으로 수행 평가한 다음 이를 합산한 합계점수를 산출하였다. 각 영역에 따른 점수와 합계점수의 평균에 근거하여 과제정보 제시내용(2)에 따른 반복측정(7) 실험설계에 대응하는 이원변량분석(two-way ANOVA with repeated measures on the second factor)을 실시하였으며, 파지단계에서는 과제정보 제시내용(2)에 따른 두 집단의 학습의 주효과를 검증하기 위하여 독립 T 검정을 실시하였다. 분석결과 연습단계에서는 연결성점수와 표현성점수에서 과제정보내용에 따른 주효과, 분단의 주효과, 분단과 과제정보내용 간의 상호작용효과에서 모두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나왔으며, 합계점수와 정확성, 균형감, 리듬감, 방향감 점수는 과제정보 제시내용에 따른 주효과와 분단과 과제정보내용 간의 상호작용효과에서 유의하지 않게 나타났다. 그러나 시행의 증가에 따른 분단 간 주효과는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나왔으며, 시행증가에 따라 기능적 설명집단에 비해 동작 분석적 설명집단이 상대적으로 높은 수행점수의 결과를 보였다. 파지단계에서는 동작 분석적 설명집단이 기능적 설명집단보다 높은 점수를 보였으나, 집단 간 주효과는 합계점수와 6가지 요소의 점수 모두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았다. 결론적으로 과제정보의 내용으로 동작 분석적 설명 제시는 무용동작 학습에 있어서 기능적 설명 제시와 비교해서 두드러진 효과를 보이지는 않았으나, 과제정보의 자극 후에 바로 수행이 이루어지는 연습단계에서는 동작의 연결성과 표현성 측면에서 효과적이라는 것을 시사하고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two different verbal presentation of task information on dance movement learning. In order to conduct the experiment, eighteen students were allocated into two different experimental groups. Each group consisted of nine students respectively. The first group was presented with the functional explanation of movement information and the second group with the analytical explanation of movement information based on Laban Movement Analysis(LMA) about the tasks. Subjects were asked to perform the experimental learning tasks simultaneously, which were the Hwang-sae-chae(hop) and turn, after two different verbal presentation of movement information provided by video clips. 2×7 two-way ANOVA with repeated-measures on the second factor was used to measure the effect of the experiment. Subject performed seven blocks of five trials of movement tasks in addition to a baseline measure without practicing, followed by a retention test with five trials, after twenty-four hours. The subjects' performances were evaluated by dance experts with at least 15 years of experience in the field. Ten is the maximum score in each criterion. Six different criteria were set; accuracy, balance, connection, direction, rhythm, expression. The analysis of data showed that main effects of task information content on trial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in all scores. The interaction effect between trial and verbal presentation of task information showed no significance in total, accuracy, balance, direction, and rhythm. However, the interaction effect between trial and verbal presentation of task information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in connection and expression. The analytical explanation group was shown to have the higher scores than functional explanation group during the retention phase, but there were not statistical significance between the groups. In conclusion, it suggests that analytical explanation of movement of task information presentation have proven to be more effective in connection and expression of dance performance.

      • KCI등재

        맥락간섭이 한국무용 기본동작학습에 미치는 효과

        백정희(Jung Hee Baek),전민선(Min Sun Jun) 한국무용과학회 2011 한국무용과학회지 Vol.24 No.-

        한국무용동작 학습에 미치는 맥락간섭의 효과를 알아보기 위하여 경기도 소재의 H대학교 무용과 1학년 학생 16명의 피험자로 실험집단을 구성 하였다. 실험집단은 맥락간섭의 조건에 따라 분단연습집단, 무선연습집단으로 구분하였다. 실험기간은 2주간 주3회(총6회)를 4분단씩 총96회 연습하게 하고, 휴지기는 14일후로 하여 파지검사를 실시하였으며 평가는 한국무용 전공경력 10년 이상, 교사경력 5년 이상의 3명의 심사위원으로 구성하였다. 사전평가와 6회 연습 후 평가, 휴지기가 지난 14일째 파지검사를 실시하였고, 자료처리는 통계프로그램인 SPSS 12.0을 이용하였다. 실험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연습종료직후 분단연습집단이 무선연습집단보다 동작수행의 이점을 보였다. 둘째, 학습효과는 분단연습집단이 무선연습집단보다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p<.05).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ind out the Contextual Interference Effect on the learning of basic movement with the Korea Dance performance through observing 16 students in the Korea dancing department of Hanyang University 1st graders. Experimental group is divided into Blocked practice group and Random practice group on the contextual interference effect. The Experiment was conducted 3 times per week for 2 weeks. Each experiment consisted of 4 sets and each set consists of 4 repetition. Therefore, the practice was conducted 96 times. Then, The retention test was measured at 14days after an end of the experiment. And Assessment w as composed of three judges who majored in korean dance over 10 years or had teaching experience more than 5years. After pre-test and evaluation exercises six times, resting for the past 14 days retention test was conducted, the Data was calculated by Using a SPSS program ver. 12.0 for statistical research. Test results are as below. First, Immediately after exercise, Blocked practice group showed the advantage of performing Random practice group actions. Second, Learning effects of Division practice group were also better than Wireless practice group.(p<.05).

      • KCI등재후보

        운동감각적 피드백이 발레동작 학습효과에 미치는 영향

        이주경 ( Lee Joo-Kyung ),문영 ( Moon Young ) 한국무용교육학회 2010 韓國舞踊敎育學會誌 Vol.21 No.2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investgate the effects of kinematic feedback on learning of ballet movement. This study to present empirical data basis on the kinematic feedback in ballet education and establish the guideline required for ballet movement learning. In this study, 20 ballet dancers were required to practice ballet enchainement (battement tendu-grand battement-petit jete`-grand jete`) task in two different practice condition (kinematic feedback group, Non-kinematic feedback group) ten times each day during 5days. The experimental design was 2(kinematic feedback condition)×2(test) factorial design with repeated measures on test. Pre-post test performance score was analyzed with two-way ANOVA and retention test scores was analyzed with t-test. The results were as follows, In performance stage, the main effects of feedback was not significant statistically; the main effects of test was not significant; the interactive effects of feedback and test were not significant, also. However in learning stage, the result of retention test showed a significant difference of .05, especially the effect on grand battement movement. This result supports the result of previous studies that the kinematic feedback are more effective on a slow movement than a fast one, suggesting that the kinematic feedback is an important factor for improvement of the understanding in the phase of retention. Consequently, kinematic feedback might be effective on a ballet movement involving the degree of difficulty of mid-level rather than too high or low-level, and a ballet movement constituted with slow tempos than fast one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