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경호무도의 발전과제 탐색과 함의

        김태민 ( Tae Min Kim ),이상철 ( Sang Chul Lee ) 대한무도학회 2011 대한무도학회지 Vol.13 No.2

        경호는 경호대상자에게 직·간접적으로 가해지는 위해요소로부터 경호대상자의 생명과 재산을 보호하기 위해 경호원이 수행하는 제반 안전작용이다. 따라서 경호원은 사전에 위험요소를 제거하고, 근접에서 경호대상자의 신변안전을 도모해야한다. 특히 경호무도는 경호대상자의 절대 안전이라는 경호의 최고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경호원이 고도로 훈련된 몸을 수단으로 하여 위해자의 공격을 방어 및 제압하는데 필요한 무도로서 근접경호원에게 있어서 필수 요건이다. 그러나 경호무도는 현재 합기도, 유도, 태권도, 용무도, 검도 등 다양한 형태로 수련되고 있으며, 경호무도만의 체계화된 형식을 갖추지 못해 정체성과 표준화에 대한 문제가 제기되고 있다. 이 연구에서는 이러한 실정에서 경호무도의 현실적 문제점과 선행연구들이 제기한 경호무도의 발전방안 등을 탐색하여 시사점과 발전과제를 제안한다. 경호의 특성상 경호대상자에게 가해지는 위해는 예정되어 있지 않으며, 한 번의 실수는 경호의 실패라는 최악의 결과를 초래할 수 있다. 경호무도수련의 실상은 일반무도로서 수련되는 실정이므로 경호기법에 입각한 수련으로 개선되어야 한다. 그리고 현실적으로 3,500여개 경호경비업체에서는 업무환경 상 경호무도의 수련이 어려우므로 경호경비업체의 노력과 법제적인 규제의 보완이 필요하다. 학문적으로는 경호무도에 대한 연구들이 지속적으로 논의되고, 대학에서는 경호무도가 전공교과목으로 자리 잡고 있으며, 대한무도학회에서는 경호무도가 하나의 분과로 자리를 잡아가는 등 성과를 이루어내고 있다. 그러나 심도 있는 경호무도의 개발과 연구, 경호무도의 표준화, 산학연 연구 등의 과제가 산재해 있어 이에 대한 발전과제는 지속적으로 노력하고 연구 개발되어야 한다. 마지막으로 경호학은 응용학문으로서 산업과 함께해야 한다. 즉 공경호는 물론 민간경호인 신변보호업무의 발전과 연계되어 시너지효과가 발현되기를 기대한다. Guard is a general safety action that is performed by guard agent to protect life and asset of guard subject from the threatening factors that are given to guard subject directly or indirectly. Therefore, guard agent shall remove risk factor in advance and search for safety of guard subject in near place. Guard martial arts is the martial arts required for defending or suppressing the attack of assaulter by using the body of highly trained special guard in order to achieve the goal of guard, security of guard target`s safety. Guard martial arts is essential factor for guard. However, guard martial arts is trained in various types such as hapkido, judo, taekwondo, yongmudo and kumdo. guard martial arts does not take its unique systematized form, generating the problem of identity and standardization.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research current problem of guard martial arts and its development assignment suggested by previous studies and suggest its implication and development assignment. Because of the characteristic of guard, the risk given to guard subject can`t be predicted. Just one mistake may cause the worst result, guard failure. Although the training of guard martial arts shall be based on guard skill, it is trained as a general martial arts actually. In addition, it is hard for about 3,500 security serviced companies to train guard martial arts because of their working conditions and its regulatory reinforcement shall be accomplished. The studies on guard martial arts have been discussed continuously in academic world, guard martial arts has been positioned as an essential subject in universities and it was appointed as a department of Korean Alliance of Martial Arts. However, there are many assignments to solve such as development and research of in-depth guard martial arts, standardization of guard martial arts and research in industry, university and research center so its development assignment shall be discussed. In conclusion, security science shall be with industry as an application science. It is expected that it reveals synergy effect by connecting to development of private guard, protection of a person, as well as public guard.

      • KCI등재후보

        무도학의 교과목과 교과내용 개발

        신승윤 ( Seung Yun Shin ),김주연 ( Joo Youn Kim ),김중헌 ( Jung Heon Kim ),류병관 ( Byung Kwan Ryoo ),임태희 ( Tae Hee Lim ) 대한무도학회 2011 대한무도학회지 Vol.13 No.3

        무도학은 학술활동과 학과개설의 측면에서 독립된 하나의 학문영역으로 자리매김하고 있다. 현재의 무도학 교과과정은 실기교과목인 경우가 대부분이고, 이론교과목은 기존의 체육학 교과목을 차용하고 있다. 이는 무도학의 이론교과목들을 체육학의 한 영역으로 인식함에서 비롯된 것이므로, 무도학의 특성을 살린 독립적인 교과목에 대한 논의는 무도학의 학문화 추구에 있어 중요한 과제이다. 그러나 무도학의 교과목과 교과내용을 다룬 교과과정에 대한 연구는 아직까지 이루어진 바가 없다. 이에 본 연구는 무도학의 교과과정 개발을 목적으로 하였다. 개발은 문헌고찰을 중심으로 이루어졌고, 이후 전문가 논의 및 학술대회 발표 등의 절차를 거쳤다. 교과목은 인문학, 자연과학, 사회과학의 3개 영역으로 구분하였다. 그리고 영역별 하위 과목은 무도사·무도철학을 인문학, 무도양생론·무도수련론을 자연과학, 무도산업경영론·무도문화론·무도와 심을 사회과학으로 구성하였다. 각 과목들의 분량은 한 학기 강의용으로 정리하였는데, 평가(기말, 중간, 수시)를 고려하여 인문학과 자연과학은 14차수의 교과내용으로, 사회과학은 13차수의 교과내용으로 체계화하였다. 교과목과 교과내용 개발의 필요성은 무도학의 현실적인 고민에서 비롯되었다. 전국에 많은 무도 관련 학과들이 존재하지만, 이들이 기본적으로 배워야 하는 교과과정이 마련되어 있지 않다는 점으로 인해 무도학의 학문적인 성향에 대한 근본적인 문제가 제기됨을 상기해야 할 것이다. Martial arts has become one of independent sciences in terms of number of departments in college and its academic activities. But its own curriculum has not been developed so far.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velop a curriculum for martial arts. This study has been proceeded through debates among experts, literature reviews and presentations in seminar. The domains of martial arts are composed of humanities, natural sciences and social sciences. Humanities included the history of martial arts and the philosophy of martial arts. Natural sciences included health promotion by Martial arts and training for martial arts. Social sciences included martial arts and mind, martial arts culture and administration for martial arts industries. Key Words : Martial Arts, Curriculum, History of Martial Arts, Philosophy of Martial Arts, Health Promotion by Martial Arts, Training for Martial Arts, Administration for Martial Arts Industries, Martial Arts Culture, Martial Arts and Mind.

      • KCI등재

        한국 무도의 제문제를 통한 글로벌화 전략

        윤성원,최희동,김지영 대한무도학회 2022 대한무도학회지 Vol.24 No.4

        본 연구는 한국 무도의 제문제를 통한 글로벌화 전략을 제시하기 위한 목적으로 수행되었다.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한국 무도 8개 종목의 영향력을 갖춘 전문가 13명과 실질적으로 현장에서 경험하고 있는 수련생, 지도자 105명을 대상으로 전문가 인터뷰와 개방형 질문지를 통해 연구를 수행하였다. 그 결과 첫째, 한국 무도의 현재 상황으로 전문가들은 대한체육회 가맹단체 외 기타 단체들의정부 지원이 필요하다고 하였고, 수련생 및 지도자는 기관 및 단체의 파벌적, 폐쇄적 요인이 발생 되고 있다고 하였다. 둘째, 한국 무도의 문제점으로 전문가들은 인기 종목으로의 편중된 대중의 관심과정부의 지원이라고 하였고, 수련생 및 지도자는 인기 무도 종목의 편중화, 지도자 연구 부족, 놀이 및입시 위주의 교육으로 나타났다. 셋째, 한국 무도의 발전방안으로 전문가들은 학교 체육교과 과정 편성 및 교육이 필요하다고 하였고, 수련생 및 지도자는 무도학습 및 연구의 필요, 문화 계승 및 활성화를 위한 지원 및 개발, 정책제도 및 관련 법령 정립, 기관설립이 필요하다고 하였다. 마지막으로 한국무도의 글로벌화를 위한 과제로는 전문가들은 학술 및 경연대회를 통한 교류 제도의 확대, 세계적인문화유산으로 성장할 수 있는 제도적인 역할이 요구된다고 하였고, 수련생 및 지도자는 K-문화산업의발전, 무도의 가치적 존중, 국내외적 무도 연구, 원활한 정보 교류, 글로벌 무도인의 양성 및 활성화, 컨텐츠 개발이 이루어져야 한다고 하였다.

      • KCI등재

        무도학 단상 3제

        김동규 ( Dong Kyu Kim ) 대한무도학회 2011 대한무도학회지 Vol.13 No.1

        이 연구는 무도학이 독립된 학문의 한 영역으로 존립하고, 무도학의 발전에 초석이 되기 위한 전제조건은 무엇인가에 대해 논의하였다. 이의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무도학은 ``수행분과(혹은 무도분과)``와 ``경기분과``로 구분해서 접근할 필요가 있다. 이는 두 영역간의 이질화를 도모하자는 것이 아니라, 수행과 경기로 이원화 된 연구를 바탕으로 각 영역을 전문화시킨 다음, 이의 통합연구를 시도하는 방식을 택하는 것이 무도학의 학문적 수준을 향상시킬 수 있다는 입장이다. 수행분과의 연구는 무도의 본질적인 문제, 즉 ``道``의 문제가 다루어지게 된다. 이는 무도, 무도학의 방향을 설정하는 연구로서 무도수행의 내재적 가치를 구현하는 철학적 접근이 될 것이다. 반면 경기분과의 연구는 무도의 현상적인 문제, 즉 ``技``의 문제가 다루어지게 된다. 이는 경기화된 무도에서의 경기력 증진과 健身을 위한 수단으로서의 과학적인 방법들이 연구과제가 될 것이다. 둘째, 수행과 경기(겨루기) 영역이 소통하여 공존할 수 있는 대안을 모색하고, 수행과 경기의 소통 주체로서 형(形)의 역할과 과제를 탐색하여야 한다. 셋째, 무도 혹은 무도학의 발전을 위하여 거버넌스의 이념을 도입할 필요성이 있다. 중앙기관에서의 수직적이며 집중적 형태인 ``통치``의 개념에서 벗어나 수평적인 관계, 분산형태로서의 접근이 무도계에도 요구되며, 무도학은 이러한 문제의 해결에 이론적 기반을 확립하는 선도적 역할을 해야 할 것이다. 무도의 철학적 기반을 확보하고, 과학적인 훈련방식을 개발하는 것 못지않게 무도학은 구성원의 선진의식 고취 및 행정시스템의 선진화라고 하는 과제에 선도적인 역할을 수행해야 할 의무가 있다. This study discussed what the prerequisites are for which the martial arts study can be established as one sphere of independent learning, and become a cornerstone in development of martial arts study. The conclusions on this are as follows. First, the martial art needs to be approach by being divided into ``cultivation(修行) division(or martial arts division)`` and ``competition division.`` The purpose is not to promote heterogeneity between two spheres, but is rather the position as saying that taking a method of attempting the inclusive research on this after specializing each sphere based on a research with duality in cultivation and competition, can increase the academic level of martial arts study. A research on the cultivation division comes to be addressed an essential problem, namely, a problem of Tao(way, 道).`` As this is a research of establishing direction in martial arts and martial arts study, it will be a philosophical approach that implements immanent value in performing martial arts. On the other hand, research on the competition division comes to be addressed a phenomenal problem in martial arts, namely, a problem of skill(技).`` As for this, scientific methods will be the research task as a means for promoting athletic performance and health for body(健身) in the competed martial arts diecond, there is necessity for seeking an alternative plan that spheres of cultivation and competition(matching) can communicate and coexist, and for exploring a role and task in martial form(形) as the main subject of communication in cultivation and competition. Third, a concept of governance needs to be introduced for development in martial arts and martial arts study. The martial arts circle is demanded the approach in the horizontal relationship and the decentralized form, with escaping from a concept of ``rule,`` which is the vertical and concentrated form in the central agency. The martial arts study will need to play a leading role in establishing theoretical foundation in solving this problem. No less than securing philosophical foundation in martial arts and developing scientific training methods, the martial arts study has a duty of needing to perform a leading role in a task called the encouragement in members` advanced consciousness and the enhancement in administrative system.

      • KCI등재후보

        순환론적 역사관에 따른 무도의 가치변화 과정과 의의

        정재환 ( Jae Hwan Jung ),정찬수 ( Chan Soo Jung ) 대한무도학회 2009 대한무도학회지 Vol.11 No.3

        무도는 가치체계로 구성되어 있기에 무도의 행위 자체에서 내포된 폭력성과 무력 등은 이를 지양하는 현대사회의 가치관에도 불구하고 여전히 전승, 수련되고 있다. 이 같은 무도의 특성은 무도의 가치론적 측면이 부실해질 경우 더 이상 유지·존속이 어려운 상황에 직면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 따라서 이 연구는 무도가 내포하고 있는 가치가 현대사회에서 무도의 유지·존속에 필연적 요소임을 직시하고, 무도가 동시대의 가치관을 포괄하면서 발전하였다는 전제와 함께 역사는 순환한다는 순환론적 역사관을 토대로 과거로부터 현재까지 무도의 가치관 변화과정을 고찰하였다. 그 결과 공동사회에서 드러나는 무도의 가치는 생존을 위한 의미에서 가치관이 형성되는 시기였으며, 초기 국가체제에서의 무도는 전혀 새로운 의미가 아니라 기존에 무도가 가지고 있던 가치관에 대해 의미의 확장을 꾀하는 시기로 그리고 조직화된 국가체제에 이르러서는 무도는 전 방위적인 다양화 현상이 두드러진 시기로 규정하였다. 이는 무도가 내포하고 있는 무도성 함양이라는 목적 지향적 행위에 대해 실용적 차원에서의 무용론이 대두된 결과이며, 철저히 가치관을 통해 유지·존속되는 형태로 발전된 것임을 의미한다. 이와 같은 무도의 가치변화 과정은 다양한 가치관이 혼재된 현대 사회는 물론 앞으로 도래하게 될 미래에도 여전히 무도가 가치 있는 활동으로 존재하기 위해서는 행위의 실용적 측면이 강조될 것이 아니라 무도의 가치론적 논의를 더욱 증진시킬 필요성이 대두됨을 시사하는 것이다. 따라서 향후 무도가 지향해야 할 실천적 과제로 첫째, 무도의 실전지향성 강화, 둘째, 무도의 기술지향성 강화, 셋째, 무도의 가치지향성 강화를 주장하였다. Since martial arts consist of value system, they still remain inherited and accepted to this generation for training purpose, although our contemporary society has a sense of value to get over any violence and nature of power inherent in martial actions. These characteristics of martial arts imply that they may face a risk of discontinuation or unsustainable presence, if their aspects of value are undermined fundamentally. Thus, on a premise that martial arts have evolved to embrace contemporary sense of values and every history moves in a cycle (from a viewpoint of historical cycle), this study sought to make phased classification and examination of value transition of martial arts in history. As a result, this study could classify the value transition broadly into 3 phases: 1) Period when values of martial arts in community life began to form in a sense of survival, 2) Period when martial arts tried to extend their significance from conventional sense of value in it, not to pursue a new significance, in the primitive national system, and 3) Period when martial arts became diversified throughout all dimensions in the era of organized national system. Here, such historical transition of martial values is a result from dominating discourses about uselessness versus practical values of martial actions, and implies that the martial arts have evolved to sustain and last altogether through senses of value. Hence, it has been more necessary than before to fuel up discussions on values of martial arts, so that martial arts are and will be still considered a part of valuable activities in our contemporary society mixed up with various values as well as in near future. Therefore, this study proposes 3 major future-oriented challenges of martial arts: 1) Build up practice-orientedness of martial arts, 2) Build up skill-orientedness of martial arts, and 3) Build up value-orientedness of martial arts.

      • KCI등재

        학(學)으로서 무도철학의 이론전개방향

        황옥철,이상호 한국체육철학회 2013 움직임의철학 : 한국체육철학회지 Vol.21 No.2

        This study is follow-up paper of being the practical implication and understanding of martial arts. Philosophy of martial arts should explain not only the aspects of phenomena but also the meaning of practice. And then, we should propose the new theoretical directions. But these discussions are to keep the attributes of having the objective, logical, and scientific directions. Of course, there are existed many methodologies according to researcher's view and approach. Therefore, this study is of delineating the discoursive contents about the theoretical directions on philosophy of martial arts.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we should focus the re-invention of concept of martial arts of logically elucidating the practical cultivation. Second, we should need the conversion of epistemology in the philosophy of martial arts. It is to show the meanings of self-cultivation under prerequisite of their reflections. Third, it should realize the practical knowledge in life world that discipliant's attitude and behavior could help the others through the self-perfection. Fourth, we should know the aesthetics of martial arts in detail from the perspective of East's thought. It makes it possible to represent as the De(德) rather than beauty(美). Fifth, we should the expand the horizon of understanding the ethics of martial arts. We are to establish what the ethical problems are in our martial arts, and then we should try to get their answer. But we will consider the precedent discussions may be differently described by many critically views. Therefore, we need the more review and discussion. After acknowledged the review of the diverse contents, we will strengthen the basis on philosophy of martial arts as science different from the philosophy of sports in Western. 본 연구는 무도철학이 갖는 실천적 함의와 이해의 후속 논문이다. 무도철학은 무도의 현상적인 측면이외에도 실천적인 의미까지도 설명해야 한다고 하였다. 이를 통해 무도철학은 새로운 이론적 전개 방향을 제시할 필요성이 있다. 이러한 논의의 전개는 객관적, 논리적, 체계적인 특성을 유지해야 한다. 하지만 무도철학은 연구자의 관점과 시각에 따라 다양하게 전개될 수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무도철학의 이론적 전개방향에 대한 하나의 시론적 시도이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무도개념의 재창조가 필요하다. 무도개념은 무도의 실천적 수행을 논리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새로운 무도개념의 창조에 방점을 찍어야 한다. 둘째, 무도철학에 대한 인식론적 전환이 필요하다. 무도철학은 무도의 깨달음이나 도의 의미를 고정된 도달해야 하는 인식의 대상으로 판단해서는 안 된다. 지금 주어진 현실에서 수행하는 과정 그 자체에서 자신의 반성을 전제한 자기 수행의 의미를 제시해야 한다. 셋째, 무도철학은 실천적 앎을 넘어선 실천적 삶으로 구현되어야 한다. 실천적 앎은 자신이 실천적 수행을 할 수 있다는 것을 아는 것이며, 실천적 삶은 자기완성을 통해 현실에서 타인에게 도움이 되는 행위로의 전환을 의미한다. 넷째, 무도미학에 대한 이해가 필요하다. 서구 미학이 감각에서 출발하였지만 동양의 미학은 감정에서 시작하였다. 이는 무도미학이 서구적인 아름다움, 즉 미라는 측면보다 수행의 과정 속에서 덕이라는 내용으로 표출되어야 한다. 다섯째, 무도윤리에 대한 동양적 사상에 대한 이해의 지평을 넓혀야 한다. 무도에서 가장 중요한 윤리적 문제가 무엇인지를 설정하고 해답을 찾으려는 노력을 경주해야 한다. 하지만 이 모든 무도철학의 이론적 구성과 내용의 전개방향은 연구자의 관점에 따라 다르게 서술될 수 있다는 점에서 더 많은 논의와 검토가 필요하다. 이 모든 것이 검토되고 인정받을 때 서구스포츠와 다른 학으로서 무도철학의 단초를 세울 수 있을 것이다.

      • KCI등재

        《화랑세기》 에 기록된 신라 화랑의 무도

        김권택(Kim, Kwon Taek),오주성(Oh, Ju Sung) 한국무예학회 2011 무예연구 Vol.5 No.2

        무도인의 정신적인 표상으로서 신라 화랑에 관한 자료는 《화랑세기(花郞世記)》에 기록된 내용이 가장 많다. 김대문이 8세기에 저술한 《화랑세기(花郞世記)》에 나타난 신라 화랑의 무도를 고찰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우선 무도와 관련성이 있는 용어는 격검(擊劍) 5회, 검(劒) 3회, 무사(武事) 4회, 검술(劍術) 1회, 검도(劍道) 2회, 말 타기(馬術, 馬) 4회, 활쏘기(弓術, 弓) 3회, 무도(武道) 1회, 베기 2회, 병장기(兵仗器) 1회, 편력(遍歷) 1 회, 병서(兵書) 1회 등으로 나타났다. 병서를 제외하고는 모두 신체적인 활동으로 나타났다. 특히 검과 관련된 신체활동은 다양한 의미로 설명되고 있다는 것을 발견할 수 있었다. 무도라는 용어가 처음으로 나타나는 시기는 예원공 (606~ 673)시대이며, 무도의 개념이 형성된 시기는 지증왕(437~514)과 법흥왕(재위: 514~540)시대부터 행해졌다는 것을 추정할 수 있다. 당시의 무도는 일본무사도 구현체를 의미하는 무도와 내용적 의미가 다르고, 신라의 화랑과 낭도들이 무예를 함에 있어 지켜야 할 도리 정도의 개념으로 분석되었다. 이는 서양의 기사도의 개념과 유사한 것으로 판단된다. 마지막으로 구체적인 화랑의 무도 활동에 대해서는 상세히 설명되어 있지 않았지만, 말 타기, 활쏘기, 검술, 병장기를 활용한 무기술, 체력단련을 위한 편력 등이 행해졌다는 사실을 알 수 있다. 특히, 검술에 관해서는 다른 무도와는 다르게 자세한 내용이 분석되었다. 그 내용은 다음과 같다. 첫 번째, 일반적이고 단순한 동작을 의미하는 검, 두 번째, 기술적인 동작을 의미하는 검술, 세 번째, 상대와 서로 겨루는 형태의 격검, 네 번째, 검을 사용할 때에 해야 하는 예절 이나 도리를 의미하는 검도, 다섯 번째, 베는 기술을 의미하는 세법(베기술) 등이 분석되었다. 무엇보다 중요한 핵심내용은 신체수련과 함께 인간의 내면적 도덕성 함양을 존중하고 육성하였다는 점에서 현대의 무도와 1500년 전, 신라시대를 살았던 회랑들의 무도 활동에서 공통점을 찾을 수 있었다. Shilla Dynasty Hwarang is the most often recorded on the data content of the Hwarang-Segi as a mental representation of Martial Artist. Martial Arts of Shilla Dynasty Hwarang is a result of the following appeared in the Hwarang-Segi written in the 8th century Kim, Dea-Mun. First the term is associated with Martial Arts, Gyeok-Geum(擊劍) 3rd, Geum(劒, sword) 3rd, Musa(武事, about a martial arts fight) 4th, Geum-Sul(劍術, fencing) 1st, Geum-do(劍道, ken-do) 2nd, Masul(馬術, horse riding 4th, Gung-sul(弓術, archery) 3rd, Mu-do(武道, martial arts) 1st, Beagi(cut skill) 2nd, Byongjanggi(arms) 1st, Pyeon-lyeok(遍歷, travels) 1st, Byong-seo(兵書, book on military science) 1st. Except in physical activity was a Byong-seo. In particular, the swords could be found relating physical activity are being described as a variety of meaning. Martial Arts is the word that appears when the Yewon(禮元, 606~ 673) to the beginning. The time of the formation of the concept of martial arts could be estimiated from the age of king Jijeung(437~514) and King Beopheung(being upon the throne: 514~540). Shilla’s martial arts, different meanings have martial arts of the Japanese. As a martial art of Silla to keep the concept of degrees, respectively. This was judged to be similar to Western concepts of chivalry. Other than physical activity has been demonstrated more about Geum-Sul(fencing). The information is as follows. First, a common and simple operations, meaning the Geum. Second, technical operations, meaning the Geum-sul. Third, Gteok-geom of a relative the other forms of competing. Fourth, Geum-do is the manners and degrees, which means fencing when using a sword to. Fifth, Sae-Beob which means cutting technology. What is more important than physical training, along with the core content of human respect and to foster the cultivation of inner moral sense can be found in common with today's martial arts martial arts in 1500 from the previous Hwarang of Silla Dynasty.

      • KCI등재

        경호무도의 학문적 발전과 성찰

        신상민 ( Sang Min Shin ),김태민 ( Tae Min Kim ) 대한무도학회 2014 대한무도학회지 Vol.16 No.1

        경호무도는 경호대상자의 신변안전을 최우선의 목적으로 수련되고 우발상황 시 신속히 적용되어야 하는 무도이다. 경호임무 수행 시 경호대상자를 향한 위협요소들은 규칙적이지 않고 공격상대방도 인지할 수 없는 불확실성을 가지고 있다. 실제 경호상황에서 적용되어야 하는 경호무도는 일반무도와는 다르게 공격 형태와 범위도 예측할 수 없는 특성을 가지고 있어 경호무도의 수련은 다양한공격에 대한 방어와 제압훈련을 수련해야만 한다. 또한 타인의 생명을 보호하기 위해 경호원 자신을희생해야 하는 정신적 수련도 병행되어야만 한다. 이러한 경호무도의 중요성이 있음에도 불구하고 학계 및 연구, 기관, 업계 등을 통해 경호무도의정체성, 기술성, 표준화, 법제도, 학문성 등 여러 문제점들이 지적되고 있으며, 학문적 연구는 미진한형편이다. 이 연구는 이러한 실정에서 경호무도의 학문적 발전 양상을 살펴보고 성찰하는 연구를 수행하고자 하였다. 1990년대 중반 대학에 경호학과가 개설되어 경호학이 학문적으로 발전할 수 있는 토대를 형성하였고, 교육과정에 경호무도 과목이 편성되고 또 시범단이나 동아리 등을 통하여 경호무도가 전국적으로 확대되고 있다. 더불어 대통령경호실을 통해서도 경호무도가 국민들에게 소개되고, 민간경호업체에서도 경호무도 경력자 채용을 희망하고 있다. 그러나 경호무도의 학문적 연구는 이에 부응하지 못했다. 학문분과로서 자리 잡히지는 않았지만, 대한무도학회지 투고규정에서 경호무도를 투고의 범위에 포함시킨 것은 참으로 다행스러운 일이라 하겠다. 경호무도가 더욱더 발전하기 위해서는 경호무도 용어의 정립, 독창적 경호무도 기술 개발, 경호무도의 표준화 및 매뉴얼화, 학문으로서 경호무도분과 연구의 활성화, 그리고 법제적 뒷받침이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The practice of security martial arts is conducted for its priority purpose of ensuring client`s personal safety, that is due to be quickly applied at contingent emergency. During the security service, there is an uncertainty with no rules and unrecognizable attacker identity about threat directly/indirectly to client. The security martial arts should be applied to actual security infrastructure where martial arts practice should be focused on defense against various types of attacks as well as training to subdue, because it is unexpected to see the type and scope, unlikely general types of martial arts. In addition, mentality practice should be accompanied, where a secret service man might have to sacrifice oneself to protect other`s life. Despite such importance, studies on academic development have not been conducted to a satisfactory level. In addition, there are many challenging issues such as identity, technical skills, standardization and legislation related to security martial arts. Under this circumstance, the attempt was made, in this study, to examine the academic development and introspection. Since mid-1990s, the Department of Security Science established has formed the basis for academic development for Department of Security Science, where the subject included in curriculum or the security martial arts spreaded nationwide through teams and circles. Additionally, security martial arts gained some recognition through Presidential Security Service, while a private security service company wanted to hire experienced security martial arts staff. However, studies on academic development of security martial arts have not met such needs. Even though being well positioned as academic sector, it is fortunate to see the decision made to contain security martial arts in the scope of column submission by the rules of The Journal of Korean Alliance of Martial Arts. To ensure its further development, there will be the needs to establish terminology, to develop unique skills, to standardize/make manuals of security martial arts and to activate the research on security martial arts division as an academic sector. In addition, it should be legally supported.

      • KCI등재

        무도현상학

        이상호 한국체육철학회 2016 움직임의철학 : 한국체육철학회지 Vol.24 No.3

        This study is a introductory study on the phenomenology of martial arts. If the phenomenology of martial arts is a academic system displaying the essence of martial arts, the essence of martial arts exactly explains why the phenomenological methods need. The phenomenology of martial arts is supported by the academic benefits and theoretical validity that the phenomenological method gives. And we have to begin from the reflection of natural attitude for enlightenment, unification of body and mind, and cultivation of person. In which we will know why the essence of martial arts bases on a erroneous judgement that we generally take for granted. Martial arts needs the universal and the strict to be built the a academic system. The universal is to make the theoretical system in which all contents include. The strict is a theoretical system to support the universality as practical method. And the theoretical base of phenomenology of martial arts need static phenomenology, genetic phenomenology, and generative phenomenology. Based on them, phenomenology of martial arts will develop as follows: subject of enlightenment and relation of it, movement of disciplinant and meaning of experience, body’s subject and role in cultivation of martial arts, meaning of cultivation, meaning of theoretical practice of martial arts, meaning of time and space in cultivation of martial arts, and meaning having completion of martial arts. This thesis is not completion of phenomenology of martial arts but a introductory suggestion to show in the future. 본 연구는 무도현상학의 시론적 논의이다. 무도현상학이 현상학적 방법으로 무도가 갖는 본질을 드러내는 하나의 학문체계라면, 그것을 설명하기 위해 왜 현상학적 방법이 필요하며 그것이 가져다주는 학문적 이익이 무엇인지를 명확하게 드러낼 필요가 있다. 이를 위해 무도현상학의 시작은 먼저 무도본질에 대한 자연적 태도의 반성에서 출발해야 한다. 즉 깨달음, 심신일여, 인격완성에 대해 우리가 일상적으로 갖고 있는 관념에 대한 반성에서 시작해야 한다. 그 속에서 일반적으로 갖고 있는 무도본질에 대한 우리의 이해가 왜 틀린지 그 속에 어떠한 문제가 있는지 파악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무도현상학이 이론적으로 하나의 학문체계를 갖기 위해 보편학과 엄밀성이 뒷받침되어야 한다. 보편학은 일반적으로 모든 것을 적용 가능한 이론체계를 형성해야 하는 것이고, 엄밀함은 이를 실천적인 방법으로 뒷받침할 수 있는 이론체계를 말한다. 그리고 무도현상학의 이론적 토대는 정적 현상학과 발생적 현상학 그리고 생성적 현상학의 관점이 필요하다. 이것을 바탕으로 무도현상학의 전개내용을 다음과 같이 설정하였다. 깨달음의 주체와 깨달음의 상관관계, 무도수행자의 움직임과 체험의 의미, 무도수행에서 몸의 주체와 역할, 무도수행의 의미, 무도에서 이론적 실천의 의미, 무도수행에서 시간과 공간의 관계, 일상생활에서 무도수행의 완성이 갖는 의미 등이다. 본 연구의 무도현상학과 관련된 논의는 완성된 것이 아니라, 앞으로 연구해야 할 내용을 거시적으로 제시하는데 그 의미가 있다.

      • KCI등재

        무도철학의 실천적 함의와 이해

        황옥철,이상호 한국체육철학회 2012 움직임의철학 : 한국체육철학회지 Vol.20 No.3

        This study is to delineate what is the prerequisite establishing as the terminology of the philosophy of martial arts, and how to understand the philosophy's role in the philosophy of martial arts. All of first, it needs the common basement to be accepted as understanding each other in both martial arts and philosophy. We verify that martial arts and philosophy in each itself innately are likely to orient toward the practical meaning. Although two concepts are superficially different, martial arts and philosophy include the practical implications. In detail, the concept of philosophy not only shows Western's wisdom but also understands the opening concept supporting the practical meaning. When we feature out the concept of philosophy to be explained the practical value in martial arts, the martial arts and philosophy should draw a way to meet each other. So, the philosophy of martial arts investigates and describes the meaning of practice in martial arts. As based on epidemiological method in a narrow sense, the concept of the philosophy of martial arts may explain three realm; the existential domain of martial arts, the practical domain of martial arts, and the valuable domain of martial arts. First, Arts(武) having both positive and not-positive meaning is to be realized and represented as the meaning of Way(道). Second, according to how to analysis the various Way's meanings in the East, the meaning of Arts is it possible to be applied differently in Way of martial arts. Third, the valuable domain of it connects to the completion of Cultivation(修行). It depends on how to establish the various consciousness system of which is deep structure supporting the practical process in the completion of Cultivation. The concept of the philosophy of martial arts makes it understandable to grasp the three realms under organic connections of themselves. On based these grounds, the philosophy of martial arts is to constitute as one part of the science of martial arts. 본 연구는 무도철학의 용어가 성립되기 위한 전제조건은 무엇이고 무도철학에서 철학의 의미를 어떻게 이해해야 하는가에 대한 논의의 전개이다. 이는 각각의 무도철학이 지향해야 할 이론적 토대를 제공하는데 있다. 먼저 무도철학의 용어가 성립되기 위해서는 무도와 철학의 두 개념이 상호 이해될 수 있는 토대를 가져야 한다. 이를 위해 무도철학에서 철학의 의미는 무와 도를 이해하기 위한 인식론적 방법으로 접근하여 이해할 필요가 있다. 본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무도와 철학은 실천적 의미를 지향한다는 점이다. 외형적으로 전혀 다른 개념인 무도와 철학은 내재적인 의미에서 본다면 실천적인 의미를 포함하고 있다는 사실이다. 무도와 철학의 관계에서 철학의 개념은 서구적 지혜의 추구 이외에도 실천적 의미를 뒷받침해주는 열린 개념으로 이해할 때 무도철학의 용어가 성립된다. 결국 무도철학은 무도가 지향하는 실천적인 의미를 탐구하고 기술하는 것이다. 둘째, 무도철학에서 철학의 개념은 무와 도를 이해하는 인식론적인 방법으로 이해해야 한다. 무도철학은 무와 도의 각각이 가진 개념과 그들 간의 관계를 통해 새롭게 설정하여 이해의 폭을 넓혀야 한다. 구체적으로 본 연구자는 무도철학의 개념을 ‘무도의 존재적 차원’, ‘무도의 실천적 차원’, ‘무도의 가치적 차원’의 세 가지로 설명하였다. 무도의 존재적 차원은 무도에서 무가 가진 긍정과 부정의 이중적 의미를 어떻게 도의 의미로 구현할 수 있느냐의 문제이다. 무도의 실천적 차원은 다양한 동양적인 도의 의미를 어떻게 해석하느냐에 따라 무도에서 무의 의미가 달라질 수 있다는 것이다. 무도의 가치적 차원은 ‘수행’의 완성이라는 문제로 연결될 수 있다. 수행의 완성을 위한 실천적 과정이 뒷받침되기 위해서는 다양한 심층적 인식체계를 어떻게 확립할 수 있느냐에 달렸다. 무도철학의 개념은 실천적 의미와 위의 3가지 차원의 유기적인 관계 속에서 파악할 때 가능하다. 이를 토대로 무도철학은 하나의 학적 체계인 무도학의 이론체계를 구성할 수 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