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모사 작품의 저작권에 관한 연구

        진현진,나동규 국민대학교 법학연구소 2019 법학논총 Vol.32 No.2

        Although it takes a lot of time, effort and money, copy of a painting work do not give the rights under copyright law unlike the original work by looking at the copy work. The copyright issue on the copy of a painting work mainly occurs during the restoration of ancient works of art. Since the copyright of the old art work has already been terminated, a copyright dispute of the copy of a painting work occurs between the copy artist and a third party using the copy work of the copy artist. The copyright dispute of the copy of a painting work is an issue that can occur in many countries including korea with various forms of ancient arts, and the possibility of copyright disputes on the copy of a painting work gradually expected to increases as the production activities for copy of a painting work is actively made. In this study, Investigated precedents in Japan to investigate copyright issues in copying operations that may occur in Korea. According to Japanese precedents, in order for a replica to be recognized as a copyrighted work, mechanical copying must not be performed, and a new creative expression that is not substantially the same as the original must exist in the copy. In other words, in order for copy of a painting work to be recognized as a copyrighted work, the creative act of the copy artist must be exerted in the picture, which is the same as that of a work of art. However, in the copy work, It is essentially quite limited in that the copy of a painting work are substantially the same as the original. For this reason, the creativity of judging the copyright of the copy of a painting work is considered to be relatively generous compared to the creativity of judging the copyright of a general work of art. 모사 작가의 작품은 많은 시간과 노력, 그리고 비용이 투입된 작품임에도 불구하고 모사 작품을 단순히 복제물로만 보아 원작과는 달리 저작권법상의 권리를 부여하지 않는 실정이다. 모사 작품에 대한 저작권 문제는주로 고미술품의 복원 과정에서 발생한다. 고미술품의 저작권은 이미 종료되었기에 모사 작가와 그 모사 작가의 모사 작품을 활용한 제 3자 사이에서 모사 작품의 저작권 분쟁이 발생하게 된다. 모사 작품의 저작권분쟁은 우리나라와 같이 다양한 형태의 고미술품이 많은 국가에서 발생할 가능성이 있는 이슈이며, 향후 고미술품의 복원을 위한 모사 작품의제작 활동이 활발해지면서 모사 작품에 대한 저작권 분쟁의 발생 가능성이 차츰 커질 것으로 예상된다. 본 연구에서는 우리나라에서 향후 발생할 수 있는 모사 작품의 저작권문제를 선행하여 일본의 판례를 통해서 조사하여 살펴보았다. 일본 판례들에 따르면, 모사 작품이 저작물성을 인정받기 위해서는 기계적 모사를하면 안 되고, 원작과 실질적으로 동일하지 않는 새로운 창작적 표현이모사 작품 속에 존재하여야 한다. 즉, 모사 작품도 저작물성을 인정받기위해서는 모사 작가의 창작적 행위가 그림 속에 발휘되어야 하는 것은일반적인 예술작품에서 저작물성을 인정받기 위한 것과 동일하다 할 수있다. 그러나 모사 작품의 세계에서 모사 작품이 원작과 실질적으로 동일성을 벗어나기는 태생적으로 상당히 제약적이다. 이러한 이유에서 모사작품의 저작물성을 판단하는 창작성은 일반적인 예술작품의 저작물성을판단하는 창작성과 비교하여 상대적으로 관대하게 인정하는 것으로 판단된다.

      • KCI등재

        조선시대 모사(摹寫)의 양상과 미술사적 의미

        고연희 한국동양예술학회 2019 동양예술 Vol.43 No.-

        조선시대 모사(摹寫)는 그림제작의 기본 태도로 이해되었고 학습(學習)을 위한 필수적 방법이었으며 화가의 실력을 평가(評價)하는 기준으로 작동했다. 모사는 또한 회화작품을 시간적으로 공간적으로 전달(傳達)하는 수단이었기에, 특히 의례용 초상화(肖像畵)와 인기를 누린 감상용 회화작품에서 많은 모사가 이루어졌다. 모사는 또한 회화작품 제작의 방법이었다. 예컨대 기록화(記錄畵)와 장식병풍(裝飾屛風) 공신도 초상화 일련 제작 및 계회도(契會圖) 제작에 모사 작업이 수반되었다. 그리하여 모사의 방법인 임(臨), 모(摹)의 구체방법의 논의가 이루어졌다. 그러나 모사본의 무수한 제작 속에서 모사 작업의 문제(問題)가 발생하였고 지적되었다. 관찰의 묘사(描寫)가 결여되는 표현의 반복, 개성적(個性的) 창작(創作)이 근원적으로 미흡하다는 점이 문제였으며, 또한 모사본의 제작이 이끄는 위작(眞僞)의 혼란이 심각하게 제시되었다. 그러나 진위의 혼란은 모사 제작의 부작용이자 부도덕한 의도의 결과이며, 묘사의 오류 및 물상 왜곡은 중세기 문화구조에 대한 이해를 기반으로 긍정적 측면이 고려되어야 하고, 창작의 결여 문제는 예술관 패러다임의 변혁에 동반된 가치관의 변화로 이해할 일이다. 이에, 오늘날 회화사 연구자는 조선시대 모사의 제작 양상과 모사에 관련된 이론을 통하여 모사의 실상을 다각적으로 파악하고 모사제작이 가진 미술사적 의미를 인식함으로써 전근대기 회화사 서술과 연구에서 특정 작가와 시대문화에 대한 새로운 실상파악 및 회화수요와 향유 상황 등의 다층적 연구로 나아갈 수 있다. 이로써 전칭작 혹은 위작으로 분류되어 연구에서 배제된 작품들을 회화사의 영역으로 의미있게 영입할 수 있다

      • KCI등재

        북한 고구려 고분벽화 模寫圖의 가치와 활용에 대하여

        박윤희 한국고대사탐구학회 2018 한국고대사탐구 Vol.29 No.-

        Jeong Hyeon-ung (1911–1976) and Son Yeong-gi (1921–?), two painters who defected to North Korea, participated in the initial projects of reproducing tomb mural paintings in North Korea. On two occasions, once in 1952 and again between 1962 and 1963, they copied mural paintings at several Goguryeo tombs, including Anak Tomb No. 3. The reproductions by Jeong and Son abided by the principle of copying the present state (現狀模寫) and took on great significance as traditional cultural resources since they recorded damage to the murals more elaborately than had Oba Tsunekichi(小場恒吉, 1878–1958). The early copies of tomb mural paintings vividly documented the innate colors within the mural paintings that could not be represented in black and white photos or dry plate glass negatives. They also present the flaking and contamination that developed over the centuries. These copies were used as prototypes for later reproductions of Gogoryeo tomb mural paintings in North Korea. Soon after the liberation of Korea, North Korea worked to excavate ancient remains and produce copies of mural paintings as part of its efforts to demonstrate its historical legitimacy. Beginning in the 1970s, North Korea reproduced mural paintings from tombs located in Jilin, China using photographs taken on-site were used. North Korea produced copies of Goguryeo tomb mural paintings not only as records of original cultural assets, but also for international publicity. Dozens of mural copies that required a great deal of resources were collectively produced for display at several overseas exhibitions, including one held in Hungary in 1952. The reproduced murals were included in traveling exhibitions in Japan from 1985 to 1987. Moreover, in the 1990s and early 2000s, copies created by North Korean painters were exhibited in South Korea as well. North Korea appears to have promoted these overseas and public exhibitions of Gogoryeo mural paintings as a means to illustrate its historical legitimacy. This resulted in the positive outcome of shedding light on both North Korea’s history and the value of the ancient cultural heritage of the Korean people. The reproductions of the mural paintings of Goguryeo tombs in North Korea transmit an important message to the modern people who inherit and preserve cultural heritage since they serve as crucial records informing about the periodical changes in mural paintings, traditional cultural resources for use in restoring cultural assets, and precious institutional materials. 분단 후 70여년이 지난 지금, 남북이 문화유산을 바라보는 인식과 간극의 차이 또한 매우 크다. 사회주의 체제 속에서 북한은 인민을 교화 선전하는 수단으로 문화유산을 적극 활용하였다. 북한은 해방 이후부터 월북화가들을 중심으로 고분벽화 모사에서 출발해 현재까지 창작사 소속 미술가 집단을 중심으로 문화재의 모작과 복원을 활발히 하고 있다. 남북 간 문화재 개념의 시각차를 이해하고 통일시대 문화재 분야의 보존에 대한 준비를 위해서는 북한의 미술품 모사 개념의 발단이라고 볼 수 있는 고구려 고분벽화 모사의 전통과 성격에 대하여 고찰해 볼 필요가 있다. 해방 이후 북한지역의 고구려 벽화고분 발굴과 모사도 제작의 시작은 1949년 발굴된 안악1~3호분이며, 이는 고구려 벽화고분 연구에 중요한 자료를 제공하였다. 벽화 모사는 계속해서 훼손이 진행될 수밖에 없는 고분의 특성상, 발굴 당시 原畫의 상태를 기록했다는 점에서 모사도의 중요성이 강조된다. 초창기 북한에서 모사도 제작에 참여한 인물은 월북화가 출신의 정현웅과 손영기였으며, 1952년부터 안악3호분을 비롯한 다수의 고구려 고분벽화의 모사도를 제작하였다. 現狀模寫의 방식으로 그린 모사도는 일제강점기 오바 스네키치(小場恒吉)가 제작한 모사도에 비해 매우 정교하게 기록되어 있어 원천자료로서 가치가 크다. 흑백사진, 유리건판 등에서 설명되지 못하는 벽화 고유의 색채는 물론 긴 세월에 걸쳐 진행된 벽화의 박락과 오염상태 등을 생생하게 기록한 모사도는 이후 북한 고구려 고분벽화 모사의 범본으로서 활용되었다. 북한의 고구려 고분벽화 모사도는 문화재 원형 기록이라는 목적 외에도 해외 선전용으로 재생산되었다. 1952년 헝가리 전시를 비롯해, 다수의 해외 전시를 위해 집체화 제작 형태로 많은 인력이 동원되어 수십 기의 모사도가 제작되었다. 1985~1987년 일본 순회전시 뿐 아니라 1990년대~2000년대 초 한국에도 북한 화가들이 제작한 모사도가 전시된 바 있다. 북한에서 고구려 벽화의 해외전시와 대중전시에 적극적인 이유는 정권의 역사적 정통성을 가시화하기 위한 수단으로 활용한 것으로 보인다. 그러나 이것은 북한 고유의 역사가 아니라 한민족의 고대 문화유산의 가치를 재인식시키는 긍정적인 결과도 가져왔다. 북한의 고구려 고분벽화 모사도는 시기별 벽화의 상태 정보를 추적할 수 있는 중요한 기록물이자 문화재 복원을 위한 원천 자료가 되며, 나아가 전시 및 교육용으로 활용가치가 높다는 점에서 문화유산을 보존하고 계승해나가야 하는 현대인에게 중요한 메시지를 준다.

      • KCI등재

        高句麗 古墳壁畵 模寫圖의 현황과 일제강점기 자료의 검토

        박아림(Ah Rim Park) 고구려발해학회 2018 고구려발해연구 Vol.62 No.-

        고구려 벽화고분이 20세기 초 학술적으로 발굴되면서 발굴한 벽화를 기록하는 수단의 하나로서 벽화의 선과 색채, 그리고 석실 내부의 상태를 재현하면서 화폭에 그대로 옮기는 모사도가 제작되기 시작하였다. 본 논문에서는 일제강점기부터 시작된 고구려 고분벽화 모사도의 제작의 역사와 현황을 살펴보고, 현존하는 고구려 고분벽화 모사도 관련 자료들을 비교하여 모사도 제작자와 제작시기에 대하여 재조명하였다. 다음으로 가장 이르게 모사도가 제작되기 시작하여 여러 본의 모사도가 현존하는 강서대묘와 강서중묘의 각 모사도 세트를 유리건판으로 남은 촬영사진, 모사도 초본, 흑백모사도, 소장정보 등을 검토하여 살펴보았다. 두 번째로는 모사도 제작 작가에 대한 정보를 조선총독부 문서를 살펴서 재검토하였다. 1914년 평안남도 용강군 쌍영총 외 3개 고분벽화 모사에 오바 스네키치(小場恒吉)와 오타 후쿠조(太田福藏)와 같이 잘 알려진 모사도 제작 작가 외에 후나고시 겐(船越謙)이라는 인물이 참여한 기록이 있다. 마지막으로 여러 본의 모사도가 존재하는 감신총의 모사도들의 원화사진, 현존 모사도, 모사도에 남은 서명과 필치, 소장번호 등을 비교 검토하여 고구려 벽화 모사도의 제작 과정과 방법에 대하여 고찰하였다. 1912년 오바 스네키치와 오타 후쿠조의 강서대묘와 강서중묘의 모사도 제작에서 시작된 고구려 고분벽화 모사는 현재까지 한국, 일본, 중국 등에서 지속적으로 제작되어 다양한 종류의 모사도들이 존재한다. 일제강점기 모사도 관련 자료를 통해 본 고구려 고분벽화 모사도의 제작과 보존 및 활용의 사례를 살펴본 결과 이러한 모사도들이 학술적이고 자료적 가치를 가지기 위해서는 각 모사도의 제작방법과 기술에 대해 상세한 기록작업이 이루어져야 한다. 이미 제작된 모사도들에 대해서는 일제강점기의 관련 자료 등을 면밀하게 검토하여 각 모사도의 제작 시기, 제작 방법, 열화 표현 정도, 바탕 처리 정도 등을 비교 연구할 필요가 있다. 모사 방법을 달리하는 여러 본의 모사도가 존재하는 강서대묘와 강서중묘, 감신총, 쌍영총 등도 각 모사도의 계통과 작가에 대하여 보다 고찰이 필요하다. 현존 모사도와 출간 도록에 실린 모사도, 모사도 제작 기록과 모사도를 찍은 국립중앙박물관 소장 조선총독부박물관 유리건판과 조선 총독부 문서 등을 검토하여 현재까지 남은 모사도의 제작 과정에 대한 정보를 복원하는 것이 향후의 연구과제이다. Since the Koguryo mural tombs have been excavated academically in the early 20th century, a replica painting has been produced as one of the measures to record the discovered murals as it reconstructed the linework, the colors, and the interior condition of a stone chamber. This paper looked up the history and the current state of mural replicas of Koguryo since the Japanese colonial time period and then reexamined the painters and the dates of replicas as comparng the remaining materials regarding the Koguryo mural tombs. The Koguryo mural replicas started in 1912 when Oba Tsunekichi and Ota Fukujo made copies of wall paintings inside the Great Tomb at Kangso and the Middle Tomb at Kangso. Currently, they have been continuously produced in South Korea, North Korea, Japan, and China in various methods. As the paper investigated the production and the preservation as well as the usage of those replicas, in order to study those replicas as the academical and authentic research source, the production techniques and conditions must be recorded in details. As of the already existing replicas, we need to thoroughly examine the related materials to figure out the dates, the techniques, the expression of the deterioration, the painters, etc. Several tombs with different versions of replicas such as the Great Tomb and the Middle Tomb at Kangso and the Niche Spirit Tomb, and the Twin Pillars Tomb should be more carefully studied along with the remaining replicas and the replicas on the published catalogs as well as the written records of the replica production of the Japanese colonial government and the glass dry-plates of Koguryo murals and replicas

      • KCI등재후보

        부안 내소사 <영산회괘불도>의 복원모사를 통한 전통의 계승

        양선희,이수예 국립무형유산원 2020 무형유산 Vol.- No.9

        National treasure number 1268, Naesosa’s (in Bu-an, Jeolla province, South Korea) Hanging Buddha Painting was painted by Buddhist monk painter Chunshin in 1700; This painting has aspecial meaning in Korean Buddhism art history because it has the names of Buddhist saintsincluded in it. This thesis is focused on encapsulating the process of creating a second copy ofthe painting for use in annual public display in case of irreparable damage to the original painting and to record step by step detailed process of this project to documet it. Naesosas’s Hanging Buddha Painting has a height of 1,050㎝ and a width of 908㎝. In the center of the painting, there is a buddha, flanked by 6 saints facing him, all with their full bodiesdepicted in the painting. The intricacies of materials used are numerous. The canvas is constructed from a complexweave of linen, with 24 vertical 1,050㎝ long strips of linen hand-stitched together, with 2 rowson either side cut horizontally into smaller pieces to minimize the risk of tearing from wind forcesduring outside display. Supplies were made by converting raw materials into paint in-house, which lead to massive costs. This project was started in June of 2019 and carried over through April 2020, being worked onby a team of 10 master painters and their apprentices extensively for the entirety of that 10-month span. This thesis documents the process of the creation of the painting, examining inclose detail the entirety of the 10 months it took to go from a mass of plants, minerals, and linen, to a full reproduction of one of Korea’s national treasures. The process started with the preparation of the linen canvas. This was an elaborate process, beginning with washing the linen, then dying it, then flattening it, and hand stitching the stripsinto a cohesive canvas. The next stage of the procedure was drawing outlines on the replicacanvas to match the outline work on the original while the canvas was backed with paper. The colors were then added using handmade paint from traditional materials. The finishing touch was to create the structural borders and a hanging bar, after which the process was complete. This painting, however, is not a perfect replica of what exists today. The artists working on the painting took several steps to ensure the replica was closer to what the original was when it was made and not the weathered and worn piece of art we have today. Colors were substituted formore vibrant and thicker hues and missing sections of the original paint were filled in based on calculated assumptions drawn from the context of the rest of the painting. The creation of a replica is beneficial in many ways, however, quite possibly the greatest benefit of having such a replica is the ability to more liberally allow access to the painting for the sake of promoting traditional art practices. As it is not the original priceless national treasure it can befreely displayed in museums, where massive crowds can observe it, and gain a deeper understanding and appreciation for traditional art practices. 본 연구는 괘불도의 모사를 통해 제작기법 및 재료를 파악하여 전통 불화의 모사 방법과 기법 체계 확립에 도움이 되고자 기획되었다. 최근 제작된 부안 내소사 <영산회괘불도>의 모사도를 연구 대상으로 하였으며, 이 모사 사례에서 구축된 모사도 제작방법 및 기법, 재료 등을 분석해 정리하였다. 보물 제1268호 내소사 <영산회괘불도>는 천신(天信)을 수화승으로 7명의 화승에 의해 1700년에 제작되었다. 이 불화는 높이 1,050㎝, 폭 908㎝의 대형불화로 1661년에 간행된 『오종범음집(五種梵音集)』 거불(擧佛) 편의 명호가 화면에 표기되어 있어 의식에 현괘되는 불화의 도상 연구에 있어 매우 중요하다. 바탕은 삼베이며 세로로 24폭을 연결하고 양쪽 가장자리의 두 폭은 모두 작은 크기로 재단한 삼베 26장을 이어 붙였는데, 야외의식에 괘불도가 현괘되면서 받을 수 있는 외부적 피해로부터 괘불도를 보호하기 위해 선택한 방법으로 추정된다. 채색은 안료와 염료를 중첩되게 채색하여 은은하면서도 풍부해 보인다. 내소사 <영산회괘불도>의 모사도는 크게 초본 제작, 바탕 마련, 채색 및 모사, 배첩의 과정을 거쳐 제작되었다. 과정마다 전통 방법을 철저히 고수하였으며 전통 재료를 사용하였다. 그림이 그려질 바탕은 전통 방법으로 제작된 삼베를 준비하여 염색, 도침, 폭 잇기를 통해 마련하였는데, 염색은 향균성과 자연스러운 색감을 얻기 위해 오리나무 열매에서 추출한 염액으로 천연염색 하였고, 폭 잇기는 원본과 같은 방식으로 손바느질하였다. 채색 및 모사는 선행된 과학적 분석 결과를 참고하여 전통 재료를 사용하였고, 마지막으로 배첩도 전통 기법을 재현하고자 노력하였다. 이처럼 이번 모사도 제작은 전통 기법을 철저히 준수하고자 하였지만, 채색의 경우 처음 제작되어 현재에 이르기까지 약 320년간 발생한 변색과 퇴색 정도를 고려하여 원본의 색감보다는 선명한 색으로 표현하였다. 또한 채색이 박락되거나 소실된 부분은 채색이 잘 남아 있는 부분을 참고해 원본보다 두껍게 설채(設彩)하여 채색층의 두께를 고르게 하였다. 문화재를 대상으로 하는 모사의 경우 체계적인 연구를 통해 세부적인 방법과 기법, 재료 등에 대한 매뉴얼을 작성하고 분석하는 것이 매우 중요하다. 특히 제작기법 및 재료에 관한 실증적인 연구가 필요하다. 이에 이번 연구는 의미가 있다고 할 수 있으며 전통 불화 기법의 맥을 계승하는 데 일조하였다고 본다. 마지막으로 내소사 <영산회괘불도>의 모사도가 야외의식에 활용되어 신앙의 대상으로서 역할을 할 수 있길 기대한다.

      • KCI등재

        유한요소법을 이용한 나이티놀 와이어 스텐트의 전산모사 실험 데이터 검증

        김진영,정원균,전동민,신일균,김한기,신동오,김상호,서태석,Kim, Jin-Young,Jung, Won-Gyun,Jeon, Dong-Min,Shin, Il-Gyun,Kim, Han-Ki,Shin, Dong-Oh,Kim, Sang-Ho,Suh, Tae-Suk 한국의학물리학회 2009 의학물리 Vol.20 No.3

        최근 스텐트 시술의 수학적인 분석은 스텐트의 위치와 기계적인 반응을 측정하는 여러 가지 툴이 개발됨에 따라 발전하고 있다. 그러나 기존의 연구의 경우, 전산모사 실험을 통해 여러 요소에 따른 변형 정도 및 응력 분포, 팽창력 등과 같은 성능평가에 대한 연구가 주류를 이루며 전산모사 실험을 통한 응력 분포 및 변형 정도에 대한 소프트웨어의 검증은 거의 없는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만능재료 시험기를 이용한 실험을 통해 얻은 결과와 전산모사 실험 결과의 유의성 검증을 통해 해당 전산 모사용 소프트웨어를 통한 전산모사 실험 결과에 신뢰성을 부여하였다. 또한 이를 토대로 전산모사 실험을 통해 스텐트 피막 유무에 따른 스텐트의 응력분포를 분석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전산모사 실험 데이터와 실제 인장 시험 데이터를 통한 유의성 검증을 하고자 하였다. 스텐트의 연결 부분에 대해 유한요소 해석법을 적용하여 전산모사 실험을 수행한 결과, 178.93 MPa의 최대응력으로 인장시험 결과인 184.23 MPa와 거의 유사한 값을 가졌으며, 이를 통해 인장시험 결과와 전산모사 결과가 유의성을 가짐을 검증할 수 있었다. 또한 피막 유무에 따른 스텐트의 전산모사 실험을 통해 피막에서는 접촉부, 나이티놀에서는 연결부에서 최대 응력이 발생함을 알 수 있었다. 그리고 피막이 있는 경우에는 피막의 장력으로 인해 연결부분에서 형상을 유지하고 있으나 피막이 없는 경우에는 이격 및 교차부에서 슬립이 발생함을 알 수 있었다. 이러한 결과들을 통해 스텐트 설계 초기에 있어 해당 전산모사용 소프트웨어를 통해 해석을 수행하여 그에 따른 해석 결과를 설계에 반영함으로써 설계 변경을 최소화할 수 있고, 이에 따라 양질의 설계 품질 확보가 가능할 것으로 사료된다. Recently, the mathematical analysis of stent simulation has been improved, with the help of development of various tool which measure mechanical property and location of stent in artery. The most crucial part of the stent modeling is how to design ideal stent and to evaluate the interaction between stent and artery. While there has been great deal of researches on the evaluation of the expansion, stress distribution, deformation of the stent in terms of the various parameters, few verification through computer simulation has been performed about deformation and stress distribution of the stent. In this study, we have produced the corresponding results between experimental test using Universal Testing Machine and computer simulation for the ideal model of stent. Also, we have analyzed and compared stress distribution of stent in the cases of that with membrane and that without membrane. The results of this study would provide minimum change of plan and good quality for ideal stent replacing damaged artery through the analysis using computer simulation in the early stage of stent design.

      • 액체로켓엔진 고공모사설비 검토

        조남경(Cho, Nam-kyung),김채형(Kim, Chae-Hyong),김성룡(Kim, Sung-Ryung),임지혁(Lim Ji-Hyuk),김성혁(Kim Sung-Hyuk),우성필(Woo, Sung-phil),박재영,소윤석(So, Yoon-seok),이정호(Lee, Jung-ho),이승재(Lee Seong-ja),전준수(Jeon Jun-su),황창환(Hw 한국항공우주연구원 2023 항공우주산업기술동향 Vol.21 No.2

        고고도 환경 하에서 작동하는 발사체 엔진의 개발 시에는 반드시 실제 비행환경과 유사한 환경 하에서 정확한 추력 및 시동특성을 검증해야 한다. 따라서 고공환경 모사시험을 통하여 엔진의 성능을 확인해야 한다. 본 논문에서는 지상 대기조건 시험설비에서의 시험과는 달라야 하는 고공모사시험 및 설비의 필요성, 고공모사의 원리, 고공모사 설비의 종류 및 구성, 고공모사 설비의 설계 및 운용에 대해 기술한다. 특히 팽창비가 큰 상단엔진의 고공 시동/종료 성능과 쓰로틀링 성능, 재점화 성능 등을 파악할 수 있고 종료시 고팽창비 노즐의 좌굴을 방지할 수 있는 스팀이젝터 방식 고공모사설비에 대해 논의한다. The development of a launch vehicle engine operating in a high-altitude environment must include verifcation of accurate thrust and starting characteristics under an environment similar to the actual flight environment, therefore, the performance of the engine must be confirmed through a high-altitude environment simulation test. This paper describes the need for high-altitude simulation test facility. The principles, configurations, design and operation of high-altitude simulation test facility are discussed. In particular, overall aspects of steam ejector type facility for testing upper engine with a high expansion ratio are deeply discussed.

      • KCI등재

        繪畵文化財 模寫復原에 관한 고찰 : 英祖御眞 모사복원을 중심으로

        김범수 원광대학교 원불교사상연구원 2013 원불교사상과 종교문화 Vol.58 No.-

        문화재는 우리가 살아왔던 역사의 증거물이다. 그러한 문화재를 보존하고 지켜나가는 것이 전통을 이어나가는 우리의 일이다. 그러나 문화재는 세월이 지나면서 열화가 되고, 또 소멸되어버린다. 특히 회화문화재는 다른 장르의 문화재에 비해 열화나 손실이 가장 취약한 것이 사실이다. 이러한 점을 보완하기 위해서는 보존과학의 분야에서 끊임없이 연구하고 대책을 마련해야 할 것이다. 더불어 또 하나의 방법으로 모사복원을 통해 원화는 보다 더 쾌적한 환경에 보관을 하면서 한시적인 공개를 원칙으로 하고, 일반 공개 및 전시 등은 모사복원 작품이 대신하는 것이 필요하다. 현대에는 사진과 인쇄기술의 발달로 회화문화재를 복제하여 전시하는 경우가 많다. 그러나 이는 전시를 위한 보조물이지 역사성을 갖는 또 다른 차원의 이모 문화재라고 할 수는 없다. 모사복원을 통하여 또 하나의 새로운 문화재를 만드는 것이 전통을 계승하는 것이고, 문화의 역량을 강화시키는 것이다. 본 논고의 대상이 되는 영조어진(英祖御眞, 보물 제932호)은 영조 20년(1744)에 장경주(張景周, 1710∼?), 김두량(金斗樑, 1696∼1763)이 그린 것을 광무4년(1900)에 이모(移模)한 것이다. 이때의 주관화사는 채용신(蔡龍臣, 1850∼1941), 조석진(趙錫晉, 1853∼1920)이다. 필자는 채용신과 조석진이 이모(移模)한 영조어진을 다시 모사복원하는 과정을 기술하였다. 즉 모사복원의 단계, 표현 기법, 재료 등에 대한 과학적이고도 경험적인 사실들을 기록한 것이다. 실제 영조어진을 모사복원하면서 그 방법이나 재료, 기법, 그리고 전통 심미안 등이 연구, 계승되어 뚜렷한 하나의 학문으로 자리 잡아야 할 필요성이 있다. 이 점에서 영조어진을 모사복원하면서 그에 따른 이론을 정리하여 이후에 행해질 또 다른 모사복원의 시행착오를 줄일 수 있는 참고자료가 되었으면 한다. The Cultural Assets is the evidence of our history and it is our duty to keep and preserve the cultural assets. But as time goes by, the cultural assets get harmed by heat or destroyed. Especially, in compare to the other kind of cultural assets, the painting cultural assets is one of the weakness one to get easily loss or get hurt by fire of strong sunshine. So, the field of preservation study should work and prepare for the measure to complement this sort of damage. In addition this, we must keep the original paintings in more agreeable and well equipped place through the work of copy painting restoration. Also we should open the original paintings to the public only once in a year. We need to replace the original paintings to the copy paintings. In modern times, owing to the development of the picture and printing technology, there are many occasions to exhibit the cultural asset painting-copy. However, this cultural asset painting-copy is just a helping aid, it can not be the cultural assets. Making brand another kind of new cultural asset through the copy restoration is inherit the tradition and it is also to strengthen the cultural capacity. In this thesis, ‘the King, Yeongjo’s (英祖) Portrait (designated as a treasure #932)’ was drawn by Jang Kyung-ju(張景周, 1710∼?) and Kim Du-ryang(金斗樑, 1696∼1763) and it was transplant-copied by Chae Yong-shin(蔡龍臣, 1850∼1941) and Jo Seok-jin(趙錫晉, 1853∼ 1920) in the 4th year of Gwangmu,1900 A.D. We described the course of transplant-copying of the King Yeongjo’s portrait which was transplant-copied one by Chae Yong-shin and Jo Seok-jin. We recorded the scientific and experiential facts about the procedure, expression techniques, materials of the painting restoration. In the skillfully course of restoration work of the King Yeongjo’s portrait, we felt that the study of the cultural assets’ restoration method, materials, techniques should be well inherited and settled as one kind of study field. In this point of view, we wish our theory thesis would be a reference material to reduce the trial and error in another kind of copy-restoration work of the cultural assets.

      • KCI등재

        順天 松廣寺 普照國師 眞影의 古色復原模寫

        김범수(金帆洙) 원광대학교 원불교사상연구원 2014 원불교사상과 종교문화 Vol.61 No.-

        본 논고의 거시적 목적은 문화재복원분야에서 신 지견을 밝혀내 차후 유사한 회화문화재의 모사복원의 한 지평이 되도록 하는데 있다. 미시적으로는 <보조국사진영>(보물 제1043호)이 보물로 지정된 국가문화재인 만큼 그에 따른 보존의 일면을 담당하는 데 있다. 즉, 회화문화재의 보존으로는 모사가 중요한 방법이기 때문에, 올바른 모사의 전 과정을 공개하는데 목적을 두었다. 연구의 전 과정은 문화재청, 전라남도, 순천시의 협조로 이루어졌다. 연구의 대상이 되는 순천 송광사 국사전 소장 <보조국사진영>은 1780년대에 화승 쾌윤, 복찬 일행에 의해 이모(移模)된 것이다. 연구의 과정에서 밝혀진 사실은 이 진영이 제작된 이래 최초로 해체?수리를 한 정보를 토대로, 필자가 같은 재료로 고색복원모사를 실시했다는 점이다. 이를 위해서 원화의 보존처리와 재료 등의 정보를 참고하고, 1780년대 후반 진영을 제작했을 당시의 문헌 정보들을 조사하였다. 본 연구에서 유실?박리?박락된 부분의 보완과 고색으로 모사를 실시한 것은 회화문화재 복원분야에 걸친 종합적인 일이라 할 수 있다. 고색복원모사를 할 때에는 기존의 무기안료 전반적인 색상에 조화를 이루게 하기 위하여 소량의 유기안료를 혼합하여 탁?명도를 조절하거나 또는 소성하여 색상을 조절하였다. 화면 장황부분은 대부분 습기에 의해 문양이 지워지는 등 유실되었는데 남아있는 문양들을 응용하여 전반적인 그 림비단의 상태를 재현해냈다. General object of this article is to suggest a prospect for similar restoration copy of painted cultural assets by illuminating new knowledge and view in the field of restoration of cultural assets. In detail, this is to take one part of the restoration and preservation task, for the importance of the object, a national cultural asset, the portrait of National Master Bojo which is designated as treasure no. 1043 by Korean government. Also, in this article, it tries to elaborate whole process of proper copy, because copy is the most important way of preservation of painted cultural assets. Whole process of research has been conducted with cooperation of Cultural Heritage Administration, CheonNam Province, and SunCheon city. The object of research, the portrait of National Master Bojo in Guksa hall of SongGwangSa temple, Suncheon was copied by a group of painter monks, KweYoon, BokChan and others. A notable fact throughout the research is that the original color restoration copy has conducted with same painting materials on the basis of the information of first disassemble and repairmen after manufacturing the portrait. For this process, it has been referred information regarding conservation process, materials and so on, and also investigated on the literal information at the time of its manufacturing, around 1780. The supplementation of lose, desquamation and exfoliation parts, and the original color copy were the overall work throughout the field of restoration of painted cultural assets. This original color restoration has used mineral paints in general, however, we mixed little amount of organic paints for turbid color and brightness, and sometime directly produced for control of hue. The border part of screen had been almost lost its pattern due to moisture. Appling remained pattern, general painted silk condition has reconstructed.

      • 디지털 시대의 모사와 이미지

        김문조(Mun Cho Kim) 강원대학교 산학협력단 사회통합연구센터 2020 사회통합연구 Vol.1 No.2

        모사 기법의 발달로 이미지 세계가 획기적으로 변모하고 있다. 오랜 동안모사는 사물이나 현상을 본뜨려는 모방의 동의어로 간주되었고, 이러한 인식은 기계의 힘으로 모사물을 신속정확하게 복제하게 된 근대 산업사회까지이어졌다. 그러나 디지털 시대로 접어들면서 이미지는 새로운 단계로 이행중이다. 따라서 이 글에서는 (1) 아날로그적 모방이나 복제에서 디지털 시뮬레이션에 이르는 모사의 계보를 추적하고, (2) 그로부터 디지털 모사 특유의역능을 탐지하여, (3) 디지털 모사의 현황과 사회문화적 효과를 총괄적으로진단한 후, (4) 디지털 모사가 개인의 정신세계에 끼치는 영향을 집중적으로논구해, (5) 디지털 모사 시대의 이미지 전위 양상을 검토해 보고자 한다. 디지털 시대의 모사는 단순히 모조품을 재현하는 데 그치지 않고 현실보다더 현실적 효과를 발하는 가상적 생활공간을 제공하는 “부재적 현전”의 효능을 발휘함으로써 우리 삶에 풍요와 활기를 더해주고 있다. 이로 인해 우리정신세계의 심층에 소재한 욕구체계에서 근대 산업사회의 주도적 행위원리인 현실원리가 몽상적 꿈이 인도하는 환상원리로 대체되는 조짐이 역력하다. 그 결과, 이미지도 (1) 가시성을 상실한 보이지 않는 양식으로, (2) 소정의틀을 견지하지 못하는 무정형 상태로, (3) 실체성을 담보하지 못하는 허상으로, (4) 현존마저 식별할 수 없는 무상(無想)의 단계로 변전할 개연성이 있다. 시각성(visuality), 형상성(figuration), 실제성(reality) 및 현전성(presence) 이라는 이미지 본연의 속성들에 전면으로 역행하는 이러한 디지털 모사 시대의 이미지 전위는 “이것은 더 이상 이미지가 아니다”라는 자기부정적 예표가아닐 수 없다. 이러한 파국적 상황은 파상력을 보강한 ‘와해적 상상력’으로이미지를 재창조하려는 능동적 사유를 통해 초극될 수 있다고 본다. The world of image is transforming dramatically with the development of simulation technology. Simulation was considered a synonym for imitation of objects or phenomena for long, and this idea continued into the modern industrial period, where imitation could be quickly and accurately replicated by machine power. However, as we enter the digital age, images are moving to a new phase. This paper seeks to (1) trace the genealogy of simulation from analog to digital stage. (2) detect its unique capabilities, (3) overview the general traits and sociocultural effects of digital imitation, (4) investigate the effect of digital simulation upon the deep mental sphere of an individual and (5) discuss the displacement of image in the digital era. The imitation of the digital age is not just reproducing imitation, but transforming our lives into a state of excitement and vitality by exerting the effect of “absent presentation” that gives rise to a virtual world looking more realistic than our real world. Owing to the change, there are signs that the reality principle, the leading behavioral principle of the modern industrial society, will be replaced by the fantasy principle in the desire system deeply located in our spiritual world. As a result, it is likely that the image will lead (1) to an invisible form losing visibility, (2) to an amorphous state not holding a uniform framework, (3) to an illusion that does not guarantee substance, and (4) to the state of nought where nothing can be identifiable whatsoever. such displacement of Image in the digital era, that eradicates the inherent attributes of the image of visuality, figuration, reality, and presence, may be a sign of image suicide, saying, “This is no longer an image.” This catastrophic situation can be recovered only by an audacious effort to recreate images with the power of “disruptive imagination,” the combination of the contradictory but complemental powers to deform and reform conventional image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