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한국 농촌 맞벌이부부의 규모 추정 및 사회, 인구학적 특성

        은기수(Ki Soo Eun) 한국농촌사회학회 2012 農村社會 Vol.22 No.2

        이 연구는 2010 인구주택총조사 2% 표본 원자료를 직접 분석하여 한국 농촌의 맞벌이부부 규모 및 사회·인구학적 특성을 도시의 맞벌이부부와 비교하여 그 차이와 특성을 밝히고 있다. 또한 맞벌이부부를 정의하기 위해 맞벌이부부의 연령상한선을 경제활동인구의 기준인 20세부터 64세로 한정한 방안과 20세부터 80세로 연령상한선을 확대한 방안을 이용하여 맞벌이부부의 규모를 추정하였다. 여기서 맞벌이부부는 부부 모두 지난 일주일간 주로 일을 한 경우만을 고려하여 부부가 모두 전일제로 일한 경우만 맞벌이부부로 정의하였다. 이 연구는 이러한 정의에 따라 농촌지역과 도시지역, 그리고 각 시도별로 맞벌이부부의 규모가 어떻게 차이가 나는지를 밝히고 있다. 특히 농촌지역의 맞벌이부부를 이해하기 위해서는 연령상한선을 80세로 높여 분석하는 것이 필요함을 발견하고, 이후에는 맞벌이 부부의 사회·인구학적 특성을 밝힐 때 20세부터 80세까지 전일제로 일한 맞벌이부부를 대상으로 연구를 진행하였다. 농촌의 맞벌이부부는 연령의 측면에서도 도시의 맞벌이부부 보다 고령화되어 있다. 그러나 각 직종별로 농촌과 도시의 맞벌이부부의 평균연령을 구해보면 생각만큼 크게 차이나지 않았다. 이는 농촌지역의 맞벌이부부가 농어업직에 종사하는 경우에는 고령화 되어 있지만, 비농업부문에 종사하는 농촌지역의 맞벌이부부는 상대적으로 덜 고령화되 어 있음을 뜻한다. 또한, 농촌의 농업부문에 종사하는 맞벌이부부와 비농업부문에 종사하는 맞벌이부부 사이에 이질성이 존재함을 의미한다. 농촌의 맞벌이부부는 평균 고졸의 교육수준으로 도시의 맞벌이부부에 비해 평균 교육수준이 낮았다. 그리고 농림어업직에 주로 종사하면서 맞벌이부부의 남성의 대부분은 고용원이 없는 자영업자로 종사상의 지위가 파악되는 반면, 여성은 무급가족종사자로 파악되고 있다. 이는 한국 현실에서 성별 불평등 현상이 반영되고 있는 것으로 이해되며 젠더적인 관점에서도 농촌의 맞벌이부부에 관한 더 큰 관심이 필요함을 말해주고 있다. This research estimates the magnitude of dual income couple household and investigates sociodemographic characters of dual income couples in Korean rural areas focusing on comparison with urban dual income couples. A dual income couple is defined in this research as a couple who were between ages 20 and 80 and worked full-time for the last week at the point of the survey. For this research, 2% raw sample data of the Korean Population and Household Census was adopted and analyzed. When upper age limit for a dual income couple is 64, there is no great difference in the magnitude of dual income couple between rural and urban area. However, when we expand upper age limit to age 80, the proportion of dual income couple household in rural area was greater than in urban area by 10%. This generally reflects rapid aging of population in Korean rural area. Unlike married couples urban area, a number of aged married couples in rural areas are still engaged in paid work everyday life. And those married couples mostly work in agriculture and forest in rural areas, are highly aged as we can easily expect. This results in greater magnitude of dual income couple in rural area when compared with urban area. In terms of average age of dual income couples, men and women of dual income couples in rural area are much older than those of urban areas by 10 years, respectively. While educational attainment for dual income couples in urban area is more than high school education on average, it is just high school education for dual income couples in rural area. In urban areas, majority of men and women of dual income couples are wage workers whereas men of dual income couples in rural area are employer without employee and women are grasped as unpaid family work employee. This also reflects that majority of men and women of rural dual income couples are engaged in agricultural and forest industry. This research clearly shows that more concern should be paid on dual income couples in rural area as well as in urban area because of greater magnitude and different sociodemographic characters for rural dual income couples.

      • KCI등재

        미취학 자녀를 둔 맞벌이 부부의 양육스트레스가 부부갈등에 미치는 영향-자기효과와 상대방효과를 중심으로

        이인정 ( In Jeong Lee ),김미영 ( Mi Young Kim ) 한국사회복지연구회 2014 사회복지연구 Vol.45 No.3

        급격히 증가하고 있는 맞벌이 부부의 가장 심각한 문제로 지목되고 있는 것은 자녀 양육 문제이다. 이로 인해 맞벌이 부부는 심각한 양육스트레스를 경험하게 되는 것으로 보고되고 있으며 특히 어린 자녀를 두고 있는 맞벌이 부부의 양육스트레스는 다른 연령에 비해 매우 높아 이 시기 부부 관계에까지 부정적 영향을 미칠 가능성이 있음이 지적되고 있다. 이러한 부부간의 갈등은 결혼 안정성을 해칠 뿐만 아니라 어린 자녀들의 문제행동을 야기하는 등 매우 심각한 부정적 영향들을 야기하게 된다. 이에 본 연구는 맞벌이 부부의 결혼안정성을 높일 수 있는 사회적 지원 및 서비스의 기초자료를 제공하기 위해 양육스트레스가 이들의 부부관계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를 실증적으로 검증하였다. 특히 선행연구가 부부간의 상호 영향을 주고받는 상호역동적인 관계 양상을 자료 수집 및 분석 과정에서 포함하지 못해왔다는 한계를 극복하고자 상호의존적 연구모형을 구성하여 이를 실증적으로 검증하였다. 본 연구는 한국아동패널의 4차년도 데이터를 활용하여 629쌍의 커플 자료(dyadic data)를 Actor-Partner interdependence model(APIM)로 분석하여 맞벌이 부부의 부부갈등과 양육스트레스에 대한 이해를 확장하고자 하였다. 연구결과 맞벌이 부부의 양육스트레스가 남편과 아내 각각의 부부갈등에 정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미치고 있었으며, 남편의 양육스트레스가 아내의 부부갈등에 정적 영향을 미치고 있었으며 아내의 양육스트레스 또한 남편의 부부갈등에 정적 영향을 미치고 있었다. 즉, 양육스트레스의 부부갈등에 대한 자기효과와 상대방효과가 모두 유의한 정적 관계를 보인 것이다. 이러한 결과는 맞벌이 부부의 양육스트레스와 부부갈등에 대한 문제 파악 및 개입 시 부부의 상호의존적인 영향 관계를 반드시 고려해야할 필요성과 그에 따라 부부를 한 단위(unit)로 접근해야 함을 실증적으로 입증한 결과라 하겠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the effect of parenting stress on marital conflict in dual earner couples with children in early childhood. Actor and Partner Interdependence Model (APIM) was conducted in order to identify how parenting stress affect husband and wife, respectively and how this make the actor effect as well as the partner effect regarding the marital conflict. The research was conducted with 629 married couples from the forth wave of the Panel Study of Korean Children (PSKC) data. In order to examine the relationships between the variables and to evaluate the appropriateness of the research model, structural equation model was used. The results showed that the parenting stress had significant positive effect on the marital conflict. The partner effect of parenting stress was significantly positive. This result implies that the mutual dependence in dual earner couple``s marital conflict and parenting stress should be considered in the process of intervention. In other words, to improve the effectiveness of intervention, practitioners should treat couples together rather than being focused on individuals.

      • KCI등재

        맞벌이 부부의 부부갈등 및 결혼만족과 용서와의 관계

        조미정(Mi-Jeong, Cho),이미나(Mi-Na Lee) 인문사회과학기술융합학회 2020 예술인문사회융합멀티미디어논문지 Vol.10 No.2

        본 연구는 맞벌이 부부의 부부갈등 및 결혼만족과 용서와의 관계를 살펴보고자 실시하였다. 연구대상은 G시와 M시 지역의 부부 각 274명을 대상으로 실시하였다. 연구도구는 부부갈등 척도, 결혼만족도 척도, 용서 척도를 사용하였다, 분석방법은 SPSS 21.0을 사용하였으며, 자료처리는 연구대상자의 인구사회학적 특성을 알아보기 위하여 빈도분석, 기술통계, 변인 간 차이를 알아보기 위하여 t-test와 ANOVA 검정을 실시하였으며, 사후에 Scheffe 검정을 실시하였다. 또한, 변인 간의 상관관계를 알아보기 위하여 상관관계 분석 및 중다회귀분석과 Sobel 검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연구대상자의 부부갈등 실태에서 개인적, 부부 관계적 , 부부갈등 전체, 공동생활 갈등, 제 삼자 갈등 순으로 나타났다. 둘째, 맞벌이 부부갈등, 결혼만족도, 용서 간 상관관계에서는 결혼만족도가 긍정적 감정이 가장 높은 상관을 보였다. 세째, 맞벌이 부부 부부갈등과 결혼만족도 관계에서 용서는 매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맞벌이 부부갈등이 높을수록 결혼만족도가 낮게 나타났으며, 용서수준이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맞벌이 부부갈등과 결혼만족도 관계에서 용서는 긍정적 감정이 가장 상관관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부부갈등 시 용서는 매개효과가 있었다. 따라서 부부갈등 시 치유와 조절을 위해 용서의 개입이 필요함을 시사한다고 할 수 있다. This study was conducted to examine the relationship between marital conflict and marital satisfaction and forgiveness of a married couple.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274 couples in G and M cities. As a research tool, the marital conflict scale, marital satisfaction scale, and forgiveness scale were used. As for the analysis method, SPSS 21.0 was used, and the data processing was performed using frequency analysis, technical statistics, and differences between variables to find out the demographic characteristics of the study subjects. To find out, a t-test and ANOVA test were performed, and a Scheffe test was performed afterwards. In addition, correlation analysis,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and Sobel verification were performed to examine the correlation between variables. As a result of the study, first, in the marital conflict of the research subjects, personal, marital relations, marital conflict as a whole, community life conflict, and third party conflict. Second, in the relationship between marital conflict, marital satisfaction, and forgiveness, marriage satisfaction showed the highest positive emotion. Third, forgiveness was found to be mediated in marital conflict and marital satisfaction. In other words, the higher the marital conflict, the lower the level of forgiveness. In the relationship between marital conflict and marital satisfaction, forgiveness was found to have the highest correlation with positive feelings, and forgiveness had a mediating effect in marital conflict. Therefore, it can be said that the intervention of forgiveness is necessary for healing and control in marital conflict.

      • KCI등재

        일·가족·여가활동 시간비율로 살펴본 맞벌이부부의 역할분배 유형과 유형별 일상정서경험

        장미나,한경혜,Chang. Mina,Han. Gyung-Hae 한국가족학회 2015 가족과 문화 Vol.27 No.2

        본 연구의 목적은 맞벌이부부의 일·가족·여가활동 시간의 구조적 차이를 근거로 하여, 부부의 역할분배방식을 유형화 하고, 각 유형별 부부의 일상정서경험의 차이가 존재하는지 여부를 탐색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본 연구는 어디에서 무엇을 하고 누구와 함께 있는 지로 구성되는 일상의 외적맥락과 그 순간의 느낌이나 생각을 나타내는 내적인 정서경험을 연계해서 살펴보는 경험표집법(ESM)을 활용하였다. 이는 부부들이 직면한 현실 상황에 밀착해서 행위자 스스로가 평가한 경험을 탐색하는 것으로 맞벌이부부의 일상생활을 살펴볼 수 있다는 강점이 있다. 경험표집법을 활용하여, 만 10세 이하의 자녀를 둔 맞벌이부부 총 91쌍,182명 이 하루 6회 총 5일 동안 응답한 자료 5,147개의 자료를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부부 모두 경제활동을 함에도 불구하고, 남편과 아내의 일·가족·여가활동 시간 구조는 어린 자녀를 키우는 맞벌이남녀의 불평등한 생활세계의 모습을 적절히 반영하고 있었다. 둘째. 부부를 분석단위로 하여, 남편과 아내 각각의 시간비율을 기준변수로 하는 군집분석을 실시한 결과, ‘양육중심형’ ‘여가몰입형’ ‘잠재적(양육자,부양자)역할 공유형’ ‘신전통형’의 4가지 역 할분배유형이 도출되었으며, 각 유형 집단은 막내자녀의 연령, 자녀수와 같은 가구 특성에 따라 유의한 차이를 나타냈다. 셋째. 역할분배유형에 따라 맞벌이부부가 일상생활에서 느끼 는 긍정/부정정서 경험은 유형별로 그리고 젠더에 따라 의미 있는 차이를 보였다. 특히 이러 한 차이는 정서차원에 따라 상이하게 나타나, 일상에서 느끼는 긍정정서경험은 부부의 역할 분배 방식에 따라 비교적 큰 차이를 보였던 반면, 부정정서경험은 유형별 차이보다는 젠더차이가 더 강하게 나타났다. 이상의 결과들을 토대로 맞벌이가족이 가지는 다양한 삶의 모습과 경험을 구체적으로 논의해 보았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cluster the typology of labor division that classified based upon the distribution of work, family and leisure time ratio of husbands and wives among dual-earner couples and to examine the differences in immediate emotional experiences between husbands and wives by the typology. In this study, ninety-one dual earner couples with young children under age 10 participated, and total 5,147 data were collected. It used Experience Sampling Method (ESM), which enables a researcher to assess how people spend their time in daily different settings such as spaces, activities and companions, and how they experience the different settings of their lives. The major research findings are as follows: First,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in daily time pattern and the emotional experiences between husbands and wives. Second, dual-earner couples were clustered into 4 types of division of labor including ‘carer-centered couples’, ‘leisure-oriented couples’, ‘latent dual carer-earner couples’, and ‘modified male breadwinner couples’, based upon the distribution of work, family, and leisure time. Also,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within the 4 types according to household characteristics such as child age, the number of children. Third, the 4 types of division of labor were associated with daily emotional experiences. While positive daily emotional experiences vary depending on the 4 types, negative experiences vary depending on gender. Based on these findings, the significance of division of labor on dual-earner couples’ daily lives is discussed.

      • KCI등재

        맞벌이 부부의 무급노동 및 여가 공유시간: 생활시간조사자료를 중심으로

        손문금 통계청 2011 통계연구 Vol.16 No.1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1) How much time do the dual earner couples share with? 2) What kind of effects do the socio-economic factors have on the time shared with dual-earner couples? Source for analysis in this study is from Time Use Survey conducted by Korea National Statistical Office in 2009. The results of the study show that first, the time shared with dual-earner couples is 62 minutes. And the largest parts activity of the time shared with dual-earner couples is media. So we conclude that the characteristic of the time shared with dual-earner couples is so much individualized. Second, the number of hours couples paid work time, family life cycle factors like as pre-schoolers and age are significantly related to the time shared with dual-earner couples. The time shared with dual-earner couples is reduced by the number of hours couples paid work. Dual-earner couples with pre-schoolers have more unpaidwork time shared with and have less leisure time shared with. And as age increases, more dual-earner couples may be less able to share couple's time. 본 연구는 맞벌이 부부가 시장노동 이외 무급노동과 여가활동에서 얼마나 많은 시간을 함께 공유하고 있는지, 그들의 노동조건, 가족생활주기, 사회경제적 지위변수가 부부의 공유시간에 어떤 영향을 미치고 있는지 살펴보았다. 분석 자료는 통계청의 2009년 『생활시간조사』 원자료(raw data)이다. 분석결과 맞벌이 부부의 총공유시간은 62분으로 남편 홀벌이 부부의 81분(부인기준)보다 적은 것으로 나타나 부부의 일상생활이 더욱 개별화되어 있었다. 또한, 부부의 총시장노동시간이 길수록 부부의 무급노동과 여가활동 공유시간이 적어졌고, 미취학자녀의 존재는 부부의 무급노동 공유시간의 증가보다는 여가활동 공유시간을 더욱 많이 감소시켜 부부의 총공유시간을 감소시켰다. 연령은 낮을수록 부부의 모든 공유시간이 증가하고 있었다. 맞벌이 부부가 가장 많이 공유하는 행동은 수동적인 여가활동에 해당하는 미디어이용 공유시간으로 하루 평균 28분 정도이며, 무급노동 공유시간은 16분, 여가 및 레저 공유시간은 18분 정도로 나타났다.

      • KCI등재

        어린자녀를 둔 맞벌이부부들의 일상생활경험

        장미나(Chang, Mi-Na),한경혜(Han, Gyung-Hae) 한국가족학회 2011 가족과 문화 Vol.23 No.1

        어린자녀를 둔 맞벌이부부들이 일상생활에서 배분하는 시간 구조와 활동 순간 느끼는 순간의 정서(emotion)경험을 살펴보기 위해 맞벌이부부 91쌍의 일상생활경험을 조사하였다. 본 연구는 맞벌이부부들의 일상현실을 ‘어디에서 무엇을 하며, 누구와 있는가’와 같은 일상시간의 외적이고 구조적인 경험뿐만 아니라 이러한 상황에서 남편과 아내가 느끼는 순간의 정서경험 자료를 동시에 수집할 수 있는 경험표집법(ESM)을 활용하였다. 남편과 아내에게 하루 6번 총 5일 동안 동시에 신호를 주고, 그 순간의 외적인 상황과 정서경험을 기입하게 하여 수집한 경험 자료를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부부 모두 경제활동을 수행하는 맞벌이가구임에도 불구하고, 아내는 남편에 비해 가사 및 자녀돌봄 등 가족영역에 보내는 시간비율이 더 높고, 유급활동과 여가활동비율은 남편보다 낮아서 부부간에 상이한 일상시간구조를 가지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일상맥락을 구분하지 않고 전반적인 부부의 정서경험을 비교해 본 결과, 맞벌이남편은 배우자인 아내에 비해 일상 활동 순간순간을 더 긍정적으로 느끼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맞벌이남편은 일터에서 주요 업무를 보는 순간을 일상 활동 중 가장 부정적으로 느끼고 있었으며, 배우자인 아내보다 부정정서 수준이 더 높았다. 반면에 아내는 남편에 비해 가사일이나 자녀돌봄 순간을 더 부정적으로 느끼고 있었으며, 자신의 유급활동 순간보다도 덜 긍정적인 느낌으로 보고하고 있다. 즉 전통적으로 남녀에게 부여된 활동 영역에서 남편과 아내는 각각 더 부정적으로 느끼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주요결과에 기초하여 맞벌이부부의 일상시간구조와 정서경험에 대한 사회규범의 영향을 논의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scribe the temporal and emotional organization of daily lives of 91 dual-earner couples with young children. Experience Sampling Method(ESM) was used, which provided an access to where, how, and with whom they spent their daily time and how they experienced different settings. A sample of 91 couples(91 husbands, 91 wives) reported their activities, companion contexts and emotional states six times a day for a consecutive 5-day period. They provided 5,141 self-reports, and the unit of analysis was based on the couple level(the couple was used as the unit of analysis). The major findings are as follows; First,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in daily time pattern between husbands and wives. While wives, the primary caretakers of their families, spent more time on housework and childcare than husbands, they spent less time on paid work and leisure than their spouses. Second, husbands experienced positive emotions with more intensity than their wives in overall average. Third, the pattern of daily emotional experiences differed markedly. Wives reported more intense negative states in childcare and housework, in other words, women's traditional family role. On the contrary, husbands who are not primarily responsible for housework and childcare, reported experiencing stronger positive emotions for those activities than wives. Based on these findings, the significance of gender role on dual-earner couples' daily lives was discussed.

      • KCI등재

        맞벌이 부부의 무급노동분담에 대한 실증적 연구

        손문금(Son Moon-Geum) 한국여성연구소 2005 페미니즘 연구 Vol.- No.5

        본 글은 여성이 경제활동에 참여한다 할지라도 여성에게 여전히 일차적 책임으로 주어지는 무급노동의 성별 분업 실태를 시간사용조사 자료를 통하여 밝히고 한국가족의 존재 형태를 살펴보고자 하였다. 분석에 사용한 자료는 1999년 통계청의 ‘생활시간조사’ 원자료 [rawdata]이며, 분석대상은 맞벌이 부부로 한정하였다. 분석결과를 살펴보면, 첫째, 무급노동시간량에서 맞벌이 부부 여성은 남편보다 무급노동시간이 196분 더 많았으며, 이러한 성별 차이는 다른 어떤 변수의 집단 간 차이보다 큰 것이었다. 무급노동 참여 종류에서 맞벌이 부부 여성은 식사준비와 정리ㆍ청소ㆍ세탁ㆍ미취학 아이의 신체 돌보기 같은 주된 가사노동을, 남성은 쇼핑ㆍ수리ㆍ미취학 아이와 놀아 주기 등 그 외의 가사노동을 담당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맞벌이 부부 남성의 무급노동시간이 전통형 부부 남성의 무급 노동시간보다 길지 않았다. 반면 맞벌이 부부 여성은 전업주부가 수행하는 무급노동의 57%만을 수행하면서 자신의 무급노동시간을 조절하고 있었다. 하지만 기존 논의와 다르게 맞벌이 부부 여성은 전업주부가 수행하는 가사노동시간보다는 가족 보살피기 시간을 더 많이 줄이면서 무급노동을 수행하고 있었다. 셋째, 남성은 연령이 낮고 학력이 높고 직업위세가 높다가 해서 무급노동시간이 증가하지 않았으며, 여성의 인적 자원도 무급노동시간의 감소에 영향을 주지 못하였다. 맞벌이 부부 남성과 여성의 무급노동시간은 모두 생애과정(미취학 자녀의 존재)과 시간지원(유급노동시간, 요일)의 영향을 받았는데, 특히 여성이 더 큰 영향을 받고 있어, 가족일이 여전히 여성에게 일차적 책임이 있다는 것을 보여 주었다. 이러한 결과는 한국가족 안에 성역할 분담에 의한 젠더화된 시간사용이 확고하게 자리하고 있다는 것을 보여 주며, 여성의 일과 가족을 양립시키기 위한 복지 서비스와 가족 안에서 성역할 분담의 경계를 완화할 수 있는 노력이 시급하게 요구되고 있음을 시사한다. This thesis is designed to explain gender division of unpaid work through a discussion of time use of dual earner couples, Primary sources for analysis in this thesis are from Lifetime Use Survey conducted by N.S.O(National Statistical Office) in 1999. The analysis reveals that first, in terms of time quantity, the wives of dual-earner couples have 196 more minutes of unpaid work time than their husbands. It is notable that the differences in gender group in using unpaid work time are more discernable than difference in other categories in Korean society. Moreover most of the time men carry out unpaid work is in the form of play activities with their children or peripheral homework. The other hand, women practice custodial activities and central homework such as cleaning, cooking and so on, This results point out that women’ s time was more permeable and interruptible than men’s. Because they continually had to adjust their life schedules to the needs of husbands and children Second, the husbands of dual-earner couples don’t have much unpaid work time than the husbands of traditional couples. On the other hand, working women only carry out 57% of house wive’s unpaid work time. And working wives reduce more family care time than they cut down homework time. Third, in general unpaid work time of dual-earner couples is thought to be influenced by human resources of their occupation or positions at education. But human resource variables don’t influence the unpaid work time of neither men or women. Unpaid work time of men and women was affected by life course variables of the age of the youngest child and paid work time. But unpaid work time of women is greatly influenced by life course variables and paid work time because women have much more burdens related to unpaid work. In conclusion, the gender difference in the unpaid work time may be caused by the division of the gender role And this discrepancy of unpaid work time leads to gender inequality because it limits equal opportunity to women who can participate in the boundaries of the male-dominated society.

      • KCI등재

        자녀를 둔 맞벌이부부의 역할갈등과 삶의 질에 관한 연구

        황혜원 ( Hye Won Hwang ),신정이 ( Jung Yi Shin ) 한국가족복지학회 2009 한국가족복지학 Vol.14 No.1

        본 연구는 자녀를 둔 맞벌이부부의 역할갈등을 분석하고, 나아가 이러한 역할갈등이 삶의 질에 영향을 미치는 정도를 파악하며, 역할갈등 상황에 있는 맞벌이 부부의 삶의 질에 영향을 주는 변인들을 검증하기 위한 목적으로 수행되었다. 이를 위하여 충북 청주의 맞벌이 부부 250쌍(500명)을 대상으로 자기보고식 설문조사를 통하여 얻은 자료를 분석하였다. 분석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맞벌이부부의 역할갈등정도는 아내가 남편보다 높기는 하지만 통계적으로 유의지 않아 남편과 아내가 비슷한 역할갈등을 경험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역할갈등 영역별로 보면, 남편은 `직장역할갈등`이 아내보다 상대적으로 높았던 반면, 아내는 `가정역할갈등`과 `부모역할갈등`이 남편보다 높아 차이를 보였다. 둘째, 맞벌이부부 전체를 보았을 때 `직장역할갈등`과 `부모역할갈등`이 삶의 질에 영향을 주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이를 성별로 보면 맞벌이남편의 경우 `부모역할갈등`이 삶의 질에 영향을 주었고, 맞벌이아내의 경우는 `직장역할갈등`과 `부모역할갈등` 두 가지가 삶의 질에 영향을 주었다. 셋째, 역할갈등, 우울, 배우자지지, 직업만족, 사회적지지가 삶의 질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고, 이 결과는 성별에서도 차이가 거의 없게 나타났다. 이러한 분석결과를 통하여 맞벌이부부의 특성이해와 삶의 질 향상을 위한 개입전략이 제안되었다. This study examines the role conflict of dual-earner parents and its effect on their quality of life as well as identifies several ecosystemic variables which influence dual-earner parents` quality of life. The data was collected from 250 dual-earner couples in Cheongju. The results indicate that there is no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a wife`s level of role conflict and a husband`s, although the wife`s level was higher than her husband`s. However, a husband`s work related role conflict was significantly higher than that of his wife, while a wife`s family related role conflict and parenting conflict are significantly higher than those of her husband. The work related role conflict and parenting conflict had significant effects on the quality of life of dual-earner couples. Specifically, parenting conflict had a significant effect on the husband`s quality of life, while the work related role conflict and the parenting conflict had significant effect on the wife`s quality of life. Several ecosystemic variables such as role conflict, depression, spousal support, job satisfaction, and social support are significant predictors of the quality of life of dual-earner parents.

      • KCI등재

        어린 자녀가 있는 맞벌이 부부의 시간 배분에 관한 연구

        조보배(Bobae Jo) 한국여성정책연구원(구 한국여성개발원) 2022 여성연구 Vol.112 No.1

        본 연구의 목적은 어린 자녀가 있는 맞벌이 부부의 시간 배분이 어떠한 하위 집단으로 구분되며, 집단별로 남성과 여성, 가구의 특성이 상이한지를 살펴보고, 하위 집단에 따라 이들의 주관적 인식에도 차이가 있는지 확인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2019년 통계청 생활시간조사를 이용하여 만 10세 미만 자녀가 있는 439쌍의 맞벌이 부부를 대상으로, 남성과 여성의 일시간, 가정관리시간, 자녀돌봄시간을 변수로 잠재적 프로파일 분석을 시행하였으며, 분석결과 총 3개의 상이한 집단이 있는 것으로 나타나며, 유형에 따라 이들의 남녀의 개별 특성과 가구의 특성의 차이, 주관적 인식에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구체적으로 어린 자녀가 있는 맞벌이 부부의 대부분은 남성 장시간-여성 표준시간 형태로 일 시간을 배분하며, 여성이 대부분의 가사노동과 자녀 돌봄을 전담하는 형태로 시간을 배분을 하며, 이들 중 돌봄의 책임이 많은 일부 맞벌이 부부는 여성이 반일제 노동을 선택하는 방식으로 가사와 돌봄의 책임을 분담하나, 이들 여성의 노동시장의 지위는 낮아 이들 부부의 가구 소득도 낮고 부부의 삶의 만족도도 다른 집단보다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노동시장의 지위가 높은 일부 소수의 맞벌이 부부는 노동시간과 가사돌봄시간을 남녀간에 유사하게 배분하는 젠더 평등한 시간 배분이 이루어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어린자녀가 있는 맞벌이 부부의 시간배분이 이들의 노동시장 지위와 소득에 따라 차등화되는 계층화를 보여준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장시간 노동문화의 변화, 좋은 시간제 일자리의 필요성, 자녀 수에 따른 소득지원의 필요성을 정책제언으로 언급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how the time distribution of dual-income couples with young children is divided into, and whether the characteristics of them and subjective perceptions are different by the subgroups. For this, with 2019 Time Use Survey(Statistics Korea), latent profile analysis was conducted for 439 dual-income couples with children under the age of 10, using both men and women’s working hours, house work hours, and childcare hours as variables. As a result, It is found that there are three different subgroups, and depending on the subgroup, there are differences in individual(both men and women) and household characteristics, and differences in subjective perception. Most of the dual-income couples with young children allocate their time such a way that men work long hours, women work standard hours, and women do most of the housework and child care. And some couples with many young children, women take the most responsibilities of housework and child care by reducing their working hours(part-time work), but these women’s labor market status is low, these couple’s household income and their life sanctification also low than other couples. On the other hand, few dual-income couples with relatively higher labor market status showed gender-equal time distribution. Overall, this result is shows ‘stratification’ in which time distribution was differentiated according to their labor market status and income. Based on these results, changes in long working hours culture, the need for ’decent’ part-time jobs, and the need for income support for households with many young children are mentioned as policy suggestions.

      • KCI등재

        남편의 자녀양육참여율이 남편과 아내의 결혼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맞벌이 부부의 고용형태 차이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오성은 ( Oh Seongeun ),허수연 ( Huh Sooyeon ) 한국가족사회복지학회 2021 한국가족복지학 Vol.68 No.1

        본 연구는 유아기 자녀를 둔 남편과 아내의 결혼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남편의 자녀양육참여율에 대한 맞벌이 부부의 고용형태 차이의 조절효과를 확인하고자 한다. 결혼만족도는 결혼에 대한 본인의 기대가 얼마나 충족되었는지에 따라 결정되기 때문에 개인의 기대 수준 충족에 따라 만족도는 다르게 나타날 수 있다. 자녀양육에 대한 책임과 기대수준은 맞벌이 부부의 고용형태 차이에 따라 다를 수 있다. 그렇기에 본 연구는 남편의 자녀양육참여율이 결혼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이 맞벌이 부부의 고용형태 차이에 따라 그 영향이 어떻게 달라지는지를 밝혀내고자 한다. 이를 확인하기 위하여 아동패널조사 5차년도 참여자 중 맞벌이를 하고 있는 285가구의 부부를 대상으로 분석을 진행하였다. 분석결과에 따르면 남편의 자녀양육참여율은 아내의 결혼만족도에는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만 남편의 결혼만족도에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음으로 맞벌이 부부의 고용형태 차이에 따라서 남편의 자녀양육참여율이 남편과 아내의 결혼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이 어떻게 다른지 확인해 보기 위하여 남편과 아내의 결혼만족도에 대한 남편의 자녀양육참여율과 부부의 고용형태 차이의 상호작용효과를 살펴보았다. 분석결과에 의하면 오직 아내의 결혼만족도에 대해 남편은 정규직이고 아내는 비정규직인 경우에만 남편의 주말 양육참여의 상호작용이 통계적으로 유의한 것으로 확인되었다. 이러한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하여 맞벌이 가정에서 아내의 결혼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남편의 자녀양육참여율에 대한 협상력 증대를 위해 노동시장에서의 여성의 지위 향상이 필요하다는 함의를 도출하였다. This study aims to examine the moderating effects of differences in employment status (regular work or non-regular work) of a dual-income couple on the relationship between husband’s child-rearing participation rate and marital satisfaction. This study employs data from Panel Study on Korean Children(PSKC). The study subjects consists husbands and wives of 285 dual-income households in 5<sup>th</sup>-year data of the PSKC. The results of the analysis are as followings: First, when husband’s participation rate in child-rearing increase, wives tend to be more satisfied with their marriage. However, husband’s child-rearing participation rate did not show significant influence on husband’s marital satisfaction. Second, the moderating effects of differences in employment status of a dual-income couple on the relationship between husband’s weekend child-rearing participation rate and wive’s marital satisfaction were only significant among dual-income couples that consist of a husband with regular work and a wive with non-regular work. The results imply that women’s status in the labor market needs to be improved in order to increase the husband’s participation rate in child-rearing, which affects the marriage satisfaction of the wife in a dual-income famil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