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종교적 주체, 평화의 주체로서의 여성

        안연희 한국평화종교학회 2020 평화와 종교 Vol.0 No.10

        이 글은 종교사의 남성중심주의가 여성운동이 궁극적으로 지향해온 ‘평화’에 어떤 문제를 제기하는지 살펴보고, 여성의 종교적 주체성 회복이 여성평화운동의 흐름에 중요한 전기가 될 수 있음을 논하였다. 종교사의 남성중심주의는 종교경전 및 텍스트에서 여성의 목소리와 기록/기억의 결여, 그리고 종교 의례나 지도체제와 같은 종교적 권위의 장에서 여성을 배제함으로써 여성을 차별하고 억압하는 문화의 요인이 되어 왔다. 따라서 남성중심주의, 젠더위계주의가 두드러졌던 종교사 속에서 발휘되지 못하였던 여성의 종교적 주체성은 여성의 공적인 말하기, 권위 있는 기록과 기억의 주체되기, 종교적 지도력 발휘를 통해 회복될 수 있을 것이다. 현재 세계평화통일가정연합의 전 세계 교단과 조직, 신자들을 이끌고 있는 종교지도자이며, 세계평화여성연합의 창설자이기도 한 한학자 총재의 종교적 언설과 리더십은 그러한 여성의 종교적 주체성 회복에 측면에서 주목할 만하다. 종교적 권위의 장에서 말하는 주체, 실천적 주체로서 드러난 한학자 총재의 종교적 리더십과 평화운동은 종교적 주체로서 평화의 주체가 되는 여성의 모습을 종교사에 회복시키는 의미 있는 사례이다. 이를 통해 종교사 속에서 대상화되고 주변화된 여성이 종교적 주체로서 적극적인 목소리를 내고, 궁극적 실재관 및 종교교리와 상징에서도 양성평등적인 차원을 회복하여 균형을 맞추는 여성 종교지도자의 모습을 볼 수 있다. 한학자 총재의 종교적 언설과 실천이 보여주는 종교적 주체성은 종교사적으로 중요한 일보라고 평가된다. 또한 이는 여성이 이 시대 평화의 주체로서 이상적 미래와 평화문명을 실현하는데 기여할 수 있는 여성의 적극적 평화운동을 촉진하는 행보가 될 수 있으리라 기대한다. This article examines what issues the androcentrism and gender hierarchy in religious history raises to the “peace” that the women’s movement has ultimately pursued, and discusses that the restoration of female subject in religion can be an turning point in the flow of the women’s peace movement. Androcentrism in religious history has become an important factor in the culture that discriminates against and oppresses women by excluding women from their voices and lack of record/memory in religious scriptures and texts, and from areas of religious authority such as religious rites and leadership systems. come. Therefore, the religious subjectivity of women, which was not exerted in the religious history in which androcentrism and gender hierarchy were prominent, could be restored through women’s public speaking, being the subject of authoritative records and memories, and exerting religious leadership. The religious statements and leadership of co-founder Han Hak-ja, who is currently leading organizations and believers of Family Federation for World Peace and Unification(FFWPU) all over the world, and the founder of Women’s Federation for World Peace(WFWP), are remarkable in terms of the recovery of such women’s religious subjectivity. The religious leadership and peace movement of Han Hak-ja, revealed as a speaking subject and acting subject in the field of religious authority, is a meaningful example of restoring the image of a woman who becomes the subject of peace as a religious subject in religious history. Through this, we can confirm the image of a female religious leader who makes a positive voice as a religious subject, and restores and balances gender equality in the ultimate view of reality and religious doctrines and symbols, escaping from the position of an objectified and marginalized woman in the history of religion. Religious subjectivity shown by these religious statements and practices of Han Hak-ja is an important trajectory in religious history, and It is expected that it will be a driving force for active peace movements of women who take the lead in realizing an ideal future and a peaceful civilization as the subject of peace.

      • 튜링 테스트 다시 생각하기: 시민과학 접근

        김지연 한국과학기술학회 2020 한국과학기술학회 학술대회 Vol.2020 No.11

        앨런 튜링이 1950년생각하는 기계(thinking machine)의 검증 모델, 튜링 테스트(Turing test)를 제안한 지 꼭 70년이 되었다. 그동안 튜링 테스트를 통과하기 위한 수많은 시험적 시도들이 있었고 동시에 강한 비판과 논쟁도 이어졌다. 튜링 테스트만큼 많은 주목과 논쟁을 불러온 모델도 드물 것이다. 현재 인공지능 기술은 크게 발전했고 대중적 관심사가 될 정도로 충분히 성숙했지만, 튜링 테스트는 여전히 많은 실패만을 겪었다. 그런데도 튜링 테스트의 궤적은 과학과 철학 모두의 주요 관심사다. 튜링 테스트 담론은 인간과 기계의 대화, 그리고 인간의 마음에 대한 중요한 통찰을 제공하고 있다. 우리는 튜링 테스트의 의미를 돌아보고, 이후 그 진화 방향에 대해 더 공식적으로 논의할 필요가 있다. 우선, 이 논문에서는생각하는 기계 개념을 보다 현실적으로 재정의하고자 한다. 말하는 주체(speaking subject) 개념을 적용하여 튜링 테스트를 재해석하고, 인공지능 기술의 대중 참여 방법론(시민과학)을 제시하고자 한다. 튜링의 생각하는 기계는 사실상 말하는 기계(speaking machine)를 가리키고 있다. 말하는 주체의 이론에 따르면 누구든지는 인간과의 상호 구성적 대화 없이 말하기를 학습할 수 없다. 이 조건은 기계에도 마찬가지로 적용될 것이다. 이에 근거해서 우리는 튜링 테스트를 조금 다르게 설계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인공지능의 개발과 튜링 테스트를 별개의 순차적 절차로 분리해왔다. 여기서는 기계 학습과 튜링 테스트를 병합하여 하나의 과정으로 구성한다. 이 실험 모델을 통하여 우리는 인간과 기계 사이의 관계 형성에 개입할 수 있다. 그 과정에서 말하는 기계는 말하는 주체와 공생 발생 관계를 수립할 수 있다. 그로써 대중은 인공지능의 공동 발견자이고 공동 제작자가 될 수 있다.

      • KCI등재

        시선의 교차와 다른 목소리로 말하기 - 김채원 소설에 나타난 여성 산책자 연구

        노민혜 상허학회 2024 상허학보 Vol.71 No.-

        이 글은 1970년대 도시 모더니티와의 상호작용 속에서 이루어지는 여성 주체화의 미학적 형식들을 탐구하는 시론으로 김채원의 초기 소설에 주목한다. 이를 위하여 동경을 배경으로 한 등단작들과 서울을 배경으로 한 등단 초기 단편소설들을 대상으로 여성 산책자(flâneuse) 개념을 활용하여 1970년대 소설 속 여성 주체화 양상을 분석하였다. 대도시 동경에서의 산책은 여성 산책자로 하여금 자기를 응시하는 시선을 획득하게 하지만, 이국도시 동경에서 주변부 이방인의 위치에 있는 여성 인물들의 응시는 여성을 타자화하는 남성들의 시선에 가로막혀 여성을 시선의 주체로 서지 못하게 만든다. 한편, 서울을 배경으로 한 김채원 소설 속 여성 산책자는 자본의 논리에 포섭되어 상품에 매혹되는 소비자이기를 거부하면서 미적 주체로서 자리매김하고자 하는 욕망을 드러내 보인다. 시인을 지망하는 여성 산책자의 남장(男裝)은 확고하게 구성된 문학사의 전통과 질서의 남성중심성의 장벽에 가로막힌 여성 작가 됨의 불안을 드러내면서, 그것을 패러디로써 우회하기 위한 전략의 의미를 지닌다. 하위 주체로서 여성이 말하는 주체가 되기 위해서는 모호하고 혼종적인 언어를 구사할 수밖에 없는데, 시선 주체이자 미적 주체로서 여성의 주체화는 이처럼 여성이 구사하는 혼종적인 언어들을 섬세하게 읽어내는 듣기의 윤리를 요청한다. 이상의 논의를 통해 여성 모더니스트라는 이중의 제약 조건 속에서 충분히 조명 받지 못했던 김채원 초기 소설은 대도시 서울과 동경의 경계를 가로지르면서 전개된 모더니스트의 미학적 실천을 통한 여성 예술가의 주체화 양상을 보여준 것으로 재평가될 수 있다. This article aims to explore the aesthetic forms of female subjectivation in interaction with urban modernity in the 1970s focusing on Kim Chaewon’s early short stories. To this end, this paper examined debut works set in Tokyo and two short stories published immediately after her returning to Korea. The concept of female flâneur, or flâneuse was used to analyze the aspects of female subjectivation in novels in the 1970s. A walk in the metropolitan city of Tokyo allows the flâneuse to acquire gazes towards themselves, but the gaze of female characters in the position of peripheral strangers in the exotic city of Tokyo is blocked by the gaze of male characters who otherize the females. This unables them to be the subject of gaze. Meanwhile, the flâneuse in Kim Chaewon’s short stories set in Seoul refuses to be a consumer subsumed by the logic of capitalism and fascinated by products, and reveals her desire to establish herself as an aesthetic subject. The crossdressing of a flâneuse aspiring to become a poet uncovers the anxiety of becoming a female author obstructed by the male-centered mainstream literary field and firmly established literary history and tradition. In this regard, the female-to-male crossdressing has the meaning of a strategy to circumvent the pre-existing order of the literary field through parody. In order for females, as subordinate subjects, to become speaking subjects, they have no choice but to use ambiguous and hybrid language. The subjectivation of females as subects of gaze and aesthetic subjects requires an ethics of listening that delicately reads the hybrid language utilized by the female subejcts. Therefore, Kim Chaewon’s early novels, which were not sufficiently illuminated due to the dual constraints of being a female modernist, can be reevaluated as dealing with the aspect of female artist’s subjectivation through modernist aesthetic practice that developed across the border between metropolitan Seoul and Tokyo.

      • KCI등재

        초기 한국 기독교의 교육공간과 말하는 주체의 탄생

        이숙진 한국기독교교육학회 2020 기독교교육논총 Vol.0 No.62

        This paper aims to explore the nature of the making of speaking subject in early Korean Protestantism, focusing on the educational spaces for women. Traditional women could become a speaking subject through various educational programs provided by Protestantism in modern Korea. Especially three kinds of educational space played the crucial role of making women a speaking subject. The first was Bible class established for women in rural areas. Since most Korean women were unable to read and write, Protestant churches taught them Hangul[Korean alphabet] before teaching the Bible. Korean women studied the Bible in Bible class, Women's Bible School, and Women's High Bible School. Through this education, traditional women were liberated from the world of ignorance and obedience, and then become a speaking subject. The second was speeches and discussions that have emerged in institutional spaces such as mission schools for girls and women's organizations. Students at mission school were able to learn how to express their opinions by way of public speaking and discussion classes. Women were able to become speaking subjects in the process of learning such techniques of modern language. At that time, representative discussion spaces were Lee Mun-hoe, Joyce Chapter, and YWCA. The third was testimony and dialect. Unlike sermons and public prayers, which were only allowed to male elites, testimony and dialectics are a form of speech that transcends gender or status constraints. Especially in the space of the revival movement, women confirmed their dignity through active testimony, and their religious identity was strengthened in the process. Dialect also served as the language of liberation for women suffered and alienated from male-dominant culture. Dialect is a device that exercises the right to speak against transcendental authority. Furthermore, in Protestantism of early modern Korea, the speaking subject's act of speech was elevated beyond personal matters to social issues, women's issues, and ethnic issues. 이 논문의 목적은 한국 여성들이 기독교가 마련한 교육공간을 통해 ‘말하는 주체’로 거듭난 경로를 추적하고 그 효과를 규명하는 데 있다. 초기 기독교는 문자교육을 수반한 성경공부, 연설과 토론으로 대변되는 근대적 발화양식, 간증과 방언으로 대변되는 기독교 고유의 발화양식 등 세 경로를 통해 여성을 ‘말하는 주체’로 세울 수 있었다. 첫째 경로는 여자사경회인데, 농어촌 지역의 여성들은 이를 매개로 문자의 세계로 진입하면서 무지와 묵종의 세계에서 벗어날 수 있었다. 둘째 경로는 기독교계 여성교육 기관이 마련한 연설과 토론공간이다. 이화학당의 이문회(以文會), 감리교 여자청년회인 조이스회(Joyce Chapter), 여성단체인 YWCA 등에서 여성들은 근대적 언어구사의 테크닉을 배우면서 말하는 주체로 거듭날 수 있었다. 셋째 경로는 기독교 고유의 발화양식인 간증과 방언이다. 남성 엘리트에게만 허용되었던 설교나 공중기도와 달리, 간증과 방언은 성별이나 신분의 제약을 초월하는 발화양식이다. 여성들은 적극적인 간증 행위를 통해 자신의 존엄을 확인하였고, 일종의 해체적 언술 행위인 방언을 매개로 초월적 권위에 기대어 말할 권리를 행사할 수 있었다. 이렇듯 기독교가 마련한 교육공간을 통과하면서 여성들은 자신들이 겪는 고통이 운명 탓이 아니라 사회적 구조나 오랜 악습 때문임을 깨닫고 여성의 교육권과 재산권을 주장하는 ‘말하는 주체’가 되었다. 지난 30여 년 동안 활발했던 신여성 연구에서는 여성주체 형성의 장치였던 기독교의 영향력에 대해 간과하는 경향이 있었다. 초기 한국 기독교 교육공간에는 여성을 말하는 주체로 세우는 다양한 언술장치가 있었고, 이는 여성들의 공적 발화에 선도적 역할을 하였음을 밝힌 이 글은 그간의 근대여성 연구의 지평을 보완, 확장한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 KCI등재

        김명순 시에 나타난 ‘말하는 주체’의 심리적 갈등양상 연구

        배옥주(Bae Ok-ju) 국어문학회 2017 국어문학 Vol.64 No.-

        김명순 시를 연구한 다수 논의에서 김명순 시에 나타난 ‘말하는 주체’가 ‘시적 화자’이며 ‘시인’ 자신과 동일시되는 자전적 글쓰기라는 연구결과를 살펴보았다. 작품 안의 서술자가 화자이고 작품 바깥의 서술자가 시인이며 이 둘의 역할 분담을 통해 시적 언술이 만들어지는데, 이는 시인이 특정가면을 내세워 작품 안에서 발화를 수행하는 것이다. 그러므로 ‘말하는 주체’는 시적 발화를 하는 역할의 화자 목소리를 거쳐 시인 자신의 세계관을 표명한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따라서 본고는 김명순의 자전적 글쓰기에 나타난 ‘말하는 주체’의 심리적 갈등양상을 고찰하여 김명순 시에 나타난 시적 세계관의 특성을 조명하고자 하였다. 김명순은 최초의 여성시인으로 근대문학의 선구자적 위치에서 자기애와 자유의지를 적극적으로 인식한 신여성이었다. 김명순이 맞닥뜨린 핍진했던 당대 시대적, 역사적 상황은 그녀를 ‘글쓰기’라는 창작의 산실로 밀어 넣은 긍정적 계기로 작용했다. 김명순은 자신을 검열하였던 근대지식인 남성들의 폭력적 횡포와, 출생신분의 피해의식에서 벗어나기 위해 적극적인 문학활동을 전개해나갔다. 김명순 시에 나타난 ‘말하는 주체’의 심리적 갈등양상을 살펴보면, 초기시에는 내향 굴절을 지향하는 비탄적 독백조의 경향을 보이지만, 중기시 이후로 갈수록 ‘말하는 주체’의 목소리를 빌어 외적 세계에 대한 분노의 갈등양상을 공격적으로 표출한다. 그것은 시의 기법적 미숙함에서 비롯됐다기보다는, 그녀의 전략적 사유에서 비롯된 것으로 볼 수 있다. 김명순이 자신의 출신성분이나 데이트 강간사건처럼 치부가 될 수도 있는 현실의 갈등을, 있는 그대로 시속에 녹여내는 것이 녹록지만은 않았을 것이다. 그러나 그녀는 문학작품 속에 작가를 환기시키는 체험의 공통요소를 반복적으로 드러냄으로써, 악의적인 외부시선과 담론에 항변의 신호를 멈추지 않았다. 김명순은 피해갈 수 없었던 운명적 체험에 대한 갈등을 창작의지로 표출하며 핍진한 상황을 극복하려 한 것으로 짐작된다. 김명순이 자전적 글쓰기의 ‘말하는 주체’를 통해 보여주는 시적 세계관의 특징은 자아 고립, 자아 부정, 식민화된 정체성의 갈등양상이라는 것을 알 수 있다. 이는 ‘말하는 주체’가 자신을 공격하는 대상을 향해 자신의 체험을 솔직하게 표현함으로써, 당당하게 나서겠다는 자기방어기제의 의도적인 전략이다. 그 전략적 사유는 자신이 거부했던 어머니에 대한 연민과 후회가 ‘어머니’라는 존재에 대한 모성회귀 본능으로 돌아가면서 자아 구원의 글쓰기로 한 걸음 더 나아간다. 김명순 시에 나타난 ‘말하는 주체’의 꺾이지 않는 자아극복의지는 그녀가 역사적, 시대적 담론의 덫에서 빠져나와 실존적 삶의 생존자로 거듭나는 동기가 된다. We have seen that the ‘speaking subject’ in Kim’s works is considered as a ‘poetic narrator’ and the poet herself in many discourses about Kim’s poetry. The descriptor in the work is a narrator and the descriptor outside of the work is a poet; these two share roles to create poetic statements, which is the process of a poet performing articulation in the persona of a narrator. Therefore, the ‘speaking subject’ shows the poet’s world-view through the narrator who speaks in the poem. This paper aims to focus on the psychological conflict of the ‘speaking subject’ shown in Kim’s autobiographical works. Kim is one of the first female poets who actively recognized narcissism and free will as a modern woman and a pioneer of modern literature. Historically, Kim was under harsh circumstances, which was a positive momentum for her to dedicate herself to writing. Kim seems to have devoted herself actively to literature in order to bail out from the tyranny of modern male intellectuals and from the victim mentality caused by her origin. The conflict aspects of the ‘speaking agent’ appears as a monologue in anguish directed internally in early periods, but they become aggressive and show anger in the voice of the ‘speaking agent’ to the external world after the middle periods. This is not because of her amateurishness but because of her strategy. It would not have been as easy for her to show the painful reality like her origin or date rape as it is in her poetry. Instead, she chooses to show the common aspects of the experiences repeatedly to remind the readers of her situation so that her works can constantly demure the malicious views and discourses. It seems that Kim tried to overcome the situation by expressing her will of creation conceived from by her fate. After the middle periods, her poetry shows the conflicts of her identity as a citizen of Japanese colony, which appears as self-isolation and self-negation. This can be interpreted as a defense mechanism, expressing her experiences honestly in order to be confident. She went one step further and showed pity and regret for her mother, whom she denied as her origin, to return to her maternal instinct as a way to self-salvation. This indomitable will of the ‘speaking agent’ functions as a motive to survive the difficulties of her time.

      • KCI등재

        시 연구를 위한 시적 주체(들)의 개념 고찰

        윤지영 ( Youn Ji-young ) 국제어문학회 ( 구 국제어문학연구회 ) 2007 국제어문 Vol.39 No.-

        한국 현대시가 성립된 이래, 텍스트에 나타난 `나`를 지시하는 용어는 매우 다양하다. 시인, 서정적 자아, 시적 자아, 퍼소나, 화자, 말하는 주체 등이 대표적인 예이다. 그리고 이들 용어가 뿌리내리고 있는 이론적 배경은 물론, 시에 대한 관점 또한 다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시 연구 및 비평에서는 이들 용어들을 무비판적으로 사용하고 있는 실정이다. 이 연구는 텍스트 내의 `나`를 지칭하는 다양한 용어를 검토하여 학술 용어로 정립하고 이를 통해 시연구의 효용성과 엄밀성에 기여하려는 목적으로 이루어졌다. 우선, 가장 보편적으로 사용되는 서정적 자아는 시를 시인의 정서 표출로 보는 낭만적인 관점에 입각해 있다. 이는 텍스트의 `나`를 시인과 구분하지는 않지만, 일상의 자아나 허구적 인물과는 구분한다. 이러한 점에서 서정적 자아는 여타의 장르와 변별되는 장르로서 시를 정립해야하는 요청에 직면한 근대 문학적 관점에 부응한다. 화자와 퍼소나는 시를 개인의 정서의 표출로 보는 대신 언어적인 자율체로 보게 되면서 새롭게 등장하는 개념이다. 이들은 시 텍스트를 `발화`한 존재이지만, 역사적 인물로서 시인은 아닌 것으로 상정된다. 그런 점에서 화자와 퍼소나는 실질적인 개념이라기보다는 이론을 위한 추상적 개념이라고 할 수 있다. 시의 모든 의장들은 이 통일되고 안정된 화자 혹은 퍼소나의 관장 하에 놓인 것으로 간주된다. 말하는 주체는 시를 단순한 언어적 자율체가 아니라 담론으로 보는 관점에 뿌리내리고 있다. 시인은 특정 담론에 의해 구성된 존재이며, 이러한 시인이 말한 것이 하나의 발화로서의 시이고, 그 시는 또 다른 발화 행위의 주체인 독자의 독서에 의해 의미 작용을 하게 된다. 이처럼 시적 주체를 지시하는 용어들은 서로 양립할 수 없는 토대에 뿌리내리고 있다. 그렇기 때문에 연구에 있어 용어를 사용하는데 특별히 주의를 기울여야 한다. 이미 굳어진 학계의 관습을 무시할 수 없다 하더라도 시 텍스트에 대한 연구 관점과 그에 적합한 개념의 사용에 대한 자각과 인식은 있어야 할 것이다. After Modern Korean Poetry, there have been many concepts for `I` on the text, for examples, poet, lyric self, poetic self, persona, speaker, and speaking subject etc. Nevertheless they have all different theoretical grounds and point of views about poetry, they have been used careless. To support to strict study about the poetry, this study aims at examination the various concepts about `I`on the text and making them terminology. The `lyric self` is used the most ordinarily. It roots the Romantist view that poetry is the expression of poet`s emotion. There are not different between `I`on the text and real poet, but `lyric self` is different with everyday `I` and fictional `I`. This concept is a production of response to construct the modern genre system with three great genres. The `persona` and the `speaker` are the new concepts, after appearance of the viewpoint that poetry is the autonomous linguistic construction instead of the the expression of poet`s emotion. They are regarded as an abstract entity to speak the poetry as an utterance. but the historical poet. The `speaking subject` is rooted on the viewpoint that poetry are not an simple linguistic autonomous construction but a discourse. What the speaking subject who lives in special context speaks is the poetry as a utterance, the poetry is worked out after reading by the reader as an other `speaking subject`. Because they have different ground, we must use them strictly. If we could not change the careless usage because of convention, we should know the difference between them at least.

      • KCI등재

        김수영의 시에 나타난발언의 양상과 말하는 주체 -하이데거의 언어 철학을 중심으로-

        박옥순 경희대학교 인문학연구원 2019 인문학연구 Vol.0 No.39

        Kim Soo-young preferred “I”, a first-person speaker as an appealing speaker, to be regarded as the poet’s own voice. The full-scale exposure of “I” also served as a reference to Kim Soo-young’s naming of poetry as ‘confessional poetry’, and served as the basis for Kim’s recognition of poetry and life as one. However, prior studies did not pay attention to why Kim Soo-young tried to match the poet as the speaker and the speaker as the main actor of the fire in the work. From the conclusion, I think that the reason is because Kim Soo-young recognized poetry as a statement. Therefore,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examine the style of Kim’s statements in his poetry and the position of the speaker, to reveal what the essence of Kim’s poetry was. To achieve this purpose, I referred to Heidegger’s philosophy of language and I have examined the whole of Kim’s poetry and his prose. As a result, the paper argued that Kim Soo-young had established a personal world of poetry, putting himself as a “writing subject” and “speaking subject” of the poet and recognizing poetry as a statements. And I traces the meaning and pattern of statements presented in his poetry. If this is sorted out by time, the early and mid-term poems can be sorted out into those aimed at “I” and showing itself, while the latter poems are those aimed at “sharing together” with “We.” Furthermore, it explored the unity of his patriotic statements and technical statements based on his reflection and agony arisen from April 19 revolution and May 16 military coup. It also examined that his objective lied in the authentic unity between realism and modernism. 김수영은 시를 쓸 때 시인 자신의 목소리라 여겨질 만큼 호소력 있는 1인칭 화자인 ‘나’를 선호했다. 이처럼 ‘나’의 전면적인 노출은 김수영의 시를 ‘고백체 시’로 명명하는 준거가 되었으며, 김수영으로 하여금 시와 삶을 동궤로 인식하게 하는 토대가 되었다. 그렇지만 선행 연구들은 김수영이 왜 말하는 주체로서의 시인과 작품 속 발화의 주체로서의 화자를 일치시키려 했는지 그 이유에 대해 주목하지 않았다. 결론부터 말하자면, 본고는 그 이유가 김수영이 시를 발언으로 인식했기 때문이었다고 판단한다. 따라서 본고의 목적은 김수영의 시에 나타난 발언의 양상과 말하는 주체로서 화자의 위치를 고찰함으로써 발언이라는 언어 행위가 김수영의 시작법에서 차지하는 위상을 확인하는 데 있다. 연구 결과 본고는 김수영의 시세계가 시인 자신을 ‘쓰는 주체’이자 ‘말하는 주체’로 상정하고, 발언으로서의 시라는 독특한 시세계를 구축하면서 궁극적으로 자유와 사랑이라는 위대한 가치를 발견해나가는 과정이었음을 논증해냈다. 이를 시기별로 정리하면 초기시부터 중기시는 ‘나’의 바라봄과 스스로를 내보임을 지향한 시로, 후기시는 ‘우리’의 바라봄과 함께 나눔을 지향한 시로 정리할 수 있다. 특히, 본고가 주목한 것은 4․19와 5․16 체험에서 비롯한 통렬한 반성과 고뇌를 바탕으로 김수영이 지사적인 발언과 기술자적인 발언을 모색하는 과정에서 보여준 시와 시론이었다. 그러므로 지사적인 발언과 기술자적인 발언의 회통을 추구한 시로 명명할 수 있는 후기시들은 김수영이 ‘현대가 제출하는 역사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우리나라의 현실을 가장 잘 대변할 수 있는 시는 어떤 시인가?’라는 질문을 던지는 과정에서 도달한 고투의 결과라고 할 수 있다.

      • KCI등재

        왜 페미니스트가 신을 말하는가? ― 페미니스트들의 키에르케고어되기와 키에르케고어의 여성되기

        장문정 대동철학회 2012 大同哲學 Vol.59 No.-

        이 글은 일차적으로는 페미니즘의 역사에 대한 개괄적인 논고이다. 그러나 그 역사의 구성적 배치는 전적으로 키에르케고어의 철학을 염두에 두고 이루어졌다. 즉 키에르케고어의 철학은 그림자처럼 페미니즘 역사에서 보이지 않지만, 그 그림자를 통해서 현대 페미니즘이 처한 역설을 드러나게 하고 더 나아가 페미니즘이 나아가야할 바를 찾고자 한다. 첫 번째 무대는 키에르케고어의 가면성과 관련하여 페미니스트들이 남성담론에 기대어 자신들의 주장을 할 수밖에 없었던 현실 언어에 대한 회의적 통찰로 이루어져 있다. 두 번째 무대는 이러한 언어와 관련하여 페미니즘의 주체되기가 가지고 있는 역설적 상황을 육체성, 특히 성적인 육체성을 통해서 천착해보고 그것의 귀결이 키에르케고어의 아이러니한 주체 부정에 있음을 보여주고자 한다. 세 번째 무대는 생물학적 본질론으로 대표되는 페미니즘의 딜레마를 중요점으로 다루면서 페미니스트들의 돌파 지점을 페미니스트적 신과 관련하여 모색한다. 역설에서 신에로 향하는 이 여정은 가부장적 신학의 그것과는 다르다. 이 글은 페미니즘적 신을 페미니스트의 언어로 발하는 동어반복적 방식보다는 키에르케고어의 그림자를 통해서 자기 부정과 분열에 직면한 페미니즘 역사의 살 길을 모색하고, 그리고 그 당위를 촉구하고자 한다. This Thesis is just a perspective about the history of the feminism, which is peculiarly constructed by kierkegaard's philosophy. kierkegaard's thoughts as feminist works like shadow which is invisible, even fictitious in the feminist history, however, as the shadow makes the object more real and more vivid, "becoming kierkegaard of feminism" can reveal what the paradox is, which the recent feminists goes down to, and hint on the way how to go beyond it. In the first stage' shadow is about kierkegaard's pseudonym. In there it imake clear the reason why some feminists should depend upon the male discours to express their own desires, the limitation of the language in general. In the second stage, becoming subject in feminism get to the paradox where the subjest denies herself. Some feminists posotively quote and propriate the subject theory based on the corporeal body, and go far to declare the subject is sexual. But their terminal consequences is same as Kierkegaard's paradoxical and ironical subject. In the third stage, facing with the dilemma of feminist regarding the biological essentialism, some feminists go to the calling the God. There are two divinities, the one is patriarchal and a noun form drived from the drive to the death, the other is verbal, full of the drive to the life, so called Godess. The other is made clear and confirmed in the shadow of post-kierkegaard's theology.

      • KCI등재

        다른 목소리 듣기: 말하는 주체와 들리지 않는 이방성

        김애령 한국여성철학회 2012 한국여성철학 Vol.17 No.-

        인간은 공적 공간에서“말하는 주체”가 됨으로써 세계를 창조하고 정치에 참여한다. 서구 사유 전통에서 말할 수 있음은 자기 자신을 행위 주체로세계에 기입할 수 있음을 의미해 왔다. 이러한 맥락에서 서발턴의 종속성은 공적 공간에서 정치적 발화의 권리를 박탈당하는 것으로 표시된다. 이로부터 서발턴의 발화 가능성이 곧 종속과 억압으로부터의 해방과 정치적 주체로서의회복을 의미한다는 주장이 도출된다. 그러나 스피박은 이 절박한 정치적 당위에 직면하여“서발턴은 말할 수 없다”는 회의적인 분석을 제출했다. 이 글은 스피박의 주장이 일부 비판자들이 주장하는 것처럼, 서발턴을 타자로 절대화하여 침묵에 가두려는 시도가 아니라, 오히려 침묵을 듣기 위한 노력이라는 사실을 밝히고자 한다. 서발턴의 발화를 배제하는 권력을 비판하는 한편, 스피박은 서발턴의 언어에 개입되어 있는 인식소적 폭력의 문제에 주목한다. 스피박에 따르면,서발턴의 언어는 중층 결정되어 있는 담론 권력에 의해 지배받고 있기 때문에,서발턴의 말은 투명하게 자기를 전달할 수 없다.따라서 말하는 주체로 소환하는 것만으로는 서발턴의 종속성을 극복할 수 없다.서발턴의 종속성에 대한 이해는 서발턴 발화가 동반하는 들리지 않는 이방성에 귀 기울이고,드러내지 못하는 거부와 부재의 영역에 집중하는“듣기의 윤리”를 요청한다.

      • KCI등재

        대부흥운동기 여성공간의 창출과 여성주체 탄생

        이숙진(Lee Sook-Jin) 한국기독교역사연구소 2009 한국기독교와 역사 Vol.31 No.-

        이 논문은 기존 연구에서 소홀히 다루어져 온 부흥운동과 여성의 관계에 주목하였다. 부흥운동을 바라보는 시선은 당시의 선교사와 교권만이 아니라 그 사건을 기억하고 있는 현재 한국교회도 남성중심주의에서 자유롭기 못하기 때문이다. 부흥운동에 관한 중심서사는, 초기 기독교인들은 사경회를 통해 복음의 진리를 접하고 대부흥사건의 열기 속에서 죄에 대한 자의식을 갖게 되었으며 통회자복을 거쳐 마침내 신실한 기독교인으로 재탄생하였다고 기억한다. 요컨대 대부흥운동은 진정한 기독교인을 생산하는 장치였다는 것이다. 이 글은 성, 계급, 지역, 그리고 지식의 수준에서 서로 결이 다른 이질적 경험의 주체들이 공식서사 속에서 과연 그렇게 깔끔하게 정돈될 수 있는 것일까 하는 의문에서 출발하였다. 그리고 공식서사에 의해 배제되거나 주변화되었던 여성들의 다양한 목소리를 복원하여 또 다른 서사의 구성 가능성을 모색해 보았다. 한국 기독교인의 대표적인 신앙경험으로 인식되어 온 대부흥운동에는 결이 다른 이질적인 경험들이 경합을 이루고 있었다. 교회권력은 성령과 악령, 기독교적인 것과 이교적인 것을 구분하면서 이질적인 타자를 분리해내고 배척하고 정죄하는 반면, 권력의 주변부에 위치한 여성들은 남성권력이 위계화하고 있는 경계들을 자유로이 넘나들면서 자신들의 이질적 차이공간을 지켜나갔다. 이 부흥회 공간은 가부장적 질서를 전복하는 공간이자, 성별 서열화를 극복하려는 공간이었으며, 순수와 동질의 서사에 맞서는 이질적 경험들이 차이의 공간을 만들고 있었다. 그러한 공간은 바로 여성들이 창출했거나 연관성을 가지고 있다. 이러한 여성공간은 남성의 공간정치를 교란시켰을 뿐만 아니라 새로운 여성 주체의 형성을 도왔다. 여성들은 죄의 고백을 통해 ‘말하는 주체’가 되었으며, 문자의 세계로 들어가면서 아는 주체로의 열망을 갖게 되었고, 삶의 자리에서 부단한 협상력과 정치력을 구사하며 여성들과의 임파워먼트를 통해 집단적 정체성을 형성할 수 있었던 것이다. This paper attempts to explore how women produced their own space and subjectivity in early Korean protestant church. During the Great Revival Movement, firstly, protestant women produced the space of subversion and resistance by passing over the boundaries set by male-dominated church power. Secondly, protestant women created the space of equality and democracy by transcending the gender hierarchy. Thirdly, they created the space of difference and heterogeneity by opposing to the patriarchal narrative of purity and homogeneity. The new space of protestant women not only deranged the space politics of patriarchy but also contribute to the formation of new woman-subjectivity. During the Great Revival Movement, protestant women could become a speaking subject in the course of confessing their sin. They could also become a knowing subject by entering the world of book and knowledge. By commanding a skill of negotiation in ordinary world and by empowerment of women, they could produce their collective subjectivit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