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말씀 선포의 자리, 독서대의 기원

        최치원(Chi-Won Choi) 한국가톨릭신학학회 2021 가톨릭신학 Vol.- No.39

        제2차 바티칸 공의회는 모국어로 전례를 거행하도록 허락하였고, 미사를 이루는 두 부분인 ‘말씀 전례’와 ‘성찬 전례’는 “서로 밀접히 결합되어 오직 하나의 예배 행위”(IGMR 28)를 이룬다며 전례 안에서 말씀의 중요성을 복원하였다. 전례예식 중에 하느님 말씀은 독서대에서 선포된다. 이 선포는 살아있고 역동적이며 말씀전례의 핵심적인 활동이다. “그리스도께서는 … 당신 말씀 안에 현존하시어, 교회에서 성경을 읽을 때에 당신 친히 말씀”(SC 7)하시기 때문이다. 따라서 말씀이 선포되고 말씀하시는 분께서 현존하시는 자리인 독서대도 그 중요성에 합당하게 인식되어야 한다. 구약성경에서부터 하느님 말씀을 선포하고 듣는 행위는 전례적 공동체의 본질적인 행위였다. 특히 모세가 시나이 산에서 하느님과 맺은 계약의 책인 율법(토라)은 정기적으로 읽고 기억하여 후손들에게 전해주어야 했다. 토라를 읽는 구체적인 자리에 대한 언급은 느헤미야서 8장에서 찾아볼 수 있다. “이 일에 쓰려고 만든 나무 단”(8,4)이 그리스도교 말씀 전례가 거행되는 독서대의 기원이라 할 수 있다. 바빌론 유배 이후 유다인들은 하느님 말씀을 듣고 기도하기 위해 회당에 모였다. 시나고가에는 율법서를 읽는 독서자와 율법을 해설하고 교육하는 자를 위한 연단인 베마(βῆμα)가 자리하고 있었다. 예수님께서는 안식일에 하느님 말씀이 선포되던 회당의 모임에 ‘늘’ 참석하셨다. 특히 첫 복음 선포는 나자렛 회당에서 이루어졌다(루카 4,16-20). 예수님께서 회당에서 선포하신 ‘기쁜 소식’은 말씀 전례가 시작된 순간이다. 예수님께서는 일어나시어 이사야 두루마리가 ‘건네지고’ 두루마리를 ‘펴신다’. 나자렛 회당에서 책을 펼친 예수님은 천상 전례의 어린양으로써 이 행위를 완성하신다. 책을 여는 행위는 희생된 어린양이 천상전례를 거행하고 완성하는 종말론적인 행위이며, 예수님의 죽음과 부활의 신비를 가시적으로 드러낸다. 따라서 예수님의 그 복음이 현재 우리에게 선포되는 독서대(αμβων)는 그저 책을 읽는 곳이 아닌 더 깊은 차원의 전례적 예식이 거행되고 실현되는 곳임을 알 수 있다. ‘독서대’라고 말하면 우리는 쉽게 성당 제단 위에 세워진 책틀을 떠올리게 된다. 그러나 독서대는 단순히 성경책을 올려두기 위한 ‘가구’ 혹은 마이크와 같은 기능적인 설비를 설치하기 위한 ‘기물’로만 치부할 수는 없다. 독서대는 전례예식 중에 하느님 말씀이 선포되는 ‘자리’이며 특별히 ‘복음의 자리(locus Verbi)’이기 때문이다. 독서대에서 흘러나오는 하느님의 말씀을 듣는 회중이 모인 자리이며, 말씀 자체이신 분이 현존하시는 현장이기 때문에 그 중요성은 강조되어야 한다. The Second Vatican Council granted the use of vernacular languages in liturgy, and restored the importance of the Word in liturgy, since the two parts of the Mass — ‘the Liturgy of Words’ and ‘the Liturgy of the Holy Communion’ — are “closely combined with each other to form only one act of worship” (IGMR 28). During the liturgical ceremony, the Word of God was proclaimed on the ‘ambo’ (the reading table). The declaration is alive and dynamic, and is the core act in the Liturgy of Words. It is because of fact that “Christ is present in His word, since it is He Himself who speaks when the holy scriptures are read in the Church.”(SC 7) Therefore, the ‘ambo’, the place where the Speaker (Christ) exists, should be reasonably recognized for its importance as well. From the Old Testament, the proclaiming and listening act of God’s words was an essential act of a liturgical community. In particular, the book of covenant that Moses made with God on Mount Sinai, had to be regularly read, remembered, and delivered to descendants. Reference to the specific place to read the law can be found in Chapter 8 of the Nehemiah Book. The “wooden platform made for use in this work”(8,4) can be said to be the origin of the ‘ambo’ where the Liturgy of Word is held. After the exile to Babylon, the Jews gathered in the synagogue to listen to the Word of God and to pray. In synagogue, there was a platform called Bema(βῆμα), for readers who read the law and for those who explain and educate the law. Jesus ‘always’ attended meetings of synagogues where God’s words were declared on the Sabbath. In particular, the first place of proclaiming the gospel was the Nazareth synagogue(Luke 4,16-20). The ‘Good news’ declared by Jesus in the synagogue is the moment when the Liturgy of Words began. Jesus stood up and was ‘handed’ a scroll of the Isaiah, and ‘unrolled’ the scroll. Jesus, who opened the book at Nazareth synagogue, has completed this act as a lamb of God heavenly liturgy. The act of opening the book is an apocalyptic act in which the victimized lamb performs and completes a heavenly liturgy. It visually reveals the mystery of Jesus’ death and resurrection. Therefore, the reading table(αμβων), where Jesus’ gospel is currently proclaimed to us, is not simply a place to read books, but also a place of celebrating and realizing a deeper level of precedent ceremonies. In general, the word “ambo” reminds us of a book frame by the altar of the church. However, the ‘ambo’ is not just considered as ‘furniture’ for carrying the Bible or as ‘object’ for installing functional equipment such as microphones. This is because the ‘ambo’ is the ‘place’ where the Word of God is proclaimed in the liturgical ceremony, and the ‘place of the gospel(locus Verbi)’. Reading table is a place where congregations gather to listen to the words of God flowing from it, and where God the Word itself exists, so the importance of reading table should be emphasized.

      • KCI등재

        바르트의 ‘선포된 하나님 말씀’에 대한 분석학적 고찰

        천병석 한국실천신학회 2015 신학과 실천 Vol.0 No.43

        개신교회의 선포는 설교와 성례전의 형태로 나타난다. 설교와 성례전은 하나님의 말씀으로서 각각 보이지 않는 말씀과 보이는 말씀이다. 그런데 인간의 말일 뿐이고 상징적 행위일 뿐인 선포가 어떻게 하나님의 말씀이 되는가? 이 질문은 개신교회와 가톨릭교회를 구별할 뿐 아니라, 개신교회 교파들 사이의 차이를 낳은 신학적 핵심주제에 속한다. 올바른 선포의 문제는 곧장 올바른 신학의 문제에 직결된다. 나아가 선포의 위기는 곧 교회의 위기이고 교회의 위기는 곧 선포의 위기라는 점에서, 신학의 정체성을 복음선포라는 측면에서 재규명하고, 복음 선포를 신학적 관점에서 조명하는 작업이 필요하다. 칼바르트의 신학은 선포의 문제로부터 출발한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그의 목회와 설교, 설교학강의 뿐 아니라 교의학의 주요내용인 하나님의 말씀론도 선포로부터 출발한다. 바르트의 ‘하나님의 선포된 말씀’은 오늘날 우리의 목회의 현장에 하나님 말씀으로서의 선포에 대한 사려깊고 유용한 지침을 제공해 줄 것이다. 본고는 무엇보다 ‘선포된 말씀’에 대한 바르트의 논의를 그 자체로 살피는 것을 주된 목적으로 한다. 이 목적을 위해 방법론적으로 분석학적 접근이 매우 도움이 될 것이다. 분석철학에서 발전된 신학적 ‘학문이론’의 용어인 ‘근거’(Begründen)와 ‘발견(Entdecken)’이라는 개념범주는 바르트의 교의학이 지닌 복합적 서술구조 뿐 아니라, ‘선포된 말씀론’의 핵심내용을 뚜렷하게 밝혀 준다. 바르트에 따르면, 한마디로, 하나님의 말씀은 선포에 위탁되고, 선포의 대상이 되며, 선포를 판단하며, 선포에서 사건화되기에, 선포는 하나님의 말씀이라는 것이다. 그러한 주장은 또한 교회사적으로, 선포에 대한 종교개혁자들의 진술에 기초한 많은 예증들과 더불어 그리고 교회정치에 속박된 가톨릭 성례론에 대한 다양한 반증들과 더불어 관철되고 있다. 이렇게 드러나는 내용적이고 방법론적인 규명을 통하여 선포와 신학의 바른 관계설정이 절실한 오늘날의 교회설교와 신학에 기여할 수 있기를 소망한다. Proclamation by protestant churches can be divided into sermon and sacrament. Sermon and Sacrament are the God’s words, and the former refers to invisible one and the latter is visible. How can the proclamation that is a human word and a symbolic activity be the God’s word? The question not only distinguishes a protestant church from catholic church but also is a main theological theme to occur differences between denominations in protestant churches. A matter of a right proclamation is directly connected with a problem of right theology. As crisis of proclamation is that of church and vice versa, it is necessary to reinvestigate the identity of theology as gospel proclamation, and illuminate the gospel proclamation in a theological view. It is no exaggeration is to say that the theology of Karl Barth starts from the issue of proclamation. Barth’s “The Doctrine of God’s Words” which is the core of dogmatics as well as his ministry and preaching, teaching homiletics as well as start from the proclamation. Barth’s “The proclaimed God’s Word” will provide a thoughtful and useful guide line for today’s ministry place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Barth argument about “The proclaimed God’s Word” above all else. To achieve the purpose of this study, analytical approach will be very effective. The conceptual category referred to as ‘foundation’ (Begründen) and ‘discovery’ (Entdecken), the terms of ‘Wissenschaftstheorie’, exonerates not only the complex narrative structure but also the core contents of ‘the proclaimed God’s Word’. Barth said that Gods’ Word is delegate to proclamation, becomes the object of proclamation, judges proclamation and becomes an incident in proclamation, thus the proclamation is God’s Word. His argument is also carried through in conjunction with numerous proofs based on the statements of Reformers about proclamation and varied disproofs against the sacraments of catholic church bound by church polity. The establishment of correct correlation between proclamation and theology via methodological and contextual investigation unveiled this way is expected to contribute to the church preach and theology.

      • KCI등재후보

        하나님 말씀의 삼중적 형태에 대한 칼 바르트의 견해 : 말씀 선포를 중심으로

        안인규 ( In Kyu An ) 한국복음주의조직신학회 2018 조직신학연구 Vol.29 No.-

        최근 한국교회는 성장을 하지 못하고 오히려 퇴보의 길을 걷고 있다. 한국교회가 급격하게 쇠퇴하게 된 원인으로는 교회의 세속화, 그리스도인의 도덕적 일탈, 목회자의 자질 부족, 개교회 주의, 신앙훈련의 부족 등을 꼽을 수 있다. 한국교회의 문제점을 해결하는 방법과 관련하여 여러 가지 대안이 제시될 수 있지만 무엇보다도 올바른 말씀 선포의 회복을 들 수 있다. 왜냐하면 교회의 머리되신 예수 그리스도가 “선포되는 말씀”을 통해 교회를 바르게 세워가실 것이기 때문이다. 올바른 말씀 선포는 교회의 정체성 회복에 매우 중요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16세기 종교개혁 당시 칼빈은 예수 그리스도가 교회의 머리되심을 강조하면서 참된 교회의 표지로서 말씀선포와 성례를 제시하였다. 특히 칼빈은 말씀선포를 예수 그리스도가 교회를 새롭게 세워가시는 중요한 은혜의 방편으로 받아들였다. 칼빈의 견해를 따라서 바르트는 말씀 선포를 통한 그리스도의 임재와 통치를 중시하였다. 바르트는 말씀 선포시 나타나는 그리스도의 임재를 “인격적 계시”로 이해하면서, 말씀 선포의 실질적인 의미를 구체적으로 드러내고자 하였다. 바르트의 인격적 계시란 하나님 말씀의 삼중적 형태 중에서 “지금 그리고 여기”에 임하는 하나님의 계시를 의미한다. 즉 예수 그리스도가 성경에 근거하여 올바르게 말씀이 선포되는 그곳에 실제로 임재하실 때에, 교회 공동체는 선포되는 말씀을 경청하고 깨닫는 수준에서 머무는 것이 아니라, 인격적으로 그리스도를 만나는 체험을 할 수 있다. 바르트가 주장한 올바른 말씀 선포를 통한 인격적 계시는 그리스도와의 인격적 만남 및 실질적인 체험을 통한 변화를 가져오는 근거가 된다는 점에서 침체된 한국교회에 새로운 도전을 주리라 기대한다. Today’s Korean churches are facing a serious crisis concerning the identity of the Church owing to the secularization and sectarianism of the korean churches, moral corruption of christians, low level of pastors, and lack of christian discipleship etc. It will be clear that the only way to solve the problems of the korean churches is to return to the Word of God. Because it is certain that Jesus Christ as the headship of the church will renew and reform the church through the proclamation of the Word. Therefore the pure and right proclamation of the Word is very important to recover the identity the true Church. Calvin, one of the reformers in the 16th. century, stressed the proclamation of God’s Word and the sacrament to be the mark of the true Church. Especially Calvin regarded the proclamation of the Word as the effective signs for the church promised by God. Like Calvin, Barth placed emphasis upon the presence and government of Jesus Christ through the proclamation of the Word. Barth tried to explain the real meaning of the proclaimed Word connected to the personal revelation. According to Barth, the personal revelation as one of the three forms of the Word is the revelation of Jesus Christ presented now and here. The personal Revelation of Jesus Christ appearing at the right proclaimed Word based on the Sripture will let the believers not only to understand and recognize the sermons proclaimed by the preachers, but also to experience the personal encounter with Jesus Christ. The researcher hopes that the personal encounter with Jesus Christ will arouse the believers to reform their christian life and give Korean churches a motivation to recover the identity of the Church as the body of Jesus Christ.

      • KCI등재

        한국교회의 성찬 갱신을 위한 방향 연구 : Heidelberg 요리문답을 중심으로

        장성진 한국복음주의실천신학회 2013 복음과 실천신학 Vol.29 No.-

        이 글의 목적은『하이델베르크 요리문답 해설』에 나타난 성례론을 성찬을 중심으로 다루는데 있다. 참된 교회를 나타내는 표식 중 하나인 성례는 Heidelberg 요리문답이 작성되었던 당시에는 특히 로마 가톨릭과 관련하여서 누가 참된 교회인가를 정하는 일은 매우 중요했다. 종교개혁자들은 말씀의 올 바른 선포와 성례의 올바른 집행을 교회의 참된 표지로 여겼다. 로마 가톨릭도 말씀 선포와 성례 집행을 교회의 참된 표지로 여기고 있었지만, Ursinus가 보 기에 로마 가톨릭은 성례와 말씀 선포 사이의 본질적이고 필연적인 관계를 인 정하지 않았다는데 문제가 있었다. 로마 가톨릭에 따르면 말씀 선포를 통해 성 례의 의미가 무엇인지 알지 못하더라도, 가령 성찬의 경우 주님의 살과 피로 여겨지는 떡과 잔을 마시기만 하면 그 성찬이 그 성찬을 받는 사람에게 효력이 있다고 여겨진다. 이에 반해 Ursinus는 성례를 하나님 말씀의 가시적 선포로 여김으로써 말씀 선포와 성례의 본질적이고 필연적인 관계를 밝히는 동시에, 성례의 유효성이 하나님 말씀에 대한 이해와 믿음에 의존함을 밝힘으로써“오직 말씀으로”라는 종교개혁의 모토를 성례 이해에 적용했다. 이 글은 Ursinus의『하이델베르크 요리문답 해설』에 나타난 성찬 이해를 검토함으로써 말씀 선포와 성례 집행이 서로 밀접한 관계에 있음을 보여준다. 성찬은 하나님 말씀의 비언어적 표현이 기에 하나님 말씀의 언어적 표현인 설교가 선행되어야만 성례로서 유효성을 지닌다. Ursinus의 성찬 이해는‘오직 말씀으로’(Sola Scriptura)에 충실한 이 해이다. 그 말씀은 지적 정보를 전달하는 언어에 그치지 않고 감정의 변화와 의지의 변화를 동반하는 실질적 순종을 낳는 인격적 말씀이기에 말씀의 비언 어적 표현으로서의 성찬도 입술로만의 신앙고백이 아니라 삶에 나타나는 실질 적 신앙고백에 의해 유효하게 된다. 이러한 인식은 한국교회의 성찬 갱신의 방 향을 보여주는 단초가 될 수 있다. The purpose of this article is to understand the concept of sacrament in The commentary of Dr. Zacharias Ursinus on the Heidelberg catechism, focusing on eucharist. Eucharist is one of the marks to show what the true church is. In the era when The commentary of Dr. Zacharias Ursinus on the Heidelberg catechism was written it was very important to show that the Protestant church is true whereas Roman Catholic Church is not. Reformers thought that the essential marks of true church are the true preaching of the Word and the right administration of the sacraments. Ursinus thought the Roman Catholics did not know the essential and inevitable relationship between the preaching of the Word and the administration of the sacraments, for they suggested that the sacraments have their own effects without the preaching of the Word. Ursinus emphasized the importance of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preaching of the Word and the administration of the sacraments. He suggested that sacraments have their own meaning with the preaching of the Word, for the sacraments are visible signs of the Word. It is suggested that his position about the eucharist results from the motto of the Reformation, namely “Sola Scriptura.” The eucharist is understood as non-verbal expression of the written and spoken Word. The Word is not merely informative but personal in that it is also a cause of the changes of emotion and will in Christians. It enables us to confess our faith both in theoretical and in practical levels. It can give Korean churches a good insight enough to find a true understanding of the eucharist.

      • KCI등재

        한국교회의 갱신을 위한 방향 연구 : Heidelberg 요리문답을 중심으로

        장성진 한국복음주의실천신학회 2013 복음과 실천신학 Vol.29 No.-

        이 글의 목적은 『하이델베르크 요리문답 해설』에 나타난 성례론을 성찬을 중심으로 다루는데 있다. 참된 교회를 나타내는 표식 중 하나인 성례는 Heidelberg 요리문답이 작성되었던 당시에는 특히 로마 가톨릭과 관련하여서 누가 참된 교회인가를 정하는 일은 매우 중요했다. 종교개혁자들은 말씀의 올바른 선포와 성례의 올바른 집행을 교회의 참된 표지로 여겼다. 로마 가톨릭도 말씀 선포와 성례 집행을 교회의 참된 표지로 여기고 있었지만, Ursinus가 보기에 로마 가톨릭은 성례와 말씀 선포 사이의 본질적이고 필연적인 관계를 인정하지 않았다는데 문제가 있었다. 로마 가톨릭에 따르면 말씀 선포를 통해 성례의 의미가 무엇인지 알지 못하더라도, 가령 성찬의 경우 주님의 살과 피로 여겨지는 떡과 잔을 마시기만 하면 그 성찬이 그 성찬을 받는 사람에게 효력이 있다고 여겨진다. 이에 반해 Ursinus는 성례를 하나님 말씀의 가시적 선포로 여김으로써 말씀 선포와 성례의 본질적이고 필연적인 관계를 밝히는 동시에, 성례의 유효성이 하나님 말씀에 대한 이해와 믿음에 의존함을 밝힘으로써 "오직 말씀으로"라는 종교개혁의 모토를 성례 이해에 적용했다. 이 글은 Ursinus의 『하이델베르크 요리문답 해설』에 나타난 성찬 이해를 검토함으로써 말씀 선포와 성례 집행이 서로 밀접한 관계에 있음을 보여준다. 성찬은 하나님 말씀의 비언어적 표현이기에 하나님 말씀의 언어적 표현인 설교가 선행되어야만 성례로서 유효성을 지닌다. Ursinus의 성찬 이해는 ‘오직 말씀으로’(Sola Scriptura)에 충실한 이해이다. 그 말씀은 지적 정보를 전달하는 언어에 그치지 않고 감정의 변화와 의지의 변화를 동반하는 실질적 순종을 낳는 인격적 말씀이기에 말씀의 비언어적 표현으로서의 성찬도 입술로만의 신앙고백이 아니라 삶에 나타나는 실질적 신앙고백에 의해 유효하게 된다. 이러한 인식은 한국교회의 성찬 갱신의 방향을 보여주는 단초가 될 수 있다.

      • KCI등재

        은혜의 방도로서의 하나님의 말씀

        이승구 ( Lee Seung-goo ) 한국복음주의신학회 2016 성경과신학 Vol.80 No.-

        본고는 개혁신학에서는 “성육신하신 말씀”(성자), 그리고 “기록된 하나님의 말씀”(성경)과 함께 “선포된 하나님의 말씀”인 설교도 하나님의 말씀이요, 은혜의 방도의 하나라는 것을 강하게 주장하고 있음을 밝히고, 이와 같은“설교에 대한 높은 견해”는 결국 설교자에게 상당한 책임을 요구한다는 것을 주장하였다. 즉, 설교자가 하나님의 말씀을 제대로 선포하기 위해서는 기본적으로 하나님 앞에서 두려움과 떨림으로 성경을 바로 해석하고 설교적적용을 제대로 해야 한다는 것을 강조하였다. 이를 구체적으로 언급하면서, (1) 성경에 명확한 지시가 없는 한 알레고리적 해석을 하지 말아야 하고, (2)성경 구절에 대한 탈문맥적 해석을 해서는 안 되며, (3) 지나친 도식화에 의한 주장, 예를 들어 잘못된 모형론을 도입에서 해석하며 설교해서는 안 된다는 것을 지적하였다. 이를 적극적인 방식으로 진술하면, (1) 본문에 자신의 생각을 집어넣어 읽지 않고, 본문을 잘 드러내는 본문을 바르게 주해(exegesis)하여 설교하며, (2) 본문의 계시사적인 맥락을 고려하여 설교하며, (3) 매우 구체적으로 적용해야 한다고 하였다. 또한 설교를 듣는 사람들의 책임도 있으니, 그 말씀을 하나님의 말씀으로 받아 열심히 정신을 차려서 듣고 그것을 성경 전체의 이해와 계속 비교하는 작업을 해야 한다. 그리하여 결국 하나님의 말씀을 행하는 자가 되어야하는 책임이 있음을 주장하였다. In this paper I have examined the reformed emphasis on the importance of the preaching the Word of God. The reformed tradition says that besides the incarnate Word of God (“the God the Son”) and the written word of God (“the Scripture”), the preaching can be designated as the Word of God (“the proclaimed Word of God”). Such a high view of the preaching demands a great responsibility to every preacher. Every preacher should do a sincere exegetical work and also a good homological application in the presence of God in fear and trembling. To be specific, (1) the preacher should not impose his own ideas into the text of the Scriptures, (2) the preacher should bear in mind the contextual place in the history of revelation of the given text, (3) and the preacher should be very creative in his application. I also emphasized that such a high view of the preaching also gives a very strong responsibility to the hearers of the Word of God. The hearers should receive the preached word not as the words of human being, but as the Word of God. That is, they should be attentive and eventually should be the proper “doers of the Word of God.”

      • KCI등재

        츠빙글리와 정의

        이은선 아신대학교 ACTS 신학연구소 2022 ACTS 신학저널 Vol.51 No.-

        Zwingli pursued the simultaneous reform of the church and state ofZurich guided by the interrelationship of divine justice and human justice. The justice of God is discussed through the essence of God, the Word ofGod, Christology, and Pneumatology. God is intrinsically righteous, and Heis known to us through His Word. God’s justice was accomplished by thecoming of Christ, since we cannot achieve it. This is the gospel because thejustice accomplished by Christ is given to us by grace through faith. In thisway, God’s justice is christologically fulfilled. After Christ has saved us, Hegives us the commandment to do God’s justice. We cannot practice this, butit can only be accomplished through the work of the Holy Spirit. Therefore,God’s justice is practiced pneumatologically. This gospel and justice of Godmust be continuously made known to people through the proclamationof the Word. Therefore, the Roman Catholic Church’s exercise of publicauthority that prohibits the proclamation of the gospel must be restrainedby the state power. Since God’s justice cannot be fully realized in human society and humanshave sinful nature and selfishness, human justice must be enforced. Humanjustice is enforced by the state with public power. God has given severalcommandments, but man does not enforce them without punishment. Therefore, the state must maintain social order with the power of the sword. However, Christians should not be satisfied with human justice, but mustmove toward the realization of God’s justice. Therefore, Zwingli tried torealize God’s sovereignty by simultaneously reforming the church and thestate through the free proclamation of the word in cooperation with thecity council. In the course of this process, he reformed the tithe, the interestsystem, and the welfare system for relief. 츠빙글리는 하나님의 정의와 인간의 정의의 상호관계를 통해 취리히의 교회와 국가의 동시적인 개혁을 추구하였다. 하나님의 정의는 하나님의 본질, 하나님의 말씀, 기독론, 그리고 성령론을 통해 논의된다. 하나님은 본질적으로 정의로우신 분이신데, 하나님의 말씀을 통해 우리에게알려진다. 하나님의 정의는 한 편에서는 우리가 그것을 성취할 수 없으므로 그리스도가 오셔서 성취하였다. 그리스도께서 성취하신 (정)의가 우리에게 믿음을 통해 은혜로 주어지기 때문에 이것이 복음이다. 이같이 하나님의 정의는 기독론적으로 성취된다. 그리스도는 우리를 구원하신 후에하나님의 정의를 실천하라는 계명을 주신다. 우리는 이것을 실천할 수 없고 오직 성령의 역사로 성취된다. 그러므로 하나님의 정의는 성령론적으로 실천된다. 이러한 하나님의 복음과 정의는 말씀 선포를 통해서 지속적으로 사람들에게 알려져야 한다. 그러므로 이러한 복음 선포를 금지하는로마가톨릭 교회의 공권력 행사는 국가권력에 의해 제지되어야 한다. 인간사회에서 하나님의 정의가 완전하게 실현될 수 없고 인간들은 죄성과 이기심을 가지고 있으므로 인간의 정의가 시행되어야 한다. 인간의정의는 공권력을 가진 국가가 시행한다. 하나님께서 여러 계명들을 주셨지만, 인간은 처벌 규정이 없이는 시행하지 않는다. 그러므로 국가는 검의 세력을 가지고 사회질서를 유지해야 한다. 그렇지만 그리스도인들은인간의 정의에 만족해서는 안 되고 하나님의 정의의 실현을 향하여 나아가야 한다. 그러므로 츠빙글리는 시의회와 협력하여 자유로운 말씀 선포를 통해 교회와 국가를 동시에 개혁하며 하나님의 주권을 실현하고자 하였다. 이러한 과정에서 실입조, 이자제도, 그리고 구제를 위한 복지제도를 개혁하였다.

      • KCI등재

        초기 유대교, 예수와 바울의 생명 사상

        배재욱(Bae, Jae Woog) 한국복음주의신약학회 2012 신약연구 Vol.11 No.1

        It is a miracle that Christianity was born and grew up in circumstances of early Judaism and under the influence of powerful Hellenism. In the midst of expanding Hellenism Christianity kept its identity and continued to grow. It must be an important factor in form and substance of Christianity. The proclamation of Jesus for the Word laid the basis of significant thought for New Testament authors. The understanding for the 'word' is the Christocentric reinterpretation of form consistent with the Old Testament and the literature of early Judaism. The result of this reinterpretation becomes Christianity. The early christianty understood as the gospel, which Jesus proclaimed, and newly understood as divine Power of life, which appears in the gospel. Accomplishment of salvation, which jesus achieves, appear through proclamation for the word, and activities of life is realized to the audience, who listens to the word. In this point be related the origin of life to Jesus, who is the person, who proclaims the word. 'Internal transition', which appears through the proclamation, is possible when man remember God and maintains correctly the meaning of life. This understanding appears also in pauline epistles. Paul describes 'the way of life' in christ throuth the gospel of 'the Son of God' 'Jesus Christ'(cf. Rom. 5:17; 6:4; 8:2; Col 3:3). Paul extends life to the the Holy Spirit throuth the statement for "the Law of Spirit of life in Christ Jesus". Therefore activity of life, which is carried by the Spirit of Jesus, consists of proclamation of the gospel.

      • KCI등재
      • 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