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산문의 시학의 가능성 -말라르메의 «비평-시»의 관건들

        조재룡 프랑스학회 2005 프랑스학연구 Vol.32 No.-

        본 논문은 말라르메의 «비평-시»에서 드러난 “산문”과 “시(시구)”에 관한 사유를 점검할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러한 연구는 그간 말라르메의 «비평-시»에 대한 평가 분석과 연구를 이해하고, 나아가 비판하는 지점에서 출발하여, 과연 말라르메의 작품을 대상으로 진행되었던 평자들의 일반적이고 보편적인 주장처럼 말라르메의 «비평-시»에 담긴 사유가 전적으로 시구(vers)에 관한 승인과 선호를 지배적으로 표출하고 있는가 라는 물음에 이의를 제기하면서 진행될 것이다. 본 연구는 말라르메의 «비평-시»을 둘러싼 수용과 이해를 점검하는 과정에서 이와 관련되어 가장 중요한 이론적 고리를 형성했다고 판단된 발레리를 위시로 발생한 서양 전통의 이분법(시와 산문, 시구와 산문)의 취약한 이론적 고리가 어떻게 형성되었으며, 또한 어떠한 한 위력을 발휘하는가를 살펴보았다. 이러한 취약한 고리를 가장 대표적으로 드러내는 것은 다름 아닌 산문의 개념이라고 할 수 있으며, 그 까닭은 18세기 이후 프랑스 문학사에서 오늘날에 이르기까지 산문의 개념이 전적으로 “부정성”을 통해서 연구되었기 때문에 발생한다고 할 수 있다. 그리고 이러한 문제적인 개념들이 총체적이고 집약적으로 표출되는 것이 바로 말라르메의 «비평-시»라고 할 수 있다. 따라서 말라르메의 «비평-시»의 가치와 의의를 조명하기 위해서는 «비평-시»를 둘러싼 해석과 수용을 필히 점검해야하는 필연성이 발생하는 것이다. 이처럼 비록 난해한 가능성(可讀性 lisibilité) 자체로 인하여 오해의 여지를 남김에도 불구하고, 말라르메의 «비평-시»는 19세기 중 후반에 이르러 새로운 문제틀을 중심으로 탄생한 산문시와 자유시의 가치를 총체적으로 조망한 일종의 비평적 시도라 할 수 있다. 그리고 이러한 부분은 말라르메가 «비평-시»에서 전개한 바 있는 “리듬”의 개념과 “시구”의 개념, “산문시”와 “자유시” 개념을 통해서 표출되며, 바로 이러한 개념 설정을 중심으로 말라르메의 시학은 정형시뿐만 아니라 산문의 시학 역시 제기하는(혹은 산문과 시학의 개념을 새롭게 설정하는) 중요한 시도로 간주될 수 있을 것이다. 이처럼 말라르메의 «비평-시»는 보들레르가 이론화하고 구체적인 적용을 바탕으로 선보인 산문시의 역사적 가치를 계승하는 한 축을 형성할 뿐만 아니라, 이와 마찬가지로 19세기 후반에 이르러 본격적으로 등장한 자유시의 가치 또한 반영한 비판적 생산물이라 할 수 있다. 따라서 말라르메의 «비평-시»는 말라르메가 정형시를 시의 정체성으로 여기거나 율격과 도식을 중심으로 이루어진 시구를 선호하기보다는 오히려 문학적 담화와 텍스트 자체의 특수성과 개인화(individuation) 과정에 가치를 두었다는 사실, 나아가 시구 vs 산문의 이분법적 도식에서 벗어난 새로운 “산문의 시학”을 창출하는 계기가 되었음을 드러내는 일종의 증거일 것이다.

      • KCI등재

        「이지뛰르」의 역주와 『대승기신론』의 시각사위

        장정아 한국프랑스어문교육학회 2010 프랑스어문교육 Vol.33 No.-

        말라르메와 불교는 인식을 통해 일원적 보편성에 도달하려는 인간의 모험으로서 그 접근 가능성을 보여준다. 말라르메와 불교, 그 인식여정의 궁극인 몰아/순수개념과 무아는 무분별로 완성되는 전일적 합일, 나와 나 아닌 것의 분별을 넘어섬으로써 나-너의 상대를 극복하는 절대, 일체의 차별이 없어 평등한 인간 정신의 일원적 상태로서, 말라르메와 불교의 접근 가능성을 공고히 한다. 말라르메의 비인칭/몰아impersonnel는 시인이 감성sensibilité으로 도달한 인간 정신의 일원적 상태로서, 시인의 개인적 자아 및 개별적 사유가 완전히 사라진, 하나의 순수개념une Conception Pure이다. 말라르메의 시 세계는 이 몰아/순수개념과 불가분의 관계에 있다. 그의 “작품”은 우주가 우주의 정체성을 시인 속에서 발견하기까지의 전개과정, 시인의 정신이 빈사의 고통을 지나 몰아인 순수개념이 되어 우주와 하나가 되기까지의 이미지로 구축되기 때문이다. 말라르메의 시는 순수개념에 이르기까지의 과정을 바라볼 것을 요구하는 것이다. 그렇지만 순수개념에 대한 인식으로 완수되는 말라르메의 시적 궁극은 사실상 불가능이다. 정신적 비존재와 다르지 않은 순수개념에 이른 감성과 그 감성에 대한 인식을, 즉 비존재와 존재의 공존을 요구하기 때문이다. “순수한 무Néant pur의 어떤 지울 수 없는 개념을 간직하려고 절대적인 공허의 감각sensation을 내[시인의] 뇌에 부과해야만 했다”는 말라르메의 고백은 이 불가능한 시적 완성을 위한 시인의 노력, 순수개념에 이른 감성을 유지하려는 시인의 모습을 보여준다. 그의 시는 이 감각/감성에 대한 인식을 요구하는 것이다. 그런데 이 불가능성에 말라르메 시 세계의 중심이 있다. 허구의 시학이 바로 그것이다. 「이지뛰르Igitur」는 존재 혹은 비존재의 주저/회의/망설임이 지속될 무대 및 무대 위 배우를 통해 존재와 비존재의 공존을 해결하는 특별한 장소로 시/허구를 자리매김함으로써 허구의 시학을 정립한 작품, 그리하여 말라르메로 하여금 시 작업을 다시 할 수 있게 만든 일종의 유사치료제이다. 「이지뛰르」의 역주(逆走)를 『대승기신론(大乘起信論)』의 시각사위(始覺四位)와 비교하는 논문은 「이지뛰르」-이지뛰르의 자기인식 여정 끝에 도달하는 존재 혹은 비존재의 끊이지 않는 주저가 순수개념에 이른 감성에 대한 인식이라는 말라르메의 시적 서원에 값하는 양상을 『대승기신론』의 시각사위로써 드러내고자 한다. 이를 통해 말라르메의 시/허구는 “존재 혹은 비존재의 진동하는 미정(未定)”으로 요약되면서, 일원성 추구에 있어서 내재적 사유의 원천으로 밝혀질 것이다. 또한 불각(不覺)의 양상을 분석하는 『대승기신론』 및 불각을 있게 하는 망념의 형성과정 중 일부를 유식(唯識)의 제8식과 연결하는 원효의 『대승기신론 소․별기(大乘起信論疏․別記)』는 “존재 혹은 비존재의 진동하는 미정”인 말라르메의 시가 일원적 언어를 위한 시니피에의 “존재 혹은 비존재의 진동하는 미정”, 따라서 “시니피앙-시니피에 사이의 진동하는 미정”으로 요약될 수 있음을 보여줄 것이다. 말라르메의 몰아와 『금강경』의 무아 비교에서 출발한 말라르메와 불교 연구가 전일적 합일을 향한 인식여정 자체에 대한 분석으로 이어지는 것이다. Cette étude a pour l'objet de découvrir un aspect de l'aventure étymologique de l'absolu dans une lecture comparative sur Mallarmé et Bouddhisme. Nous avons surtout tenté de comprendre comment le lieu du doute éternel-être ou ne pas être- d'Igitur correspond au voeu poétique de Mallarmé, reconnaissance de la sensibilité qui parvient à une Conception Pure. Cette analyse repose sur les ressemblances entre l'impersonnel de Mallarmé et le non-soi de Diamant Sutra qui se manifestent comme les fins des quêtes étymologiques de l'unité. Après le Néant, la tentative mallarméenne autour d'une Conception Pure impersonnel réclame l'abolition de toutes ses pensées, Mallarmé il se confronte au dilemme entre être et ne pas être. Igitur répond à ce dilemme en foulant ‘un lieu’ de ‘la conscience de soi’ d’‘une idée’/Igitur. Là où dure sans fin son hésitation-être ou ne pas être-, parce que sa fuite de la tombe aboutit à son propre retour. De ce fait, le choix entre ‘être’ et ‘ne pas être’ s'y révèle hors de question. La poésie est, chez Mallarmé, un procédé fictif de l'esprit humain pour accomplir la reconnaissance impossible de l'absolu, et ses poèmes ne permettent pas d'aboutir à la réalisation d'un total. Pour ces raisons, le 'lieu' spécial d'Igitur se métamorphose en réponse au propre voeu mallarméen. Bouddhisme se présente cependant comme la religion d'éclairement unanime, et il nous permet d'accomplir anuttarā samyaksambodhi. Quatre marches inverses à/de Tath re est une formule qu’complir anuttarā samyaksambodhi. Q nous montre comme une modalité de cette reconnaissance unitaire. Cette analyse de la marche inverse d'Igitur fondant sur quatre marches inverses à/de Tathatā d'Essai éveillant la foi en Mahāyāna nous permet de comprendre comment les transformations d''une idée' d'Igitur correspondent aux images mêmes de l'oeuvre mallarméenne qui doit se composer d'image du développement absolument nécessaire pour que l'Univers retrouve, en le poëte, son identité : la poésie, c'est-à-dire, la fiction est, pour Mallarmé, une base de pensée immanente dans la poursuite étymologique du tout. La poésie de Mallarmé n'est qu'un suspens vibratoire d'être ou ne pas être qui est une hésitation dernière avant le non-être. Cette étude comparative sur Igitur et Essai éveillant la foi en Mahāyāna nous permet aussi de constater que le suspens vibratoire d'être ou ne pas être pourrait être le suspens vibratoire entre signifiant et signifié : c'est le langage qui doit se mettre actuellement de la partie du voeu poétique. Cela tient aux trois modalités en ālayavijñāna relevant du lecture d'un grand maître bouddhique de Corée, Won-Hyo, sur Essai éveillant la foi en Mahāyāna. Cette proposition de la poésie mallarméenne, le suspens vibratoire entre signifiant et signifié, pourrait être constaté dans une étude comparative autour du langage sur Mallarmé et Bouddhisme.

      • KCI등재

        말라르메와 김구용의 ‘반수신(半獸神)’에 나타난 위선에 관한 비교 연구 —칸트의 윤리학의 관점을 중심으로

        오주리 한국문학과종교학회 2020 문학과종교 Vol.25 No.1

        이 논문「말라르메와 김구용의 ‘반수신’에 나타난 위선에 관한 비교 연구— 칸트의 윤리학의 관점을 중심으로」의 목적은 말라르메와 김구용의 반수신을 칸트의 윤리학의 관점에서 비교연구 함으로써 인간의 위선에 대한 두 태도를 밝히는 것이다. II장에서는 말라르메와 김구용의 반수신의 공통점이 논의되었다. 첫째 공통점은 반수신이 동물성의 우위로서 반인반수의 신으로 그려진다는 점이다. 둘째 공통점은 반수신이 이성으로부터 도피하여 본능의 지배를 받고자 하는, 동물적 존재자의 상징이라는 점이다. III장에서는 말라르메와 김구용의 반수 신의 차이점이 논의되었다. 첫째 차이점은 말라르메의 반수신은 사랑의 화신으로 나타나는 반면, 김구용의 반수신은 증오의 화신으로 나타난다는 점이다. 둘째 차이점은 말라르메의 반수신이 영육(靈肉)의 모순이라는 주제에서 탄생했다면, 김구용의 반수신은 전쟁과 평화의 모순이란 주제에서 탄생했다는 점이다. IV장에서는 결론적으로 두 시인에게서 ‘반수신’이란 존재의 상징이 위선의 가면이 벗겨진 인간의 모습에 대한 폭로로서 오늘날 우리에게도 인간의 이중성에 대한 윤리적 성찰을 요구함을 제시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provide a comparative study on the hypocrisy of the therianthropismy between Stéphane Mallarmé and Kim Gu-yong from the perspective of Kant’s ethics. In Chapter II, the writer discusses the commonalities of the therianthropismy between Mallarmé and Kim. First, what the two poets have in common is that the therianthropismy is depicted as half-gods. Second, it discusses the therianthropismy as a symbol of a man who loses the faculty of reason and is controlled by instinct. In Chapter III, it discusses the differences of the therianthropismy between Mallarmé and Kim. First, Mallarmé’s therianthropismy appears as an incarnation of love, while Kim’s therianthropismy appears as an incarnation of hate. Second, Mallarmé’s therianthropismy originates from the theme of spirit and body while Kim’s therianthropismy originates from the theme of war and peace. In Chapter IV, it concludes that the therianthropismy represents hypocrisy originating from the duality of the human being as a rational animal.

      • KCI등재

        1960년대 김종삼 메타시와 `참여`의 문제 ― 말라르메와 사르트르의 영향을 중심으로

        홍승진 ( Hong Seung-jin ) 한국비교문학회 2016 比較文學 Vol.0 No.70

        본고는 1960년대 김종삼 시의 특성을 그 이전 시기와 변별하고, 말라르메와 사르트르의 영향 사이에서 메타시 형식으로써 모색한 시적 참여의 문제를 설명하고자 한다. 한편으로 「십이음계의 층층대」의 개작 과정은 사르트르에 관한 김종삼의 관심을 보여주었다. 다른 한편으로 김종삼은 메타시 「앙포르멜」에서 시에 관한 자신의 태도를 말라르메와 사르트르의 병치로써 암시하였다. 이 작품이 말라르메와 사르트르를 동시에 호명한 것은 세계문학사의 중층적 관계망 속에서 시적 참여 문제를 제기한 것으로 해석될 수 있다. 1960년 4월 민주화 혁명과 이듬해 박정희 군사정변 무렵, 김종삼이 발표한 작품들은 당대 역사적 맥락과 알레고리적 관계를 맺고 있다. 이 작품들에서 올페, 즉 오르페우스모티프는 죽은 아이 등의 영혼 기호와 악기 등의 음악 기호가 결합된 것으로서, 역사의 폭력에 의하여 희생된 인간의 영혼과 그에 관한 기억을 불러오는 예술적 실천을 의미한다. 그리고 오르페우스 모티프가 활용된 김종삼의 시편은 자신의 시적 태도를 드러내는 메타시에 속한다고 할 수 있다. 또한 오르페우스가 가져오는 `휴식`은 인공적인폭력의 역사가 정지하고 자연적인 상태의 인간에게 내재해 있는 근원적 사랑이 회복됨을 뜻한다. 이러한 역사적 상황에 대응하여 김종삼은 시의 참여를 고민하였다. 김종삼의 시 「검은 올페」는 사르트르가 프랑스 식민 지배를 받던 알제리 흑인 시인들의 작품에 관하여 쓴 비평 「검은 오르페」와 영향 관계를 갖는다. 사르트르는 『문학이란 무엇인가』에서 시의 참여 불가능성을 주장했으나, 그의 비평 「검은 오르페」에서 자신의 입장을 바꿔 흑인시를 중심으로 시의 참여 가능성을 옹호하였다. 김종삼의 시「검은 올페」는 거울 속 영혼 세계에 대한 오르페우스의 관점을 통하여 아이와 같이 순수한 인간의 죽음을 숨바꼭질 놀이로 형상화했다. 김종삼의 「검은 올페」와 사르트르 비평에서 언급된 흑인시는 모두 아이라는 시적 소재로써 순수한 영혼 회복을 표현하며, 식민 지배 또는 냉전 체제로 인한 서구와 제3세계 사이의 위계를 넘어 진정한 보편성을 추구하였다. 하지만 사르트르가 강조한 흑인시의 자연적 육체성 및 말라르메적 초현실주의와 달리, 김종삼 시는 인간의 영혼에 내재한 사랑과 영원성의 기준을 통해 현실적 삶의 가치를 탐문케 한다. 김종삼 시에서 거울과 음악의 모티프는 말라르메의 메타시에서와 같이 시인 자신의 시론을 드러내는 알레고리다. 말라르메 시론의 초점은 현실적 의미를 탈각하여 사물의 이데아를 포착하는 데 있다. 사르트르의 비평 「말라르메의 참여」는 이러한 말라르메의 순수시론과 `무(無)` 개념에 근거하여 산문과 다른 시 고유의 참여 가능성에 주목하였다. 반면에 김종삼 시에서 시의 비유가 되는 모티프는 인류 역사 전체의 메커니즘을 인간의 폭력적 희생으로 형상화하며, 그 속에서 상실된 인간을 애도하는 시적 참여의 알레고리다. 말라르메와 사르트르가 시와 산문을 철저히 구별했던 것과 달리, 김종삼은 시의 참여에 관한 나름의 모색을 통해 시와 산문의 경계를 넘어서는 형식으로 나아갈 수 있었다. This research interprets the poetic engagement of Kim Jong Sam`s meta-poetry in 1960s, by focusing on the influences of Stephan Mallarme and Jean-Paul Sartre. From Kim Jong Sam`s poem “The Stairs of Twelvenotes Scale”, his concentration on the literary works of Sartre can be distinguished, and his poem “The Informal” can be classified as a meta-poetry since the poem allegorizes his own attitude about writing poetry by juxtaposing Sartre with Mallarme. This juxtaposition can be interpreted as Kim Jong Sam`s inquiring of poetic engagement since Sartre summoned Mallarme`s poetic works with respect to engagement of poetry. Kim Jong Sam`s thinking of poetic engagement in his meta-poetry started during the April democratic revolution and Park Jeong Hee`s military coup in the 1960s by allegorizing the Orpheus motif. This motif combines the signs of innocent soul with the signs of music, indicating that the artistic practice is to remember and recall the human souls who had lost their lives from the violent history. In addition, the Orpheustic symbol of `holiday` implies the standstill of violence in history and the restoration of human beings` inherent of love. Therefore, Kim Jong Sam agonized about the possibility of the poetic engagement, confronting the Korean historical situations. There is a relationship of influence between Kim Jong Sam`s poem, “The Black Orpheus”, and the Sartre`s criticism, “Orphee noir (Black Orpheus)”. In the criticism, Sartre have changed his insistence that poetry is an impossible genre for engagement and advocated the possibility of engagement in Algerian “black poetry”, which expressed the oppression of French colonialism. “The Black Orpheus” written by Kim Jong Sam compared the death of innocent human to hide-and-seek from the perspective of Orpheus in mirror which reflects the sprit world. From the Sartre`s criticism and Kim Jong Sam`s poem, the common theme is the restoration of innocent soul and additionally both pursued the authentic universality, apart from the order of rank between Western and the Third World. However, Kim Jong Sam`s poem interrogated value of life in accordance with inherent love and eternity of human soul unlike Sartre emphasized “black poetry” focusing on erotic corporeality and Mallarme`s surrealistic style. The motifs of mirror and music in Kim Jong Sam`s poetry relates to Mallarme`s meta-poetry. In their poetry, these two motifs are shared allegories that suggest their own attitude about creating poetry. Mallarme`s poetry aspired to grasp an absolute and pure idea, by extricating itself from realistic meaning. Based on Mallarme`s theory of pure poetry and his concept of “nothingness”, Sartre wrote “Engagement of Mallarme”, a critical essay that scrutinized proper possibility of engagement not to prose but to poetry. On the contrary, the motifs in Kim Jong Sam were allegories of poetic engagement that delineates mechanism of whole human history as violent destruction of lives and mourns the lost humanity in the historical mechanism. Consequently, Kim Jong Sam could discover his distinctive method of poetic engagement by mingling features of poetry and prose, unlike Mallarme and Sartre have completely distinguished the two categories.

      • KCI등재

        책을 통한 시인과 화가의 만남 - 말라르메와 마네의 『까마귀』, 『목신의 오후』 공동창작과정과 의미

        도윤정 서울대학교 불어문화권연구소 2016 불어문화권연구 Vol.26 No.-

        Cet article a pour objet de reconstituer le processus de la collaboration entre le poète Mallarmé et le peintre Manet dans Le Corbeau et L’Après-midi d’un Faune et puis de déterminer le sens de leur travail chez les deux artistes, surtout chez Mallarmé. La rencontre entre deux artistes se fonde sur leurs points communs : 1) au niveau de leurs situations artistique et sociale lors de leur premier contact, on peut remarquer qu’ils étaient tous les deux dans une situation difficile à cause de mal compréhensions et de mauvaises réputations, en particulier pour Mallarmé, révolutionnaire mais juste venu de débuter. Mais la confiance en soi ne leur manquaient pas et leur rencontre les aidaient à poursuivre leurs propres recherches artistiques. 2) Au niveau de leurs champs d’intérêts, nous pouvons extraire de leurs mondes artistiques communément le goût pour le vide et l’art extrême-oriental. 3) Au niveau de l’histoire du livre d’artiste, la notion particulière de l’illustration chez Mallarmé, l’illustration comme dialogue avec le texte, non pas sa représentation fidèle, a pu avoir des occasions de se réaliser dans la collaboration avec Manet, peintre indépendant et très original. Dans Le Corbeau, leur premier oeuvre, Manet a conçu des autographies qui accompagnaient le poème en anglais de Poe et en même temps celui en français traduit par Mallarmé. Ses illustrations, influencées par l’art extrême-oriental et par son propre goût pour le vide, exprimaient bien l’ambiance silencieuse, mystérieuse et sinistre du poème en s’écartant du sens littéral de celui-ci. Mallarmé, lui, a agencé le texte et a utilisé la typographie de façon à lui donner le rythme visuo-spatial et, par conséquent, à faire voir les deux textes ou le texte et l’image en même temps à la guise du lecteur. Dans L’Après-midi d’un Faune, cette fois-ci, c’est Mallarmé qui a pris l’initiative. Il est allé plus loin avec son expérience sur l’opération visuo-spatiale du texte. Manet, qui a fait des illustrations de style extrême-oriental une fois encore, a suggéré et réinterprété ce que signifie le texte et n’a pas montré directement le contenu du texte. Par ce travail en commun, Mallarmé a pu continuer à faire des recherches sur l’aspect visuel et spatial du texte pour transformer l’espace du texte en toile d’un tableau. Ce défi va aboutir en avenir au premier recueil de poème typographique, Le Coup de dés, où la typographie, la mise en page, la pagination et l’alternance des caractères romains et italiques remplacent l’illustration. Manet, grâce aux occasions de pratiquer la gravure sur bois, la lithographie, a pu introduire de nouveaux éléments dans ses toiles comme la perspective aérienne, le cadrage décentralisé et l’introduction du vide. Leur collaboration est le début d’un vrai dialogue entre le poète et le peintre dans l’espace du livre. 본 논문은 시인 말라르메와 화가 마네가 『까마귀』와 『목신의 오후』라는 두 권의 책을 통해 협업을 한 과정을 추적하고 두 권의 책을 분석하면서 이 공동창작 활동이 그 두 예술가에게, 특히 말라르메에게 갖는 의의를 밝히고자 한다. 두 예술가의 만남은 그들 사이의 공통점에 기반하였다. 첫째, 만남을 시작할 무렵 말라르메와 마네 모두 독창적인 작품 성향 탓에 게재 및 전시 거부를 당하고 인정을 못 받는 상황에 처해 있었다. 이러한 상황 속에서도 자신의 세계에 대한 확신이 있었고 흔들리지 않았다는 점이 둘 사이를 가깝게 하는 동력이었다. 둘째, 두 예술가는 공통적으로 빔(여백)을 선호하고 동양예술에 대한 관심을 가지고 있었다. 셋째, 빔에 대한 작품 성향과 동양 예술에 대한 취향 덕분에 말라르메는 흑백으로 제작되는 판화와 어울리는 비어 있는 텍스트를 창작할 수 있었고 마네 역시 텍스트에 종속되는 그림이 아니라 텍스트와 동등한 자격으로 책에 삽입될 수 있는 개성 강한 그림을 제작할 수 있었다. 이런 두 사람의 경향은 전문 판화가가 아니라 화가의 삽화를 실은 ‘예술가의 책’이 아직 본격적으로 제작되기 전에 이미 새로운 개념의 삽화책이 탄생될 것을 예고했다. 첫 작품인 『까마귀』에서 포우의 영문시와 그것을 불어로 번역한 말라르메의 산문에 곁들여질 삽화로 마네는 먹과 붓으로 그린 석판화 작품을 제작하였다. 동양 회화와 빔에 대한 각별한 관심이 드러나는 그의 삽화들은 시의 내용을 그대로 재현하는 대신 그것에 해석을 가하며 시의 신비롭고 음울한 분위기에 적절하게 화답한다. 말라르메는 시적 리듬이 느끼지는 텍스트의 공간적 배열, 영문과 불문을 구별하는 로만체와 이탤릭체의 교차 사용, 왼쪽 페이지, 오른쪽 페이지, 낱장 페이지 등 다양한 독서 상황을 제공하는 페이지 구성 등으로 책에 시각, 공간적 리듬감을 부여하였다. 둘째 작품인 『목신의 오후』에서는 말라르메가 좀 더 주도적으로 시각, 공간적 실험을 시도하였는데, 독자의 시선에 자유로움을, 독서 행위에 상상의 시간을 부여하는 계단식 텍스트 배열, 목신의 독백과 이야기라는 텍스트의 의미상 두 차원을 시각적으로 표현한 로만체와 이탤릭체의 활용 등을 통해서이다. 한편, 『까마귀』처럼 이 작품도 고급책으로 제작되었으나 그보다 판형이 축소돼 마네의 목판화도 크기가 작아졌으며 텍스트 중간에 삽입되는 대신 텍스트 앞과 뒤에 실려 비중이 줄어들었다. 그러나 마네의 삽화는 여전히 텍스트와 거리를 두면서 그것과 대화하는 방식으로 제작되었고 일본 판화처럼 울림의 공간을 제공하였다. 이들의 공동창작은 책이라는 공간 속에서 이루어진 시인과 화가의 진정한 대화의 시작이었다. 그 과정 속에서 말라르메는 최초의 타이포그래피 시집 『주사위 던지기』를 탄생시킬 텍스트의 시각, 공간적 차원에 관한 탐구의 바탕을 마련하였다. 마네는 다양한 판화 제작 실험을 하면서 빔의 도입과 중앙을 벗어난 프레임 워크, 공중 원근법 등 서양 회화의 흐름에 혁신을 가져올 시도를 할 수 있었다.

      • KCI등재

        『중론』 제5장 제6게송으로 읽는 말라르메의 「에로디아드의 결혼」 개작 동기

        장정아(Jang, Jung-A) 부산대학교 인문학연구소 2018 코기토 Vol.- No.84

        프랑스의 시인 말라르메는 1897년 「주사위 던지기」를 통해 가장 완전한 시적 현대성 가운데 하나를 성취한 뒤, 35년 전에 시작한 「에로디아드」의 개작 완성에 1년 정도의 여생을 보낸다. 미완으로 남게된 그 새로운 「에로디아드」의 새 제목은 「에로디아드의 결혼」이다. 본고는 「주사위 던지기」를 지나 「에로디아드의 결혼」을 완성해야 했던 이유, 그리고 「에로디아드」가 「에로디아드의 결혼」으로 개작되어야 했던 이유를 고찰함으로써, 「에로디아드의 결혼」이 아우르고자 했던 시인 말라르메의 시 세계를 가늠하는 데 목적이 있다. 『중론』제5장 제6게송이 말라르메시 세계의 비교항으로서 작용할 것이다. 말라르메는 일찌감치 형이상학을 떠났으므로, 그의 절대 추구는 실체적일 수가 없었고, 그리하여 그의 절대는 일종의 불이(不二)로 표현될 수밖에 없었으며, 그러한 말라르메의 시적 궁극은 불교의 무아(無我) 및 무아에 이른 정각자(正覺者)의 있는 그대로의 세계의 수용과 비견될 수 있는 것이다. 이와 같은 말라르메의 시 세계를 불교, 특히 『중론』및 『금강경』을 통해 읽는 본고는 「주사위 던지기」가 ‘순수 개념에 이른 감성의 세계 인식’을 성취해낸 데 비해, 「에로디아드의 결혼」은 ‘순수 개념에 이른 감성의 자기 인식’을 주조함으로써, 말라르메의 궁극 ‘순수 개념에 이른 감성에 대한 인식’을 완수하고자 하였음을 드러내게 될 것이다. Un Coup de Dés(1897), this poem is one of the most example of accomplishment of the poetic modernity. After this poem, Mallarmé, the poet of that poem, tried to complete Hérodiade in his last times. And the poem Hérodiade is newly composed as Les Noces d’Hérodiade that is leaved as un unfinished work. This article is focused on the change from Hérodiade to Les Noces d’Hérodiade. Because there will be the intention of Mallarmé to embrace his works in the adaptation after the poem Un Coup de Dés. This article reads therefore the adaptation motive of Les Noces d’Hérodiade in 5-6 gatha of Nāgārjuna’s Mādhyamakaśāstra. Because the poetic end of Mallarmé is called a certain absolute, and the pursuit of Mallarmé is out of the metaphysics, so it is possible to compare the Mallarmé’s world with the Buddhist epistemology. As a result, after the poem Un Coup de Dés that expresses the recognition of the world by the sensibility that arrives at the Pure Conception, Les Noces d’Hérodiade should express the self recognition by the sensibility that arrives at the Pure Conception, for completing the poetic purpose, the recognition of the sensibility that arrives at the Pure Conception. So the marriage of Hérodiade, i. e. marriage with the death of the self, it is a must of the completion of Mallarmé’s pursuit. It is also inevitable to change from Hérodiade to Les Noces d’Hérodiade. And it is also necessary to complete Les Noces d’Hérodiade after Un Coup de Dés. The Diamond Sutra and Nāgārjuna’s Mādhyamakaśāstra help us to read Les Noces d’Hérodiade in this manner by showing the recognition of the nirvana after the nirvana.

      • KCI등재

        말라르메의 「에로디아드의 결혼」으로 읽는 「목신의 오후」

        장정아 한국프랑스학회 2020 한국프랑스학논집 Vol.111 No.-

        말라르메의 「목신의 오후」(L'Après-midi d'un faune)는 「에로디아드」(Hérodiade)로 고갈된 자신을 북돋우기 위한 작품이었다. 창백한 ‘에로디아드’의 「에로디아드」에 지친 겨울날을 보내면, 한낮의 열정을 지닌 ‘목신’의 「목신의 오후」에 시인의 여름은 할애된 것이다. 그리하여 겨울, 빙하, 고독, 순수의 흰빛이 에로디아드와 연결되는 만큼, 여름, 한낮, 사랑, 열정의 붉은빛이 목신과 연결되는 것이 일견 자연스러워 보이기도 한다. 그렇지만, 「목신의 오후」의 목신과 「에로디아드」의 에로디아드는 말라르메의 시 세계에서 오히려 공통되는 지점에 서 있다. 목신과 에로디아드는 말라르메의 시적 궁극을 구현하는 인물로 자리하고 있는 것이다. 이에 본고는 「목신의 오후」의 목신이 말라르메의 시 세계에서 「에로디아드」의 에로디아드와 다르지 않은 위치를 차지하고 있음을 「에로디아드」와의 비교를 통해서 드러낼 것이다(「에로디아드의 결혼」은 「에로디아드」의 수정된 제목이다). 이렇게 「에로디아드」를 통해 「목신의 오후」를 읽으며, 목신을 에로디아드와 비교함으로써 그 성격을 드러내는 것은 「에로디아드」와 「목신의 오후」의 창작 시기가 그 출발지점에서 겹치면서 각각 시인의 겨울과 여름의 시작(詩作)의 대상이었기 때문만은 아니다. 「에로디아드」는 그 창작 시기가 35년에 걸쳐져있으면서 시인의 시 세계, 그 처음과 끝을 장식하는 작품이면서, 그 어떤 작품보다도 말라르메의 시 세계를 종합적으로 보여줄 수 있는 작품이기 때문이다. 「에로디아드」 작품명이 처음 등장한 것은 1865년의 편지글에서이며(Corr220, 253), 말라르메에게 있어서 결정적인 순간, 즉 “네앙”의 발견도 이 시를 쓰다가 마주한 것이었으며(Corr297), 「주사위 던지기」 발표 이후, 시인이 몰두한 작품이 「에로디아드」였으며, 심지어 1898년 9월 8일에까지도 그 완성을 운명에게 바란 작품이 이 작품이다(“Hérodiade terminé s’il plaît au sort” Corr642). 이러한 「에로디아드」와 에로디아드로 「목신의 오후」와 목신을 읽음으로써, 본고는 두 작품에서 공통적으로 발견할 수 있는 말라르메의 시적 궁극에 대한 표현을 드러낼 것이며, 그럼에도 두 작품을 겨울의 냉기와 여름의 열기를 대표하는 것으로 볼 수 있는 이유에 대해 진단해보고자 한다. 이와 같은 본고의 「목신의 오후」 읽기는, 그 시적 효과에 대한 읽기가 아닌, 한편의 “정신의 연극”으로서 무대 위에서 전개되는 이야기를 -이해가능한 대상으로- 펼쳐놓는 독서에 치중될 것이다. Cette étude a pour l'objet de lire L'Après-midi d'un faune de Mallarmé dans Les Noces d'Hérodiade de Mallarmé. L'Après-midi d'un faune et Les Noces d'Hérodiade, ces deux oeuvres font Mallarmé 'un saisonnier'. Il a dit : “J’ai laissé Hérodiade pour les cruels hivers [...] cette oeuvre solitaire m’avait stérilisé, et, dans l’intervalle, je rime un intermède héroïque, dont le héros est un Faune.” On dit alors que L'Après-midi d'un faune est un contrepoint de Les Noces d'Hérodiade. Par exemple, le Faune se présente comme personnage qui incarne une caractéristique érotique, i. e. une couleur rouge, tandis qu'Hérodiade comme personnage qui incarne une caractéristique solitaire, i. e. une couleur blanche. Mais cette lecture va révéler que le Faune comme Hérodiade est un personnage qui tente d'arriver à un but poétique de Mallarmé, c'est-à-dire 'une reconnaissance de la sensibilité qui parvient à une Conception Pure'. Après le "Néant", l'oeuvre de Mallarmé doit se composer d'‘image du développement absolument nécessaire pour que l'Univers retrouve, en le poëte, son identité.' L'état spirituel de cet Univers s'identifie, selon Mallarmé, non seulement à une Conception Pure à laquelle il est arrivé par une sensibilité, mais également à la mort personnelle et spirituelle. La réalisation de but chez Mallarmé est absolument impossible. Mais dans la poésie, l'impossibilité de coexistence de l'être et de le non-être peut être surpassée. Et le poème L'Après-midi d'un faune, comme Les Noces d'Hérodiade, est un lieu fictif où les hymens du Faune ou les noces d'Hérodiade avec leur propre mort se réalisent. Mais dans l'oeuvre Les Noces d'Hérodiade, les images sont cristallisées dans les mots par lesquels Mallarmé a rencontré le vide, le Néant, dans l'oeuvre L'Après-midi d'un faune, les images sont diffusées à travers les longues histoires par le Faune. Ce que l'oeuvre L'Après-midi d'un faune a consolé le poète, cela tient à la puissance de raconter.

      • KCI등재

        말라르메 시의 창문 이미지 연구

        도윤정 경희대학교(국제캠퍼스) 비교문화연구소 2020 比較文化硏究 Vol.60 No.-

        The purpose of this paper was to verify and rediscover Mallarmé's poetic world by analyzing various images of windows in Mallarmé's poetry. The images of windows in Mallarmé’s poetry can be extracted from multiple pieces, but among them, "Le pitre châtié", "Don du poème", "Sainte", "Une dentelle s'abolit ...", "Ses purs ongles...", "Les Fenêtres", were analyzed. The window in the poetry of Mallarmé was an escape from the confined space, a projection screen that illuminates the light and shape of indoors and outdoors, as well as the base of the painting, and an open space that reveals the empty space open to another world. It was also a passage to communicate with the outside world. Additionally, it was a magical space that provided the lyric subject standing in front of the window a moment to transform. It was an obstacle that bounds this world (“Ici-bas”) and the ideal world (“Au-delà”), but it was also the art itself which was the means of escape and a shelter from this life. Mallarmé’s windows were diverse and in some cases they were opposite each other, which gives Mallarmé’s poetry dynamism. The confirmed and newly discovered points by this analysis are as follow. First, in the poetic situation surrounding the windows of Mallarmé's early poetry, influenced by Baudelaire, the difference with Baudelaire was clear. Second, the world of Mallarmé's poetry focuses on the act of writing and the salvation by it, and comprises the meta-poetry, embodying the act of creation and the work created itself in an allegory. Third, the drama of aspiring to the ideal world with a window motif and devotion to art is mainly focused on evening, night, and dawn. Finally, the window motif and the form of poetry are deeply connected. 본 논문의 목적은 말라르메(Mallarmé) 시 속의 다양한 창문 이미지를 분석함으로써 말라르메의 시 세계를 확인하고 새롭게 발견하는 것이다. 말라르메 시 속창문 이미지는 여러 시편에서 추출할 수 있는데 그 중에서 창문이 주요하게 등장하는 「벌 받은 어릿광대(Le pitre châtié)」, 「헌시(Don du poème)」, 「성녀(Sainte)」, 「레이스가 한겹 사라진다...(Une dentelle s’abolit...)」, 「제 순결한 손톱들이...(Ses purs ongles...」, 「창문(Les Fenêtres)」을 분석대상으로 삼았다. 말라르메 시 속의 창은 갇힌 공간을 벗어날 수 있는 탈출구이기도 하였고 실내와 실외의 빛과 형상을 비추는 영사막이자 그림의 바탕면이기도 하였으며 다른 세계로 열려 있는 텅 빈 공간을 슬쩍 보여주는 뚫린 공간이자 그 바깥과 교신하는 통로이기도 하였다. 이밖에 창 앞에 선 주체에게 변신의 기회를 선사하는 마법의 공간이기도 하였고 이생(Ici-bas)과 저생(Au-delà)을 경계 짓는 장애물이기도 하였지만 이생으로부터 피신하는 피신처이자 그 피신의 수단인 예술자체이기도 하였다. 말라르메의 창문은 이렇게 다채로우면서 그것들끼리 겹치고 연결되며 때로는 길항하기도 하여 그의 시에 역동성을 부여하였다. 이 분석을 통해 확인하고 새롭게 발견한 점은 다음과 같다. 첫째, 보들레르의영향을 받은 말라르메의 초기 시들에서도 창을 둘러싼 시적 정황에서는 보들레르와의 차이가 뚜렷하다는 점이다. 둘째, 말라르메의 시 세계는 글쓰는 행위와그를 통한 구원에 초점이 맞춰져 있고, 주로 창작 행위와 창작품 자체를 알레고리로 형상화한 메타시(méta-poésie)로 이루어져 있다는 점이다. 셋째, 창을 모티프로 한 이상향(azur)을 향한 열망과 예술에의 몰두의 드라마는 주로 저녁과밤, 새벽 시간대에 집중되어 있다는 점이다. 마지막으로, 창문 모티프와 시 형식이 깊이 연결되어 있다는 점이다.

      • KCI등재

        유식불교로 읽는 말라르메 : 라깡의 "상징계"에 대한 번역가능성과 탈경계의 생태성

        장정아 ( Jung-a Jang ) 동아시아불교문화학회 2016 동아시아불교문화 Vol.0 No.26

        말라르메와 불교, 라깡의 세계 인식은 모두 빈 언어, 즉 대상과의 관계에서 탈동기화된 언어에 기초해있다. 말라르메에게는 언어가 실체로서의 지시대 상을 가지고 있는 것이 아니라는 자각의 경험이 있고, 그러한 빈 언어는 곧 시인의 시적 궁극이 된다. 그리고 유식불교의 변계소집이 빈 언어임을 모르고 그 대상을 실체화하여 생겨나는 것이고, 그 비실체적인 의타기를 여실히 보면 그것 그대로가 무아와 공으로 표현되는 원성실성이므로, 말라르메와 불 교는 비교가능한 위치에 있게 되는 것이다. 그리고 이와 같은 말라르메와 불 교의 언어관은 라깡의 상징계로 연결되어, 말라르메와 불교의 궁극이 라깡의 상징계에 대한 번역가능성으로 작용할 수 있다. 즉, 라깡의 상징계에서 주체 는 존재로서가 아니라 의미로서만 탄생하는데, 그 이유가 바로 빈 언어에 있어, 언어에는 어떠한 존재도 담겨질 수 없는 것이다. 그리고 언어에 담겨지지 않는 존재가 바로 실재계의 것으로서, 결국 실재계는 언어로서 표현되지 않는다. 다시 말해 상징계에서 주체는 자기 존재로부터 ‘소외’되어 있어, 실재계를 향한 무의식적인 욕망의 주체로 탄생하고, 그것은 언어의 재현이 실체로 서의 긍정적 대상과 무관한 것에서 기인하는데, 라깡의 주체 구성에 있어 탈 소외화 과정인 ‘분리’를 말라르메와 유식에 기초하여 재조명함으로써 상징계 와 실재계의 상호긍정의 ‘원융’을 드러내는 것, 이것이 본 논문의 방향이 되는 것이다. 이때, 언어의 한계, 언어에 의한 분별의 경계, 즉 나와 너의 경계를 넘어서는 탈경계의 생태 하나도 본 논문을 통해 전개될 수 있을 것이다. The consciousness of the world in Mallarme, Buddhism, Lacan is based on the empty word, the immotivated word, i. e, the word of the arbitrary relation with the referent. The Neant of Mallarme, the parikalpita-svabhava of the Vijnaptimatra, the Symbolic of Lacan are the expressions of the immotivated word concluding the consciousness the limit or the world of the languages. This world of the word is the obstacle of the reach to the real, for example, the alienation of Lacan is the result of this characters of these words. And the alienation is inevitable. But the aims of Mallarme and the Buddhism in the poetic and religious horizon can show the possibility of the emancipation of the alienation. The seperation in the world of Lacan is called the attempt for seeking the freedom from the alienation. This article will be therefore the one of the reading of the seperation of Lacan as a sort of the epistemological transition for receiving the Symbolic as it is with the Rien of Mallarme and the Buddhism, especially the tri-svabhava(parikalpita-svabhava, paratantra-svabhava, parinispanna-svabhava) and the transition of the Vijnaptimatra. As a result of this reading, We can accept the Symbolic as a perfect world of the words and the Real as a perfect world of the beings in the universe of Lacan.

      • KCI등재

        이데아로서의 ‘꽃’ 그리고 ‘책’-김춘수 시론에서의 말라르메 시론의 전유-

        오주리(Oh, Ju-Ri) 우리문학회 2020 우리文學硏究 Vol.0 No.67

        이 논문 「이데아로서의 ‘꽃’ 그리고 ‘책’ - 김춘수 시론에서의 말라르메 시론의 전유」는 김춘수 시론의 프랑스 상징주의 시론의 전유 양상에 관한 연구의 첫 단계로 시도되었다. 이 연구는 프랑스 상징주의 시인들 가운데서도 김춘수가 자신의 시론에서 가장 많이 언급하였으며, 김춘수의 대표작 ‘꽃’ 시편들에 가장 결정적인 영향을 미친 말라르메를 중심으로 다루었다. 특히, 이 논문은 김춘수의 시론에 인용된 말라르메 시론의 프랑스어 원문과의 대질을 통해 오류를 정정하였다. 이 논문은 김춘수가 자신을 상징주의자이자 플라톤주의자로 자칭한 것을 근거로 삼아, 플라톤주의로서의 프랑스 상징주의라는 관점으로 논의되었다. 그리하여 이 논문은 플라톤의 『국가론』을 통하여 이데아라는 핵심 개념이 존재의 본모습이자 인간의 이성에 의해서만 알 수 있는 영원불변의 존재의 진리임을 기본 입장으로 세웠다. 그 결과 말라르메의 시론 「시의 위기」를 통해 김춘수의 대표작인 ‘꽃’의 시편들의 정체가 ‘순수 관념’으로 구현된 ‘순수시’의 상징으로서의 ‘이데아로서의 꽃’임이 재확인되었다. 나아가 말라르메가 생에 대한 허무를 극복하는 과정에서 궁극의 이데아로서의 ‘한 권의 책’을 추구하게 된다는 것을 말라르메의 시론 「책, 영혼의 악기」를 통해 알 수 있었다. 이 ‘한 권의 책’은 시인이 우주 전체의 진리를 담는 궁극의 책으로 시도되었으나, 그 정점에서 결국 우연을 배제할 수 없다는 결론을 얻게 된다. 김춘수의 시 세계 전체 역시 이데아로서의 꽃으로부터 시작하여 그 궁극에서 이데아로서의 책을 추구하는 위대한 도정이었다고 할 수 있다. This thesis was undertaken as the first step in the study on the appropriation of the poetics of French symbolism in Chun-Su Kim’s poetics. I focused on Mallarmé’s poetics because he had the most decisive influence on Chun-su Kim’s masterpiece, “Flower.” In particular, I corrected an error of Kim’s through a confrontation with Mallarmé’s original text in French and Chun-Su Kim’s references in Korean. This thesis was discussed from the perspective of French symbolism as a form of Platonism. According to Plato’s Politeia, the concept of the ‘idea’ contains the original shape and eternal truth of being, which can only be known through the faculty of human reason. As a result of this examination, it was reconfirmed that the true meaning of Chun-su Kim’s “Flower” was that of ‘the flower as idea’, an embodiment of ‘pure notion’ through Mallarmé’s text, “The Crisis of Poetry.” Furthermore, it was found out that in the process of overcoming the sense of the emptiness in life which Mallarmé felt he pursued ‘the Book’ as an ultimate idea through his text, “The Book, Spiritual Instrument.” ‘The Book’ was attempted for the purpose of encompassing the truth of the entire universe. Eventually, however, it was determined that coincidence cannot be ruled out either. It can therefore be asserted that Chun-su Kim’s complete poetic works present a great way of completing the book as an ultimate idea, starting with the flower as idea.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