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개발지역 마을 소멸 상황에 대한 민속학적 대응

        배영동(Bae Young-Dong) 한국민속학회 2011 韓國民俗學 Vol.53 No.-

        전국적으로 개발지역에 포함되어 사라지는 마을이 늘어나고 있다. 소멸 예정 마을 주민들의 생활에 대하여 문자기록, 사진, 영상, 녹음 등의 매체로 보존하면, 그들의 생활사가 될 뿐만 아니라 실향에 처한 사람들에게 최소한의 위로도 될 것이다. 따라서 개발지역에 편입되어 사라지는 마을에 대한 조사는 이 시대 민속학의 중요한 임무이다. 개발지역 마을민속 조사는 적어도 전통성을 일정하게 간직한 근대, 산업화에 따라서 급속히 변한 현대로 나누어서 진행해야 바람직하다. 조사과정에서는 기본적으로 마을 주민들의 생활에 대한 총체적 이해를 도모할 수 있도록, 그리고 마을의 사회ㆍ문화적 개성이 드러나도록 해야 할 것이다. 아울러 개발지역으로 예고되었을 때, 주민들이 그에 대해 어떻게 대응하고 수용하며, 향후 생활에 대한 설계를 어떻게 하는지에 대하여 ‘주민들의 관점’에서 조사ㆍ기록해야 개발지역 마을 민속지(ethnography)로서 당위성이 인정된다. 하지만 개발 예정 지역 마을조사는 문화재 보호나 조사에 관한 법령에서 명확하게 규정되지 않았기 때문에 현실적으로는 법적 의무사항이 아니다. 따라서 전면 개정되어 2011년 2월 5일부터 시행된 문화재보호법에서 규정한 문화재 기초조사 조항을 정비하고, 이에 관한 시행령, 시행규칙을 정밀하게 마련하여 개발지역 마을조사가 이루어지도록 할 필요가 있다. 또한 마을민속 조사 전문인력을 양성하는 일, 마을조사 품셈을 마련하는 일, 마을조사 전문기관을 발족시키는 작업을 병행할 때 개발 예정지역 마을조사가 실효성 있게 추진될 것이다. All across the country, more and more villages are included into developing areas and cease to exist. If the lives of the residents in such villages on the brink of extinction are preserved through media such as literary writings, photographs, movies, and recordings, they will not only become the living history but gain sympathy for losing their hometowns. Therefore, the investigation of villages that are included into developing areas and on the verge of extinction is an important task of folklore in this age. When examining the folklore of the villages in developing areas, it is advisable to divide the time span into two : the premodern age that remained invariably traditional, and the modern age that bas rapidly been changed as a result of industrialization. 1he examination must help to understand the villagers’ lives completely, and reveal their sociocultural characteristics. Also, when villages are announced to be developed, researchers in folklore should investigate and record how the residents respond to and accept the announcement, and how they plan on continuing their lives after leaving their original hometowns. Only then is the journal to be accepted as an ethnography of villages in developing areas. However, as an investigation of villages proposed to be developed is not identified in the acts of the protection and investigation of cultural assets, essentially such an investigation is not legally recognized. Accordingly, the completely revised art of the protection of cultural assets that is enforced as of February 5th, 2011 should have its clause of basic investigation modified, and prepare a precise enforcing order and regulation of the clause. At the same time, professional human powers fur the investigation of village folklore should he trained, the cost of the investigation of village folklore should he estimated, and an organization fully in charge of the investigation of village folklore should be established. With the administration of these recommendations, the folklore investigation of villages to be developed will he effectively promoted.

      • KCI등재

        재난안전마을 구축을 위한 의식조사 연구

        구원회,백민호 한국재난정보학회 2018 한국재난정보학회 논문집 Vol.14 No.3

        연구목적 : 본 연구는 유사 유형의 재난으로 반복적인 피해가 발생하는 농촌지역에 재난안 전마을을 구축하기 위해 전문가 및 지방자치단체 재난안전 담당자 의식조사를 통해 구축방 향을 검토하고자 함이다. 연구방법 : 본 연구를 수행하기 위해 농촌지역의 재난 위험성을 살펴보고 마을단위의 대책 중 면단위의 대책인 재난안전마을에 대한 개념 및 특성을 검토하였다. 또한 지방자치단체 담당자를 대상으로 의견조사와 재난안전 및 마을만들기 전문가를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 시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농촌지역 특성에 맞는 재난안전마을 구축 방향을 검토하였다. 연구결과 : 본 연구의 결과에서 지방자치단체 담당자 의견을 살펴보면 농촌지역은 폭설, 태 풍, 호우 등의 풍수해와 산불에 의한 위험성이 높다고 응답하였고 농민의 주 업무로 인해 재난관리활동의 자발적인 참여가 어렵다고 응답하였다. 향후 개선대책에는 농촌지역 주민 의 지원 및 참여가 적극적으로 이루어져야 한다고 응답했다. 전문가의 의견을 살펴보면 재 난안전마을 사업의 문제점은 단발성 공모사업 위주로 사업이 지속성이 떨어진다는 의견이 가장 높았으며 애로사항은 중앙, 지자체, 주민의 연계성이 부족하다고 응답하였다. 또한 적 절한 예산확보방안은 정부, 지자체, 주민이 함께 추진해야한다고 응답하였으며 사업추진체 계 방향은 중앙정부, 지자체, 주민이 함께 추진해야한다고 응답하였다. 결론 : 본 연구에 대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재난유형 및 특성을 고려한 재난안전마을 이 구축되어야 한다. 둘째, 농촌지역 재난안전마을 구축 및 운영 시 중앙정부뿐만 아니라 지방정부, 마을 조성 기금까지 활용할 수 있는 예산확보 방안이 마련되어야 한다. 셋째, 농 촌지역 재난안전마을 구축 후 지속적으로 운영 및 관리를 위해 재공인제도 등 장기적으로 활용할 수 있는 방안이 마련되어야 한다. 넷째, 농촌지역 주민이 재난안전마을 구축을 위한 활동에 적극적으로 참여할 수 있는 세부적인 대책이 마련되어야 한다.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directions for establishing a disaster safety village in rural areas where damage from a similar type of disaster occurs repeatedly by conducting the consciousness survey targeting at experts and disaster safety officials in a local government. Method: The risks of disaster in rural areas were examined and the concept and characteristics of disaster safety village which is a measure on the basis of Myeon (township) among the measures of village unit were examined in order to carry out this study. In addition, opinion polling targeting at officials-in-charge in the local government and survey targeting at experts in disaster safety and building village were conducted. Based on the findings, the directions for establishing a disaster safety village that fitted the characteristics of rural areas were examined. Result: The officials-in-charge in the local government answered that rural areas have a high risk of storm and flood such as heavy snowing, typhoon, drought, and heavy rain as well as forest fire, and it is difficult to draw voluntary participation of farmers for disaster management activities due to their main duties. They also replied that active support and participation of residents in rural areas are necessary for future improvement measures. The experts mostly replied that the problem of disaster safety village project is a temporary project which has low sustainability, and the lack of connections between the central government, local governments and residents was stressed out as the difficulties. They said that measures to secure the budget and the directions of project promotion system should be promoted by the central government, local governments and residents together. Conclusion: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a disaster safety village should be established in consideration of the disaster types and characteristics. Second, measures to secure the budget for utilizing the central government fund as well as local government fund and village development fund should be prepared when establishing and operating a disaster safety village in rural areas. Third, measures to utilize a disaster safety village in rural areas for a long period of time such as the re-authorization system should be prepared in order to continuously operate and manage such villages after its establishment. Fourth, detailed measures that allow residents of rural areas to positively participate in the activities for establishing a disaster safety village in rural areas should be prepared.

      • KCI등재

        마을 조사와 연구에 대한 비판적 성찰

        김창민(Kim Chang-Min) 한국민속학회 2008 韓國民俗學 Vol.47 No.-

        이 연구는 지금까지 이루어진 한국의 마을 조사ㆍ연구를 비판적으로 성찰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하여 마을 연구를 두 가지 축에 의해 유형화 하였다. 하나는 마을의 조사ㆍ연구의 목적을 자료 수집인가 아니면 연구인가에 의한 것이며, 다른 하나는 마을을 연구의 대상으로 인식할 것인가 아니면 관점으로 인식할 것인가이다. 이 분류체계에 의하면 지금까지 민속학 분야에서 행한 대부분의 마을 조사ㆍ연구는 마을을 조사의 대상으로 인식함으로써 자료 수집을 목적으로 하는 유형에 속한다고 할 수 있다. 지금까지의 마을 조사 연구는 마을을 연구의 대상으로 인식하고, 문화 또는 민속의 항목 중심으로 내용을 구성하였고, 단기 방문을 통한 인터뷰를 가장 중요한 자료 수집방법으로 사용하였다고 할 수 있다. 이는 마을 연구가 마을을 연구의 대상으로 인식하고 있고 동시에 자료 수집을 가장 일차적인 목적으로 삼고 있다는 것과 무관하지 않다. 이런 방식의 조사 연구로는 학문적 논의의 장을 열기 어렵다. 단순 자료 수집으로는 마을의 정체성 논의나 마을에 대한 체계적 분석을 시도 할 수 없기 때문이다. 따라서 마을을 연구의 지점으로 인식함으로써 마을에서 수집된 자료를 보다 일반적인 주제의 논의로 확장시킬 것과 마을 연구의 내용을 체계론적 관점에서 통합적으로 구성할 것, 그리고 장기적 참여관찰과 심층적 문헌 분석을 통한 자료수집 방법의 보완을 제시하였다. 이렇게 하는 것이 마을 연구를 보다 체계적으로 하는 방안이라고 생각하기 때문이다. This study aims to review Korean village studies. For this purpose, I devide Korean village studies into four types. These types are 1) village regarded as object of study-key purpose as data collecting, 2) village regarded as object of study-key purpose as research, 3) village regarded as locus of study-key purpose as data collecting, 4) village regarded as locus of study-key purpose as research. As a result, from now most Korean village studies are village regarded as object of study and key purpose as data collecting types. These type of studies are consist of many cultural items and the contents of these cultural items are very similar between villages. And these studies get methodology of short term visiting and interview. So, the data get lost contextual meaning. I would like to propose an alternative ideas to village studies. I propose that Korean village studies regard village as locus of studies and systematically analyse cultural items in there context. And I propose a methodology of long term participant observation. In this case, Korean village will be more systematically studied.

      • 농촌마을 현장조사를 통한 정주여건 특성 분석

        구희동 ( Hee-dong Koo ),배승종 ( Seung-jong Bae ),임혜지 ( Hye-ji Lim ),김대식 ( Dae-sik Kim ) 한국농공학회 2016 한국농공학회 학술대회초록집 Vol.2016 No.-

        1960년대 이후 농촌지역의 인구가 지속적으로 감소되어 활성화를 위한 개발정책과 사업을 다양하게 추진하여 왔으며, 정책적 활용을 위해 다양한 지표들이 개발되고 각종 개발 사업에 활용되어 왔다. 그러나 많은 지표 개발 연구는 대부분 시군 혹은 읍면단위의 진단평가이며, 일부 마을단위 진단연구는 사업대상지 또는 과소마을을 대상으로 하여 전국 농촌마을 정주여건 진단에 활용하기 어려운 실정이다. 이에 농촌진흥청(2016)은 농촌마을 단위의 정주여건 진단을 위한 진단지표 개발 연구를 수행하고 있는 상황이다. 농촌지역 개발정책에 활용성을 높이고 정주여건의 진단·관리체계의 고도화를 위해서는 진단지표의 현장적용을 통하여 개발된 지표의 타당성을 검토할 필요가 있다. 정주여건 진단지표의 경우, 해당 농촌마을의 정주여건 실태 파악 및 개선방안을 수립할 경우뿐만 아니라 지역개발사업 후의 정주여건 변화 모니터링을 통해 정책사업의 효과를 파악할 경우에도 필요한 사항이다. 또한 정주여건의 진단은 농촌 지역개발 사업의 선행지표이면서 동시에 개발결과의 효과의 판단 및 새로운 사업의 투자를 결정하는 기준이 되므로 이러한 과정에 적합한 단계별 조사 방법, 조사 시기 및 주기, 조사마을 선정방안 등의 진단체계가 필요한 실정이다. 본 연구에서는 농촌진흥청(2016)에서 개발한 정주여건 진단지표를 30개 표본 농촌마을에서 현장조사를 시행하고 마을별 정주여건 특성을 분석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농촌진흥청에서 개발하고 있는 정주여건 진단지표의 심층분석을 통해 각 지표별로 정성적 및 정량적으로 계량화하여 각 지표의 항목을 조사할 수 있는 표준화된 자료 수집 방법론을 정립하였으며, 진단지표별로 공간단위 및 자료출처 단위로 분류하고 공공 빅데이터를 활용하여 획득가능한 지표와 1차적인 가공을 통해 획득가능한 지표, 현장조사가 필수적인 지표 등 3종류로 진단지표를 분류하였다. 또한 현장조사를 통해 획득한 자료를 바탕으로 농촌마을 유형별 정주여건 특성을 분석하였다.

      • KCI등재

        전라북도 농촌마을 의식 조사 및 과소화 정책지도 구축

        임승현(Lim, Seung Hyeon),이근상(Lee, Geun Sang) 한국지적학회 2021 한국지적학회지 Vol.37 No.2

        최근 농촌지역은 인구유출과 고령화로 인해 농촌과소화 문제가 심각한 수준이며, 이를 개선하기 위한 국가 차원의 정책사업들이 많이 추진되고 있다. 그러나 사업 추진의 기준이 되는 농촌마을 경계가 정확하게 설정되어 있지 않아 정책수립 및 기초통계 작성에 많은 어려움을 겪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전라북도 담당 공무원과 마을 이장들을 중심으로 조사체계를 구성하여 마을지도를 제작하였다. 또한 농촌 고령화, 농촌소멸 가능성, 마을 공동체 의식 그리고 경제수준 등과 같은 항목을 선정하여 농촌문제를 진단하기 위한 의식조사 설문을 실시하였다. 설문조사 결과, 농촌마을의 인구감소와 고령화 부분은 대부분 인정하였으나 농촌마을이 소멸될 것이라는 부분에는 동의하지 않았다. 따라서 향후 주민 간 교류를 확대하는 정책지원 및 농촌마을 경제 활성화를 위한 다양한 사업을 지속적으로 추진할 경우 과소화로 인한 마을소멸 문제를 효과적으로 극복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되었다. 또한 통계청에서 5년 단위로 실시하는 인구센서스 조사자료를 마을지도와 연계하여 마을별 다양한 기초통계를 분석하였으며, 인구, 거주가구, 고령자 변화율을 평가하여 농촌마을 과소화 위험등급과 한계마을 특성을 분석하였다. 과소화 위험등급 중 ‘심각’은 고창군, 김제시, 진안군, 정읍시 순으로 분석되었으며, ‘경계’는 고창군, 김제시, 진안군, 부안군 순으로 분석되었다. 또한 한계마을은 전라북도 전체마을 중 4.6%로 나타났으며, 준한계마을은 3.5%로 나타났다. 본 연구에서 제시한 과소화 위험등급 및 한계마을 분석 결과는 향후 전라북도 농촌마을 활성화를 위한 정책 수립시 중요한 의사결정자료로 활용이 가능하리라 판단된다. Recently, in rural areas, the problem of rural depopulation is serious due to population outflow and aging, and a number of national policy projects are being promoted to improve this. However, there are many difficulties in establishing policies and preparing basic statistics because the boundaries of rural villages, which are the basis for project promotion, are not accurately set. In this study, a village map was produced by constructing a survey system centering on the civil servants in charge of Jeollabuk-do and village heads. In addition, a questionnaire survey of consciousness was conducted to diagnose rural problems by selecting items such as rural aging, possibility of rural extinction, village community consciousness, and economic level. As a result of the survey, most of the rural residents admitted to the declining population and aging of the village, but disagreeing with the fact that the rural village will be destroyed. Therefore, it was judged that the problem of village extinction due to depopulation could be effectively overcome if various projects for policy support to expand exchanges between residents and revitalization of rural village economy are continuously promoted. In addition, various basic statistics for each village were analyzed by linking the population census survey data conducted by the National Statistical Office every five years with the village map. And, by evaluating the rate of change of the population, residential households, and the elderly, the risk rating of rural depopulation and marginal village were analyzed. Among the risk rating of rural depopulation, “Severe rate” was analyzed in the order of Gochang-gun, Gimje-si, Jinan-gun, and Jeongeup-si, and “Alert rate” was analyzed in the order of Gochang-gun, Gimje-si, Jinan-gun, and Buan-gun. In addition, marginal village accounted for 4.6% of all villages in Jeollabuk-do, and semi-marginal village accounted for 3.5% of them. The results of the analysis of the risk rating of rural depopulation and marginal village presented in this study can be used as important decision-making data when establishing policies for revitalizing rural villages in Jeollabuk-do.

      • KCI등재

        마을재산의 소유권의 발생과 변동에 관한 연혁적 연구

        배병일 경북대학교 법학연구원 2016 법학논고 Vol.0 No.53

        This article reviews historical study on the rise and change of the ownership of villagers’ property. Villagers’ property is a real estate under village ownership or under village residents’ ownership. Although the land is in multiple villagers’ name, the ownership of the land belongs to village. Villagers’ property was permitted in the Joseon Dynasty under practices called ‘sichojang’, or ‘songgye’. Sichojang is a kind of reflective interest caused by prohibition on personal possession, songgye is a kind of real right, beyond the right of bond. Songgye changed to exclusive real right granted by way of use with the forest suit. But under Japanese Imperialism, former customs were ignored and private lands were nationalized by the Korean Cadastral Survey in 1912 and Korean Cadastral Survey of Forest Land in 1918. But former practice of common changed ownership of lands by the Korean Cadastral Survey in 1912 and Korean Cadastral Survey of Forest Land in 1918. After the Korean Liberation in 1945, the Revision of Local Autonomy Law transferred ownership of villagers’ property to ownership of local autonomous entity. Villagers’ property transferred to the property of local government due to the Act on temporary measures of Local Autonomy in 1961, Act on special measures for registration, etc. of transfer of forest ownership in 1969 and Act on special measures for registration, etc. of transfer of real estates ownership in 1978. This transfer of ownership from village to local entity is invalid in principle because of being formed without evidence, and this article argues the ownership should be returned to village. 조선시대 시초장은 개인의 사점 금지로 인한 반사적 이익으로 인한 마을재산이 라고 볼 수 있고, 송계 등을 통해서 동네 산에 접근할 수 있는 것은 채권적인 권 리를 넘어서는 물권적인 권리로 볼 수 있다. 송계 등이 가지는 권리는 산송 등을 통해서 배타적인 용익물권적인 권리로 변화되었다. 조선시대 송계, 동계 등에서 근거한 입회관행으로 인하여 발생된 마을재산은 일제하 1912년 토지조사사업이나 1918년 임야조사사업에서 일부 주민의 공유나 마을명의로 사정되었고, 토지대장이 나 임야대장에 마을 주민들의 공유 또는 마을 명의로 되었다. 일제는 종전의 입회 관행을 무시하였다가 우리 민중의 반발로 인하여 입회관행을 부활시켰고, 조선특 별연고삼림양여령 의한 특별양여 등을 통해서 마을재산을 인정하였다. 종래 용익 물권적인 권리에 지나지 않던 마을의 입회관행은 토지조사사업이나 임야조사사업 을 통해서 소유권으로 바뀌었다. 그러나 1912년 당시 조선부동산등기령에서는 주 민들의 공유로는 등기를 할 수 있지만, 마을명의로는 등기를 할 수 없었다. 그 후 1930년 조선부동산등기령 개정이후에는 권리능력없는 사단으로서의 마을명의로 등기할 수 있었다. 그러나 1930년 10월 이전까지는 마을명의로 등기를 할 수 없었 기 때문에 등기 여부를 기준으로 마을재산의 귀속여부를 판단할 수는 없다. 그러 나 일제는 1930년 당시 읍면제를 시행하면서, 종전의 마을재산을 읍면의 지방자치 단체 명의로 귀속시켰다. 마을재산은 크게 3차례나 변동되었다. 먼저, 1930년 읍면 제 시행으로 마을재산이 면(지방자치단체)소유로 이전되었다. 두 번째, 1961년 9월 지방자치에 관한 임시조치법을 시행하면서 마을재산이 군(지방자치단체)소유로 이 전되었다. 이는 귀속기관의 변경에 지나지 않고 소유권이 이전된 것으로는 볼 수 없다. 마지막으로 1978년 부동산소유권이전등기 등에 관한 특별조치법을 시행하면 서 마을재산이 시군(지방자치단체)소유로 이전되었다. 마을재산의 지방자치단체로 의 이전은 구체적 사실관계를 따져서 소유관계를 확인하여야 하고, 그 이전이 근 거없이 이루어진 경우에는 원칙적으로 원인 무효라고 보아야 하고, 마을재산으로 복원되어야 한다.

      • KCI등재

        전전(戰前) 독일민속학 현지조사 방법의 특징과 한계

        이상현(Lee, Sang-Hyun) 비교민속학회 2017 비교민속학 Vol.0 No.62

        본 연구는 독일민속학의 현지조사방법 특히 1930년대까지 독일민속학에서 행한 현지조사 방법의 특징과 문제점을 비판적으로 분석하기 위하여 작성되었다. 구체적으로 18세기 독일민속을 최초로 조사하였던 배경을 당시 독일의 정치적 상황 그리고 지식인들의 특성과 연관하여 분석하고 이를 바탕으로 당시 조사 대상과 방법의 특징을 분석하였다. 이어서 19세기 초반 독일의 구비문학 자료를 수집하였던 Grimm형제의 현지조사의 특징을 구체적인 조사 상황 그리고 Grimm형제가 제시한 조사 목적 등과 연관하여 논의하였다. 다음으로 독일민속학의 아버지로 평가받고 W. H. Riehl의 현지조사 방법의 특징을 그가 작성한 현지조사방법론이란 논문을 중심으로 논의하였다. 더불어 실천적 활동을 위한 그의 민속학 연구와 현지조사와의 관계를 비판적으로 분석하였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에서는 1930년대 마을 조사를 통하여 마을 민속을 집중적으로 조사하였던 Schwertering학파의 현지조사 방법의 특징을 분석하였다. 이 학파의 민속학자들은 당시 농촌 마을에서도 산업화의 영향을 많이 받았음에도 불구하고 주로 전통 의상 등 고전적인 민속 연구 대상의 순기능적 측면만을 강조하여 조사하였다. 이러한 현지조사의 특징은 문화 연구의 기능주의 문제이며 대상 중심의 당시 독일민속학 연구 한계를 보여주는 조사방법으로 간주하였고 이를 비판적으로 분석하였다. This study has been prepared in order to critically analyze the characteristics and problems of the Field Survey Method on German Volkskunde, especially the field work method on German Volkskunde until 1930s. Concretely, we have analyzed the background with which the German volkskunde was investigated for the first time in the 18th century, in connection with the German political situation & the intellectuals’ characteristics for the period, furthermore, analyzing the characteristic of the survey target and method at that time, on the basis of this. Second, we’ve discussed the characteristic of field survey against Grimm Brothers who collected the materials of German oral literature for the period of the early 19th century, in connection with the detailed survey situations & the survey purposes suggested by Grimm Brothers. Next, we have discussed the characteristic of field work method from W. H. Riehl who is called Father of German volkskunde, focusing on his dissertation, On-site Survey Methodology prepared by him. At the same time, we’ve critically analyzed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field work and his volkskunde research for his practical activities. Lastly, from our study, we’ve analyzed the characteristic of the field survey method for Schwertering School which intensively investigated the village volkskunde through the village investigation during the 1930s. These scholastic folklorists, though the farming villages had been strongly influenced by the industrialization, used to investigate by putting an emphasis on the favorable function of the classical volkskunde research targets such as mainly the traditional costumes. These characteristics of field survey belong to the problem of functionalism for culture research, while they have been regarded as the survey method showing the limit of German volkskunde research focusing on the targets for the period, which has been critically analyzed.

      • KCI등재후보

        서울지역 도시화된 마을의 전통문화

        이건욱(Lee, Kun-wook) 안동대학교 민속학연구소 2010 民俗硏究 Vol.0 No.21

        필자는 주로 비교민족학과 도시민속을 연구하고 있다. 많은 지인들은 우리네 전통문화도 제대로 연구되지 못했는데, 도시와 해외를 조사할 여유가 있냐고 묻곤 한다. 그런데 국가가 세계 속에서 어느 정도 자신의 목소리를 낼 위치가 되면, 국내 뿐만 아니라 해외에 있는 다양한 일에 개입을 하듯이 학문도 마찬가지이다. 다시 말해 관심사가 넓어지는 것이다. 우리 민속학은 여러 선학들의 노력으로 나름대로 세계에서 알아주는 수준에 올라섰다. 높아진 위상 속에서 국제적으로 우리 문화에 대한 많은 관심들이 쏟아지고 있는 현실을 본다면, 우리의 학문적 지평은 농어촌뿐만 아니라 현대와 도시, 세계로 넓혀야 한다고 본다. 그래야 좀 더 정교하고 구체적인 우리 문화에 대한 모습을 그려낼 수 있다. 또한 현재 대한민국의 대부분의 사람들은 도시에 살고 있다. 민속학은 사람을 연구하는 학문으로서 당연히 사람들이 모여 있는 곳은 어디든 찾아가서 녹음기를 들이대야 한다고 생각한다. 그래서 도시민속조사는 민속학의 새로운 조사주제로써 관심을 보여주는 단계가 아니라 농어촌을 조사하듯, 전통문화에 대해 열심히 기록을 하듯 열심히 연구해야 할 주제 중 하나이다. 이 원고의 주제는 서울지역 도시화된 마을의 전통문화이다. 이것은 지난해 있었던 안동대학교에서의 발표문을 손 본 것이다. 당시 주제를 정하지 못한 필자에게 주최 측에서 친절하게도 이렇게 정해준 것이다. 마을 문화 연구의 메카라고 할 수 있는 안동대학교는 백년 후 브리태니커 사전에서 ‘마을’이라는 단어를 검색하면, 반드시 안동대학교라는 단어도 함께 등장 할 것이라고 확신한다. 일단 이 주제의 키워드는 세 가지가 될 것 같다. 도시, 마을, 전통문화이다. 본문에서 이 세 가지 키워드를 간단하게 정리해보고, 사례들을 정리하여 ‘도시화된 마을의 전통문화’ 에 대해 필자의 견해를 피력해보고자 한다. 도시지역 연구의 대상지는 서울의 아현동과 정릉동이며, 최근 직업인 조사를 수행하고 있는 바, 관련 조사를 통해 얻은 사례들도 이번 발표에 활용할 것이다. 평생을 살아 온 도시에서의 경험도 간간히 소개할 것이다. 도시에 비교 대상이 되는 농어촌 마을은 필자가 그간 조사했던, 경북 포항지역 어촌마을과 행정중심복합도시 예정지구 마을들, 충남 서산 지역 마을, 전북 순창군 등의 사례이다. This thesis is on the urban ethnography focusing on Seoul and its modern Korean urbanites. The study contains the research result of life and culture of modern city dwellers of Korea. Korean cities have formed rapidly. Especially the city with a long history such as Seoul, many migrants came to settle from the outside as a result of rapid industrialization after the liberation. The meaning of population migration is not only in the movement but also in the blending of the migrant’s culture with the existing culture. This study describes the changes in the community culture and customs following the formation of the city. It also suggests a new approach in the research method considering the urban ethnography is different from the rural ethnography.

      • KCI등재

        농촌지역 재난안전마을 구축을 위한 모니터링 조사 연구 – 인제군 가리산리 방재체험마을 중심으로 –

        Wonhoi Koo,Minho Baek 한국재난정보학회 2017 한국재난정보학회 논문집 Vol.13 No.3

        본 연구에서는 농촌지역 재난안전마을 구축을 위하여 최근 발생한 충청지역 수해 현장조사를 실시하였다. 또한 2006년 수해로 인해 인명 및 재산피해를 입은 강원도 인제군 가리산리 마을에 대해서 방재적 측면으로 복구하여 현재까지 방재체험마을로 운영하고 있는 지역을 구조적 및 비구조적 현황에 대해 모니터링을 통하여 이력 및 특성을 분석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향후 농촌지역 재난안전마을 구축 시 적용방안을 검토하였다. 특히, 가리산리 방재체험마을은 수해복구 당시 주민의 참여가 적극적으로 반영되었으며 현재까지 농산촌 재난안전마을의 수범사례로 운영되고 있고 주민의 방재역량도 강화하기 위해 자체 훈련, 교육 등 다양한 활동을 수행하고 있다. 이러한 특성을 바탕으로 농촌지역 재난안전마을 구축 시 적절하게 적용되어 운영되어야 할 것이다. In this study, the field investigation was carried out in an area damaged by flood, which recently occurred in Chungcheong region, in order to establish a disaster safety village in a rural area. In addition, the history and characteristics of a village in Garisan-ri, Inje-gun, Gangwon-do that experienced loss of life and property caused by flood in 2006 were analyzed through monitoring. The village was restored and has been operated as a disaster prevention experience village for the purpose of disaster prevention, and its structural and non-structural status was monitored during the analysis. Based on the results, application measures for establishing a disaster safety village in a rural area in future were examined. At the time of restoring food damage, the residents' participation was actively reflected in the process of establishing the disaster prevention experience village in Garisan-ri. The village has been currently operated until now as an example of disaster safety village in rural regions, and various activities including training and educational programs are carried out in order to reinforce the disaster prevention capability of residents. The findings of this study can be used for establishing a disaster safety village in a rural area based on such characteristics.

      • KCI등재

        유해물질로 인한 농촌마을의 변화와 갈등 - 전북 남원 내기마을의 건강역학조사 전후 사례를 중심으로 -

        김미숙(Kim, Mi Sook) 한국지역사회학회 2019 지역사회연구 Vol.27 No.4

        본 연구는 유해물질을 배출하는 시설 및 공장이 마을 주변에 설립되면서, 발생하고 있는 마을의 변화상을 살펴보는데 있다. 구체적으로는 농촌(산촌)의 자연취락지역인 전라북도 남원시 내기마을 주변으로, 유해물질을 배출하는 시설물이 설립·가동되면서 나타나기 시작한, 자연환경 및 주민 생활환경과 주민 건강 등의 변화를 살펴보고, 그 과정에서 상호작용하며 확대되고 있는 주민 => 지역사회 => 국가와의 갈등을 고찰하였다. 그리고 주민들의 피해와 변화에 대한 원인조사(주민건강영향조사=역학조사)가 이루어진 과정과 그 전후를 살펴보았다. 그 과정에서 언론과 정치적 권력이 큰 영향력을 행사하고 있었지만, 역학조사의 결과 ‘복수의 원인 인자’가 제시되면서, 해당 업체나 지자체는 ‘역학조사의 결과’를 면피용으로 이용하고 있다. 이러한 사례를 통하여 필자는 유해물질로 인한 주민 갈등을 해결하기 위한 방안으로 다음과 같이 제안하고자 한다. 첫째, 유해물질을 배출할 가능성이 있는 시설물에 대한 허가 및 관리가 사전에 철저하게 이루어져야 하며, 둘째, 만약 피해가 발생되었을 때에는 독립된 전문적인 역학조사 기관을 통한 조사가 이루어져야 한다. 셋째, 그 조사는 의학적·과학적인 조사뿐만 아니라 인문(환경)사회학적 조사도 함께 포괄적으로 이루어져야 한다. 넷째, 조사 결과를 기준으로 철저한 피해보상과 사후대책, 관련자 처벌 등이 필요하다. 마지막으로 모든 절차에서 주민과 행정, 기업 간의 소통, 조사시에는 주민과 행정, 조사자, 등 관련자들 간의 상호 소통이 가장 중요하다. 본 사례는 개발중심주의로 인해 점점 증가하고 있는 농어산촌 지역의 유해공장 설립에 대해 재고할 수 있는 기회를 가지며, 무엇보다도 시간이 지나고 언론의 관심마저 사라지면 쉽게 잊혀질 환경약자인 주민들의 고통을 기록하고 알리는데 목적이 크다. 따라서 유해공장 가동으로 인한 환경 및 주민 건강 피해에 대한 예방과 대책, 피해구제 정책을 구상하는데,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changes in the village after the establishment of facilities and factories emitting hazardous substances around the village. The subject of this study is around Nagam Village, Namwon-si, Jeollabuk-do, which is a natural settlement area in rural areas. The village has experienced various changes in the natural environment, inhabitants’ lives and health that resulted from the operation of facilities releasing harmful pollutants. In this process, the conflict that has been expanded by interacting residents with the community to the state has been examined, and overall investigation of Resident Health Impact Survey(Epidemiological survey) on the damage and change of the residents were considered. During the survey the media and political power showed great influence and interest, and the result of epidemiological investigations suggest that the reason for cancers and diseases of the residents were caused by the ‘plural causal factors’, so that the company(factory) and the local government is using ‘the results of epidemiological investigations’ as a face mask. Through these cases, the following measures need to be proposed as a way to resolve the residents’ conflict over hazardous materials. First, permits and management of facilities that may emit hazardous substances should be thoroughly made in advance. Secondly, it should be investigated by an independent expert epidemiological institutions when damage occurs. Third, the survey should be comprehensive not only in medical and scientific research but also in human (environmental) sociological research. Fourth, based on the survey results, thorough compensation for damages, follow-up measures, and punishment of related parties are required. Lastly, in all procedures, all participants need to communicate with residents, administration, investigators, and related persons. This case gives us the opportunity to reconsider the establishment of a hazardous plant in rural areas, which is being pushed up by development pressure. Purpose of this case is to record and inform the suffering of residents, who are environmentally weak and easily forgotten when attention of people and media disappears. In addition, it is expected to be helpful in formulating prevention and countermeasures, and the remedy for damages to the environment and residents’ health caused by hazardous factorie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