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마르크스주의의 중국화

        김소중 ( So Joong Kim ) 조선대학교 사회과학연구원 2009 서석사회과학논총 Vol.2 No.2

        중국은 제국주의 열강의 침략속에 마르크스주의(Marxism)를 환영하였고, 모택동은 마르크스주의 기본원리를 중국의 구체적인 혁명실천 및 중국전통문화와 결합하여 혁명을 성공으로 이끌어 모택동사상을 형성했으며, 건국후에는 중국의 현실(실제)과 결합하여 사회주의를 건설했고, 등소평은 개혁·개방을 선언한 이후 중국의 실제에서 출발, 마르크스주의 기본원리에다 자본주의의 합리적인 부분과 결합하여 사회주의를 계속 발전시키는 가운데 중국특색의 사회주의 건설이론을 형성했다. 강택민과 호금도는 마르크스주의 기본원리에다 자본주의의 합리적인 부분은 물론 중국전통문화의 합리적인 부분을 결합시켜 중국을 부강·민주·문명·화목한 중국특색의 사회주의 현대화 강국으로 건설하기 위해 노력하고 있다. 이러한 노력 가운데 강택민은 `3개 대표`(三個代表) 중요사상을 형성했고, 호금도는 소강사회(小康社會)를 전면 건설하는 가운데 과학적인 발전관(科學發展觀)과 팔영팔치(八榮八恥)를 강조하고, 동시에 화목한 사회(和諧社會) 및 화목한 세계(和諧世界)를 건설하자는 이론을 형성했다. 따라서 중국은 현재는 물론 장래에 걸쳐 마르크스주의를 체(體)로 하고 여기에 유가사상을 대표로 하는 중국전통문화 및 서구 자본주의문화 가운데의 합리적인 부분을 보(輔)로 하여 3자를 결합한 중국특색의 사회주의의 `신문화`를 창조해갈 것이라고 전망된다. 이것이 곧 마르크스주의의 중국화이다. China welcomed Marxism under the circumstances of the imperialistic Powers` aggression; Mao Ze-dung led the Revolution into a successful one and formed Mao Ze-dung`s Thoughts by combining Marxism with the concrete practices and Chinese traditional culture. After building up the country, he constructed a socialist state by uniting his thoughts with Chinese realities; Deng Xiao-ping, since he declared the Reform & Open policy, has formed the construction theory of Socialism with Chinese charicteristics starting from Chinese realities and kept on developing the theory by combining it with the rational parts of capitalism. Jiang Ze-min & Hu Jin-tao have been trying to construct modernized, strong Socialism with Chinese charicteristics as a rich, democratic, civilized, harmonious Country by combining the rational parts of Chinese traditional culture and the rational parts of capitalism. Under these efforts, Jiang Ze-min has formed important thought of `Three-Representives`, Hu Jin-tao has formed a theory to construct a harmonious society and world with the scientific outlook of development and barongbachi(八榮八恥). Accordingly, China is expected to create a new culture of Socialism with Chinese charicteristics by combining the Three-Marxism which will be the main thought in the future as well as at present, Chinese traditional culture representing Confucianism and Western capitalistic culture whose rational parts will be supplemented.

      • KCI등재

        상이한 마르크스주의 노선에 기반하는 브레히트와 뮐러의 문학 비교분석

        최은녕 ( Choi Eun Nyoung ) 한국독어독문학회 2021 獨逸文學 Vol.62 No.4

        마르크스는 본질적으로 프롤레타리아 혁명을 통한 인간해방을 궁극적 목표로 삼고, 평생동안 이것의 실현을 위한 사회주의 이론의 집필과 연구에 전념한다. 20세기 초반의 보수적 경향의 마르크스주의자들은 마르크스의 사상을 정치적 관점으로 해석하고, 동유럽과 아시아 등에서 공산주의 혁명에 근거한 인간해방을 시도한다. 20세기 중반의 급진적 경향의 네오마르크스주의자들은 서구의 자본주의와 동구의 공산주의에서 보이는 비인간화 현상을 비판하고, 순수하게 인간중심적 휴머니즘의 관점으로 재해석된 네오마르 크스주의에 입각한 인간해방을 주장한다. 베르톨트 브레히트와 하이너 뮐러는 마르크스주의 이념에서 출발했다는 점에서는 서로 교차하는 공통점을 가지지만, 동일한 사상을 매우 상이하게 해석하는 문학작품을 썼다는 점에서는 서로 좁혀질 수 없는 간극을 분명히 드러낸다. 브레히트는 평생 전통적인 주류 마르크스주의의 노선에 충실하면서도 유연한 마르크스주의자로서 헤겔의 변증법적 사고와 생소화의 관점을 사용하여 자유로운 사고를 실험한다. 반면에 뮐러는 평생 네오마르크스주의자로서 서구의 아방가르드적인 신좌파 세력과의 연계하에 동독 공산주의의 파시즘적 야만성을 폭로하는 급진적 사회주의 문학에 종사하면서도, 동독에 마르크스가 꿈꾸던 사회주의 이상향이 꼭 도래하기를 바라는 소망을 끝까지 포기하지 않는다. Karl Marx zielte wesentlich auf die Befreiung des Menschen durch die proletarische Revolution als Endziel und konzentrierte sich lebenslang darauf, die für dessen Verwirklichung notwendigen sozialistischen Theorien zu entwickeln und zu formulieren. Die Anhänger des klassischen Marxismus des frühen 20. Jahrhunderts verstanden die Ideen von Marx politisch und kämpften für die Emanzipation der Menschen mit Blick auf die kommunistischen Revolutionen in Osteuropa und Asien. Die radikalen Anhänger des Neomarxismus in der Mitte des 20. Jahrhunderts übten Kritik an den Phänomenen der Entmenschlichung, die sowohl in der westlichen kapitalistischen Welt als auch in der östlichen kommunistischen Welt in Erscheinung getreten waren. Und sie forderten die menschliche Emanzipation auf der gedanklichen Grundlage des Neomarxismus, der Marx aus der Perspektive des rein anthropozentrischen Humanismus interpretiert. Bertolt Brecht und Heiner Müller haben ihren Berührungspunkt mit deren Vorstellungen darin, dass beide ebenfalls von der Lehre des Marxismus ausgehen. Aber es zeigt sich eine unüberbrückbare Kluft zwischen beiden darin, dass sie literarische Werke verfassen, in denen derselbe Marxismus aus unterschiedlicher Perspektive interpretiert wird. Brecht bleibt dem klassischen Marxismus zwar immer treu, aber er experimentiert als flexibler Marxist frei unter Zuhilfenahme der Technik der Verfremdung und auf Grundlage der hegelschen Dialektik. Müller geht seinerseits als Neomarxist von der radikalsozialistischen Literatur aus, die die faschistische Barbarei des Kommunismus der DDR in Verbindung mit den neuen Linken des Westens entlarvt. Trotzdem gibt auch er die Hoffnung nicht auf, dass die von Marx gewünschte sozialistische Utopie dereinst in der DDR verwirklicht sein wird.

      • 네오 마르크스주의와 복지국가의 모순 : 이 논문은 1997년도 경북대학교 공모과제 연구비에 의해 씌여진 것임

        김영화 慶北大學敎 社會科學大學 1998 社會科學 Vol.10 No.-

        마크크스주의자들은 국가란 원래 지배계급의 이익을 위해 존재한다고 보고 있다. 그들은 일련의 사회개혁과 사회정책도 외부적으로는 노동자계층의 복지를 명분으로 하였으나, 사실은 사회경제적 효율성과 정치적 안정을 위한 것이었음을 지적한다. 그들은 복지국가란 노동자들의 투쟁에 의해 그나마 최소한의 정당성을 유지하고 있는 국가형태로 본다. 따라서 현대자본주의복지국가는 그들에 의하면 자본주의가 가진 특성과 국가로서의 정당성 유지를 위해 상호 모순적 요소를 지니게 된다. 네오 마르크스주의자들의 특징을 크게 두 가지로 나누면, 첫째 후기자본주의라는 새로운 현상을 설명하기 위해서 전통적 마르크스주의의 “국가 독점자본주의” 분석 틀로서는 그 파악이 불가능하다는 점이고, 다른 하나는 복지자본주의국가의 국가 개입적인 형태에 대해서는 비판적인 시각을 가지고 있다는 점이다. 본 연구는 네오 마르크스주의에서 본 복지국가의 정체성에 초점을 맞추고 있는데, 이는 자본주의와 국가기능과의 관계를 가장 잘 설명해 주고 있기도 하지만, 더욱 더 궁극적인 이유는 복지국가를 가장 비판적으로 보고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이러한 네오 마르크스주의적 시각에서 복지국가의 한계를 극복하고 그 문제를 해결하는 데 보다 직접적인 실마리를 찾을 수 있게 된다. 본 논문에서는 정치, 경제학적 변수로 복지의 성격을 밝혀보려고 했던 고프(Ian Gough)와 오코너(James O'Connor), 해체된 자본주의와 복지국가와의 관련성에 중점을 두었던 오페(Claus Offe)의 시각을 통하며 복지국가의 특성을 분석해 보고, 복지국가의 기반을 다지기 위한 변증법적 과정을 모색해 보려고 한다. 오페가 지적한 대로 복지국가는 많은 모순과 한계를 가지고 있으나 다시 역으로 되돌릴 수도, 사회적 위기 속에서 몰락하지도 않은 불가역성을 지니고 있다고 보여진다. 또한 지금까지 나타났던 많은 국가의 형태 중에서 복지국가보다 더 나은 대안이 없다는 이유만으로 복지국가는 앞으로 계속 존속될 충분한 근거를 제공한다. 따라서 복지국가의 모순을 완화하고, 그 계급적 성격과 자본주의 한계를 어떻게 극복하는가에 대한 해결점을 네오 마르크스주의자들에게서 찾아봄으로써 복지국가의 본질을 근원적으로 규명하고, 그 역할과 기능을 탐색해 보려는 것이 이 연구의 목적이다. According to the Marxist, the state exists for the sake of the capitalist. They point out that a series of social reforms and social policies introducd during the end of the 18th century and beginning of 19th century were in fact in the interrests of political stabilization and socio-economical efficiency although it was officially justified as for the welfare of the working class. They believe that the welfare state in a kind of state which maintains the least ligitimation only through the struggle of the working class. Consequently, an advanced capitalist welfare state has contradictions between the unremitting logics of accumulation and legitimation, which combined produce the inescapable crisis tendencies of late capitalism. The perspective of the Neo-Marxist is roughly divided into two categories. First, they think it is impossible to grasp the new phenomena of "late capitalism" within the framework of classical Marxist analysis. Second, they hold a critical view on the intervention of the capitalist welfare state. This study focuses on identifying the nature of the welfare state from the perspective of the Neo-Maxism. An analysis of Neo-Maxism gives us a clear model of the relationship between capitalism and the role of the state and, more importantly, how Neo-Marxism can most contribute to the welfare state as they are the most critical of it. Accordingly. through this analysis we will able to find a direct insight in order to exceed the limitation of the welfare state and solve its problems. In this study I attempt to analyse the characteristics of the welfare state according to the viewpoints of Neo-Marxists, such as Ian Gough and James O'Connor who attempted to identify the nature of welfare using political economic factors, and Claus Offe who focused on the relation between disorganized capitalism and the welfare state. Ultimately this article may contribute to the consolidation of the welfare state through the so called "dialectical process". As Offe remarked, the welfare state has various limitations and contradictions but also has an inevitability which can not be reversed and has never broke down in a social crisis. Moreover the wefare state has enough reasons for a continued existence because there is no better alternative. The purpose for this study is initionally to discern ideas for solution from Neo-Marxism, ascertain how to relieve the contradictions in the classical character of the welfare state, and exceed the limitations of capitalism. Secondly, this clarification will them facilitate a critical diagnisis of the basic nature of the welfare state, both its role and its function.

      • KCI등재

        카를 마르크스의 재발견

        마르셀로 무스토(Marcello Musto) 경상대학교 사회과학연구원(마르크스주의 연구) 2010 마르크스주의 연구 Vol.10 No.2

        지난 세기 말 마르크스에 대한 관심이 사라졌다고 만장일치로 선언되었었지만, 최근 몇 년 동안 마르크스에 대한 관심이 폭넓게 재부상했다. 이런 재발견의 가장 중요한 사례 중의 하나는 그의 모든 작업에 대한 역사-비판적 판본인 마르크스-엥겔스 전집(MEGA²)의 계속이다. 새로운 문헌학적 습득들에 의해 다른 뉘앙스의 저자가 부각되었다. 마르크스-레닌주의로 표현되었던 교조적 사상가는 지속적으로 연구하고 그의 주장들을 입증하려고 시도하다가 자신의 저작들의 많은 부문을 미완성으로 남겨둔 학자의 이미지로 반드시 대체되어야 한다. 자본주의 사회의 위기와 그 속에서의 깊은 모순들에 직면하는 시기에, 1989년 이후 너무 성급히 제쳐두었던, 그리고 그 사상이 현재의 포괄적 이해와 변혁을 위해서는 포기될 수 없는 이 저자는 이제 다시 한 번 깊이 탐구되어야 한다. During the last few years there has been a widespread resurgence of interest in Karl Marx, even though with the end of the century its disappearance had been unanimously declared. One of the most significant examples of this rediscovery is the continuation of the Marx-Engels-Gesamtausgabe (MEGA²), the historico-critical edition of his complete works. From new philological acquisitions there emerges a different author. The dogmatic thinker represented by Marxism-Leninism must be supplanted by the image of a scholar who left a major part of his writings incomplete in order to carry on researching and verifying the validity of his claims. Faced with the crisis of capitalist society and the deep contradictions within it, this author, who has been too hastily put aside after 1989, and whose thought still seems impossible to renounce for the comprehension and transformation of the present, should now be interrogated once again.

      • KCI등재

        마르크스와 정의 - 제라스와 데리다의 정의론을 바탕으로 한 마르크스주의 이데올로기 이론의 재고찰 -

        강경덕 충남대학교 인문과학연구소 2019 인문학연구 Vol.58 No.4

        Classical Marxism tended to relativize discourses on ethical values and ideal universality, and thereby opposed scientific discourse to ethical discourse. However, Marx's theory of surplus value and communism would not work properly without an discourse on ideal universality such as liberty, equality, justice, etc. That is, we need to ask whether Marx's theory of surplus value is based upon a certain conception of equality. Thus, this paper will give a critical reading of Marx's work based on Derrida's and Geras's theories of justice, and attempt to reconstruct Marx's theory. However, this paper does not simply reduce Marx's analysis of capitalism to a theory of justice, but rather attempts to articulate Derrida's theory of justice to Marxist theory of ideology. Marxist theories of ideology do not properly address contradictions within ideology while theorizing it as a reflection of economic reality. In contrast to it, Derrida's theory of justice, which thinks of 'justice' as a irreplaceable but deconstructive value, has the potential to deal with this problem. Thus this paper will try to reconstruct Marxist theory of ideology by means of Derrida's theory of justice. In so doing, it will criticize Geras's theory of transcendental justice and Althusser's theory of ideology. 고전적인 마르크스주의는 사회 및 역사에 대한 과학적 이해를 추구하면서 윤리와 이상적 보편성에 대한 담론을 상대화하고 나아가 과학적 담론과 윤리적 담론을 이분법적으로 이해한다. 하지만 마르크스의 가치론과 공산주의 이론은 자유와 평등, 정의와 같은 보편적 이상성에 관한 담론 없이 작동하지 않을 것이다. 예컨대, 우리는 마르크스의 잉여가치론이 근본적으로 평등에 대한 담론과 같은 보편적 이상성을 바탕으로 하고 있는 것은 아닌지 질문할 필요가 있다. 따라서 이 글에서는 자크 데리다와 노먼 제라스의 정의론를 바탕으로 마르크스의 저작을 비판적으로 독해하면서 마르크스의 이론을 재구성해 볼 것이다. 특히 마르크스주의의 이데올로기 이론의 재구성에 집중할 것이다. 하지만 이 글은 단순히 마르크스주의를 윤리적 담론으로 축소시키지는 않을 것이다. 알튀세르의 이데올로기 이론을 비롯해 마르크스주의 이데올로기 이론은 이데올로기의 물질성과 그 공간에 내재하는 모순을 적합하게 이론화하지 못했다. 이와는 달리 데리다의 정의론은 (그의 의도와는 달리) 이데올로기 내부의 모순을 이론화하면서 이데올로기 이론을 보완할 수 있는 이론적 잠재력을 지닌다. 따라서 이 글에서는 데리다의 정의론을 바탕으로 이데올로기 이론의 재구성을 시도할 것이다. 이 과정에서 제라스의 정의론과 알튀세르의 이데올로기 이론에 대한 비판적 독해를 제시할 것이다.

      • KCI등재
      • KCI등재
      • KCI등재

        새로운 마르크스읽기, 오래된 마르크스읽기 『생각하는 마르크스』 서평

        김덕민 경상대학교 사회과학연구원 2018 마르크스주의 연구 Vol.15 No.1

        This article is a critical reading of Professor Baek Seung-wook’s new book, How Marx? It attempts to generalize Marxian theory to the theory of sociality, suggesting a new interpretation of the former. However, compared to Jacques Bidet’s “Theory of Modernity”, we can find that the Pr. Baek’s new reading contains some deficiencies. There seem to be some problems in the design and organization of concepts. Nevertheless, it should be evaluated as a new attempt to read Marx. 중앙대 백승욱 교수의 『생각하는 마르크스』는 마르크스의 저작들에 대한 재해석을 통해 마르크스 이론의 사회성 이론과의 통합을 시도한다. 이러한 시도는 완전히새로운 것은 아닌데, 프랑스의 에티엔 발리바르나 자크 비데와 같은 철학자들, 그리고 한국의 윤소영 교수에 의해 소개되고 시도된 바 있다. 이 논문에서는 주로 자크비데의 ‘현대성 이론’과의 비교를 통해 『생각하는 마르크스』의 시도가 갖는 의의와결함을 짚어보았다. 『생각하는 마르크스』가 던지고 있는 마르크스 이론의 사회이론의 일반화 작업은 경제적 구조와 이데올로기적 구조의 결합을 시도하지만, 여전히여러 한계를 노출하고 있으며, 오히려 이런 시도를 통해 마르크스 이론의 자본주의생산양식 분석과 계급이론으로서의 지위를 탈각시키는 효과가 존재한다. 그럼에도불구하고 이러한 새로운 시도는 마르크스에 대한 관심을 환기시키기에 충분한 것으로 보인다.

      • KCI등재

        구해근의 ‘모색’과 마르크스주의 계급론의 과제

        조돈문(Cho Don-Moon) 비판사회학회 2008 경제와 사회 Vol.- No.77

        이 글은 구해근의 국내 계급연구에 대한 문제 제기를 검토하며 마르크스주의 계급론의 과제를 짚어본다. 구해근은 1997년 외환위기 이후 국내 계급연구가 활발하게 전개되지 않은 원인을 마르크스주의 계급론 분석틀의 부적절성에서 찾고 있다. 구해근이 제안한 계급내적 분절화와 재구성 등에 대한 연구의 필요성에 공감하되, 구해근이 제시하는 대안적 모델에 대해서는 대안적 모델의 차별성과 대안적 모델의 설명력 우위를 보여주지 못했다는 점에서 동의하기 쉽지 않다. 노동계급 계급형성의 부침에 따라 마르크스주의 계급론의 설명력이 부침하기 때문에, 외환위기 이후 노동계급 계급형성 후퇴에 따른 계급론 설명력 약화는 자연스런 현상이다. 하지만 외환위기 이후 경제사회적 불평등이 심화되고 노동자들의 노동조건과 삶의 질이 악화되었음에도 불구하고 노동계급 계급형성이 후퇴한 것은 물질적 조건과 노동자 경험을 중시하는 마르크스주의 계급론을 반증하는 역설적 현상으로 보인다. 이러한 역설적 현상에 대해 ‘연구 프로그램’으로서 마르크스주의 계급론이 우선적으로 수행해야 할 과제는 계급형성의 부침을 설명하며 역설적 현상의 원인과 인과적 메커니즘들을 규명하는 것이다. 다만, 사회세계는 ‘개방체계’라는 점을 고려하여, 어떤 카운터메커니즘이 어떻게 개입하여 마르크스주의 계급론이 주장하는 물질적 조건과 노동자 경험이라는 메커니즘의 작동을 억압ㆍ왜곡하는지를 밝혀야 할 것이다. This article discusses the task of Marxist class theory by going through the questions brought up by Hagen Koo about class analysis in Korea. Hagen Koo refers to the inappropriate analytical framework of Marxist class theory as the reason why class analysis has not been so fruitful since the 1997 financial crisis. Although I agree with Koo on the need of research on fragmentation and regrouping within each class, it is not easy to agree on the alternative model which he presents. I think he still has to prove the superiority of his alternative model in explanatory power. Since the explanatory power of Marxist class theory fluctuates according to the rise and fall of working class formation, it is natural that the explanatory power of class theory has weakened due to the regression of working class formation after the financial crisis. However, the regression of working class formation in spite of intensified economic-social inequality and deteriorated working conditions and quality of life for workers seems to be a paradoxical phenomenon for the Marxist class theory which emphasizes workers' material conditions and experience. The foremost task for Marxist class theory as a 'research program' is to identify the causes and causal mechanisms of this paradoxical phenomenon by explaining the rise and fall of working class formation. Taking the 'open system' of the social world into consideration, however, we must clear out which counter-mechanisms take part and how they suppress or distort the operation of such causal mechanisms as material conditions and worker experience that Marxist class theory emphasizes.

      • 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