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 KCI등재
      • KCI등재

        계급 재생산을 위한 문학

        고부응(Boo Eung Koh) 한국비평이론학회 2018 비평과이론 Vol.23 No.2

        전 세계적 자본주의가 완성된 현재야말로 자본주의 비판으로서의 마르크스주의가 본격적으로 시작되어야 할 시점이다. 마찬가지 이유로 마르크스주의 문학 비평도 이제 본격적으로 시작되어야 한다. 기존의 마르크스주의 문학 비평이 별 성과를 거두지 못한 이유는 문학 물신주의에 몰입되어 있는 부르주아 문학관에서 벗어나지 못하고 있었기 때문이다. 마르크스주의 문학론을 정립하기 위해서는 문학에서의 계급투쟁, 즉 부르주아 계급이 피지배계급에 대하여 벌이는 비가시적인 계급투쟁을 주목하여야 한다. 이 논문은 지배계급이 주도하는 계급투쟁을 문학 영역에서 분석하는 에티엔 발리바르와 피에르 마슈레가 함께 쓴 이데올로기 형체로서의 문학에 대하여 를 주목한다. 발리바르와 마슈레는 국가의 교육 기구가 문학 교육을 통하여 피지배 계급을 지배 계급에 종속시킴을 그들의 논문에서 밝히고 있다. 이들은 문학의 역할이 피지배 계급의 언어와 이데올로기를 지배 계급의 언어와 이데올로기에 포섭되게 하는 것임을 밝힌다. 이로써 문학이 현존하는 지배 체제를 재생산하게 한 다는 것이다. 발리바르와 마슈레의 문학 이론이 시사하는 바는 마르크스주의 문학비평가의 시급한 과제가 계급 재생산 기능을 수행하는 문학의 이데올로기적 작용을 드러내 밝히는 것임을 말해준다. 마르크스주의 문학 비평가는 문학 텍스트의 내 적 파열이나 전복을 말하는 문학의 구조 이론에서 벗어나서 지배 계급의 편에서 벌이는 문학의 계급투쟁에 관심을 기울여야 한다고 이 논문은 주장한다. Marxism as a critique of capitalism is urgently in need today when capitalism has reached its highest stage on a global scale, even though or just because historical Marxism has declined throughout the globe. Likewise, Marxist literary criticism is in need for a proper critique of bourgeois literature that functions to reproduce the ruling class ideology for the reproduction of the current capitalist social system. This essay aims at, first of all, demystifying literary fetishism and then constructing a proper Marxist literary criticism for the critique of capitalist ideological reproduction system in literature. For this, this essay recalls Étienne Balibar and Pierre Macherey’s coauthored “On Literature as an Ideological Form,” almost a bypassed literary theory even among Marxist literary theoreticians. This essay reads Balibar and Macherey’s literary theory in the trail of Louis Althusser’s “Ideology and Ideological State Apparatuses” and argues that literature is an ideological state apparatus for the reproduction of the class division and reproduction in society. With an expository reviewing Balibar and Macherey’s article in the tradition of philosophy and Marxist literary theory, this essay argues that the imminent task of Marxist literary critics should be to disclose the ideological function of literature in the class struggle for the ruling class rather than hastily reading absences or subversions in literature. The capitalist ruling system does not go away with Marxist critics’ historical optimism in reading literary texts; the urgent task should be to demystify the ideological function of literature in the capitalist society.

      • KCI등재

        네그리튀드 운동과 마르크스주의의 관계 지도 그리기

        이석구 ( Suk Koo Rhee ) 한국비교문학회 2015 比較文學 Vol.0 No.66

        네그리튀드 운동이 본격화되기 전에 출간되었던 흑인들의 잡지 『정당방어』나 『흑인들의 외침』은 그 중요성에도 불구하고 마르크스주의나 초현실주의적인 노력이었지 네그리튀드 잡지는 아니는 말로 무시당했다. 이와 관련하여 본 연구가 취하는 입장은 외래 사상을 받아들였는지의 기준으로 진정한 흑인문화운동인지 아닌지를 평가한다면 『흑인학생』의 창간인들인 세제르, 생고르, 다마스의 활동도 네그리튀드에서 제외되는 모순이 생긴다는 것이다. 너무나 중요한 사실이지만 기성 연구에서 좀처럼 지적되지 않는 사실은, 『흑인학생』의 창간호에서 이 핵심인물들이 외래의 서양 사상으로부터 거리두기를 하는 부분을 찾기가 힘들다는 점이다. 순수한 아프리카의 정신을 노래했을 때조차도 네그리튀드 운동은 마르크스주의와 초현실주의 같은 유럽의 사상과 문화를 수용하였다는 것이 본 연구가 주장하는 바이다. 구체적으로 본 연구에서는 『정당방어』에서 시작하여 후기의 세제르와 생고르에 이르는 프랑스어권 흑인문화운동이 마르크스주의를 왜 수용하게 되었으며, 또 어떤 이유에서 거리를 두게 되었는지, 식민 해방 이후 이들이 마르크스주의에 대해서 취한 입장은 이전과 어떤 점에서 다른 것인지를 분석함으로써, 이들이 마르크스주의와 맺은 관계의 사상적 지도를 그려내고자 한다. Francophone black journals published in the twenties and thirties, such as Le Cri des negres and Legitime defense, have been dismissed by Negritude critics as Marxist or surrealist endeavors, not genuine Negritude journals. This paper takes issue with such a dismissal by arguing that if affiliation with European ideas or ideologies is regarded as a disqualifying cause for a negritude, then the movement led by the so-called holy trinity of L`Etudiant noir, that is, Senghor, Cesaire, and Damas, should be disqualified too. What does not receive due attention from Negritude scholars despite its crucialness, is that these three key figures of Negritude did not distance themselves from the European ideas or ideologies of their days. In this regard, they were not much different from the founders of Legitime defense whom Senghor later criticized for their indebtedness to Western ideas. Among the European influences that definitely attracted these black colonials studying in Paris were Marxism and surrealism. This paper brings to light the way the black intellectuals from French colonies adopted and used Marxism, why they then came to distance themselves from it, and how different their positions on it in the postcolonial era were from those in the colonial era. In so doing, this paper maps the trajectory of the affiliation between Negritude movement and Marxism.

      • KCI등재

        『마르크스로 돌아가다 』의 철학과 경제학

        정성진,서유석 경상대학교 사회과학연구원 2018 마르크스주의 연구 Vol.15 No.4

        This article reviews the South Korean edition of Zhang Yibing’s Back to Marx (2018). Zhang notes that the book aims to realize the slogan, ‘Return to Marx’, which Chinese Marxists advocated in the 1990s. Zhang describes the transformations of the philosophical discourses latent in Marx’s economic research by applying the method of “textology”. Zhang argues that understanding the evolution of Marx’s philosophical thought, which is characterized by several leaps and breaks, presupposes the understanding of progress in Marx’s economic research. According to Zhang, the “social materialism” of Classical Economics played a crucial role in Marx’s “revolution of philosophy”. Zhang also argues that the most developed version of Marx’s philosophical thought can be found in his “historical phenomenology” of “Versachlichung”. However, when Zhang describes Marx’s philosophical thoughts culminating in “Marxist Philosophy” or “Scientific Socialism” as the “Absolute Truth”, it runs the risk of identifying Marx with Marxism. In fact, far from completing this philosophy, Marx criticized and superseded it around 1847 when he published Poverty of Philosophy. Nevertheless, Zhang’s book wonderfully demonstrates the vitality and relevance of Marx’s philosophy after the bankruptcy of Stalinist Dialectical Materialism. The publication of the Korean edition of Zhang’s book will be a crucial moment for the revival of Marx’s philosophy in South Korea, where it has been equated with Stalinism and become extinct since the latter’s demise in 1991. 이 논문은 장이빙의 <마르크스로 돌아가다: 경제학적 맥락에서 고찰한 철학 담론> 의 한국어판을 검토한다. 장이빙은 이 책의 목적이 “텍스트학의 기초 위에서 마르크스의 경제학 연구에 담겨 있는 잠재적인 철학적 담론의 전환을 묘사함으로써1990년대 중국 마르크스주의 연구가 응당 제기해야 하는 구호, 즉 마르크스로 돌아가다”를 실현하는 데 있다고 말한다. 장이빙에 따르면 마르크스의 철학 사상의 전개 과정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마르크스의 경제학 연구의 발전 과정을 이해하는 것이 필수적이다. 예컨대 장이빙은 마르크스의 ‘철학 혁명’에서 고전파 경제학의 ‘사회적 유물론’이 결정적 역할을 했다고 주장한다. 장이빙은 또 ‘사물화’(물상화)의‘역사현상학’을 마르크스 철학의 핵심으로 제시한다. 하지만 장이빙이 절대 진리로서 마르크스주의 철학을 전제하고, 마르크스의 철학 사상의 전개 과정을 이를 향해계속 발전해 나아가는 진화론적 과정으로 묘사하는 것, 즉 마르크스와 마르크스주의를 동일시하는 것은 문제적이다. 장이빙의 주장과는 반대로, 마르크스는 <철학의빈곤>(1847) 이후 철학 자체를 비판하고 지양했다고 볼 수 있다. 하지만 장이빙의책은 스탈린주의 변증법적 유물론의 파산 이후에도 마르크스주의 철학이 마르크스자신의 텍스트의 재독해에 기초해 구성될 수 있음을 보였다는 점에서 획기적 의의를 갖는다. 이 책의 한국어판 출판은 소련 붕괴 후 황폐화된 한국의 마르크스주의철학에 재흥의 계기를 제공할 것이다.

      • KCI등재
      • KCI등재

        일반논문 : 최인훈 소설에 나타난 마르크스주의와 사회주의 인식 양상 -?광장?, 『회색인』, 『화두』를 중심으로-

        강주현 ( Joo Hyun Kang ),권성우 ( Seong Woo Kwon ) 한민족문화학회 2016 한민족문화연구 Vol.53 No.-

        이 논문은 소설가 최인훈의 대표작 ?광장?, 『회색인』, 『화두』에 나타난 마르크스주의와 사회주의에 대해 살핀다. 최인훈은 한국현대소설사를 수놓은 어느 작가보다도 이데올로기, 역사, 사상 등에 대해 깊이 있는 인식과 폭넓은 이해를 펼쳐 보인 바 있다. 특히 그는 마르크스주의와 사회주의의 장단점, 그 이상과 모순, 이론적 취지와 한계에 대해 정확하게 인지하고 있다. 이 점은 그가 해방직후 북한사회를 직접 체험했다는 사실과 더불어 동시대의 어떤 작가보다도 이념과 사상에 대해 깊이 인식하고 고뇌한 지적인 작가라는 점과 연관된다. 최인훈의 대표작이라 할 수 있는 ?광장?, 『회색인』, 『화두』에는 마르크스주의와 사회주의, 혁명에 대한 심도 깊고 다양한 언급이 등장한다. 이 소설들에는 주인공의이념적 사색과 역사와 사회에 대한 성찰이 중요한 요소로 서술되어 있는바, 그 중에서도 마르크스주의와 사회주의에 대한 대화와 사유가 커다란 비중을 차지한다. 마르크스주의와 사회주의에 대한 최인훈의 비판과 성찰은 그 사회가 억압하거나 은폐하고자 하는 것들을 무의식적으로, 상징적으로 드러내는 역할을 수행했다. 초기작 ?광장?에는 주인공 이명준을 통해 마르크스주의와의 만남의 풍경과 북한사회주의 현실에 대한 비판적 시선이 드러나 있다. 『회색인』은 북한시절 사회주의 체험과 함께 혁명이 변질된 사회주의사회의 문제점에 대해 묘사한다. 『화두』에서 마르크스주의와 사회주의에 대한 서술과 관심은 한층 확대된다. 마르크스주의에 대한 다양한 단상, 소련사회주의에 대한 성찰, 스탈린주의에 대한 비판 등이 펼쳐진다. 한 사회가 억압하고 있는 이념과 사상에 대한 성찰을 통해 그 사회의 현실과 모순을 근본적으로 되돌아보는 작업을 수행하는 것, 바로 이 점이 최인훈의 소설이 지닌 미덕이자 특징이다. The purpose of this thesis is to study on Marxism and Socialism in the novels, <The Square>, 《A Grey Man》, and 《The Topic》 written by Choi, In-Hoon. The novelist, Choi, In-Hoon shows the profound understanding of ideology and history more than any other writers. Especially, he recognizes both merits and faults of Marxism and Socialism, and their ideal and contradictions accurately. In these three novels, there are many statements about Marxism, Socialism, and revolution, and the thoughts on Marxism and Socialism are very important elements of these novels. In <The Square>, the author shows a scene where the protagonist encounters Marxism, and in another scene, he also presents the criticism on Socialism of North of Korea. In 《A Grey Man》, the author describes not only his own experience of Socialism in North of Korea, but also the problems of socialist state where the original revolutionary spirit has been deteriorated. In 《The Topic》, the author develops his thoughts and descriptions of Marxism and Socialism. A variety fragmentary thoughts on Marxism, reflections on the socialism of the Soviet Union, and criticisms on Stalinism are presented in the work. These novels examine various aspects of Ideologies which are suppressed by a society, and lead to the considerations on the reality and contradictions of the society. This feature is one of the most important virtues and characteristics of Choi, In- Hoon’s novels.

      • KCI등재

        천두슈의 마르크스주의 수용에 관한 한 연구

        이정구 중국지역학회 2023 중국지역연구 Vol.10 No.2

        이 논문은 천두슈가 마르크스주의를 수용하게 된 배경과 그 시기 그리고 그가 받아들인 마르크스주의가 어떤 내용을 지니는지를 밝히고자 했다. 천두슈가 급진민주주의자에서 마르크스주의자로 변신한 주된 동기는 제1차 세계대전 직 후 서방 열강들이 추구한 세계 질서가 또 다른 강권임을 보았기 때문이다. 그는 1920년 후반에서 1921년 초반에 마르크스주의자가 된 것으로 보인다. 그리고 그가 받아들인 마르크 스주의는 대체로 단계론이라는 점에서 구볼셰비즘과 비슷하지만 차이점도 있다. 마지막으로 이 논문은 천두슈가 마르크스주의자가 된 것이 그 시대적 배경에서 불가피한 선택이었음을 강조한다. This paper sought to clarify the background and time of Chen Duxiu's acceptance of Marxism, and what Marxism he accepted had. The main motivation for Chen Duxiu's transformation from a radical democrat to a Marxist was that he saw that the world order pursued by Western powers shortly after World War I was another power. He appears to have become a Marxist between late 1920 and early 1921. And Marxism, which he has embraced, is similar to Old Bolshevism in that it is generally a step theory, but it also has differences. Finally, this paper emphasizes that Chen Duxiu's becoming a Marxist was an inevitable choice in the background of that era in the Chinese society.

      • KCI등재

        마르크스주의 국제레짐 이론에 관한 연구

        최위정(Choi, Wi Jeong) 동국대학교 사회과학연구원 2014 사회과학연구 Vol.21 No.3

        국본 연구에서는 마르크스주의적 인식론과 방법론에 기하여 기존 국제관계 이론의 전개양상을 검토함과 동시에 그에 내재하는 근원적 한계를 발견하고, 그 지점으로부터 국제관계 이론의 새로운 관점으로서의 이른바 ‘비판이론’을 제시한 로버트 콕스(Robert Cox)의 논의를 중심으로 마르크스주의 국제레짐 이론의 정립 가능성을 타진하고자 한다. 콕스는 기존 국제관계학의 연구 경향들을 체계적으로 검토한 후, 특히 현실주의와 마르크스주의라는 양대 관점(혹은, 사회과학적 의미의 패러다임)하의 이론들을 집중적으로 분석한다. 그는 역사성의 유무라는 척도를 활용하여 각각의 사조에 내재하는 분파적 양상들을 포착한 후, 그로부터 마르크스주의 국제관계 이론으로서의 ‘비판이론’을 전개함으로써 스테판 길(Stephen Gill), 데이비드 로(David Law) 등과 함께 네오그람시주의 국제관계이론을 구축(構築)한다. 제1장 서론에서는 마르크스주의 국제레짐 이론의 의의를 제시한다. 제2장, 마르크스주의 이론의 좌표와 국제관계에서는 문제해결이론과 비판이론의 구별을 통해 네오그람시주의 이론의 목적을 설정함과 동시에 사적유물론으로부터 확인되는 네오그람시주의 이론의 좌표를 확인한다. 제3장, 마르크스주의 이론의 개념과 국제레짐에서는 네오그람시주의 이론의 중심 개념으로서의 역사적 구조를 이해하고 그것의 국제관계에의 적용으로서의 헤게모니와 세계질서를 규명한다. 제4장 마르크스주의 이론의 분석과 국제레짐에서는 기존 국제레짐 이론과의 호환가능성을 타진함으로써 네오그람시주의 이론의 정합성을 발견하고, 아울러 기존 국제레짐 이론에의 교정가능성을 제시함으로써 네오그람시주의 이론의 강점을 부각시킨다. 마지막으로 제5장 결론에서는 마르크스주의 국제레짐 이론의 공헌을 제시한다. This essay reviews the literature in political science and specifically, in international relations on regime formation and stability. Traditionally there have been three schools of thought, each of which emphasizes a different variables to account for international regimes: interest-based neoliberalism, power-based realism, and knowledge-based cognitivism. This essay recognizes the need to add class-based Marxism. Essentially, Marxist theory stands apart from the prevailing order of the world and asks how that order came about. However there is a wide range of theoretical frameworks within Marxist theory to choose from. Within the discipline of international relations we can identify Marxist, dependency, world systems, neo-Gramscian, feminist and postmodern approaches. This essay focuses on neo-Gramscian approach to correct several deficiencies identified in the mainstream approaches. First, the neo-Gramscian approach to international regimes corrects the state-centrism of mainstream approach to international regime formation. Second, the neo-Gramscian theoretical framework focuses on the importance of non-state actors at the national and international level. Third, the neo-Gramscian approach draws attention to the ideological dimension of international regimes. Finally, the neo-Gramscian approach corrects the mainstream account of regime transformation by adding the important dimension of political-economic struggle at the domestic and international level.

      • KCI등재

        분석적 마르크시즘의 공과(功過)

        이상기(Sang-Khee Lee) 한국언론정보학회 2009 한국언론정보학보 Vol.45 No.1

        마르크스가 스스로 자신은 마르크스주의자가 아니라고 밝힌 것처럼 오늘날 마르크스주의의 위기는 결코 마르크스의 위기와 동의어가 될 수 없다. 마르크스주의의 위기는 마르크스의 방대한 이론 체계에서 일부분만 떼어 설명하는 데서 나타난 결과일 뿐이다. 이런 맥락에서 ‘마르크스주의 정치경제학’이 아닌 ‘마르크스의 정치경제학’이 재고될 필요가 있다. 마르크스는 독일 관념론, 프랑스 공산주의, 영국 고전파 경제학을 두루 섭렵했고, 이들을 종합하여 다수의 프롤레타리아가 더 인간답게 살 수 있는 길을 제시했다. 마르크스는 이를 위해 무엇이든 조사했으며, 무엇이든 알고자 했다. 이러한 학문적 자세는 복잡한 현대사회를 설명코자 할 때 반드시 필요하다. 그럼에도 현대의 학문은 분화ㆍ발전되어 소통 및 총체적 설명의 부재를 경험하고 있다. 따라서 본 논문은 마르크스주의 경제학과 신고전파 경제학의 소통 가능성을 검토함으로써 본연의 정치경제학을 되살리고자 했다. 이러한 연구목적을 위해 경제학사적 접근방법을 시도했고, 분석적 마르크스주의 시각을 도입했다. 분석적 마르크스주의는 신고전파 경제학은 물론 기존의 사회과학에서 발전되어 온 방법론을 총동원하여 전통적인 마르크스주의 이론이 빠뜨렸던 현실과의 간격을 메우고자 했다. 그렇다고 이들의 작업이 모든 이들의 동의를 획득한 것도 아니며, 모든 것을 설명할 수 있다는 것은 더더욱 아니다. 결국 생산과 소비, 거시와 미시, 구조와 행위를 아우르는 이론체계를 정립하는 것이 정치경제학에 남겨진 과제이다. 이는 ‘미디어/커뮤니케이션 정치경제학’에도 해당된다. 특히 미디어/커뮤니케이션학 분야는 철학(미학), 인문학, 정치학, 경제학, 사회학, 공학까지 걸쳐 있고, 실재 미디어/커뮤니케이션 현상과 그와 관련된 정책 또한 다양한 정치경제적 역학구도 속에서 결정된다. 따라서 미디어/커뮤니케이션 정치경제학은 여전히 유효하며, 좀 더 많은 사람의 동의를 획득하기 위해 더 정교해질 필요가 있다. 모든 이론에 열린 자세를 가지고 학제 간 연구가 활성화된다면 미디어/커뮤니케이션 정치경제학의 설명력은 더 증대될 것이다. The recent crises of Marxism do not mean Marx's crisis. Marx said that he was not a Marxist. The purposes of this essay explore (1) the modern identity of the political economy; (2) the possibilities of mutual understanding between neoclassical economics and Marxist economics; (3) problems of the political economy in media and communication industry. I have begged for analytical Marxists, because of their good fruits. They accepted the methods of modern social science and they constituted a tremendous advance in the application of the scientific methods to the study of society. In insisting on micro-foundations(methodological individualism), analytical Marxism distinguished itself from structuralism and functionalism. I appreciate that analytical Marxism has reduced a theory to practice. But the works didn't listen to everyone(from Marxists to un-Marxists), and explain everything. Making theory with production/consumption, macro/micro, and structure/behavior is a road to the political economy in the long run. It also applies to media and communication industry. The realm of media/communication is broad, which in philosophy, humanities, politics, economics, sociology, and engineering. And media policy is more complicated by politicians who look at the same situation from different angles. By the aid of interdisciplinary research, the political economy of media/communication shall explain at full length.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