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코즈모폴리터니즘을 위한 문학, 르포르타주

        박성근 한국문학교육학회 2019 문학교육학 Vol.0 No.63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lan for the reflective cause on the post-modernism in order to practice the cosmopolitanism that strives for the polyphonic cosmos and review the literature need and possibility of the reportage as its mechanism. For this purpose, on the basis of the discourse of Peter V. Zima who first read the ‘gap’ of modern and post-modern symptomatically, it has set the issues that the indiscrete position acquired by the subjects liberated from the uniformity and ambivalent causes under the pluralism would never be the conclusion of democracy. Therefore, the clue for problem solving is intended to seek in the cosmopolitanism that implies the fact that the pertinent issues of our lives for us to contemplate and share would be the agenda of expanded dialogic discourse as the global citizens, not the share for individual subject. In other words, we are interconnected to entire global issues by the sophisticated network and the responsibility thereto has been imposed upon us. In the meantime, through the cases of G. C. Spivak and S. Alexievich, In the point that reportage may be one of the channels to promptly dissipate and expose the issues in the body of another that could be political style or characteristic that contained responsibilities and ethics of literature, it is deemed to be a medium for practicing the cosmopolitanism. Furthermore, by taking a look at the aesthetic features of reportage that is confirmed within the classics of reportage and the venue for our literature, it is shown to request for understanding and discussion in the methodological level on the reportage. In sum, any work to expend the extension of literature through the literature for the cosmopolitanism, reportage, would not be the work to demolish the identity of literature under any circumstances. Disintegration of literature may need to confirm as a struggling process for encountering literature of more justified and equitable face. 이 연구의 목적은 다성적 전체를 정향하는 코즈모폴리터니즘의 실천을 위해 포스트모더니즘에 대한 반성적 사유를 기획하고 그 메커니즘으로서 르포르타주의 문학적 필요성과 가능성을 검토하는 데 있다. 이를 위해 우선 모던과 포스트모던의 ‘틈’을 징후적으로 읽어낸 페터 V. 지마의 논의를 토대로 동일성과 양가적 사유로부터 해방된 주체들이 다원주의의 자장 속에서 획득한 무차별적 지위가 결코 민주주의의 결말이 될 수 없다는 점을 문제로 설정하였다. 이에 우리가 고민하고 공유해야 할 삶의 제 문제들이 개별 주체의 몫이 아닌세계인민으로서 확장된 대화적 담론의 의제가 되어야 한다는, 즉 우리가 섬세한 망에 의해 전지구적 문제에 연루되어 있으며 그에 대한 책임이 우리에게 부과되어 있다는 코즈모폴리터니즘에서 문제 해결의 실마리를 찾고자 하였다. 한편 스피박과 알렉시예비치의 사례를 통해 르포르타주가 문학의 책임과 윤리를 담지한 정치적 양식이자 유표화될 수 없는 타자 스스로의 몸으로 문제를 신속하게 전파하고 폭로할 수 있는 하나의 채널이라는 점에서 코즈모폴리터니즘의 실천을 위한 미디어가 될 수 있다고 보았다. 나아가 르포르타주의 고전과 우리 문학장 내에서 확인되는 르포르타주의 미학적 특성을 살펴봄으로써 르포르타주에 대한 방법론적 차원에서의 이해와 논의가 요청됨을 알 수 있었다. 요컨대 코즈모폴리터니즘을 위한 문학, 르포르타주를 통해 문학의 외연을 확장하는 작업은 결코 문학의 정체성을 파괴하는 일이 아니다. 문학의 해체는 좀 더 정의롭고 평등한 얼굴의 문학을 마주하기 위한 투쟁적 과정임을 확인해둘 필요가 있다.

      • KCI등재

        르포르타주의 주관성과 객관성

        이영주 ( Young Ju Lee ) 한국뷔히너학회 2014 뷔히너와 현대문학 Vol.0 No.42

        르포르타주가 본격적으로 등장한 20세기 이후에 객관성과 주관성의 문제는 소위 논란의 중심이었다. 리포터가 객관성을 유지하고 취재활동을 한다하더라도 있는 사실 그대로를 독자에게 전달하는 것은 불가능에 가까웠기 때문이다. 주관성과 객관성 사이에서 균형잡기 위해 지금까지 르포르타주에는 많은 방법들이 동원되어 왔다. 예를 들어 리포터가 지니고 있는 상황지식 또는 선이해를 통해 보고자하는 사건을 좀 더 정확하게 판단하고 각종 통계수치와 기본 상식 등이 첨가됨으로써 르포르타주의 객관성을 보장하고자 했다. 그러나 이를 위해 사용된 정보들이 과연 완전한 신빙성을 지녔는가에 대한 의문은 당연한 것이다. 또한 가장 오래된 리포타주의 한 종류인 여행보고서의 경우에는 여행자로서, 단순 관찰자로서 대상에 대해 듣고 보고 느낀 것에 대해서만 보고하게 되고 이로써 객관성을 유지하고자 하였지만 바로 그 이유 때문에 대부분의 내용이 피상적인 겉모습에만 머물게 된다는 단점이 발생하게 된다. 물론 한트케와 같이 문학적 언어로 좀 더 내면적인 부분을 전달하고자 한 경우도 있지만 그 또한 리포터 또는 작가의 주관성에서 완전히 벗어나기는 어려웠다. 이러한 어려움을 극복하기 위해 장기간의 관찰, 심지어 자신의 신분을 숨기고 관찰하고자 하는 대상의 한부분이 되어 그 내면의 깊은 곳까지 독자에게 전달하고자 한 시도들이 있어왔다. 그러나 장기간의 관찰기간 동안 리포터에 대한 관찰 대상자들의 반응은 리포터의 존재 자체만으로도 영향 받을 수 있으며, 리포터가 전달받는 정보들이 관찰대상자들에 의해 의도된 또는 조작된 것일 수 있다는 문제점이 나타난다. 역할관찰의 경우, 리포터는 가상의 존재 뒤에 숨어 대상을 관찰하게 된다. 이로써 내밀한 부분의 정보까지 리포터는 얻게 되지만, 이런 경우에도 리포터는 완전히 사라지는 것이 아니라, 대상에 대한 관찰과 동시에 가상의 존재에 대한 관찰, 그리고 리포터 자신과 가상의 존재 사이의 갈등 등 복잡한 관계에 얽혀있게 된다. 한편 르포르타주의 내용에 대한 빠른 이해와 설명 그리고 객관성을 촉진하기 위해 사진들이 사용되기도 한다. 그러나 이 또한 리포터에 의해 선별과정과 사진의 내용, 그 나열 순서 등이 의도적으로 영향을 받게 된다. 결론적으로 리포타주의 완벽한 객관성은 달성되기 어렵다. 그러나 사실 독자가 리포타주에게 바라는 것은 완벽한 객관성이 아니라, 설득력 있는 전달이다. 보고하고자하는 대상 또는 사건이 어떤 것이든 간에 리포터는 독자로 하여금 자신을 신뢰하고 자신이 전달하는 내용을 받아드릴 수 있도록 만드는 것이 리포타주의 궁극적인 목적이 아닐까 생각한다.

      • KCI등재

        ‘언어=사실’의 세계 ― 전쟁과 르포르타주

        車承棋 ( Cha Seung-ki ) 성균관대학교 대동문화연구원 2019 大東文化硏究 Vol.107 No.-

        이 글은 일제말 전시체제기 ‘사실의 세기’의 대표적 문학형식으로서 보고문학의 생산이 강요되었던 위기적 맥락에 주목해, 르포르타주적 글쓰기와 관련된 정치적, 미학적 문제를 숙고하고자 했다. 기존의 질서, 가치, 규범 등이 위기 상태에 처해지는 순간, 말과 사물이 맺어온 기존의 관계가 붕괴되거나 위태로워지고 새로운 관계가 모색된다. 이 위기 상태는 늘 그때그때의 사실과 대면할 것을 요구해 왔고, 르포르타주적 글쓰기는 그 요구에 응답해 왔다. 1차 세계대전 후 아방가르드의 자율성 예술 비판, 마르크스주의 문화운동의 선전과 연대, 전쟁시기(아시아-태평양전쟁에서 한국전쟁까지)의 종군문학 등이 그 응답의 일부였다고 해도 좋을 것이다. 일제의 식민지 전시체제는 예외상태를 상례화하는 전선/총후의 정치적-의미론적 장치 아래 문학을 포획해 전선의 ‘사실’을 보고할 것을 강요했다. 이로써 근대 문학의 제도적 존립 근거들과 개인의 자율성 신화가 심각하게 의심받게 되었으나, 위기의 글쓰기로서의 르포르타주는 공식 미디어에 흡수되었고, 문학 자체를 ‘보고’로 만들어버리는 자폐성을 극복할 수 없었다. 그러나 속도, 탈개성성, 조직력이라는 특성을 갖는 반[半=反]-장르로서 르포르타주는, 분리되었던 것을 연결하면서 문학을 다른 사용에 맡기는 실천의 일부로서 잠재력을 간직하고 있다. This article intends to contemplate political and aesthetic issues related to reportage writing, focusing on the critical situation during wartime that colonial Korean writers were forced to produce reportage literature (bogomunhak) as an representative literary form of the "century of facts". At the critical moment of order, values, and norms, the existing relationships between words and things collapse or are in jeopardy, and then a way to forge new relationship can be found. Reportage writing has been a response to the demand to confront the facts of the time in the crisis. It can be said that Avant-Garde criticism of the art of autonomy after World War I, the propaganda and solidarity of Marxist cultural movements as well as military literature during wartime from the Asia-Pacific War to the Korean War were such responses. Imperial Japan's wartime system captured Korean literature in the front/rear political-semantic dispositif to set the state of exception as usual and forced it to report the "FACT" of the front lines. Accordingly, reportage, as writing of crisis, integrated into the official media although the institutional basis of modern literature and the myth of individual autonomy had been seriously questioned. Reportage writing during wartime could not overcome the autistic characterization to limit the literature itself to a 'report.' However, reportage as an anti/semi-genre marked by promptness, de-individuality, and organizing ability retains its potential as part of its practice to link up separate things and to employ literature otherly.

      • KCI등재

        안톤 체홉의 작품에 대한 재해석

        박영은(Park, Young Eun) 한국외국어대학교 외국문학연구소 2010 외국문학연구 Vol.- No.40

        본 논문에서는 안톤 체홉의 <제6병동 Палата No.6>(1892)을 각색하여 제작한 카렌 샤흐나자로프의 영화 <제6병동>(2009)의 의미를 규명하며, 체홉 작품을 재해석한 영화적 양식의 특수성을 고찰하였다. 안드레이 라긴이라는 정신과의사가 이반 그로모프라는 환자의 영향으로 정신병원 환자가 되어 죽어간다는 소설 내용에 기반을 두면서도 ‘르포르타주 reportage’적 기법을 도입하고 선형적인 소설의 서사 구조를 원환(圓環)적 구조로 변경한 감독의 의도 규명에 주안점을 두고 영화 <제6병동>을 분석하였다. 또한 이 작품은 르포르타주 기법과 일반적인 영화 기법이 혼용되어 제작된, 이른바 논픽션과 픽션의 경계를 드러내는 작품이라는 점에 주목하였다. 일반적으로 픽션의 대칭개념으로 쓰이는 다큐멘터리 documentary나 르포르타주는 현실과의 밀착성을 중시하는데, 이 영화 역시 정신병원에서 촬영하였을 뿐만 아니라 실제 정신질환자들이 등장하여 자신들을 소개하는 인터뷰 장면을 제시하면서 리얼리즘의 요소를 강화하고 있다. 또한 모든 사건의 전말을 알고 전지전능한 입장에서 기술하는 체홉 작품에 비해 철저하게 관찰자의 입장을 고수해야 하는 르포르타주 형식의 한계를 극복하기위해 여러 사람들이 자신의 의견을 말하는 인터뷰 형식으로 한 인물이나 사건에 대한 입체적인 조망을 시도하기도 한다. 영화 <제6병동>은 서사 구조에 있어서 소설과 분명한 차이점이 감지되는 작품이기도 하다. 라긴의 죽음으로 종결되는 체홉의 <제6병동>과는 달리, 영화에서는 라긴의 죽음 이후에도 지속되는 삶이라는 부분을 부각시킨다. 이것은 체홉 소설과는 달리 주제적 차원에서 인간의 불멸을 형상화하고 싶은 감독의 의지를 엿보게 하는 대목이다. 또한 영화 첫 장면에 등장하는 17세기의 여자 수도사는 21세기 정신병동의 새해 파티에서 라긴에게 춤을 청하는 정신병동의 환자와 동일한 여배우가 역할을 맡고 있는데, 이것 역시 윤회적 차원에서 정신병동 환자가 여자 수도사의 환생이라는 것을 암시하는 것이다. 영화에서는 소설 플롯에서는 그다지 중요하지 않았던 에피소드를 주인공 라긴의 죽음 이후에 배치하고 있다는 점 역시 눈여겨보아야 한다. 체홉 작품에는 병원 의사직에서 사퇴를 하게 된 라긴이 세들어 살던 벨로바라는 여인의 두 딸에 관한 이야기가 등장하는데, 영화에서는 라긴의 사망 이후에 바로 이 아이들이 그의 선함을 증언하는 역할을 맡으며 영화는 이 아이들의 웃음으로 마무리된다. 카렌 샤흐나자로프 감독은 영화를 통해 보다 적극적으로 라긴이 보여준 세상에 대한 휴머니즘적 시선과 그에 대한 긍정적 평가에 무게중심을 두고 있는 것이다. 결국 영화는 라긴에 대한 의사 호보토프의 차갑고 냉소적인 태도로 시작되었지만, 결국 라긴을 사랑하는 아이들의 웃음으로 종결되면서 체홉 작품의 페시미즘적 경향을 희석시키고 있다. 이러한 방식으로 영화 <제6병동>은 르포르타주 기법을 효과적으로 사용하며 19세기 말 체홉식의 리얼리즘을 21세기 러시아의 현재적 시각에서 재창조하고 있다. This paper aims at investigating the cinematic particularity of the films that reinterpret the works of Anton Chekhov through clarifying the meaning of the movie “Ward No. 6”(2009) by Karen Shakhnazarov. For this purpose, the film “Ward No. 6” is analyzed focusing the director’s intention, which introduced the documentary film techniques and changed the narrative structure of the story by Chekhov. The movie is characterized by changing the narrative style from the linear structure of the novel to the circular structure of the film. The movie “Ward No. 6” is a work that was produced by a mixture of the documentary techniques and those of cinematics and, therefore, reveals the boundaries between fiction and nonfiction. Generally speaking, the documentary, which is used to the symmetrical concept of the fiction, tends to emphasize that it is close to the realities of life. This is why the movie was cranked in a psychiatric hospital. Furthermore, there appear real psychopaths to meet these objectives, strengthening the elements of realism. The film also shows a big difference from the story by Chekhov in the narrative structure. The setting of the story "Ward No. 6" is a familiar Chekhovian landscape: a remote provincial town, stagnant, cultureless, and corruptly administered. Gromov and Dr. Ragin are the only two men of intelligence in the entire population. Both of them have to struggle not to be submerged in the hostile environment, and eventually both are defeated. Unlike the Chekhov’s story, which ends with the death of Ragin, the film highlights a message of continuous life even after the passing of the doctor. It plays a special role to show the director's intention, human immortality. The movie also puts stress on an episode with Belova and her daughters, which is the less important plot in the Chekhov’s story, after the death of the protagonist Ragin. Likewise, the director Karen Shakhnazarev more aggressively emphasizes Ragin's eyes of humanism throughout the film.

      • KCI등재

        가족의 과거사로 떠나는 저널리즘적 연구여행 - 카챠 페트로프스카야의 문학적 르포르타주 『아마도 에스터』(2014)

        박균호 ( Pak Kunhoo ) 연세대학교 유럽사회문화연구소 2022 유럽사회문화 Vol.- No.28

        우크라이나 출신의 독일어권 작가 카챠 페트로프스카야는 사실성과 허구성이라는 측면에서 언뜻 보면 상반돼 보이는 저널리즘과 문학이라는 분야 모두에서 자신의 직업적 행로를 걸어 왔다. 잉에보르크 바흐만 문학상(2013)을 수상한 단편 아마도 에스터 가 수록된 페트로프스카야의 같은 제목의 데뷔작 『아마도 에스터』(2014) 역시 그녀의 이력처럼 저널리즘과 문학적 글쓰기가 결합된 특징을 보여준다. 이러한 관점에서 본 논문은 『아마도 에스터』의 서술형식을 '문학적 르포르타주' 라는 장르의 관점에서 분석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먼저, 멀리 봐서는 헤로도토스의 『역사』에까지 소급될 수 있으며 가까이는 1920년에 전성기를 맞이한 문학적 르포르타주의 여러 특징들을 살펴볼 것이다. 나아가 이를 바탕으로 문학적 르포르타주의 '사실성, 객관성, 주관성, 허구성'이라는 4가지 측면에서 『아마도 에스터』를 해석함으로써 작품이 가지고 있는 저널리즘과 문학의 긴장관계를 조명하고자 한다. 카챠 페트로프스카야 본인으로 등장하는 『아마도 에스터』의 1인칭 화자는 러시아-폴란드-유대적 계통의 가족사를 탐구하기 위해 바르샤바, 모스크바, 키이우, 마우타우젠 등으로 연구여행을 떠나는 한편, 여러 기록 보존소들 또는 인터넷 검색을 통해 자신의 가족과 관련된 자료들을 조사한다. 이와 동시에 화자의 가족과 얽혀있는 19세기 후반부터의 유럽 역사가 불가피하게 다뤄지며, 이러한 자료조사 과정의 묘사와 가족사와 유럽사에 관한 서술은 작품의 사실성과 연관된다. 다음으로 단일한 사건을 다룸에 있어서 화자의 관점 외에도 여러 자료들과 증언들을 바탕으로 한 다양한 관점들이 빈번히 제시되는데, 이는 작품의 객관성을 높여주는데 기여한다. 저널리즘적 특징에 가까운 사실성과 객관성과 더불어 『아마도 에스터』는 주관성과 허구성이라는 문학적 특징 또한 지니고 있다. 제목 속의 부사 아마도가 암시하듯이, 가족사에 관한 증언, 기억 또는 자료의 불확실성은 작품에서 가장 중요한 주제 중의 하나이다. 작가는 이러한 불확실성을 가정법이나 독백과 같은 주관적 서술방법을 통해 해소하고자 한다. 서술자의 주관적 개입이 한정적으로 허용된다는 문학적 르포르타주의 특징은 작품에서 문법적 그리고 표기법적인 방법으로 작가의 주관적 생각과 객관적 사실이 분명히 구분된다는 점에서 잘 드러난다. 마지막으로 『아마도 에스터』는 허구적 인물과 이야기를 다루고 있지 않지만, 위에서 언급한 불확실성으로 인한 비고의적인 허구성을 약간의 창작이 이야기를 더 진실 되게 만든다는 점에서 긍정한다. rman-speaking author Katja Petrowskaja from Ukraine, has followed her professional path in both journalism and literature, which at first glance seem contradictory in terms of reality and fiction. Petrowskaja's debut work with the title, Maybe Esther(2014), which contains the short story under the same title, which won the Ingeborg Bachmann Literary Award(2013), also features a combination of journalism and literary writing, like her biography. From this point of view, this thesis tries to analyze the narrative form of Maybe Esther from the perspective of a genre called 'literary reportage'. To this end, we will look at various features of the literary reportage that, from a distance, can be traced back to Herodotus's History and, at a close distance, reached its heyday in 1920s. Furthermore, based on this, I try to examine the tension between journalism and literature in the work by interpreting Maybe Esther from the four aspects of 'factuality, objectivity, subjectivity, and fictionality' of literary reportage. First of all, the first-person narrator of Maybe Esther, who appears as Katja Petrowskaja herself, goes on a research trip to Warsaw, Moscow, Kyiv, and Mauthausen to research the Russian-Polish-Jewish family history. And she also collects materials related to your family through various archives or Internet. At the same time, European history from the second half of the 19th century, which is intertwined with the narrator's family, is inevitably dealt with. The description of this research process and the description of family history and European history are related to the factuality of the work. Next, in dealing with a single case, various viewpoints based on various materials and testimonies are frequently presented in addition to the narrator's viewpoint, which contributes to enhancing the objectivity of the work. In addition to factuality and objectivity close to the characteristics of journalism, Maybe Esther also has literary features of subjectivity and fictionality. As the adverb maybe in the title suggests, the uncertainty of testimonies, memories, or data about family history is one of the most important themes in the work. The author attempts to resolve these uncertainties through subjective narrative methods such as subjunctive or monologue. The characteristic of literary reportage that the narrator's subjective intervention is limitedly allowed is evident in the fact that the author's subjective thoughts and objective facts are clearly distinguished in the work by grammatical and notational methods. Finally, although Maybe Esther does not deal with fictional characters and stories, it affirms the unintentional fictionality caused by the uncertainty mentioned above in that a little creation makes the story more true.

      • KCI등재

        Subjektivität und Objektivität in der Reportage

        이영주 한국독일현대문학회 2014 뷔히너와 현대문학 Vol.0 No.42

        르포르타주가 본격적으로 등장한 20세기 이후에 객관성과 주관성의 문제는 소위 논란의 중심이었다. 리포터가 객관성을 유지하고 취재활동을 한다하더라도 있는 사실 그대로를 독자에게 전달하는 것은 불가능에 가까웠기 때문이다. 주관성과 객관성 사이에서 균형잡기 위해 지금까지 르포르타주에는 많은 방법들이 동원되어 왔다. 예를 들어 리포터가 지니고 있는 상황지식 또는 선이해를 통해 보고자하는 사건을 좀 더 정확하게 판단하고 각종 통계수치와 기본 상식 등이 첨가됨으로써 르포르타주의 객관성을 보장하고자 했다. 그러나 이를 위해 사용된 정보들이 과연 완전한 신빙성을 지녔는가에 대한 의문은 당연한 것이다. 또한 가장 오래된 리포타주의 한 종류인 여행보고서의 경우에는 여행자로서, 단순 관찰자로서 대상에 대해 듣고 보고 느낀 것에 대해서만 보고하게 되고 이로써 객관성을 유지하고자 하였지만 바로 그 이유 때문에 대부분의 내용이 피상적인 겉모습에만 머물게 된다는 단점이 발생하게 된다. 물론 한트케와 같이 문학적 언어로 좀 더 내면적인 부분을 전달하고자 한 경우도 있지만 그 또한 리포터 또는 작가의 주관성에서 완전히 벗어나기는 어려웠다. 이러한 어려움을 극복하기 위해 장기간의 관찰, 심지어 자신의 신분을 숨기고 관찰하고자 하는 대상의 한 부분이 되어 그 내면의 깊은 곳까지 독자에게 전달하고자 한 시도들이 있어왔다. 그러나 장기간의 관찰기간 동안 리포터에 대한 관찰 대상자들의 반응은 리포터의 존재 자체만으로도 영향 받을 수 있으며, 리포터가 전달받는 정보들이 관찰대상자들에 의해 의도된 또는 조작된 것일 수 있다는 문제점이 나타난다. 역할관찰의 경우, 리포터는 가상의 존재 뒤에 숨어 대상을 관찰하게 된다. 이로써 내밀한 부분의 정보까지 리포터는 얻게 되지만, 이런 경우에도 리포터는 완전히 사라지는 것이 아니라, 대상에 대한 관찰과 동시에 가상의 존재에 대한 관찰, 그리고 리포터 자신과 가상의 존재 사이의 갈등 등 복잡한 관계에 얽혀있게 된다. 한편 르포르타주의 내용에 대한 빠른 이해와 설명 그리고 객관성을 촉진하기 위해 사진들이 사용되기도 한다. 그러나 이 또한 리포터에 의해 선별과정과 사진의 내용, 그 나열 순서 등이 의도적으로 영향을 받게 된다. 결론적으로 리포타주의 완벽한 객관성은 달성되기 어렵다. 그러나 사실 독자가 리포타주에게 바라는 것은 완벽한 객관성이 아니라, 설득력 있는 전달이다. 보고하고자하는 대상 또는 사건이 어떤 것이든 간에 리포터는 독자로 하여금 자신을 신뢰하고 자신이 전달하는 내용을 받아드릴 수 있도록 만드는 것이 리포타주의 궁극적인 목적이 아닐까 생각한다.

      • KCI등재

        해방기 문화운동과 르포르타주 문학

        박정선(Park Jung-sun) 한국어문학회 2009 語文學 Vol.0 No.106

        The method of creative writing in the national literature is the progressive realism in the liberation period. Kim, O-seong’s theory of reportage is one of an embodied discussion in the progressive realism. He proposed the theory of reportage as a way to report people actuality and resistance really, spread its news quickly. He included reportage in a realism literature and raised it to the status of the people literature. And he rated reportage high as the part of a democracy movement. He emphasized a fidelity, totality, materialistic-dialectical world view, writer’s revolutionary practice as matters to be attended to write reportage. These are the core element of progressive realism. But in the liberation period reportage had been writed before Kim, O-seong suggested the theory of reportage. It was possible because of dynamics of reality and the explosive increase of mass-media. And reportage in the liberation period has a characteristic of cultural movement. Reportage in the liberation period is classified as things about various event, the people’s state, their struggle, and writer’s experience. In this thesis I analyzed reportage in the liberation period a thing about various event and cultural movement only. These reportages have informations on a main event or phenomenon in the liberation period and a recorder’s comment. And they use the present tense, quoted the remark of the persons concerned directly. It also quotes a passage from other poet’s work. These are literary methods for a sense of realism and emotional effect. Through this, reportage in the liberation period expressed the reality of those days vividly.

      • 『헤로도토스와의 여행 (Podróże z Herodotem)』에 나타난 리샤르드 카푸시친스키의 저널리즘 철학

        최성은(Choi, Sung-Eun) 아시아·중동부유럽학회 2012 동유럽발칸학 Vol.14 No.1

        2006년에 출간된 『헤로도토스와의 여행 (Podróże z Herodotem)』은 카푸시친스키가 남긴 마지막 르포르타주이다. 이 작품은 하나의 장르로 규정짓기 힘든 새롭고 독창적인 저서이다. 르포르타주이면서 역사책이기도 하고, 기행문이면서 회고록이기도 하며, 철학적인 단상을 담은 에세이이기도 하기 때문이다. 『헤로도토스와의 여행』에서 카푸시친스키는 자신이 체험한 다양한 취재 여행을 회고하면서 동시에 고대 그리스의 역사가인 헤로도토스가 남긴 역작 『역사』를 수시로 인용함으로써 자신보다 무려 2500년을 앞서 살았던 헤로도토스와 화자(話者)의 역할을 나누는, 새롭고 독특한 문학적 실험을 시도하였다. 유구한 역사의 현장, 혹은 생생한 사건의 한복판에서 가상의 길동무인 헤로도토스를 등 장시켜 역사적인 맥락에서의 성찰과 분석을 감행한 것이다. 『헤로도토스와의 여행』에는 언어와 문화, 공간과 시간의 경계를 넘나들면서 기자로서, 르포르타주 작가로서 성장해가는 카푸시친스키의 자전적 스토리와 더불어 그가 고민해왔던 저널리즘 철학이 생생하게 담겨있다. 기자라면 취재를 위해 아무 때나 주저 없이 길을 떠날 수 있어야 하고, 늘 사실을 확인하고, 다양한 동기를 조사하고, 정황을 면밀히 분석하는 태도를 가져야 한다는 것, 진솔한 대화를 통해 인터뷰이의 진심을 이해하기 위해 노력하며, 사람에 대한 애정을 잃지 않고, 사람에 관한 이야기를 써야 한다는 것, 상대방의‘다름’을 받아들이고, 그 ‘다름’을 자신의 참모습을 객관적으로 바라볼 수 있는 거울로 삼는 것, 다(多)문화의 가치를 인정하고, 모두가 평화롭게 더불어 사는 세상을 만들기 위해 최선을 다하라는 것, 어떻게 보면 저널리스트가 가져야 할 가장 기본적인 덕목이라고 할 수 있는 이러한 내용들이 바로 카푸시친스키의 저널리즘 철학의 본질 이다. Ryszard Kapuściński (1932-2007) is one of the most famous polish journalists, reporters and writers. Travels with Herodotus published in 2006 was the last reportage of Ryszard Kapuściński. This is an hommage to the life of Herodotus and his work History but is also an autobiographical story of Kapuściński. Kapuściński's books changed the way many of us think about nonfiction and made many of us want to travel for ourselves and see for ourselves. Herodotus, Kapuściński reasonably imagines, interviewed many of his subjects by campfire. Kapuściński described his own work as "reportage essay". And, although he was personally a modest man, he believed in its importance for understanding the world. "Without trying to enter other ways of looking, perceiving, describing, we won't understand anything of the world." The European mind, he believed, was often too lazy to make the intellectual effort to see and understand the real world, dominated by the complex problems of poverty, and far away from the manipulated world of television. He spoke always about the importance of reportage, and delivered stinging attacks on news as a commodity, and on the flying "special correspondents" who report on instant drama without context or follow up. He hated what he called the "metamorphosis of the media". The value of news in his day, he said, had nothing to do with profits, but was the stuff of political struggle, and the search for truth.

      • KCI등재

        전쟁의 어떤 당사자인가? - 1970년 전후 일본에서의 베트남 전쟁 르포르타주와 소설 표현 -

        가게모토 츠요시(KAGEMOTO, Tsuyoshi) 연세대학교 국학연구원 2020 동방학지 Vol.190 No.-

        일본은 베트남전쟁을 통해 경제 성장을 했다. 1965년, 베트남 전쟁이 본격화되면서 현지 르포르타주가 양산되었다. 그것은 읽을거리로 소비되는 한편, 전쟁으로 희생되는 베트남 민중에 대한 관심을 불러일으켰다. 베트남 반전 운동에 참여했던 일본 시민 대다수는 베트남과 직접적인 관련을 가지지 않았다. 반전 운동은 그들에게 운동에 참여하는 각자의 행동 근거를 찾게 만들었다. 그것은 ‘2차 대전의 피해자’도 ‘계급’도 아닌 미일 안보체제 하에서의 일상생활 비판으로 연결되어, 전쟁의 ‘가해자’라는 입장으로 나타났다. 반면 베트남전쟁을 취재한 작가들은 반복해서 베트남을 그렸다. 가이코 다케시(KAIKO Takeshi)와 히노 게이조(HINO Keizo)는 문학표현을 통해 반전 운동과는 다른 사상을 펼쳤다. 그것은 개인적 경험을 부각시키는 비정치적 작업이었다. 가이코의 경우 피해자도 가해자도 아닌 방관자로서의 당사자성을 모색하면서 동시에 베트남 민중들의 생활력을 형상화했다. 그러한 모색은 일본이 베트남전쟁에서의 직접적 당사자가 아닌 위치에 있다는 조건으로 인해 가능했다. 당사자가 아니기 때문에 당사자성에 대해 모색할 수 있던 것이다. 제3자의 당사자성을 모색한 기록은 문학이 가지는 정치성이라고 할 수 있다. The Vietnam War has grown the Japanese economy. A lot of Reportage from the Vietnam War has been published. Japanese people became interested in the Vietnam War after reading Reportage. Through the anti-war movement, the Japanese discovered that Japan is the perpetrator of the Vietnam war. The writers wrote a novel about the Vietnam War. KAIKO Takeshi and HINO Keizo have written stories about Vietnam over and over again. They developed ideas different from those of the antiwar movement.

      • KCI등재후보

        논픽션의 올바른 자리매김을 위한 시론

        이승하(Lee, Seung-Ha) 픽션과논픽션학회 2019 픽션과논픽션 Vol.1 No.1

        Fiction is a story of fabrication, whereas non-fiction is a work based upon the truth that is not created. Therefore, it is interesting to discuss the point at which fiction and fact (non-fiction) are separated and distinguished. For example, we can first mention Arirang , a documentary literature and reportage, written by Nym Wales; in Korea, there is Dong-Woo Yu’s autobiography called The Cry of a Stone , Beyond Death and Beyond the Darkness of Times by Suk-Young Hwang, Operation Order Splendid Vacation by reporter Jae-Geol Yoon, etc. Additionally, travel essays or travelogues that document expeditions and travels, such as Marco Polo’s The Travels of Marco Polo , also fall into the non-fiction category. A representative work from Korea would be Memoir of the Pilgrimage to the Five Kingdoms of India written by Hye-Cho. Modern books of travel include Traveler’s Account of the Soviet Union by Tae-Joon Lee, Traveler’s Account of the Coast by Tae-Joon Kim, and No-Ma-Man-Ri by Sa-Ryang Kim. Works in the form of biographies or critical biographies can be seen as a branch of history beyond the category of a personal story. For instance, examples include the Gospel of Jesus, Socrates, and the heroic tales of Plutarchos. Furthermore, Oriental biographical literature can be represented by Sima Qian’s Historic Chronicles (史記), while among the Korean biographies, The Critical Biography of Dong-Ju Yoon is considered excellent work. Of course, a diary can also be great non-fiction as an autobiographical record. Works like Admiral Sun-Shin Yi’s Nanjung-Ilgi are pieces of literature in the form of a diary with essential material value in social and political history. As for diaries of modern times in Korea, the diary of Chi-Ho Yun is mentionable, and of the present-day there is Seong-Chil Kim’s diary. Autobiographies and memories are the products of efforts to leave records of life, like Les Confessions of Augustinus, Memoirs of Lady Hyegyeong by Crown Princess Hong, and Baekbeomilji by Kim-Gu. In addition, Gandhi’s autobiography became a word-class bestseller. There is also a unique genre for diaries written in prison: Oscar Wilde, Louise Rinser, Gwang-Sup Kim, Yeong-Bok Shim, etc. are writers of such genre. We must also notice that some view the scriptures of the world’s three major religions as non-fiction. Overall, we can comprehend the long history and influence that non-fiction has brought to us. Thus, we can only hope that the prejudice and devaluation against non-fiction work will be demolished in order to embrace diverse types of literature. 픽션은 창작해낸 허구의 이야기이고, 논픽션은 허구적 창작물이 아닌 사실에 입각하여 쓴 작품이다. 논픽션이 픽션과 변별되는 지점, 사실(fact)과 허구(fiction)의 변별되는 지점을 고찰해볼 수 있다. 기록문학인 르포르타주로 님 웨일즈의 『아리랑』을 꼽을 수 있고, 국내저작으로는 유동우의 수기 『어느 돌멩이의 외침』, 황석영의 『죽음을 넘어 시대의 어둠을 넘어』와 윤재걸 기자의 『작전명령 화려한 휴가』 등을 들 수 있다. 마르코 폴로의 『동방견문록』처럼 탐험과 여행을 기록하는 형식의 기행문이나 여행기도 논픽션의 범주에 들어간다. 한국의 대표작으로 혜초가 쓴 『왕오천축국전』이 있다. 근대의 여행기로는 이태준의 『소련기행』, 김태준의 『연안기행』, 김사량의 『노마만리』를 들 수 있다. 전기 혹은 평전 형식의 작품은 개인사의 범주를 넘어 역사의 한 갈래로도 볼 수 있다. 예수의 복음서를 비롯해 소크라테스, 플루타르코스 영웅전 등의 거대서사에서 그 예를 찾아볼 수 있다. 동양의 전기 문학은 사마천의 『사기』를 들 수 있다. 국내 전기물 중에 뛰어난 저작으로 『윤동주 평전』이 있다. 일기 역시 자전적인 기록으로 훌륭한 논픽션이 될 수 있다. 이순신의 『난중일기』와 같은 작품은 사회사ㆍ정치사적 중요한 자료적 가치를 갖는 일기형식의 문학의 한 예다. 국내 작가의 대표적인 일기로는 근대는 윤치호, 현대는 김성칠의 것을 꼽을 수 있다. 자서전과 회고록은 삶에 대한 기록을 남기려는 의식의 산물로 아우구스티누스의 『고백록』을 예로 들 수 있다. 혜경궁 홍씨의 『한중록』, 김구의 『백범일지』와 같은 작품이 있다. 간디의 자서전은 세계적 베스트셀러가 되었다. 옥중기라는 특이한 장르도 있다. 오스카 와일드, 루이제 린저, 김광섭, 심영복 등이 옥중기를 집필했다. 세계 3대 종교의 경전을 논픽션으로 보는 시각도 존재한다. 이를 통해 우리는 논픽션의 유구한 역사와 영향력을 짐작해 볼 수 있다. 이 땅에서도 앞으로 논픽션에 대한 편견과 평가절하가 사라져 다양한 문학을 포용할 수 있게 되는 날이 오기를 바란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