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1930년대 시전문 동인지와 로컬리티

        강호정 ( Ho Jung Kang ) 한민족문화학회 2015 한민족문화연구 Vol.51 No.-

        이 논문은 1930년대, 경성이 아닌 타 지역에서 발간된 주요 동인지를 대상으로 동인지의 로컬리티 문제를 살펴보았다. 1930년대 동인지가 속출한 가운데 각 지방에서 출간된 동인지의 양상과 의미를 지역성의 문제와 관련하여 고찰한 것이다. 1930년대 동인지에 대한 연구는 소위 동인지 문단으로 알려진 1920년대 동인지에 대한 연구에 비해 눈에 띄게 저조하다. 1920년대 동인지가 효시로서의 의미를 갖는다면, 1930년대의 동인지는 1930년대라는 문학사적 시기와 맞물려 꽃을 피운 시기라고 할 수 있다. 따라서 이들에 대한 관심 역시 필요한데, 여기서는 각 지방에서 출간된 동인지들이 중앙(경성)과의 관계를 어떻게 설정하고 있는지, 중앙과 관계 맺는 방식은 무엇인지, 각 지역에 따른 지역성의 특징은 무엇인지를 점검하였다. 중앙과의 연계 혹은 반발이 이 시기 동인지들이 보여준 극단적인 두 가지 방향이었다. 이때의 중앙은 지리적인 관점에서 경성을 말하는 것이기도 하지만, 구체적으로는 중앙(경성)에서 활동하는 기성문인을 말하는 것이기도 했다. 세대론의 문제와 겹치기도 하는 것인데, 중앙(경성)에서 발간한 동인지의 비판 대상이 한 세대 앞선 전대의 문인들이었다면, 지방에서 발간한 동인지의 타겟은 중앙(중앙집중)과 동시대의 중견시인이라고할 수 있다, 또 중앙과의 연계 여부도 동인지의 활성화에 커다란 영향을 끼친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지리적 관점에서 중앙(경성)으로서의 중심 이외의 다른 중심 혹은 다양한 중심이 필요한 것은 분명해 보인다. 아울러 1930년대의 동인지는 그다양한 중심의 역할을 하기 위해, 그리고 지역문화의 생존을 위해 고군분투했다고 할 수 있다. 1930년대의 동인지를 살피는 것은 새로운 중심 혹은 다양한 중심을 만들기 위한 단초로서의 의미를 갖는다고 할 수 있다. In this study, locality issue was observed by targeting major literary coterie magazines being published in other region than Gyeongseong (Seoul) during 1930s. Under the situation that literary coterie magazine was mushroomed during 1930s, aspect and meaning of literary magazine being published in each local region was considered in terms of its locality. A study on literary coterie magazine during 1930s was conspicuously rare compared with that on literary coterie magazine during 1920s that was known to be literary society of literary coterie magazine during those times. If literary coterie magazine during 1920s should be called as the first magazine in such category, 1930s would be the times when literary coterie magazine was bloomed matching with its historical timing of literature. Therefore, it would be required to show concern over such trend and in this study, how literary coterie magazines being published locally established its relation with central (Gyeongseong) region, in what way they established such relation and what is local characteristics depending on each local region were observed. Linkage with or rejection against central region was two drastic directions shown by literary coterie magazines during those times. Central region at that time means Gyeongseong in geographic terms but if speaking it in detail, it means also existing writers doing their literary activity in Gyeongseong. It is overlapped with an issue of generation discourse and if a critique target of literary coterie magazine published in central region were writers of past generation, that published in local region would be central region (central concentration) and medium standing writers. In addition, it could be confirmed that linkage status with central region significantly also affected activation of literary coterie magazine. In geographical perspective, it seems to be clear that besides central region based on Gyeongseong, other central area or diversified ones would be required as well. Additionally, it may be said that literary coterie magazine during 1930s had strived in order to play its diversified central roles and to ensure survival of local culture. Observing literary coterie magazine during 1930s would be meaningful in providing a clue for creating a new central or diversified central areas.

      • KCI등재

        유치환의 동인지 시기 시적 의미 연구 - 참여 동인지와 새로 찾은 시집 미수록 작품을 중심으로 -

        강호정(Kang, Ho-Jung) 한국문학회 2018 韓國文學論叢 Vol.79 No.-

        이 논문은 동인지 혹은 동인활동을 통해서, 그리고 새로 찾은 시집 미수록 시편을 통해서 유치환의 시를 조명하고, 각 동인지 시기별로 청마 에게 동인지 활동은 어떤 의미였는가를 밝히는 데 목적이 있다. 청마의 이력을 살펴보면 청마는 어떤 형식으로든 오랫동안 동인지와 관련을 맺고 있다. 󰡔소제부 제일시집󰡕이나 󰡔생리󰡕처럼 주도적으로 관여했거나, 󰡔죽 순󰡕이나 󰡔낭만파󰡕, 󰡔등불󰡕처럼 주도적이지는 않았더라도 다수의 시편을 발표하여 비교적 적극적으로 참여한 동인지도 있다.청마는 초기 동인지를 통해 습작기를 거치면서 다양한 시적 실험과 문학적 비상을 꿈꾸었으며, 동인지를 통해 자신의 시세계의 기틀을 마련 했다. 또 해방기에는 동인지를 통해 경남과 경북, 지역문단 내의 그리고 중앙문단과의 연결고리로서 지역문단의 주도적인 역할을 수행했다. 해방기 유치환의 동인 활동은 ‘운동’으로서의 성격이 강하다고 할 수 있다. 이때의 ‘운동’은 지역문학의 활성화를 위한 운동으로서의 의미와 소위 ‘중앙’과의 연계를 통한 조직화의 의미도 갖는다. 그것은 유치환의 해방기 동인활동이 그만큼 정치적이라는 의미이기도 한데, 이는 청마의 동인지 시기 전 시기에 걸쳐 드러나는 것이기도 하다. 우리 문단사에서 청마만큼 동인지를 잘 활용한 시인도 흔치않다. 동인 지를 통해 청마는 문단적 입지와 지역 문학의 연대를 확장해 나갔다. 청마는 다양한 동인 활동을 통해 개인의 역량은 물론 문학장의 형성에도 기여를 했다고 볼 수 있다. 결과적으로 청마는 중앙중심의 한국문단에 지형도를 넓히려고 했다는 점에서 그 활동의 의의를 찾을 수 있을 것이 다. This paper aims to focus on the poetry of Yu Chi-hwan through his literary coterie magazine activity and newly found ‘excluded poem from collection’. According to Yu s personal history, he was connected to literary coterie magazine for long time in various formats. He led 󰡔Sojebu Jeilsijip(掃除夫 第一詩集)󰡕 or 󰡔Saengri(生理)󰡕 in the 20s and 30s. Since the liberation, he wasn t initiative but published numerous poem such as 󰡔竹筍(Jooksun)󰡕이나 󰡔Nangmanpa 浪漫派󰡕, 󰡔Dengbul󰡕 and actively participated in literary coterie magazine. Through his early ‘literary coterie magazine’, he dreamed of a variety of poetic experiments and literary flying, and he set up a framework for his own poetic world. In the liberation period, he played a leading role in the local literary circle as a link between Gyeongnam and Gyeongbuk, the local and the central, through ‘literary coterie magazine’. The activity of the liberation period can be said to be strong as a ‘movement’. The ‘movement’ also has the meaning of movement as the movement for the activation of local literature and the meaning of organization through linking with so -called ‘central’. It also means that the activities of his liberation period act is so political. There are few poets who use the ‘literary coterie magazine’ as much in our literature. Through the ‘literary coterie magazine’. he expanded the circle of literature and local literature. He has contributed to the formation of literary fields as well as individual competence through various activities. As a result, the significance of the activity can be found in the fact that it tried to broaden the topographic map in the center-centered the literary world.

      • KCI등재

        1960년대 등단제도의 문단적,문학적 의의와 영향

        이봉범 ( Bong Beom Lee ) 반교어문학회 2014 泮橋語文硏究 Vol.0 No.37

        1960년대 등단제도의 의의는 새로운 문인, 문학 출현의 제도적 토대로 기능했다는 것에 그치지 않는다. 이를 바탕으로 동인지운동과 세대교체론을 추동하는 가운데 1960년대 문단·문학 질서의 변동을 초래한 원인으로 작용했다는데 더 큰 의의를 부여할 수 있다. 새로 등장한 신인들 특유의 자생적이고 독자적인 세력화를 가장 잘 보여주는 것이 동인지운동이다. 당대 문단구조의 폐쇄성에 의해 동인지활동이 자극되어 동인지 붐이 조성되면서 동인지는 독자적인 문학영토의 창출과 세대 결집 및 세대 간 연대의 거점이 된다. 동인지의 주류를 형성했던 시 동인지들은 이념적 결속보다는 재래의 문학형식에서 탈피해 스스로의 시적 실험을 위한 작품 활동의 광장으로 창출된 뒤 점차 에꼴 형성을 위한 다양한 시도를 전개하나 경제적인 열악함, 기성문단의 냉대, 발표기회의 점 증 등의 외적 조건과 애초에 표방했던 시적 주체성과 방법론을 창안하지 못함으로써 쇠락하게 된다. 특히 동인지들 대부분이 1960년대 순수시/참여시의 대립구도에 갇힘으로써 새로운 시적 질서를 창출해내는 데까지는 나아가지 못한다. 『 산문시대 』 를 비롯하여 4·19세대의 세대론적 전략에서 창출된 동인지들도 한국문학의 전통에 반기를 들고 앞 세대와 변별되는 문학의 영토를 개척하려는 의욕에도 불구하고 그 상징적 선언을 뛰어넘는 현실적 구체화에는 다소 미흡했다. 다만 1960년대 후반 개방형 동인지 형태로 동인지운동이 전환되면서 서로 다른 문학이념으로 무장한 개방형 동인지들의 각축을 통해 4·19세대의 분화가 본격화된다는 사실에 주목할 필요가 있다. 1960년대는 4·19혁명이 문화적 교체기의 계기가 되는 가운데 전후세대를 중심으로 세대교체론이 강력하게 제기되고 이후 4·19세대의 등장으로 세대연대론, 갈등론, 교체론 등이 종횡으로 교차하면서 서로 다른 문학적 이념과 정체성을 지닌 세대 간의 논쟁이 고조되기에 이른다. 더욱이 세대논쟁이 문단질서 개편론, 문단혁신론 등 문단적 의제 및 순수/참여논쟁, 전후문학/4·19세대문학, 소시민문학/시민문학논쟁 등 문학적 의제와 중층으로 맞물려 복잡하게 전개되면서 1960년대 문단·문학질서가 새롭게 재편·조형되는 원동력이 된다. 특히 1968∼69년 거세게 대두된 두 개의 문학적 의제와 결부되면서 세대론은 세대 교체론으로 급속히 선회한다. 1968년 초에 정점을 보인 참여문학론으로 인해 횡적인 균열이 심화되고, 1969년에 재점화된 제2세대/제3세대의 세대의식논쟁으로 종적 연대감이 파괴되면서 1960년대 초에 배태되어 협력/비판의 구도 속에 다중 모색을 거친 세대론이 확실하게 정리되기에 이른다. 그것은 1960년대 문학을 총정리하는 작업이었으며, 서로 다른 문학이념을 지닌 문학그룹이 상호간의 대결을 통해 각각 자신들의 정체성을 역설적으로 확보·분화해가는 과정의 완료였다. 전후세대의 전반적 퇴조와 4·19세대의 세 지점으로의 분화로 마무리되었던 것이다. 그것이 가능했던 것은 일차적으로 등단제도를 통한 4·19 세대의 대거 등장과 그들의 문학적 약진이었다. As the influential ways of platform system had been made such as a literary contest in spring, recommendation system, rookie literary prize in the 1960`s, which were competitive each other. The literary debut system in the 1960`s drove literary coterie magazine and generation replacement. Also, it had great significance that it caused the changes of literary circles and literature order in the 60`s. Literary coterie magazine movement showed the unique autonomous and independent influence of new rookies. Literary coterie magazine was stimulated by the closure of literary circles system of the time and there was a boom in literary coterie magazine. So, it became the solidarity base for independent creation of literature and generation unification. In the late 1960`s, literary coterie magazine has been changed into open type. So, the division of generation became serious through competition of open type of literary coterie magazine which was armed with different ideology literature. In the 1960`s, 4. 19 caused the cultural replacement period and the generation replacement was strongly raised in postwar generation. Afterward, the theory of generation solidarity and replacement had crossed lengthwise and breadthwise, and the arguments among generation with the different ideologies of literature and identities had reached its peak since 4.19 generation appeared. Moreover, generation argument became complex, interlocking doubly with reorganization of literary circles, literary circles agenda and purity/participation dispute, historical consciousness/the petit bourgeois consciousness, petit bourgeois literature/citizen literature. So, they were the impetus to reorganize the literary circles and literature order in the 1960`s. Finally, it had been divided into overall ebb in postwar generation and three parts of 4.19 generation. What made them possible was primarily the great appearance of 4.19 generation and literary advance through literary debut system.

      • KCI등재

        1920년대 초기 예술지상주의 비판의 맥락과 의미

        권유성 ( Yu Seung Kwon ) 한국현대문예비평학회 2014 한국문예비평연구 Vol.- No.43

        이 글은 1920년대 초기 예술지상주의에 대한 비판의 맥락을 재구하고 그 의미를 살피기 위한 것이다. 1920년대 초기 예술지상주의에 대한 비판은 이광수로 대표되는 계몽적 지식인에 의한 비판과 주로 종합지를 중심으로 활동하고 있었던 사회주의경향 지식인들에 의한 비판으로 구분해 볼 수 있다. 이 시기 예술지상주의에 대한 비판의 맥락을 자세히살필 필요는 이후 문학사적 전개의 동력을 확인한는 것과 연관되어 있기 때문이다. 즉 동인지 문단의 가장 주요한 특징이 예술지상주의로 인식되고 있었다면, 그리고 1920년대 중반 이루어진 문단의 새로운 재편이 동인지 문단의 붕괴와 해체를 통해 가능했다면, 예술지상주의에 대한 비판의 맥락을 살피는 것은 그런 붕괴와 해체의 추동력을 살피는 것과 연관될 것이기 때문이다. 이광수의 예술지상주의 비판은 조선의 신문화 건설이라는 계몽적 맥락을 동인지와 공유한 상태에서 이루어진 것이었지만, 동인지가 근거하고 있었던 문예론에 접근할 논리를 결여하고 있었다는 점에서 근본적인 비판으로 이어지기 어려웠다. 즉 이광수는 동인지 문단이 근거하고 있었던 개인의 자유로운 감정 표현을 통한 신문예 건설이라는 부분을 간과한 채, 몇몇 동인들의 개인적인 일탈을 극단적인 언사로 비난하고 있었다. 따라서 그의 비판은 동인지 문단의 사회적 고립을 강화하는 하나의 계기 정도로 작용할 수 있을 뿐이었다. 반면 1920년대 초기 사회주의경향 지식인들에 의한 예술지상주의 비판은 이광수의 그것보다도 훨씬 근본적인 것이었다. 그것은 이들이 동인지 문단이 근거하고 있었던 예술의 근본 원리를 공유한 상태에서, 동인지 문단의 사회적 고립성과 문예의 구체적인 내용으로서의 감정 문제까지 그 비판의 범위에 포함시키고 있었기 때문이다. 이들은 근본적으로 예술 혹은 문예를 사회적인 소통 쳬계로 인식하고 있었고, 그런 인식 아래 사회적으로 공유될 만한 가치가 있는 감정을 문예가 다루어야 한다고 주장했다. 이와 같은 사회주의경향 지식인의 비판은 동인지의 내적 붕괴를 추동할 수 있는 논리였다. 그런데 이광수와 사회주의경향 지식인들의 예술지상주의 비판의 차이는 문예의 사회적 소통 체계를 구성하는 한 축인 독자 혹은 대중을 바라보는 기본적인 관점의 차이에서 기인한 바가 컸다. 이광수는 당대의 독자나 대중을 ‘소아’나 ‘병인’으로 보아 그들의 자발성이나 적극성을 인정하지 않았다. 그럼으로써 그는 사회적 소통 체계로서의 문예를 상상할 수 없었다. 그런 반면 1920년대 초기 사회주의경향의 지식인들은 문예를 기본적으로 사회적 소통 쳬계로 보고 있었는데, 그 바탕에는 독자 혹은 대중에 대한 신뢰가 깔려 있었다. 그들은 인간 개개인이 부조리한 사회 구조로부터 해방되어 자유로운 개성을 발휘하며 살 수 있는 사회를 희망했고, 그 과정에서 이들은 대중의 능동성과 자발성을 믿었다. 이런 독자 혹은 대중에 대한 신뢰가 존재하고 있었기 때문이 이들은 문예의 자율성을 일정 부분 인정하면서도 ‘문화적 교화’가 가능하다고 믿을 수 있었다. This paper aimed to considering the context and meaning of the criticism on art`s sake in the early 1920`s. In the early 1920`s, it could be investigated in two directions. The one is that presented by Lee, Kwang-soo who was thoroughly enlightening intellectual. The other is that presented by socialist intellectual who participated in socialist journal. The reason why it needed to be explored is that it could be confirmed the moments of literary change after that time. The criticism by Lee, Kwang-soo was sharing the context of movement for new-culture construction with 1920`s coterie magazine but it missed the focus of their literary theory. Therefore it only could enforced isolation of the writers of coterie magazine. In contrast, the criticism by socialist intellectuals was more profound than it. It was not only sharing the emphasis of literary emotion with them but also including the dimension of their isolation tendency and connotation of the notion of emotion. They claimed that literature need to deal with socially significant emotion, in other words sympathy, because they were recognizing that literature or art is the system of social communication. These are enough to weakening the ground of coterie magazine. By the way, it was the different point of reader or people that making the difference between Lee, Kwang-soo and socialist intellectuals. While Lee, Kwang-soo was not admitted the voluntary ability of people, the socialist intellectuals were not so. They positively believed what people have the possibility of themselves. So they could believe that it is possible to enlightenment of people through the literary autonomy.

      • KCI등재

        1950년대 전반기 전주 지역 동인지 연구

        하채현(Ha Chae Hyun),황태묵(Hwang Tae-mook) 국어문학회 2018 국어문학 Vol.67 No.-

        1950년대 전반기 전주 지역 문학 동인지는 10종을 웃돈다. 그러나 지금까지 문학 동인지가 발견되지 못하여 정확한 면모를 확인할 길이 없었다. 본고는 먼저 전주 지역 문학사회의 동향과 동인지 현황을 살펴 본 후, 전주 지역에서 발간된 동인지 『남풍』, 『연비』, 『풍토』, 『풍토예술』을 발굴하여 소개하였다. 본고는 발굴한 동인지를 통하여 1950년대 전주 지역 문학의 양상과 특징을 구체적으로 밝혔다. 이러한 시도는 1950년대 전주 문학의 지형도를 드러내고 향후 전주 지역 동인지 문학사의 초석을 다지기 위한 것이다. 후속 작업으로 본고는 1950년대 이후 전주 지역 문단을 살피고 지역 문학에 대한 온당한 담론을 형성하는 데 기여하고자 한다. In the first half of the 1950s, there were over 10 literary coterie magazines in Jeonju. But so far, no bronze paper has been found, so the exact aspects have not been confirmed. The original manuscript was introduced by exploring the "Nampung", "Yeonbi", "Pungto", "PungtoYesul" literary coterie magazines published in Jeonju. This paper reveals the aspects and characteristics of literature in the Jeonju area in the 1950s by reading its literary coterie magazines. The attempt is aimed at displaying the topography of Jeonju literature in the 1950s and laying the groundwork for the history of literature in the magazine part of Jeonju. As a follow-up, this article aims to explore the literary circles in Jeonju since the 1950s and help form a fair discussion on local literature.

      • KCI등재

        정전협정 이후 부산 지역 동인지 시문학 연구

        이순욱(Lee Soon wook) 한국문학회 2015 韓國文學論叢 Vol.69 No.-

        Literary coterie magazines are the core media which provide the formal foundation of modern literature. Coterie activities have developed spontaneously in Busan during the Korean War, and has reinforced itself by enlarging its extension through 『Seoji』, 『Sinjakpum』, 『Cheonyeoji』, 『Sijo』. On the traditional foundation of media publications after the Armistice Agreement, magazines like 『Sinjakpum』, 『Sijo』, 『Sinjidae』, 『Siyoungto』, 『Unseok』, 『Cheongmun』, 『Pyohyeon』, 『Seokcheon』 have expanded coterie's extension. Participants like Ko, Suk-Gyu, Ii, Suk, Bak, Ji-Soo, No, Young-lan, Jo, Yu-ro, Bak, Don-Mok, Jo, Young-Seo, Han, Chan-Sik, Bak, Cheol-Suk, Ii, Sung-Hwan, Choo, Young-Soo have performed important roles in developing regional literary societies, as coterie activities were performed by young literary men who moved forward systematically in literary circles during the late 1950s. The activities of these literary circles during this period can be generally divided into two trends. The literary study circle represented by Jo Hyang claimed to stand for Modernism which suggested a new way of literature, while the Simun circle represented by Kim Tae-Hong, Ahn Jang-Hyun, Son and Dong-In pursued realism. At the same time, a student circle movement sought to use traditional lyricism to critically analyze the postwar reality and longed to enter the literary society. This student movement forced the literary society in Busan to become very close. After the Armistice Agreement, the activities of these literary circles had a particular significance due to its securing of the diversity of literature and the overall appearance of a literature in the following generations in history and in regional literature. 정전협정이 체결된 1950년대 중후반기는 전중기 피난문단의 영향에서 벗어나 부산 지역 문학사회가 본격적으로 형성되었으며 문학 후속세대의 문단진입이 가속화되었다. 이를 가장 잘 보여주는 것이 동인지 문학 활동이다. 특히 학생동인회는 한국전쟁을 거치면서 '임시수도'와 '피난문단'이 부과한 문학제도와 자산을 밑거름으로 삼아 문학적 감수성을 키웠던 세대들이다. 매체 발간의 부산 지역 집중성과 다양한 전시문화행사, 보수동 헌책방거리의 문화파급력, 피난학교 강사들의 수준 높은 강의 들은 이들이 문학 후속세대로 발돋움하기에 더없이 좋은 토양이었다. 정전협정 이후 발간된 동인지는 전중기(戰中期)부터 발간해 오다 외연을 확대한 『서지(瑞枝)』와 『신작품(新作品)』이 있으며, 『현대문학(現代文學)』, 『시문(詩門)』, 『geiger』, “초극(超劇)』, 『신지대(新地帶)』, 『시영토(詩領土)』, 『운석(隕石)』, “표현(表現)』, 『청문(靑文)』, 『성화(成火)』, 『석천(石泉)』 들이 새롭게 발간되었다. 이 시기 동인지 매체는 크게 두 경향이 존재한다. 조향으로 대표되는 현대문학연구회가 후반기 모더니즘을 표방하며 새로운 문학의 길을 제시했다면, 김태홍, 안장현, 손동인으로 구성된 시문동인회와 학생동인회는 전통 서정주의를 내세웠다. 이들 문학동인회의 활동은 부산 지역문학사에서 문학후속세대의 전면적 등장이라는 의미 못지않게 문학적 다양성의 확보라는 점에서 큰 의의를 지니고 있었다. 특히 동인지 문학 운동에 투신했던 학생문인들은 문학의 새로운 영토를 구축하기 위해 도약과 탈주를 감행한 세대였다. 이들은 소지역을 횡단하면서 그들 세대와 수평적으로 결합했으며, 기성문인들과의 수직적 연대를 추구함으로써 부산 지역문학의 부피를 키운 주체들이었다. 동인지는 이들 학생문인들의 문학적 자의식과 파토스, 낭만적 열정, 한국전쟁의 폐허를 딛고 근본적으로 다시 시작하려는 문학적 기획이 투영된 매체라고 볼 수 있겠다.

      • KCI등재

        『율』동인과 1960년대 시조문학의 지형도

        조춘희(Jo, Chun-Hee) 한국시조학회 2018 시조학논총 Vol.49 No.-

        이 연구는 1960년대 자장에서 경남지역의 시조문단 형성에 기여한 동인지 『율』의 가치와 동인들을 연구하는 데 목적을 두었다. 이러한 작업을 통해서 현대시조 문단에 대한 논의를 활성화하고, 무엇보다 지역문학의 가능성과 자생력을 발견 · 확보할 수 있으리라 기대하였다. 1960년대 문학은 전후적 감각을 토대로 국가재건 및 민족의 강화라는 폐쇄적 담론과 더불어 세계적 감각을 발휘할 수 있는 문화적 · 문학적 탐색을 구성하고 이를 주도해야 한다는 대조적인 흐름이 혼재해 있었다. 60년대는 신춘문예 등의 등단제도의 본격화를 통해 문단 신인들이 대거 등장했으며, 작품 발표지면이나 활동영역이 제한적인 상황을 타개하기 위해 동인을 결성하거나 동인지를 발간하는 일이 보편화 되었다. 그 흐름의 일환으로 볼 수 있는 것이『율』동인의 결성과 동인지의 발간이다. 동인지『율』은 1965년 10월에 창간호를 낸 후 매년 1회씩 5년에 걸쳐 꾸준히 발간되었다. 창단멤버였던 김교한, 김춘랑, 김호길, 박재두, 서벌 그리고 이금갑 등은 이 활동을 통해서 등단의 기틀을 마련하거나 기등단 시인의 경우에는 발표 지면을 확보할 수 있었다. 그럼에도 동인 활동 및 동인지 발간이 지속될 수 없었던 까닭은 각자 다른 지역에서 본업에 종사하고 있었던 요인이 가장 컸다고 볼 수 있다. 비교적 활동기간이 짧았음에도『율』동인과 동인지가 갖는 외연은 상당했다. 예컨대 마산, 통영, 진주, 고성 등 경남을 활동영역으로 구축하고 있던 동인들의 활동이 본격화됨으로써 경남시조 문단의 성립에 기여하게 된 것이다. 1982년 태동한 경남시조시인협회는『율』동인들의 활동을 중심으로 구성되었다. 실제로 동인지『율』은 동인들의 등단을 조력했으며, 서울 중심의 중앙문단 집중에서 비롯된 지역문학의 소외 및 활동영역의 한계를 극복하는 데 적극적으로 응전했다고 평가할 수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valuate and study the value and 『Yul』 of the coterie magazine, which contributed to the formation of the Sijo - poetry in the Kyongnam area, by illuminating the context of the 1960s period and the Sijo language. Through these works, it was hoped that the discussion on the modern Sijo paragraph would be activated and the possibility of local literature and the self - existence power could be materialized through the establishment of Sijo paragraph in Gyeongnam area. In the 1960s, literary works combined with the closed discourse of national reconstruction and the strengthening of the nation, as well as the contrasting flow of cultural and literary topography that could exert a global sense of border. In the 1960s, a lot of new talents emerged through the full - scale introduction of New Year`s Literature, etc. In order to overcome the limitation of the work space and activity area, it became common for the literary person to organize the man himself or to publish the coterie magazine. As a part of this flow, 『Yul』 is the publication of the 『Yul』 coterie magazine. And the『Yul』coterie magazine was first published in October 1965, Kim Jong Han, Kim Chun Rang, Kim Hogil, Park Jae Doo, Seo beol, and Lee Geum-gab, who were the founding members, were able to establish the foundation of the fortification through the activities, And the reason why the publication of the coterie magazine was not able to be continued was that the factor that had been engaged in the main business in each other region was the greatest. Although the activity period was relatively short, For example, Masan, Tongyoung, Jinju, Goseong, and Gyeongnam were established as activity areas. Through this activity, This establishment was possible. In fact, 『Yul』 of the coterie magazine is said assist the debut of the drivers had a positive response to overcome the limitations of the local literary alienation and activity areas of focus that comes from the central paragraphs in Seoul.

      • KCI등재

        동인지『麗光』의 문학과 정체성의 공간

        이경돈 한중인문학회 2009 한중인문학연구 Vol.26 No.-

        문학동인지시대는 3.1운동으로 열린 매체의 활황 국면으로 촉발되었다. 다양한 매체가 등장하며 수많은 텍스트들이 지면을 채웠다. 각양각색의 이념과 사조, 견해가 폭증하며 ‘문학’에 대한 서로 다른 상상도 동인지라는 형식을 통해 분출되었다. 문학사에서 동인지시대는 창조, 백조, 폐허의 시대로 기록되었고 이들에 대한 과잉된 의미부여로 인해, 자율성, 예술성의 등장이라는 단일 성격의 시대로 평가되었다. 그러나 여광을 비롯한 근화, 문우 등의 경우, 자율보다는 소통을 중시했고 예술보다는 사회를 우선시했다. 여광은 1920년 3월 31일 ‘開城’에서 창간되었다. ‘開城’은 ‘東京’과 ‘경성’을 잇는 근대 문명의 주변부로서 공간적 정체성을 준거점으로 하여 도래하는 신문물로서의 문학을 재구성했다. 중심에서의 문명 수용이 ‘開城’이라는 공간에서 굴절되고 변형되었다. ‘開城’의 문학을 추구했던 여광에 있어 문학은 인간의 인식 내지 감각의 표현 그 자체로 인식되었다. 문학이 인류의 정신이나 문명과 동일시되는 지평에 서게 된 것이다. 이때 문학은 배제와 차별을 통한 예술화의 경로를 벗어나 본질적 평등성을 획득하게 된다. 창조, 백조, 폐허와는 사뭇 다른 문학적 지향을 선보인 여광을 비롯한 근화, 문우의 존재로 볼 때, 문학동인지시대는 자율적 문학의 시대가 아닌, 혼류하는 다점적 목소리의 시대로서 재인식된다. The era of literary coterie magazine originated from the Samil Movement that broke out in 1919. In that period, various medias appeared and many texts filled the space of the magazine. All sorts of ideology, the drift of public opinion increased enormously. Different imagination about the Moonhak(modern literature in Korea) apppeared as the form of coterie magazine. The era of literary coterie magazine are recorded as the era of Changjo, Pyeheo, Baekjo. Because of blown-up estimates on these magazines, the era was believed that it had only one feature called spontaneity. But in Yeokwang as well as Keunhwa, Munwoo, communication was treated more important than spontaneity. Yeokwang was made at Kaesung in March 31, 1920. Kaesung was the peripheral place that could connect with Tokyo and Kyungsung(old name of Seoul). So, it was at Kaesung that the literature was reorganized. In accepting culture, literature was distorted at Kaesung. Because Yeokwang aimed at the literature of Kaesung, and thus had a specific feature that was included in literature of Kaesung. Therefore literature in Yeokwang meaned the human perception or the expression of feeling. Literature was treated as the same thing with human spirit or culture. If we make literature by eliminating something that can not be included in literature, we need to escape this course. By doing so, literature can acquire the equality basically. Yeokwang including Keunhwa and Munwoo headed for the different literal styles. We can conclude that the era of literary coterie magazine was not autonomous period. Rather we can call this period multi-singularities period that included so many cross-current voices.

      • KCI등재

        『東人之文四六』 所載 12篇 作品의 作者에 對한 考察

        이종문 우리한문학회 2008 漢文學報 Vol.18 No.-

        It is a generally accepted fact that Donginjimunsaryuk(A selection of proses compiled by Choi, Hae in the Goryeo period) has a great significance in that it contributed enormously to the compilation of Dongmunsun(A selection of poets and proses published early Joseon period.) In addition to this, it is also greatly noteworthy in that it has a lot of commentaries offering diverse information related with the works, such as its creation period and backgrounds. The book is more important in that it contains not a few selection of works not appearing in any other literature nor Dongmunsun. In spite of its significance, the book Donginjimunsaryuk has been mostly ignored by scholars as a research subject. Besides the ignorance, only little comparison and corrections were made by scholars on those works appearing both in Donginjimunsaryuk and Dongmunsun. Thus it was not found until recent days that not a few same works in each book bear different or wrong author names. This purpose of this dissertation is twofold. The first one is to report the fact to the academic society and the second one is to find out the authentic names of the authors of the works by way of putting these literatures for a butt of verification within the possible scope. As a result of the research, the authenticity of the author names of the 6 works still remains unknown among the 12 works selected for verification. The research also reveals that remaining 6 works bear discrepant author names, 2 works of which have wrong author names appearing both in Donginjimunsaryuk and Dongmunsun, and the rest 4 works only in Dongmunsun. Accordingly, there still exists a high possibility that the discrepancies or fallacies found in Dongmunsun were caused either by the compilers' unconscious duplication of the previous fallacies made in Donginjimunsaryuk or by making new fallacies in the course of rewriting the works selected in Donginjimunsaryuk. All circumstance taken together, after all, it is highly possible that the author names of the 6 works in Dongmunsun are unauthentic while those of Donginjimunsaryuk are authentic. 다 알다시피 최해의 『東人之文四六』은 『東文選』의 편찬에 지대한 도움을 주었다는 점에서 대단히 중요한 의미를 지닌 책이다. 게다가 이 책에는 창작 시기와 창작 배경 등 작품과 관련된 갖가지 정보를 제공해주는 매우 많은 주석이 다양하게 첨부되어 있을 뿐만 아니라, 『東文選』 등 그 어떤 문헌에도 수록되지 않은 작품이 적지 않게 수록되어 있다는 점에서도 크게 주목된다. 그러나 그럼에도 불구하고 이 책은 그 동안 연구대상에서 크게 소외되어 왔고, 『東文選』에 같은 작품이 수록된 경우가 매우 많음에도 불구하고 이 두 문헌에 대한 본격적인 교감작업도 거의 없었다. 그러다 보니 이 두 문헌 사이에 작자가 달리 기록된 작품들이 적지 않을 뿐만 아니라 두 문헌 모두 작자가 잘못된 경우도 있다는 사실이 지금까지 발견조차 되지 못했다. 이 논문은 바로 이와 같은 사실을 학계에 보고하고, 아울러 이 작품들을 검증의 도마 위에 올려 가능한 범위 내에서 실제 작자를 밝혀내기 위한 노력의 일환으로 집필되었다. 검증해본 결과 논의의 대상이 되는 12편의 작품 가운데서 6편의 작품은 작자가 누구인지 전혀 알 수가 없었다. 작자의 오류가 밝혀진 6편의 작품 가운데 2편은 『東人之文四六』과 『東文選』에 모두 작자가 잘못되어 있었고, 나머지 4편의 작품들은 모두 『東文選』 쪽이 오류였음이 드러났다. 앞에서도 이미 언급한 것처럼 『東文選』은 편찬 과정에서 『東人之文四六』의 도움을 크게 입은 책이다. 따라서 『東文選』에 수록된 작품에 발생한 작자 오류는 결국 『東文選』의 편찬자들이 『東人之文四六』에 발생한 오류를 무비판적으로 답습한 것이거나, 『東人之文四六』에 수록된 작품을 『東文選』에 옮겨 싣는 과정에서 발생한 오류일 가능성이 매우 높다고 생각된다. 이와 같은 상황을 종합적으로 고려해본다면 작자를 알 수 없는 6편의 작품도 『東文選』 쪽이 오류가 아닐까 추정되었다. 이것은 결국 『東文選』에 작자뿐만 아니라 다른 부분에서도 적지 않은 오류가 있을 가능성이 매우 높음을 시사하고 있으며, 그와 같은 견지에서 『東人之文四六』과의 비교를 통한 『東文選』에 대한 면적 교감 작업이 그만큼 절실함을 인식하게 된 것도 이 논문이 거둔 조그만 성과다.

      • KCI등재후보

        뉴욕 최초의 한인 문학동인지 연구

        최미정(Choi, Mi-Jeong) 숭실대학교 한국문학과예술연구소 2015 한국문학과 예술 Vol.15 No.-

        『신대륙』은 1985년 가을 뉴욕지역에서 발간된 최초의 한인 문학동인지다. 이 동인지는 비록 창간호에 이어 1986년 봄 호와 가을 호 이렇게 3호를 내는데 그치고 말았지만 뉴욕문단에서 차지하고 있는 의의는 결코 작다고 할 수 없다. 그 이유는 『신대륙』이 뉴욕지역 최초의 문학동인지로서 이후 등장하게 되는 문예지의 시발점이 되었다는 점에서 그렇다. 『뉴욕 한국일보』 문예공모가 계기가 되어 여기서 등단을 하게 된 문인들이 의기투합하여 동인을 결성한다. 1970년대와 80년대는 한인이민자가 급격히 늘어나 재미한인사회가 본격적으로 성장하기 시작한 시기다. 그들은 주로 육체노동이나 단순노동에 종사하며 힘든 이민생활을 시작하는데 『신대륙』동인들도 크게 다르지 않다. 그들은 열악한 현실 상황에서도 모국과 모국어에 대한 그리움과 갈망으로 동인을 결성하고 동인지를 발간한다. 그들의 작품에는 한인이민자들의 삶과 고통이 매우 진솔하게 드러나 있다. 그들 작품의 주제는 크게 이민자의 불안정한 신분과 경제문제, 그리고 고향에 대한 그리움, 미국생활에서 느끼는 점 등으로 나눌 수 있다. 『신대륙』은 시, 소설, 수필, 희곡 등 다양한 장르의 작품을 균형 있게 담아내고 있어 종합문예지로서의 성격과 가능성을 보여준다. 특히, 소설의 비중이 높은데 이것은 시간과 생활에 쫓기는 재미한인들의 삶의 여건을 고려해 볼 때 이례적인 것으로 볼 수 있다. 재미한인들 작가들은 그들이 사는 지역의 특성에 맞는 한글문학을 갖길 희망한다. 이것은 앞으로 재외한인 한글문학을 논할 때 우리 논자들이 주의 깊게 생각하고 고려해 보아야 할 점이다. 본 논문은 한국에는 거의 알려지지 않은 『신대륙』의 형성 배경과 동인들의 면모, 그리고 작품에 관해 논의한 최초의 본격적인 논문이라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Sin-Dae-Ryuk』 is the first literary coterie magazine published in New York area in 1985. Although this coterie magazine only published the second and the third issue at spring and autumn in 1986, its value cannot be underestimated in the discussion of Korean literary circle in New York area. In addition to its title of the first literary coterie magazine, it has also motivated next. 『Sin-Dae-Ryuk』 was established by literary persons who started their literary carrier through literary contest hosted by 『New York Korea Times』. During the 1070"s and 1980s, Korean community has grown up through rapid increasing immigration from Korea. Korean immigrants mostly began their new life in New York with manual jobs. The members of this literary coterie were not different from other Korean immigrants. Under the difficult condition, they started literary circle and published established literary coterie magazine. In their writings, the real life and sufferings were portrayed very well. The subject of their writings were immigrants unsecure legal status, economic hardship, longing for mother country, and feeling in new world. Since 『New Continent』contains various genres including poems, nobles, essays, and plays, it has the potentiality to be the total literary magazine. Especially it had large portion of nobles. It looks unusual for them to write nobles who had busy and hard life. Korean American writers wish to have Korean literary that fits to their new life environment where they currently live. which is well. This point is important and should be seriously considered when we read and discuss about Korean American literary. The meaning of this study can be found by the fact that this is the first study that explored the process of its establishment, the characteristics of the members of literary coterie, and the contents of the writing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