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독서 발달과 독자 발달의 단계에 대한 고찰

        천경록 국어교육학회 2020 國語敎育學硏究 Vol.55 No.3

        This paper presents the revised version of the stages of reading and reader development. Reader development included preschool readers, children readers, adolescent readers, and adult readers. Children’s and adolescent’s periods were set at the beginning, mid-term, and later periods successively. In light of this, the stages of reading and the ideal reader model were set as ‘emergent reading (emergent reader), beginning reading (fluent reader), skillful reading (skillful reader), empathic reading (social reader), strategic reading (strategic reader), critical reading (critical reader), synthetic reading (integrated reader), and independent reading (self-regulated reader). This paper also describes the characteristics of reading materials and reading activities related to each stage. 이 연구에서는 독서 발달 단계에 대한 기존의 연구를 점검하고 새롭게 단계를 제안하였다. 독서 발달 단계를 독자 발달과 연계시켰고, 해당 단계의 교육의 결과로 기대되는 독자상도 함께 제시하였다. 독서교육이 학교교육뿐만 아니라 사회교육과 연계하여 기획될 수 있도록 독자 발달을 유아 독자, 어린이 독자, 청소년 독자, 성인 독자로 설정하였다. 초중등학교에서 독서교육이 체계적으로 진행되는 어린이 독자와 청소년 독자 시기는 2년 단위로 끊어서 전기, 중기, 후기로 설정하였다. 이러한 독자 발달 단계에 맞추어 독서 발달 단계와 독자상을 ‘읽기 맹아기(잠재적 독자), 읽기 입문기(유창한 독자), 기능적 독서기(기능적 독자), 공감적 독서기(사회적 독자), 전략적 독서기(전략적 독자), 비판적 독서기(비판적 독자), 종합적 독서기(통합적 독자), 독립적 독서기(자율적 독자)’로 제안하였다. 해당 단계에서 나타나는 독서의 주요 특성과 독서 지도 활동 및 자료의 특성도 함께 기술하였다.

      • KCI등재

        독서의 정의적 영역과 독자 발달

        정옥년 ( Ok Ryun Jung ) 한국독서학회 2007 독서연구 Vol.0 No.17

        "이 논문에서는 독서의 정의적 영역과 관련해서 세 가지 질문을 중심으로 선행연구들을 검토하고 독서교육에의 시사점을 탐색했다. 즉 글 이해 과정에서 흥미는 어떤 역할을 하는가? 독서 태도 형성에서 동기는 어떤 역할을 하는가? 독서의 즐거움은 어떤 성격을 가지며, 그것의 효과는 무엇인가? 라는 것이었다. 선행 연구들을 검토한 결과 독서의 정의적 영역에서 가장 중요한 것은 독자라는것을 확인했다. 독자는 세상에 대한 호기심과 흥미를 가지고 있고, 자발적으로 동기를 부여하고 의미를 구성하고, 선택하며, 즐거움을 향유하는 주체이다. 독서에 실제로 참여하는 것을 고려할 때 동기나 즐거움 같은 정의적 측면들은 인지적 측면 못지않게 중요하다.그러나 독자는 독서 경험의 재구성이라는 교육적 과정에 계속 참여함으로써 보다 나은 독자로 발달해야 한다. 정의적 영역의 관점에서 독자 발달은 자아 구성과 흥미 변화, 그리고 독서 경험의면에서 생각할 수 있다. 독자 발달이라는 개념 틀은 모든 독서 방식들이 독자가 하는 선택이며, 성숙한 자아를 반영하고 있으며, 이에 따라 독서 방식도 차이가 있다는 것을 보여주고있다. 특히 독서 흥미 발달은 정체성과 관련된 구성요소를 포함하는 개인의 자아 체계가 발달한 것으로 보아야 한다. 또한 흥미 발달의 구조적인 변화 자체가 교육적 과정이 될수 있도록 독서지도를 해야 한다. 결과적으로 상황과 목적에 따라서 유연한 독자 역할을선택할 수 있는 사람이야말로 독서교육에서 목표로 하는 이상적인 독자라고 볼 수 있다. " Three questions around the affective domain of reading development were addressed in this paper. The first question was what‘s the relationship of reading interest and reading comprehension. The second one was what`s the role of reading motivation in the building of reading attitude. The third one was what`s the characteristics of reading enjoyment and the educational effect of it. After examining the previous related researches, this paper concluded that the self- constructions of the readers were the most important factors in the affective domain of reading development. Readers are the active subjects who have the curiosities and interests about the world and reading materials. And they are usually self-motivated to enjoy the reading experiences and voluntarily involved in the meaning making of them. In considering of the engagements of readers, the reading educators should be care of both the affective and the cognitive domains of reading development. The dynamic developmental system of readers may be constituted of the changes in the reader self-concepts and the development of reading interests. It may be also identified with the nature of reading experiences which have been selected and enjoyed by the readers.

      • KCI등재

        18~19세기 미국의 세책(貰冊) 문화 연구 - 한국 세책 문화와의 비교 및 검토 가능성에 관한 고찰-

        이민희 ( Lee Min-heui ) 연민학회 2016 연민학지 Vol.26 No.-

        본 연구는 18~19세기 미국 내 세책(貰冊) 문화의 다양한 면모를 소개하고, 이에서 세책업의 흥성 요인과 그 의미를 궁구하는데 목적이 있다. 미국 세책문화를 국내에 처음 소개하는 것으로, 세책문화의 형성, 발달, 쇠퇴에 이르는 세책문화사 자료가 풍부히 남아 있는 미국의 사례를 토대로 18~19세기 국내 세책문화 이해를 위한 보충 자료로 삼는 한편, 그 시사점을 생각해 보고자 했다. 미국에서는 18세기 중반(1762) 동부 아나폴리스(Annapolis)에서 월리암 린드(William Lind)가 처음 세책점을 연 이후로 독립전쟁을 거쳐 대도시를 중심으로 급성장했다. 19세기 전반기에 최고 절정을 이루었고, 19세기 중반 이후 신문 등 대체 독서매체의 등장과 독자 취향의 변화로 점차 쇠퇴의 길을 걷었다. 약 150여 년간 꽃피운 미국 내 세책 문화는 영국 세책 문화의 영향도 적지 않게 받았지만, 이주 정착민들이 독자적으로 만든 문화도 적지 않았다. 미국에서 세책 문화가 흥기하고 반대로 쇠락해 간 이유를 다음 몇 가지로 정리해 볼 수 있다. 첫째, 경제에 대한 낙관주의적 사고다. 상업성(소비성)과 오락성(여가활용)이 세책 문화 발달을 견인할 수 있었던 주요 요인이라는 점이다. 지식과 책이 상품으로 인식되고 돈을 매개로 한 소비 및 매매의 대상이 되면서 세책 독서가 소비문화의 하나로 자리 잡게 되었다. 세책을 목적으로 한 신문 광고 및 카탈로그 제작 등 홍보에 관심을 쏟은 것이 그 한 예이다. 둘째, 독서 수요와 공급이 가능한, 일정 수준 이상의 경제 인구를 갖춘 대도시에서 세책업이 발달할 수 있었다. 셋째, 대도시 내 세책점의 위치 또한 세책업 발달에 중요한 요소로 작용했다. 넷째, 세책점은 회원제로 대여 영업을 했지만, 일부 세책점에서는 전당금을 요구했다. 그러나 비정기 회원 독자들도 주당 6펜스만 내면 마음대로 빌려다 볼 수 있었다. 저렴한 대여비야말로 세책 독서가 생활화되고 서적 매매보다 선호하게 된 중요한 이유였다. 다섯째, 세책문화 발달의 주역은 여성 독자였다. 남성 독자도 존재했지만 여성 독자를 위한 서비스 제공이 흥미롭다. 여섯째, 최고 인기 있었던 세책용 도서는 소설책과 문학책이었다. 일곱째, 문자해득률의 상승이 세책 독서의 발달을 촉진시켰다. 여덟째, 도서 대여뿐만 아니라 커피를 판매하거나 음악 감상실을 운영한다거나 배를 이용한 이동식 영업 등 겸업이 발달했다. 아홉째, 19세기 중반 이후 다양한 정보와 오락적 읽을거리를 신문에서 얻게 되고, 무료 열람이 가능한 공공도서관이 등장함에 따라 세책업이 점차 쇠락해갔다. 독서사에서 이런 미국 내 세책 문화의 형성 및 발달이 지닌 의미는 다음과 같다. 첫째, 책을 읽을 만한 중간층 독자의 성장과 소설 시대의 도래를 견인했다. 둘째, 개인적인 수양 활동, 또는 자족적 성격에 머물던 독서에서 타인(또는 사회)과의 상호작용과 의사소통을 전제한 독서로 변화시켰다. 셋째, 독서 가치의 변화를 이끌어냈다. 작품성(문학성)만이 아닌, 통속성(오락성)과 정보성(교양과 계몽)을 동시에 충족시키는 독서를 지향하게 된 것이다. 넷째, 음악, 커피 등과 결합된 독서 활동과 그 영업을 추구함으로써 타 영역과의 융합적 독서문화 가능성을 보여주었다. 미국 세책문화 연구는 유럽 세책문화 이해를 위한 좋은 참고자료일 뿐 아니라, 전 세계 세책문화 이해의 근간이 된다. 특히 세책 관련 자료가 부족한 국내 세책문화를 이해하고자 할 때 미국 세책문화 관련 자료는 비판적 이해를 위해 시사하는 바가 적지 않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troduce the various aspects of the culture of lending-book that took place in the United States during the 18th~19th centuries. It is the first time I introduce the American culture of lending-book in Korea. It is a supplementary material for the understanding of the Choseon`s culture of lending-book in the 18th~19th century based on the case of the United States, which has a wealth of cultural history of lending-book. In the United States, the first circulating library began in the mid 18th century, in 1762 by William Lind in Annapolis. After that, business of circulating library was rapidly growing around the big cities after the war of independence and reached its peak in the first half of the nineteenth century. However, since the middle of the 19th century, there has been a gradual decline due to the emergence of alternative reading media such as newspapers and changes in readers` preferences. For over 150 years, the culture of lending-book blossomed. In the process, the influences of the British culture of lending-book were not negligible. However, the culture of the lending-book created by the immigrant settlers showed both universality and peculiarity. The following are the reasons for the development and decline of US culture of lending-book. First, the optimistic consciousness of the economy has made a great contribution to the formation of the culture of lending-book. In other words, it is important that knowledge and books are perceived as commodities, consumed by money, and bought and sold. Commerciality(consumption) and amusement(recreational use) have led to the culture of lending-book. In the United States, it is confirmed that the company promoted aggressive promotional strategies such as newspaper advertisement and catalog production. Second, for the development of lending-book business, it was necessary to have a large-scale economic population capable of reading demand and supply. Third, the location of circulating library in the metropolitan area was an important factor for sales. Fourth, generally circulating libraries were leased to regular reading members. But even irregular member of readers can freely borrow six pence per week. This low cost made it possible to read books borrowed. Fifth, the leading role of the development of lending-book culture was female readers. Therefore, circulating library has developed various service strategies for female readers. Sixth, the most popular books at circulating library were novels and literary books. Seventh, the increase of the letter reading rate promoted the development of lending-book culture. Eighth, the operation of a multi-purpose business such as cooperating of a coffee shop and circulating library, or common using of a music listening room and circulating library, also contributed to the development of the lending-book culture. In Korea, the novel reading of professional reader(called by `Jeongisu`) was like a kind of `oral story rental` that `rented reading` by lending the act of reciting. However, since the middle of the 19th century, newspapers have gained a variety of information and entertainment readings, and as the public library has become available for free reading, book rental business has gradually declined. In a history of reading book, such culture of lending-book has the following meaning. First, it led to the growth of middle class readers who could read books and the advent of the novel era. Second, it means that the book has been changed from readings that have remained in self-cultivation activities or self-sufficient personality to reading that presupposes interaction with other people(or society) and communication. Third, it led to a change in reading value. That is, culture of circulating library was aiming for a reading that satisfies entertainingness and information(culture and enlightenment) as well as literacy value at the same time. Fourth, it demonstrated the possibility of fusion reading culture with other areas by pursuing reading activities combined with music and coffee etc. In this way, the study of American lending-book`s culture can become a channel for the understanding of European lending-book`s culture, and it can be the basis of the understanding of the world lending-book`s culture. In particular, when you want to understand the domestic currencies that lacks the relevant data about lending-book and circulating library, the wealth of those materials in America can be a good supplement.

      • KCI등재

        기획 주제 : 평생 학습 시대의 독서 ; 평생학습자로서 독자의 발달

        정옥년 ( Ok Ryun Jung ) 한국독서학회 2010 독서연구 Vol.0 No.23

        이 논문에서는 오늘날의 평생학습 과제와 관련해서 독자가 발달하는 과정을 탐색하는 것이 목적이었다. 경험학습이론을 기반으로 독자의 의미구성이 학습과 어떤 관련성을 가지는지 생각하였고, 발달적 전환기에서 학습과 독서 경험의 의의를 제시했다. 평생학습은 사람이 살아가면서 필요한 것을 계속 배우고 익혀야 한다는 계속성 원리에 근거하고 있다. 따라서 평생학습에서 중요한 관건은 사회적 의미를 가지는 동시에 개인적인 의미를 가지는 학습을 어떻게 지속하는가 하는 것이다. 독서 행위에서는 개인적인 의미와 사회적인 의미가 반드시 교차한다. 이러한 독서 경험이 독자에게 의미 있는 학습이 되려면 그 경험의 결과가 반드시 독자에게 유용한 것이 되어야 한다. 이 논문에서는 평생학습이 필요한 사회적 실제로서 인지적 도구 개발, 전문성 개발, 그리고 정체성 개발을 제시하고, 그러한 과제 수행에서 독자가 발달하는 과정을 살펴 보았다. 독자는 세상을 이해하는 틀과 전문적인 내용을 담고 있는 텍스트에 대한 이해력, 그리고 복잡한 요소들 가운데서 나름대로 의미를 부여할 수 있는 내러티브 능력 등을 발달시키면서 이러한 평생학습과제들을 수행한다고 보았다. 마지막으로 인생의 전환과정에서 독서 경험의 효과를 보다 능동적이고 적극적으로 활용하자는 의미에서 상징자원 활용이라는 개념을 제시했다. 삶의 문제나 어려움을 해결하기 위해서 사람들이 다양한문화적 자원들을 어떻게 활용하고 있는지, 그리고 그러한 상징자원 활용 능력은 인간의 전 생애에 걸쳐서 어떻게 발달하는지 검토하는 연구가 계속적으로 필요하다고 제안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plore the development of readers as life-long learners. According to the experience theory of learning, it is suggested that all the meaning making in reading activities become learning experiences. Life-long learning is based on the principle of continuity through the lifetime in modern society. So it is important to associate the personal meaning of learners with the social meaning of the society in the continuous learning. The personal meaning and the social meaning are inevitably interacted in a reading activity. And a reading activity as a learning experience should be personally and socially meaningful to the reader. All the persons in modern society have to do some learning tasks associated with reading activities to live well. For example, the development of cognitive tools, the expertise in a job and the self-identity formation are the most important tasks associated with reading in modern life-long learning society. Furthermore, it is necessary to use the symbolic resources intentionally such as reading, music and the arts. The research on the lifetime development of readers` understanding framework, reading comprehension and narrative competence will contributed to the utilization of the potentialities of reading experiences in life-long learning.

      • KCI등재

        초등학교와 중학교 시기 창의성 발달 경향 및 성차 탐색: 호기심과 독자성을 중심으로

        김명섭,민지연 대한사고개발학회 2020 사고개발 Vol.16 No.1

        This study aimed to analyze how students' creativity develops and whether creativity development patterns differ by gender using Seoul education longitudinal study (SELS) data. Large data on students' curiosity and independence aspects of creativity of 4th to 9th grade were analyzed. Results revealed that the piecewise model, which assumes difference in the rate of change between elementary school periods and middle school periods, fitted well with the data. Curiosity and independence decreased in both elementary and middle school periods, and the decline was higher in middle school periods than elementary school periods. Significant gender differences in decline during elementary school periods were found. Curiosity and independence of female elementary school students decline more rapidly than those of male elementary school students.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during middle school periods. Based on the results of the research, the characteristics of Korean students' creativity development and possible educational intervention were discussed. 본 연구에서는 서울교육종단연구2010 자료를 활용하여 초등학교와 중학교 시기 창의성이 어떻게 발달하는지, 창의성 발달 양상에 있어 성차가 나타나는지를 분석하였다. 호기심과 독자성을 중심으로 창의성 발달 양상을 살펴보았으며, 초등학교 4학년부터 중학교 3학년까지 시기를 중심으로 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 결과, 초등학교 시기 변화율과 중학생 시기 변화율이 다르다고 가정한 분할함수 모형이 창의성 발달 경향을 가장 잘 설명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초등학교와 중학교 시기 모두 호기심과 독자성이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감소폭은 중학교 시기에 더 높았다. 성별 차이를 분석한 결과, 호기심과 독자성 모두 여학생의 초기치가 높았고, 초등학교 시기 변화율은 남학생이 여학생보다 높게 나타나 여학생의 초등학교 시기 감소폭이 남학생보다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중학교 시기 변화율에 있어 성차는 유의하지 않았다. 분석 결과를 바탕으로 한국 학생들의 창의성 발달 특성과 이에 따른 교육적 개입 방안 등에 대해 논의하였다.

      • KCI등재후보

        傳統法史上 中國法文化의 受容과 朝鮮朝의 法發達

        李鍾吉(Lee Jong-Khil) 한국법학원 2009 저스티스 Vol.- No.114

        본고는 전통사회를 대상으로 中ㆍ韓 兩國間에 이루어지던 법의 교류 및 정비실상을 朝鮮朝를 중심으로 보다 統合的 의미를 갖는 法文化史的 側面에서 검토하고 있다. 中國을 중심으로 한 傳統의 동양사회는 특히 法論議의 중심에 儒家와 法家의 思想을 위치시켜놓고서 여타의 思考를 흡수하는 방법으로 법발전을 도모해 왔다. 先進文化는 後進文化에 영향을 주게 되는 것이며 후진문화는 일정정도 선진의 合理的이며 效率性 높은 문화내용을 포괄적으로 흡수하는 경향을 갖게 된다. 그러나 후진사회는 학문적으로나 정치제도 및 사상적으로 영향을 받는 한편, 점차 각자 사회의 獨自的 生成原理와 存在實相에 대한 역사적 의미 및 그의 사회적 가치와의 관계에서 整合性을 강구하는 과정을 밟게 된다. 獨自性 및 固有性은 역사를 통해 당해 사회가 시간을 이어 숙성시켜온 내용으로써 그 자체가 이미 整合에 대한 논의와 시행착오를 교정한 내용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일반적이다. 東洋法系의 중추가 되는 중국의 儒敎的 法文化는 조선사회의 법제와 법문화형성에 크게 영향을 미치고 있다. 儒敎經典을 통한 법정신의 수용은 물론이고 중국의 역대왕조들이 형성해온 법제도와 判例 및 司法實際를 法書와 歷史書를 통해 포괄적으로 받아들이는 조선시대의 法實相을 중요하게 이해할 수 있다. 이는 朝鮮時代의 法이 국초에는 新羅와 高麗의 제도를 기초로 삼되, 중국의 법을 대거 참고하면서 법제를 정비하는 정책에서 기인한다. 하지만 후기로 갈수록 조선사회자체가 凝縮해낸 법 논의와 축적한 판례 등을 통해 독자적 제도수립을 강화하는 방향으로 나아가게 된다. 이는 人間의 根本價値 및 理致에 대한 고양된 인식을 기초로 바름을 考究하는 好學君主와 學者群들이 행하는 正法에 대한 요구가 중요하게 작용한 결과이다. 결국 조선조는 중국의 법문화를 포괄적으로 수용한 초기의 법제내용을 기초로, 점차 역동적으로 변화하는 조선후기의 사회상을 적극 반영하면서 法文化全般을 獨自的이며 발전적 방향으로 일구어가는 궤적을 보여주고 있다.

      • KCI등재

        초등학교 저학년 동화 문체 분석 -권정생의 <강아지똥>을 중심으로

        윤신원 ( Shin Won Yoon ) 한국어린이문학교육학회 2011 어린이문학교육연구 Vol.12 No.2

        본고는 권정생의 <강아지똥>을 어학적 문체론의 단위인 음운론, 어휘론, 통사론, 의미론으로 나누어 문체적 특성에 대해 살펴보고, 독자의 연령에 따른 독서 발달 단계를 중심으로 한 독자 요인을 함께 고려하여, 동화의 어학적 문체 특성과 독자와의 관련성에 대해 살펴보고자 한다. 분석으로 도출된 <강아지똥>의 문체는 음독에 효과적인 구어적인 표현과 리듬감을 느낄 수 있는 다양한 반복, 내용의 이해가 용이한 다양한 길이와 여러 유형의 문장, 청자지향적 종결체, 문법보다 의미를 중심으로 한 표기 등이 나타나 초등학교 저학년의 독서 발달 단계에서 제시한 특성과 많은 부분이 일치한다. 지금까지 아동용 동화에서 문체에 대한 언급은 특정 작가나 작품을 중심으로 이루어지거나 동화 장르의 특성을 정의하는 내용에 덧붙여 매우 포괄적이고 간략하게만 제시되었다. 앞으로 아동용 동화의 내용적인 면 뿐 아니라 문체를 포함한 언어학적 분야에 있어서의 고민 또한 반드시 필요하며, 연령대 별 아동용 동화 문체를 각각의 대상 독자 연령대와 관련하여 분석하는 연구가 뒤따라야 할 것이다. This study divides “Puppy Poo” by Kwon-Jeongsaeng into units in linguistic stylistics of phonology, lexis, syntax and semantics, and looks into the stylistic characteristics. Then it examines the impact of linguistic stylistic characteristics in children`s stories on their readers with regard to the readers` stages of reading development. The style of "Puppy Poo" observed in analysis exhibits colloquial style which is effective for reading. This style includes various repetitions with rhythms, sentences in various lengths and various forms that are easy for comprehension, hearer directivity ending style, and marks focusing on meanings rather than grammar. Thus it quite consistent with the characteristics from the appropriate stage of reading development. The studies on the styles of children`s stories have focused on specific authors or works, or have provided very comprehensive and concise explanations in addition to defining the characteristics of genre. In the future, there should be further consideration on linguistic area including not only the contents but also style of children`s stories. Continuous study on the style of children`s story by age group in relation to the age of readers should follow.

      • KCI등재

        문학교육과의 대비를 통해 본 문학치료의 특성

        조은상 ( Cho Eun-sang ) 한국고전문학교육학회 2018 고전문학과 교육 Vol.39 No.-

        이 연구는 문학교육과의 관계 속에서 문학치료의 특성을 확인하고 그 정체성을 분명히 하고자 하는 목적을 갖는다. 문학치료는 문학을 가르치지 않는다. 합의된 해석이나 작품의 창작 배경, 갈래적 특성 등에 대한 지식을 전달하지 않는다. 문학치료에서는 참여자가 문학 텍스트를 자기 생각과 감정에 충실하게 감상하고 표현하도록 독려한다. 텍스트에 대한 참여자의 반응, 즉 정서와 해석은 참여자의 내면을 반영하고 있는 것으로서 모두 존중된다. 문학치료는 텍스트 내에 의미가 존재하는 것이 아니라 독자에 의해 생산된다고 보았던 독자반응비평의 관점에 충실하다. 독자가 생산한 의미를 독자의 자기탐색을 위한 매개로 활용하는 것이다. 문학치료에서는 문학 텍스트보다는 그 텍스트를 읽는 사람에게 초점을 맞춘다. 그래서 문학치료는 문학 텍스트의 이해보다는 문학을 통한 독자의 자기이해를 도모하는 방향으로 진행되게 된다. 문학치료에서 문학은 그것을 읽고 반응하는 자기를 보게 함으로써 참여자의 자기에 대한 앎을 증진시켜 자기의 확장을 가능하게 하는 성장의 매체이다. 문학치료에서 문학 텍스트에 대한 수용자의 반응에 대한 허용의 폭은 문학교육의 그것보다 크며 문학치료의 과정은 문학교육의 그것보다 특수하고 개별적인 특성을 가진다. 문학을 통한 개인의 성장을 지향한다는 점에서 문학교육과 문학치료는 상호보완적 관계에 있으며 문학 텍스트를 읽고 쓰며 이해할 수 있는 기본적 능력을 갖추기 위한 문학교육이 바탕이 될 때 문학치료는 더욱 활성화될 수 있을 것이다. This paper aims to identify the characteristics of literary therapy in relation to literature education. It also intends to clarify its distinctiveness. Literary therapy is not to teach literature. It does not deliver knowledge on agreed analyses, backgrounds and the nature of genres. Literary therapy encourages participants to fully appreciate one’s thought and emotions and express them. The end goal is self-knowledge rather than the understanding of texts. Literary therapy focuses on self-knowledge through literatures as opposed to literature education which aims to encourage understandings of literature texts. In literary therapy, literature is media for personal growth facilitating self-expansion. Literature works enable participants to view oneself objectively by the means of one’s responses to literature works. Literary therapy has more permissive viewpoints on recipients’ response to literature texts than literature education. In addition, the subject of literary therapy is more unique and individualistic.

      • KCI등재

        은유분석을 통해 본 초·중·고등학생의 읽기 개념 인식의 발달적 경향

        편지윤 서울대학교 국어교육연구소 2018 국어교육연구 Vol.41 No.-

        이 연구는 초‧중‧고등학생들의 읽기 개념 인식을 분석하여 개념 인식의 발달적 경향을 확인하고, 교육적 시사를 도출하는 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양적 방법과 질적 방법을 동원해 읽기에 대한 학생들의 은유를 학교급별, 성별로 비교·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읽기 국면’에 있어 학교급이 높아질수록 텍스트와 독자 등 읽기 요소를 두루 고려하며 읽기에 대한 인식이 종합화되는 경향이 증가함을 확인했다. ‘읽기 효용’ 범주를 통해 학교급 및 성차와 관계없이 읽기의 필요성과 효용적 쓰임을 긍정적으로 생각하는 경향을 확인했다. ‘읽기 경험’ 범주에서는 학생들이 읽기를 ‘텍스트를 매개로 한 경험’으로 인식하는 경향이 강하나, 점차적으로 읽기를 수행하는 것 자체에 주목하는 양상을 보임을 확인했다. ‘읽기 과정’ 범주에서는 학교급이 높아져도 읽기의 중심을 텍스트로 상정하고, 독자 역할을 텍스트의 의미를 정확하게 읽어내는 존재로 한정하는 경향이 지속됨을 확인했다. 이상을 바탕으로 읽기 교육적 시사를 도출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the developmental tendencies of concept perception on reading by school grade and to derive educational implications. For this purpose, students' metaphor for reading was compared and analyzed by gender and school grade. This analysis confirmed that the tendency to show a comprehensive perception of reading increases based on considering text and reader factors evenly in the “Reading Phase.” When examining “Reading Utility,” the tendency to affirm reading necessity and utility usage irrespective of sex difference and school grade was revealed. When analysing “Reading Experience,” students tend to perceive reading as a “text-based experience,” but gradually confirm that they are paying attention to practice in reading. In our study of “Reading Process,” it was confirmed that there is a tendency to limit the reader’s role to reading the meaning of the text correctly, assuming that the center of the reading is the text, even if the school grade increases. Based on the above, we derive reading educatio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