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대학 축구선수의 진로 인식 유형에 관한 연구

        김민 ( Kim Min ),김기운 ( Kim Ki-woon ) 한국융합과학회(구 한국시큐리티융합경영학회) 2021 한국융합과학회지 Vol.10 No.2

        연구목적: 이 연구는 대학축구선수들의 진로에 대한 주관적 인식과 태도 유형을 탐색하는데 목적을 두고 수행되었다. 연구방법: 연구목적 달성을 위해 Q 방법론을 적용하였다. 대학축구지도자 및 선수와의 예비 면담자료와 각종 문헌 자료를 토대로 30개의 Q표본을 구성하였다. 이후 A 대학 축구선수 30명을 대상으로 Q표본과 분포도를 배포 및 수집하였으며, 수집된 자료는 QUANL 1.2 프로그램을 통해 분석하였다. 결과: 분석 결과, 대학축구선수의 진로 인식 유형은 네 가지 형태로 도출되었다. 첫째, 제1유형(합리적 사고형)자신의 진로 선택을 위해 학업과 자기관리를 철저히 하고 부모님과 상의하는 등 자신의 진로에 대해 합리적으로 사고하는 유형이다. 둘째, 제2유형(축구 사랑형)은 축구선수 외에도 축구와 관련된 다른 진로에 대해 긍정적 인식과 책임감 있는 태도를 보이는 유형이다. 셋째, 제3유형(표류형)은 ‘학생과 선수’ 사이에서 대학축구선수로서의 정체성과 역할에 대한 혼란과 진로 준비에 어려움을 겪는 유형이다. 넷째, 제4유형(프로선수 지향형)은 자신이 학생보다 축구선수에 더 가깝다고 인식하고 있으며, (최소 K3리그 이상의) 프로축구선수로 성공하고 싶다는 의지가 강한 유형이다. 결론: 이처럼 대학축구선수들의 진로 인식 유형은 합리적 사고형부터 축구 사랑형, 표류형, 프로선수 지향형 등 다양한 형태로 나타났으며, 이를 토대로 대학운동선수의 효율적 진로 준비를 위한 다양한 정책적 변화와 프로그램개발의 필요성이 제기된다. Pu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the types of attitudes and awareness of career choices among college soccer players. Methods: The Q methodology is applied to achieve research objectives. A Q-sample was organized based on literature materials and data from in-depth interview with college soccer coaches and players. And the Q-sample and Q-grid were distributed and collected for 30 players in A university.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through the QUANL 1.2 PC program. Result: Four types of career perspective of college soccer players were derived. The first type (reasonable thinking type) is a type of thinking rationally about one's own career, such as studying and self-management hard for one's future and discussing career with parents. The second type (blind soccer love type) is a type that shows a positive perception and a responsible attitude toward other career paths related to soccer besides soccer players. The third type (drifting type) is that experiences confusion about their identity and role among ‘student and athlete’, and has difficulty preparing for his career. The fourth type (professional player-oriented) recognizes that he is closer to a soccer player than a student, and has a strong desire to succeed as a professional soccer player (at least in the K3 league). Conclusion: In this way, the types of career recognition of college soccer players appeared in various forms, from rational thinking type to blind soccer love type, drifting type, and professional soccer player-oriented type. Based on this, there is a need for various policy changes and program development to efficiently prepare for college athletes' careers.

      • KCI등재

        대학 축구선수가 지각한 축구 지도자의 코칭지식과 지도자 신뢰 및 경기력의 관계

        유용준(Yoo, YongJun),정구인(Jung, KooIn),최헌혁(Choi HunHyuk)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18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18 No.23

        본 연구는 대학축구 선수의 지도자 코칭지식 지각과 지도자 신뢰 그리고 경기력 간의 인과관계를 규명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대한축구협회(KFA)에 선수로 등록된 대학축구 선수를 2018년 3월부터 7월까지 연구 참여모집단으로 선정하였으며, 그 중 312명의 대학축구 선수가 본 연구의 연구 참여자로 선정되었다. 연구 참여자들로부터 수집된 설문지 중 총 302부의 설문지를 본 연구의 최종 자료로 사용하였으며, 수집된 자료는 통계프로그램 SPSS 21.0과 AMOS 21.0을 이용하여 측정도구의 구성타 당도와 내적일관성을 확보하기 위한 확인적 요인분석과 신뢰도 분석을 실시하였다. 변인 간의 관련성을 분석하기 위해 상관관계분석을 실시하였으며, 연구가설 검증을 위해 구조방정식모형분석, 부트스트래핑 분석을 실시하였다. 각 변인 간 인과관계 분석을 통해 얻어진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대학축구 선수의 지도자 코칭지식 지각이 지도자 신뢰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대학축구 선수의 지도자 코칭지식 지각이 경기력에 유의하지 않은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코칭지식 지각에 영향을 받았던 지도자 신뢰는 경기력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대학 축구선수가 지각한 축구 지도자의 코칭지식과 경기력의 관계에서 지도자 신뢰는 매개(완전)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를 통해 지도자와 선수사이에 신뢰가 바탕이 되었을 때 코칭지식이 경기력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현장지도자는 코칭지식만으로는 경기력을 향상시킬 수 없으므로 신뢰를 토대로 코칭지식을 전달하는 방안을 강구해야 할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asual relations between the athletic performance, trust in coach and perception of college soccer player on soccer coaches coaching knowledge. College soccer players registered at KFA were set as a population for this research, amongst them, 312 college soccer players were set as a research participant for this research. 302 questionnaires were collected from research participants and were used as a final data for this research. Collected data points went through statistical programs such as SPSS 21.0 and AMOS 21.0. Using these programs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and reliability analysis were performed to guarantee the construct validity and internal consistency of the measurement tool. To analyze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variables correlation analysis was performed, and to verify the research hypothesis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and bootstrapping analysis was performed. The result of this research is following; first, a perception of college soccer player on soccer coache’s coaching knowledge has a significant effect on trust in an instructor. Second, acknowledging the coaching knowledge of the coach doesn t have a significant effect on athletic performance. Third, the trust level in a coach which was affected by the perception of college soccer player on soccer coache’s coaching knowledge has a significant effect on athletic performance Finally, trust in coach has mediating effect o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athletic performance and perception of college soccer player on soccer coache’s coaching knowledge. Through this results, we can conclude that when the coach and the athlete have built-in trust, coaching knowledge has a positive effect on athletic performance. Field leaders, coaches cannot improve athletic performance only applying the coaching knowledge, so they should find a way to pass the coaching knowledge based on trust.

      • KCI등재후보

        대학 축구선수의 성취목표성향에 따른 승부근성과 운동열정의 관계

        박지영,오연풍,양춘호 한국스포츠학회 2016 한국스포츠학회지 Vol.14 No.4

        이 연구에서는 대한축구협회에 등록된 대학교 남자 축구선수들을 모집단으로 선정하여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표본은 편의표본추출방법을 이용하여 총 336부의 설문지를 최종분석에 사용하였다. 이 연구는 대학 축구선수의 성취 목표성향에 따른 승부근성과 운동열정의 관계를 실증적으로 규명한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대학 축구선수의 성취목 표성향과 승부근성 및 운동열정의 상관관계를 살펴본 결과 성취목표성향은 투혼과 승부욕, 강박열정, 조화열정에서 정 적 상관관계가 나타났다. 둘째, 대학 축구선수의 성취목표성향의 하위변인 중 과제성향은 투혼, 승부욕, 자신감에 정적 영향을 미쳤고, 자기성향은 투혼과 승부욕에 정적 영향을 미쳤다. 셋째, 대학 축구선수의 성취목표성향의 하위변인 중 자기성향은 강박열정과 조화열정에 정적 영향을 미쳤다. 결론적으로 대학 축구선수의 성취목표성향은 승부근성과 운동 열정에 유의한 상관관계와 정적 영향을 미쳤다. The study conducted a survey research by selecting male university football players registered to the Korea Football Association as a population. The sample used a convenience sampling method, which used 336 surveys in the final analysis. The study positively established the following conclusions on the relationship between tenacity and passion for sports depending on the achievement goal orientation of university football players. First, an examination of the correlation between achievement goal orientation, tenacity and passion for sports showed that achievement goal orientation had a positive correlation to fighting-spirit, yearning, obsessive passion, and harmonious passion. Second, out of the subvariables of achievement goal orientation, task orientation had a positive effect on fighting-spirit, yearning, and confidence, while self-orientation had a positive effect on fighting-spirit and yearning. Third, out of the subvariables of achievement goal orientation, self-orientation had a positive effect on obsessive passion and harmonious passion. In conclusion, the achievement goal orientation of university football players had a significant correlation and positive effect on tenacity and passion for sports.

      • KCI등재

        대학축구선수들의 스포츠태도, 구매성향 및 구매 후 행동과의 관계

        김인호,석강훈 한국스포츠학회 2018 한국스포츠학회지 Vol.16 No.3

        이 연구는 대학축구선수들의 스포츠 태도, 구매성향, 만족 및 구매 후 행동과의 관계를 분석하는데 그 목적이 있 다. 이 연구의 대상은 2017년 현재 대한축구협회에 등록된 대학생 축구선수를 모집단으로 선정하고, 표집방법은 편의 표본추출법을 이용하여 표본을 추출하였다. 이들 중 250명을 표집대상으로 하였으며, 조사방법은 본 연구자가 사전에 교육된 조사원 3명과 함께 직접 배부하고 자기평가기입법에 의거하여 설문을 회수 하였다. 회수된 설문 가운데 응답성 이 불성실하거나 조사내용의 일부가 누락된 12명의 자료를 제외한 총 238(95.6%)명의 설문지를 유효 표본으로 하였 다. 자료처리는 SPSS WIN 15.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빈도분석, 탐색적 요인분석, 신뢰도 분석, 단순 및 다중회귀분석 을 실시하였다. 이와 같은 분석을 통해 얻어진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대학축구선수들이 습득한 스포츠 태도는 구매 성향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대학축구선수들이 습득한 스포츠 태도는 만족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대학축구선수들의 구매성향은 만족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대학축 구선수들의 만족은 구매 후 행동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relationship between university student soccer players' sports attitude, their purchase propensity, satisfaction, and post-purchase behavior. The subjects of this study are university student soccer players registered in the Korean Football Association and sampling was designed by using the convenience sampling method. 250 students of these were sampled and three researchers who were educated in advance directly distributed the questionnaire to the students, and the questionnaire was collected based on the self-administration method. A total of 238 (95.6%) questionnaires were selected as valid samples, except for the 12 questionnaires that were not responding properly or missing a part of the survey. Data was analyzed by frequency analysis, exploratory factor analysis, reliability analysis, and simple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using SPSS WIN 15.0 program. The conclusions obtained through this analysis are as follows. First, the sport attitude acquired by university student soccer players has an impact on the purchase tendency. Second, the sport attitude acquired by university student soccer players has a positive effect on satisfaction. Third, the purchase tendency of university student soccer players has a positive effect on satisfaction. Fourth, satisfaction of university student soccer players has a positive effect on post-purchase behavior.

      • KCI등재

        대학 축구선수들의 집단지성(Collective Intelligence) 활성화를 위한 교육 요건 탐색

        전종희(Jeon, Jonghee)양영민(Yang, Youngmin)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16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16 No.8

        이 연구는 대학 축구선수들의 집단지성(Collective Intelligence) 활성화를 위한 교육 요건을 탐색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대학 축구선수들을 대상으로 개방형 질문지를 실시한 후 질적 자료에 대한 내용 분석, 코딩 및 검토 과정을 거쳤다. 이후, 양적으로 변환한 자료에 대해 다중응답분석 및 빈도분석을 하였고 결과 제시 및 해석에 대한 검토를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 집단지성의 활성화라는 관점에서 대학 축구선수들이 인식하는 우수·비우수 축구팀의 특징을 살펴보면, 좋은 축구팀이 되기 위해서는 팀워크의 구축이 우선적인 요건이었다. 집단지성의 활성화 요건을 구체적으로 살펴본 결과, 축구팀은 팀워크·조직력, 축구감독은 리더십과 지도력, 축구코치는 지도력과 보조리더십 등의 순으로 나타났다. 축구선수의 요건을 보면, 개인의 기량·노력, 팀을 위한 헌신 등의 순이었다. 학생리더선수와 학생구성 원선수의 요건은 각각 리더십과 팔로워십이 가장 높았다. 대학 시절에 계발해야 할 능력으로는 강점·기본기·개인기, 피지컬·웨이트 트레이닝 등의 순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를 종합해 볼 때, 대학 축구선수들이 인식하는 집단지성의 활성화를 위한 교육 요건을 구체적으로 확인할 수 있다. 본 연구의 결과를 바탕으로 논의 및 결 론, 향후 연구에 대한 제언을 제시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educational requirements for the activation of collective intelligence in university soccer players. This study examined open questionnaire data collected from university soccer players. In addition, a multiple-response analysis and a frequency analysis as statistical analyses were done after providing codes based on content analysis, coding, and review processes. The results showed for skilled and poor soccer teams that the students experienced were closely related to teamwork, and the preferred requirement for a good team was to build firm teamwork skills for the activation of collective intelligence. Second, the main requirements of individuals and teams for the activation of collective intelligence were teamwork-organizing abilities on a soccer team and leadership, good capacity as a leader, and good capacity, sub-leadership skills as a coach. In addition, the main requirements of a soccer player were individual abilities, effort, and commitment to the team. The main requirements for leader players and member players were leadership and the ability to follow the leader, respectively. The major abilities to develop at universities for a good team and for good players were strength-basic skills-individual skills, and physical-weight training.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the educational requirements for the activation of collective intelligence in university soccer players were identified. A discussion, conclusion, and suggestions for future research are given on the basis of the results of this study.

      • KCI등재

        대학 축구선수 대상의 심리기술훈련 효과

        천성민,조명진,전정환 한국스포츠심리학회 2024 한국스포츠심리학회지 Vol.35 No.3

        목적: 본 연구는 대학 축구선수를 대상으로 개인상담 방식의 심리기술훈련을 진행하고 그 효과를 검증하고자 하였 다. 방법: 연구참가자는 대학에 재학중인 2학년 축구선수 2명과 3학년 축구선수 1명으로 평균연령은 20.6세였고, 운동경력은 10.6년이었다. 심리기술훈련은 선수 개인별로 5∼6회기로 진행되었으며, 회기당 시간은 약 50분이 소요 되었다. 심리기술 훈련의 효과를 검증하기 위하여 심리기술과 스포츠수행전략(TOPS), 자기관리 검사지를 활용하였 고, 기초선-중재-재기초선으로 기간을 분류하여 양적자료를 수집하였다. 또한 심층면담 자료는 양적연구 결과를 보 완하는 목적으로 활용하였다. 결과: 첫째, 개인상담 방식의 심리기술훈련은 대학 축구선수의 심리기술이나 스포츠 수행전략, 자기관리 능력을 긍정적으로 향상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심리기술훈련은 선수들의 자기주도적 심리기술능력 향상에 도움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 본 연구를 통해 개인상담 방식의 심리기술훈련 효과를 확인할 수 있었고, 대학 축구선수들이 공통적으로 호소하는 문제를 확인할 수 있었다. 따라서 후속연구를 통해 대 학 축구선수들을 위한 심리기술훈련 매뉴얼이 개발된다면 선수들의 성장에 도움을 줄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Purpose: This study aimed to conduct psychological skills training for college soccer players who wished to receive psychological skills training and verify its effectiveness. Methods: The study participants were two sophomore and one junior soccer players currently enrolled in university, with 10 years of experience in the sport. Psychological skills training was conducted over 5 to 6 sessions for each individual athlete, and each session took approximately 50 minutes. Qualitative data were collected using psychological skills training, the Psychological Skills and Test of Performance Strategies (TOPS) and self-management scale through baseline, intervention, and re-baseline. Qualitative data were collected based on in-depth individual interview. Results: First, individual counseling-style psychological skills training was shown to positively improve the psychological skills, sports performance strategies, and self-management abilities of university soccer players. Second, psychological skills training was shown to help improve athletes’ self-directed psychological skills abilities. Conclusion: Through this study, we were able to confirm the effectiveness of psychological skills training in the form of individual counseling and identify the psychological difficulties commonly experienced by university soccer players. Therefore, if a psychological skills training manual for university soccer players is developed through follow-up research, it is expected to help players grow.

      • KCI등재

        대학축구선수의 생활역량 분석

        서희진 ( Seo¸ Hee-jin ) 한국융합과학회(구 한국시큐리티융합경영학회) 2021 한국융합과학회지 Vol.10 No.2

        연구목적: 이 연구는 대학축구선수가 지닌 다양한 능력 즉 생활역량을 비교·분석하는데 목적이 있다. 연구방법: 이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남자 대학축구선수와 체육계열 일반학생을 대상으로 설문지를 배포하여 268부가 최종 분석에 사용되었다. 자료처리는 IBM SPSS Statistics 25를 사용하여 빈도분석, 요인분석, 독립표본 t검증을 수행하였다. 결과: 대학축구선수와 체육계열 일반학생의 생활역량의 차이를 분석한 결과, 첫째, 자기조절역량에서는 감정조절기술의 ‘전반적 감정조절’과 ‘상황적 감정조절’은 일반학생이 높았고, 신체관리기술의 ‘식습관’과 시간관리기술의 ‘평가’에서는 운동선수가 높았다. 둘째, 자기개발역량에서는 창의성개발기술의 ‘문제해결력’, 목표설정기술의 ‘실행’, 진로탐색기술의 ‘진로활동’ 모두에서 운동선수가 높았다. 셋째, 학습역량에서는 과제해결기술의 ‘학습’과 ‘정보활용’은 일반학생이 높았고, ‘정보탐색’은 운동선수가 높았다. 학습태도기술의 ‘공부’에서는 운동선수가 높았고, ‘과제’에서는 일반학생이 높았다. 넷째, 대인관계역량에서는 의사소통기술의 ‘경청’과 리더십기술의 ‘집단관리’에서 일반학생이 높았다. 결론: 이 연구를 통해 대학운동선수가 지닌 다양한 범주의 역량 중 긍정적 역량은 강화하고 부족한 역량을 보완하는 세부적인 노력이 필요함을 확인하였다.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life competency related to various abilities of college soccer players. Methods: To achieve the purpose of the study, questionnaires were distributed to male college soccer players and general students and the final 268 copies were used for analysis. and independent sample t-test. Result: First, in self-regulation competency, general students showed high level of 'general emotion control' and 'situational emotion control' of emotional control skills, and athletes showed high level of 'eating habits' of body management skills and 'evaluation' of time management skills. Second, in self-development competency, athletes were high in 'problem solving ability' of creativity development skills, 'execution' of goal setting skills, and 'career activity' of career exploration skills. Third, in learning competency, 'learning' and 'utilizing information' of task solving skills were higher in general students, and 'information search' was higher in athletes. In the study of learning attitude skills, athletes were high, and general students were high in 'tasks'. Fourth, in interpersonal competency, general students were high in 'listening' of communication skills and 'group management' of leadership skills. Conclusion: This study was confirmed that detailed efforts are needed to strengthen positive competency and complement the insufficient competency among the various categories of competency of college athletes.

      • KCI등재

        대학 여자축구선수의 재활과정에 따른 심리적 변화와 극복전략: 근거이론적 접근

        윤재혁 ( Jaehyeok Yoon ),이슬 ( Seul Lee ),홍준희 ( Junhee Hong ) 한국스포츠심리학회 2021 한국스포츠심리학회지 Vol.32 No.2

        목적: 본 연구의 목적은 대학 여자축구선수들이 재활과정에서 느끼는 심리적 변화를 탐색하고 이를 극복할 수 있는 전략을 살펴보는 데 있다. 방법: 참가자는 2018년 대학 여자축구연맹에 등록되어 있고, 부상으로 인한 재활경험이 있는 7명의 선수이다. 이들을 대상으로 개인 면담과 집단면담을 시행하여 수집된 자료를 구성주의 근거이론(Constructing Grounded Theory) 접근방법을 통해 분석하였다. 결과: 선수들은 재활 과정 초기에서 부정적인 생각을 하게 되는 동시에 긍정적으로 생각하려는 노력이 순환적으로 반복되는 심리적인 양상을 겪으며, 선수 생활에 대한 양가감정을 느끼는 것으로 나타났다. 재활 과정 중기의 심리적 변화에서는 재활상황 자체에 대한 초조함과 불안함, 심리적 압박감을 느끼면서도 점차 회복하는 신체에 자신감을 얻고 복귀를 위한 노력에 집중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재활 과정 후기에서는 복귀에 대한 설렘을 가지면서도 재발 불안감 등으로 부담과 압박을 느끼는 복귀에 대한 양가감정이 드러났다. 선수들의 경험을 바탕으로 구성한 극복전략은 다음과 같다. 첫째, 자신감 향상전략, 긍정적 사고의 전환 등의 심리적 극복, 둘째, 복귀를 위한 훈련을 포함한 신체적 극복, 셋째, 여자선수들을 위한 전문적 프로그램 필요의 환경적 지원, 넷째, 주요타자지원과 같은 사회적 지원이다. 결론: 대학 여자축구선수들은 재활과정에서 여러 가지 복합적인 심리적 변화를 겪으며, 선수로서의 삶을 진지하게 고민해보는 양가감정의 갈등이 함께 나타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이렇게 드러난 양가감정의 폭을 줄이거나 해결하는 심리적 과정은 선수로서의 정체성을 재확립하는 계기가 될 수 있다. 이를 위해서는 이에 기반하는 내용을 포함한 전문적인 스포츠 심리상담과 체계적인 지원이 재활과정의 선수들에게 필요할 것이다. Purpose: This study aimed to discover psychological changes of female soccer athletes in college during the rehabilitation process for their successful recovery and seek solutions that can help them overcome their difficulties. Methods: The current research selected seven female soccer athletes registered in the College Women’s Soccer League who have had experiences of receiving rehabilitation from injury. The approach of Constructing Grounded Theory analyzed the obtained data through individual and focus group interviews. Result: Women soccer athletes had negative thoughts in the early stages of rehabilitation and at the same time experienced a cyclical psychological process in which they repeatedly put effort to think positive. In addition, they felt ambivalent feelings about their career. Their psychological changes in the middle of the rehabilitation process showed that the rehabilitation situation made them feel nervous, anxious, and pressured. However, they gradually gained confidence while recovering from injury and focused on their efforts to return. While they felt excited to return at the end of the rehabilitation process, the current study found ambivalent feelings derived from burden and pressure due to the anxiety about the recurrence. There were four dimensions to overcome difficulties as follows: 1) self-confidence improvement strategies and psychological overcoming such as positive thinking conversion; 2) physical overcoming such as training for return; 3) environmental support for professional programs to female athletes; and 4) social support from critical others. Conclusion: Female college soccer players went through various psychological changes in the rehabilitation process. We can see the conflict of ambivalent emotions that made them seriously consider their athletic careers. In the rehabilitation process, the psychological process of reducing or resolving the scope of these ambivalent emotions can serve as a vehicle to redefine one’s identity as an athlete. Therefore, professional sports psychological counseling and systematic support that contains the content based on this will be in need for athletes in the rehabilitation process.

      • KCI등재

        대학축구선수들의 절실함, 자기관리, 인지된 경기력과의 구조적 관계

        김성훈,주창화 한국코칭능력개발원 2024 코칭능력개발지 Vol.26 No.2

        이 연구는 대학축구선수들의 절실함, 자기관리, 인지된 경기력과의 관계를 분석하는데 목적이 있으며, 대학축구선수 325명을 대상으로편의표본 추출을 통해 절실함, 자기관리, 인지된 경기력 질문지를 설문하였다. 본 연구의 목적 달성을 위해 PASW 23.0과 AMOS 23.0 을 사용하여 빈도분석, 기술 통계분석, 확인적 요인분석, 신뢰도 검증 및 상관관계 분석을 실시하였으며, 구조방정식모형을 검증하여다음과 같은 결론을 도출하였다. 첫째, 절실함은 자기관리에 정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절실함은 인지된 경기력과의 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자기관리는 인지된 경기력에 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자기관리는 절실함과 인지된 경기력과의 관계를 매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절실함, 자기관리, 인지된 경기력의구조적 관계에 대한 다양한 논의가 제시되었으며, 자기관리가 대학 축구선수의 절실함과 인지된 경기력의 관계에 영향을 미치는 매개변인임을 시사한다. 또한, 이러한 결과는 대학축구선수들의 경기력 향상을 돕기 위한 절실함 향상 프로그램 개발 및 현장적용의 필요성을 시사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structural relation among desperation, self management and perceived performance of university soccer plyaers. Two hundred eighty one university soccer players were selected as participants by convenience sampling, and they completed questionnaires of desperation, self management, and perceived performance. PASW 23.0 and AMOS 23.0 were used for frequency, confirmatory factor, reliability, correlation and structure equation modeling analysis. This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ly, desperation had significant positive relationship with self management. Secondly, desperation had significant positive relationship with perceived performance. Thirdly, self management had significant positive relationship with perceived performance. Finally, it was found that self management was as a mediator in the relationship between desperation and perceived performance. Various discussions on the structural relationship between desperation, self management and perceived performance were presented and the results of the study imply that self management is the mediation variable that affects the relationship between a university soccer athlete’s desperation and perceived performance. Also, these results suggested the necessity of developing desperation improvement program and applying it on the field to help university soccer plyaers imprive their performance.

      • KCI등재

        대학 엘리트 축구선수의 징크스의존도, 스포츠수행전략, 귀인, 정신력의 관계연구

        이동현(Dong-HyunLee),이지항(Ji-Hang Lee) 한국영재교육학회 2021 영재와 영재교육 Vol.20 No.4

        본 연구의 목적은 대학 엘리트 축구선수의 징크스의존도, 스포츠수행전략, 귀인, 정신력의 관계를 파악해 경쟁 관계 속에서 자신의 능력을 함양하고 안정적으로 성인축구에 진입하는데 필요한 심리적 기술 요인의 기초자료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있다. 이를 위해 S·G도, C도, G시에 있는 대학 엘리트 축구선수 136명을 대상으로2021년 7월~8월 초 동안 조사를 하였다. 수집된 자료를 통해 도출한 결과는 다음과같다. 첫째, 대학 엘리트 축구선수의 스포츠수행전략, 성공귀인, 정신력은 관계가 있는 결과를 보였다. 아울러 징크스의존도는 다른 심리적 기제와 관련성이 없는 결과를나타냈다. 둘째, 스포츠수행전략 하위요인 중 컨디션조절, 심상 및 목표설정, 감정조절과 정신력이 관계가 있는 결과를 나타냈다. 또한 성공귀인 하위요인은 상대분석, 컨디션과 실패귀인의 하위요인으로 정신력요인과, 심리부담감이 정신력과 유의한 관계가 있는 결과를 나타냈다. 셋째, 징크스의존도에 관한 개방형 질문을 통해 응답한결과는 경기 전, 축구화, 오른쪽, 왼쪽, 음식 등이 상위 키워드 언어로 도출되었다. 본연구를 통해 얻은 결론은 성인 무대로 나아가기 위한 발판의 시작으로 대학 엘리트축구선수를 위해 성공할 수 있는 심리적 지원과 안정된 목표설정을 함과 동시에 반복적 수행루틴이 가능한 체계적인 프로그램이 필요함을 시사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vide basic data of psychological skills that are necessary for enabling soccer players to advance to the adult soccer stably by cultivating one’s ability in competitive relation by understanding the relationship among mental toughness, jinx dependence, sports performance strategies and attribution of elite soccer players. For the foregoing, this study conducted a survey from July through August 2021 targeting 136 elite soccer players in the universities in the province of S·G, C and G city. Results derived from the collected data are as follows. First, sports performance strategies, success attribution and mental toughness of elite soccer players are proven to be interrelated. Meanwhile, jinx dependence had nothing to do with other psychological mechanisms. Second, of the subfactors of sports performance strategies, regulation of condition, mental image and goal setting, emotion control had a relationship with mental toughness. In addition, subfactors of success attribution such as analysis of opponents, condition and failure attribution and subfactors of failure attribution such as mental toughness and psychological burden had a significant relationship with mental toughness. Third, for the results responded through open-ended questions on jinx dependence, before the match, soccer shoes, right, left and food were derived as superordinate keywords. The result of this study implies that a systematic program that enables elite soccer players to perform repeatedly with psychological support and stable goal setting for their success is considered necessary as a foothold to advance to senior level.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