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대장내시경검사에서 대장내시경 회수시간과 폴립 발견율과의 관계

        안상봉,한동수,조현석,변태준,김태엽,은창수,전용철,손주현,김선민 대한소화기내시경학회 2009 Clinical Endoscopy Vol.38 No.2

        목적: 대장내시경 회수시간은 대장내시경검사에서 폴립 발견의 중요한 질관리 지표 중 하나이다. 이번 연구에서는 대장내시경검사에서 시술자간의 폴립 발견율의 차이가 있는지를 알아보고, 이에 영향을 미치는 인자를 찾아보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한양대학교 구리병원의 전임의 2년차 7명이 시행한 대장내시경 1,515건 중 장 절제술의 기왕력이 있거나, 염증성 장질환 환자 등을 제외한 1,299건을 후향적으로 분석하였다. 대상 환자의 폴립 발견율, 대장내시경 삽입시간, 회수시간, 장 정결도, 폴립 크기, 폴립 위치 등을 조사하였다. 결과: 대장내시경을 시행한 시술자별로 분류하였을 때, 시술자간 폴립 발견율은 15∼35%로 큰 차이가 있었다. 각 군 마다 성별, 나이, 장 정결도, 폴립의 위치에 있어서 의미있는 차이는 없었다. 평균 대장내시경 삽입시간은 7.6∼12.3분으로 개인별로 차이가 있었으나, 대장내시경 삽입시간과 폴립 발견율은 관계가 없었다. 대장내시경 회수시간은 개인마다 평균 3.6±2.8분에서 7.1±2.5분까지로 차이가 있었으며, 대장내시경 회수시간과 폴립 발견율에서 의미있는 상관관계가 있었다(p<0.001). 또한, 대장내시경 회수시간이 긴 경우에 5 mm 이하의 작은 폴립의 발견율이 높았다. 평균 대장내시경 회수시간을 6분을 기준으로 분석하였을 때 회수시간이 6분 이상인 경우 6분 미만에 비해 폴립 발견율이 의미있게 높았다(30.7% vs 18.4%, p< 0.001). 결론: 대장내시경검사에서 시술자간 폴립 발견율의 차이가 있었고, 대장내시경 회수시간과 폴립 발견율에는 양의 상관관계가 있었다. 대장내시경 검사에서 폴립 발견율을 높이기 위해서는 충분한 대장내시경 회수시간이 필요할 것이다. Background/Aims: The colonoscopic withdrawal time has been proposed as a quality indicator for colonoscopy, and this is based on the recent evidence that the Colon withdrawal time is associated with adenoma detection rate. In this study, we examined the difference of the polyp detection rates between practicing endoscopists, and we analysed certain factors that might lead to such differences, and particularly the colonoscopic withdrawal time. Methods: We retrospectively evaluated the colonoscopic procedures that were performed by 7 second-year GI fellows at Hanyang University Guri Hospital. A total of 1,515 colonoscopies were assessed for the polyp detection rate, the insertion time, the withdrawal time, bowel preparation, the size of the detected polyps and the location of polyps. Results: The median withdrawal time for the case with no polyps removed was 3.6 to 7.1 minutes. There was a strong positive correlation between the colonoscopic withdrawal times and the polyp detection rates (p<0.001). Furthermore, a longer withdrawal time resulted in discovering a higher percentage of small polyps. On comparing groups, the group of colonoscopists with a withdrawal time longer than 6 minutes had a higher rate of detecting polyps (30.7% vs 18.4%, p<0.001). Conclusions: There is wide range of polyp detection rates among practicing colonoscopists and there is strong positive correlation between the colonoscopic withdrawal times and the rate of detecting polyps. A long enough withdrawal time, perhaps 7 minutes, is needed to raise the rate of detecting polyps during colonoscopy.

      • KCI등재

        Sodium Phosphate 용액의 내시경하 주입 시 대장내시경 전처치 효과

        김규종,박선자,신은경,송준영,김도현,김성은,문원,박무인 대한소화기내시경학회 2008 Clinical Endoscopy Vol.36 No.3

        목적: 대장내시경 전처치 용액인 sodium phosphate (NaP)는 검사 당일 1회 복용으로도 심각한 부작용 없이 충분한 대장정결을 얻을 수 있으며, 분복의 번거로움과 설사로 인한 수면 장애가 없으므로 만족도가 높을 것으로 생각한다. 저자들은 위내시경 검사 중 90 mL (전량)의 NaP 용액을 십이지장에 주입해줌으로써 위, 대장내시경을 동시에 시행하는 환자에서 경구 투여의 번거로움과 1회(90 mL) 복용에 따른 불편감까지 해결할 수 있을 것으로 생각하여, polyethylene glycol (PEG) 용액을 전통적 방법으로 복용했을 때와 대장정결도, 불편감, 안정성 측면에서 비교 분석하였고 NaP 용액의 전량 주입 시 안정성 및 대장정결 효과를 다시 한번 확인해 보았다. 대상 및 방법: 하루에 위, 대장내시경 검사를 모두 시행한 60명(남:여=35:25, 평균연령 53.7세(18∼76세))을 대상으로 전향적 무작위 대조연구로 진행하였고 소아, 불안정한 심폐질환, 신부전증, 복수, 장 폐쇄 등의 경우는 제외하였다. 복용 군(33명)은 당일 아침 9시부터 4 L의 PEG 용액을 마시게 하였고, 내시경 주입 군(27명)은 아침 9∼10시경 내시경 검사 중 하행 십이지장에서 90 mL의 NaP 용액을 겸자공을 통해 주입한 후 물 200 mL를 추가적으로 주입하였다. 대장내시경 검사는 사전 정보가 없는 1명의 시술자에 의해 오후 3∼4시에 시행되었다. 대장정결은 4단계(excellent, good, fair, poor)로 나누었고 공기방울의 정도, 액체 저류 및 잔류변의 유무, 검사 중 흡입액의 양으로 세분화하여 평가하였다. 복용 및 주입 후 발생한 증상들은 0 (none), 1 (mild), 2 (moderate), 3 (severe)으로 구분하였으며, 안정성은 전처치 전후, 1일 후에 생체 징후와 체중을 측정하였고 전해질을 포함한 혈액 검사를 시행하였다. 직장점막의 아프타성 궤양 유무도 관찰하였다. 결과: 흡입액의 양은 내시경 주입 군에서 유의하게 적었고, 그 외 대장정결도와 아프타성 궤양 유무는 차이가 없었다. 내시경 주입 군에서 구토가 의미 있게 많았으나 경미하였다. 생체 징후와 체중의 변화는 차이가 없었고, 내시경 주입 군에서 혈청 인산치(상승)와 칼륨치(감소)가 의미 있는 변화를 보였으나, 임상증상을 호소한 사람은 없었고 1일 후 정상화되었다. 결론: 위, 대장내시경 검사를 모두 시행하는 경우 NaP 용액의 내시경하 주입은 대장 전처치의 새로운 방법이 될 수 있을 것으로 생각하며, 90 mL를 한번에 투여 시 안정성 및 대장정결 효과를 다시 한번 확인할 수 있었다.

      • KCI등재

        대장내시경에 의한 대장천공의 고찰

        서정혁,김진승,이광찬,고진철 대한소화기내시경학회 2009 Clinical Endoscopy Vol.38 No.1

        Background/Aims: Many physicians agree that colonoscopy is the best modality for either the diagnostic evaluation or use in therapy for colorectal disease. Although the incidence of perforations that occur after colonoscopy is low, the increasing number of performed colonoscopies may pose a relevant health problem with including the often lethal consequences. This study aimed to determine the frequency of perforation and the management of colonoscopic perforation. Modern Korean society has adopted westernized dietary habits, and this has led to an increased incidence of colorectal disease such as colorectal cancer, polyps and diverticulosis. Methods: We conducted a retrospective review of the medical records of all the patients who underwent colonoscopy complicated by colon perforation between January 2004 and December 2007. The patients’ demographics, the purpose of colonoscopy, the location of the perforation, the management and the outcome were compared. Results: A total of 5254 patients underwent either a diagnostic or therapeutic colonoscopy procedure during four consecutive years at a single institution. Iatrogenic colonoscopic perforations (0.2%) were diagnosed in 11 patients (seven males and four females). Perforations occurred in six patients during a diagnostic colonoscopy and these occurred in five patients during a therapeutic colonoscopy. Free air in the peritoneum or retroperitoneum was seen in all the patients, as depicted on plain X-rays. Seven patients were treated with surgical intervention and four patients were treated with conservative management. One of the 11 patients with a perforation expired on postoperative day 47 due to infective endocarditis. Conclusions: The rate of iatrogenic colonoscopic perforation is still very low. Although perforation is a very serious complication and it can be a lethal malady, early recognition and treatment are very critical factors to optimize the patient outcome. Although a gold standard therapeutic modality has not been established, the patients who present with the signs and symptoms of generalized peritonitis are recommended to undergo early surgical intervention. 목적: 최근 한국은 서구화된 식습관으로 인한 악성종양, 용종, 게실염 등 대장질환이 증가하고 있다. 대장내시경은 대장질환의 진단과 치료목적으로 가장 좋은 방법이다. 대장내시경에 의한 천공의 빈도는 매우 낮지만 대장내시경의 시행 횟수의 증가로 불가피하게 늘고 있으며 심각한 경우 사망에 이르는 중요한 합병증이다. 본 연구는 대장내시경에 의한 대장천공의 빈도, 임상적 특징, 진단, 치료 및 결과에 대해 알아보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2004년 1월부터 2007년 12월까지 본원 소화내시경 센터에서 대장내시경을 시행한 환자 중 대장천공이 발생한 환자를 대상으로 하였으며 의무기록을 통해 천공의 빈도, 임상적 특징, 진단, 치료 및 결과를 후향적으로 조사하였다. 결과: 연구기간 내에 총 5,254예의 대장내시경을 시행하였으며 11예(0.2%)에서 대장천공이 발생하였다. 남녀비는 7:4이며 진단 내시경 후 발생된 대장천공이 6예(0.13%)이며 치료 내시경 후 발생된 대장천공은 5예(0.82%)이다. 11예 모두 단순 방사선 촬영으로 복막 또는 후복막 자유공기가 관찰되었으며 천공의 위치는 에스결장이 8예로 가장 많았다. 7예에서 수술적 치료를 하였으며, 4예에서 내과적인 보존적 치료를 하였다. 천공 크기의 평균은 수술적 치료군에서 10.71±4.03 mm, 보존적 치료군에서 7.75±3.30 mm이다. 진단까지 소요된 시간의 정중치는 수술적 치료군에서 6시간, 보존적 치료군에서 11시간이다. 진단 직후 11예 모두 금식 및 병합항생제 요법을 시행하였다. 수술적 치료군의 수술 방법으로 일차봉합술이 5예, 분획절제술이 1예 그리고 하트만 술식이 1예이다. 진단적 내시경 후 발생한 천공을 수술적으로 치료를 시행한 1예에서 패혈증으로 사망하였다. 결론: 대장내시경에 의한 대장천공의 빈도는 매우 낮지만 발생시 사망에 이를 수 있는 중요 합병증이므로 빠른 진단과 치료는 환자의 예후를 결정하는 매우 중요한 요인이다. 전반적인 복막염 증세 및 증상이 있으며 천공 부위가 큰 경우 조기에 수술적 치료를 시행하면 보존적 치료실패 후 발생되는 수술의 어려움 및 합병증의 증가를 예방할 수 있겠으며, 복막염 증세 및 증상이 경미하거나 천공의 크기가 작고 장정결상태가 양호한 경우 보존적 치료를 통하여 수술로 인한 합병증 및 이환율의 감소를 기대할 수 있을 것이다.

      • KCI등재

        대장내시경 적응증의 적절성 및 진단율과의 연관성 조사

        이춘영,이충현,김영호,이종우,박동일,성인경,김신연 대한소화기내시경학회 2009 Clinical Endoscopy Vol.38 No.6

        Background/Aims: We wanted to evaluate if the guidelines for appropriately performing colonoscopy by the American Society for Gastrointestinal Endoscopy (ASGE) yield good diagnostic efficacy, and we wanted to assess the appropriateness of referrals. Methods: A total of 2,412 consecutive patients (1,605 men and 807 women) who were undergoing colonoscopy from September 2006 to February 2007 were prospectively enrolled in the study. The diagnostic yield was defined as the percentage of relevant colonic pathologies of the total number of performed colonoscopies. The 2000 ASGE guidelines were used to assess the appropriateness of the indications for the procedure. Results: The large majority (64.2%) of patients had colonoscopy for an indication that was considered ‘generally indicated’, while the procedure was considered ‘generally not indicated’ for 22.4% of the patients. The diagnostic yield of colonoscopy was significantly higher for the appropriate colonoscopies (59.1%) than for the inappropriate colonoscopies (23.2%). On the multivariable analysis, the diagnostic yield was independently associated with the appropriateness of the indication that was “generally indicated” (odds ratio=9.5) and with the referrals by a gastroenterologist (odds ratio=1.7). Conclusions: The ASGE guidelines have shown a good diagnostic yield. Further steps are required to update and standardize the guidelines to increase the diagnostic yield. 목적: 지난 수년간 대장암과 대장용종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면서, 여러 가지 선별검사에서 이상소견을 보이는 경우에 시행되는 대장내시경의 건수도 증가하였지만, 증상이 없고 대장암의 위험요인이 없는 경우에도 대장내시경을 받길 원하는 사람이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다. 본 연구는 2000년 미국 소화기내시경 학회에서 제정한 대장내시경 적응증의 유용성을 전향적 연구를 통해 평가하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삼성서울병원, 건국대학교병원, 강북삼성병원에서 2006년 9월부터 2007년 2월까지 대장내시경 검사가 의뢰된 2,412명의 환자들을 사전 설문조사 후 대장내시경 검사를 시행하여 전향적으로 조사하였다. 대장내시경 적응증의 적절성을 평가하기 위해 2000년에 발표된 미국 소화기내시경학회의 진료지침이 사용되었고, 진단율은 각각의 적응증으로 시행된 전체 대장내시경 건수 분의 유의한 소견을 보인 건수로 정의 하였다. 결과: 64.2%의 환자군은 미국 소화기내시경 학회 진료지침의 ‘generally indicated’군에 해당하는 적응증으로 대장내시경을 시행하였고, 22.4%의 환자는 ‘generally not indicated’, 13.4%의 환자에서는 ‘not listed’군에 해당하는 적응증으로 대장내시경을 시행하였다. 진단율은 ‘generally indicated’군에서 59.1%, ‘generally not indicated’군에서 23.2%, ‘not listed’군에서 21.9%를 보였으며 다변량분석 시행결과, 진단율은 대장내시경 적응증의 적절성 여부와 유의한 상관관계를 보였고(Odds ratio=9.5, p<0.001), 소화기내과 의사에 의해 의뢰된 대장내시경 검사의 진단율이 타과의사에 의해 의뢰된 경우보다 유의하게 높은 진단율을 보였다(Odds ratio=1.7, p<0.01). 결론: 대장내시경 검사의 진단율은 의뢰된 적응증의 적절성과 유의한 연관성이 있었고 내시경 처방의의 전공과목과도 유의한 연관성이 있었다.

      • KCI등재

        단일종합병원에서 10년간 경험한 대장 내시경에 의한 천공

        오지은 ( Ji Eun Oh ),심상군 ( Sang Goon Shim ) 대한소화기학회 2009 대한소화기학회지 Vol.54 No.6

        목적: 대장 내시경 검사는 대장 질환의 진단과 치료에 매우 유용한 수단이며, 최근 대장 내시경 검사의 수요가 급격하게 늘어나고 있다. 이에 따라 여러 가지 내시경 합병증의 발생 빈도도 증가하고 있다. 경남 지역 중심의 중소 종합 병원에서 지난 10년간 대장 내시경 및 에스 결장 내시경 검사를 통해 발생했던 대장 천공 합병증의 임상 경험을 분석하였다. 대상 및 방법: 1997년 1월부터 2007년 10월까지 약 10년 동안 본원에서 시행한 16,388건의 대장 내시경 검사와 결장 내시경 검사 중 대장 천공이 발생한 예의 의무기록을 후향 검토하였다. 결과: 16,388예 중 대장 천공이 발생한 경우는 10예(0.06%)였고, 이는 모두 대장 내시경 검사 시에 발생하였다. 진단 목적으로 검사 시행 시 1예, 용종 제거술이나 점막 절제술 등의 치료 목적으로 시행 시 9예에서 천공이 발생하였다. 천공의 발생 위치는 직장 4예, 횡행 결장 2예, 하행 결장 2예, 에스 결장 2예였다. 시술 후 천공까지의 진단시기는 8예의 경우에는 시술 중 또는 시술 직후에 진단되었고, 1예는 시술 후 3시간 뒤 다시 내시경을 통해서 확인되었고, 나머지 1예는 24시간이 지나 복부 전산화단층촬영으로 확인되었다. 치료로는 수술 치료가 7예, 내시경 클립술 및 보존 치료를 한 경우가 3예였다. 수술 치료로는 단순 봉합술이 4예, 장 부분 절제술 및 문합술이 1예, 일차적으로 장루술을 시행한 경우가 2예였다. 결론: 대장 내시경에 의한 천공의 빈도는 아주 적지만 일단 천공 발생 시 때로는 심각한 합병증을 초래하기도 한다. 최근 내시경을 이용한 치료 술기가 증가함에 따라 대장 내시경 천공에 대해 다시 한 번 주의를 기울일 필요가 있고, 내시경 시술 중, 시술 직후에 항상 환자의 통증이나 복부 신전 유무를 자세히 살펴 천공에 대한 빠른 진단과 적절한 치료가 필요하다. Background/Aims: Colonoscopy is the principal method for diagnosis, treatment, and follow up of colorectal disease. The study aimed to assess the incidence, clinical features, and management of colonoscopic perforations at a local general hospital. Methods: A retrospective review of patient record was performed for all patients with iatrogenic colonic perforation after sigmoidoscopy and colonoscopy between 1997 and 2007. Results: In the 10-year period, 16,388 colonoscopic and sigmoidscopic procedure were performed. All 10 cases of procedure related colonic perforation were developed. Perforation occurred in 9 cases during therapeutic procedure; 5 cases due to polypectomy and 4 cases due to endoscopic submucosal dissection. Perforation occurred in one case during diagnostic procedure. Conclusions: Therapeutic procedure is a clear risk factor of colonic perforation. When colonic perforation occurs, we should be able to make early diagnosis. Early diagnosis can lead to a good treatment and can produce good prognosis with short hospital days. (Korean J Gastroenterol 2009;54:371-376)

      • KCI등재

        국내 임상에서의 대장내시경의 질 척도 인자 분석: 대장내시경 시행 후 3차 병원에전원된 환자의 코호트 연구

        전창균,김현건,전성란,고봉민,이병후,김진오 대한장연구학회 2013 Intestinal Research Vol.11 No.3

        목적: 대장내시경의 질은 대장암 선별검사로서 대장내시경의 유용성을 향상시키는 중요한 인자임에 분명하지만, 실제 국내 임상 현장에서 대장내시경의 질에 대한 보고는 매우 제한적이라 할 수 있다. 저자들은 임상 일선에서 시행되는 대장내시경의 질 척도 인자들을 분석하고자 하였다. 방법: 2012년 1월부터 10월까지 1, 2차 의료기관에서 대장내시경을 시행한 후 3차 대학병원으로 전원된 환자들 중 컴퓨터 분석이 가능하였던대장내시경 소견들을 분석하였다. 맹장 삽관율과 대장내시경 후퇴시간, 장정결도와 대장내시경 결과 기록지를 분석하였다. 장정결도는 우수,양호, 보통, 불량의 4단계로 분석하였다. 결과: 총 198예(남자 126명, 여자 72명)가 분석 가능하였다. 이들의 맹장 삽관율은 91.4% (181/198)였으며 맹장입구 사진 획득률과 회맹판사진 획득률은 각각 84.3% (167/198)와 71.7% (142/198)였다. 장정결도의 경우 83.3%의 예에서 ‘우수’ 52%, ‘양호’ 31.3%로 적절한 장정결도를 보였다. 대장내시경 후퇴시간은 전체의 94.4% (187/198)에서 측정이 가능하였으며, 측정 가능하였던 진단대장내시경(165명)의 평균후퇴시간은 8.6분이었다. 그러나 이들 중 6분 이상의 내시경 후퇴시간을 보인 경우는 69.7% (115/165)였다. 전체 30개 기관의 대장내시경결과 기록지가 분석 가능하였는데 이들 중 46.6% (14/30)는 결과 기록지에 환자 정보와 내시경 진단명만을 기재하고 있었다. 결론: 임상 일선에서 시행되고 있는 대장내시경의 상당 부분은 질 관리 인자들이 제대로 지켜지지 않고 있았다. 실제 임상에서 대장내시경의적절한 질 관리를 위해서는 질 관리에 대한 필요성 인식과 지속적인 관심이 필요할 것으로 생각된다. Background/Aims: Although the quality of colonoscopy is considered important to improve screening efficacy, there is little evidence and few statistical reports which properly reflects the colonoscopy quality of clinical practices in Korea. We aimed to investigate the quality indicators of colonoscopy performing in clinical practice. Methods: We analyzed the computerized photo-documentation files of patients who were transferred to tertiary academic hospital from private clinics or primary and secondary hospitals from January 2012 to October 2012. Quality indicators including cecal intubation rate, withdrawal time, bowel preparation status, colonoscopy report form were analyzed. Bowel preparation was assessed by 4 steps on the preparation scale (excellent, good, fair, poor). Results: A total of 198 patients (134 male, 64 female) were enrolled and analyzed. Cecal intubation rate was 91.4% (181/198) and photo-documentation of appendiceal orifice and ileocecal valve was achieved as 84.3% (167/198) and 71.7% (142/198), relatively. Overall, 83.3% of cases were adequate bowel preparation state (excellent 52%, good 31.3%). Withdrawal time could be estimated at 94.4% (187/198) of cases and mean withdrawal time of diagonostic colonoscopy (n=165) was 8.6 minutes. However, the rate of cases which withdrawal time was more than 6 minutes was 69.7% (115/165). Total of 30 institution’s colonoscopy report forms were analyzed and among nearly half enrolled institutions (46.6%, 14/30) were just recording patient’s information and colonoscopic diagnosis. Conclusions: Considerable portion of colonoscopy examination in the primary clinical practice has been performed with low procedure quality. We thus need careful attention to maintain the quality of colonoscopy in daily practice routines. (Intest Res 2013;11:198-203)

      • SCOPUSKCI등재

        대장의 측방발육형 종양에서 내시경적 분할점막절제술 후 추적 대장내시경의 유용성

        김환열 ( Hwan Yeol Kim ),고봉민 ( Bong Min Ko ),차상우 ( Sang Woo Cha ),권계원 ( Kye Won Kwon ),홍수진 ( Soo Jin Hong ),유창범 ( Chang Beom Ryu ),김영석 ( Young Seok Kim ),문종호 ( Jong Ho Moon ),김진오 ( Jin Oh Kim ),조주영 ( Joo 대한장연구학회 2003 Intestinal Research Vol.1 No.2

        목적: 대장의 측방발육형 종양은 대장 벽을 따라 낮고 넓게 자라는 표면형 종양으로 악성변화율이 높고, 크기에 비하여 점막하 침윤의 빈도는 많지 않기 때문에 내시경적 점막절제술에 의한 치료가 시행되고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내시경적 분할점막절제술후 추적 대장내시경의 시기 및 결과에 대하여 조사하였다. 대상 및 방법: 2001년 3월부터 2003년 8월까지 32개월간 순천향대학교 부천병원 소화기병 센터에서 대장내시경상 측방발육형 종양으로 진단받은 31예 중 크기가 20 mm 이상으로 내시경적 분할 점막절제술을 시행한 21예를 대상으로 하였다. 이중 추적검사 가 시행되지 않은 4예와 수술을 시행한 2예를 제외한 15예를 대상으로 조사하였다. 평균 추적기간은 10.3개월(2-18개월)이었다. 결과: 여자가 14예로 남자의 7예 에 비해 많았고, 평균 연령은 56.9세였다. 조직학적 소견에서 10예(47.6%)가 선암, 관상-융모상 선종이 7예(33.3%), 융모상 선종이 1예(4.8%), 관상 선종이 3예 (14.3%)였다. 내시경적 분할 점막절제술후 추적 대장내시경을 처음 시행한 시기는 평균 2.2개월(1-5개월)이었으며, 총 15예 중 5예(33.3%)에서 추적 기간중 절제 부위에서 재발이 관찰되었다. 선암 2예에서 2개월후 관상선종이, 관상-융모상 선종 1예에서 2개월후 조직검사상 고도 세포 이형성이, 관상 선종 1예에서 5개월후 조직 검사상 선종성 용종이, 국소적 고도 세포 이형성이 동반된 관상 선종 1예에서 4개월 후 조직검사상 관상 선종이 관찰되었다. 이 5예에서 추가적인 내시경적 치료를 시행하였고, 이후 추적 대장내시경상 현재까지 이상 소견은 관찰되지 않았다. 결론: 대장의 측방발육형 종양중 크기가 직경 20 mm 이상이어서 내시경적 분할점막 절제술을 시행한 경우에는 절제부위의 재발율이 높으므로 내시경적 절제술 이후에 도 주기적인 추적 대장 내시경의 시행이 필요하고 최소한 절제후 1년 이내에 시행해야 한다고 생각한다. Background/Aims: Laterally spreading tumors (LST) of the colon are defined as tumors over 10 mm in diameter that are low in height and grow superficially. These tumors are highly malignant and usually mucosal lesions, therefore endoscopic mucosal resection is desirable. We analysed retrospectively the result of endoscopic piecemeal mucosal resection (EPMR) in LSTs larger than 20 mm in diameter. Methods: 21 patients with LSTs larger than 20 mm in diameter were treated using EPMR. The resection sites were examined for residual or recurrent lesions by follow-up colonoscopy. Results: Of the 21 patients who underwent EPMR, 2 patients performed surgical resection and 4 patients were lost during follow-up period. Residual or recurrent lesions were detected in 5 of these 15 patients after EPMR. After additional endoscopic therapy, no more residual or recurrent lesions were detected. Conclusions: After EPMR for large LSTs, it is necessary to strictly follow-up at least within 1 year. (Intestinal Research 2003;2:186-191)

      • KCI등재

        진단 대장내시경 검사에 의한 대장 천공

        김정호,전은정,송준호,이상훈,정진환,정대영,김진일,박수헌,김재광 대한소화기내시경학회 2011 Clinical Endoscopy Vol.42 No.5

        Background/Aims: Colonoscopy is a useful method for detecting colorectal disease, but complications are on the rise due to the increasing number of colonoscopies.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colon perforations following diagnostic colonoscopies. Methods: We performed retrospective reviews of all patients with colonoscopic perforations between January 2000 and June 2010. Results: Of 25,883 diagnostic colonoscopies performed, seven cases of colon perforations were reported. Among those, five cases had an abdominal operation history; the site of perforation was the sigmoid colon in three cases and the rectum in four cases. The manipulation type was forward viewing in three cases and retroflexion in four cases. The time to diagnosis was immediate in six cases and delayed in one case, and treatment was conservative management in three cases and surgical management in four cases. Conclusions: Special attention is required for patients with a previous abdominal operation and retroflexion. Even after perforations occur, favorable outcomes can be obtained by conservative treatment if the patient’s condition is stable, the bowel preparation is proper, and there are no signs of peritonitis. 목적: 대장내시경 검사는 대장 질환의 진단과 치료에 가장 유용한 검사 방법이지만, 최근 대장내시경 검사가 증가함에 따라 합병증의 발생도 증가하고 있다. 이번 연구는 지난 10여 년간 진단 대장내시경 검사에 의해 발생한 대장 천공에 대해 분석하였다. 대상 및 방법: 2000년 1월부터 2010년 6월까지 10년 6개월 동안 본원에서 진단 대장내시경 검사를 시행한 환자 중 대장 천공이 발생한 환자들의 의무기록을 후향 조사하였다. 결과: 25,883예의 진단 대장내시경 검사 중 7예(0.027%)에서 대장 천공이 발생하였다. 천공 환자들의 평균 연령은 67.9세(64∼75세), 성별 비율은 남자 4명, 여자 3명이었고, 복부 수술 기왕력은 5예(71.4%)이며, 천공 발생 위치는 구불결장 3예, 직장 4예이고, 시술 방법은 반전에 의한 경우 4예, 근위부 진행에 의한 경우 3예였다. 시술 후 천공까지의 진단시기는 6예에서는 시술 즉시 진단되었고, 1예에서는 3일 후 복부 전산화단층촬영으로 진단되었으며, 치료로는 내시경 clipping과 보존 방법이 3예, 수술 치료가 4예였다. 결론: 진단 대장내시경 검사로 인한 천공의 발생 빈도는 매우 낮지만 심각한 합병증이 발생할 수 있다. 복부 수술 기왕력이 있는 경우, 그리고 내시경 반전을 시행하는 경우에 주의를 기울인다면 천공의 발생을 효과적으로 줄일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천공이 발생된 경우라도 환자 상태가 안정적이고, 장 정결이 우수하며, 복막염 증상이 없다면 내시경 clipping과 보존 치료만으로도 좋은 결과를 얻을 수 있을 것이다.

      • KCI등재

        이중 풍선 소장내시경으로 절제한 심한 중복대장의 측방 발육형 종양 1예

        안재홍,김동일,구자설,이홍식,이상우,김창덕,최재현,유호상 대한소화기내시경학회 2008 Clinical Endoscopy Vol.37 No.2

        The incidence of colon cancer and cancer-related deaths has been increased in Korea. Because most colon cancers arise from colonic adenomatous polyps, it is important to detect these early and to resect such lesions, and so the incidence of endoscopic polypectomy has increased in Korea since 1970's. At present, conventional colonoscopy is the standard for evaluating the colon, and especially for the screening and treatment of colon tumor. However, the entire colon cannot be visualized during conventional colonoscopy in 5~15% of patients due to a redundant colon, an excessive loop or a history of abdominal surgery. To overcome these difficulties, many radiologic and endoscopic studies have been conducted and there are several recent reports that double balloon enteroscopy has been successfully used in cases of failed conventional colonoscopy. We report here on a case of laterally spreading tumor that was resected with double balloon enteroscopy in a severely redundant colon. 대장내시경검사는 대장 선종에 대한 진단과 치료에 있어 표준이 되는 검사이나 중복대장, 과다한 고리형성, 심한 게실증, 이전 복부 수술 후 발생하는 협착 등으로 인하여 숙련된 시술자의 경우에도 5∼15%의 경우 전 대장의 관찰에 실패한다. 지금까지 이를 보완하기 위한 방사선 혹은 내시경 검사법과 새로운 장비들이 개발되어 왔다. 최근 대장내시경검사로 전 대장의 관찰에 실패한 환자에서 소장 질환의 진단과 치료에 사용되는 이중 풍선 소장내시경을 이용하여 성공적으로 전 대장을 관찰했다는 보고들이 있다. 저자들은 심한 중복대장으로 인해 대장내시경으로 맹장까지의 삽입에 실패한 환자에서 이중 풍선 소장내시경을 이용하여 간만곡부에 위치한 측방 발육형 종양을 내시경 점막절제술로 제거한 증례를 경험하여 보고한다.

      • KCI등재

        상부위장관내시경을 통한 대장 전처치의 효과와 순응도에 대한 연구

        맹주희 ( Ju Hee Maeng ),고봉민 ( Bong Min Ko ),이문성 ( Moon Sung Lee ),나현식 ( Hyun Sik Na ),윤효중 ( Hyo Joong Yoon ),한상훈 ( Sang Hun Han ),김상균 ( Sang Gyune Kim ),홍수진 ( Su Jin Hong ),유창범 ( Chang Beom Ryu ),김영석 ( Y 대한소화기학회 2007 대한소화기학회지 Vol.50 No.2

        목적: 대장내시경 전처치제로 쓰이는 인산 나트륨은 불쾌한 맛 때문에 복용 때 환자들에게 복통, 오심, 구토, 수면장애 등을 일으킬 수 있다. 상부위장관내시경과 대장내시경을 동시에 실시하는 환자의 경우 상부위장관내시경 검사 때 전처치제를 투여하여 이러한 증상을 완화시켜 줄 수 있을 것이다. 이번 연구는 대장 전처치를 위하여 인산 나트륨을 상부위장관내시경을 통하여 투여한 후 대장의 정결도와 환자의 증상, 순응도, 만족도 등에 대해 대조군 연구를 시행하였다. 대상 및 방법: 2005년 3월부터 2006년 2월까지 순천향대학교 부천병원에서 상부위장관내시경 및 대장내시경을 시행한 환자로 경구투여군 환자는 일반적인 방법으로 45 mL의 인산 나트륨을 저녁에 복용하고 대장내시경을 시행하는 아침에 45 mL를 복용하였다. 반면에 내시경투여군 환자는 아침에 상부위장관내시경을 통하여 인산 나트륨 90 mL를 물 180 mL에 희석하여 십이지장 하행부에 주입하였다. 4시간 후에 내시경 시술자는 장정결의 정도를 평가하였고, 환자들에게 장 정결제 복용 후 나타나는 증상과 순응도, 선호도에 대해 질문하였다. 결과: 내시경투여군에서 오심(p=0.01), 수면장애(p=0.00)가 경구투여군에 비해 적게 일어났다. 환자들의 장 정결에 대한 순응도는 내시경투여군에서 보다 좋았다. 그러나 대장 정결도와 회맹부까지의 삽입 시간에는 차이가 없었다. 내시경투여군 환자에서 과거에 기존의 방법으로 인산 나트륨을 복용해 보았던 환자들은 내시경을 통한 대장 정결법을 선호하였다. 결론: 상부위장관내시경과 대장 내시경을 동시에 시행하는 경우 상부위장관내시경을 통한 장 정결제의 투여는 장 정결제 복용에 따른 환자의 불편함을 해소할 수 있는 장점이 있었으나, 충분한 양의 물을 제대로 복용하지 않은 경우 발한 혹은 심계 항진 등이 발생할 수 있다. 따라서 장 정결제 복용이 어려워 검사가 불가능한 경우 세심한 관찰과 함께 시도해 볼 수 있다. Background/Aims: Bowel preparation for colonoscopy remains an unpleasant experience because oral solutions have unpleasant tastes and may provoke abdominal pain, nausea, vomiting, and sleep disturbance. Duodenoscopic bowel preparation is an alternative method for patients who are unwilling to take oral preparation solution or for those who are supposed to have both gastroscopic and colonoscopic examination on the same day. We assessed the effectiveness and tolerance of duodenoscopic bowel preparation. Methods: Patients in group OA (orally administered) ingested 45 mL of sodium phosphate (NaP) in the evening before the day of procedure and in the morning on the day of colonoscopy, whereas patients in group EA (endoscopically administered) were prepared for the procedure by duodenoscopic infusion of 90 mL of NaP diluted with 180 mL of water into the second portion of the duodenum. After 4 hours, we assessed the overall quality of colonic cleansing, using a range of excellent to inadequate. The patients completed a questionnaire on their preparation-associated symptoms, tolerance, and preference. Results: In group EA, sleep disturbance (p<0.05) and nausea (p<0.05) occurred less frequently than in group OA. Overall, the tolerance rating for preparation was higher in group EA. However, the quality of colonic cleansing and cecum intubation time was not different between the two groups. Patients in group EA who had ingested NaP in the past preferred duodenoscopic bowel preparation. Conclusions: Duodenoscopic bowel preparation may play a role in colonic cleansing especially for patients who are scheduled to undergo gastroscopic and colonoscopic examination on the same day and for those who are unwilling to ingest NaP. (Korean J Gastroenterol 2007;50:78-83)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