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대만의 2·28 轉型正義와 역사 교과서 서술

        김종훈(Kim Jong Hun) 한국역사교육학회 2021 역사교육연구 Vol.- No.41

        대만의 2·28 轉型正義에는 민족 의제, 족군 의제, 민주주의 의제가 중첩되어 있다. 2·28은 기본적으로 비민주적인 국민당 정권에 대한 민중의 저항에서 시작되었으나 대만 역사의 특수성으로 인해 사건의 양상이 중국인(외성인)과 대만인(본성인)의 충돌이라는 형태로 나타났다. 1990년대에 민주화와 함께 轉型正義가 추진되는 과정에서도 각각의 정치적 입장에 따라 사건의 핵심 성격을 중국인󰠏대만인의 갈등(민족 의제), 본성인󰠏외성인의 갈등(족군 의제), 독재자󰠏민중의 갈등(민주주의 의제)으로 보는 견해가 대립하였다. 정부는 1992년부터 2·28에 대한 진상 조사, 총통의 공식 사과와 기념비 건립, 피해자 보상 등을 실행에 옮겼으나 2·28 轉型正義가 과거에 사건의 가해자였던 국민당 정권에 의해 추진됨으로써 진상규명에서 ‘피해자는 있는데 가해자는 없는’ 상황이 발생했다. 2·28 轉型正義 추진에 따라 고등학교 역사 교과서 서술에도 변화가 나타났다. 1995년까지 국민당 정부하에서 발간된 국정 교과서는 2.28 사건의 진상을 축소하고 轉型正義 추진에 대해 국민당의 긍정적 역할을 강조하는 관제적 성격이 강했다. 그러나 2000년 이후 검정 교과서가 발간되고 2·28 轉型正義 추진 성과가 반영되면서 사실에 기초한 서술이 이루어지고 진상에 다가설 수 있는 토대가 마련되었다. 교과서 서술의 쟁점은 두 가지이다. 하나는 사건의 원인을 민족 문제, 족군 문제, 민주주의 문제 중 어디에 초점을 맞추어 서술하고 있는가이고, 다른 하나는 장개석과 국민당의 책임 문제를 어떻게 다룰 것인가이다. 전자의 경우에는 시기마다, 교과서마다 2·28의 성격 규정에 대한 시각차에 따라 강조점이 다르다. 후자의 경우는 필자가 검토한 어떤 교과서도 장개석의 책임 문제를 다루지 않고 있어 ‘피해자는 있는데 가해자는 없는’ 轉型正義가 교과서 서술에서도 그대로 나타났다. National agenda, Ethnic Group agenda, and Democratic agenda are intertwined in 2.28‘s Transitional Justice. 2.28 started with Taiwanese resistance to the undemocratic KMT regime. In the 1990s, in the process of democratization and transitional justice, there were conflicting views of the core nature of the case as the Chinese vs. Taiwanese conflict (national agenda), Native Taiwanese vs. Waishengren conflict (ethnic agenda), and the dictator vs. people conflict (democratic agenda). From 1992, KMT government carried out a fact-finding investigation for 2.28, the president’s official apology, building the memorial monument, and compensation for victims. But the situation in which there were “victims but no perpetrators” occurred in the fact-finding investigation. Following the promotion of 2.28 Transitional Justice, there were also changes in the description of high school History Textbook. State-designated textbooks published under the KMT government until 1995 had a state-led character that reduced the truth of the case and addressed the positive role of KMT. However, as authorized Textbook have been published since 2000, those Textbooks have reflected the result of the promotion of 2.28 Transitional Justice, and thereby the descriptions based on facts were made in Textbook and it has laid the foundation to get to the bottom of the case. There were two issues in the Textbook description: One is whether to view the cause of the incident as a national issue, an ethnic issue, or a democratic issue. The other is how to deal with the responsibility of Chiang Kai-shek and KMT. In the former case, the emphasis differs depending on each period, each Textbook, and each perspective on the characterization of 2.28. In the latter case, none of the Textbook I have reviewed deals with the issue of Chiang Kai-shek‘s responsibility, so Transitional Justice, which has ‘victim but no perpetrator’, is reflected in the textbook description.

      • KCI등재후보

        경계 위의 과거청산 : 제주4·3사건과 대만2·28사건 비교사 연구를 위한 시론

        고성만(Koh, Sung-Man) 제주학회 2021 濟州島硏究 Vol.56 No.-

        이 논문은 4·3과 2·28의 비교사 연구를 위한 시론적 성격의 글이다. 민주주의체제로의 이행 과정에서 폭력의 역사를 재평가하고 자국민의 대량죽음에 대한 재사회화를 시도해 왔다는 점에서도 4·3과 2·28은 유사한 역사적 경험으로 인식된다. 대표적으로 4·3의 ‘희생자’와 2·28의 ‘수난자’는 각 사건이 법적·제도적으로 재평가되는 과정에서 새롭게 등장한 집단으로 공적 해결의 주요 성과로 공표될 뿐 아니라 해당 사회의 독특한 갈등 지형을 반영한다. 그러나 공식 희생자가 만들어지는 과정은 다른 양상을 보인다. 제외규정을 명시하는 4·3의 배타적 선별 방식과 달리, 2·28의 이행기 정의는 류큐인, 조선인과 같은 에스닉 마이너리티(외국인)를 본성인(대만인)과 동등한 ‘수난자’로 받아들임으로써 ‘족군 융합’이라는 개념과 실천을 대만 사회 안팎으로 확장시킬 수 있는 계기를 마련했다. 이러한 ‘수난자’의 다국적화, 다민족화는 2·28의 경계를 규정해온 국민국가주의를 극복하고 역사 인식의 다변화를 촉발한다. 반면, 4·3의 과거청산은 2·28을 ‘거울’이자 선행 모델로 삼으면서도 대만 사회의 자기 반성과 성찰을 통해 갱신되어 가는 ‘수난자’를 참조하지 않는다. This paper is a introductory study to lay a foundation for comparative studies of Jeju 4.3 and Taiwan 2.28.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ompare Jeju 4.3 and Taiwan 2.28 through the official ‘victim’ which is announced as a major achievement in the public solution of the two cases. The victims of the Jeju 4.3 and Taiwan 2.28 are newly emerging groups in the process of reevaluating each case legally and institutionally, reflecting the special context of each society. Jeju 4.3 and Taiwan 2.28 have the similar historical experiences in that each society after democratization has reevaluated the history of violence and attempted to resocialize the mass death of its own people. However, the process of designating official victims shows a different aspect. Unlike Jeju 4.3, the transitional definition of Taiwan 2.28 has laid the foundation for accepting ethnic minorities such as Ryukyuin and Koreans as ‘a victim’ equivalent to the native people and expanding the concept and practice of ‘national harmony’ to and from Taiwanese society. The multinationalization and multi-ethnicization of the official ‘victim’ are contribute to overcoming the nationalism that has defined the boundaries of Taiwan 2.28 and to diversifying the perception of history.

      • KCI등재

        종전 후 외세의 개입에 따른 영향과 갈등 - 사회경제적 요인으로 살펴본 제주4 3과 대만2 28의 원인(遠因)-

        변현정 ( Byeon Hyeon-jeong ),고경아 ( Go Gyeong-a ),허선주 ( Sun-ju ),송은경 ( Song Eun-gyeong ),정창원 ( Jung Chang-won ) 제주대학교 탐라문화연구원 2018 탐라문화 Vol.0 No.59

        본고에서는 일본의 식민지였던 대만과 조선의 전후처리과정에서 등장하였던 외세의 개입과 이 과정에서 발생한 모든 갈등의 집약체로서 제주4·3과 대만2·28에 대해 주목해 보았다. 두 사건 모두 국가에 의해 자행된 백색테러라는 공통점과 양민학살의 성격을 동시에 지니고 있다. 카이로회담에서 조선은 신탁통치, 대만은 중화민국으로의 귀속이 결정되었다. 미군은 신탁통치 과정에서 일제의 체제를 활용하면서 오히려 대중들의 삶을 어렵게 만들었다. 미군정의 통치를 받게 된 남한에서는 인민위원회의 활동이 두드러졌다. 특히, 인민위원회는 각 지역의 치안을 맡았는데, 제주도 또한 예외는 아니었다. 이들은 농민, 노동자, 부녀자 등의 일반 민중들의 지지를 받고 있었지만, 미군에게는 불만스러운 존재일 수밖에 없었다. 3·1절을 맞아 제주에서는 가두시위가 진행되었는데, 이를 계기로 미군정은 제주를 붉은 섬으로 인식하여 좌익세력을 척결하기로 한다. 이와 같은 미군정의 조치에 반발한 남로당은 1948년 4월 3일을 기해 무장봉기를 일으키게 되고, 그 진압과정에서 무차별적인 양민학살이 자행되었다. 대만은 중화민국으로 귀속되면서 국민당정부가 정권을 장악하게 된다. 행정장관에 임명된 陳儀는 절대적인 권력을 행사하며 대만에 대한 본격적인 통치를 시행하였다. 하지만 陳儀로 대표되는 국민당정부의 대만통치는 대만의 사정을 이해하지 못한 방향으로 흘러갔다. 대만은 국민당정부의 전매제 실시와 중국대륙으로의 물자 매각이라는 요인으로 인해 상당한 인플레이션을 겪었다. 당시 대만인들은 일제강점기를 거치며 근대적인 교육과 의료시스템을 경험한 바 있다. 특히, 이 과정에서 시행된 황민화정책으로 일본문화에 대해 상당히 익숙해 있었고, 국민당정부의 지도층은 이를 이해하고 파악하려는 노력대신 대만인이 노예화되었다는 인식을 하게 된다. 이에 반하여 대만인들은 국민당정부의 관직독점과 부정부패에 불만을 가지게 된다. 대만인은 점점 조국으로 돌아간다는 기대는 버리게 되었고, 대만인들은 스스로를 본성인(本省人)이라 칭하며, 외성인(外省人)들과의 거리를 두었다. 이러한 배경에서 발생한 충돌이 바로 2·28사건이다. 말하자면 일본의 패전이후 변화된 국제정세로 인해 조선과 대만에 유입된 외세들이 현지인들과 빚어진 갈등에서 제주4·3과 대만2·28이 발발하게 된 것이다. This study focused on the Jeju April 3 Incident and the Taiwan February 28 Incident as the result of the intervention of foreign powers and all the conflicts that occurred in the process of handling postwar issues in Taiwan and Joseon that were Japanese colonies. Both the two incidents were the white terrors committed by the governments and innocent people were massacred. At the Cairo Conference, it was agreed to establish a trusteeship in Joseon and to return Taiwan to the Republic of China. Under the trusteeship, the United States utilized the system of the Japanese Empire, and made people’s life even harder. In South Korea under the U.S. military rule, many activities of the People’s Committee were observed. In particular, the People’s Committee was in charge of public security in each region, and Jeju was no exception. The committee had a broad base of support from the general public including farmers, workers and women, but it must have been an eyesore to the U.S. military. In the meantime, a street demonstration was staged in Jeju to celebrate the March 1st Movement, and the U.S. military rule took this opportunity and decided to eradicate leftists, recognizing Jeju as the ‘Red Island.’ The South Korean Workers' Party rose up in arms against the action of the U.S. military rule on April 3, 1948, and innocent people were indiscriminately killed in the course of suppression. As Taiwan was returned to the Republic of China, the Kuomintang of China came to power. Chen Yi (陳儀), appointed as the Minister of Administration, wielded absolute power and started to rule Taiwan in earnest. The Kuomintang’s rule over Taiwan, led by Chen Yi, moved in a wrong direction without understanding the circumstances of Taiwan. Taiwan experienced serious inflation due to the introduction of the monopoly system by the Kuomintang government and the disposal of goods to Mainland China. Back then, Taiwanese people experienced modern education and medical systems in the era of Japanese Colonialism. In particular, the Japanization policy of the Japanese colonial rule made Taiwanese people familiar to Japanese culture in the process. The leadership of the Kuomintang government thought Taiwanese people were enslaved by Japan, instead of making efforts to understand and examine the situations. On the contrary, Taiwanese people started to express their dissatisfaction with the monopoly of public posts and corruption of the Kuomintang government. They gradually came to abandon their expectations for going back to their homeland, and called themselves benshengrens (本省人, meaning people of this province), keeping their distance from waishengrens (外省人, meaning people of non-Taiwan provinces). A clash that occurred against this backdrop was the February 28 Incident. In other words, foreign powers that flew into Joseon and Taiwan due to changing international situations after Japan’s defeat came into conflicts with natives, resulting in the Jeju April 3 Incident and the Taiwan February 28 Incident.

      • KCI등재

        일제시기 臺灣人의 중국 진출 유형과 그 삶

        손준식(Son, Jun-Sik) 한국역사민속학회 2012 역사민속학 Vol.- No.40

        본 논문은 일제시기 대만인의 조국 인식 즉 그 정체성의 일면을 이해하기 위한 선행 작업으로서 식민지 대만인의 다양한 중국 경험을 파악해보고자 한 연구이다. 이를 위해 먼저 대만인의 중국 진출 동기와 유형을 지역별로 정리한 다음, 대만인의 활동을 ‘臺灣浪人’, 반일단체의 조직과 항일활동, 친일·부일협력자, 중일전쟁 시기의 항일투쟁으로 나누어 검토해보고 아울러 그 삶의 모습을 엿보고자 하였다. 일제시기 중국에 진출한 대만인이 얼마나 되었는지 정확히 알 수 없으나, 대만과 지리적으로 가깝고 언어소통에 큰 문제가 없는 화남지역 특히 복건에 가장 많이 거주하였고, 만주국 수립 이후와 중일전쟁 기간 대륙으로 건너간 사람이 그 이전보다 많았으며, 상공업에 종사한 사람이 가장 많았고 의사·교사·학생 등 정상 직업을 가진 자가 다수였지만 도박?아편?매음 등을 업으로 삼은 무뢰배와 기녀들도 적지 않았다. 당초 대만에서 죄를 짓고 중국으로 밀항한 자가 주축이었던 대만낭인들은 이후 일본의 남진정책에 따라 강력한 범죄 집단으로 성장하였다. 이들은 일본의 비호 하에 온갖 불법을 저질러 私利를 챙기고 중국의 치안을 파괴하고 중국인을 멸시하고 괴롭혔을 뿐 아니라 일본의 중국침략에 앞장섰다. 이들은 대만인 전체의 이미지를 추락시키고 중국인의 악감정을 불러일으켜 결국 戰後 대만인과 대륙인의 충돌을 야기하는 중요한 요인의 하나가 되었다. 한편 식민지지배를 거부하고 중국에 온 대만지식인과 청년학생들은 중국 거주 대만인을 결집, 항일활동을 전개하였고 더 나아가 중국인·조선인과 함께 각종 단체를 결성하고 잡지를 발간하여 일본제국주의에 반대하고 대만 해방을 주장하였다. 중일전쟁 발발 후에는 대만의용대와 대만혁명동맹회 등을 조직하여 항일투쟁에 나섰지만 국민당정부로부터 전폭적인 지원을 받지 못했고 대만 접수작업에도 직접 참가하지 못했다. 일제시기 중국 진출 대만인 중 항일운동 참가자와 친일협력자 및 무뢰배들을 제외한 대다수는 안정된 생활이 우선이었기 때문에 처한 상황에 따라 자신의 신분을 감추기도 이용하기도 하였다. 하지만 중일 간에 전쟁이 일어나면서 이러한 처신은 더 이상 용납되지 않고 양자택일을 강요받게 된다. 이에 일본군 내지 괴뢰정권에 참여하여 안전을 보장받고 일본‘신민’으로서의 ‘특권’을 누린 이들은 전후 그 ‘代價’를 지불하거나 자신의 중국 경험에 대해 침묵해야만 했다. 일본제국의 일원으로서 일본 세력의 확장에 따라 출세와 이익을 위해 스스로 중국에 진출한 자들은 그렇다 치더라도 식민통치의 차별과 억압에 불만을 품고 좀 더 나은 자기 발전을 위해 중국에 건너갔거나 전쟁 중 군인이나 군속 등으로 징집된 이들에게는 억울하고도 슬픈 일이었다.

      • KCI등재

        국민국가의 틈새에서-대만2⋅28사건의 외국인 ‘수난자’를 사례로

        고성만 제주대학교 탐라문화연구원 2020 탐라문화 Vol.0 No.65

        This paper is a case study of Taiwan 2.28 Incident, and aims to trace how Koreans and Ryukyuans who lived in Taiwan around 1945 were sacrificed in this incident and to examine the process and meaning of being determined as a public victim in the program of the transitional justice after democratization. It is a recent occurrence that ethnic minorities of the 2.28 incidents, who had been neglected between the two countries or multi-nationals, have appeared in the public sphere. Ryukyuan was recognized as a “victim”(受難者) for the first time as a foreigner in 2016, and Koreans were recognized as “victim” in 2017. The birth of foreign “victims” has set a new momentum for the elimination of the national andethnic divisions of the compensation ordinance, which has been set for reliefonly for Taiwanese victims. This suggests the possibility of expanding the historical status of events being repositioned in a national history of Japan to East Asian history. However, if we look closely at the process of therise of foreign “victims”, we can see that there is no transnational imagination and mutual equality between countries is highlighted in the front. As long as the nationalism and ethnocentrism continue, the foreign “victim” will be defined as being in between Taiwan, Japan and Korea, and even if it is emerging, it may be neglected due to the interests between the countries. 이 논문은 대만2⋅28사건을 사례로, 1945년을 전후한 시기 대만사회의 구성원이자 이질적 존재였던 조선인과 류큐인이 어떻게 이 사건에 휘말려 희생됐는지 추적하고, 민주화 이후의 이행기 정의 프로그램 속에서 공적 희생자(수난자)로서의 지위를 얻는 과정과 그 의미를 고찰하는데 있다. 1995년에 보상조례가 제정되면서 2⋅28의 제도적 해결이 본격화됐지만, 양국 혹은 다국 틈새에 끼여 가려져 왔던 에스닉 마이너리티의 존재가 공적영역에 등장 하게 된 것은 최근의 일이다. 대만 정부와 사법부, 유족이 수년에 걸친 다툼 끝에 외국인도 법⋅제도의 대상으로 받아들여지게 되면서 본성인 피해자만을 구제 대상으로 선별해 왔던 ‘수난자’의 국적별, 민족별 구분이 철폐됐던 것이다. 이러한 전환은 일국사 속에서 재위치 되어가는 사건의 역사적 위상을 동아시아사로 확장시켜 초국적 공감과 실천적 연대의 가능성을 예견하게 한다. 그러나 외국인 ‘수난자’가 부상되는 과정을 면밀히 검토해 보면 초국가적 상상력은 부재하고 국가간 호혜 평등의 원칙이 뿌리깊게 내재되어 있는 것을 알 수 있다. 폭력의 상흔을 치유하고 부정적 유산을 극복하려는 시도에 자민족, 자국민 중심주의가 개입되는 한 외국인 ‘수난자’는 국민국가 사이의 ‘틈새에 끼어 있는’ 존재로 위치 규정될 뿐 설령 부상된다 할지라도 국가 간의 이해관계로 인해 불가시화 되어 버릴지 모른다.

      • KCI등재

        두 번째 중국화

        정형아(Jung, Hyung-Ah),정창원(Jung, Chang-Won) 역사실학회 2017 역사와실학 Vol.64 No.-

        대만은 원래 남도어족의 원주민이 살던 땅으로 중국과는 그다지 인연이 없었다. 최초의 한인정권인 정씨정권시대에 중국의 문화가 이식되어 ‘중국화’되기 시작하였다. 그러나 대만은 청일전쟁의 배상으로 일본에 할양되어 50년간 일본의 식민통치를 받았다. 이차세계대전이 끝난 후 대만은 다시 중국에 귀속되었다. 중화민국 정부는 광복 후 대만의 접수와 관리를 위해 진의를 행정장관으로 파견하였다. 진의는 대만에서 정치, 경제, 심리건설을 재건의 목표로 삼았다. 본 연구는 그 중에서 ‘심리건설’을 주제로 삼았다. 심리건설은 50년간 일본의 식민통치의 흔적을 지워내고 다시 중국화를 목표로 한 것이었다. 여기에는 진의의 대만인식이 그 기저에 깔려 있었다. 진의는 대만인이 황민화정책을 통해 일본의 노예화되어 있다고 생각했고, 이를 지워내는 작업으로 심리건설을 계획한 것이다. 그 방법으로 교육공작과 문화공작을 통해 중국어, 중국역사와 지리, 삼민주의 등을 교육하여 대만인을 개조하는 것이었다. 그러나 진의는 그와 중화민국 정부의 불합리한 시정과 부정부패에 대한 대만인의 비판에 대해서도 노예화된 일부 대만인의 불만이라고 하는 등, 노예화라는 표현을 통해 본성인(本省人)과 외성인(外省人)에 대한 차별적 인식과 조치를 당연시하였다. 그렇기 때문에 진의의 심리건설은 대만과 대륙의 50년간의 거리를 좁히지 못했을 뿐 아니라, 오히려 더 깊은 갈등을 야기하고 말았다. Taiwan was originally inhabited by the Austronesian natives and not much related to China. It began to be sinicized as the Chinese culture was implanted into the Taiwanese people in the Zheng dynasty (鄭氏王朝), which was the first Han (Chinese) administration in Taiwan. Taiwan was colonized by Japan for half a century as it was ceded to Japan in compensation for the war damages of the Sino-Japanese War. After the Second World War, Taiwan was retroceded to China. The government of the Republic of China accredited Chen Yi (陳儀) as the Taiwan governor general to receive and control Taiwan after the independence. Chen Yi targeted politics, economy and psychological construction as the goals for reconstruction. This study focused on ‘psychological construction’ among them. Psychological construction was aimed to remove all traces of Japanese colonization of 50 years and resinicize the territory. It was based on how Chen Yi understood Taiwan. Because he thought that the Taiwanese were enslaved by Japan under Japanization, he planned psychological construction to remove the trace. One of the methods was to transform the Taiwanese by educating Chinese, Chinese history and geography and the Three Principles of the People with educational and cultural maneuvers. However, Chen Yi considered the discriminatory awareness and measures against the native Taiwanese as natural; He dismissed the criticism over the irrational administrative management and corruption of Chen Yi and the government from the Taiwanese as complaints from only a part of the enslaved Taiwanese and used the term ‘enslavement.’ This was the reason for the failure of Chen Yi’s psychological construction to narrow the gap between Taiwan and mainland China over 50 years, and rather heightened the conflicts between the two.

      • KCI등재

        제주(濟州)의 거울로서의 대만(臺灣) -이앙(李昻)의 《눈에 보이는 귀신(看得見的鬼)》 소고(小考)

        조홍선 한국중문학회 2016 中國文學硏究 Vol.0 No.63

        李昻在《눈에 보이는 귀신》裡透過鬼故事,提出人民要超越``對立``和``社會矛盾``,타想說的是人民要走新路程,而不是``려鬼的復仇``。李昻自己也曾經說過``對過去的不安都是一種糾正在對抗的過程中産生的不公平和傷口的産物,超越這個階段才能조到新的方向和機會,…``。 最近흔多人提出台灣和濟州對過去的看法需要超越``記憶的自殺(金石範)``或者``記憶的他殺(玄基榮)``的階段,幷且能勾給予後代新的希望。爲了超越現在階段,我們首要完成像``口述史``一樣的歷史民主化過程。台灣和濟州的歷史不應再是在中央、大陸或半島上俯視島嶼的角度,應以台灣和濟州當地居民的立場來審視過去歷史。我們흔確定我們必須根據新的歷史觀,提出未來的新展望。

      • KCI등재

        《화산도(火山島)》와 《눈에 보이는 귀신(看得見的鬼)》 비교연구 ― 탈식민을 중심으로

        조홍선 한국중문학회 2017 中國文學硏究 Vol.0 No.67

        本論文着眼于《火山島》和《看得見得鬼》這兩部小說,結合濟州和台灣的歷史,描寫了在不可抗拒的强大外部勢力的支配下,濟州和台灣的本國居民被“移植”到濟州和台灣后所經歷的殖民化過程。通過探討殖民化過程和作品中提出的去殖民化戰略,探索濟州和台灣未來發展的新机遇,構建一個讓濟州和台灣更緊密聯系在一起的契机,這就是撰寫本論文的目的. 通過對《火山島》這部小說的探討,我們有了新的發現,也就是這部小說的主人公李芳根達到了自身和濟州合一的境界,小說結尾處他的一番行爲我們可以解讀爲他想徹底地去殖民化,從根本上復原濟州原來的面貌。《看得見的鬼》是一部把台灣歷史槪括成殖民史的一部作品。在這部作品中,外來的移民們把台灣作爲定居地,作爲他們新的開始,幷且逐漸定居了下來。他們重新書寫了台灣的歷史,這使得他們的眼界開闊了,思想上覺醒了,達到了一種超脫的境界。這和把“從悲哀、抵抗和激情中擺脫出來從而具有高瞻遠?的眼光”作爲創作觀的作家的目標一致,也可以從這個角度解析?的去殖民理論。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