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A Variety of Grammatical Constructions - Double-Accusative Constructions in Korean Revisited -

        Yeon Jaehoon(연재훈) 한국어학회 2019 한국어학 Vol.85 No.-

        한국어문법에서 많은 주목을 받아온 이중대격구문 중에서 이 논문에서는 소유주상승이중대격구문(External Possession type DACs)의 특성을 다시 중점적으로 다루었다. 소유주상승 이중대격구문은 다른 대격구문들과는 다른 특성을 보여준다. 소유주 명사구와 피소유주 명사구는 단일 구성성분을 형성하지는 않지만 소유주가 항상 피소유주에 선행하는 특징을 보인다. 몇 가지 목적어 판단 기준에 의하면, 소유주 대격명사구가 진정한 목적어이며 피소유주 대격명사구는 목적어의 기능을 잃고 초점적인 해석을 받는다고 판정하였다. 이중대격구문의 문법성은 기본적으로 의미-화용적 지식과 언어외적 지식에 좌우되기 때문에 이 구문을 통사적이거나 형식적인 문법 기제에 의해서 설명하려는 어떤 시도도 성공할 수 없다고 보았다. 이중대격 구문의 문법성을 결정하는 가장 중요한 요소는 제한적 관점의 ‘분리(불)가능’((in)alienable)이라는 자질이 아니라 ‘인접성’(contiguity)과 ‘영향입음’(affectedness) 자질이라고 보았다. 기존의 의미역을 대체하는 자질로서의 ‘인접성’과 ‘영향입음’ 조건은 의미역이 아니고, 문맥과 언어외적 지식을 포함하는 인지-화용적 개념으로 이해할 필요가 있다. 따라서 이중대격 구문의 해석과 문법성 수용의 정도도 문맥과 언어외적인 지식을 고려할 때에만 더 정확해질 수 있다는 점을 강조하였다. In Korean, there are constructions in which the accusative particle ul/lul occurs on more than one NP within a single sentence. Among many types of the so-called ‘Double Accusative Constructions’ (DAC), an External Possession (EP) Type DAC (Payne & Barshi, 1999) is the main concern of this paper. It has been questionable whether DACs are genuine double object constructions. We have argued that DACs can be regarded as structures in which there is only one real object, but two Acc-marked NPs, based on some object diagnostics. We have examined the constraints acting upon Korean EP type DACs while arguing that Korean DACs cannot be fully explained solely based on syntax or semantics without considering some pragmatic and cognitive factors. We have shown that ‘contiguity’ and ‘affectedness’ are the two most important factors in determining constraints on felicitous EP type DACs. The notion of ‘contiguity’ and ‘affectedness’ is more appropriate than any other factors such as the distinction between alienable and inalienable possession to characterise more accurately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possessor and the possessee in Korean EP type DACs. It is also noted that ‘contiguity’ and ‘affectedness’ cannot be thematic roles or semantic roles because what counts as ‘contiguous’ and ‘affected’ is context-dependent and cognitively/pragmatically interpreted. The degree of acceptability and interpretation of DACs depend on pragmatics and extra-linguistic knowledge.

      • KCI등재

        러시아어에서 행위 결과의 격 실현

        황서경 한국노어노문학회 2022 노어노문학 Vol.34 No.1

        This study deals with case form and meaning for the result of action in Russian. The result is a concept related to human goal-oriented action, which is the same as the agent's goal in the initial situation of action realization. It is a new state or object that replaces the initial situation. The accusative case is the most common form of the result, and the most common verb group is "Verbs of Creation." The result is realized in the prepositional forms or is not expressed in "Change of State Verbs". The result of the election and appointment can be expressed in several forms: instrumental, v+accusative plural, na+accusative, accusative cases. The accusative case in "Verbs of Depiction" can be understood to express "representation-source theme". Also, the result and its holder might be expressed in one form in "Verbs of Election" and "Verbs of Appointment." 본 논문은 러시아어에서 행위의 결과를 실현하는 격 형태와 의미를 다루었다. 결과는 인간의 목표 지향적 활동과 연관되는 개념으로서, 행위 실현의 초기 상황에서 행위자의 목표에 해당하며, 행위 실현 후에는 초기 상황을 교체하는 새로운 상태나 객체를 의미한다. 러시아어에서 행위의 결과는 대격을 비롯하여 조격, 전치사결합격으로 실현된다. 먼저, 대격은 산출 행위의 결과로서 새로운 객체를 의미한다. 상태변화 행위에서 결과는 기존 대상의 새로운 상태로서, в/на+대격으로 표현되거나 실현되지 않는다. 선출 행위의 결과는 기존 대상인 사람이 새로운 특성을 보유한다는 사실로서 결과이며, 조격이나 в+복수대격, на+대격, 대격으로 실현된다. 이 외에, 행위 결과의 격 형태와 의미 사이에는 비대칭적 대응 관계가 나타나기도 한다. 묘사-산출 행위에서 대격 형태에는 결과와 그 근원 의미가 중첩된다. 선출/임명 행위의 경우, 대격 형태는 행위의 결과가 되는 직위와 결과 보유자인 사람을 모두 의미한다.

      • KCI등재

        러시아어에서 조격 목적어 연구

        황서경 한국슬라브어학회 2009 슬라브어연구 Vol.14 No.2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esent various types of instrumental objects in Russian and their syntactic and semantic properties. We support the claim that the notion of transitivity can be modeled in scalar terms and the direct and even oblique objects interact with a semantic continuum of transitivity. Following to this, in chapter 2, we present what types of instrumental object exist in Russian sentences. In chapter 3, we accounts for characteristics of instrumental objects: as a morphological case-marking, whether instrumental object can be alternated with accusative; syntactically, whether passivization or reflexivization occurs with instrumental object construction; what semantic features should be considered in order to account for transitivity in instrumental objects. In Russian instrumental objects can be classified according to syntactic and semantic properties: an instrumental as a part of action, instrumental as a part of agent, and instrumental as a patient of control-relation. For transitivity of this construction, most important feature is the affectedness and individuation of object. Instrumental as a patient of control-relation has more strong-transitivity than the other instrumental objects. 본 연구는 타동성을 정도의 차이가 존재하는 척도 개념으로 보고 러시아어에서 조격으로 표현되는 목적어의 유형과 특성에 대해 살펴보았다. 통사적, 의미적 기준을 모두 고려할 때, 조격 목적어는 행위의 부분, 행위자의 부분, 그리고 통제 관계의 대상, 세 가지 유형으로 나누어진다. 조격 목적어 구문의 타동성에서 중요한 자질은 목적어의 영향입음성, 목적어의 개별성이었으며, 통제 관계의 대상에 비해 행위의 부분, 행위자의 부분 조격은 약한 타동성을 보임을 확인하였다. 마지막으로, 다음 예문과 관련하여 머리말에서 제기했던 몇 가지 질문에 대해 간단하게 답을 제시하는 것으로 이 글을 마무리하겠다. (1) a. Дети бросают камнями. b. Дети бросают камни. (2) a. Борисов управляет фабрикой. b. *Борисов управляет фабрику. 질문1. 대격과 달리 [-방향성]이며 [+주변성]인 조격이 왜 대격과 동일한 환경에 나타날까. 답1. 동사의 어휘의미적 특성으로 인하여 대격 대신 조격 목적어가 요구된다. 질문2. (1a)와 (1b)의 의미는 같은가, 같지 않다면 어떤 차이가 있는가. 답2. 같지 않다. 목적어의 영향입음 정도에서 차이가 있다. (1a)는 조격 목적어가 행위의 부분으로서 낮은 영향입음 정도를 나타내므로 ‘아이들이 돌팔매질을 한다’로 해석되며, (1b)는 대격으로 표현된 목적어에 행위의 영향이 직접적으로 작용하는 문장으로 ‘아이들이 돌을 던진다’로 해석할 수 있다. 질문3. (2)는 동사의 목적어로 대격이 아닌 조격만 허용하는 경우로서, 보통 ‘지배, 통제'의 어휘의미를 가진 동사들에 해당한다고 알려져 있다. (1a)와 (2a)의 조격은 어떻게 다른가. 답3. 타동성의 정도와 조격의 의미가 다르다. (1a)에서 조격 목적어는 행위의 부분, (2a)에서는 통제 관계의 대상이며, (1a)에 비해 (2a)의 목적어는 행위의 영향입음 정도가 높아 상대적으로 강한 타동성 구문이다. 질문4. (2a)의 조격은 대격을 대체하는 성격의 목적어라고 할 수 있는가. 답4. 그렇다. 통제 관계를 이루는 ‘지배/소유하다’ 동사는 목적어로 대격 대신 조격을 취한다. 목적어의 영향입음성과 개별성으로 볼 때 이러한 조격 목적어 구문은 대격 목적어 구문과 마찬가지로 타동성 정도가 높다.

      • KCI등재

        ‘-당하다’ 피동 구문의 두 유형

        김지혜 ( Kim Ji-hye ) 국제어문학회 ( 구 국제어문학연구회 ) 2019 국제어문 Vol.0 No.81

        본고는 ‘-당하다’ 피동 구문의 재귀 성분을 관찰하여 ‘-당하다’ 피동 구문을 ‘대격형 피동 구문’과 ‘탈격형 피동 구문’으로 나눌 수 있음을 살펴보았다. ‘대격형 피동 구문’은 문장 내에 ‘을/를’ 명사구 형식의 재귀 성분을 가정할 수 있는 ‘-당하다’ 피동 구문이고, ‘탈격형 피동 구문’은 문장 내에 ‘에게서’ 명사구 형식의 재귀성분을 가정할 수 있는 ‘-당하다’ 피동 구문이다. 또한 대격형 피동 구문과 탈격형 피동 구문 간에 보이는 차이점들을 규명하였다. 첫째, 탈격형 피동 구문은 어떤 대상이 출발점에서 도착점의 방향으로 이동하는 사건을 표현하기 때문에 ‘-당하다’ 동사의 대상물이 [+이동 가능성]의 특성을 보이나, 대격형 피동 구문은 어떤 대상물의 이동을 표현하지 않기 때문에 대격형으로 상정할 수 있는 대상물은 [-이동 가능성]의 특성을 보인다. 둘째, [+강제이동, +강탈]의 의미를 나타내는 명사들에 ‘-당하다’가 결합한 구문은 탈격형 피동 구문을 이루고, [+강제이동, -강탈]의 명사 또는 [-강제이동]의 의미를 나타내는 명사들에 ‘-당하다’가 결합한 구문은 대격형 피동 구문을 이룬다. 셋째, 대격형 피동 구문은 목적어의 실현이 수의적이나, 탈격형 피동 구문은 목적어의 실현이 필수적이다. This paper aims to examine two types of ‘-Danghada(-당하다)’ passive constructions. It investigates the reflexive constituents of two types of ‘-Danghada’ passive constructions. In particular, it focuses on ‘passive constructions with accusative reflexive constituents’; and ‘passive constructions with ablative reflexive constituents’. One is a passive construction with an accusative reflexive constituent, expressing ‘eul/reul(을/를)’ noun phrases. The other is a passive construction with an ablative reflexive constituent, expressing ‘egeseo(에게서)’ noun phrases. It is clear that there are differences between the passive construction with accusative reflexive constituents, and the passive construction with ablative reflexive constituents. First, in the passive construction with an ablative reflexive constituent, there is a [+movable] property of the object. This is because the object expresses an event that moves from a ‘source’ to a ‘goal’. On the other hand, in the passive construction with an accusative reflexive constituent, there is a [-movable] property of the object. Second, in the passive construction with an ablative reflexive constituent [+compulsory movement, +extortion], the noun is followed by ‘-Danghada’. However, in the passive construction with an accusative reflexive constituent [+compulsory movement, -extortion] or [-compulsory movement], the noun is followed by ‘-Danghada’. Third, the ellipsis of the object is allowed in the passive construction with an accusative reflexive constituent. Yet, the ellipsis of the object is not allowed in the passive construction with an ablative reflexive constituent.

      • KCI등재

        Ergativita¨t im Deutschen? : Das Deutsche im Rahmen der relationalen Typologie 상대적 유형론의 틀 안에서 살펴 본 독일어

        Primus, Beatrice 한국독어독문학회 2003 獨逸文學 Vol.86 No.-

        본 연구는 독일어와 그 외 다른 대격언어들을 기술하기 위해 다양한 방식으로 제안되어진 능격성 혹은 비대격성가설의 유형론적인 위상에 대해 논의한다. 대격언어들과 능격언어들간의 차이에 대한 경험적인 언어유형론의 최근 연구성과를 논의의 토대로 삼는다. 능격언어들은 형태론적인 능격구문을 가지고 있다는 점에서 그 특이성을 보인다. 형태론적인 능격성 뿐만 아니라 통사적인 능격성을 본 연구에서 더 자세히 살펴보는데, 이와 관련하여서 자동사의 주어 (S)와 타동사의 대상격 혹은 목적어(P가 공통적으로 타동사의 행위자격 (A)과는 구분되는 동일한 태도를 보이는 그러한 현상들을 다룬다. 최근의 인식에 따르면 이러한 태도는 대격언어의 주어와 비교가 된다. 이러한 통사적 기능을 두 가지 언어유형에 적절히 대응시키기 위해서 한스-위르겐 사쎄의 일차적 문법기능이라는 개념과 로버트 딕슨의 통사적인 피봇이라는 개념이 도입된다. 피봇기능은 구조적으로 형태적으로 실현될 수 있다. 형태론적인 실현은 절대격이나 주격으로 나타나게 되는데, 그 까닭은 이 격들이 한 언어의 격위계상에서 최상위 위치를 차지하고 그 다음 위치를 대격이나 능격이 차지하기 때문이다. 이러한 이론적 토대하에서 독일어에서의 “능격” (혹은 “비대격”) 동사 (예, die Blume ist verwelkt)와 “비능격” 동사 (예, die Blume hat gesunken)간의 차이가 논의된다. 가장 중요한 구분기준들로는 동사논항의 기저구조상의 위치, 부가기능을 보이는 동사적 완료형태, 동상의 수동적 혹은 능동적 특성, 논항의 의미역, 조동사선택 (sein / haben) 그리고 동사의 양태 내지 동작상을 들 수 있다. 이러한 기준들은 유형론적인 능격성을 지지하기 보다는 오히려 유보하는 논거가 된다. 반면에, 무엇보다도 어떤 “능격” 동사의 논항과 어떤 타동사의 대상역이, 능격구문에 대한 일반적인 기대와는 달리 일차적인 문법기능이라는 의미에서의 주어와 유사한 행동을 보이지 않고 기조구조의 목적어로 기능한다는 사실이 이러한 유형론적인 능격성에 대해 문제를 제기하게 되는 것이다. 이러한 태도로부터 잠재적인 “능격” 동사들이 갖는 대부분의 특성이 도출된다. 독일어가 형태론적인 능격구문 (예, dem Richter zerbrach die Vase, den Richter wundert die Anklage)을 가지고 있다는 몇 몇 연구자들의 견해와 달리, 격선택이 이들 구문들에서도 대격으로 실현되는 것으로 밝혀진다. 곧, 이와 연관되는 대격제약은 다음과 같다. 어떤 격이 비-주격적이라면, 그것이 행위자적인 논항 (예, 행위유발자 혹은 인식자)에 할당되는 경우가 있는데, 이 논항이 덜 행위자적일 경우에만 그러하다. 이와 반대로 능격구문에서는 비-주격, 곧 능격은 행위적인 논항에 할당될 수가 있는데, 이 논항의 행위자성이 더 높을 경우에 그러한 가능성이 증대된다. 이러한 예는 코카서스언어의 하나인 바츠키언어에서 발견된다. 이러한 새로운 발견들과 독일어의 잠재적인 “능격성”이 자동사에만 관련된다는 사실은 구조적으로 분열된 자동성이 존재한다는 사실을 뒷받침하는데, 이러한 자동성은 구아라니어와 바츠티어 등에서 형태론적인 실현되어진다. 독일어에서 새로 발견된 통사적인 현상들 뿐만 아니라 그들의 의미론적인 동기도 유형론적인 능격매개변수와는 완전히 독립적인 전혀 새로운 유형론적인 배치를 지지한다. 본 연구의 대상이 되고 있는 언어현상을 대변하는 용어인 “능격적”은 독일어에서 잘못된 언어유형을 시사하고 있다는 점이 또한 밝혀진다. 또한 용어 “비대격적”은 존재하지 않은 언어유형을 전제로 하는 반면, 앞서 언급한 두 용어의 문체론적인 변이형으로서 때때로 사용되는 “분열된 자동성”은 이제까지 논의된 유형론적 매개변수들의 비독립성을 고려하지 않는다.

      • KCI등재

        대격과 같이 사용된 부정사 구문의 변천에 관한 연구

        박세곤(Park Sae-Gon) 경성대학교 인문과학연구소 2011 인문학논총 Vol.26 No.-

        본 논문에서는 대격과 같이 사용된 부정사 구문이 고대영어 시기에서부터 중세영어시기에 이르기까지 어떻게 변천해 왔는가를 살펴 보기위해서 고대 영어시기와 중세영어시기의 대표적인 문학작품인 Beowulf와 Canterbury Tales에서 나타난 대격과 같이 사용된 부정사 구문을 모두 추출하여 주동사와 부정사의 관계를 중심으로 부정사의 용법, 어형, 위치의 측면에서 각 시기별로 그 특징을 구명(究明)하고 양 시기를 대조, 분석하였다. 작품 분석의 결과 이 구문에 사용된 주동사는 OE에서 지각, 사역, 명령, 권유의 의미를 갖는 소수의 낱말로 한정되어 있었으나 ME에 이르러서는 사역, 요구 허가, 소망, 지각, 상담, 금지, 원인, 결심, 희망, 행동, 도움 등으로 그 의미가 매우 다양해졌다는 사실을 알 수 있었고, 부정사의 형태를 주동사 별로 분류, 분석해본 결과 그 형태 또한 주동사에 따라 결정되었는데 OE에서 사용된 주동사가 ME에서 부정사의 형태결정에 직접, 간접으로 영향을 미치고 있다는 사실을 발견 할 수 있었다. 즉, ME에 이르러서는 OE의 대격과 같이 사용된 부정사구문의 주동사가 그대로 사용되고 있는 곳에서는 (for) to부정사가 침범하지 못하고 단순 부정사만 사용되고 있으며, OE의 주동사의 영향이 약화된 곳에서는 (for) to부정사와 단순 부정사가 혼용되어 (for) to부정사가 단순부정사의 영역을 잠식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나고, OE의 주동사의 영향이 미치지 못하는 새로 도입된 동사에서는 모두 (for) to부정사가 사용되었다. 이 구문은 OE의 68개의 예문 중 26%에 달하는 18개가 비정상 어순(Verb+accusative+infinitive의 어순이 아닌 것)이었는데 비해 ME에서는 91개의 예문 중 8%에 해당되는 7개만 비정상 어순으로 나타나는 사실은 OE시기에서 ME시기에 이르면서 굴절수평화에 따른 어순 고정화의 과정의 일면인 것으로 보인다. Jespersen(1924: 117-120)은 대격과 같이 사용된 부정사구문을 주술관계(nexus)이론으로 설명하고 있는데 비해 본 논문에서는 이 구문을 주동사의 의미특질에 따라 A, B, C의 3가지 문법적 구조로 세분하여 그 관계를 도표로 제시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trace the transition of ‘accusative with infinitive’ structure in terms of its form, use, and position on the basis of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main verb and the infinitive from Old English(OE) to Middle English(ME) by means of analyzing Beowulf and Canterbury Tales, masterpieces from the OE and ME periods. Jespersen(1924: 117-120) explains the structure of ‘accusative with infinitive’ with his nexus relationship, but this study shows that the structure is composed of 3 distinct grammatical structures. This study finds that the main verbs in the structure were limited to the verbs of perception, command, and exhortation in the OE period. However, many other verbs of requirement, permission, hope, perception, consultation, prohibition, cause, decision, thought, desire, behavior, and help were added to the structure in the ME period. Additionally, this study shows that the force of main verbs used in the structure in the OE period influenced the selection of infinitive markers in the ME period directly or indirectly; In the ME period, the main verbs used in the OE period had only simple infinitives without the invasion of (for)to, and both (for)to and simple infinitives were used interchangeably with the weakness of OE main verb force, but newly introduced main verbs in ME had (for)to infinitives without any OE main verb force. The word order of the structure in OE changed, more or less, today’s English order within ME text(Germanic : Modern English word order = 74 : 92). This change is mostly attributed to the simplification of inflectional endings.

      • KCI등재

        한국어의 격조사와 초점 -주격과 대격을 중심으로-

        김민국 ( Kim Min-gook ) 국어학회 2016 국어학 Vol.78 No.-

        이 연구에서는 ‘초점’을 중심으로 한국어의 주격 조사와 대격 조사의 의미ㆍ화용적 기능을 밝히고 그 실현과 비실현 양상과 관련된 문제를 논의하였다. ‘이/가’와 ‘을/를’은 격을 표시하는 동시에 ‘주제-초점’ 구조에서의 신정보인 가로초점을 표시한다. ‘이/가’와 ‘을/를’은 세로초점의 실현과도 관계가 있다. 하지만 ‘이/가’와 ‘을/를’에 의한 세로초점은 발화 맥락에 따라 수의적이고 가로초점에 늘 겹쳐서 나타난다. 따라서 ‘이/가’와 ‘을/를’이 표시하는 초점의 본질은 결국 가로초점이다. ‘이/가’와 ‘을/를’이 표시하는 가로초점에 세로초점이 겹쳐 나타나면 다양한 의미가 나타난다. 이러한 의미는 ‘이/가’와 ‘을/를’에 관습적으로 나타나는 것이 아니라는 점에서 이들 조사의 의미로 볼 수는 없다. ‘이/가’와 ‘을/를’이 세로초점만을 표시하는 경우는 이른바 보조사적 용법의 ‘이/가’와 ‘을/를’에서 나타난다. 보조사적 용법의 ‘이/가’와 ‘을/를’이 나타내는 ‘강조’의 의미는 세로초점의 핵심인 대안집합과의 대조를 통해 나타나는 것이다. 이와 같이 ‘이/가’와 ‘을/를’은 그 실현을 통해 초점을 표시해 주지만 초점의 유무에 따른 필수적 실현 여부에는 차이가 있다. ‘이/가’는 주어에 초점이 놓이면 반드시 실현되어야 하지만 ‘을/를’은 목적어에 초점이 놓이더라도 실현되지 않을 수 있다. 이러한 양상은 한국어 주어의 문법화 정도가 낮기 때문에 나타나는 것으로 생각된다. 주격과 대격의 비대칭적 실현 양상은 주격과 대격의 비실현형이 서로 다른 문법적 지위를 가진다는 것을 말해 준다. 주격의 비실현은 주격과 대립 관계를 이루므로 Ø 표지의 실현으로 해석되지만 대격의 비실현은 단순한 격표지의 비실현으로 볼 수 있다. 주격의 대립형으로서의 Ø 표지는 ‘이/가’의 이형태보다는 ‘이/가’, ‘께서’와 구별되는 또 하나의 주격 표지로 보는 것이 더 합리적이다. 그러나 주격 표지로서의 Ø는 그 기능이 ‘이/가’와의 대립을 통해서 소극적으로만 드러나기 때문에 주격 조사로서의 지위는 불완전한 것이다. In this article, we aim to find semantic or pragmatic functions of nominative and accusative case markers in Korean focusing at focus and to argue the issues concerning their occurrence and nonoccurrence. i/ka and ul/lul mark case and syntagmatic focus. It seems that i/ka and ul/lul have relevance to paradigmatic focus which is so-called contrastive focus. However paradigmatic focus which is marked by nominative and accusative marker is optional and always involves syntagmatic focus. Thus the essential function of focus which is marked by nominative and accusative is syntagmatic focus. There are several meanings when syntagmatic focus which is marked by nominative and accusative pluses paradigmatic focus. But these meanings are not conventional meaning of i/ka and ul/lul and 'emphatic' function of i/ka and ul/lul comes form contrast in alternative set. Thus i/ka and ul/lul have in common in that focus marking but there are differences in that their obligation. i/ka must occur in focus subject but ul/lul does not have to occur in focus object. This aspect seems to result from the degree of grammaticalization of subject. Asymmetric occurrence of i/ka and ul/lul shows that non-occurrences of nominative and accusative has difference grammatical status. Non-occurrence of nominative can be interpreted zero marker but non-occurrence of accusative is simply non-occurrence of case marker.

      • Diachronic Analysis of the Accusative Marker in Korean Language

        Olivier Bailblé 중동유럽한국학회 2016 중동유럽한국학회지 Vol.16 No.-

        한반도는 역사적으로 여러 침략을 경험했다. 그 중 첫 번째는 중국에 의한 것으로, 한족이 BC 108 에서 AD 313 년까지 400년 넘게 지속된 4개의 군사 본부를 만들었을 때이다. 이 시기가 바로 한국인들이 한자를 쓰는 것에 익숙해진 때이다. 공식적으로는 한국 역사에서 유리왕의 시를 한국문학의 시작으로 표시한다. 하지만, 우리 연구는 진정 한국문학의 초석이라고 할 수 있는 광개토대왕의 비석으로 시작한다. 엄격하게는 이 비석에는 어떠한 대격 형태도 나타나지 않기 때문에 우리는 향찰, 이두, 궁극적으로는 신라말의 구결과 같은 쓰기체계가 나타나는 6세기까지 지켜봐야 한다. 2000년 세상을 놀라게 했던 고바야시요시노리의 운문제로 된 고려시대 불교 경전의 발견은 문법표지의 새로운 재현형태들을 명확하게 밝혔다. 거의 1500년동안 한자의 형태로 대신했던 대격은 특히 15세기의 한글 창제를 포함해서 여러 주요 변화들을 겪었다. 이 연구의 목적은 통시적 관점에서 대격을 표현하기 위해 사용된, 다양하고 복잡한 과정을 거치는, 한자의 도입부터 현대 한국어에서 한자의 소실까지 한글에서의 모든 대격 표지의 변화를 보여주는 것이다. The Korean peninsula has experienced several invasions through its history. The first of these came from China, as the HAn established four military command posts that lasted for more than 400 years, from B.C.108 to A.D. 313. It was during this period that the Koreans became familiar to the use of Chinese writing. Officially, Korean history records that the poems written by King Yuri mark the beginning of Korean literature1. However, it is with the stele of Kwanggaet’o (built in 414) that we begin our study, since it really does constitute the foundation stone of Korean literature. This slab does not have, strictly speaking, any accusative forms. For that, we have to wait until the Sixth century and the advent of several writing systems like the Hyangch’al, the Idu and eventually the Kugy"&"#335;l at the end of Silla. The sensational discovery in 2000 by Kobayashi Yoshinori of Kory"&"#335;-era Buddhist sutras with stylus-induced interpretive rhymed formulas has clearly revealed new forms of representations of the grammatical markers. Represented in the form of Chinese characters for nearly fifteen hundred years, the accusative forms underwent several significant changes, particularly with the creation of the Korean alphabet in the Fifteenth century.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show, from a diachronic perspective, the evolution of all the accusative markers in Korean, from the introduction of Chinese writing to its disappearance in contemporary Korean, passing through multiple and very complex processes that have been put in place to express them.

      • KCI등재

        프랑스어의 <à + 명사구> 형태의 여격 보어 연구 - 판별기준 및 여격/대격 보어 교체현상을 중심으로

        김종명 ( Kim Jong-myung ) 한국프랑스어문교육학회 2020 프랑스어문교육 Vol.71 No.-

        이 연구는 프랑스어의 필수논항 < à + NP > 여격보어를 대상으로, 이를 동일 구성의 비여격보어와 구별짓는 통사ㆍ의미적 특성 및 대격보어로의 교체현상을 분석하고 설명했다. 이 연구는 우선 이 여격보어에 대해 다음 특성을 제시하고 설명했다. - 동일 구성의 비여격보어보다 통사적 지위가 높고 의미역위계도 일반적으로는 높지만 같은 경우도 있다. - 심층구조에서 자신보다 통사적 지위가 낮은 내재논항을 하나 거느린다. 이 내재논항은 여격보어보다 일반적으로 의미역위계가 낮지만 동일한 경우도 있다. - < à + NP > 보어가 구문에서 공기하는 또 하나의 내재논항과 의미역위계가 동일한 경우, < à + NP >를 구성하는 명사구의 한정성/인물성/특정성 자질 값과 공기하는 내재논항의 피영향성 정도가 < à + NP > 보어가 여격보어인지 비여격보어인지를 결정한다. - 여격보어가 심층구조에서 의미역위계가 같거나 낮은 하나의 내재논항을 더 높은 통사적 지위에서 거느리는 것은 여격보어가 지니는 의미역의 고유한 성격에 기인한 것이다. 이 연구는 이후 여격/대격 보어 교체현상이 이중타동사구문의 대격보어 자리를 여격보어가 차지하며 단일타동사 구문을 이루는 것이며 이중타동사가 (역)소유이전 의미 외에, 여격보어에 영향을 주는 추가적 행위를 함의할 때 일어난다는 설명을 제시했다. Nous avons traité du complément datif <à + NP> (le datif) afin de trouver les réponses aux deux questions suivantes : 1. comment définir ce complément de façon à le distinguer de celui de non datif ayant la même forme (le non datif) ; 2. comment expliquer un éventuel remplacement du datif par le complément accusatif. Voici nos résultats obtenus : ① - le datif est syntaxiquement plus haut que le non datif ; - il est, dans la plupart des cas, supérieur au non datif au niveau thématique, mais quand il joue le rôle Thème, il est au même échelon que le non datif ; - il s'accompagne d'un argument plus bas que lui dans la structure profonde ; - si un complément <à + NP> a le rôle Thème, ce sont les définicité, spécificité, humanité du NP ainsi que le degré d'affectation de son compagnon argument qui déterminent son statut, soit le datif ou le non datif. ② le remplacement en jeu a lieu à travers deux constructions ditransitive et monotransitive d'un même verbe. Il s'agit que le datif de celle ditransitive apparaisse en forme d'accusatif dans celle monotransitive, sous la condition que celle ditransitive implique une action affectant le datif.

      • KCI등재

        日本語教育理論と実際用法のミスマッチについて

        李東哲(이동철),朴美琴(박미금) 한국일본어학회 2017 日本語學硏究 Vol.0 No.54

        본고에서는 일본어교육의 시각으로부터 가능표현에 있어서의 대격조사 ‘ガ’와‘ヲ’의 교체현상에 대하여 코퍼스의 용례와 대학교 일본어학과의 교재에서 현재 쓰이고 있는 가능표현의 실제 사용례를 들어 일본어교육의 이론과 실제용법의 이탈에 대해 논했다. 특히는 “2자한어동명사+デキル” 형태의 용법에 있어서 지금까지 일본어교육에서 틀린 용법으로 설명해왔던 대격조사 ‘ヲ’가 실제상 ‘ガ’의 배 이상에 달한다는 사실로부터 ‘ヲ’의 쓰임도 일본어교육에 도입할 것을 주장했다. 또한 ‘デキル’가 단독으로 사용될 때 대격조사로 ‘ガ’만 허용된다고 지적되고 있지만 실제 용례에서는‘ヲ’도 많이 쓰이고 있다는 사실을 밝힘으로서 왜 가능표현에 있어서 이러한 현상이 생겨나며 어떤 경우에‘ヲ’가 나타날 가능성에 대해서도 고찰했다. 그 결과 한 문에 주격조사 ‘ガ’가 나타났을 때 같은 ‘ガ’의 반복출현을 피하기 위함이고, 다른 한 가지는 ‘デキル’가 ‘スル’의 가능형으로 되어있기 때문에 무의식적으로 그 대격조사로‘ヲ’를 사용할 가능성이 높다고 지적되고 있다. This paper discusses the phenomenon of alternative usage of ga and wo in the potential expression, based on examples of corpuses collected, and of textbooks/materials that are currently used in Japanese education in universities. To be more specific, the word wo in the construction of “Chinese gerund+dekiru”, which was regarded as a wrong expression, is now used twice as many as ga. This phenomenon seems to be serious because it shows a mismatch between the theoretical and practical usages, and suggests the alternative use of ga and wo in the Japanese education. Furthermore, only ga is allowed to occur when the verb is dekiru theoretically; however wo is also used practically. So we also investigated the reason for such a phenomenon and the possible scenario that the marker wo is used. As a result, we found that the marker wo is used in the case that ga already exists in the sentence. Another case is that the “dekiru” is an alternative expression to “suru” with wo in which ga is preferentially used as an accusative case marker.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