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연결당기순이익 구성항목의 변화와 가치관련성-비지배지분귀속 당기순이익을 중심으로-

        정재연,신현걸 한국세무학회 2013 세무와 회계저널 Vol.14 No.6

        While Korean parent companies had reported consolidated net income under the parent entity concept until 2007, they have reported it under the entity concept since 2008. With respect to consolidated net income, the basic difference between parent entity concept and entity concept is that net income attributable to non-controlling interests(‘NCI’ hereafter) is excluded from the consolidated net income under parent entity concept, however, it is included in the consolidated net income under entity concept. This paper investigate whether there is a significant difference of value relevance of consolidated net income between two periods, PeriodⅠ(2004 through 2007) and Period Ⅱ(2008 through 2012). Regardless of the accounting standards applied, it is reasonable that there should not be a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e value relevance of consolidated net income under the two concepts. However, if the significant difference would be found it can be interpreted that market could not fully understand the meaning of consolidated net income. We found that value relevance of Period Ⅱ is significantly lower than that of PeriodⅠ. It would result from the NCI that affected negatively the stock price as a noise, and the result does not change after controlling the effect of IFRS adoption in 2011. We can conclude that the market does not fully understand the meaning of consolidated net income after adoption the entity concept, and stock prices could be affected by the form rather than the substance of accounting information. 우리나라 기업은 2007년까지 지배기업개념에 기초하여 연결당기순이익을 보고하였으나, 2008년부터는 실체개념에 기초하여 연결당기순이익을 보고하고 있다. 연결당기순이익에 있어서 두 개념간의 근본적인 차이는 지배기업개념 연결당기순이익에는 비지배지분순이익이 제외되는 반면, 실체개념의 연결당기순이익에는 비지배지분순이익이 포함된다는 것이다. 본 논문에서는 분석기간을 2007년 이전과 2008년 이후로 구분하여 연결당기순이익의 주가관련성이 두 기간 간에 유의한 차이가 존재하는지 검증하였다. 적용하는 회계기준과 관계없이 연결실체의 경제적 실질은 동일하기 때문에 지배기업개념의 연결당기순이익과 실체개념의 연결당기순이익의 주가관련성이 유의하게 다르지 않아야 한다. 그러나 양자의 주가관련성이 유의하게 다르다면 시장에서 연결당기순이익의 의미를 잘못 이해하고 있는 것으로 해석할 수 있다. 연구결과 2008년 이후 실체개념에 따른 연결당기순이익과 주가의 관련성은 2007년 이전 지배기업개념에 따른 연결당기순이익과 주가의 관련성에 비해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낮았다. 이는 2008년 이후 연결당기순이익에 포함된 비지배지분귀속 당기순이익이 잡음(noise) 역할을 한 데 기인하는 것으로 파악되었으며, 2011년부터 한국채택국제회계기준의 의무적용에 따른 효과를 고려한 후에도 실체개념에 따른 연결당기순이익의 주가관련성은 그 이전의 기간에 비해 유의하게 낮았다. 따라서 시장에서는 공시된 연결당기순이익의 본질을 제대로 꿰뚫어 보지 못하고, 외형에 의해 주가가 오도될 수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는데 본 연구의 의의가 있다. 한편 본 연구에서 사용한 데이터베이스(KISVALUE)의 2008년 이후 연결당기순이익이 연결손익계산서상 연결당기순이익이 아닌 지배기업소유주귀속 당기순이익으로 입력되어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현재 연결재무제표가 기본재무제표로 공시되고 있는 국제회계기준의 환경 하에서 향후 연결당기순이익을 이용하는 연구결과에 상당한 영향을 미칠 수 있기 때문에 연구자의 주의가 필요하며, 관련 데이터베이스의 내용이 조속히 수정되길 기대한다.

      • KCI등재후보

        총포괄손익과 당기순이익의 상대적 기업가치 관련성-연결재무제표를 중심으로-

        팽영희,정재원 한국세무회계학회 2017 세무회계연구 Vol.0 No.54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verify the explanation in evaluating the value relevance of the net income and total comprehensive income stated in the statement of comprehensive income, to verify the additional explanation to other comprehensive income regarding the net income. An empirical verification model expanded from the Ohlson’s(1995) equity valuation model and the Vuong’s(1989) overlapping model were used to verify the study subjects. Also, the additional explanation to other comprehensive income regarding the net income was verified using SPSS by hierarchical regression analysis. For the projection of an actual proof analysis, those companies listed on, as of December 31 of 2011 and December 31 of 2015, the securities market and the KOSDAQ market in the Korea Exchange that satisfy sampling standards of this study were chosen. The results verified through this study can be summarized as follow: ① In case of securities market, it was found that net income in statement of comprehensive income had the additional explanatory power on the total comprehensive income. ② In case of KOSDAQ market, it was found that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e net income and total comprehensive income announced in the statement of comprehensive income. ③ In securities market, it was found that other comprehensive income had no additional explanatory power on the net income. ④ In KOSDAQ market, it was found that other comprehensive income had additional explanatory power on the net income. However, in the manufacturing industry, it was found that other comprehensive income had no additional explanatory power on the net income. 본 연구의 목적은 한국거래소의 유가증권시장과 코스닥시장에 상장되어 있는 기업을 대상으로 첫째 연결포괄손익계산서에 표시되는 총포괄손익과 당기순이익의 기업가치 설명력의차이와 둘째 연결포괄손익계산서의 기타포괄손익의 당기순이익에 대한 추가적 설명력을 검증하는데 있다. 2011년 12월 31일에서 2015년 12월 31일 현재 한국거래소의 유가증권시장과 코스닥시장에 상장되어 있는 기업으로서 본 연구의 표본 선정기준을 만족하는 기업을 표본기업으로 선정하고, 이를 대상으로 실증분석 하였으며, 그 분석결과를 요약하면 아래와 같다. 첫째, 유가증권시장의 경우 연결포괄손익계산서에 표시되는 당기순이익이 총포괄손익에비하여 기업가치를 보다 잘 설명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코스닥시장의 경우 연결포괄손익계산서에 표시되는 총포괄손익과 당기순이익의 기업가치 설명력에는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유가증권시장의 경우 기업가치를 설명함에 있어서 연결포괄손익계산서의 기타포괄손익은 당기순이익에 추가적 설명력이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코스닥시장의 경우 기업가치를 설명함에 있어서 연결포괄손익계산서의 기타포괄손익은 당기순이익에 추가적 설명력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제조업을 대상으로 한검증결과에서는 연결포괄손익계산서의 기타포괄손익은 당기순이익에 추가적 설명력이 없는것으로 나타났다. 첫째와 둘째의 실증적 증거는 투자자들의 투자의사결정시에 실현된 당기순이익 정보가 미실현된 기타포괄손익을 포함한 총포괄손익 정보보다 유용한 정보를 제공함을 시사한다. 셋째와 넷째의 실증적 증거는 기타포괄손익이 주요 영업활동과 직접적인 관련성이 없으며미실현손익의 속성을 가지기 때문에 투자의사결정에 중요하지 않음을 시사한다.

      • KCI등재

        IFRS 도입 후 당기순이익과 포괄이익의 가치관련성

        김효진(Kim, Hyo Jin),박민경(Park, Min Kyung) 韓國公認會計士會 2016 회계·세무와 감사 연구 Vol.58 No.1

        본 연구는 IFRS 도입 후 그동안 다루어지지 않았던 포괄손익계산서의 역할에 대한 검증을 시도한 연구로서, 최근 중요성이 대두되고 있는 회계이익으로서 포괄이익의 정보유용성을 실증적으로 살펴보았다는 점에 의미가 있다. 특히, 가치관련성을 측정하여 당기순이익과 포괄이익이라는 두 가지회계이익의 상대적인 가치관련성 변화를 비교하였다. 국제회계기준(IFRS) 도입 전과 후로 나누어 기업의 주가에 대한 당기순이익과 포괄이익의 상대적영향력을 비교한 결과, KOSPI 시장의 경우 IFRS 도입 전에는 기업의 주가에 영향을 미치는 당기순이익의 회귀계수 값이 포괄이익의 회귀계수 값보다 유의하게 높았던 반면, IFRS 도입 후에는 당기순이익의 계수는 감소하고 포괄이익의 계수는 상대적으로 높아짐으로써 두 계수간 차이가 더 이상유의하지 않은 모습을 보이고 있다. 모형간 설명력차이를 알아보기 위한 Vuong(1989) 검정결과, IFRS 도입 전에는 당기순이익과 포괄이익을 각각 변수로 사용한 두 회귀모형의 설명력 차이가 유의함을 알 수 있다. 즉, IFRS 도입 전에는 당기순이익의 주가에 대한 가치관련성이 포괄이익의 가치관련성에 비해 상대적으로 유의하게높았음을 의미한다. 그러나 IFRS 도입 후에는 당기순이익과 포괄이익을 각각 변수로 사용한 모형의설명력차이가 더 이상 유의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나 포괄손익계산서에 포괄손익의 공시가 의무화된 이후에 포괄이익의 상대적 가치관련성이 증가하는 현상을 확인할 수 있었다. KOSDAQ 시장의 경우도, IFRS 도입 전에는 기업의 주가에 영향을 미치는 당기순이익의 회귀계수 값이 포괄이익의 회귀계수 값보다 유의하게 높았던 반면, IFRS 도입 후에는 포괄이익의 계수가 상대적으로 향상됨으로써 두 계수간 차이가 더 이상 유의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IFRS 도입으로 당기순이익뿐만 아니라 기타포괄손익을 합산한 총포괄손익이 투자자들에게 최종보고되므로, 포괄이익은 정보이용자들에게 IFRS 도입 전에 비해 더욱 공식적인 정보로 받아들여지 고 있는 추세이다. 즉, 손익계산서가 포괄손익계산서로 확대되어 기타포괄손익이 손익계산서에 명확하게 공시됨으로써 시장은 포괄이익의 정보가치를 과거보다 더 손쉽게 이해하여 이를 기업의 가치평가에 보다 수월하게 이용할 수 있게 되었다. 포괄이익의 중요성이 대두되고 있는 현 시점에 IFRS 도입 후 포괄이익의 상대적 가치관련성 변화에 대한 본 연구의 결과는 투자자와 회계기준 입안자 및 감독기구에 시의적절한 시사점을 줄 것이라고 기대한다. This paper examines the relative value relevance between net income and comprehensive income for Korean market, which was mandated to be provided on the main body of the comprehensive income statement as a result of IFRS adoption in 2011. From an analysis of the relative value relevance between the net income and the comprehensive income for 2,682 (2,796) firm-years for KOSPI (for KOSDAQ) in the period of 2007 to 2013, we document that value relevance of net income (NI) was higher than comprehensive income (CI) before K-IFRS adoption, however, there are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value relevance between net income and comprehensive income after K-IFRS adoption more. These results show that the value relevance of comprehensive income is relatively getting higher than net income since K-IFRS adoption. We performed Vuong’s Z test and the parallelism test for each regression coefficient on the samples. Before K-IFRS adoption, there was significant difference of explanatory power between regression model including net income variable and regression model including comprehensive income variable. It menas that value relevance of net income to firms’ share price was significantly higher than those of comprehensive income to firms' value. But we cannot find significant difference of explanatory power between two models after K-IFRS adoption any more. These results reject H1 which states that “There is no difference in value relevance change between net income and comprehensive income in the post IFRS adoption periods.” We also document that the disclosure of the other comprehensive income also affects value relevance differently. More specifically, the result of Cramer's test says that those firms which report the other comprehensive income on the income statements in the post IFRS adoption periods have higher value relevance than in the pre IFRS adoption periods. This result partially rejects H2 which states that “There is no difference in value relevance change of other comprehensive income in the post IFRS adoption periods.” We contribute to the literature by empirically showing that the comprehensive income has additional information usefulness and can be justified for accounting standards changing. Our results also provide empirical supports for the validity of the disclosure of the other comprehensive income and the comprehensive income separately on the main body of the comprehensive income statement.

      • KCI등재

        IFRS 도입 전후 회계이익정보의 지속성 변화

        김효진(Kim, Hyo-jin),이기훈(Lee, Ki-hoon) 한국국제회계학회 2017 국제회계연구 Vol.0 No.73

        IFRS 도입으로 당기순이익과 함께 총포괄손익이 최종 보고되므로, 포괄이익은 IFRS 도입 전에 비해 정보이용자들에게 더욱 공식적인 정보로 받아들여져 경영자는 당기순이익뿐만 아니라 포괄이익의 지속성 관리에도 관심을 가질 것이다. 본 연구는 당기순이익과 포괄이익이라는 두 가지 회계이익의 IFRS 도입 전후 이익지속성을 비교함으로써 포괄이익 정보의 상대적인 지속성 변화를 알아본다. 국제회계기준(IFRS) 도입 전과 후로 나누어 기업의 당기순이익과 포괄이익의 상대적 이익지속성을 비교한 결과, KOSPI 시장의 경우 당기순이익의 지속성이 IFRS 도입 후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포괄순이익의 자기회귀계수를 살펴보면, IFRS 도입 후에 당기순이익의 회귀계수값보다 유의한 수준에서 더욱 큰 폭으로 증가하여 IFRS 도입 후 당기순이익의 지속성에 비해 포괄이익의 지속성이 상대적으로 더욱 크게 증가하였다는 추론이 가능하다. 또한 IFRS 도입 전에는 당기순이익의 지속성이 포괄이익의 지속성에 비해 상대적으로 높은 값을 보인 반면 IFRS 도입 후에는 당기순이익과 포괄이익의 이익지속성 차이가 유의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를 통해 포괄손익계산서에 포괄이익의 공시가 의무화된 이후에 포괄이익의 상대적 이익지속성이 증가함으로써, 두 회계정보의 지속성이 유의하게 다르지 않음을 알 수 있다. KOSDAQ의 경우, 당기순이익의 지속성은 IFRS 도입 전과 후에 유의한 차이가 없으나 포괄이익의 지속성은 IFRS 도입 후에 증가하여 두 회계이익정보의 이익지속성 변화차이가 코스닥시장에서도 지지됨을 알 수 있다. 본 연구는 기존 이익품질 추세의 연구를 보완하고자 IFRS 도입 후 그동안 부족했던 포괄손익계산서의 역할에 대해 분석하고, 최근 중요성이 대두되고 있는 회계이익으로서 포괄이익의 지속성을 실증적으로 살펴보았다. 포괄손익에 대한 상대적인 이익지속성 상승은 기타포괄손익 및 포괄손익에 대한 정보가 투자자들의 의사결정에 더욱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음을 의미하고 확인된 포괄이익정보의 지속성 상승추세는 공시방식의 변화에 대한 이론적 근거를 제시하고 있다. This paper examines the relative change in persistence between net income (NI) and comprehensive income (CI) for Korean market, which was mandated to be provided on the main body of the comprehensive income statement as a result of IFRS adoption in 2011. From an analysis of the relative change in persistence between the NI and the CI, we document that earnings persistence of NI was higher than CI before K-IFRS adoption, however, there are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earnings persistence between NI and CI after K-IFRS adoption more. These results show that the earnings persistence of CI is relatively getting higher than NI since K-IFRS adoption. We performed coefficient difference test and the parallelism test for each regression coefficient on the samples. Before K-IFRS adoption, there was significant difference of explanatory power between regression model including NI variable and regression model including CI variable. It menas that earnings persistence of NI was significantly higher than those of CI. But we cannot find significant difference of explanatory power between two models after K-IFRS adoption any more. We also document that IFRS adoption also affects the earnings persistence of other comprehensive income (OCI) separately. More specifically, the result of coefficient difference test says that the OCI reported on the main body of the income statements in the post IFRS adoption periods have higher earnings persistence than in the pre IFRS adoption periods. We contribute to the literature by empirically showing that the CI has additional information usefulness and can be justified for accounting standards changing. Our results also provide empirical supports for the validity of the disclosure of the OCI and the CI separately on the main body of the comprehensive income statement.

      • KCI등재

        주가 변동의 정보와 당기순이익의 인식 - 한국 유가증권시장의 이익인식적시성 분석 -

        임상균 한국세무학회 2016 세무와 회계저널 Vol.17 No.2

        This study investigates the relation between information in stock price changes and earnings recognition timeliness (ERT) using Korean firms listed on the Korean Stock Exchange. Prior studies find low informamativeness in stock prices and a low earnings quality in the Korean stock market, which cause the recognition of earnings to be inclined more to short-term information. Using the empirical model of Ball and Easton (2013), this study analyze earnings timeliness of listed firms in Korean Stock Exchange by examining the relation between daily stock price changes and annual net income. The empirical analysis of this study supports this conjecture. Especially in years of negative stock price changes, the information in the stock price changes near the end of the fiscal year is recognized more dominantly in earnings. When the sample is divided into before and after the Asian Financial Crisis, the empirical results of this study show that earnings recognition tends to be more short-term and negative-information-oriented after the crisis. Contrary to the argument of prior study, expense is mechanically and passively matched to revenue in Korean firms, rather than actively recognize expectations regarding future earnings. In addition, results show that the earning components of operating cash flows and accruals recognize information differently. Accruals (operating cash flows) generally recognize the information in the stock price changes near the beginning (end) of the fiscal year. This study makes several contributions to the literature. First, this study finds Korean firms’ unique characteristics in earnings recognition timeliness. Second, regarding recognition of information, this study shows that operating cash flows and accruals plays different roles from each other. Finally, this study supports the argument that the changes in institutional environment affects the relation between the information in stock prices and accounting information by showing that earnings recognition timeliness changed after the Asian financial crisis in late 90’s. 본 연구는 한국 유가증권시장 상장기업에서 주가에 반영된 정보와 당기순이익 인식의 관계를 연구하였다. 한국에서는 주가의 정보성이 낮고 당기순이익의 질이 낮다는 것이 알려져 있으며, 주가변동과 당기순이익의 인식의 관계는 이러한 특성에 영향을 받아 단기정보 중심으로 형성될 것이다. 본 연구에서는 유가증권시장 상장기업을 대상으로 Ball and Easton(2013)의 연구모형을 적용하여 일간 주가변동에 반영된 정보가 당기순이익으로 반영되는 양상을 이용하여 이익의 인식적시성을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실증분석은 이러한 추론을 지지하는 결과를 발견하였다. 특히 주가수익률이 음수인 해의 기말의 주가에 반영된 부정적 정보가 당기순이익으로 인식되는 경향이 뚜렷하였다. 외환위기전후기간의 비교에서는 외환위기 이후에 기말의 주가가 반영한 부정적 정보에 초점을 두어 당기순이익이 인식되는 경향이 나타난 것을 보여주었다. 또한 선행연구의 주장과는 반대로 한국에서의비용 인식은 미래 정보 반영을 위해 적극적으로 활용되기보다는 수익에 따라서 수동적이고 기계적으로 인식되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 본 연구에서는 현금흐름과 발생액의 인식과 주가변동의 관계도 살펴보았다. 주가에 반영된 정보를 인식함에 있어서 발생액은 회계연도 초의 주가에 반영된 정보를, 영업현금흐름은 회계연도 말의 주가에 반영된 정보를 주로 인식하는 것으로 나타나 양자 간의 차이가 발견되었다. 본 연구는 다음과 같은 공헌점을 가진다. 첫째, 본 연구는 한국 상장기업만의 고유한 당기순이익의 정보인식 특성을 발견하였다. 둘째, 본 연구는 정보의 인식에서 영업현금흐름과 발생액이 서로다른 양상을 보여준다는 점을 발견하였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는 이익인식적시성이 90년대 말 아시아 외환위기를 전후로 크게 달라졌음을 보임으로써 제도적 변화로 인한 주가와 재무정보의 관계의 변화의 실증적 증거를 제시하였다.

      • KCI등재

        금융기관 보고이익의 정보유용성에 대한 연구 : K-IFRS 1109를 중심으로

        김효진 ( Kim Hyo-jin ) 한국세무회계학회 2020 세무회계연구 Vol.0 No.65

        [연구목적] IFRS 도입 이후 금융규제상 의무공시대상인 금융기관의 대손준비금조정후순이익이 회계기준상 당기순이익과 함께 재무제표에 공시된다. 정보이용자가 두 개의 정보에 대한 혼란 없이 정보를 획득한다면 표현충실성 관점에서 유용한 정보가 될 수 있지만 서로 다른 이익이 동시에 보고되는 경우 정보이용자는 오히려 혼란이 발생할 수도 있다. 본 연구는 서로 다른 이익정보가 정보이용자에게 증분적인 유용성을 제공하는지 정보유용성 시각에서 검증한다. [연구방법]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연구는 K-IFRS 도입 후 2011년부터 K-IFRS 제1109호 적용 두 번째 해인 2019년까지를 분석기간으로 하고, 정보유용성의 측정치로 가치 관련성을 활용하여 분석한다. [연구결과] 실증분석결과, 당기순이익을 설명변수로 하는 모형의 설명력과 조정후순이익을 독립변수로 하는 모형의 설명력은 유의한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두 보고이익 변수 와 그 변화분을 설명변수로 하여 수익률에 미치는 영향을 검증한 상대적 정보유용성 역시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기간을 구분하여 K-IFRS 제1109호 적용 전인 2011년~2017년까지 기간을 대상으로 상대 적 정보유용성을 분석한 결과, 회계기준상당기순이익에 비해 조정후순이익의 정보유용성이 상대적으로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제1109호 적용에 따라 기대손실모형으로 회귀한 2018년~2019년 기간에는 여전히 회계기준상 당기순이익이 시장에 미치는 영향이 조정후순 이익에 비해 상대적으로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즉, 기간별로 두 보고이익의 상대적 정보유 용성이 일관되지 않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이와 같은 결과는 당기순이익 및 조정후순이익을 함께 공시하면 시장에 혼란을 야기하여, 장부금액 등 정보유용성이 함께 감소함으로써 회계 정보의 가치관련성이 상대적으로 낮아진다는 선행연구(김효진과 이기훈, 2016)의 주장과 일관된다. 서로 다른 이익정보의 공시 형태가 정보이용자에게 오히려 혼란을 야기하여 유용성을 증가시키지 못한다면, 회계기준과 금융규제상의 보고이익은 통일되어야 함을 시사함으로 써 K-IFRS 제1109호에 의한 기대손실모형으로의 회귀를 지지하는 결과라고 볼 수 있다. [연구의 시사점] 본 연구는 IFRS 도입 후 당기순이익과 조정후순이익이라는 두 가지 이익 의 정보유용성을 비교함으로써 회계이익과 비회계이익의 동시 공시가 시장에서 유용성을 제 고하는지 검증하고, 이를 통해 K-IFRS 제1109호의 타당성을 검토함으로써 회계기준 입안 자 및 금융감독기구와 투자자에 시사하는 바가 클 것이라 기대한다. [Purpose] The adoption of IFRS by Korean banks resulted in the reporting of non-GAAP adjustments to IFRS net income and book values of equity because of two different regulations-accounting standards and supervisory regulations. The banks are required to apply IFRS when they prepare financial statements, yet they also must comply with the supervisory regulations. The non-GAAP adjustments to IFRS income and book values must be reported on the financial statements simultaneously. Consequently, a conflict may be emerged because the market participants could be confused with different two incomes. This study examines the incremental information-usefulness of these simultaneous disclosure of two different reported earnings and adjustments to equity market participants over IFRSbased net income and book values of equity. [Methodology] This study directly measure the incremental information-usefulness of the non-GAAP adjustments over IFRS-based income and book values by including the non- GAAP adjustments as additional, independent variables in a single model. I measure the net income adjustment as the provision of regulatory reserve for additional loan losses for the current year and the book value adjustment as the regulatory reserve for additional loan losses at the end of the current year. The IASB pronounced IFRS 9 which supersedes IAS 39 and replaces the incurred-loss model with the expected credit loss model. The expected credit loss model becomes effective beginning in 2018 again. Therefore, I examine the relative information-usefulness between Ex-ante and Ex-post of IFRS 9. [Findings] This study shows that the non-GAAP adjustments to IFRS net income do not have incremental information-usefulness over IFRS-based net income. I document that the disclosure period lacks consistent information-usefulness. My findings are consistent with Kim and Lee (2016) which shows that non-GAAP book value has lower value-relevance than IFRS-based book value. I fail to support the hypothesis which states that a simultaneous disclosure of two reported earnings has incremental information-usefulness relatively. [Implications] My findings have policy implications as well. Even though the non-GAAP adjustments contribute to making banks’ IFRS-based financial statements compliant with the banking supervisory regulations, their impact on the capital markets is trivial without significant incremental information-usefulness. My findings raise a cost-effectiveness issue from a policy point of view, specifically based on IFRS 9 and empirically support the transition to expected credit loss model. However, this study is limited to the Korean banks and may not be generalizable to other jurisdictions.

      • KCI등재

        상장여부에 따라 재무제표의 비교가능성이기업신용등급 및 부채조달비용에 미치는 영향

        지승민,박종일,나경아 한국세무학회 2017 세무와 회계저널 Vol.18 No.4

        This study empirically examines the effect of financial statement comparability on the credit rating and firm’s cost of debt. Additionally, this study examines whether firm’s listing status affects comparability’s effect on credit rating and cost of debt. Prior studies document that financial statement comparability lowers loan interest spreads (Fang et al. 2012), credit spreads for both bonds and credit default swaps (Kim et al. 2013), and the cost of debt for bonds, and increases bond ratings (Lee and Ko 2014). However, these studies focus on public companies and do not examine how the effect of comparability on credit ratings and cost of debt varies across public vs. private firms. Our study tries to fill the void in the literature. We measure earnings comparability and cash flow comparability following De Franco et al.(2011) and use credit ratings provided by Nice Information Service Inc. and loan interest rate and loan interest spreads as cost of debt. Our sample covers public and private firms in non-financial industries from 2009 to 2014 and the final sample is 19,687 firms-year observations. Our main findings are as follows. First, while neither earnings comparability nor cash flow comparability for public firms is associated with firm credit ratings, earnings comparability for private firms is significantly positively associated with credit ratings. Second, only cash flow comparability is negatively associated with cost of debt for public firms, while both earnings comparability and cash flow comparability are negatively associated with cost of debt for private firms. These results suggest that earnings comparability is important in the evaluation of private companies by rating agencies or debtholders, while cash flow comparability is important in creditors’ evaluation of both pubic and private firms. Third, the effect of cash flow comparability on credit ratings and cost of debts does not differ between public firms vs. private firms. However, earnings comparability decreases cost of debt and increases credit ratings more for private firms compared to public firms. This result implies that both rating agencies and debtholders put more weight on earnings comparability rather than cash flow comparability in evaluating private firms. Overall, our results suggest that financial statement comparability is more important in evaluating private companies rather than public companies, and that creditors rather than rating agencies put more weight on comparability in analyzing firm’s financial statements. To the best of our knowledge, this study is the first comparing the different effect of comparability on firm’s credit rating and cost of debt for public vs. private firms. Therefore, our study contributes to the debate on financial reporting quality of public versus private companies as well as to the literature on financial statement comparability. We expect that this paper offers useful insight to practitioners, accounting standard setters, policy makers as well as academia. 본 연구는 상장기업과 비상장기업을 대상으로 재무제표 비교가능성 중 기업성과의 비교가능성이기업신용등급 및 타인자본비용에 미치는 효과를 실증적으로 분석하였다. 또한 상장여부에 따라 앞서의 관계가 다른지도 살펴보았다. 이를 위해 본 연구는 기업성과에 대한 비교가능성을 De Franco et al.(2011)의 방법을 준용하여 당기순이익 및 영업현금흐름 측정치를 이용하였다. 분석기간은 2009 년부터 2014년까지 상장기업과 비상장기업의 최종표본 19,687개 기업/연 자료가 분석에 이용되었다. 실증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상장기업은 두 기업성과의 비교가능성 모두 기업신용등급과 유의한 관계를 보이지 않은 반면, 비상장기업은 당기순이익의 비교가능성에서 기업신용등급과 유의한양(+)의 관계로 나타났다. 둘째, 상장기업은 영업현금흐름의 비교가능성과 타인자본비용 간에 유의한 음(-)의 관계를, 비상장기업은 당기순이익 및 영업현금흐름의 비교가능성 모두 타인자본비용과 유의한 음(-)의 관계를 보였다. 이는 신용평가기관 및 채권투자자 측면에서 동일산업 내 기업간 당기순이익의 비교가능성 정보는 주로 비상장기업에서 더 유용한 정보를 제공하며, 또한 영업현금흐름의 비교가능성은 상장여부와 관계없이 채권투자자에게 유용한 정보로 활용됨을 시사한다. 셋째, 상장여부에 따라 차별적인 효과가 있는지를 분석한 결과는 영업현금흐름의 비교가능성은 상장여부에 따라 중요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으나, 상장기업과 비교해 비상장기업에서 당기순이익의 비교가능성이 높을 때 기업신용등급이 높고, 대출이자율은 낮게 나타났다. 이상의 본 연구결과는 상장기업보다 비상장기업에서의 당기순이익과 영업현금흐름의 비교가능성이 신용평가기관 및 채권투자자에게 더 큰 영향을 미치고 있음을 보여주었다는데 의의가 있다. 또한 재무제표의 비교가능성과 신용등급 및 타인자본비용 간의 관계를 상장기업뿐 아니라 비상장기업까지 확장시켜 분석하고, 상장여부에 따라 두 관계에 어떤 차이가 있는지를 비교분석한 최초의연구라는 점에서도 의미가 있다.

      • KCI등재

        환헤지가 조선업체의 당기순이익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조인갑,김종근,Cho, In karp,Kim, Jong keun 한국벤처창업학회 2015 벤처창업연구 Vol.10 No.3

        본 연구는 환헤지와 조선업체의 당기순이익과의 인과관계를 파악하고자 단위근 검정과 공적분 검정, 그리고 벡터자기회귀모형(vector autoregressive model : VAR)을 활용하였다. 먼저, 단위근 검정을 위해서는 2000년부터 2013년까지 분기별 조선업체들의 당기순이익은 존슨 변환 후의 값을 사용하였다. 동일 기간에 국채선물수익률(KTBF), 3년 만기 국채수익률(KTB3Y), 한미 환율, 한미 금리차이는 주별 데이터를 각 분기별 차이값으로 변환시켜서 활용하였고, 조선업체의 주가는 로그 변환 시킨 후에 사용하였다. 또한, 구조적 변화점 탐색 분석기법을 활용하여서 조선업체들의 당기순이익에 영향을 주는 환헤지에 구조적 전략 변화가 발생하는지 검증해 보았다. 연구결과는 환헤지와 조선업체의 당기순이익 간에는 구조적 변화점 탐지 분석에서는 2004년을 기점으로 구조적 변화가 발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조선업체 중에서 소극적 환헤지 관리가 적극적 환헤지 전략으로 구조적 변화가 발생한 것이다. VAR의 추정을 통해 한국 조선업체들의 환헤지는 조선업체들의 상호 간의 수익성에 영향을 주고 있음을 파악 할 수 있었다. 또한 거시변수나 주가에 의해서도 조선업체들의 당기순이익이 영향을 받고 있음을 확인해 볼 수 있었다.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causal relationship between exchange hedge and the net income of the shipbuilder through the unit root test and co-integration and vector autoregressive model(Vector Autoregressive Model: VAR). First, quarter net income of shipbuilders to order a unit root tests from 2000 to 2013 was used as a value after the Johnson transformation. In the same period, the return on bond futures(KTBF), three years bond yield(KTB3Y), America-Korea exchange differences are weekly data for each quarterly difference in value was converted by utilization, shipbuilding shares after log transformation which it was used. Also, structural change point investigation analysis to verify that looked to take advantage of the structural changes occur in the exchange hedge strategies affecting net income in the shipbuilding industry. Between the exchange hedge and net income of shipbuilders in structural change points detection and analysis showed that structural changes occur starting in 2004. In other words, strategy of shipbuilders about exchange hedge has occurred from "passive exchange hedge" to "active exchange hedge". The exchange hedge of the Korea shipbuilders through the estimation of the VAR was able to grasp that affect the profitability of mutual shipbuilders. Macroeconomic variables and stock prices could also check to see that affected the net income of the shipbuilding industry.

      • KCI등재

        개별기업 포괄손익계산서의 당기순이익과 기타포괄이익의 기업가치 관련성

        곽종민,정재권 한국회계정보학회 2014 회계정보연구 Vol.32 No.1

        Korea made listed companies in Korean Exchange to mandatorily apply Korean International Financial Reporting Standards(K-IFRS) when reporting their financial statements, since 2011. Therefore, they got to count up accumulated other comprehensive income on capital account, when writing statement of financial position, and separately report net income and other comprehensive income while reporting comprehensive income statement. This study empirically verified whether companies have fortified usefulness of decision making or not, through investigating additional influence of firm value based on analysis of equity capital, net income, and other comprehensive income. The result of this study shows that equity capital in statement of financial position and net income in comprehensive income statements has positive(+) significant corelation, but other comprehensive income, though correlative, has negative(-) relation with firm value. This study confirmed that net income and other comprehensive income improve usefulness of accounting information, as equity capital has significant corelation with firm value, and also, this study has been worked as momentous opportunity to prove the fact that accounting information is one of important variables when making economic decision. 우리나라는 2011년부터 한국거래소 상장기업에 대해 한국채택국제회계기준(K-IFRS)을 의무적으로 적용함으로써 재무상태표의 자본계정에 기타포괄손익누계액을 계상하고, 포괄손익계산서에 당기순이익, 기타포괄이익을 각각 구분하여 기록하여 공시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 개별기업 장부가치인 재무상태표의 자기자본과 포괄손익계산서의 당기순이익과 기타포괄이익이 기업가치에 영향을 주어 의사결정의 유용성(usefulness of decision making)을 제고하고 있는지 여부를 실증적으로 검증하였다. 본 연구는 개별 재무제표의 자기자본, 당기순이익, 기타포괄이익 등과 기업가치 간의 상관성을 분석한 결과, 재무상태표의 자기자본은 기업가치와 유의적인 양(+)의 상관성을 갖고, 포괄손익계산서의 당기순이익은 기업가치 간에 유의적(당기순손실은 유의하지 않음)인 양(+)의 상관관계를 갖고 있음이 실증적으로 검증되었다. 그러나 기타포괄이익은 유의성(기타포괄손실은 유의하지 않음)은 있으나 음(-)의 상관관계를 갖는 것으로 검증되었다. 본 연구 결과, 회계정보가 기업가치와 유의적인 상관관계가 있음이 검증됨으로써 당기순이익과 기타포괄이익이 회계정보 유용성을 제고하고 있고, 경제적 의사결정에 필요한 중요한 변수임을 실증적으로 검증하는 계기가 되었다.

      • KCI등재

        이익배당과 중간배당 판결 관련 쟁점에 대한 검토

        문준우 한국상사판례학회 2023 상사판례연구 Vol.36 No.2

        1. 대법원 2022. 8. 19. 선고 2020다263574 판결에 따르면, 정관이 정하는 요건이 충족되는 경우, 주식회사가 주주에게 이익배당을 지급하여야 된다. 그러나 상법 제462조 제1항은 주식회사가 이익배당을 할 때, 반드시 지켜야 하는 규정으로서, 주식회사는 주주총회 또는 이사회의 재량으로 이익배당을 할 수 있다. 따라서 정관이 정하는 요건을 충족한다고 해서, 주주총회 또는 이사회가 그 정관에 구속되어, 주주에게 이익배당을 지급하여야 되는 것도 아니다. 이익배당 판결(대법원 2022. 8. 19. 선고 2020다263574 판결) 관련 쟁점을 요약한 내용이 아래와 같다. 1) 상법 제462조 제1항은 강행규정이므로, 이에 반하는 정관은 무효라고 본다. 따라서 주주에게 이익배당을 반드시 해야 된다는 정관규정 역시 무효이다. 2) 당기순이익과 배당가능이익이 불일치할 수 있으므로(예를 들어, 당기순이익이 있을지라도 배당가능이익이 없을 수 있음), 피고 회사의 정관 제8조의4 제3항과 같이 “우선주식에 대한 배당은 당해 회계연도에 당기순이익이 있는 경우 반드시 정기주주총회(결산승인의 총회)의 결의를 통하여 지급되어야 한다.”라고 하면 안될 것이다. 3) 배당가능이익이 없는데도 불구하고, 당기에 순이익이 발생하였다고 이익배당을 하는 것이 위법배당이다. 4) 이익배당에 관하여 기재가 없는 이익잉여금 처분계산서가 승인될지라도, 재무제표가 승인됨으로써 당기순이익이 정해질 수 있다면, 이 당기순이익을 토대로 배당가능이익의 범위 내에서 이익배당을 할 수 있다. 2. 상법 제462조의3에 따라, 년 1회의 결산기를 정한 주식회사는 영업연도중 1회에 한하여 중간배당을 할 수 있다. 이사회가 1회의 중간배당을 결의(제1차 이사회결의)하였다면, 이 1회 결의로 중간배당이 끝나는 것이다. 따라서 주식회사의 이사회가 한 제2차 이사회결의는 효력이 없다. 중간배당 판결(대법원 2022. 9. 7. 선고 2022다223778 판결) 관련 쟁점을 요약한 내용이 아래와 같다. 1) 중간배당의 엄격한 요건과 중간배당에 대한 이사의 무거운 책임과 중간배당의 여러 장점들을 고려하면, 주식회사가 중간배당을 1년에 2-3번 정도 할 수 있게 하는 것이 좋을 것이다. 2) 상법 제462조의3 제1항의 문언상 중간배당의 방법으로 주식배당이 허용되는지는 명확하지 않다. 상법 제462조의3(중간배당)을 보면, 주식으로 중간배당을 하면 안된다는 내용이 없다. 그리고 상법 제462조의2(주식배당)을 보면, 주식배당을 영업연도 중에 하면 안된다는 내용이 없다. 따라서 문언상으로 볼 때, 주식으로 중간배당을 할 수 있다고 본다. 중간배당을 주식으로 하는 경우에, 상법 제462조의3(중간배당)은 일반규정이고, 상법 제462조의2(주식배당)는 특별규정으로서, 상법 제462조의3과 제462조의2가 중복될 때는 제462조의2가 적용되어야 될 것이다. 따라서 영업연도 중에 주식배당을 하려는 주식회사는 상법 제462조의2 제1항 본문에 따라, 주주총회의 결의로 할 수 있게 하여야 될 것이다. 3) 상법 제462조의3 제2항은 ‘직전 결산기의 대통령령으로 정하는 미실현이익’을 공제한 액을 한도로 중간배당을 할 수 있게 하여야 될 것이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