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문화다양성 역량 증진을 위한 사회과 교수학습 방안

        장의선,이소연 한국사회교과교육학회 2017 사회과교육연구 Vol.24 No.4

        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vide a basis for contributing to the practice of global citizen education by suggesting teaching-learning strategies of social studies for improving cultural diversity competence. Based on UNESCO's ‘Universal Declaration on Cultural Diversity', the concept of cultural diversity and cultural diversity competence was defined. And ‘Deardoff's principle’ and ‘Bennett's 4 steps’ were used to prepare strategies. The features of strategies are as follows. First, this considers the holistic development of students. Second, it presents all processes that improve competence and features at each stage. Third, it makes possible to use only some steps, thus enhancing the applicability of the field. The teaching and learning programs that are applied the strategy as follows. One is designed in a way to discover various cultures around the world, accept cultural differences and finally internalize the value of cultural diversity. The other is designed to understand the value of biodiversity in ecosystem and appreciate the positive value of diversity by learning the value of cultural difference on the basis of biodiversity. 본 연구는 문화다양성 역량 증진을 위한 사회과 교수학습 방안을 제시함으로써 세계시민교육 실천에 기여할 수 있는 기반을 마련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유네스코의 ‘문화다양성 선언’에 기초하여 문화다양성과 문화다양성 역량의 개념을 규정하였으며, ‘Deardoff의 문화다양성 역량 증진의 원리’와 ‘Bennett의 문화다양성 역량 개발을 위한 4단계’에 근거하여 문화다양성 역량 증진을 위한 사회과 교수학습 방안을 탐색하였다. 교수학습 방안의 특징은 다음과 같다. 첫째, 학생의 전인적 발달을 고려하였다. 둘째, 문화다양성 역량이 증진되는 전 과정과 각 단계별 특징을 함께 파악할 수 있도록 하였다. 셋째, 4단계 중 일부 단계만으로도 활용할 수 있도록 하여 현장적용 가능성을 높였다. 방안을 적용한 수업 사례는 각각 세계의 다양한 문화를 인식하고 문화간 차이를 수용하며 문화다양성의 가치를 내면화할 수 있는 내용과 생태계에서 생물다양성이 갖는 의의를 이해하고 이를 바탕으로 문화다양성의 의미와 가치를 학습함으로써 다양성이 갖는 긍정적 가치를 인식하는 내용으로 개발되었다.

      • KCI등재후보

        산업 및 직종의 상호연관적 다양성과 비연관적 다양성이 지역의 경제성장에 미치는 영향

        송창현(Changhyun Song),김찬용(Chanyong Kim),임업(Up Lim) 한국지역학회 2019 지역연구 Vol.35 No.2

        본 연구의 목적은 산업 및 직종의 상호연관적 다양성과 비연관적 다양성이 지역의 경제성장에 미치는 영향을 실증적으로 분석하는 데에 있다. 지역경제성장의 메커니즘을 다룬 최근의 연구들은 산업을 넘어 직종의 상호연관적 다양성과 비연관적 다양성이 지식외부효과를 유발함으로써 지역경제성장의 동력으로 작용한다고 주장한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산업다양성과 함께 직종다양성의 영향을 포괄적으로 분석하였다. 실증분석을 위해서는 전국사업체조사와 인구주택총조사 자료를 사용하였으며 지역노동시장권을 분석의 공간적 단위로 설정하였다. 종속변수는 2010년부터 2015년 사이의 지역별 지역내총생산 및 고용 성장으로 설정하였으며 핵심 설명변수인 산업 및 직종의 상호연관적 다양성과 비연관적 다양성은 엔트로피 접근법에 기초하여 측정하였다. 분석결과에 따르면, 산업의 상호연관적 다양성은 지역의 1인당 지역내총생산 성장에, 직종의 상호연관적 다양성은 지역의 고용 성장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산업의 비연관적 다양성은 지역의 고용 성장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산업 및 직종 부문의 다양성을 상호연관적 다양성과 비연관적 다양성으로 세분하여 지역경제성장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함으로써 지역의 경제적 활력 강화를 목적으로 하는 지역 단위의 정책의제에 대한 시사점을 이끌어내고자 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empirically analyze the effects of related and unrelated varieties of industry and occupation on regional economic growth. Recent studies dealing with the mechanism of economic growth argue that occupation as well as industry act as the driving force of regional economic growth by inducing knowledge externalities. Therefore, this study comprehensively analyzed the effects of occupational diversity along with industrial diversity. For the empirical analysis, we set the regional labor market areas as the spatial units of analysis. Dependent variables include regional per capita GRDP and employment growth between 2010 and 2015, and related and unrelated variety of industry and occupations measured based on the entropy approach are used as key explanatory variables. Our empirical results show that the related variety of industry has a positive effect on per capita GRDP in the region, and the related variety of occupation has a positive effect on regional employment growth. On the other hand, the unrelated variety of industries shows a negative correlation with regional employment growth. Based on the empirical results, this paper provides regional policy implications for strengthening economic vitality by dividing the diversity of industry and occupation into related and unrelated varieties and analyzing how they affect regional economic growth.

      • 생태정보학적 생물다양성 평가 기술 개발

        이후승,사공희,주용준,정슬기 한국환경정책평가연구원 2019 기본연구보고서 Vol.2019 No.-

        Ⅰ. 연구의 배경 및 목적 1. 연구의 배경 □ 정책현안 및 연구의 필요성 ㅇ 경제개발에 따른 인구의 도시집중화는 야생생물 서식지 파편화를 통해 생물다양성의 지속적인 감소를 초래하고 있으며, 국토면적에 비해 다양한 개발사업이 증가하고 있는 우리나라는 생물다양성의 감소가 더욱 심화될 것으로 전망 ㅇ 생물다양성협약(CBD) 의제 중 영향평가(impact assessment)에 대한 우리나라의 이행 정도는 협약 권고사항과 차이가 있음 - 현재 환경정책 및 환경영향평가 등에서 생물 종 수 및 개체 수 위주의 평가는 생물다양성에서 다루어야 할 종 다양성, 유전적 다양성, 생태계 다양성 미반영 ㅇ 우리나라는 국가생물다양성전략 및 환경영향평가 등에서 기초적인 수준의 생물다양성 평가를 수행할 뿐, 융·복합적 평가기법 및 정책의 이행체계가 미흡 - 생물자원의 분포 및 개체군 변동 등의 국제적인 기준에 부합되는 자연자원에 대한 인벤토리와 데이터베이스 구축 및 지표개발 미흡 - 환경영향평가 등에서 생물현황 기초자료의 부족, 합리적인 생태계 평가기법의 부재, 생물 종 및 서식지 보전을 위한 추진체계 정립 미흡 등의 한계 - 생물다양성 평가를 위한 생태·자연도 도입 및 생물상 조사항목 개선에도 불구하고 기초적인 출현 종 목록 및 산술적 다양성 지수 결과를 제시하므로 서식지 및 유전자원 등의 생태계 건강성 악화 및 개발로 인한 훼손 파악이 미흡 - 특히 법정보호종에 대한 환경영향평가는 획일적인 영향 예측이나 저감방안 제시로 지역여건이나 생물 종의 생태적 특성이 미반영 ㅇ 생물다양성 관련 정책 및 환경영향평가 등의 효율적인 운용과 생태계 지속가능성 평가의 선진화를 유도하기 위한 생태·유전정보 기반의 융·복합적 생물다양성 평가방법 개발 및 정책·제도 개선이 필요한 시점 2. 연구의 목적 □ 생물다양성 평가 현황 및 문제점 분석 ㅇ 국내 생물자원에 대한 유전정보학적 계통분류 연구 현황과 국내외 생물 종 유전정보 협력지원 체계 분석 및 생물다양성 항목 작성 실태 그리고 융·복합적 평가체계를 고려한 개선방안 도출 ㅇ 대기질, 소음진동 등 생활환경 항목에 비해 정량적 평가기법의 개선이 늦은 생물다양성 평가기법을 개선하기 위한 서식지 현황 및 생활사 등을 고려한 개선방안 분석 ㅇ 법정보호종뿐만 아니라 서식이 확인된 생물 종에 대한 다양성 분석을 통한 평가 가능성 확대방안 모색 □ 생태정보학적 기법을 기반으로 한 생물다양성 평가기법 마련 ㅇ 생물유전정보를 이용한 계통적 다양성 기반의 융·복합적 생물다양성 평가방법 개발 ㅇ 생태정보학적 기법 소개를 통해 현재의 생물다양성 평가기법과 생태정보학적 기법의 차이점을 비교하여 생물다양성 평가에 생태정보학적 기법의 활용방안을 제시 ㅇ 한강권역 조류 현황자료를 이용하여 시범분석을 실시하고 생태정보학적 생물다양성 평가기법의 활용 방향을 제시 ㅇ 생물다양성 관련 정책 및 환경영향평가 등에서의 생태정보학적 생물다양성 평가기법의 활용 방향과 ICT 기반 환경영향평가를 위한 생물다양성 평가 로드맵을 도출 Ⅱ. 생태정보학적 생물다양성 평가를 위한 방법론적 현황 □ 환경부 및 농림축산식품부 등에서 생물자원에 대한 유전자원의 지속적 확보 추진 ㅇ 국립생물자원관에서 ’08~’20년까지 계통수 작성 사업 추진 중 - 민간(대학 및 연구소)에서의 생물자원 현황은 집계되지 못하고 있음 □ 유전자원의 이용과 보전에 대한 국제 규정 및 정보 공유 체계 ㅇ 2010년 일본 나고야에서 ‘유전자원 접근 및 이익 공유(ABS)에 대한 나고야 의정서’ 채택 - 1992년 생물다양성협약(CBD) 채택 후, 생물유전자원을 포함한 자국의 생물자원에 대한 주권적 권리 인정 ㅇ 미국 국립생물공학정보센터(NCBI), 유럽 생물정보학연구소(EBI) 및 일본 DNA 데이터 은행(DDBJ)에서는 유전정보를 등록하고 공유하는 체계를 구축 - 유전자 염기서열 정보 규제와 관련된 공유범위 확대 및 규제 해제 등 국제적 논쟁이 지속되고 있음 - 본 연구에서는 신약개발 및 생물복제 등에 활용되는 모든 유전자 정보가 아닌 생물종 동정 및 생물다양성 평가를 위한 유전자 염기서열 정보만을 다룸 □ 생활사 특성을 고려한 생물다양성 평가체계 도입 필요 ㅇ 환경변화에 민감한 개체수준에서의 영향에 따른 개체군 규모에서의 차이가 생물다양성 평가결과에 반영될 수 있는 평가체계 도입 - 취식, 확산, 이주 등 시·공간적으로 다양한 생활사는 생물다양성을 결정하는 데 중요한 요소로 작용할 수 있기 때문에 생물다양성 평가를 위한 계획 수립 단계에서부터 긴밀하게 고려되어야 함 □ 생물상 조사의 한계성 및 평가의 제한성 ㅇ 전국자연환경조사 등 현재의 생물상 조사방법은 종 수 중심의 조사로 수립되어 생물자원의 현황파악이라는 목적에는 부합하나 정책적 활용을 위한 생물다양성 및 종 다양성 등의 지표화를 하기에 미흡 - 조류, 어류 등 일부 분류군에서는 개체 수도 함께 조사되어 다양성 분석이 가능하나 나머지 분류군은 종 수 중심으로 조사되고 있음 - 생물자원조사의 기본 지침이 될 수 있는 전국자연환경조사의 경우 현재 제5차까지 진행되어 오는 동안 조사 시기 및 방법 등이 바뀌고 있어 시계열적 생물다양성 평가의 한계를 초래함 ㅇ 전국적인 현황조사를 실시하는 데 분류군별 공간적 범위의 제한성으로 인한 통합적 다양성 분석의 한계 노출 - 전국자연환경조사의 경우 육상과 수계의 공간적 조사범위가 상이하여 생물다양성 평가를 통한 현황 및 변화 등을 분석하는 데 한계가 드러남 - 생물다양성 평가에서 종 다양성, 종 풍부도 등 평가 방법과 결과의 활용성이 다름에도 불구하고 혼용하여 사용함으로써 정책적 혼란을 초래할 가능성이 있음 □ 생물다양성 평가체계를 고려한 개선방안 시급 ㅇ 생물다양성 평가의 다양한 지표의 활용방안 - 현재 국내에서 사용하는 생물다양성 평가지표는 대부분 종 수와 개체 수 등을 모두 요구하는 지표인바 평가가 제한적으로 실시됨 - 개체 수가 조사되지 않더라도 생물다양성을 평가할 수 있는 다양한 평가기법을 생물다양성 평가에 도입하는 것이 필요함 ㅇ 서식지의 기능적 특성 반영 - 종 수 개념의 생물다양성 분석은 서식지의 기능적 특성을 고려하여 분석스케일에 따라 달라질 수 있으므로 조사지역의 세분화 또는 자료 분석 시 서식역의 환경적 특성을 고려한 생물다양성 분석을 실시하도록 개선이 필요함 - 서식지 면적의 크기와 생물다양성은 비례하지 않으므로 적정 면적에서의 조사 또는 다양성 분석을 실시하도록 개선이 필요함 ㅇ 공간적 범위의 조정 개선 필요 - 생물다양성 평가가 요구되는 공간과 주변지역간의 관계 등을 평가하기 위한 공간적 범위를 평가에 활용하는 방안이 필요함 - 환경영향평가의 경우 사업대상지와 주변지역 및 사업 전 및 사업 후의 생물다양성 차이를 분석하기 위한 공간적 범위의 적정성 평가가 필요함 Ⅲ. 생태정보학적 생물다양성 평가 기술 개발 □ 생태정보학은 유전자 정보, 생물 시스템 각 계층 간의 정보 및 생태계 구성 기전에서의 거시적 보전을 위한 연구 ㅇ 전산-수리적 방법을 통한 생물 시스템(분자-세포-개체-개체군-군집-생태)의 정보를 유기적으로 종합분석하고 환경적 스트레스 및 교란의 해결을 통해 생태계 안정성 유지를 위한 생태 자료의 종합적 기법 구현을 연구함 ㅇ 생태정보학적 생물다양성 평가기법은 추가적인 조사 등의 변경보다는 현 체제의 보완 및 분석의 다양화를 통한 평가기법의 고도화를 목적으로 함 □ 계통분류도를 이용한 생물다양성 평가 ㅇ 계통분류도에서 종과 종 사이의 계통적 거리(phylogenetic distance)는 종간의 차이 또는 진화적 차원에서의 시간차이를 의미 - 종간의 진화적 및 분류학적 거리가 가까우면 근연종(allied species)이라 할 수 있음 ㅇ 생태정보학적 생물다양성, 즉 계통적 다양성(PD: phylogenetic diversity)은 계통 도상 종간의 모든 간선의 길이의 합으로 계산됨 - PD값이 클수록 계통도상 거리가 먼 종들이 조사지역에서 서식하고 있음을 의미하며, PD값이 작을수록 계통도상 거리가 가까운 종들이 서식하고 있음을 의미 - 계통도상 거리가 가까운 종들은 생태적으로 선호하는 먹이, 서식환경 및 생활사 등이 유사하지만 거리가 먼 종들은 이러한 특성이 상이한 종들이라 할 수 있음 ㅇ 생물다양성 평가에서 우선적으로 고려해야 할 사항은 종의 차이점을 어떻게 측정할 수 있는가에 있음 - 산술적 평가방법에서는 조사지역에서 서식이 확인된 종 수와 개체 수를 이용하여 공간대비 적정한 다양성이 존재하는지를 분석하는 것이 주된 목적 - 생태정보학적 생물다양성 평가에서는 종들의 차이점, 즉 서식지(조사지역)에 속한 종의 생태 및 생활사적 차이(예: 선호하는 먹이, 서식환경 등) 등 생태적 지위에 차이가 있는지를 판단하는 것이 목적 Ⅳ. 사례분석: 한강권역 조류의 생물다양성 평가 □ 한강권역의 환경적 특성에 부합하는 고도화된 생물다양성 평가결과 도출 ㅇ 한강권역 조사지역별 조류군집의 계통학적 생물다양성은 상류역에서 하류역으로 갈수록 증가 - 성산대교~행주대교 조사지역 이후부터 급격히 증가함 - 한강 지류도 공간적으로 하류역에 속하는 안양천과 오두산전망대~장남교에서의 다양성이 높음 - 계통분류상 서로 유사한 종들이 상류역에 많이 분포하나 하류역으로 갈수록 생활사적 특성에 차이가 나는 종들이 많음을 의미함 ㅇ 조사지역간 생물다양성의 차이는 생태정보학적 생물다양성 평가방법이 좀 더 명확하게 구분하여 제시 - 생태정보학적 생물다양성 평가결과는 성산대교~행주대교 조사지역 이후부터 급격히 증가함 □ 광역적 측면에서의 생물다양성 현황을 분석 ㅇ 공간적 스케일의 차이에 따른 광역적 측면에서의 생물다양성 평가결과 비교 - 한강권역에서 서식하는 조류 현황을 국가생물종목록과 비교하였을 경우, 종 수의 비율은 약 16.1%이나 산술적인 비교인바 다양성 측면의 의미는 도출하기 어려움 - 반면 생태정보학적 생물다양성 평가는 한강권역이 약 40.3%의 생물다양성 가치를 지니고 있는 것으로 해석할 수 있음 ㅇ 생태정보학적 생물다양성 평가방법은 한강권역 조사지역간 생물다양성의 높은 상관관계를 분석 가능 - 공간적으로 서로 연계된 지역에서의 생물다양성 분석을 통해 서식 생물상의 생태적 지위 및 생활사적 특성의 유사성을 분석할 수 있음 - 생태정보학적 생물다양성 결과가 종 다양성에 비해 정밀한 분석이 가능함을 의미함 Ⅴ. 생물다양성 평가 기술 활용 방향 □ 생태정보학적 평가 기술을 활용한 환경정책의 우순선위 결정지원 ㅇ 산술적인 종 다양성 평가방법과 달리 생태정보학적 생물다양성 평가 기술은 종의 현황과 생태적 특성 등을 반영하는바 정책적 우선순위 결정에 활용 가능 ㅇ 생태정보학적 생물다양성 평가방법을 활용한 생물다양성 평가매트릭스(안) 체계 구축 필요 - 산술적인 현황을 나타내는 종 풍부도와 생태정보학적 생물다양성 평가결과를 이용한 조사지역(또는 사업지역)에 대한 생물다양성 평가체계 개발 가능 □ 차세대 환경영향평가 기반 마련을 위한 생물다양성 평가 로드맵 구축 ㅇ ICT 기반 환경영향평가 기술 개발은 빅데이터, AI 및 공간·시각화 기술 기반의 환경영향평가 기술을 개발하는 것으로 생태정보학적 생물다양성 평가 기술의 활용을 위한 로드맵 제시 - 제1단계: 생태정보학적 생물다양성 평가 기술 개발(2019-2020) - 제2단계: 생물다양성 평가기법 도입을 위한 제도 기반 검토 - 제3단계: 생물다양성 평가결과 도출 및 검토 알고리즘 구축 Ⅵ. 결론 및 학술적 성과 □ 생물다양성 평가 및 정책적 활용에서 한계성을 극복하고 국가 생물다양성 현황 및 환경영향평가 등에서의 올바른 생물다양성 평가를 위한 생태정보학적 생물다양성 평가 기술 개발 ㅇ 산술적인 생물다양성 평가방법의 한계성과 제한성 보완의 시급함 인식 및 자연환경조사 등의 방법론적 개선 방향 도출 ㅇ 계통적 생물다양성 평가기법을 이용한 생태정보학적 생물다양성 평가를 한강권역 조류자료를 이용하여 분석 - 산술적 생물다양성 결과에 비해 한강권역에서의 공간적 및 시간적 차이점을 명확하게 제시할 수 있음 - 국가 대비 한강권역 및 한강전체 대비 조사지역별 조류다양성의 현황 분석결과를 제시함 ㅇ 생물다양성 관련 환경정책의 우선순위 결정과 생물다양성 평가매트릭스를 이용한 등급화에 따른 정책지원 등 활용 방향 제시 ㅇ ICT 기반의 차세대 환경영향평가 토대 마련을 위한 로드맵 제시 □ 생태유전학적 생물다양성 평가기법의 도입과 계통적 다양성의 국내 첫 사례연구 결과 제시 ㅇ 종의 유전정보를 이용한 국내 조류 종에 대한 계통도 제시 ※ 유전적 정보를 이용한 조류계통도에 대한 국립생물자원관과의 추가적인 협력 연구의 필요성 도출 ㅇ 분자계통학적 관계를 이용한 생물다양성 평가기법의 활용연구 도출 ㅇ 군집생태학 연구에서 생태유전학적 기법의 활용 및 융합적 분석방법 제시 ㅇ 분석방법의 활용을 위한 R 분석코드 제공 Ⅰ. Background and Aims of Research 1. Research background □ Policy issues and research aims ㅇ The urban concentration of the population due to economic development is causing a continued decline in biodiversity through fragmentation of wildlife habitats, and Korea, which has a large number of development projects ongoing relative to its land area, is expected to see a further decline in biodiversity. ㅇ Impact assessment on Korea’s implementation of the agenda of the Convention on Biological Diversity (CBD) differs from the recommendations of the Convention. - Assessments focusing on the number of species and population in current environmental policies and the Environmental Impact Assessment (EIA) do not reflect the diversity of species, genetic or ecological diversity to be addressed in biodiversity. ㅇ Korea is only conducting basic-level biodiversity assessments in the national strategy for biodiversity and EIA, and it has a poor implementation system of convergence assessment methods and policies. - Poor inventory, database, and indicators of natural resources meeting international standards, such as distribution of biological resources and variation of population - Limitations including a lack of basic biological data, a lack of rational ecological evaluation techniques and the lack of an implementation system for conservation of species and habitats, etc. - Despite the introduction of ecology and nature for biodiversity evaluation and improvements to biological survey items, the basic list of species that appear and the results of the arithmetic diversity index alone do not identify damage caused by habitat and genetic resources. - EIAs on the legally protected species do not reflect the ecological characteristics of local environmental conditions or species by predicting uniform effects or suggesting measures to reduce them. ㅇ It is now necessary to develop eco-information methods and improve policies and systems in order to encourage the efficient operation of biodiversity-related policies and environmental impact assessments and advance assessment for sustainability in ecosystem. 2. The aims of research □ Analysis of current status and problems with biodiversity evaluation ㅇ Derived improvement measures considering the current status of the classification of genetic information on domestic biological resources, the cooperative support system for domestic and international biological species, the status of the preparation of biodiversity items, and the integrated evaluation system ㅇ Analyzed improvement measures that take habitat status and life history into consideration so as to improve biodiversity assessment techniques which improve rather slowly compared to those of living environment such as air quality and noise vibration ㅇ Sought ways to expand the possibility of assessment by analyzing the diversity of species whose inhabitation has been confirmed as well as legally protected species □ Preparing a biodiversity evaluation method based on ecological information technology ㅇ Development of a integrated biodiversity assessment method based on systematic diversity using molecular ecological information ㅇ Comparing the difference between the current biodiversity evaluation methods and ecological information technology through the introduction of ecological information technology, a method of utilizing ecological information technology in the biodiversity evaluation was proposed ㅇ Conducted a pilot analysis using the current status data of birds in the Han River area and presented the usability of ecological information biodiversity evaluation techniques ㅇ Deduced directions for utilizing ecological information biodiversity evaluation techniques in policies related to biodiversity and environmental impact assessment and a roadmap for assessing biodiversity based on ICT Ⅱ. Methodological Status for Evaluation of Ecological Biodiversity □ The Ministry of Environment, the Ministry of Agriculture, Food and Rural Affairs, and other agencies are pushing for continuous securing of genetic resources for biological resources ㅇ The National Institute of Biological Resources is working on a project to count the number of trees between 2008 and 2020. - The status of biological resources held by private actors (universities and research institutes) is not tallied. □ International regulation and information sharing system on the utilization and conservation of genetic resources ㅇ Adopting the Nagoya Protocol for Access to Genetic Resource and Benefit Sharing in Nagoya, Japan in 2010 - Recognizing the sovereign right to biological resources in the country, including bio-genetic sources, after the adoption of the Convention on Biological Diversity (CBD) in 1992 ㅇ The National Center for Biological Engineering Information (NCBI), the EBI in Europe, and the DDBJ in Japan have established a system to register and share genetic information. - The international debate continues, including the expansion and lifting of a shared scope related to the regulation of gene sequencing information. - In this study, the basic gene sequence information for biota identification and biodiversity evaluation is not all genetic information used for developing new drugs or cloning. □ Necessity to introduce a Biodiversity Evaluation System considering the characteristics of life history ㅇ Introduction of an evaluation system in which differences in population size are reflected in biodiversity evaluation results according to the impact on the level of objects sensitive to environmental changes - It is necessary to take life history into account from the planning stage in biodiversity assessment since various traits of life history in time and space, such as food, proliferation, and migration, can play an important role in determining biodiversity. □ Limitation of biota investigations and evaluations ㅇ Current methods of biological research, such as the nationwide natural environment survey, were established to focus on the number of species, meeting the purpose of biodiversity destruction, but are insufficient to provide indicators of biodiversity and species diversity for policy utilization - In some classifications, such as birds and fish, the number of individuals can also be investigated and analyzed for diversity, but the remaining classifications are based on the number of species. - In the case of a nationwide natural environment survey, which may be a basic guideline for bioresource surveys, the timing and methods of the survey are changing during the current 5th phase, leading to limitation of a time-series biodiversity assessment. ㅇ Limitation of integrated diversity analysis due to the limited spatial extent of each classification group in conducting a nationwide survey - In the case of a nationwide natural environment survey, the spatial extent of the land and water systems is different, revealing limitations in analyzing the current situation and changes through biodiversity assessment. - There is a possibility of policy confusion in biodiversity evaluation by mixing and using different methods and results, including species diversity and species abundance. □ Urgent improvement measures that take the biodiversity evaluation system into consideration ㅇ Utilization of various indicators in biodiversity evaluation - Currently, biodiversity evaluation indexes used in Korea are conducted in a limited way, which requires both the number of species and the number of individuals. - It is necessary to introduce a variety of assessment techniques to assess biodiversity even if the populations are not investigated. ㅇ Reflection of the functional characteristics of the habitat - Since biodiversity analysis of species concepts can vary according to the scale of the analysis considering the functional characteristics of a habitat, it is necessary to improve biodiversity analysis by taking into consideration the environmental characteristics of a habitat in data analysis and/or in subdivisions of survey areas. - The size and biodiversity of habitat areas are not proportional and therefore need to be improved to conduct an investigation or diversity analysis in the appropriate area. ㅇ Necessity of improving the adjustment of the spatial extent - It is necessary to utilize the spatial extent to evaluate the relationship between space required for biodiversity evaluation and the surrounding area. - Environmental impact assessment requires a proper assessment of the spatial extent to analyze the differences between the project target site and the surrounding area and biodiversity before and after the project. Ⅲ. Development of the Evaluation Technology for Ecological Biodiversity □ Ecoinformatics tracks information within and between each layer of a life system, including genetic information, and studies the macro-preservation of an ecosystem's construction or life system. ㅇ It organically analyzes the information of each layer of a life system (molecular-cell-object group-group-ecosystem) through a computerized-physical method and implements techniques for classification, prediction, environmental-biological causal identification and diagnostic management of ecological data for solving environmental disturbances and stress problems or managing the stability of the ecosystem ㅇ The purpose of the evaluation method is to improve the existing method by supplementing the current system and diversifying the analysis rather than making additional changes to the ecological biodiversity evaluation method. □ Evaluation of Biodiversity by Using Phylogenetic tree ㅇ In schematic classifications, the phylogenetic distance between species refers to the difference between species or the time difference in evolutionary dimensions. - If the evolutionary and taxonomic distance between species is close, it can be termed an “alied sphere” ㅇ Ecological biodiversity, i.e. phylogenetic diversity (PD), is calculated as the sum of the length of all the trunk lines between species on the system chart ※ B refers to the number of lines in the schematic diagram, L<sub>i</sub> refers to the length of i, and A<sub>i</sub> refers to the average abundance level of the species that share the main line i (irrespective of the measurement unit) - A higher PD value indicates that species that are far from each other in the schematic diagram live in the survey area, and a smaller PD value indicates that species that are close to each other in the schematic diagram live in the survey area. - Species that are close to each other in the system are similar in their ecological preference for food and habitat and have a similar life span, but those that are far from each other in the system are different in their characteristics. ㅇ The first consideration in a biodiversity assessment is how to measure differences in species. - The main purpose of the arithmetic evaluation method is to analyze the existence of adequate diversity in space by using the number and number of species whose forms have been identified in the survey area. - The purpose of the ecological biodiversity assessment is to determine if there are differences in species, i.e. differences in ecological and life history (e.g. preferred food, habitat, etc.) among species in the habitat (research area). Ⅳ. Case Study: Evaluation of Biodiversity in the Han River Area □ Extracting the results of an advanced biodiversity assessment in accordance with the environmental characteristics of the Han River area ㅇ The systematic biodiversity of bird colonies by research site within the the Han River area increases from upstream to downstream station. - The number has increased rapidly from the Seongsan Bridge to the Haengju Bridge survey area. - There is a high diversity in the Anyangcheon Stream and Odusan Observatory areas, which are also on the lower part of the Han River. Many similar species are distributed in the upper and lower areas according to the system classification, but this means that more and more species have different characteristics in their life history. ㅇ Differences in biodiversity between survey areas are more clearly presented by the methods of evaluating ecological information biodiversity. - The results of ecological information biodiversity evaluation have increased rapidly from the Seongsan Bridge to Haengju Bridge survey area. □ Analysis of biodiversity in a wide area ㅇ Comparison of biodiversity results from a wide area perspective according to differences in spatial scale - If the state of algae living in the Han River area is compared with the national biological list, it is difficult to derive the meaning of diversity since the proportion of species is about 16.1 percent. - On the other hand, ecological information and biodiversity evaluation can be interpreted as having a biological diversity value of 40.3 percent in the Han River area. ㅇ High correlation of biodiversity between areas surveyed in the Han River area - The similarity between the ecological status and the life history characteristics of habitats can be analyzed through the analysis of biodiversity in spatially interconnected areas. - Ecological biodiversity results indicate that an accurate analysis is possible compared to the species diversity. Ⅴ. Directions for the Use of Biodiversity □ Support for decision making priorities in environmental policy using ecological evaluation technology ㅇ Unlike the arithmetic species diversity evaluation method, ecological information biodiversity evaluation technology can be used to determine policy priorities as it reflects the status of species and ecological characteristics. ㅇ Need to establish a bio-diversity evaluation matrix using the ecological information biodiversity evaluation method - Biodiversity evaluation system for survey areas (or business areas) can be developed using the results of the species abundance and ecological information biodiversity assessment showing the arithmetic situation □ Building a roadmap for biodiversity assessment to establish the foundation for the next generation environmental impact assessment ㅇ Developing ICT-based environmental impact assessment technology is to develop environment impact assessment technology based on big data, AI, and spatialization and visualization technology, which can suggest a roadmap for utilizing ecological information biodiversity evaluation technology. - Stage 1: Developing the Ecological Biological Diversity Assessment Technology (2019-2020) - Step 2: Reviewing the institutional basis for introducing biodiversity assessment techniques - Step 3: Deriving implications of biodiversity evaluation and building algorithms for review Ⅵ. Conclusion and Achievements □ Development of Ecological Biological Diversity Assessment Technology to overcome the limitations in the evaluation of biodiversity and its uses in policy, and to correctly assess biodiversity in its current state of national biodiversity and environmental impact assessment ㅇ Derived directions for methodological improvement, such as how to quickly supplement the limitations of the statistical biodiversity assessment methods and natural environment surveys ㅇ Analyzed ecological biodiversity evaluation results using systematic biodiversity evaluation techniques based on bird data from the Han River area - Spatial and temporal differences in the Han River area can be clearly presented compared to the results of the statistical biodiversity. - Status analysis results of bird diversity in the Han River area relative to that of the country and bird diversity by survey site relative to that of the entire Han River area are presented. ㅇ Prioritization of Environmental Policy Related to Biodiversity and Policy Support Based on Biodiversity Evaluation Matrix ㅇ Proposed a Roadmap for an Environmental Impact Assessment for the next generation based on ICT □ Introduction of the Ecological Biological Diversity Evaluation Technique and suggestions based on the results of Korea's first case study of systematic diversity ㅇ Presented the systematic diagram of domestic bird species using the genetic information of species ※ Derived the necessity of collaboration with the National Institute of Biological Resources on the bird system using genetic information ㅇ Derived research on the application of the biodiversity evaluation method using molecular systematic relationship ㅇ Proposed an ecological application and convergence analysis method in the field of community ecology research ㅇ Provided the R analysis code for utilizing analysis method

      • KCI등재

        문화다양성법에 대한 입법평가 – 헌법상 문화국가원리 실현과 문화다양성 보호 –

        최경호 한국헌법학회 2023 憲法學硏究 Vol.29 No.3

        문화다양성은 우리의 삶에 어떠한 기여를 할 것인가? 문화다양성이 보호되고 증진되는 사회와 그렇지 못한 사회는 어떠한 차이가 있는 것인가? 「문화다양성의 보호와 증진에 관한 법률」은 입법이후 문화다양성의 보호와 증진에 어떠한 역할을 하고 있고 이를 어떻게 평가할 수 있는가가 본 논문의 연구대상이다. 본 논문에서는 문화다양성법에 관한 사후적 입법평가를 통하여, 우리사회의 문화다양성의 현재를 확인해보고 문화다양성 보호와 증진을 위한 방향성을 제시하였다. 문화다양성법에 대한 본격적인 논의에 앞서 문화다양성의 개념과 헌법상 문화국가의 원리와 문화다양성과의 관계에 대해 검토해보았다. 문화다양성보호법 제정과 시행은 우리나라에서 실질적인 문화다양성보호와 증진에 중요한 기초가 되어야 한다. 문화다양성법은 문화다양성보호와 증진을 통하여 사회 및 집단 간 및 구성원 간에 발생할 수 있는 문화적 충돌을 줄이며 문화적 가치들을 조율할 수 있고, 나아가 개인의 창의성과 자율성 보장을 기반으로 창의적 문화발전에 이바지할 수 있는 법제도적 장치여야 한다. 문화다양성법은 사회구성원들의 가치를 한 가지 방향으로 가게 하는 용광로와 같은 획일적 사회통합이 아니라, 개인이 가지는 다양성이 보호되고 증진될 수 있도록 우리사회를 유도하는데 사용될 수 있는 중요한 도구 중에 하나여야 한다. 아울러, 문화다양성법에 의해 추진될 수 있는 문화다양성은 문화자체가 오랜 기간을 통해 쌓여가는 것처럼 짧은 기간의 성과도 중요하지만 중・장기적 관점에서 보호와 증진의 방향성에 대해 검토할 필요가 있다. 문화다양성 사업의 방향성은 상향식 접근과 하향식 접근 모두 가치가 있고, 적절한 균형이 필요한데, 문화다양성 사업의 경우 상향식 접근이 부족하다는 평가가 있다. 이주민모임, 지방자치단체, 풀뿌리단체, 문화예술단체 간의 문화예술 네트워크를 구축 및 활성화로 문화다양성 확산시키는 모델 등 아래로부터의 문화다양성 확산에 대한 다양한 시도를 늘려가고 국가의 문화다양성 정책은 이러한 방향성을 지원해줄 수 있어야 한다. How does cultural diversity contribute to our lives? What is the difference between a society where cultural diversity is protected and promoted and a society that is not? The subject of this paper is how the Act on the Protection and Promotion of Cultural Diversity plays a role in the protection and promotion of cultural diversity after legislation and how it can be evaluated. The enactment and enforcement of the Cultural Diversity Protection Act should be an important basis for practical cultural diversity protection and promotion in Korea. The Cultural Diversity Act is evaluated as an important law that can operate as a stabilizer in our society. The Cultural Diversity Act should be a legal and institutional device that can reduce cultural conflicts between members of society and groups, coordinate cultural values, and contribute to creative cultural development based on individual creativity and autonomy. Various national policies that can be implemented under the Cultural Diversity Act should help protect and promote practical aspects of cultural diversity. The direction of the cultural diversity project is also important. Both bottom-up and top-down approaches are valuable and need an appropriate balance. Various attempts should be made to spread cultural diversity from below, such as a model to spread cultural diversity by establishing and revitalizing cultural and artistic networks among migrant groups, local governments, grassroots organizations, and culture and arts organizations.

      • KCI등재

        다양성의 역설 관점에서 살펴본 다양성정책과 관리

        허영식 한독사회과학회 2017 한독사회과학논총 Vol.27 No.2

        이 글의 목적은 다양성정책과 다양성관리에서 관찰할 수 있는 다양성의 역설 혹은 변증법적 긴장관계를 몇 가지 행위영역의 사례를 통해 살펴보는 데 놓여 있다. 본고에서 강조할 사항은 다음과 같이 진술할 수 있다. 첫째, 다문화시민성의 개념은 그동안 지나치게 많이 국가에 지향을 두고 있었지만, 다양성정책은 이제 ‘다양성 거버넌스’라는 의미에서 국가수준과 비정부수준의 상호관계를 적절하게 파악해야 한다는 과제를 안고 있다. 둘째, 다양성정책을 여러 가지 서로 다른 정책영역과 관련하여 주제로 삼아야 하며, 정책과 조치의 서로 다른 개념과 접근방안(국가와 정부의 공공정책, 국가기관과 비정부기구의 협치, 자기관리)을 고려할 필요가 있고, 이러한 요청사항의 중요성은 노동시장과 국적의 정책영역에서 거론한 차이이론의 역설과 국적의 역설에서 확인할 수 있다. 셋째, 다양성교육이 안고 있는 다양성의 역설에서 도출할 수 있는 귀결은 서로 모순되거나 긴장관계에 놓여 있는 목표를 추구할 수밖에 없다는 것, 즉 자유에 대한 지향을 성취에 대한 지향과 적절하게 결합해야 한다는 것이다. 넷째, 민족마케팅의 행위영역에서 살펴본 다양성의 역설에서 도출할 수 있는 사항은 후생·복지의 측면에서 민족마케팅을 기존의 전통적인 표적집단 대상 마케팅의 관점에서만 관찰할 것이 아니라 더 나아가서 사회적 마케팅의 관점에서 관찰하는 일이 요청된다는 점이다.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share the findings of a study that focused on the research trend on the paradox of diversity in diversity policy and diversity management in Germany and its implications. To achieve the aim, this article identifies following themes: paradox of diversity in the policy areas of labour market and nationality, paradox of diversity in the field of diversity education, and paradox of diversity in the domain of ethno-marketing. The bottom line of this study can be formulated as follows: First, while the concept of multicultural citizenship has been often too strongly oriented to the state, diversity policy needs to pay more attention to the mutual relationship between the state level and nongovernmental level in the sense of the governance of diversity. Taking a look from this perspective, the aspect of diversity paradox can be also identified in the paradox of difference theory and in the paradox of nationality. Second, the consequence derived from the paradox of diversity in the diversity education is that one has to seek unavoidably the contradictory goals, in other words, to combine adequately the orientation to freedom on the one hand and the orientation to achievement on the other. Third, in relation to the topos of diversity paradox in the action-domain of ethno-marketing, we need to observe the ethnic marketing not only from the perspective of the existing traditional target-group marketing, but also from the perspective of the so-called social marketing under the aspect of welfare and social integration policy.

      • 정책보고서 2015-03 : 생물다양성을 고려한 영향평가 방안에 관한 연구

        오일찬,권영한,노백호 한국환경연구원 2015 수시연구보고서 Vol.2015 No.-

        환경에 대한 영향평가 제도를 통해 자연자원과 생물다양성의 보전 및 무분별한 개발방지와 지속가능한 개발이 이루어지도록 국내외적으로 노력하고 있으나 여전히 개발위주정책으로 인한 생물다양성의 손실, 난개발로 인한 야생생물의 서식지 파괴 등의 문제가 계속되고 있다. 국내에서는 영향평가의 동?식물상 및 자연환경자산 항목들을 통해 자연환경의 보전 및 자연생태환경분야의 영향평가를 수행하고 있지만 대부분 생물종 목록, 식생현황과 법정보호종의 유무와 같은 종 수준에서의 내용 위주로 기술되어 생태계 유형, 서식지의 특성, 유전적 다양성과 같은 생물다양성의 여러 측면을 고려하지 못한 채 영향평가가 수행되어 생물다양성을 감소시키고 지속가능한 이용을 저해하는 요인으로 작용하여 왔다. 생물다양성협약에서는 개발의 계획과 시행단계에서 생물다양성을 적용한 영향평가를 시행하도록 협약에 명시하여 당사국에 의무적으로 시행하도록 하고 있으며, 정책, 계획, 프로그램이 생물다양성에 영향을 주는지 여부 등에 대한 내용을 지침을 통해 제시하여 이를 통해 영향평가에서 생물다양성과 관련된 문제들을 해결하는 데 도움을 주고 있다. 이와 더불어 생물다양성과 관련 있는 인벤토리와 데이터베이스 구축을 통해 정량적인 평가기법이나 모델 적용과 같은 관련 연구가 진행되고 있으나 국내에서는 이에 대한 연구가 드문 실정이다.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국내의 생물종 목록 제시와 일부 항목에 한해서만 수행되는 자연생태환경분야 영향평가의 문제점을 살펴보기 위하여 생물다양성의 개념 및 관련 지침을 조사하여 그 현황을 파악하고, 작성 규정, 평가기법의 필요성 및 사례 분석 등을 통해 문제점 및 개선사항을 제시하였다. 개선사항으로는 조사대상을 기존의 동?식물상, 자연환경자산에서 1) 유전자원, 2) 생물종, 3) 생태계로 구분하고 조사항목을 추가하는 것이 필요하며, 특히 생태계 항목을 추가하고 분포범위, 주요 서식지의 특성 등을 조사항목으로 설정하는 것을 제안하였다. 예를 들어 조사대상 생태계는 1) 조사연구가 충분히 이루어진 생태계 유형, 2) 개발에 의한 영향이 큰 생태계, 3) 사회적, 정책적, 경제적 중요도가 높은 생태계를 토대로 선정하며, 이에 대한 각각의 판단 기준과 고려 사항에 대해 제시하였다. 생태계 항목은 자료 가용성과 평가체계를 고려하여 습지생태계, 하천생태계, 하구생태계, 산림생태계를 우선적으로 도입하며, 개발사업에 의한 습지생태계 영향예측을 위한 평가항목 작성사례를 제시하였으며 각각의 생태계 항목에서 관련 문헌조사와 평가시 고려사항에 대하여 제시하였다. 또한 조사결과를 활용한 예측 및 평가기법, 생물다양성 조사계획서 작성시 고려사항 및 생물다양성 항목의 영향 저감방안 작성기법에 대하여 제시하였다. 마지막으로 생물다양성을 고려한 영향평가의 여러 가지 범위와 복잡성을 고려해 볼때 본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향후 단계별로 정책과 제도에 도입이 가능한 영역과 내용에 대하여 제안하였다.

      • KCI등재

        사회복지조직의 다양성 관리가 조직성과에 미치는 영향: 종사자 다양성 인식의 조절효과

        김아래미 인문사회 21 2019 인문사회 21 Vol.10 No.2

        As workforce diversity has been increased, diversity management to produce organizational performance has been a growing attention from researchers and managers. Yet, knowledge on the impact of diversity management on organizational performance in the field of human services is scarce. As such, this study aims to examine the impact of diversity management on relationship conflict, creativity and intention to leave as organizational performance in human service agencies and to examine the moderating effect of workers’ diversity perception on the relationships. Data from 409 human service workers completed the questionnaires were used for hierarchical regression analysis. The impact of diversity management varies by organizational performance. Fairness and inclusion as diversity management were negatively related to relationship conflict and intention to leave. Worker’s diversity perception was negatively related to relationship conflict and was positively related to creativity. The interaction effects of fairness of diversity management and workers’ diversity perception on relationship conflict and intention to leave were found. The results confirmed the effects of gender, age and job position on organizational performance. Implications for enhancing diversity management to promote organizational performance were discussed. 세계화・정보화와 함께 조직 내 종사자 다양성이 증가하면서 다양성 관리-조직성과는 조직관리영역에서 상당한 주목을 받고 있다. 다양한 종사자가 협력하며 업무를 수행하는 사회복지조직에서도 다양성 관리-조직성과는 중요하나 관련 연구는 드물다. 이에 본 연구는 사회복지조직의 다양성 관리가 관계갈등, 창의성, 이직의도와 같은 조직성과에 미치는 영향에 대하여 검증하고, 조직의 다양성 관리와 종사자 다양성 인식의 상호작용효과를 확인하였다. 복지관 종사자 409명으로부터 수집한 자료를 활용하여 위계적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결과, 다양성 관리의 영향은 조직성과에 따라 다르게 나타났다. 다양성 관리의 공정성과 포함 수준이 증가할수록 관계갈등과 이직의도가 감소하였다. 종사자의 다양성 인식이 증가할수록 관계갈등은 감소하고, 창의성은 증가하였다. 관계갈등과 이직의도에 대한 다양성 관리(공정성)와 종사자 다양성 인식의 상호작용효과가 확인되었다. 다양성 요인인 성별, 연령, 직급의 조직성과에 대한 영향도 확인되었다. 사회복지조직의 조직성과 증대로 이어질 다양성 관리를 위한 정책적・연구적 함의를 제언하였다.

      • KCI등재

        지자체 생물다양성 관리전략 구축

        김근한 ( Geun Han Kim ),공석준 ( Seok Jun Kong ),김민경 ( Min Kyeong Kim ),이명진 ( Moung Jin Lee ),송지윤 ( Ji Yoon Song ),전성우 ( Seong Woo Jeon ) 한국환경정책평가연구원 2014 환경정책연구 Vol.13 No.2

        세계적으로 인간의 활동에 따른 서식지 훼손 및 기후 변화에 의해 생물다양성이 감소하고 있다. 이에 따라, 생물 다양성의 감소를 막기 위해서 국제사회는 생물다양성 협약과 같은 협력 체제를 마련하는 등의 노력을 하고 있다. 지금까지 우리나라의 생물다양성 전략 및 계획은 주로 정부의 주도하에 정책적으로 진행되었으나, 국가에 의한 생물다양성전략은 보수적이며, 실행 계획이 구체적이지 않다는 단점을 가진다. 따라서 지자체 생물자원을 관리하기 위한 방법으로 지자체 생물다양성 관리전략을 제안하였다. 지자체 생물다양성 관리전략 수립을 위한 전략계획 및 세부계획을 제시하기 위해 생물다양성 협약, ‘2011~2020 생물다양성 전략계획’, 우리나라 생물다양성 전략 및 이행계획과 해외 지자체 생물다양성 관리전략 우수 사례를 분석하였다. 결과적으로, 각각의 사례에서 중요하게 제시하고 있는 개별 생물종의 조사 및 보호, 보전지역의 지정 및 모니터링, 통합적 생태네트워크 관리, 생물다양성 전문기관의 설립과 전문가 양성방안, 지역의 인적 네트워크와 전통지식 활성화 방안, 생물산업 육성방안의 추진전략을 도출할 수 있었다. 이러한 지자체 생물다양성 관리전략의 이행은 ‘2011~2020 생물다양성 전략계획’의 목표를 달성하여 생물다양성을 보전하고 증진하는 데 큰 도움이 될 것이다. Due to habitat damage associated with climate change and human activities, biodiversity has decreased all over the world. In order to prevent further reduction in biodiversity, the international community has endeavored to establish a cooperative system, such as the Convention on Biological Diversity (CBD). Until now, most biodiversity strategic planning has been led by the national government. However, the National Biodiversity Strategy and Action Plan is conservative and its strategic plan is vague. Therefore, we propose a method for managing local biological resources called the Local Biodiversity Strategy and Action Plan. In order to provide the strategic plans and detailed plans for the Local Biodiversity Strategy and Action Plan, the report has examined several cases including Convention on Biological Diversity, Strategic Plan for Biodiversity 2011-2020, and the biodiversity strategies and action plans of the Republic of Korea and several other countries. As a result, the report demonstrates the survey and protection of bio-species, the designation and monitoring of conservation region, the management of the integrated eco-network, the establishment of biodiversity organizations and capacity building, the methods to promote networking and traditional knowledge, and the strategy for development in bioindustry. Consequently, the implementation of biodiversity management strategies by local governments will play a significant role in preserving and increasing biodiversity by realizing the goals of Strategic Plan for Biodiversity 2011-2020.

      • KCI등재

        구성원의 다양성 수용 정도가 조직몰입에 미치는 영향 - 과업갈등과 관계갈등의 매개효과에 대한 탐색적 연구 -

        정현달 (Jeong, Hyeon Dal),백윤정 (Baek, Yoon Jung),김은실 (Kim, Eun Sil) 한국인적자원관리학회 2015 인적자원관리연구 Vol.22 No.2

        본 연구는 개인차원에서 조직 내 구성원들의 다양성 수용 정도와 조직몰입 간의 관계를 밝히고자 하였다. 이는 조직 및 집단 수준에서 연구되었던 기존 다양성 연구의 불일치한 결과에 대한 이유를 설명하고자 하는 새로운 시도로써, 집단이나 조직 다양성에 대해 객관적으로 측정하는 것과 개인이 인지하고 수용하는 것에는 차이가 있을 것이라는 가정에서 출발한다. 특히, 최근 조직의 인적 구성이 점점 다양해짐에 따라 조직 내 인적구성의 다양성에 대한 관리가 중요해짐에도 불구하고, 기존 다양성 연구에서는 다양성에 대한 인지 심리적 접근에 대한 연구는 부족한 실정이다. 몇몇 연구에서 개인이 지각한 다양성 수용 정도와 관련하여 실증연구가 이루어 졌지만, 소수의 결과변수에 국한되어 있는 실정이며(개인이 지각한 조직성과(HRM 성과, 재무성과), 개인 창의성 및 혁신적 업무행동) 기존의 조직 및 집단 수준의 다양성 연구에서 다루어 왔던 구성원의 태도와 같은 효과성 변수에 대한 연구는 거의 시도되지 않았다. 이러한 다양성 수용 정도에 대한 연구의 한계를 극복하기 위해 본 연구에서는 다양성 수용 정도와 대표적인 태도 변수인 조직몰입과의 관계에 초점을 두었다. 그리고 그간 집단 다양성 연구에서 프로세스 변수로 많이 다루어왔던 갈등(관계갈등, 과업갈등)을 매개요인으로 설정하여 개인수준에서의 매개효과를 탐색적으로 살펴보고자 하였다. 이를 분석하기 위해 업종 구분 없이 종업원 약 400명을 대상으로 데이터를 수집하였다. 가설검증을 위해 신뢰도분석, 확인적 요인분석, 상관행렬분석 및 팬텀변수를 이용한 다중매개분석을 수행하였으며 분석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다양성 수용 정도는 구성원 간 갈등에 부(-)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사회범주다양성 수용 정도는 조직몰입에 정(+)의 영향을 미쳤다. 마지막으로 갈등의 매개효과 검증에서는 과업갈등은 기각되었고, 관계갈등만이 매개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나 조직에서의 다양성 관리에 좀 더 의미 있는 시사점을 제공하였다.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연구의 시사점과 향후 연구방향을 모색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diversity sensitive orientation on organizational commitment, focusing on the mediating effects of task-conflict & relationship-conflict. The sample consists of 400 survey data drawn from korean employees in the firms located in Seoul, Pusan, Daegu, Ulsan, Gyeongbuk, & Gyeongnam area. The data are analyzed by statistical package, SPSS 21.0 & AMOS 21.0 for windows. The results are as follows : First, diversity sensitive orientation is significant and negative relationship with conflict in organization. Second, social category diversity sensitive orientation is significant and positive relationship with organizational commitment. Finally, relationship-conflict mediated the effects of diversity sensitive orientation on organizational commitment, but task-conflict didn't. Based on the findings, this study suggested implications and directions for future research.

      • KCI등재

        문화다양성 역량 교육프로그램 개발1

        송선영 ( Sun Young Song ) , 김항인 ( Hang In Kim ) 한국윤리학회 2015 倫理硏究 Vol.100 No.1

        본 연구의 목적은 2001 유네스코 ‘문화다양성 선언’에 기초하여 문화다양성 역량 교육프로그램을 개발하는 것이다. 문화다양성의 네 가지 원칙, 즉 정체성·다양성·다원주의, 인권, 창의성, 국제연대를 토대로 문화다양성 역량과 교육을 설명하였으며, 문화다양성 교육과 소극적 다문화주의에 기초한 다문화교육과의 비교를 통해 그 의미를 명료화하였다. 문화다양성 교육의 방향으로 ‘정체성과 다양성’, ‘갈등해결과 다원주의’, ‘창의성과 지속가능발전’을 제시하였고, 문화다양성 역량을 문화다양성 감수성, 문화다양성 판단력, 문화다양성 동기화, 문화다양성 실행력으로 구분하였다. 문화다양성 교육과정을 범부, 주제, 소주제, 교육내용, 역량을 순으로 제시하였다. 결론에서는 문화다양성 교육의 실시를 위해 학습자의 발달 수준별 문화 다양성 교육 내용 세분화, 범교과와의 유기적인 연계지도, 역량별 구체적인 교수학습 방법 개발, 교육프로그램의 효과 검증이 후속 연구를 통해 이루어져야 함 을 지적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velop an educational program for cultural diversity competence on the basis of the 2001 UNESCO Universal Declaration on Cultural Diversity. Four principles of cultural diversity, namely identity·diversity·pluralism, human rights, creativity, and international solidarity have been described on the basis of cultural diversity competence and training. Also, this study clarifies the meaning of cultural diversity through the comparison of multi-cultural education. In the direction of cultural diversity education, ‘identity and diversity’, ‘conflict resolution and pluralism’, and ‘Creativity and Sustainable Development’ are presented. This study divides cultural diversity competence with four components: cultural diversity sensitivity, judgment, motivation, and capacity. Cultural diversity education curriculum is composed of categories, themes, sub-themes, and educational content. In conclusion, this study suggests the following researches: specification of contents based on students’ cognitive level, the organic linkage between the contents and subject matters education, development of practical instructional methodology, and test of efficiency on the educational program for cultural diversit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