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우간다 농촌지도사업의 현재와 미래

        오우모플로렌스이마이카릿 ( Florence Imaikorit Oumo ),조경래 ( Gyoung Rae Cho ) 한국농촌지도학회 2014 농촌지도와 개발 Vol.21 No.1

        이 연구는 우간다 농촌지도사업의 발전과정을 조망하고 발전방안을 제시하는 것이다. 우간다에서 농촌지도사업에 대한 많은 접근방법이 사용되었지만, 농업생산성이나 수익성 향상에 도움이 되었다는 선행연구 결과는 없는 실정이다. 그 동안 너무 많은 농촌지도사업에 대한 개혁사업이 이루어졌지만, 부분적으로 상향식접근방법도 있었지만, 대부분의 접근방법은 하향식 접근방법이었다. 많은 사례에서 농촌지도사업에 대한 이러한 개혁은 농업생산이나 수익성에 영향을 줄 정도로 발전될 수 있는 기회가 주어지지 않았다. 향후 성공적인 농촌지도사업과 농촌개발이 이루어지기 위해서는 기술적인 전문가와 자원의 유용성 증가뿐만 아니라, 농촌지도사업과 농촌개발 프로그램을 기획하고 수행할 때의 농촌지도사업의제도적인 역할정립에 대한 정부의 의지와 지역주민의 적극적인 참여가 이루어지도록 해야 할 것이다. 그리고 우간다에서 공공 농촌지도사업은 수요자에 필요한적절한 지도사업이 이루어지도록 수요자중심의 농촌지도사업이 이루어지도록 해야 할 것이다. This study aims to explore the present and future of agricultural extension system in Uganda. Though Uganda has used many approaches in its agricultural extension, very little has been registered in farm productivity and profitability. Too many reforms some of them some are top-down while others are bottom -up. In most cases these reforms may not be given a chance to develop to show their impact. Future success of agricultural extension and rural development efforts in Uganda will depend not only on the presence of technical expertise and availability of resources but also on each government`s willingness to redefine the role of its institutions and to allow the active participation of rural people in formulating and implementing and agricultural extension and rural development programs. As result the public extension systems in Uganda needs to be demand-driven so to make it relevant and important to the beneficiary.

      • KCI등재

        농촌지도사업의 현장 적용성 제고에 관한 연구 - 전라남도를 중심으로 -

        임현택(Hyeon-taek Lim),한왕규(Wang-gyu Han),엄지범(Ji-bum Um) 한국지역사회학회 2022 지역사회연구 Vol.30 No.2

        본 연구는 농촌지도사업의 현장적용성을 높이기 위해 농촌지도사업에 참여한 농민을 대상으로 농촌지도사업에 대한 인식과 농촌지도사업 분야, 품목별 교육의 중요도와 만족도를 살펴보고자 한다. 이를 위해 전라남도에서 농촌지도사업에 참여한 농민 120명을 상대로 2021년 7월~10월까지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현업 미적용 원인을 파악하고자 하였다. 먼저 교육받은 농촌지도사업에 대한 현장 적용 실태에 대하여 분석하였다. 약 1/3 정도의 농가들이 농촌지도에서 얻은 지식이나 기술을 현업에 적용하지 않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 이유는 ‘기술이 현장과 부적합하다’라는 의견이 가장 많았다. 농촌지도의 효과에 대해서는 긍정적으로 나타났으며, 농촌지도의 재교육 의사 및 추천의향에 대한 질문을 통해 농가들이 재교육 의사는 낮으나 추천의향은 높다는 결과가 나타났다. 다음으로, 농촌지도사업의 역량별 중요도-만족도를 영농 유형별로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지속 및 유지 영역에는, 토양 관리, 재배기술, 병해충 관리, 품목별 교육, 농업경영 기술이 분포하였고, 가장 개선이 필요한 영역에는 재정 지원과 농산물 유통으로 분석되었다. 분석결과는 농촌지도사업의 현장 활용도를 높이기위한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다. This study conducted a survey of 120 farmers who have taken the agricultural extension, such as the degree of field use and satisfaction with it. Through this, the cause of non-application of agricultural extension in the field was identified and a method was derived to improve it. First, we analyzed the actual conditions of applying the educated agricultural extension project to the field. We found that nearly one-third of the farm households did not use the knowledge or skills obtained from agricultural extension in the field. The most common reason was that it does not apply to the actual field. However, there were positive answers regarding the effect of agricultural extension. Also, we noted that farm households had little purpose of being re-educated but a high intention for proposal for others. Next, we analyzed the importance-satisfaction level of each competency of the agricultural extension project by farming type. According to the analysis, we found that soil management, cultivation technology, pest management, education by item, and agricultural management technology were distributed in sustainability and maintenance. In addition, we analyzed that financial support and agricultural product distribution were the areas that needed the most improvement. The results from the analysis can be used as primary research data to increase the practical application of the agricultural extension project. The agricultural extension project can be more effective if the needs of the projects beneficiaries, the farmers, are reflected in a way that prioritizes the areas in need of improvement from the analysis results.

      • KCI등재

        국제개발협력 정부기관 비교 연구 - 6개 원조공여국의 농촌지도를 중심으로 -

        백숙희 ( Sookhee¸ Baek ),임형백 ( Hyung Baek¸ Lim ) 전남대학교 지역개발연구소 2020 지역개발연구 Vol.52 No.2

        농촌지도(rural extension)는 전 세계의 많은 국가에 존재하는 정부기관이다. 농촌지도는 오랜 역사를 가지고 있고, 많은 원조공여국과 원조수원국에 존재한다. 농촌지도는 국제개발협력에서 중요한 농업기관이다. 한국에는 일제강점기에 도입되었고, 현재에도 농림축산식품부 산하 농촌진흥청의 주요 기능 중 하나로 남아 있다. 이 논문은 대표적인 6개 선진 원조공여국의 농촌지도를 비교·연구하였다. 농촌지도는 거의 4천년 동안 진화되어 왔지만, 현대적 농촌지도는 1874년 아일랜드에서 탄생했다. 지도(extension)이라는 용어도 영국에서 처음 사용되었다. 이렇게 탄생한 농촌지도는 제2차 세계대전, 즉 1950년대 이전에 전 세계로 확산된 농촌개발 모델이다. 제2차 세계대전 전에는 영국, 프랑스 등의 유럽의 각국들이 제국주의 하에서 아프리카, 아시아 및 라틴아메리카의 여러 나라들을 강점하여 농촌지도사업을 실시한 경우이다. 제2차 세계대전 이후에는 UN, 미국 등을 통하여 전 세계로 확산되었다. 따라서 일반적으로 제3세계의 근대적 농촌지도사업의 역사를 논할 때는 제2차 세계대전을 기점으로 삼아 그 이전과 이후로 나누고 있다. 그러나 농촌지도는 농촌개발모델이지 농촌개발 이론은 아니다. 농촌개발 이론은 제2차 세계대전 이후 1950년대부터 등장하기 시작했다. Rural extension has a long history and exists in man donor countries and recipient countries. Rural extension is an important government organization for international development cooperation. This papers is a comparative study of representative 6 donor countries. Modern rural extension was born in Ireland in 1874. Rural extension is rural development model which spread all over the world before World War Ⅱ, or 1950. Before World War Ⅱ, European countries, such as Britain, france, and other countries conducted rural extension in colonies in Africa, Asia and Latin America under imperialism. After World War Ⅱ, rural extension spread all over the world through the United States and United Nations(UN).

      • KCI등재

        농촌지도조직의 혁신성과 조직역량 및 농촌지도인력의 직무만족 간의 인과적 관계

        전영욱,김진모 한국농·산업교육학회 2018 농업교육과 인적자원개발 Vol.50 No.2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ty the causal relationship among organizational innovativeness and c​apability of the agricultural extension center, and job satisfaction of the agricultural extension officers. For this purpose, a questionnaire survey was conducted by mail from August 9, 2018 to August 31, 2016, on 26 agricultural extension centers in Korea. A total of 471 out of 703 questionnaires were used for analysis after a data cleaning, the SPSS 21.0 and the AMOS 18.0 programs were used to identify causal relationships.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the overall fit of the hypothetical model set out in this study was consistent with empirical data. Second, the innovativeness of the agricultural extension center had a statistically significant effect on the organizational capability and the job satisfaction of the agricultural extension officers. Third, organizational capability in the field of agricultural business management and new technology had a statistically significant effect on the job satisfaction, but organizational capability in the field of the traditional extension service had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effect on the job satisfaction of the agricultural extension officers. Fourth, organizational capability in the field of agricultural business management and new technology partially medi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organizational innovativeness and job satisfaction, but the mediating role of organizational capability in the field of the traditional extension service was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it was discussed how to improve job satisfaction of the agricultural extension officers through innovativeness of the agricultural extension center, and the limitations of this study and follow-up studies were suggested. 이 연구의 목적은 농촌지도조직의 혁신성 및 조직역량과 농촌지도인력의 직무만족 간의 인과관계를 규명하는데 있었다. 이를 위해, 우리나라의 26개 시·군 농업기술센터 농촌지도인력을 대상으로 2016년 8월 9일부터 8월 31일까지 우편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총 703부의 설문지가 배포되어, 471부를 최종적으로 사용하였으며, SPSS 21.0과 AMOS 18.0 프로그램을 활용하여 자료를 분석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이 연구에서 설정한 가설적 모델의 전반적인 적합도는 경험 자료에 부합하였다. 둘째, 농촌지도조직의 혁신성은 조직역량과 농촌지도인력의 직무만족에 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었다. 셋째, 농업경영·신기술영역에서의 조직역량은 농촌지도인력의 직무만족에 정적인 영향을 미쳤지만, 전통적인 지도영역에서의 조직역량은 농촌지도인력의 직무만족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주지 않다. 넷째, 농업경영·신기술영역에서의 조직역량은 조직혁신성과 직무만족의 관계를 매개하였지만, 전통적인 농촌지도영역 조직역량은 조직혁신성과 직무만족의 관계를 매개하지 않았다. 이 연구의 결과를 바탕으로 농촌지도인력의 직무만족을 높이기 위한 농촌지도조직의 혁신성과 조직역량 제고방안에 대해 논의하였고, 연구의 한계와 후속 연구를 제언하였다.

      • KCI등재

        국제개발협력 정부기관 비교 연구 - 6개 원조공여국의 농촌지도를 중심으로 -

        백숙희,임형백 전남대학교 지역개발연구소 2020 지역개발연구 Vol.52 No.2

        Rural extension has a long history and exists in man donor countries and recipient countries. Rural extension is an important government organization for international development cooperation. This papers is a comparative study of representative 6 donor countries. Modern rural extension was born in Ireland in 1874. Rural extension is rural development model which spread all over the world before World War Ⅱ, or 1950. Before World War Ⅱ, European countries, such as Britain, france, and other countries conducted rural extension in colonies in Africa, Asia and Latin America under imperialism. After World War Ⅱ, rural extension spread all over the world through the United States and United Nations(UN). 농촌지도(rural extension)는 전 세계의 많은 국가에 존재하는 정부기관이다. 농촌지도는 오랜 역사를 가지고 있고, 많은 원조공여국과 원조수원국에 존재한다. 농촌지도는 국제개발협력에서 중요한 농업기관이다. 한국에는 일제강점기에 도입되었고, 현재에도 농림축산식품부 산하 농촌진흥청의 주요 기능 중 하나로 남아 있다. 이 논문은 대표적인 6개 선진 원조공여국의 농촌지도를 비교・연구하였다. 농촌지도는 거의 4천년 동안 진화되어 왔지만, 현대적 농촌지도는 1874년 아일랜드에서 탄생했다. 지도(extension)이라는 용어도 영국에서 처음 사용되었다. 이렇게 탄생한 농촌지도는 제2차 세계대전, 즉 1950년대 이전에 전 세계로 확산된 농촌개발 모델이다. 제2차 세계대전 전에는 영국, 프랑스 등의 유럽의 각국들이 제국주의 하에서 아프리카, 아시아 및 라틴아메리카의 여러 나라들을 강점하여 농촌지도사업을 실시한 경우이다. 제2차 세계대전 이후에는 UN, 미국 등을 통하여 전 세계로 확산되었다. 따라서 일반적으로 제3세계의 근대적 농촌지도사업의 역사를 논할 때는 제2차 세계대전을 기점으로 삼아 그 이전과 이후로 나누고 있다. 그러나 농촌지도는 농촌개발모델이지 농촌개발 이론은 아니다. 농촌개발 이론은 제2차 세계대전 이후 1950년대부터 등장하기 시작했다.

      • KCI등재

        농촌지도직공무원의 전문능력 개발 체계

        김진모,주대진,곽지훈 한국농·산업교육학회 2006 농업교육과 인적자원개발 Vol.38 No.1

        The purposes of this study were 1) to set up the career development stages of rural extension workers, 2) to identify the roles and competencies needed to perform their roles, and 3) to suggest approaches to their professional development. This study was mainly carried out through literature review, expert panel workshop, benchmarking, and a survey. As the result of this study, the career development stages of rural extension workers were set up in three levels, which were divided into a general stage including an entry level, professional stage, and consulting stage. Also, the eleven roles required for rural extension workers and five competencies needed to perform their roles were derived. These five competencies consisted of twenty-nine sub competencies. Finally, several development strategies that can be derived from educational experience and job experience were suggested as the approaches to professional development of rural extension workers. To practically utilize the result of this study, the following measures should be taken. First, organizational and institutional supports should be made for professional development of rural extension workers rather than relying solely on personal endeavor. Second, the structure of regional agricultural technology centers should be reorganized. Third, the development and application of the various approaches to professional development of rural extension workers should be implemented. 이 연구의 목적은 우리나라 농촌지도직공무원의 전문능력 개발 체계를 만드는데 있었다. 이를 위해 농촌지도직공무원을 육성하기 위한 직업 경력단계를 설정하였고, 농촌지도직공무원의 경력단계별로 요구되는 역할과 역량을 구명하였다. 또한, 농촌지도직공무원의 직업적 전문성 개발을 위한 다양한 방안을 모색하였다. 이 연구는 주로 문헌분석과 전문가 협의회, 벤치마킹, 전문가 의견조사를 통해 이루어졌다.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먼저 우리나라 농촌지도직공무원의 경력개발단계는 일반 지도단계, 전문 지도단계, 농업기술 컨설팅단계의 3단계로 설정하였다. 또한, 우리나라 농촌지도직공무원이 주로 수행해야 할 11개의 역할과 29개의 하위역량으로 구성된 5개의 역량군을 도출하여 각 경력단계별로 요구되는 역할과 역량을 구명하였다. 마지막으로, 농촌지도직공무원들의 전문능력 개발을 위해 교육경험과 직무경험을 활용한 전문능력 개발 전략들을 모색하였다. 이 연구의 결과가 실제적으로 활용되기 위해서는 다음과 같은 지원과 노력이 뒤따라야 한다. 첫째, 우리나라 농촌지도직공무원의 전문성 개발을 위해서는 본인들의 노력이 필요할 뿐만 아니라 조직적제도적 지원이 뒤따라야 한다. 둘째, 우리나라 농촌지도기관의 조직개편이 필요하다. 셋째, 농촌지도직공무원의 전문성 개발을 위한 다양한 방법들을 개발하고, 이를 실천하려는 노력이 필요하다.

      • KCI등재

        말라위 농촌지도사업의 현재와 미래

        실리로누후쿠잘리라마고메로 ( Siliro Nkhukuzalira Magomeroa ),박덕병 ( Duk Byeong Park ) 한국농촌지도학회 2014 농촌지도와 개발 Vol.21 No.2

        말라위 농촌지도사업은 최근 농업개발에서의 부족한 기여와 소농의 요구에 부응하지 못한 측면에서 많은 비판을 받고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농촌지도사업은 농촌생활과 농촌빈곤 문제 개선을 위해서 중시되고 있다. 말라위 농촌지도사업은 공공부문과 민간부문에서 많은 도전을 받고 있다. 이러한 도전에 분명하고적극적인 대응은 모든 농가들에게 편익을 제공하고 정부정책 목적을 달성하기위한 농촌지도사업의 미래의 모습을 만드는 데 있어서 매우 중요하다. 말라위 농촌지도사업의 당면과제는 민주주의, 시장자유화, 분권화, 에이즈, 공공자원부족,공공부문개혁, 협력 등이다. 이를 달성하기 위하여 말라위 농촌지도사업은 복합적인 지도사업수요를 제공해야 하고, 식량문제와 빈곤문제해결을 위하여 협력을 촉진해야 한다. 또한 지도사업은 모델빌리지접근법(Model-village approaches)을 기초한 지역농촌지도사업 시스템을 통하여 모든 농가들이 접근할 수 있고 질높은지도사업 서비스를 추진해야 할 것이다. Malawi``s agricultural extension system has been subjected to a number ofcriticisms in recent times for failing to contribute significantly to agriculturaldevelopment and for not responding to the needs of the smallholder farmers. Despite this, extension is still seen as key to improving poverty and rurallivelihoods.There is a number of challenges facing extension that require aresponse from the public sector and other stakeholders. A clear and positiveresponse to these challenges will help shape the future of agricultural extensionin Malawi for the benefit of all farmers and the attainment of the broad policyobjectives of government: democratization, market liberalization, decentralization, HIV/AIDS crisis, shrinking public sector resources, public sector reform, andco-ordination, etc. The mission is to provide pluralistic demand drivenextensions services and promote equalisation and co-ordination in serviceprovision in order to achieve food security at household level, there-byreducing poverty. On the other hand the vision is that ``All farmers`` demandand access high quality extension services from those best able to providethem``. DAES implements its extension policy through the District AgriculturalExtension Services System (DAESS), based on Model Village Approach.

      • KCI등재

        농촌지도사업 명칭의 이미지 및 적합성 분석

        김진화 한국농업교육학회 2007 농업교육과 인적자원개발 Vol.39 No.1

        본 연구의 목적은 농촌지도사업의 명칭에 대한 이미지와 적합성에 대해 실증적인 분석을 실시하여 농촌지도사업의 개념과 명칭을 재정립하는데 기초자료를 얻는데 연구의 목적이 있었다. 자료 수집은 농촌지도사업과 관련이 있는 농촌지도직, 농업행정직, 농업연구직, 농업인, 소비자 655명을 대상으로 웹 설문지(web questionnaire)를 통해 수집되었으며, 자료 분석은 SPSSWIN 12.0을 통해 빈도, 백분율, 카이자승기법이 적용되었다. 본 연구를 통해 산출된 결과는 다음과 같았다. 첫째, 현재 사용되고 있는 농촌지도사업이라는 명칭과 관련된 이미지, 즉 시간적 이미지, 기능적 이미지, 확산적 이미지, 감각적 이미지, 부정적 이미지 등 5가지 요소에 대해 기능적 이미지의 경우만을 제외하고 모두 부정적인 이미지를 가지고 있는 것으로 밝혀졌다. 둘째, 명칭은 매력성 이미지, 신뢰성 미이지, 부드러운 이미지, 희망적 이미지, 우호적 이미지, 감동적 이미지 등에 대해 모든 부정적인 것으로 밝혀졌다. 셋째, 농촌지도사업이란 명칭의 적합성은 농촌지도사업을 책임지고 있는 행정 당국(농촌진흥청, 농업기술원, 농업기술센터)이 지향하고 있는 비전 및 목적과의 적합성에 대해서는 부정적인 반응을 보였으며, 이들 기관의 행정조직 및 체계와의 적합성은 기능과 역할에 대한 표현성에 대해서는 미온적인 반응을 보이고 있는 것으로 밝혀졌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토대로 현재 농촌지도사업이라는 명칭이 국가의 농업·농촌 정책이 추진되고 있는 사업의 목적, 내용, 방법과 시기적으로 부적절하고 잘 어울리지 않을 뿐만 아니라 미래의 농촌지도 사업이 주고객을 농업인 뿐만 아니라 소비자로 확대되고 있는 추세와 농촌의 다원적 기능을 강조하는 사업에 대한 요구가 점차 확대될 것으로 예상되는 상황에서 현재 사용되고 있는 농촌지도사업이라는 명칭이 한계성이 있다고 결론지을 수 있을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d empirically the fitness and images of the term on rural extension work in oder to draw the some implications and the informations for newly defining the rural extension work in Korea. The data were collected through web questionnaires from 655 respondents who are the selected peoples related rural extension work in Korea, The data were analyzed using the SPSS 12.0 windows, and the statistical techniques used for this study were frequency, percentages, mean, standard deviation, chi-square. The major finding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the term of korean rural extension work had been negative images in the time image, the extended image, the Sensitive image, and negative image. Second, the term had been negative images in the attraction, the credibility, the friendly image, the hoping image, and the impressive image. Third, the term were not fit along with the vision and the mission of the rural development administration(RDA) in the government level, of the agricultural technology institute in the province level, and of the agricultural technology center in county level. Fourth, it was founded that the term of korean rural extension work had a little fitness on the expression for the function of the administration. Fifth, the term were not fit along with new paradigms in the trends of agricultural knowledge and information contexture. On the basis of the above findings, the some implications were drawn. It is time to consider seriously the modification of term on extension work through the policy decision. In the process of modifying the term, the rural development administration should carry out analyze the restriction of the term, and confirm the available fitness along with future paradigm of extension work in Korea.

      • KCI등재

        경기도 농촌지도사업 발전 방안

        김진모,고순철,이진화,공민영,이건영,송용섭 한국농·산업교육학회 2009 농업교육과 인적자원개발 Vol.41 No.1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find the improvement plans of GyeongGi-Do's agricultural extension services through the circumstance analysis of agricultural extension services and the diagnosis of functions and roles, processes, and systems of agricultural extension services in GyeongGi-Do. In order to attain this purpose, after setting up a diagnostic model in which agricultural environments, policies, functions and roles, business processes, and business systems of agricultural extension services in GyeongGi-Do were contained, we made a systematic diagnosis using literature review, face-to-face and written interviews, and surveys. The conclusions from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the agricultural extension services in GyeongGi-Do showed a low level of effectiveness owing to problems such as many kinds of loose businesses, supplier-oriented processes, incomplete organizations, and so on. Second, the developmental directions of agricultural extension services in GyeongGi-Do for solving these problems were established as follows: ① the execution of functions and roles focused on the regionally specialized agricultural extension services, ② the establishment of processes of strategic agricultural extension services focused on the customer, and ③ the establishment of systems fitted to agricultural extension services in GyeongGi-Do and adaptable to environmental changes in agriculture. Third, thirteen specific strategic tasks were presented according to each direction. Finally, some recommendations for improving the power of execution of these directions and strategic tasks were suggested. 이 연구는 경기도 농촌지도사업의 여건 분석과 경기도 농촌지도사업의 기능 및 역할, 사업 수행 프로세스, 사업 수행체제에 대한 진단을 통하여 경기도 농업 경쟁력 강화를 위한 경기도 농촌지도사업의 종합적인 발전 방안을 모색하는데 그 목적이 있었다. 이를 위해 경기도의 내외부 농업환경, 정책, 기능 및 역할, 사업 수행 프로세스, 사업 수행 체제를 근간으로 하는 진단모형을 설정하고, 문헌고찰, 인터뷰, 설문조사를 통하여 체계적인 진단을 실시하였다. 이 연구를 통하여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을 수 있었다. 첫째, 경기도 농촌지도사업은 백화점식 사업 수행, 공급자 중심의 과정, 부실한 조직 등의 문제로 인하여 낮은 수준의 효과성을 보이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먼저 경기도 농촌지도사업의 발전 방향을 1) 경기도에 적합한 지역특화전략사업 중심의 기능과 역할 수행, 2)고객 중심의 전략적 농촌지도사업 프로세스 구축, 3)경기도 농촌지도사업에 부합하고 농업환경 변화에 유연한 수행 체제의 구축으로 설정하였다. 셋째, 각각의 방향에 따른 구체적인 13개의 전략과제를 제시하였다. 마지막으로 경기도 농촌지도사업 발전방안의 실행력 제고를 위해 고려되어야 할 사항을 제언하였다

      • KCI등재

        농촌지도공무원의 역량수준 진단

        김진모,주대진,길대환 한국농업교육학회 2008 농업교육과 인적자원개발 Vol.40 No.1

        이 연구의 목적은 농촌지도공무원들의 역량을 진단하는데 있었다. 이를 위해 김진모(2006)가 제시한 농촌지도공무원의 역량모델을 바탕으로 개별 역량의 정의문을 질문문항으로 개발하였고,이를 전체 농촌지도공무원이 역량에 대한 숙련도 수준을 참고하여 각 문항별로 자신의 수준을 자기평가하도록 하였다. 이 연구의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우리나라 농촌지도공무원의 역량수준은 개발목표 대비 그리 높은 수준은 아니었다. 따라서 현재의 역량수준을 획기적으로 제고할 수 있는 노력이 조직 및 개인 차원에서 시급히 이루어져야 한다. 오늘 날 농촌지도사업의 성패는 농촌지도공무원의 역량에 따라 좌우된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기 때문이다. 둘째,연령과 근무기간이 많아질수록 역량지수는 상대적으로 낮았다. 이는 신규지도사의 선발 이후 전문성을 체계적으로 개발할 수 있는 조직적 차원의 지원이 필요함을 보여준다. 조직적 차원의 지원으로는 계층별로 맞춤화된 다양한 역량강화 방안 등을 고려할 수 있을 것이다. 셋째,역량진단을 통해 우선적으로 강화시켜야 할 역량들은 기초직무 역량군에 속하는 여러 역량들과 전문직무 역량군의 기술/주제 전문성 등이었다. 이러한 역량들을 효과적으로 개발하기 위해서는 정규교육만으로는 한계가 많기 때문에 다양한 형태의 육성방안을 모색해야 한다. 이상의 연구결과가 실제적으로 활용되기 위해서는,우선 농촌지도 공무원의 역량 중심 계충 교육과정을 개발하여 실시해야 한다. 또한,농촌지도공무원의 경력개발 체계를 수립하여 실시하고,이들의 부족한 역량을 강화시켜 줄 수 있는 다양한 방법들을 개발하여 실천하려는 노력이 수반되어야 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the competency levels of rural extension workers in Korea. A survey questionnaire was developed using a Competency Model by Dr. Kim(2006), and a self-test was conducted for all of the extension workers in Korea. Based on the findings of this study, the major conclusions were as follows. First, the competency levels of rural extension workers in Korea were not so high for their development goal. The organizational and personal efforts were urgently made for dramatically raising the present competency level. Second, the higher the age and the working period were, the lower their competency index were. It shows that the organizational support is needed for systematically developing the expertise of rural extension workers after being employed as new rural extension workers. Third, the main competencies that should be first strengthened through competency assessment were several competencies in foundational competency cluster and a subject-matter expertise in technical competency cluster. Various forms of strategies for developing these competencies should be sought because the only formal training is not enough to effectively develop these competencies. To practically utilize the result of this study, the following measures should be taken. First, a competency-based curriculum by position level for rural extension workers was developed and implemented, In addition, career development systems for rural extension workers were set up and carried out, and the efforts to develop and apply the various approaches for their insufficient competencies should be mad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