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지역주민의 농촌마을종합개발사업에 대한 인식이 농촌관광개발 인식과 태도에 미치는 영향

        박창규 ( Chang Kyu Park ),김혜영 ( Hye Young Kim ) 한국경제지리학회 2011 한국경제지리학회지 Vol.14 No.3

        우리나라 농촌의 현실인 저소득 문제와 공동화 문제 등이 서로 맞물려 상승작용을 하면서 문제가 더욱 심화되어가는 악순환 현상이 발생하고 있는 것이 현실이다. 이를 극복하기 위해 다양한 농촌개발사업이 추진되고 있으며, 1990년대 이후부터 농어촌지역의 생활환경, 산업기반 및 편익 · 복지시설 등을 정비 · 확충하기 위해 정주권 개발과 문화마을조성사업, 신 활력사업, 농촌마을종합개발사업 등을 추진되고 있다. 기존 연구동항을 살펴보면, 농촌마을종합개발사업에 대한 평가지표, 문제점 및 개선사항, 투자우선순위 등의 연구가 시행되어졌지만, 실제적으로 농촌마을종합개발사업이 지역개발에 대한 지역주민의 태도와 관광개발에 대한 영향인식에 대한 연구는 미홉한 실정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농촌마을종합개발사업을 통해 농촌지역 관광개발이 경제적, 사회문화적, 환경적 측면의 변화가 지역주민의 개발 태도와 인식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며, 특히 중요 영향요인이 무엇인지를 분석하고, 농촌지역 개발에 따른 영향지각이 지역주민 태도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여 향후 농촌마을종합개발사업 추진단계, 계획수립단계에서부터 실행단계까지 지역주민의 적극적인 참여를 유도할 수 있는 전략적 방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분석결과를 바탕으로 농촌마을종합개발을 위한 지역주민의 적극적인 참여를 유도할 수 있는 방안은 다음과 같다. 첫째, 농촌관광과 농촌관광개발에 대한 인식 제고가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농촌마을종합개발사업의 주테마가 농촌관광개발의 경우에는 관광에 대한 지역주민 교육 및 인식이 명확하게 제고되어야 사업의 효과를 발휘할 수 있을 것이다. 둘째, 사업추진을 통한 경제적 수익 등의 경제적 영향, 기반시설 및 복지시설 확충 등의 긍정적인 효과를 느낄 수 있는 계획이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셋째, 농촌마을종합개발사업의 긍정적 인식과 태도를 부각시키고, 부정적 인식과 태도에 대해서는 교육과 홍보를 통해 긍정적인 인식을 높여 사업에 대한 관심과 참여를 높여 효과적인 사업 추진을 이룰 수 있어야 할 것이다. Korean farm villages are locked in vicious circle, as lots of their problems related to low income and hollow matters are geared and multiply. To get over those problems, various plans to develop Korean farm villages are being pushed ahead. In addition, since the early of 1990s, Korea has been projects to develop settlement zones and culture villages. It has been also preceeding with a comprehensive development project of farm villages and a new vitalizations project, etc. All of these projects aim to reorganize and expand life environments, industrial bases, and convenience and welfare facilities. The existing studies on a comprehensive project to develop farm villages have been focusing on evaluation indexes, problems, investment priorities, etc. l3ut in fact, studies on a comprehensive development project of farm villages are not thoroughgoing enough in aspects of residents` attitude and their recognition on the influence on tourist development. Thus, this study aims to present strategic schemes to allow residents to actively participate in a stage of promoting a comprehensive development project of farm villages, a stage of making the plan, and a stage of the implementation. For this, this study analyzes a comprehensive development project of farm villages and attempts to figure out which influence the tourist development in farm villages has on residents` attitude and recognition resulting from changes in economic, social cultural, and environmental aspects. Especially, this study previously examines what influential factors there exists are and what influences the development of farm villages has on residents. Based on the results from the above analysis, schemes to enable residents to actively a comprehensive development project of farm villages are presented as follows. First, it is necessary to raise our recognition on tourism and tourism development of farm villages, If the main theme of a comprehensive development project of farm villages intends farm village development, it is required to educate residents and let them clearly raise their recognition on tourism, and the effect of the project is guaranteed. Second, it is highly required to make a plan so that we can feel economic effects of revenues through project promotion and positive effects including the expansion of infrastructures and welfare facilities, etc. Third, it is necessary to bring into relief the positive recognition and attitude of a comprehensive development project of farm villages. As for the negative recognition and attitude, it is very important to change negative residents` recognition to the positive direction and to allow them to participate in and to take an interest in the project, so that the project can be effectively promoted.

      • KCI등재

        농촌정책 패러다임의 변화와 농촌지역개발사업

        이해진(Hae Jin Lee) 한국농촌사회학회 2009 農村社會 Vol.19 No.1

        이 논문은 2000년대 들어서 한국의 농업 농촌정책 패러다임이 농업(부문정책)에서 농촌(공간정책)으로 이동하였다는 점을 강조하며 다음의 논점들을 분석하였다. 먼저, 신자유주의 세계화의 시장개방 압력, 농업 구조조정 정책의 한계, 참여정부의 새로운 지역정책의 시도를 농촌정책 변화의 배경으로 해석했다. 특히 신자유주의적 농업정책을 정당화하고 회피하기 위한 수단으로 농촌지역개발 정책이 활성화된 측면이 있음을 지적하였다. 그리고 농촌정책 패러다임 변화의 궤적을 검토하여 최근의 농촌정책의 특성을 도출하였다. 이어서 `농촌마을종합개발사업`을 사례를 통해 농촌 정책의 변화가 농촌지역개발사업으로 적용되고 실행되는 과정을 살펴보았다. 이 과정에서 관료주의적이고 경로의존적인 정책생산구조 및 사업실행이 신자유주의적 경향성과 결합하면서 농촌지역개발사업의 실행과 한계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보았다. 농촌정책 사업이 의도한 목표와 의도하지 않은 결과 사이의 불일치에 주목하여 농촌마을종합개발사업의 새로운 특성과 문제점을 조명하였다. 결론적으로 농촌공동체의 복원과 자생적 마을만들기로 나아가는데 농촌지역개발사업이 고려해야 할 정책 과제들과 후속 연구 과제들을 제시하였다. This article focuses on the paradigm shift in rural policy from agricultural policies to rural community policies and analyzes the following issues, The article interprets neo-liberal globalization, limits of agricultural restructuring policy, and new regional policy as backdrop for recent changes in rural policy. The paper has showed the characteristics of the recent rural development policy through examining the rural policy trajectory. And then, through the case study of `Integrated Rural Community Development Project`, it seeks to highlight the process that the change of rural policy had been applied and implemented to rural community development program. In the process, the bureaucratic and path-dependent policy decision making systems and the tendency of the neo-liberalization are identified as important factors in mediating effective policy implementation and limitation. Then the paper considers disagreements between the intended goals and unintended consequences and highlights new aspects and problems brought about by the Project, Consequently, this study suggests some policy priorities and further research agendas for making rural community development projects progress towards endogenous community-building.

      • KCI등재

        A Review of Trends and Tasks of Korea’s Rural Life Improvement Programs: Lessons for Ethiopia

        가모 베 렛켓 로바(Bereket Roba Gamo ),최윤지(Yoon-Ji Choi),최정신(Jung-Shin Choi),손주리(Joo-Lee Son) 한국농촌지도학회 2022 농촌지도와 개발 Vol.29 No.4

        농촌 생활 개선은 대부분의 개발도상국 정부의 주요 정책 관심사로 남아 있다. 그러나 개발도상국들은 농촌개발정책을 시행하면서 농업생산성과 기술개발에 중점을 두었다. 본 논문은 한국의 농촌생활 개선 프로그램을 통해 구현되는 주요 과제를 파악하고, 제2차 세계대전 이후 에티오피아의 농촌개발 노력에 대해 설명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이 자료는 한국에서의 집중적인 문헌 검토와 포커스 그룹 인터뷰를 통해 생성되었다. 일반적으로 두 나라와 특히 그들의 시골 지역은 가난했고 처음에는 거의 비슷했다. 1960년대 이후 한국 농촌의 상황이 급변한 반면 에티오피아 농촌은 아직 큰 개선을 경험하지 못했다. 에티오피아에서 다양한 농촌 개발 노력이 이루어졌지만, 시간이 지남에 따라 서로 다른 정치 정권이 시행한 변덕스러운 정책들이 농촌 부문의 저조한 실적을 뒷받침하는 주요 요인 중 하나로 나타난다. 또한 우리 정부의 농촌개발정책은 처음부터 농촌생활 개선권뿐만 아니라 농업생산기반 개선에도 동등한 비중을 두고 있었지만, 에티오피아 농촌개발정책은 오히려 농촌생활 개선의 측면을 소홀히 하였다. 농업가공, 농촌관광, 비농업 고용기회를 통한 농촌경제 다변화는 우리나라의 농촌개발정책에서도 또 다른 우선분야였지만 에티오피오티아의 농촌개발정책에서는 그렇지 않았다. 우리는 에티오피아가 농촌 생활 개선 노력에 적응할 수 있는 몇가지 교훈을 제안한다. Rural life improvement has remained a key policy concern for the governments of most developing countries. However, developing countries mostly focused on agricultural productivity and technology development while implementing rural development policies. This paper was aimed at constructing the trends and identify the major tasks implemented through the rural life improvement programs in Korea and describing rural development efforts in Ethiopia after the Second World War. The data was generated through an intensive review of literature and focus group interview in Korea. The two countries in general and their rural areas in particular, were poor and almost similar initially. While the condition of rural Korea rapidly transformed since 1960s, rural Ethiopia has not yet experienced major improvement. Although different rural development efforts have been made in Ethiopia, erratic policies implemented by the different political regimes across time emerge to be one of the main factors behind the poor performance of the of the rural sector. Further, while the Korean government’s rural development policy gave equal emphasis to improvement of agricultural production base as well as rural life improvement right from its inception, the Ethiopian rural development policy has rather neglected the rural life improvement aspect. Diversification of rural economy was also another priority area in Korea’s rural development policy through agro-processing, rural tourism, and non-farm employment opportunities whereas this has not been the case in Ethiopia’s rural development policy. We suggest some lessons that Ethiopia might adapt for its rural life improvement endeavors.

      • KCI등재

        농촌의 내생적 발전을 위한 전통지식 개발전략

        박덕병(Park Deog Byeong) 한국농촌사회학회 2003 農村社會 Vol.13 No.2

        내생적 발전을 통한 농촌개발의 접근방법은 전통지식을 이용하여 농촌개발의 자원으로 변형시키는 전략을 공통적으로 가지고 있다. 이러한 농촌개발 전략은 전통지식을 새롭게 인식하고, 재구성하여, 가치화하는 전략을 찾아내는 것으로 요약될 수 있다. 이 연구는 내생적 농촌개발을 전통지식을 개발을 위한 여섯 가지 전제조건과 네 가지 개발전략을 제시하고 있다. 내생적 농촌개발을 위한 전통지식 개발의 전제 조건은 다음과 같다. 첫째, 전통지식을 현대적인 과학지식과 통합하는 것이다. 둘째, 전통지식을 산업체와 연계하여 상품화하는 것이다. 셋째, 국가의 제도 속에서 전통지식을 권리화하는 것이다. 넷째, 전통지식을 농촌관광 과 같은 측면에서도 도시 소비자를 유인할 수 있는 자원으로 개발하는 것이다. 다섯째, 환경농업을 통하여 전통지식의 개발하고 보존하는 것이다. 여섯째, 지역사회 주민이 전통지식개발 과정에 주체적으로 참여하여 권리의 주체화 과정을 경험하는 것이다. 내생적 발전을 위한 전통지식개발의 네 가지 전략은 다음과 같다. 첫째, 지역의 문화나 전통지식을 직접적으로 연결시키는 직접적인 상품화 전략이다. 상품화 전략은 생산물 속에 지역의 전통문화나, 전통지식을 내재시키는 것에 초점이 있다. 둘째, 외부에 지역의 정체성을 구성하여 분출시키는 전략이다. 이것은 기존의 조직(지방정부, 각 개발주체)과 새로운 협력 구조를 형성하는 것을 통하여 이루어진다. 두 번째 전략에서는 누가 사업전개 과정에서 주도권을 갖는가가 매우 중요하다. 셋째, 농촌지역의 새로운 주체, 즉 지역사회, 비즈니스, 집단, 공공조직이 그들 스스로 내부적으로 상품을 판매하는 공공소비 전략이다. 넷째, 지역의 문화나 전통지식의 경제적인 가치추구에 대한 규범적인 역량을 구축하는 전략이다. 이 전략은 지역의 물리적인 자원, 토지 이용기술과 윤리, 친밀한 지역사회 공동체 등에 있어서 자립성을 강조하는 것으로, 지역운동과 연관되어 있다. 그동안 우리나라의 전통지식 개발은 앞에서 제시한 전략들 중 지역적인 기반없이 생산된 생산물 속에 지역의 전통문화나, 전통지식을 내재시키는 것에 초점이 있는 첫 번째 전략 위주로 치우쳐 있었다. 앞으로 우리나라의 전통지식 개발전략도 첫 번째 전략과 두 번째 전략을 동시에 추구해야 할 것이다. 첫 번째 전략이 가장 단순하고 초보적인 수준에서 이루어지는 것으로 문화의 상품화와 관련된 영역인 반면, 두 번째와 세 번째는 내생적 농촌개발과 직접적으로 연관되는 전략들이다. Rural development policies have adapted with more emphasis on endogenous development through traditional knowledge. Endogenous development such as culture economy and actor network theory can be understood as strategies to transform traditional knowledge into resources available for the rural development, i.e., the recognition, construction and valuorization of traditional knowledge. New rural development theories place an emphasis on the changing relationship of territory and function and on the social construction of regional systems of production. This article outlines the evolution of research perspectives about development strategics for traditional knowledge and its relationship to endogenous rural development. As a results, I would suggest that there are six presuppositions and four strategics for the rural development through traditional knowledge as a endogenous development in Korea. The stakeholders for rural development should realize that traditional knowledge could serve as a catalyst for the much desired agricultural and rural development. There are six presuppositions for the development of traditional knowledge: integrating traditional knowledge and scientific knowledge, commodifying traditional knowledge with industrial sector, intellectual property of indigenous knowledge, being attractiveness related to rural tourism, developing and preserving traditional knowledge through organic farming, community participation in development process. The increased interests in traditional knowledge of local farmers among development planners are that rural communities are continuously transforming local and traditional knowledge into strategies and practices they can use for their endogenous development. There were four strategics to develop traditional knowledge for endogenous rural development. First, it is the encapsulation of traditional knowledge within products. Second, it occurs as the construction and projection of traditional knowledge to the outside. Third, it emphasizes territorial strategies to promote public spending but now the new territorial initiative is engaged in selling itself internally. Fourth, it emphasizes the normative capacity of the culture economy which has a sense of reconstructing the state economy model at the local` and regional level. Whereas the first strategics relates directly to the commodification of cultural Image and traditional knowledge. Second and third strategics relate closely to endogenous rural development.

      • KCI등재

        농촌개발을 위한 역동적 지역사회개발모형 연구

        이성우(Lee Seong U),권오상(Kwon O Sang),이호철(Lee Ho Cheol) 한국농촌사회학회 2003 農村社會 Vol.13 No.1

        본 연구는 국제화와 지방화라는 국내외적인 변화에 따른 새로운 농촌개발모형 정립의 필요성을 바탕으로 새로운 한국의 농촌지역개발전략 및 개발모형을 정립하였다. 본 연구에서 제시된 모형은 지방화의 여건에 부합하는 내생적 농촌지역개발의 수립을 위해 지역의 역동적 방향성에 근거한 틈새시장의 개발 및 다양한 형태의 협력체계의 구축을 주요 내용으로 하고 있다. 본 연구의 실증분석에서 드러난 수도권의 지역성향은 1990∼2000년의 10년 간 급진적 변화가 이루어진 지역은 없는 것으로 드러났다. 이것은 지역의 변화정도가 약 10년 간의 기간으로 추정하기에는 미흡한 측면이 있다는 점과 1990년대의 변화가 이전에 기 구축된 지역의 변화를 수반하지 못한 연유로도 판단된다. 1970∼1980년대의 자료를 가지고 분석할 경우 지역의 변화가 더욱 가시적으로 드러날 개연성이 있으나 현재 한국에서 이러한 시기의 자료를 획득하는 것은 거의 불가능한 것으로 드러났다. 1990년대의 경기북부 접경지역을 중심으로 한 서울, 인천, 경기지역의 35개 시·군을 대상으로 지역성 분석을 실시한 결과, 접경지역의 대부분은 농촌형 토지이용에 적합한 제4유형에 속한 것으로 나타났다. 叫라서 경기북부 접경지역은 농촌형 토지이용에 강점을 살려 이에 맞는 농업분야에서의 소득 유망작목의 재배가 이루어져야 할 필요가 있는 것으로 판단된다. 본 연구에서 제시된 새로운 농촌개발모형은 단순히 농업의 생산성제고를 기반으로 한 전통적 농촌개발방식을 지양하고 농촌의 특성에 맞는 특화산업의 개발과 새로운 산업의 공간적 재배치, 그리고 다양한 형태의 협력체계 구축을 통한 자생력 있는 농촌지역사회의 유지를 그 기본적인 발전방향으로 삼고 있다. 본 연구에서 제시하고 있는 개발모형은 특히 농촌지역의 역동적 방향성의 설정에서 정립된 것으로, 정적인 틀 속에서 마련된 지난 40여 년 간의 농촌개발모형을 대체할 수 있는 새로운 모형으로 자리 잡을 수 있을 것으로 여겨진다. 이러한 모형의 실행 계획으로의 반영은 세계화에 따른 국경 없는 전쟁을 펼쳐나가야 할 한국의 농촌개발의 방향정립에 있어서 시급히 실천전략으로 반영되어져야 할 것으로 보인다. Based on the experiences of rural development strategies in advanced OECD countries, the present study presents a conceptual model of the dynamics of Korean rural communities, incorporating such various development concepts as partnerships, and contingency nature of rural communities. Along with the niche market development, the present study found that ensuring co-ordination between different levels of government is critical in the development process of rural areas in advanced OECD countries. This study particularly argues that incorporating dynamic nature of rural community is vital to construct desirable future of rural community and to predict the future images of rural areas. The study also argues that increasingly, successful and innovative partnerships among the public, private and voluntary sectors will be a key to the integration of Korean rural economies in the global market era. Finally, the present study argues that rural areas must participate in national economic growth if the overall economy is to effectively exploit its potential, and the well-being for both rural inhabitants and other citizens is to be assured, since economically viable and environmentally healthy rural areas are an indispensable component of balanced national development.

      • KCI등재

        주민조직 기반형 농촌지역개발정책시스템 구축에 관한 시론

        윤원근 ( Won Keun Yoon ) 한국농촌지도학회 2013 농촌지도와 개발 Vol.20 No.4

        이 연구는 농촌지역사회의 주민조직을 기반으로 하는 새로운 농촌지역개발추진 정책 시스템(주민조직 기반형 농촌지역개발정책)을 구축하고자 하는 것으로, 현재까지 관행적으로 시행되고 있는 기존의 농촌 공간단위를 기반으로 하는 농촌 지역개발시스템(공간 기반형 농촌지역개발정책)을 보완하거나 대체하는 데 목적이 있다. 특히 농촌 공간 기반형 정책의 근거 가설이라고 볼 수 있는 ‘농촌마을은 소우주이고, 농촌마을이 농촌지역을 대표한다는’주장은 더 이상 유효하지 않다는 점을 강조하고자 한다. 농촌마을에 있어서의 경제적, 사회적 및 공간적인 공동성은 이미 약화되거나, 퇴색되고 있다. 또한 농촌공간 만을 주된 농촌지역 개발의 정책대상으로 할 경우, 현시점에서 제기되는 새로운 정책수요와 정책 환경의 변화를 효과적으로 반영할 수 없다. 이 연구는 농촌공간을 기반으로 하는 정책이 아닌, 농촌지역사회의 주민조직을 기반으로 하는 정책을 추진하는 것이 필요하고 경우에 따라서는 더 바람직하다는 점을 지적하고 있다. 이러한 정책은 이미 EU의 대표적인 농촌개발정책인 리더프로그램이나 일본 등의 마을만들기 정책에서 시행되고 있으며, 많은 효과를 거두고 있고 현실적으로 주민참여를 가능하게 하는 프로그램으로 인식되고 있다. 주민조직체에 기초한 농촌지역개발정책시스템을 도입할 경우 다양한 조직체의 참신하고 전문적인 정책구상을 수용할 수 있고, 마을공간의 범위를 넘어선 농촌자원을 기초로 협력할 수 있는 정책추진 공간단위의 유연성을 아울러 가져올 수 있다. 여기서 제안하는 주민조직은 지역사회의 발전과 활성화를 위해서 계획의 수립, 실천 및 주민역량강화를 실제로 수행하는 기능을 담당하는 다양한 조직으로서 ‘주민협의회’로 명명하고, 주민협의회를 지원할 수 있는 중간조직을 만드는 것을 주 내용으로 하고 있다. 중간조직은 지역의 여건에 따라서 주민주도 또는 행정주도 등의 다양한 형태가 가능할 것으로 보인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stablish a new rural development policy system based on the unit of a community organizations. This study is to complement or replace the existing rural development system which is based on the unit of rural villages. The communalism which is the core concept of traditional rural villages has been weakened or destroyed. Especially, economic, social and spatial communalism of a rural villages has been weakened rapidly in the process of industralization and urbanization for the last 50 years. This means that strong communalism inside rural villages and neighborhood independence from each others among rural villages are already weakened. Rural villages no longer represent rural area, unlikely the hypothesis policy makers have been used to set up rural development policies. Advanced countries like EU and Japan are well known to have a rural development policy based on the units of social organizations in the rural area. These policies have been on the main stream in the era of local decentralization. Rural resident`s organization made rural site`s development plan using local assets and submitted to the public sector. Then the public sector examine its value and possibilities as a rural development projects. And public sector finalize the decision on subsidy grant. These policy patterns are already introduced partly in the field of urban development programme as well as rural development programme. It is time to apply those policies more widely and to examine more systematically.

      • KCI등재

        아시아 주요국 농촌개발 프로그램과 비교를 통해본 새마을운동의 보편성과 특이성 - 한국, 일본, 대만의 사례를 중심으로 -

        김완중 영남대학교 중국연구센터 2022 중국과 중국학 Vol.- No.47

        본 연구는 일본과 대만의 농촌개발프로그램 분석을 통해 1970년대 한국의 대표적인 농촌개발프로그램이었던 새마을운동의 보편성과 특수성을 파악하고자 했다. 분석결과, 3국의 농촌개발프로그램은 성격측면에서 유사하였다. 즉 3국에서 실시된 농촌개발프로그램 내지 운동은 1950 년대부터 UN이 주도적으로 권고한 지역사회개발사업에서 출발했을뿐만아니라, 각 국가의 프로그램 수립과 수행과정 그리고 그 내용을 볼 때 지역사회개발사업의 성격이 매우 강했다. 또한 한국의 1970년대 농촌 새마을운동이 농촌지역의 종합개발사업으로 추진되었듯이 60년대∼70년대 일본과 대만에 있어서도 명칭은 달랐어도 다양한 농촌 종합개발프로그램들이 실행되었다. 이 점 역시 공통적이라 할 수 있다. 다만 한국의 경우 1970년대 새마을운동 당시 농업정책과 농촌지역개발사업을 대부분 ‘새마을사업화’하고 통합적으로 추진하고자 했다는 점에서 차별적이라 할수 있다. 또한 농촌개발프로그램 내지 운동의 추진에 있어 정부조직뿐만 아니라 농협이 중요한 역할을 수행한 점도 3국에 있어서 공통적이었으나, 그외 관련 조직에 있어서는 국가별로 다소 차이가 있었다. 뿐만 아니라 프로그램 또는 운동에 대한 주민참여에 있어 자발성 여부에도 국가별 및시대별로 차이가 있었는데, 30년대 일본, 60-70년대 대만, 그리고 70년대 한국은 동원방식이었는데 반해 전후(戰後) 일본의 경우 자발적 참여에 기초하였다. 1970년대 한국 농촌 새마을운동은 마을간 경쟁유발, 새마을지도자에 대한 부가혜택 및 사회인지도 제고를 통한 새마을지도자의 적극성 유도, 그리고 미참여자에 대한 금전적 및 비금전적 징벌이 운동 참여의 인센티브로 작용했다. 형태는 다르지만 일본과 대만의 경우에 있어서도 품평회, 우수마을 포상 등을 통해 주민간 및 마을간 경쟁을 유도했다는 점에서 이 역시 한국 새마을운동만의 고유한 것이었다고 할 수는 없겠다. 또한 새마을운동과 일본과 대만의 농촌지역개발프로그램에서 교육 내지정신교육을 강조한 점도 그리고 새마을지도자 및 농촌중견인물의 역할을 강조한 점도 동일하였다. 마지막으로 전후 3국의 농정 및 농촌개발프 로그램 내용과 실행에 있어서 UN과 미국으로부터의 기술적 및 재정적 지원이 중요한 역할을 했다. 이상을 종합할 때 1970년대 한국의 농촌 새마을운동은 한국만의 고유한 운동이었다기보다는 일본 및 대만에서도 추진된 보편적인 농촌 지역사회개발 프로그램의 성격이 강했다고 할 수 있겠다.

      • KCI등재

        농촌지도직공무원의 전문능력 개발 체계

        김진모,주대진,곽지훈 한국농·산업교육학회 2006 농업교육과 인적자원개발 Vol.38 No.1

        The purposes of this study were 1) to set up the career development stages of rural extension workers, 2) to identify the roles and competencies needed to perform their roles, and 3) to suggest approaches to their professional development. This study was mainly carried out through literature review, expert panel workshop, benchmarking, and a survey. As the result of this study, the career development stages of rural extension workers were set up in three levels, which were divided into a general stage including an entry level, professional stage, and consulting stage. Also, the eleven roles required for rural extension workers and five competencies needed to perform their roles were derived. These five competencies consisted of twenty-nine sub competencies. Finally, several development strategies that can be derived from educational experience and job experience were suggested as the approaches to professional development of rural extension workers. To practically utilize the result of this study, the following measures should be taken. First, organizational and institutional supports should be made for professional development of rural extension workers rather than relying solely on personal endeavor. Second, the structure of regional agricultural technology centers should be reorganized. Third, the development and application of the various approaches to professional development of rural extension workers should be implemented. 이 연구의 목적은 우리나라 농촌지도직공무원의 전문능력 개발 체계를 만드는데 있었다. 이를 위해 농촌지도직공무원을 육성하기 위한 직업 경력단계를 설정하였고, 농촌지도직공무원의 경력단계별로 요구되는 역할과 역량을 구명하였다. 또한, 농촌지도직공무원의 직업적 전문성 개발을 위한 다양한 방안을 모색하였다. 이 연구는 주로 문헌분석과 전문가 협의회, 벤치마킹, 전문가 의견조사를 통해 이루어졌다.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먼저 우리나라 농촌지도직공무원의 경력개발단계는 일반 지도단계, 전문 지도단계, 농업기술 컨설팅단계의 3단계로 설정하였다. 또한, 우리나라 농촌지도직공무원이 주로 수행해야 할 11개의 역할과 29개의 하위역량으로 구성된 5개의 역량군을 도출하여 각 경력단계별로 요구되는 역할과 역량을 구명하였다. 마지막으로, 농촌지도직공무원들의 전문능력 개발을 위해 교육경험과 직무경험을 활용한 전문능력 개발 전략들을 모색하였다. 이 연구의 결과가 실제적으로 활용되기 위해서는 다음과 같은 지원과 노력이 뒤따라야 한다. 첫째, 우리나라 농촌지도직공무원의 전문성 개발을 위해서는 본인들의 노력이 필요할 뿐만 아니라 조직적제도적 지원이 뒤따라야 한다. 둘째, 우리나라 농촌지도기관의 조직개편이 필요하다. 셋째, 농촌지도직공무원의 전문성 개발을 위한 다양한 방법들을 개발하고, 이를 실천하려는 노력이 필요하다.

      • KCI등재

        국제개발협력 정부기관 비교 연구 - 6개 원조공여국의 농촌지도를 중심으로 -

        백숙희 ( Sookhee¸ Baek ),임형백 ( Hyung Baek¸ Lim ) 전남대학교 지역개발연구소 2020 지역개발연구 Vol.52 No.2

        농촌지도(rural extension)는 전 세계의 많은 국가에 존재하는 정부기관이다. 농촌지도는 오랜 역사를 가지고 있고, 많은 원조공여국과 원조수원국에 존재한다. 농촌지도는 국제개발협력에서 중요한 농업기관이다. 한국에는 일제강점기에 도입되었고, 현재에도 농림축산식품부 산하 농촌진흥청의 주요 기능 중 하나로 남아 있다. 이 논문은 대표적인 6개 선진 원조공여국의 농촌지도를 비교·연구하였다. 농촌지도는 거의 4천년 동안 진화되어 왔지만, 현대적 농촌지도는 1874년 아일랜드에서 탄생했다. 지도(extension)이라는 용어도 영국에서 처음 사용되었다. 이렇게 탄생한 농촌지도는 제2차 세계대전, 즉 1950년대 이전에 전 세계로 확산된 농촌개발 모델이다. 제2차 세계대전 전에는 영국, 프랑스 등의 유럽의 각국들이 제국주의 하에서 아프리카, 아시아 및 라틴아메리카의 여러 나라들을 강점하여 농촌지도사업을 실시한 경우이다. 제2차 세계대전 이후에는 UN, 미국 등을 통하여 전 세계로 확산되었다. 따라서 일반적으로 제3세계의 근대적 농촌지도사업의 역사를 논할 때는 제2차 세계대전을 기점으로 삼아 그 이전과 이후로 나누고 있다. 그러나 농촌지도는 농촌개발모델이지 농촌개발 이론은 아니다. 농촌개발 이론은 제2차 세계대전 이후 1950년대부터 등장하기 시작했다. Rural extension has a long history and exists in man donor countries and recipient countries. Rural extension is an important government organization for international development cooperation. This papers is a comparative study of representative 6 donor countries. Modern rural extension was born in Ireland in 1874. Rural extension is rural development model which spread all over the world before World War Ⅱ, or 1950. Before World War Ⅱ, European countries, such as Britain, france, and other countries conducted rural extension in colonies in Africa, Asia and Latin America under imperialism. After World War Ⅱ, rural extension spread all over the world through the United States and United Nations(UN).

      • KCI등재

        농촌지역개발사업 지원과 농촌마을의 브랜드자산 및 농촌마을의 사회경제적 효과의 구조적 관계

        이병준(Byung-Jun Lee),안동섭(Dong-Seop Ahn),백승우(Seoung-Woo Back) 한국콘텐츠학회 2020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Vol.20 No.3

        본 연구에서는 농촌지역개발사업 지원과 농촌마을의 브랜드자산 및 농촌마을의 사회경제적 효과의 구조적 관계 간의 구조적 관계를 분석하는 것에 목적을 두었으며, 이를 위해 농촌지역개발사업 지원을 받고 있는 전라북도 농촌마을주민들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수집된 설문자료는 구조방정식모형분석과 Sobel-test를 통해 구조적 관계를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생활환경 개선사업, 소득기반 조성사업, 농촌관광시설사업, 지역역량교육사업 지원이 농촌마을의 브랜드자산에 유의한 정(+)의 영향을 나타내었다. 그리고 농촌마을의 브랜드자산은 농촌마을의 사회경제적 효과에 유의한 정(+)의 영향을 나타내었다. 또한, 생활환경 개선사업, 마을경관 개선사업, 소득기반 조성사업, 농촌관광 시설사업, 지역역량교육사업 지원 모두 농촌마을의 사회경제적 효과에는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는 않았으나, 농촌마을의 브랜드자산을 매개로 하여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를 통해 농촌마을 지역개발전략에 있어서, 농촌마을의 브랜드자산 및 사회경제적 성과에 미치는 영향 요인을 도출하였고, 농촌지역개발사업의 적극적인 지원의 역할 및 중요성을 제시하였다는 점에서 본 연구의 의의를 찾을 수 있다. The objectiv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relationships among support for farm village development work, farm villages brand equity and social and economic performance. The questionnaire was performed for 380 villagers in Jeollabuk-do Province. The surveyed data was analyzed by structural equation model analysis and Sobel test. Support for farm village development work such as living environment improvement project, income foundation creation project, rural tourism facilities project, and regional competency education project showed statistically significant positive effects on the farm villages brand equity. The farm villages brand equity also showed a statistically significant positive effect on the social and economic performance. The support for farm village development work such as living environment improvement project, village landscape improvement project, income foundation creation project, rural tourism facilities project, and regional competency education project showed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effects on the social and economic performance. But, they showed statistically significant effects on the social and economic performance in indirect manner with the mediating effect of the farm villages brand equity. In this study, the effect factors on the farm villages brand equity and social and economic performance was verified in farm village development strategy, and then, it is meaningful to present the role and importance of support for farm village development work.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