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노인주거복지법에 관한 소고

        김현수 대구과학대학교 국방안보연구소 2018 사회융합연구 Vol.2 No.1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hat enlightingments of the aging because society's playing to reduce the elderly dependency Increase and old class income secreaty or diseasing securities is becoming a difficult social problem, all sorts of senile diseases increased and the elderly raising difficulties made by the increased the elderly of the seriousness of these problems. To perfect the social security against the social risks it becomes on the one another necessary to provide elaborate systems of coordinations in the fields of social securities. It must be pursued on the dimensions if law as well as policies. On the other hand national commitments if social security benefits must be comparatively analysed to have implications for the national legislations. It becomes one of the most important facts that prepare for the advanced elderly societies which are the law of elderly man welfares and policies are divided into an employment guarantee policies, an income guarantee policies, a welfare policies. To complete the social security these are on the one hand necessary to provide an perfect systems of coordinations in the fields of social securities. It must be done 본 연구의 목적은 고령사회가 아니라도 노인복지 문제는 존재한다. 다만 고령사회에서의 노인복지는 양적측면에서 증가할 수밖에 없고 질적 측면에서도 복지내용이나 성격을 달리 할 수밖에 없는 것이다. 특히 노인을 위한 복지수준이 제한적이어서 실질적인 도움을 주지 못하고 있으며, 노인들이 주거생활을 영위하는데 어려움을 겪고 있다. 또한 여러 노인시설이나 인력에 대한 관리의 미흡 등 체계화되지 못한 부분이 산재되어 있다. 따라서 이제 우리나라의 현실적인 문제에 맞는 노인복지제도를 구축하기 위한 문제점을 분석하여 법제도적 대응방안이 필요하다. 또한 노인들을 위하여 생활서비스 연계, 활동지원 등 노인서비스를 제공하도록 함으로써 노인의 복지증진에 기여할 필요가 있다. 헌법 제34조 제4항은 “국가는 노인과 청소년의 복지향상을 위한 정책을 실시할 의무를 진다”고 규정하고 있다. 헌법 제35조 제3항은 “국가는 주택정책개발을 통하여 모든 국민이 쾌적한 주거생활을 할 수 있도록 노력하여야 한다”고 규정하고 있다. 노인복지법 제8조에서는 “국가 또는 지방자치단체는 노인의 주거에 적합한 기능 및 설비를 갖춘 주거용시설의 공급을 조장하여야 하며, 그 주거용시설의 공급자에 대하여 적절한 지원을 할 수 있다”고 규정하고 있다. 이는 이러한 헌법정신을 확인한 것이라 할 수 있다.

      • KCI등재

        노인요양시설 노인의 시설 거주경험에 관한 연구

        차수연(Sooyoun Cha),허준수(Junsoo Hur) 한국콘텐츠학회 2021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Vol.21 No.5

        본 연구는 노인요양시설이라는 사회적 돌봄 환경에서 노인의 시설 거주경험은 어떠하며 그 의미는 무엇인지에 대하여 심층적으로 탐색하고 시설거주 노인의 질적 돌봄을 위한 가족과 사회의 역할, 사회복지적 실천 방안을 모색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서울, 인천, 그리고 경기 지역에 위치한 노인요양시설 4곳에서 거주하는 남녀노인 8명을 대상으로 심층면담과 참여관찰을 실시하여 질적 연구 자료를 수집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Giorgi의 현상학적 연구 방법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노인요양시설 노인의 시설 거주경험에서 33개의 의미단위, 14개의 하위 구성요소, 그리고 4개의 상위 구성요소가 도출되었다. 상위 구성요소 4개는 「무너진 나의 존재」, 「낯선 환경 속에 던져진 삶」, 「불편함과 고마움이 공존하는 새로운 관계」, 「찾고 싶은 나의 삶」으로 도출되었으며 이 중에서 「찾고 싶은 나의 삶」이 노인요양시설 노인의 시설 거주경험의 본질로 나타났다. 본 연구를 통하여 노인의 시설입소 준비 프로그램 제공 환경 마련, 다양한 가족참여 프로그램 개발 및 활성화, 지역사회 거주를 지속할 수 있는 조건 마련, 그리고 지역사회 자원 연계 프로그램 개발 및 활성화 방안 등을 제언하였다. This study was conducted to explore the experience and its meaning of the elderly residents in long-term care facilities(LTCFs). It is aimed to find the role of family and society for the qualitative care of elderly living in LTCF and to seek social welfare measures. For this purpose, qualitative research data was collected by conducting in-depth interviews and participation observations on 8 elderly residents at 4 LTCFs in Seoul, Incheon, and Gyeonggi Province.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using Giorgis phenomenological research method. The analysis results show that 33 semantic units, 14 subcomponents, and 4 upper components. The 4 upper components showed up as「Crumbling my existence」,「The life thrown into an unfamiliar environment」,「New relationship where discomfort and gratitude coexist」 and 「My life I want to find」. Among them,「My life I want to find」 was the essence of the living experiences of elderly residents in LTCF. Through this study, it was suggested creating an environment to provide facilities access preparation program for the elderly, developing and activating various family participation programs, providing conditions of Aging in place for the elderly, and developing and activating community resource linkage programs.

      • KCI등재

        노인부부가구ㆍ노인독신가구의 사회적 지지가 삶의 질에 미치는 요인에 관한 연구

        안경숙(Ann, Kyung Sook) 한국노년학회 2005 한국노년학 Vol.25 No.1

        본 연구는 부산광역시에 거주하는 65세 이상의 부부가구 노인 122명과 독신가구 노인 111명을 대상으로 노인부부가구와 노인독신가구의 사회적 지지와 삶의 질을 살펴보고, 사회적 지지가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력을 알아본 실증적 연구이다. 사회적 지지는 자녀, 친척, 친구ㆍ이웃으로부터 받는 정서적 지지와 도구적 지지에 대해 알아보았고, 삶의 질은 노인이 주관적으로 느끼는 신체적, 심리적, 경제적, 사회적 측면에서 살펴보았다. 그리고 사회인구학적 특성변인과 단독가구 관련 특성변인을 통제한 후 사회적 지지가 삶이 질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상대적 중요성을 탐색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노인부부가구보다 노인독신가구인 경우 여성노인과 고령인 비율이 많았고, 교육을 포함한 전반적인 생활수준이 낮았다. 자녀와 동거하지 않는 이유도 노인부부가구는 노인의 자발적인 의사인 비율이 높았으나 노인독신가구는 자녀와의 관계에서 오는 이유가 컸다. 둘째, 노인부부가구가 노인독신가구보다 다양한 지지체계로부터 사회적 지지를 많이 받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노인이 주관적으로 느끼는 삶의 질도 노인독신가구보다 노인부부가구가 높았다. 넷째, 사회적 지지가 삶의 질에 중요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는데 노인부부가구는 자녀의 정서적 지지가, 노인독신가구의 경우 친척의 정서적 지지, 자녀의 도구적 지지가 중요 요인임을 예측할 수 있었다. This study is to examine on the quality of life and social support among married couples and single households who are more than 65 years old. The final sample consisted of 122 cases of married couples and 111 cases of single households which have resided in Busan Metropolitan City. In this study, two major aspects of social support was considered: emotional support and instrumental support. The quality of life was examined by the following four areas: physical, psychological, economical, and social aspects. The major finding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the single households showed lower level of the standard of living than the elderly married couples. They showed higher mean age, and lower level of educational attainment than the married couples. The female elderly were more likely to be found among the single households than the married couples. Second, the elderly married couples were more likely to receive social support from the diverse sources of support systems than the elderly single households. Third, the elderly married couples were also higher in the quality of life than the single households. They tend to be more satisfied with the subjectively-perceived quality of life than the single households. Finally, the relative strength of factors affecting on the quality of life were different the elderly married couples from the single elderly. In the elderly married couples, emotional support from adult children, gender, and the residential conditions were the most significant factors in improving the quality of life. However, in the single elderly, emotional support from the relatives, instrumental support for adult children, educational attainment, and the residential conditions were important determinants of the quality of life.

      • KCI등재

        노인미술치료 프로그램개발을 위한 기초연구

        정여주(Chung, Yeo-Ju) 한국노년학회 2005 한국노년학 Vol.25 No.1

        본 연구는 노인 건강증진 방안으로 노인미술치료 프로그램을 연구, 수행하여 개발가능성과 활용방안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하였다. 프로그램 연구는 2003년 (주)대교연구센터의 <노인미술치료 프로그램 개발연구> 과제를 근거로 하여, 노인의 심리적 갈등 및 정신장애를 예방하고, 정신신체 질병상태를 경감하거나 회복 하는데 목적을 두었다. 일차적으로 미술치료사 7명이 본 연구자가 구상한 14주 분량의 미술치료프로그램을 노인 병원, 실버타운, 노인 요양원, 노인복지관에 있는 평균 연령 72세의 노인 44명(남 6명, 여 38명)들을 대상으로 2003년 1월 28일부터 3월 15일까지 실시한 후에, 본 연구자가 작성한 15문항 평가지에 수행평가를 하였다. 결과분석은 관찰, 녹화 및 작품과 회수한 평가용지를 토대로 이루어졌다. 결과에 의하면 노인미술치료 프로그램은 건강하거나 병이 있는 노인집단 모두에게 심리적, 신체적으로 유용하였다. 참여자들은 정서표출, 삶의 수긍과 정리와 집단원간의 상호활동 기회를 가졌다. 프로그램 단계, 기법 및 매체의 구체적 제시가 유용하였으며, 특히 자연물 매체, 시각과 촉각 자극 프로그램은 치매노인들에게 도움이 되었다. 그러나 재료와 기법의 단순화와 집단의 특성에 맞는 프로그램 개발 필요성이 더 제기되었다. 이차로 프로그램 재검토와 활성화를 위하여 일차 프로그램을 수정하여 노인시설 종사자 및 노인 관련학과 대학생들에게 워크숍을 실시하였다. 종료 후, 참가자들에게 프로그램 만족도를 조사한 결과, 신뢰도는 Cronbach α 값이 .87이고 만족도는 평균 4.46, 표준편차는 .62로 비교적 높게 나타났다. 노인집단과 노인관련 종사자에게 프로그램을 적용한 결과, 본 프로그램은 노인의 정신건강, 감각운동과 정신신체 건강을 위한 기초연구 자료로 적용될 수 있다는 보여주었다. 그러나 본 연구는 시간제약으로 집단마다 전 단계 프로그램을 실시하지 못하여, 전체 프로그램 적용의 효과성과 문제점을 검증하는데 무리가 있어 일반화에 한계가 있다. 이와 관련하여 노인미술치료 프로그램의 전 과정적용과 집단특성을 분류하여 적용하였을 때의 효과에 대한 연구가 후속 과제가 된다. 또한 프로그램 적용에 대한 효과검증 척도의 체계적 개발과 노인미술치료 사례발표와 논의가 활발하게 이루어져야 할 필요가 있다고 본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sign art therapy programs with the elderly and to examine the possibility of the practical use and program development. Art therapy programs are based on the prevention of psychological problems and the healing or reduction of psychological or psychosomatic illnesses. Art therapy programs for 44 elderly(men: 6, women: 38)were carried out by art therapists from 28 January to 15 March 2003 in a hospital, a social welfare center and two nursing homes. The results show that art therapy programs gave opportunity to express feelings, inner experiences, self-acceptance and interaction between group members and furthermore stimulated the sensorial motor and physical aspects of the elderly. Additionally the consideration of techniques and materials and the development of a program according to the characteristics of groups are more necessary. To reexamine programs, a workshop was held for the social workers, students and art therapists in April. The participants positively evaluated the practical usefulness of art therapy programs. The next task of artherapy programs for the elderly is to apply the complete activity program to each group and to develop the criterion of the effects more systematically. Furthermore the presentation of the case studies and discussion about the effects and problems of art therapy with the elderly are more imperative.

      • KCI등재후보

        일지역 여성노인의 우울과 인지기능의 관계에 대한 연구

        추수경 ( Su Kyung Chu ),최희정 ( Hee Jung Choi ),유장학 ( Jang Hak Yoo ) 경희대학교 동서의학연구소 2010 동서간호학연구지 Vol.16 No.2

        최근까지 노인의 우울은 인지기능 저하에 영향을 미치는 요 인이라고도 알려져 있는 반면에 인지기능 저하가 있을 때 우울 이 발생할 수는 있지만,인지기능에 영향을 미치지는 않는다고 도 알려져 있어서 이들의 관계에 있어서 상반된 주장이 존재하므로 우울과 인지기능에 대한 연구가 지속적으로 요구되고 있다(Dotson, Resnick, & Zonderman, 2008;Vinkers et al., 본 연구에서 대상자들의 인지기능 총점이 우울한 노인군에 서 우울하지 않은 노인군보다 낮았고, 대상자의 일반적인 특성 중 규칙 적 인 운동 여 부와 연령 에 따라서 우울과 인지 기능이 모 두 차이를 보인 것은 우울과 인지기능의 상호연관성에 의해 나 타났다고 생각된다. 우울과 인지기능의 공통성에 대해서 Yaffe등(1999)은 노년기의 우울과 인지기능 변화는 신경병리적 기전이 유사하고, Cortisil이라는 공통된 호르몬 변화의 Apolipo- protein Eε4와 같은 공통된 유전형질상의 원인이라는 중복된 발생기전으로 설명하였다. 실제 임상상황에서도 치매의 전조 증상으로 우울이 발생할 수도 있고, 저하된 인지기능을 지각하 면서 발생할수도 있으며,신경체계의 병리적 변화로 인해서도 발생할 수도 있어 우울과 치매를 구별하기는 어렵다 (Min et al., 1998) 규칙적인 운동과 연령이 우울과 인지기능에 있어서 중요한 변수라는 것은 운동은 인지기능이나 다른 정신질환을 경감시키거나 진전을 지연시킬 수 있고, 운동 자체가 하나의 스트레스 가 될 수도 있지 만 다른 스트레스원들의 문제를 경 감지 킬 수 있는 방법이라고 한 Deslandes 등 (2009) 의 주장을 지지하고, Granholm, Boger와 Emborg (2008) 77 주장한 연령이 증가 함에 따라 정상적으로 정서상태나 인지기능, 활동능력이 변화 될 뿐만 아니라 병적 진전과정 속에서도 연령 증가는 이러한 요 인들에 영 향을 미 친다는 결과에 의해 지지받는다, 본 연구에서 여성 노인들의 우울점수의 평균은 4. 86士0. 32 (0-15)점이었으나 SGDS 우울절단점 인 8점 이상의 우울 여성 노인은 25명 (20.8%)이었는데,이것은 Kim 등(2008)이 노인복 지관을 이용하는 65세 이상 여성노인에서 29. 4% 의 우울증 유병률을 보고한 결과보다 낮았으나,Cho, Hahm, Jhoo, Bae와 Kwon (1998) 이 보고한 17. 9% 에서 22. 9% 의 도시지역 여성노인 우울증 유병률과는 비슷한 수준이었다. 또한 본 연구 대상자들의 인지기능 점수는 평균 23. 69土0. 35 (15- 30) 점이었으나, MMSE- K 인지기능장애 절단점인 23점 이하 군은61명 (50. 8%)이었고,확정적 인지기능장애 절단점인 19점 이하군은 22명(l8.3%)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대상자의 인 지기능 점수는 Cho등(1998) 이 보고한 도시지역 여성노인의 인지기능장애 유병률 47. 0% 및 확정적 인지기능장애 유병률 15. 4% 와 매우 유사하였으나, 치매라고 의심할 수 있는 확정적 인지기능 장애군이 18. 3% 라는 것은 기존에 알려진 10% 내외의 치매 유병률 (Park, Ko, Ha, Park, & Jung, 1991) 에 비추어 보 아 비교적 높게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본 연구의 대상이 상 대적으로 치매 유병률이 높은 여성만을 대상으로 하였기 때문 에 발생하였다고 생각되고 (Min et al.,1998) , EvanS 등 (1989) 이 미국의 65세 이상노인의 치매유병률로 보고한65- 74세의 인구 군에서는 약 10% 이지만, 75- 84세의 인구군에서 19% , 84 세 이상군에서는 47% 이상으로 치매가 증가한다한 결과를 통 해서 봤을 때, 본 연구에서 75세 이상의 고연령자가 74. 2% 를 차지할 만큼 고연령자 비중이 컸기 때문에 발생한 결과라고 생각된다. 결국 본 연구의 대상자는 우울이나 인지기능면에서 기 존에 보고된 결과들과 비슷한 양상을 보이므로 지역사회에서 생활하고 있는 여성노인과 유사한 성격을 가진다고 생각된다. 우울과 인지기능의 밀접한 연관성과 공통된 발생기전에 근거하여 세부적으로 MMSE- K의 어떠한 영역 이 우울과 연관성을 가지는지 분석하였는데,그 결과 지남력(t= 2.569,p<.05과 기억회상 (t= 3. 303, p<.01) 영역에서 우울군이 비우울군보다 낮게 나타났다.MMSE- K에서 지남력은 시간과 장소에 대한 지남력으로 나눠지고 단기 기억이 온전해야만 응답이 가능하며,기억회상은 단기 기억 검사의 지연성 단어 회상능력과 검사 시기만 다를 뿐 같은 검사이므로 MMSE ``K와 단기 기억 검사 와는 공통된 부분이 많은 것으로 알려져 있다(Cho & Park, 1994) . 따라서 본 연구에서 우울과 관련성이 있었던 인지기능 은 단기 기억 능력으로 생각된다. 단기 기억 능력은 잠깐 동안 정보가 보존된 상태로 부호화되어 저장되기 전까지이며,짧은 시냅스 회로들이 활성화되어 유지된다(Min et al., 1998). 또한 기억회상 능력의 저하는 초기 알츠하이머 환자에서 나타나는 중요한 증상 중에 하나로 알려져 있고, 경도인지장애(Mild cognitive impairment, MCI) 에 서 나타나는 대표적인 증상으로 알려져 있다(Grundman et al.,2004) . 본 연구에서는 우울군의 MMSE ``K 평균평점이 22. 04 土0. 69점으로 23점 이하의 인지기능장애 범위에 포함되므로 우울군의 저하된 단기 기억 능력으로 인해서 인지기능장애가 나타난 것으로 생각된다.그러나 본 연구를 통해서 우울이 인지기능을 저하시키는지 또는 인지기능 저하가 우울을 발생시키는지는 설명하기는 어려운데,이에 대해서 Vinkers 등(2004)은 단지 우울이 있다고 해서 인지기능이 감소하는 것이라기보다는 인지기능의 저하를 지각하면서 우울이 발생하므로 우울은 인지기능 손상에 수반 되는 증상이라고 주장한 반면에 Dotson 등(2008)은 최초 조사 시점에서의 우울은 향후 인지기능 상태와 집중력의 감소를 예측하는 요인이라고 하여 우울이 인지기능 상태를 결정하는 요 인이라고 주장하였다. 또한 Wilson 등(2004)은 높은 수준의 우울은 노인의 인지기능 저하와 분명히 관련성을 가지지만, 우 울이 지각된 인지적 손상에 대한 심리적 반응일 수도 있고, 인지기능 저하의 전조증상일 수도 있다고 주장하여 연구자들 간 서로 주장이 상이하므로 이에 대한 추가적인 논의가 필요할 것으로 생각된다.그러나 본 연구를 통해서 우울이 인지기능을 저하시키는지 또는 인지기능 저하가 우울을 발생시키는지는 설명하기는 어려운데, 이에 대해서 Vinkers 등)2004) 은 단지 우울이 있다고 해서 인지기능이 감소하는 것이라기보다는 인지기능의 저하를 지각하면서 우울이 발생하므로 우울은 인지기능 손상에 수반 되는 증상이라고 주장한 반면에 Dotson 등 (2008) 은 최초 조사 시점에서의 우울은 향후 인지기능 상태와 집중력의 감소를 예측하는 요인이라고 하여 우울이 인지기능 상태를 결정하는 요 인이라고 주장하였다. 또한 Wilson 등 (2004) 은 높은 수준의 우울은 노인의 인지기능 저하와 분명히 관련성을 가지지만, 우 울이 지각된 인지적 손상에 대한 심리적 반응일 수도 있고, 인지기능 저하의 전조증상일 수도 있다고 주장하여 연구자들 간 서로 주장이 상이하므로 이에 대한 추가적인 논의가 필요할 것으로 생각된다. 본 연구에서 드러난 단기 기 억 능력과 우울의 연관성은 Vin-kers 등 (2004) 이 즉각 회상 능력이나 지연회상 능력 같은 단기 기억 능력과 주의력의 손상은 지속적으로 우울 증상을 심화시키는 요인으로 작용한다고 한 주장과 Dotson 등(2008) 이 중증 의 우울증상이 일반적인 인지기능상태와 주의력 및 기억력을 지속적으로 저하시킨다는 주장을 지지한다. 또한 Kim 등 (2008) 의 연구에서 지연회상능력이 우울군에서 저하되었다는 결과를 지지한다. 그러나 Vinker S 등 (2004) 의 연구와 DOtson 등 (2008) 의 연구는 단기 기억 능력 외에도 주의력을 연관된 요 인으로 포함하였는데, 본 연구에서 주의력을 의미하는 주의 집 중 및 계산 능력은 우울하지 않은 노인 (2. 38土0. 18점) 이 우울 한 노인(1.88土0.29) 보다 높게 나타났으나 통계적으로 의미있는 차이를 보이지는 않았다. 본 연구에서 주의력 부분이 의미 있는 결과를 나타내지는 않았지만, Vinkers 등(2004) 의 연구와 DOtson 등(2008) 의 연구는 대규모 인구집단을 대상으로 한 전향적인 연구라는 점에서 그 결과의 신뢰성이 높다는 점과 실제 경도인지장애에서 대표적으로 나타날 수 있는 증상은 기억회상 능력의 저하와 주의력 저하가 보고되고 있다는 점에서 우울을 동반한 인지기능 장애가 있는 대상에게 주의력 저하 증상이 있을 수 있음을 간과해서는 안된 다고 생각한다(Petersen et al,1997). 본 연구에서 지역사회에서 생활하는 여성 노인들을 대상으로 이들의 우울과 인지기능의 관계를 연구한 결과 연령과 규칙 적 인 운동 여부에 따라 공통적으로 우울과 인지 기능 모두 차이를 보였고,우울군에서 지남력과 기억회상 능력과 같은 단기 기 억 능력이 저하되었다.이러한 결과는 인지기능이 저하되면서 우울증상이 동반되는 노인에게 단기 기억 능력이 저하될 수 있음을 의미한다.Bhalla 등(2009) 은 우울 증상을 가진 대상자에게 적절한 치료를 통해 우울 증상을 호전시켰음에도 불구하고 약 50% 에서 인지기능 저하가 계속 관찰되었다고 하면서 우울을 동반한 인지기능 저하 노인에게 우울을 중재한다고 하여서 인지기능이 다시 예전처럼 좋아진다고 보장할 수 없다고 하였는데,결국 이러한 주장은 우울 중재만으로 이미 손상된 인지기능 향상의 가능성이 낮으므로 우울과 인지기능,즉 단기 기억 능력에 대한 복합적 인 간호학적 중재 가 고려 되 어 야 한다고 생각한다.본 연구는 일개 지역 내 편의추출을 통한 10곳의 경로당만을 대상으로 실시하였다는 점과 여성만을 대상으로 했다는 점에 서 연구의 결과를 전체 노인에게 일반화하는 데 제한이 있을 수 있다.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 between depression status and cognitive function in the community female aged. Methods: This was a descriptive study. Data were collected using individual-based interviews from 120 senior female residents in the Hall for the aged in the city of S. The length of time for data collection was from June 18 to 29, 2007. The tool of data collection was Korean Version of Mini-Mental State Examination (Kwon & Park, 1989), Short-form Geriatric Depression Scale (Bae, 1996). Results: Depression & cognition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s according to age, regular exercise. The depression group scored significantly lower than the normal group in total score of cognition, orientation, memory recall. Conclusion: It is necessary to prepare the composite programs, which can improve not only cognition but depression in the community female aged.

      • KCI등재

        치과위생사의 노인구강관리 전문가 교육경험에 따른 노인을 대하는 융합적 태도 관계

        이정화,이유희,윤정원,장경애 한국융합학회 2019 한국융합학회논문지 Vol.10 No.10

        Dental hygienists have received specialist training and experience to identify relationships that affect the attitude towards the elderly dental hospitals, general hospitals, working in a university hospital were survey of 264 people.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elderly oral health specialist education experience and the attitude toward the elderly was influenced by the attitude toward the elderly (r=0.160, p<0.01), the experience of the elderly oral tissue regeneration education was related to the attitude toward the elderly (r=0.178, p<0.01), and feeding and swallowing function training education was positively correlated with the attitude toward the elderly (r=0.173, p<0.01).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develop curriculum in the maintenance training course for the dental hygienists who are experts in oral health care for the elderly, and to develop the curriculum for elderly dental hygiene course in the school education. 노인구강관리 전문가 교육을 받은 경험이 노인을 대하는 태도에 영향을 미치는 관계를 파악하고자 치과병의원, 종합병원, 대학병원에 근무하고 있는 치과위생사를 264명을 대상으로 설문 조사하였다. 통계프로그램은 SPSS win 25.0을 이용하였으며 유의수준은 .05에서 검증하였다. 노인 구강보건지도 교육(p<0.05), 노인의 구강조직 재생 교육(p<0.01), 노인 섭식 연하 기능 훈련 교육(p<0.01)을 받은 유경험자의 노인에 대한 태도 점수는 무경험자보다 높게 나타나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노인구강전문가 교육경험 유무와 노인을 대하는 태도의 상관관계는 노인 구강보건지도 교육경험은 노인을 대하는 태도(r=0.160, p<0.01), 노인 구강조직 재생 교육경험은 노인을 대하는 태도(r=0.178, p<0.01), 섭식 연하 기능 훈련 교육경험은 노인을 대하는 태도(r=0.173, p<0.01)로 정적 상관을 나타내었다. 따라서 노인구강관리 전문인력인 치과위생사들을 대상으로 보수교육 및 노인전문가 과정에 대한 프로그램 개발과, 학교 교육에서도 노인치위생학 관련 교과목이 개설 운영되어야 할 것이다.

      • KCI등재

        치매노인을 위한 빛의 치료적 효과 시각 및 생리학적 기능 - 지원을 위한 치료적 효과를 중심으로 -

        지수인 한국기초조형학회 2016 기초조형학연구 Vol.17 No.2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for making the base of importance of light for demented elderly through the therapeutic effects of light which can be the most special element of importance in a therapeutic setting of dementia nursing facility contributing to create health and the enjoyment of life for demented elderly. Accordingly this study investigates through the internal and external literature examination the characteristics of light as well as the visual characteristics of demented elderly, and then classifies the therapeutic effects of light for demented elderly into both the visual and the physiological therapeutic effect which means that light supports the visual and the physiological function of demented elderly. Particularly the physiological therapeutic effect of light is to clarify through the external literature examination from the 'light therapy' for demented elderly since the 1990s. The results are as below. 1)The demented elderly represented both the general visual characteristics of the aged such as miosis, presbyopia, cataract, glaucoma, age-related macular degeneration (AMD), vision decline, visiospatial decline, reduction of the visual field and color discrimination, and the specific visual characteristics of the demented elderly such as the decline of stereoacuity, contrast sensibility and color discrimination. 2)The therapeutic effects of light for the demented elderly were the visual and physiological effects, and the latter acted as a biological clock supporting the circadian rhythm regulation and Vitamin D synthesis concretely.3)Regarding its visual therapeutic effect light took the effect to prevent fall and to decrease the degree of cognitive impairment like spatial cognition. 4)Regarding its physiological therapeutic effect light reduced the degree of behavioral disorders like sleep disorders and agitation, as well as the psychological disorder like depression. 본 연구의 목적은 치매노인을 위한 시설적 환경이 단순 보호 제공 차원이 아니라 치매노인의 건강을 비롯한 삶의 기쁨 창출에 기여하는 치료적 환경이 될 때 절실하게 요구되는 빛의 중요성을 시각 및 생리학적 기능 지원 중심의 빛의 치료적 효과라는 인식을 통해 마련하는 것이다. 따라서 본 연구는 국내ž외 문헌고찰의 연구방법을 통해 빛과 치매노인의 시각 특성을 이론적으로 고찰하고 우리나라 치매노인을 위한 시설에서 쉽게 간과되고 있는 치매노인을 위한 빛의 치료적 효과를 치매노인의 시각기능 및 생리학적 기능의 지원 중심으로 살피며, 특히 치매노인의 생리학적 기능 지원 관련해 1990년대 이후 치매노인을 대상으로 이루어진 '빛 치료'(light therapy) 관련 국외 문헌자료를 중심으로 빛의 치료적 효과를 밝히고자 했다. 연구 결과를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1)치매노인은 노인성 축동, 노안, 백내장, 녹내장, 노인성 황반 변성, 시력저하, 공간시각저하, 시야축소 및 색채 분별력 쇠퇴라는 고령자에서 나타나는 일반적인 시지각 기능의 노화 특성 외에 치매노인에서 더 특수하게 나타나는 시각 관련 이상증상으로서의 입체시력(stereoacuity), 대비감지력(contrast sensibility) 및 색채분별력(color discrimination)에 대한 감퇴 중심의 시각 특성을 나타냈다. 2)치매노인의 삶의 질적확대에 기여하는 빛의 치료적 효과는 치매노인의 시각 및 생리학적 기능의 지원에 있었으며, 특히 생리학적 기능 지원에서 빛은 치매노인의 일주기리듬 조절 및 비타민D 합성 작용을 지원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3)시각기능 지원과 관련해 빛은 치매노인의 공간인지 장애를 감소시켜 낙상사고를 방지하는 치료적 효과를 나타냈다. 4)생리학적 기능 지원과 관련해빛은 치매노인의 수면장애 및 격앙행동 중심의 행동장애와 우울증 중심의 심리장애를 완화시키는 효과를 나타냈다.

      • KCI등재

        경찰관의 노인에 대한 지식과 태도

        임재강 한국경찰연구학회 2011 한국경찰연구 Vol.10 No.4

        본 연구의 목적은 경찰 공무원의 노인에 대한 지식과 태도를 실증조사하여 경찰관의 노인지식과 태도 향상에 기여하는데 있으며 궁극적으로 경찰의 노인정책 발전과 노인에 대한 경찰서비스 향상에 공헌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는 실증적 조사방법을 채택하여 2011년 2월에 경북지역의 6개 경찰서를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표본 220부를 t검증, ANOVA, 다중회귀분석을 하였다. 분석한 결과를 보면, 경찰관의 노인에 대한 지식은 11.56점으로 정답율 45.34% 이었다. 이는 보건종사자보다 낮은 점수였다. 경찰관의 노인에 대한 태도는 평균 점수 3.77점으로 중립적인 범위였다. 고고령화지역에 근무하는 경찰관이 저고령화지역 경찰관보다 긍정적인 노인태도를 보였다. 결론적으로 경찰관의 노인에 대한 지식과 태도를 개선할 필요가 있다고 지적하였으며 경찰청 차원에서 노인정책에 관심을 갖고 경찰청내 노인담당조직의 신설과 노인정책독트린의 발표, 노인범죄수사과정의 설치, 노인관련 교과목의 편성을 통한 노 인교육의 비중을 높여야 한다고 제안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police officers' knowledge, attitude about the elderly. A survey was conducted from February, 2011 using a structured self- reported questionnaire and 220 responses from the survey were used for the analysis. Data were analyzed by descriptive statistics, t-test, ANOVA. The research findings can be summarized as the following. First, the mean score of the knowledge about the elderly was about 11.56. And the mean score(3.77) of attitude toward the elderly was the standard rate. Second, The practical guidances were recommended to develop education program about the elderly, and change the police officers' cognition and attitude toward the elderly.

      • KCI등재

        고령사회에서의 노인학습망 조성을 위한 핵심가치에 대한 탐구

        이병준(Yi, Byung-Jun),주현정(Ju, Hyun-Jung),김향미(Kim, Hyang-Mi) 한독교육학회 2019 교육의 이론과 실천 Vol.24 No.3

        우리나라는 고령사회로의 이행이 빠르게 가속화되는 가운데 노년기의 학습에 대한 개인적, 사회적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곧 베이버 부머 세대들이 본격적으로 노년세대로 진입하는 등 해가 갈수록 새로운 노인들이 생겨나고 있으나 그에 맞는 교육영역에서의 대응은 여전히 미비하다. 현재의 민간에서 운영되는 노인교실, 노인복지관의 노인대학, 시니어클럽에서 제공되는 직업훈련 및 창업훈련, 중앙정부와 지방정부 차원에서 운영되는 노인인력개발원과 노인취업교육기관들, 일부 노인요양시설들 그리고 대학에서 운영하는 시니어대학 등을 제외하고는 노인을 대상으로 전문적으로 운영하는 교육(프로그램)이 없다. 이러한 상황에서 노인학습자들은 기하급수적으로 증가하는데 비해 공급은 여전히 부족하며 그 마저도 다양한 노인의 요구를 충족시키기에는 어려움이 많다. 이러한 상황에서 노인학습자들의 주체적인 그리고 노인학습자들간의 자발적인 네트워크 기반의 학습이 더 요구된다. 이러한 노인학습망의 조성을 위한 논의는 매우 필요한데 이를 위한 이론적 모형을 제공할 수 있는 것이 Illich의 <학습망>담론이다. 본 연구에서는 국내 노인교육의 공급망 현황을 파악하고 Illich의 학습망 담론은 분석한 후 현장에서 통용가능한 노인학습망 조성을 위한 핵심가치를 논의하여 융합, 연결, 무형식학습, 지역성, 기호망, 존재지향이라는 결과를 도출하였다. The Republic of Korea is rapidly moving into an aging society. Under these circumstances, personal and social interests in learning during the elderly period have been on the rise. The baby-boom generation soon enters the elderly age range, and the number of elderly people keeps rising every year. However, the educational systems for these elderly people are still poor. At present, there are some educational facilities for the aged such as senior classes operated with private funds, elders’ colleges in senior welfare centers, vocational training & startup straining programs at senior clubs, government-run Korea Labor Force Development Institute for the Aged and job training institutes for the aged, some elderly care facilities and senior colleges. Other than the above mentioned, there are no professional educational programs designed for the aged. While the number of elderly learners is rising at a rapid pace, the educational facilities for them are still short. Even the existing facilities are not enough to meet elderly people’s diverse needs. Therefore, there has been a rising demand for learner-led or voluntary network-based learning. In addition, discussion on the establishment of a learning network for the aged is critical. It is Illich’s ‘Learning Web’ theory which can provide a theoretical model for such discussion. This study investigated a current educational network for elderly people in the Republic of Korea and analyzed Illich’s Learning Web. Then, it discussed core values needed to establish a practical learning web for the aged and derived the following results: convergence, connection, informal learning, locality, semiotic net, being orientation.

      • KCI등재

        자녀 없는 노인과 자녀 있는 노인의 삶의 만족도 영향 요인: 생태체계모델을 중심으로

        김성원(Seongwon Kim),이은진(Eunjin Lee) 한국노인복지학회 2024 노인복지연구 Vol.79 No.2

        한국사회는 빠른 고령화 속도, 평균수명의 증가뿐만 아니라 자녀가 없는 노인의 수도 증가하고 있다. 이러한 변화는 노인의 주요한 지지체계였던 자녀의 유무에 대한 새로운 대처가 필요함을 시사한다. 본 연구는 자녀 없는 노인과 자녀 있는 노인과의 비교를 통해 특성 및 삶의 만족에 영향을 미치는 주요 요인들을 생태체계적 관점에서 살펴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한국보건사회연구원 ‘2020년도 노인실태조사’ 데이터 중 자녀 없는 노인 294명, 자녀 있는 노인 9530명 등 총 9824명의 자료를 활용하여 위계적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 결과, 자녀 없는 노인과 자녀 있는 노인의 삶의 만족도는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삶의 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도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최종모형에서 자녀 없는 노인과 자녀 있는 노인에 공통적으로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 개인체계에서는 만성질환 개수와 우울도가 낮을수록, 미시체계에서는 친구⋅이웃⋅지인 교류빈도가 높을수록, 거시체계에서는 사회적 존중 경험이 긍정적일수록 삶의 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 외 자녀 있는 노인의 경우 개인체계에서는 연령, 교육수준이, 미시체계에서는 형제⋅자매 교류 빈도, 가깝게 지내는 친구⋅이웃⋅지인수가, 중간체계에서는 사회활동참여, 자원봉사 참여경험, 여가문화시설 이용경험이, 거시체계에서는 정보제도서비스 인지정도가 유의미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와 같은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연구결과에 대한 함의와 실천적 방안을 제시하였다. In Korean society, not only is the aging rate rapid and the average life expectancy increasing, but the number of the elderly without children is also increasing. These changes suggests that a new approach is needed regarding the presence or absence of children, which was the main support system for the elderly. This study aimed to examine the key factors influencing characteristics and life satisfaction among the elderly with and without children from an ecological systems perspective. To achieve this, hierarchial regression analysis was conducted using data from the “2020 the survey of living conditions and welfare need of Korean older persons” by the Korea Institute for Health and Social Affairs, including 294 the elderly without children and 9530 the elderly with children, totaling 9824 participants. The analysis revealed significant differences in life satisfaction between the elderly with and without children, as well as differences in the factors influencing life satisfaction. In the final model, factors that commonly affect the life satisfaction of the elderly with and without children are the lower number of chronic diseases and the lower levels the degree of depression in the individual system, higher frequency of interaction with friends, neighbors, and acquaintances in the microsystem, and more positive experiences of social respect in the macrosystem. For the elderly with children, additional significant factors included age and education level in the individual system, frequency of interaction with siblings and close friends, neighbors, and acquaintances in the microsystem, participation in social activities, volunteering experiences, and leisure facility usage in the mesosystem, and awareness of information and institutional services in the macrosystem. Based on these findings, implications and practical measures for research results were presente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