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신국론>에 나타난 아우구스티누스의 사회윤리

        문시영 한국기독교사회윤리학회 2018 기독교사회윤리 Vol.41 No.-

        아우구스티누스의 사회윤리에 대해서는 니버와 하우어워스를 비롯한 여러 관 점들이 제시되어 왔지만, ‘내적 성찰’에 집중하지 못했다. 흥미롭게도, 아렌트가 아우구스티누스 비판적 읽기를 통해 사랑 개념의 한계를 주장했지만, 역설적으로 아우구스티누스의 사회윤리 해석의 촉매제가 된다. 사랑 개념이야말로 아우구스 티누스의 내적 성찰의 핵심이기 때문이다. 두 사랑이 두 도성을 이루었다는 아우 구스티누스의 관점은 내적 성찰의 확대적용이라 할 수 있다. 말하자면, 아우구스 티누스의 사회윤리의 특징은 ‘내적 성찰에 기초한 사회윤리’이다. 예를 들어, <고백록>의 내적 성찰에서 비롯된 ‘새로운 시민권’의 추구는 <신국론>에서 ‘하늘의 시민권’으로 연결된다. 나아가, 아우구스티누스의 사회윤리는 순례자의 정체성 인식, ‘화려한 악덕’의 극복, 그리고 제국 속 천국살이 실천의 과제를 제시한다. 무엇보다도, 아우구스티누스의 내적 성찰에 기초한 사회윤리는 순례자의 정체성 을 가지고 탐욕의 시대에 청빈과 절제의 대안을 실천하도록 독려한다. Although there have been many views on Augustine’s social ethics, including Niebuhr and Hauerwas, they have failed to pay attention to ‘inner reflection’ inner reflection. Interestingly, Arendt has claimed the limits of the concept of love through critical reading of Augustine, it paradoxically became a catalyst for the interpretation of Augustine’s social ethics. That is because the concept of love is the core of Augustine’s inner reflection. Augustine’s view that the two loves have made two cities is an expanded application of inner reflection. In other words, the characteristic of Augustine’s social ethics is the ‘social ethics based on inner reflection’ which led the pursuit of ‘new citizenship’ began with Confessions to ‘heavenly citizenship’ of De civitate Dei. In this context, Augustine suggests the tasks of having identity of pilgrims, overcoming of splendid vices, and practicing heavenly values in civitas terrena. Above all, Augustinian social ethics encourages pilgrims to practice alternatives of honorable poverty and temperance in the age of avarice with the identity of pilgrims.

      • KCI등재

        『신국론』에 나타난 아우구스티누스의 사회윤리

        문시영 ( Moon Si Young ) 한국기독교사회윤리학회 2018 기독교사회윤리 Vol.41 No.-

        아우구스티누스의 사회윤리에 대해서는 니버와 하우어워스를 비롯한 여러 관점들이 제시되어 왔지만, ‘내적 성찰’에 집중하지 못했다. 흥미롭게도, 아렌트가 아우구스티누스 비판적 읽기를 통해 사랑 개념의 한계를 주장했지만, 역설적으로 아우구스티누스의 사회윤리 해석의 촉매제가 된다. 사랑 개념이야말로 아우구스티누스의 내적 성찰의 핵심이기 때문이다. 두 사랑이 두 도성을 이루었다는 아우구스티누스의 관점은 내적 성찰의 확대적용이라 할 수 있다. 말하자면, 아우구스티누스의 사회윤리의 특징은 ‘내적 성찰에 기초한 사회윤리’이다. 예를 들어, 『고백록』의 내적 성찰에서 비롯된 ‘새로운 시민권’의 추구는 『신국론』에서 ‘하늘의 시민권’으로 연결된다. 나아가, 아우구스티누스의 사회윤리는 순례자의 정체성 인식, ‘화려한 악덕’의 극복, 그리고 제국 속 천국살이 실천의 과제를 제시한다. 무엇보다도, 아우구스티누스의 내적 성찰에 기초한 사회윤리는 순례자의 정체성을 가지고 탐욕의 시대에 청빈과 절제의 대안을 실천하도록 독려한다. Although there have been many views on Augustine’s social ethics, including Niebuhr and Hauerwas, they have failed to pay attention to ‘inner reflection’ inner reflection. Interestingly, Arendt has claimed the limits of the concept of love through critical reading of Augustine, it paradoxically became a catalyst for the interpretation of Augustine’s social ethics. That is because the concept of love is the core of Augustine’s inner reflection. Augustine’s view that the two loves have made two cities is an expanded application of inner reflection. In other words, the characteristic of Augustine’s social ethics is the ‘social ethics based on inner reflection’ which led the pursuit of ‘new citizenship’ began with Confessions to ‘heavenly citizenship’ of De civitate Dei. In this context, Augustine suggests the tasks of having identity of pilgrims, overcoming of splendid vices, and practicing heavenly values in civitas terrena. Above all, Augustinian social ethics encourages pilgrims to practice alternatives of honorable poverty and temperance in the age of avarice with the identity of pilgrims.

      • KCI등재

        자기 이해와 영적 성숙을 지향하는 기독교교육: ‘참 나’를 발견하는 에니어그램(Enneagram)의 내적 여정을 중심으로

        김형희 한국기독교교육정보학회 2022 기독교교육정보 Vol.- No.73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esent a Christian education that aims for self-understanding and spiritual maturity while reflecting on the crisis of identity of modern people. The main theory is the Enneagram of carrying out the inner journey, which provides direction for self-understanding and spiritual maturity. Christian education can help you to discover the prototype of the 'true self' and to experience freedom from the root of sin through critical reflection. The educational purpose presented for this purpose is freedom from fundamental sin, and the educational content is awareness and awakening through consciousness reflection. The educational method is an encounter and dialogue education through consciousness reflection, and the teacher and learner are seekers who carry out the inner journey. The educational environment is presented as all the chapters of the inner journey to find the ‘true self’. This study has implications in that it recognizes the current and interest in spirituality, suggests a way to understand and interpret human beings anew, and aims for spiritual maturity through self-understanding in middle age. 본 연구는 현대인의 정체성의 위기를 성찰하면서 자기 이해와 영적 성숙을 지향하는 기독교교육을 제시하는 것이 목적이다. 주요 이론은 내적 여정을 수행하는 에니어그램(Enneagram)으로서 이것은 자기 이해와 영적 성숙의 방향을 제시한다. 기독교교육은 비판적 성찰을 통해 근원적인 죄로부터 벗어나 ‘참 나’(true self)의 원형을 발견하고 자유함을 경험하도록 도울 수 있다. 이를 위해 제시된 교육 목적은 근원적인 죄로부터의 자유이며, 교육 내용은 의식 성찰을 통한 인식과 각성이다. 교육 방법은 의식 성찰을 통한 만남의 대화 교육이며, 교사와 학습자는 내적 여정을 수행하는 구도자이다. 교육 환경은 ‘참 나’(true self)를 찾아가는 내적 여정의 모든 장으로 제시된다. 본 연구는 영성에 대한 시대적 흐름과 관심을 인식하고, 인간을 새롭게 이해하고 해석할 수 있는 길을 제시하며, 중년기의 자기 이해를 통해 영적 성숙을 지향한다는 점에서 시사점이 있다.

      • KCI등재

        신화 속의 여성주인공을 활용한 결혼이주여성의 자기성찰 전략

        권복순(Kwon, Bok Soon) 국제언어문학회 2018 國際言語文學 Vol.- No.41

        이 글은 의사소통행위가 다르게 나타난 신화 속 여성주인공들의 소통과 적응 양상을 통하여 결혼이주여성들이 자신의 내면의식을 투영해 봄으로써, 바람직한 삶의 태도를 함양시키는 데에 있다. 먼저 외적 자아인 결혼이주여성들의 내면 성찰을 위해 신화 속의 여성주인공을 대상으로 거울 보기를 위한 모델을 추출하였다. 논의의 편의상 유의미한 결과를 도출하기 위하여 결혼이주여성들이 자신의 내면을 투영해 볼 수 있도록 제주도 무속 신화의 여성주인공들 가운데 자아와 세계의 관계 양상이 다르게 나타난 대표 인물들을 추출하여 유형화를 시도하였다. 유형별 인물은 의사소통을 기준으로 크게 두 가지로 나눌 수 있다. 첫째 일방적 의사소통을 하는 인물로 제1유형인 ‘원강아미’와 제2유형인 ‘가믄장아기’를 들 수 있다. 전자는 자아와 세계의 대결에서 패배하여 차별을 당한 인물이고, 후자는 자아와 세계의 대결에서 승리함에 따라 역차별을 하는 인물이다. 이와 달리 쌍방적 의사소통을 하는 유형은 제3유형인 ‘오늘이’이다. 이 유형에서는 자아와 세계의 대결 과정을 찾아볼 수 없고, 상호 보완하는 특성을 보인다. 이들을 대상으로 문화적응 상태를 살펴보면 일방적 의사소통을 하는 제1유형과 제2유형은 각각 부적응상태의 ‘종속형’과 ‘분리형’에 해당하고, 쌍방적 의사소통을 하는 제3유형은 적응상태의 ‘통합형’에 해당한다. 자기 성찰 전략은 외적 자아가 내적 자아를 대상으로 자신의 내면을 투영해 보고 가치변화의 과정을 거쳐 가치 내면화에 이를 수 있도록 하는 방법을 뜻한다. 즉 외적 자아는 내적 자아를 거울보기의 모델로 삼아 유형별 비교분석을 통해 가치 우위를 조직화하고, 바람직한 적응유형을 모델링하여 가치 내면화에 이를 수 있도록 노력해야 한다. 즉 제1유형과 제2유형이 안고 있는 부정적인 요소를 찾아내어 자기반성과 자기이해의 기회로 삼고 제3유형이 보여준 긍정적인 요소를 본받아 가치의 내면화를 이룰 때, 한국 사회에서 건강한 사회구성원으로서 적응을 할 수 있을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writing is to cultivate the attitude toward a desirable life as the married migrant women project their own inner consciousness by utilizing the heroines in myths where communication behavior appeared differently. First, women characters in myths who can become a model for reflection of outer self have been extracted. To derive significant results for convenience of discussion, representative characters whose self and world`s relationship aspects appeared differently were extracted from heroines of Shaman myths of Jeju Island have been extracted to make an attempt for typification. Considering characters per type based on communication aspects, they can be divided largely into two groups. First, as the character engaged in unilateral communication, the first type of ‘Wongangami’ and the second type of ‘Gameunjangagi’ may be considered. The former is the character who was discriminated by being defeated in the battle between the self and the world, while the latter is the character who is engaged in reverse discrimination as a result of victory in the battle between the self and the world. Unlike these, the type of bilateral communication is the third type of `Oneulee`. In this type, no battle process between the self and the world can be found, and the inter-supplementing characteristics are observed. Considering culture adaptation states with these people as the subject, the characters of unilateral communication correspond to `dependence type` and `separation type` in the non-adaptation state, while the heroine of bilateral communication corresponds to `integration` type in the adaptation state. The self-reflection strategy means a method where the outer self projects her inner side with the inner self as the subject and undergoes the process of value change, allowing value internalization to be reached. Namely, the outer self should make efforts to organize the value priority through comparative analyses per type for the inner self as the subject, and to model a desirable adaptation type so as to be able to reach the value internalization. In other words, the life as a healthy community member in Korean society can be enjoyed when the negative elements contained in the first type and the second type are found out to be made into an opportunity for self reflection as well as self understanding, and internalization of the values is realized by emulating the positive elements shown by the third type.

      • KCI등재후보

        창조적 시 읽기를 통한 내적 고백의 글쓰기

        이명희 ( Yi Myoung-hee ) 한국문학치료학회 2011 문학치료연구 Vol.21 No.-

        `창조적 사고와 표현`은 글쓰기 수업 중 가장 다양한 문학 및 예술 텍스트를 창조적으로 재해석, 재창조할 수 있는 시간이다. 이는 대학 이전의 교육을 통해 문학 및 예술에 대한 기본적 이해를 전제하기 때문이다. 본고는 대학생들이 시 읽기를 통해 실제 그들의 고백이 자신들을 소개하는 글쓰기에 어떻게 투사되는지에 대해 논의하였다. 이때, 시 읽기의 단계를 4단계로 분류하여, `감정이입/공감/위안->자아성찰/반성->자아실현/목표->미적체험`의 과정으로 파악하였다. 또한 각각의 감정 상태는 다음 단계로 이행되거나, 각 단계에 그칠 수 있다고 보았다. 총 53명의 학생들의 시 읽기 시제를 살펴 본 결과 시 읽기의 첫 번째 단계인 공감과 위안으로서의 시 읽기는 다양한 점수대의 학생들로서 가장 많은 인원 (18명/53)을 차지하였다. 이는 시(詩)교육의 문제점을 드러내고 있는바, 가독성이 좋은 시, 쉽게 이해되는 시가 많은 학생이 선호하는 시이기도 하다는 것이다. 대학교육 중 인문학을 공부하는 학생들조차 고등학교에서 배운 시들을 재독하는 경우가 대다수이다. 이는 교양 및 인문학부에서 보다 통섭적인 수업이 이루어진다면, 교양교육으로서의 글쓰기는 보다 진일보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다음으로 자아성찰과 자아실현으로서의 시 읽기는 창의적 시 읽기가 요구되는 단계이다. 이때 선택된 시 텍스트는 개인과 개인, 개인과 사회 혹은 개인과 세계간의 관계를 고민하는 시들이 선정되었다. 자아성찰은 보다 사회적 관심으로 시작된다. 자아성찰과 자아실현으로서의 시읽기는 대학수업에서 주어지는 과제 역시 인문과 교양과목에서 활용될 수 있는 예이다. 아울러, 취업과 진학을 앞둔 학생들에게는 내적고백형식을 통한 자기소개서와 진학계획서 글쓰기에 접목될 수 있다. 공감과 위안의 시 읽기 과정에 속한 학생들의 학업성취결과는 평균 76점< 자아성찰 및 반성적 시 읽기 73점 < 자아실현으로서의 시 읽기는 80.7점 < 미적체험으로서의 시 읽기는 81점으로 나타났다. 물론 학업성취도가 자아실현을 의미하는 것은 아니나, 이들이 학생임을 감안했을 때 일정 부분 타당하다고 본다. 각 단계의 시 읽기는 모두 내면고백을 통해 산문적 글쓰기로 연동되며 자연스럽게 진행되었다. 또한 자기소개서는 시 읽기를 경험하였을 때가 보다 창조적인 인생관을 표현할 수 있었다. The `creative thinking & expression`, among writing classes, provides the students with time for reinterpreting and recreating literature and artistic text which is the most various field. Because, the course is based on literature and art during pre-uni education. This research discusses about how university students project their confession on their writings through reading poem. The steps for reading poem has been classified into four steps : empathy/sympathy/consolation -> self examination/ reflection -> self realization/ target -> esthetisches erlebnis. And it has been assumed that each step can be transferred to the next step or be stopped. Fifty three students` poem reading habit have been examined and the most students (18/53), consists of students from various score range, have been affiliated to the first step which is empathy in total. This indicates a problem in education on poem that the majority of students prefer easy-reading and easy-understanding poems. Even the university students who study the humanities reperuse the poems which they have learnt in high school. This, fortunately, implies that more comprehensive education in department of humanities and refinement course can lead to advancement in education for writing. In turn, reading of poem as self reflection and realization step requires more creativity. The poems for this step have been selected from the ones which deal with the relationships between person to person, person to society and person to the world. Self reflection starts from a more social perspective. Reading of poem as self reflection and realization can be seen as a good example of utilization of reading of poem in humanities and refinement courses. In addition, the reading of poem through internal confession can be used for guiding students for writing self introduction letter and study plan. During the empathy and sympathy step, the average academic aptitude of students were 76 points< 73 points for self reflection and examination step< 80.7 points for self realization< 81 points for esthetisches erlebnis. The academic achievement, of course, does not represent the whole state of self realization but some extent regarding they are still students. Each step of poem reading has been processed interlocking to prosaic writing through internal confession. Further, this sort of education enables students to be more creative to present their view point of life filling in their letter of self introducing.

      • KCI등재

        신경성 폭식증 여성의 내적 성찰 과정 연구 : 거부당한 몸과 마음에 대한 자기위로, 그리고 자기수용

        주현정,고주미,황순찬,이명수 이화여자대학교 사회복지연구소 2022 사회복지 실천과 연구 Vol.19 No.2

        본 연구는 두 명의 여성이 경험한 신경성 폭식증의 의미와 신경성 폭식증에 대한 이들의 내적 성찰 과정을 탐구하여, 섭식장애를 겪는 이들에 대한 이해의 폭을 확장하는 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기존의 이론이나 가설을 전제하지 않고 오직 연구자와 연구참여자 사이의 변증법적 대화를 통해 인터뷰를 진행하는 Kleining의 함부르크 접근법(Hamburg Approach)을 활용하였다. 연구 과정에서 나타난 연구참여자의 내적 성찰 내용을 분석한 결과, 총 4개의 헤드라인이 도출되었다. 4개의 헤드라인은 ‘수용되지 못한 자신 : 몸에 대한 거부와 정서적 거부’, ‘수용되기 위한 노력 : 섭식절제와 관계 갈망’, ‘노력의 실패: 폭식과 구토의 사이클’, ‘새로운 통찰’이다. 각 헤드라인은 ‘거부당한 자신에 대한 자기위로, 그리고 자기수용’ 이라는 최종 헤드라인으로 수렴되었다. 이러한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신경성 폭식증의 위험에 대비할 수 있는 다각적인 사회복지 서비스의 필요를 제언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pand the understanding of bulimia nervosa, by exploring the experiences of two women with eating disorders and their introspection process. To this end, by using the Hamburg Approach of Qualitative Heuristic Research, the interview was conducted without presupposing existing theories or hypotheses, but only through a dialectical conversation between the researcher and the participants, and the participants’ introspection were analyzed. The contents were organized into a total of four headlines as follow: 'The Unaccepted Self: Rejection of the Body and Emotions', 'The Effort to Be Accepted: Temperance of Eating and Relationship Cravings', 'Failed Efforts: Cycle of Binge-eating and Vomiting', and 'New Insights'. Following the heuristic research method of identifying one coherent structure from the entire data, the participants responses were condensed into the final headline, 'Self-consolation and Self-acceptance for the Rejected Body and Mind'. This study highlights the need for a multifaceted social welfare service that can better cope with the danger of eating disorders, which are underestimated compared to its lethality, as well as the need for innovative intervention methods for counseling treatment.

      • KCI등재

        연구논문 : 지구화 시대의 탈경계 정치과정을 위한 이론토대: 새로운 실마리의 모색

        임성호 ( Seong Ho Lim ) 서울대학교 한국정치연구소 2011 韓國 政治 硏究 Vol.20 No.1

        이 글은 지구화 등 탈경계 현상의 심화로 기존의 경계지향적 정치과정에 긴장상태가 초래됨으로써 갈등조정이 어려워지고 거버넌스가 저하되고 있다는 데서 문제의식을 찾아, 지구화 시대에 조응할 수 있는 바람직한 탈경계 정치과정을 세우는 데 필요한 당위적 이론토대를 탐색한다. 기존 자유주의 관점의 이익집성 모델과 공동체주의 관점의 이익통합 모델은 물론 초국적 민주주의 담론의 여러 주장 중 어느 것도 지구화 시대의 탈경계 상황에 잘 조응하며 탈경계 정치과정의 이론토대가 되기에 한계가 크다는 점을 지적한다. 이어서, 새로운 관점으로 구딘(Robert Goodin)의 성찰적 민주주의 모델과 내적숙의(deliberation within) 개념을 소개하며, 정치행위자 각자의 내적 성찰을 공적 결정의전제요건으로 중시하는 구딘의 시각이 지구화 시대의 탈경계 정치과정을 위한 당위적이론토대로 유망해 보인다는 점을 주장한다. The recent transitory social trends, of which the most conspicuous is globalization, tend to make fuzzy and even irrelevant the existing national and legal boundaries. But the current political processes universally presuppose clear-cut national and legal boundaries, and, in this sense, are not compatible with these boundary-weakening trends. Consequently, aggravating social conflicts and deepening governance crisis are characterizing today`s political processes. Faced with growing tension between the new boundary-loosening phenomena and the existing boundary-fixed political processes, this article searches for a normative theoretical foundation for a boundary-free political process compatible with the rapidly globalizing environments. Neither the liberal interest-aggregative models nor the communitarian interest-integrative models nor the recent supranational democracy discourses seem promising. Instead, this article argues, the reflective democracy model and notion of ``deliberation within`` theorized by Robert Goodin offer a new promising clue.

      • KCI등재

        예술가의 유배 체험과 내적 성찰 : 조희룡의 유배 체험과 글쓰기

        최기숙 이화여자대학교 한국문화연구원 2005 한국문화연구 Vol.9 No.-

        19세기 문인이자 중인 화가인 조희룡은 철종의 조부인 진종의 위패봉안 문제로 영의정 권돈인이 처벌되는 과정에서 그와 친분이 있었던 김정희와 친분이 있다는 이유로 유배의 명을 받고 1851년 8월 22일부터 1853년 3월 14일까지 전라도 임자도에서 유배 생활을 하게 된다. 그는 유배지로 향하는 노정에서 시 창작을 통해 충격과 상심, 번뇌와 갈등의 심회를 표현했는데, 유배의 충격과 낯섦의 심상, 유배생활에서 위안을 찾는 동안의 소통과 초월의 심상, 해배의 감격과 환희의 심상 등이 중심을 이룬다. 그는 유배지의 삶을 견딜 만한 것으로 변용시키기 위해 공간을 심미적으로 창조하고 그 안에서의 심미적 삶을 향유하기 위한 일련의 모색을 시도한다. 이와 아울러 유배지의 낯선 관경이나 생활 방식에 대해서도 호기심 어린 시선으로 관찰하고 이를 기록함으로써 유배지의 삶에 대한 호감과 애정을 표현하였으며, 대화가 가능한 친화적 상대와의 교유를 통해 삶의 지평을 확대해 나가고 그 안에서 긍정성을 발견하려는 적극적인 태도를 보여주었다. 다른 한편 그는 시와 산문, 회화 창작을 통해 문인이자 화가로서의 존재감을 확인해 나갔다. 이는 내면과의 대화를 통해 고독과 분리감을 극복하는 개인적 모색에 속한다. 그는 벽오사 동인들과 편지와 시화를 주고받음으로써 원거리 시회를 시도했으며, 유배지에서의 심경에 대한 관찰과 경험을 바탕으로 회화와 사물, 시화 회화, 창작 행위와 작품의 관계에 대한 이론적 접근을 시도함으로써 화론을 정립하는 계기로 삼기도 했다. 이는 '시화상응론(詩畵相應論)', '시화일체론(詩畵一體論)', 물예조응론(物藝照應論)'으로 요약할 수 있다. 이러한 것은 심미성을 존재 근거로 삼고 있던 예인적, 문인적 자의식에서 기인한 것으로, 유배지의 고독한 삶을 창조적으로 변용시키기 위한 예술가의 내적 모색의 예술적 승화 과정을 보여준다. Cho, Hee-Ryong(1797~1859) who was a painter and writer of middle calss in 19th Century was doomed to be exiled to ImJa island in ZeonRa-Do from August 22 in 1850 to Mars 14 in 1853, it was result from the political struggle connected with Kim, Jung-Hee(金正喜, 1786~1856) who was politically related with Kuon, Don-In(權敦仁, 1783~1859), the prime minister at that time. Cho, Hee-Ryong wrote many poems which were expressed the confusion, heartbreak, sorrow and anguish in the course of arriving to the exiled place. Those poems contained the images of strangeness at first, communication and transcendence during his living in that place, and delight at last to listen the news about his liberation. In the beginning, he tried to decorated his house and private room with beautiful Japanese apricot flowers and painting which was painted the portrait of So, Dong-Pa(蘇東坡), the Chinese poet by himself. At the same time, he began to observe and record the scenary and unaccustomed life style of ImJa island. By such exertions showed his favorable emotions and affection about his life. He pursued the intimate relationship with the natives and tried to find positively some good points of them. In addition to, he intended to find his own identity as a poet, writer, and painter through continuous writing and painting. Such actions were resulted from his private effort about overcoming his loneliness. He often sent letters to his best friends, especially to the members of poet and writer group named by ByeokO-Ding SiSa. And he wrote lot of proses about art. especially essays which were written by focusing on the relation between painting and poem. painting and object, and artistic work and creating action. This essays showed his opinions about the integration of the poem and the painting, the correspondence of the poem and the painting, the inter-relationship between the artistic work and the objet. Such consequences were resulted from his self-conscious as a writer, poet, painter and an artist, and showed his effort to changed his solitary times into sublimate creative ones.

      • KCI등재후보

        일반 논문 : 임화의 문화담론과 에세이 연구 -미디어에 대한 성찰을 중심으로-

        권성우 ( Seong Woo Kwon ) 한민족문화학회 2006 한민족문화연구 Vol.19 No.-

        이 논문은 비평가 임화의 다양한 글쓰기 중에서 문학미디어에 관한 담론을 집중적으로 분석하기 위해서 씌어졌다. 지금까지 진행된 임화 연구는 주로 시와 소설비평, 문학사 연구에 집중되어 있다. 그러나 임화가 시도했던 다양한 글쓰기의 전모를 세밀하게 이해하기 위해서는 문화담론, 에세이, 잡문 등의 이른바 변두리 장르에 대한 미시적 탐구를 진행할 필요가 있다. 이러한 맥락에서 임화의 글쓰기 중에서 문화담론에 대한 연구는 중요한 의미를 지니고 있다. 임화는 1930년대 후반부터 1940년대 초반까지 신문, 잡지, 문화산업 등의 당시 문학과 문화가 유통되던 미디어에 대한 집중적인 관심과 성찰을 보여준 바 있다. 임화는 「잡지문화론」, 「문화기업론」등의 글들을 통해 비판적 해석의 복원을 시도했다. 임화는 당대의 문예잡지들이 정론성과 사회성을 상실했다는 사실에 주목하고 문학의 정치성 회복을 위해 문예잡지와 신문, 문화기업 등 문학미디어의 역할과 현황에 대한 비판적 성찰을 시도했던 것이다. 또한, 임화는 저널리즘이 당시 문학장에서 차지하고 있는 역할에 대한 예리한 인식을 보여주고 있다. 임화는 저널리즘이 수행하는 `배제`와 `선택`이라는 역학관계에 대해 주목함으로써, 당시 문학판이 작동하는 방식을 인식할 수 있었다. 즉 임화는 문학미디어가 지닌 권력적 속성을 정확하게 간파한 선구적 비평가라고 할 수 있는 것이다. 임화의 문학미디어와 문화산업에 대한 인식과 통찰은 지금 이 시대에도 현재적인 의미를 지니고 있다는 점에서 지대한 문학사적 의의를 지니고 있다고 생각된다. This thesis is written to analyze a critic, Imwha`s discourse on literary media. The previous researches on Imwha are mainly focused on his poetry and criticism of novel, and his study on the history of literature. But, to understand the whole features of his various writings, it is necessary to research his cultural discourse and essays. Therefore, the research of Imwha`s discourse on literary media is very significant. Imwha showed intensive interest and introspection on literary media such as newspaper and magazines between the late 1930s and the early 1940s. He tried to restore critical interpretation through the writings such <Argument on Journal Culture> and <Argument on cultural business>. He noticed that the literary magazines of those days lost political and social roles. And he also tried the critical introspection on the role of literary media to retrieve the political role. Imwha showed keen recognition of the role of journalism in the literary field of those days. Therefore, it can be said that Imwha was the pioneer, who understood the authority property of the literary media correctly. Imwha`s study of literary media and cultural industry means a lot to this age.

      • 연극 놀이를 활용한 신화 지도 방안 연구

        이상숙 한국어문교육학회 2013 어문학교육 Vol.46 No.-

        초등학교 고학년은 사춘기 초입에 해당하는 시기로 자아 정체감 형성을 위한 내적 성장 경험이 필수적으로 필요할 때이다. 많은 시간을 보내는 학교생활에서 아이들의 내면적인 성장을 도울 방법이 없을까 하는 고민에서부터 이 연구가 시작되었다. 본 연구는 우리 구비신화에서 그 해답을 찾고 연극놀이를 접목하여 신화교수 학습 모형을 구안하였다 이를 수업현장에 적용하여 아동의 지아 정체성 형성을 위한 내적 성장에 어떠한 효과를 미치는지 알아보고자 한다. Ⅱ장에서는 교육과정 수재 신화의 존재 양상을 살폈다. 2007년 개정 교육과정에 따른 국어 교과서를 분석해본 결과 7차보다 오히려 신화 수록편수가 2편으로 줄어 들었고, 신화의 교육적 가치에 대한 명확한 인식도 부족하였다. 그러나 두 편 모두 구비신화라는 점은 시사하는 바가 크다고 하겠다. Ⅲ장에서는 연극 놀이를 활용한 신화 지도의 원리를 바탕으로 신화 수업 모형을 구안하였다. 신화지도의 원리로는 감각 열기의 원리, 학습자 중심의 원리, 상상력 구현의 원리, 내면화의 원리, 동심의 원리를 들 수 있으며 1단계는 준비단계로 감각 열기, 2단계는 탐색단계로 인물, 상황, 내용 탐구, 3단계는 내면화 단계로 구성하였다. 구안한 신화 수업 모형을 효과적으로 적용하기 위해서는 단계적으로 점진성 전략이 필요하며 언어과정과 연극 놀이를 중심으로 하는 창의적 활동 과정이 유기적 관련성을 갖도록 하였다. Ⅳ장에서는 연극 놀이를 활용한 신화 교수 학습 모형으로 6차시를 적용하였다. 바리 공주를 제재로 선택하고 바리 공주 신화수업에 적절한 연극놀이와 표현 놀이를 단계별로 선정하여 진행하였다. 수업의 적용 결과 신화에 대한 관심이 증폭하였고, 신화의 주인공이 시련을 극복하고 진실하게 갈등을 해결하는 모습은 아동의 내면에 선한 삶의 가치관을 자연스럽게 습득하게 하는 계기가 되었다. 본 연구를 통해 우리나라 신화에 많은 이동이 관심을 갖게 되었고, 신화와 연극 놀이의 접목이 신화를 이해하고 내면화하는 데 효과가 있었음을 시시하였다. 또한 신화의 서사구조를 통해 삶은 시련과 극복의 반복과정임을 자연스럽게 인식하고 자신의 삶에 보다 적극적인 태도를 갖게 되는 것으로 보아 연극 놀이를 활용한 신화교수 학습모형이 시춘기 초입의 아동의 자아 정체감 형성을 위한 내적인 성장에 적절한 신화 수업 모형으로 보인다. Elementary school upper grades enter the adolescence and require experiences for internal growth to develop their identities. This study was planned to help children who spend much time in school for their internal growth. Mythologies are the archetype of literature and the spiritual assets of humankind. The sacred stories transmitted through word of mouth contain the universal truth that applies to all humans and the key to treat the spirit lacking in the scientific thinking of modern times. This study was conducted to find the solutions to current issues from Korea's oral mythologies and apply it to play to suggest a instructional model for mythologie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effect of mythology classes using play on children's internal growth for identity. Chapter Ⅱ discusses the educational values of mythologies include developing sound identities, learning the epic structure of mythologies, developing creative imagination, and natural participation in national community. In result of analyzing the Korean textbook in the 2007 Edition of Educational Curriculums, there are only two mythologies which are fewer compared to the 7th Edition and there is no clear understanding of the educational value of mythologies. However, these two pieces imply the new possibility to understand the world of mythologies as both of them are oral mythologies. Chapter Ⅲ discusses a mythology learning system developed based on the principles of instructing mythologies using play. The principles of instructing mythologies include the principle of opening senses, the principle of learner-centered activities, the principle imagination, the principle of internalization, and the principle of childhood. The first step is the preparation step for opening senses; the second step is the exploration step for understanding the characters, events, and plot; and the third step is the internalization step. it is necessary to approach gradually in step-by-step For effective application of this instructional model. The gradual approach to mythologies, the gradual increase in the difficulty of expression, and the gradual internalization allows organic correlation between the creative activity programs focused on language programs and role-playing activities. Chapter Ⅳ applies the six steps of instructional model of mythologies through play. Princess Bali was selected for the model to develop an appropriate role-playing and expression activity for learning the mythology of Princess Bari. In the result of applying this model, children's interests increased in the mythology and showed The scene where she overcame adversity and saved her father to resolve the conflicts with her parents with a truthful heart naturally motivated the virtue in the children. This study enabled the children to have interests in Korean mythologies and manifested the combination of mythology with play helped them understand and internalize the mythology effectively as many children said the physical activity made learning the mythology more fun and meaningful. Also, through the epic structure of mythology, it is taught for them that life is a repeated process of overcoming adversities and to be more active in life. As a result, this study shows that the instructional model of mythology using play is appropriate for the internal growth of children who are about to enter the adolescenc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