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군 조직의 시간 긴급성 풍토에 대한 지각이 직무 스트레스에 미치는 영향: 시간 압박의 매개 효과와 구성원의 시간 긴급성의 조절 효과

        김영일,곽원준 한국진로·창업경영학회 2024 한국진로창업경영학회지 Vol.8 No.1

        조직은 경쟁우위를 확보하기 위한 목표나 과업을 달성할 때 마감(deadline)을 고려하는데, 이러한 업무 환경이나 분위기 속에서 조직 내 시간 자원을 신중하게 관리하고 구성원의 직무 스트레스를 최소화할 수 있는 효과적인 리더십을 발휘해야 한다. 본 연구는 사회 정보처리 이론과 직무요구-자원이론을 기반으로 군 조직의 시간 긴급성 풍토에 대한 지각이 시간 압박을 매개로 직무 스트레스에 미치는 메커니즘을 실증적으로 확인하였다. 이를 위해 육군 기계화부대에서 군 간부를 대상으로 설문 조사를 하였으며, 계급과 근속기간이 서로 다른 379명의 참석자 중 불성실 응답자 37명을 제외하여 최종적으로 342명을 분석하였다. 분석에는 SPSS 24를 사용하여 변수의 기술 통계량과 상관관계, 신뢰성을 확인하였고, AMOS 24를 활용하여 확인적 요인분석으로 변수의 타당성과 모형의 적합도를 확인하였다. 또한, SPSS 24를 이용하여 위계적 회귀분석을 실시하여 변수 간의 관계를 검증하였다. 시간과 관련된 기존의 연구는 개인의 성격 특성과 개인의 행동, 조직에서의 성과와의 관계에 초점을 맞추어 왔다. 또한, 조직풍토와 관련한 다양한 연구가 이루어졌지만, 조직의 시간 긴급성 풍토와 관련된 연구는 부족하였다. 따라서, 시간 긴급성에 대한 인지적 관점에서 긍정적인 성과뿐만 아니라 부정적인 결과도 고려해야 하며, 구성원의 시간 기반 성격 특성이 어떻게 자신에게 미치는 영향을 조절하는지에 관한 연구의 필요성이 제기되었다. 이에 실증 분석 결과 조직의 시간 긴급성 풍토와 시간 압박, 직무 스트레스 간에는 모두 정(+)의 관계가 있는 것을 확인하였다. 또한, 조직의 시간 긴급성 풍토와 직무 스트레스 간의 관계에서 시간 압박의 매개 효과는 유의하였다. 그리고, 조직의 시간 긴급성 풍토와 시간 압박, 직무 스트레스 간의 관계에서 구성원의 시간 긴급성은 정(+)의 조절 효과가 있었다. 본 연구는 시간과 관련된 조직풍토가 구성원들에게 미치는 부정적인 영향을 통해 리더십 이론을 확장하는데 기여하였다. 특히, 이전의 시간 긴급성에 관한 연구들은 주로 개인 또는 리더 중심의 관점을 취했지만, 본 연구는 구성원 중심의 관점으로 보완하여 조직의 시간 긴급성 풍토와 관련된 결과가 어떻게 개인에게 확장될 수 있는지에 대한 중요한 이론적 시사점을 제공하였다. 그리고, 경계조건(구성원의 시간 긴급성)에 관한 연구의 한계를 다루면서 기존 문헌을 확장하고, 조직의 시간 긴급성 풍토의 부정적 영향을 완화하기 위한 환경을 만드는 등 실무적 시사점을 제공하였다.

      • KCI등재

        부정 긴급성, 부정 정서 및 정서조절곤란이 경계선 성격의 자해 행동에 미치는 영향†

        임선영,이영호 한국건강심리학회 2017 한국심리학회지 건강 Vol.22 No.3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moderated mediating effects of negative affect (depression, anxiety, anger) through difficulties in emotion regulation(DERS) on the relationship between negative urgency and self-harm behavior in borderline personality disorder. A total of 724 Korean college students participated in this study by responding to the following questionnaires UPPS-P-Negative Urgency, Beck’s Depression Inventory(BDI), State-Trait Anxiety Inventory(STAI), State Trait Anger Expression Inventory(STAXI), Difficulties in Emotion Regulation Scale(DERS), Personality Assessment Inventory - Borderline Feature Scale (PAI-BOR). After testing 3 research models, negative urgency directly predicted self-harm behavior and difficulties in emotion regulation(DERS) mediated the influence of negative urgency on self-harm behavior. The influence of negative urgency on self-harm behavior or difficulties in emotion regulation(DERS) was different according to the kinds of negative emotion that was being experienced(depression, anxiety, anger). The influence that negative urgency had on difficulties in emotion regulation(DERS) was not moderated by depression and anger, but the influence of negative urgency on self-harm behavior was moderated by depression and anger. However, the influence of negative urgency on self-harm behavior and difficulties in emotion regulation(DERS) was moderated by anxiety. Finally, the implications and limitations of this study were discussed in terms of future research suggestions. 본 연구에서는 부정 긴급성과 경계선 성격의 자해 행동과의 관계를 정서조절곤란이 부분매개하며, 부정 긴급성이 정서조절곤란과 자해 행동에 미치는 경로에서 부정 정서가 조절할 것이라는 이론적 모형을 제시하고 검증하였다. 이를 위해 724명의 대학생들을 대상으로 부정 긴급성, 부정 정서(우울, 불안, 분노), 정서조절곤란 및 자해 행동에 대한 3개의 연구모형을 검증한 결과, 부정 긴급성은 자해 행동을 직접적으로 예언하기도 하지만 정서조절곤란을 매개로 간접적으로 영향을 미쳤다. 부정 긴급성이 정서조절곤란과 자해 행동에 미치는 영향에서 우울, 불안, 분노 등의 부정 정서의 종류에 따라 상이한 조절효과를 보였다. 부정 긴급성이 정서조절곤란에 미치는 경로는 우울과 분노에 의해 조절되지 않았지만 자해 행동에 직접적으로 미치는 경로는 우울과 분노에 의해 조절되었다. 부정 긴급성이 정서조절곤란과 자행행동에 미치는 영향은 불안에 의해 조절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 결과의 의의, 한계점 및 후속 연구에 대한 시사점을 논의하였다.

      • KCI등재

        우울과 스마트폰 과사용의 관계에서 긴급성의 매개효과

        이한슬,장혜인 한국건강심리학회 2022 한국심리학회지 건강 Vol.27 No.2

        Smartphone overuse during adolescence, where physical and psychological development occurs rapidly, can cause functional problems in various areas, including mental health problems such as anxiety, stress, and poor academic performance. Although previous studies have suggested that depression and urgency could each predict smartphone overuse, only a few studies have examined how they may conjointly influence smartphone use. This study aims to examine the mediating effect of urgency in the relationship between depression and smartphone overuse in a large sample of adolescents. Participants were 896 elementary students (391 males, 505 females) and 538 middle school students (228 males, 310 females) who completed a set of online self-report questionnaires measuring depression, urgency, and smartphone use. The results of path analysis indicated that urgency significantly and partially medi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depression and smartphone overuse. The findings suggest that urgency may be an underlying mechanism by which depression may contribute to smartphone overuse in adolescents, and highlights depression and urgency as potential targets for Intervention of smartphone overuse. 청소년기의 과도한 스마트폰 사용은 다양한 영역에서의 기능손상을 유발할 수 있으므로 스마트폰 과사용의 위험요인과 발달 기제에 대한 연구가 필요하다. 특히 청소년 우울과 긴급성 각각이 스마트폰 과사용을 예측한다는 선행연구 결과에도 불구하고 구체적인 기제를 살펴본 연구는 상대적으로 부족하였다. 본 연구는 우울과 같은 부정정서가 인지적 자원을 소진시킴으로써 긴급성을 상승시키고, 결과적으로 중독 위험이 있는 행동으로 이어진다는 선행연구에 입각하여 대규모 청소년 집단을 대상으로 우울이 스마트폰 과사용에 영향을 미치는 경로에서 긴급성의 매개효과를 확인하였다. 이를 위해 초등학교 6학년 896명(남 391명, 여 505명)과 중학교 2학년 538명(남 228명, 여 310명)을 대상으로 우울, 스마트폰 과사용, 긴급성을 온라인 자기보고식 설문지로 측정하였다. 경로모형 분석결과, 우울이 스마트폰 과사용을 정적으로 예측하는 경로에서 긴급성의 부분매개효과가 나타나 청소년기의 스마트폰 과사용으로 이어지는 기제 중 하나가 긴급성임을 시사하였다. 본 결과는 청소년기 스마트폰 과사용에 대한 선별 및 예방에서 우울과 긴급성이 효과적인 표적일 수 있다는 임상적 함의를 제공한다.

      • KCI등재

        긍정 정서 기질이 우울에 미치는 영향: 부정 긴급성과 마음챙김의 조절된 매개효과

        양아름,최은실 한국발달지원학회 2023 발달지원연구 Vol.12 No.1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moderated mediation model in the relationship between temperamental positive emotionality, negative urgency, depression and mindfulness. To verify this, temperamental positive emotionality, negative urgency, depression, and mindfulness were measured in 211 adults.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negative urgency partially medi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temperamental positive emotionality and depression. Second, mindfulness significantly moderated the effect of negative urgency on depression. Finally, the mediating effect of negative urgency on the relationship between temperamental positive emotionality and depression was significantly moderated by mindfulness.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meaningful in that the path through which depression occurs according to temperamental positive emotionality and the effect of negative urgency on depression decreases as the level of mindfulness increases. 본 연구는 초기 성인기에 해당하는 20대를 대상으로 긍정 정서 기질과 우울 간 관계를 부정 긴급성이 매개하는지 알아보고, 마음챙김이 이러한 매개효과를 조절하는지 살펴보고자 하였다. 이를 검증하기 위해 만 19세~29세의 초기 성인기에 해당하는 성인 남녀 211명을 대상으로 성인의 긍정 정서 기질, 부정 긴급성, 마음챙김, 우울 척도를 사용하여 측정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긍정 정서 기질과 우울 간 관계에서 부정 긴급성의 부분매개효과가 유의하였다. 둘째, 부정 긴급성과 우울 간 관계를 마음챙김이 조절하였다. 셋째, 조절된 매개효과 검증에서, 긍정 정서 기질과 우울 간 관계에 대한 부정 긴급성의 매개효과가 마음챙김에 의해 조절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와 같은 연구 결과는 성인에 대한 긍정 정서 기질이 우울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고 마음챙김 수준이 높아질수록 부정 긴급성이 우울에 미치는 효과가 감소됨을 의미한다. 이를 활용하는 심리적 개입 전략을 통해 우울의 완화를 기대할 수 있다는 치료적 근거를 제시하였다는 점에 의의가 있다.

      • KCI등재

        경계선 성격특성이 음주문제에 미치는 영향: 부정 긴급성과 부적응적 인지적 정서조절전략의 매개효과

        임선영,고은영 한국상담학회 2017 상담학연구 Vol.18 No.4

        This research examined the mediating effects of negative urgency and maladaptive emotion regulation strategy on the relationship between borderline personality trait and alcohol problem. A total of 718 Korean university students completed the following questionnaires: Personality Assessment Inventory-Borderline Features Scale (PAI-BOR), Negative Urgency(UPPS-P-NU), Maladaptive cognitive emotion regulation, strategy(CERQ), drinking problem(AUDIT-K). The structural equation model were used to examine the mediating effects of negative urgency and maladaptive cognitive emotional regulation strategies on the relationship between borderline personality traits and drinking problems. The results are followings. First, there was significant relationship among borderline personality trait, negative urgency, maladaptive cognitive emotion regulation strategy, alcohol problem. Second, borderline personality trait did not directly affect alcohol problem and negative urgency and maladaptive cognitive emotion regulation mediated the influence of borderline personality trait on alcohol problem in the mediation model. Third, the explanatory value of the mediation effect of negative urgency was stronger than the mediation effect of maladaptive emotion regulation strategy on the relationship between borderline personality trait and alcohol problem.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meaningful that we proposed an integrated model to explain drinking problems of people with borderline personality traits and suggested the importance of dealing with urgency and emotional regulation strategies in counseling and treatment of drinking problems. Finally, implications and limits of this study were discussed for further research suggestion. 본 연구에서는 경계선 성격특성이 음주문제에 영향을 미치는 데 있어서 부정 긴급성과 부적응적 인지적 정서조절전략의 매개효과를 살펴보고자 하였다. 수도권 소재 대학에 재학 중인 대학생 718명을 대상으로 설문지를 사용하여 부정 긴급성(UPPS-P의 NU), 경계선 성격특성(PAI-BOR), 부적응적 인지적 정서조절 전략(CERQ의 부적응적 인지적 정서조절 척도), 음주문제(AUDIT-K)를 측정하였고, 구조방정식 모형을 사용하여 경계선 성격특성과 음주문제의 관계에서 부정 긴급성과 부적응적 인지적 정서조절전략의 매개효과를 검증하였다. 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경계선 성격특성, 부정 긴급성, 부적응적 인지적 정서조절전략 및 음주문제 간에 유의한 정적 상관을 보였다. 둘째, 경계선 성격특성은 음주문제에 직접적 영향을 미치지 않았고, 부정 긴급성과 부적응적 인지적 정조절전략의 매개를 통한 완전매개경로가 유의미하였다. 셋째, 경계선 성격이 부정 긴급성을 매개로 음주문제로 가는 경로가 부적응적 인지적 정서조절전략을 매개로 음주문제로 가는 경로에 비해 유의미하게 설명양이 높았다. 본 연구의 결과는 경계선 성격특성의 음주문제를 설명할 수 있는 통합적인 모델을 제시했다는 의의를 가지며, 경계선 성격특성이 있는 사람들의 음주문제 상담 및 치료에 있어서 충동성과 정서조절전략을 다루는 것의 중요성을 시사한다. 끝으로 본 연구의 제한점과 이후 연구에 대한 제안점을 논의하였다.

      • KCI등재

        사회상규에 위배되지 아니하는 행위로서의 정당행위의 성립 요건 - 대법원 2023. 5. 18. 선고 2017도2760판결에 대한 평석을 중심으로 -

        홍진영,김정현 이화여자대학교 법학연구소 2024 法學論集 Vol.28 No.4

        「형법」 제20조의 사회상규로 인한 정당행위는 형식적 차원의 위법성이 인정되는 구성요건해당행위에 대하여 실질적ㆍ보편적 정의 관념에 비추어 예외적으로 그 위법성을 조각시킴으로써 형벌법규의 기계적ㆍ형식적 적용이 낳을 수 있는 불합리한 결과를 제어하는 완충장치로서의 기능을 수행한다. 기존에 대법원은 상당수의 판결례에서 정당행위를 인정하는 요건으로 행위 동기나 목적의 정당성, 행위의 수단이나 방법의 상당성, 보호법익과 침해법익의 법익균형성, 긴급성, 보충성이라는 5가지 요건을 활용하여 왔다. 이러한 태도는 법적 안정성을 확보하고자 하는 노력의 하나로 볼 여지도 있는 반면, 5가지 요건의 충족을 엄격하게 요구하게 되면 오히려 개별적 위법성조각사유보다 더 엄격한 요건 하에 위법성조각을 인정하게 되어 결국 사회상규로 인한 정당행위 규정이 가진 당초의 일반적, 보충적 위법성조각의 취지를 제대로 수행하지 못하도록 하는 결과를 낳는다. 또한 대법원은 이 5가지 요건을 일관적으로 사용한 것도 아니어서, 사회상규의 개념의 불확실성을 강화하고 그 개념의 유동성과 무정형성을 방치하였다는 비판이 있어 왔다. 이러한 가운데 최근 선고된 대상판결은 대법원이 5가지 요건에 관한 새로운 이해를 정립하고자 하는 시도를 보인 바, 이 글에서는 대상판결을 분석하면서 사회상규에 위배되지 아니하는 행위로서의 정당행위의 성립요건에 대하여 살펴보았다. 대상판결의 핵심은 결국 5가지 요건은 “불가분적으로 연관되어 하나의 행위를 이루는 요소들로 종합적으로 평가되어야” 하고, 그중 “행위의 긴급성과 보충성은 수단의 상당성을 판단할 때 고려요소의 하나로 참작하여야 하고 이를 넘어 독립적 요건으로 요구할 것은 아니”며, 긴급성과 보충성은 “다른 실효성 있는 적법한 수단이 없는 경우를 의미하고 ‘일체의 법률적인 적법한 수단이 존재하지 않을 것’을 의미하는 것은 아니”라는 것으로 요약된다. 대상판결은 5가지 요건에 관한 법리를 폐기하지 않으면서도, 그것이 위법성을 조각하지 않는다는 결론을 먼저 내린 후 이를 사후적으로 뒷받침하기 위한 도구로만 활용된다는 비판을 극복하고 이를 일관성 있는 판단 기준으로 자리매김할 수 있는 발판을 마련한 것으로 긍정적으로 평가될 수 있다. 긴급성, 보충성을 사안에 따라 완화해서 볼 필요가 있고, 특히 이를 ‘일체의 법률적인 적법한 수단이 존재하지 않을 것’으로 엄격하게 보아서는 안 된다는 점을 명확히 한 것은 이후의 실무에 시사하는 바가 크고, 후속 판시들에도 공고하게 계속 이어질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대상판결의 또다른 의미는 「형법」 제21조 이하의 개별적 위법성조각사유와 「형법」 제20조의 관계가 특별법과 일반법의 관계에 있음을 분명히 한 것에 있다. 향후 대상판결에서의 판시에 따라 ‘소극적 저항행위’의 사안에서 정당방위에 관한 조항을 우선적으로 고려하는 태도가 자리매김되어야 할 것이다. 다만, 대상판결은 긴급성, 보충성이 독립적 요건이 아니라고 하면서도 5가지 요건에 따른 법리 자체를 고쳐서 서술하지 않은 점은 법리의 표현 방식에 있어서 다소간의 불명료함을 야기한다는 점에서 아쉬움이 있고, 위 판결이 긴급성과 보충성의 독자적 요건으로서의 성격을 부정한 부분이 후속 판시들에서 계속 이어질 것인지는 향후 좀더 지켜볼 필요가 있다. ... Article 20 of the Korean Criminal Act regulates justifiable act based on social norms which serves as a mechanism to prevent the formal application of penal regulations from yielding unreasonable outcomes practically. Traditionally, the Korean Supreme Court has required five criteria — including the legitimacy of purpose, the appropriateness of means, the balance between protected and infringed legal interests, urgency, and subsidiarity — to admit the justifiable acts. While this approach may be perceived as an effort to ensure legal certainty, strict adherence to these criteria might paradoxically make it more challenging to admit the justifiable acts compared to other individual grounds for justification. The Korean Supreme Court recently rendered a judgment which attempted to establish a new understanding of the five criteria above that differs from previous precedents. The key points of this verdict are that the five criteria should be “inseparably related and evaluated comprehensively as elements constituting a single act,” and that “urgency and subsidiarity should be considered factors in assessing the appropriateness of the means, rather than as independent requirements.” Furthermore, “urgency and subsidiarity imply the absence of other effective legal means, not the absence of any legal means whatsoever.” The significance of this case lies in its potential to overcome criticism that the five criteria as a consistent standard of judgment, overcoming the criticism that they were only tools used post hoc to support predetermined conclusions. This verdict suggests a flexible interpretation of urgency and subsidiarity depending on the case, and the clarification that they should not be strictly interpreted as the absence of any legal means, are significant for future practice and likely to influence subsequent judgments. Another noteworthy aspect of this case is its clarification that the relationship between specific grounds for justification under Article 21 and following, and the general provision - Article 20, is that of special law to general law. Consequently, in cases involving ‘passive resistance,’ the provisions on self-defense should be primarily considered. While this case did not revise the doctrine based on the five criteria itself, the judgment before and after this case applies more specific descriptions. The accumulation of such precedents is expected to clarify the meaning of the five criteria and establish specific sentencing factors for different types of cases, thereby achieving a balanced approach between substantive validity and legal certainty in individual cases.

      • KCI등재

        대학생의 자기자비가 폭식행동에 미치는 영향: 부정정서와 부정 긴급성의 매개효과

        이슬기(Seul-Gi Lee),이희경(Hee-Kyung Lee) 한국콘텐츠학회 2022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Vol.22 No.9

        본 연구는 자기자비와 폭식행동의 관계를 확인하고, 자기자비가 폭식행동에 미치는 영향이 부정정서와 부정 긴급성에 의해 매개되는지를 살펴보았다. 이를 검증하기 위해 대학생 및 대학원생 441명을 대상으로 자기자비, 부정정서, 부정 긴급성, 폭식행동을 측정하는 설문을 실시하였다. 수집한 자료는 SPSS 23.0과 AMOS 23.0 프로그램을 통해 기술통계분석 및 Pearson 상관분석, 구조방정식 모형 검증을 통해 분석되었으며, 부트스트래핑(Bootstrapping) 방법을 사용하여 간접효과의 유의성을 검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상관분석 결과 자기자비, 부정정서, 부정 긴급성, 폭식행동 간 유의한 상관이 나타났다. 둘째, 자기자비와 폭식행동의 관계에서 부정정서와 부정 긴급성의 순차적 매개효과가 나타났다. 이는 대학생의 자기자비증진이 부정정서와 부정 긴급성을 순차적으로 감소시킴으로써 폭식행동을 감소시킬 수 있음을 의미한다. 마지막으로 이러한 결과를 토대로 폭식행동의 치료에 있어 자기자비의 실제적 활용방안에 대해 제안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relationship between self-compassion and binge eating and to examine the mediating effects of negative affect and negative urgency. To validify this hypothesis, 441 college and graduate students were measured self-compassion, negative affect, negative urgency, and binge eating. For the collected data, SPSS(23.0) and AMOS(23.0) were used for descriptive statistics, correlation analysis, and analyzing the structural equation model.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the correlation analysis showed significant correlations among self-compassion, negative affect, negative urgency, and binge eating. Second, in the relationship between self-compassion and binge eating, negative affect and negative urgency showed serial mediating effects. This means that for college and graduate students, the promotion of self-compassion can reduce binge eating behavior by sequentially reducing negative emotions and negative urgency. Finally based on these results, practical applications of self-compassion in the treatment of binge eating behavior were proposed.

      • KCI등재

        부정 정서가 부정 긴급성을 매개로 폭식 행동에 미치는 영향: 긍정 정서의 매개된 조절효과

        박소현,양재원 한국재활심리학회 2022 재활심리연구 Vol.29 No.3

        본 연구에서는 부정 정서와 폭식 행동 사이를 매개하는 부정 긴급성의 매개모형에서, 긍정 정서의 직접경로와 간접경로에서 조절효과를 검증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성인 여성 378명을 대상으로 부정정서, 긍정 정서, 부정 긴급성, 폭식 행동 경향성을 자기보고식 설문으로 측정하였다. 변인들의 관계를알아보기 위해 상관분석을 실시한 후 매개모형과 매개된 조절모형을 검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부정 정서가 폭식 행동에 끼치는 정적 영향에 부정 긴급성의 매개효과가 검증되었다. 둘째, 상기 매개모형에서 긍정 정서의 매개된 조절효과가 검증되었다. 구체적으로 긍정 정서는 매개 모형의 조건부 직접효과에 정적으로, 조건부 간접효과에 부적으로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이 확인되었다. 이 결과는 부정 정서가 부정 긴급성을 통해 폭식을 예측하는 경로에서 긍정 정서는 보호 요인이 되지만, 부정 긴급성을 통하지 않는 직접 경로에서는 긍정 정서가 위험 요인임을 의미한다. 이는 폭식행동을 치료할 때 긍정 정서의 양가적인 효과에 대해 고려해야 함을 시사한다

      • KCI등재

        부정 정서가 대학생의 음주문제에 미치는 영향: 부정 긴급성과 부적응적 인지적 정서조절 전략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임선영,고은영 한국청소년학회 2018 청소년학연구 Vol.25 No.1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mediating effect of negative urgency and maladaptive cognitive emotion regulation strategy on the relationship between negative affect and alcohol problem. A total of 718 Korean university students completed the following questionnaires: UPPS-P-Negative Urgency, Beck’s Depression Inventory(BDI), State-Trait Anxiety Inventory(STAI), State Trait Anger Expression Inventory(STAXI), Maladaptive cognitive emotion regulation strategy(CERQ), AUDIT-K along with a consent form. Structural equation modelling was used for verifying the model. The result is as following. First, there was a significant correlation between negative urgency, maladaptive cognitive emotion regulation strategy, negative affect and drinking problem. Second, the full mediated model, in which the influence of negative affect on alcohol problem was mediated by negative urgency and maladaptive cognitive emotion regulation strategy, was adopted. Finally, limitations, future research and therapeutic implications were discussed. 본 연구는 대학생 집단을 대상으로 음주문제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 부정 정서, 부정 긴급성, 부적응적 인지적 정서조절전략에 주목하고 이들 변인들 간의 구조적 관계를 확인하고자 하였다. 대학에 재학 중인 대학생 718명을 대상으로 설문지를 사용하여 부정 정서(BDI, STAI, STAXI-K), 부정 긴급성(UPPS-P의 NU), 부적응적 인지적 정서조절전략(CERQ의 부적응적 인지적 정서조절 척도), 음주문제(AUDIT-K)를 측정하였다. 부정 정서가 음주문제에 미치는 영향에서 부정 긴급성과 부적응적 인지적 정서조절전략이 어떤 역할을 하는지를 확인하기 위해 부정 정서가 음주문제에 직접효과와 간접효과를 모두 갖는 모형을 연구모형으로 구조방정식으로 검증하였고,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부정 정서, 부정 긴급성, 부적응적 인지적 정서조절전략 및 음주문제 모든 변수에서 유의미한 정적 상관을 보였다. 둘째, 부정 정서와 음주문제와의 관계에서 부정 긴급성과 부적응적 인지적 정서조절전략의 매개효과를 검증하는 구조 모형에서 부정 정서가 음주문제에 직접효과와 간접효과를 모두 갖는 부분 매개 모형은 기각되었고, 완전 매개 모형이 채택되었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 결과의 제한점과 치료적 개입에 대한 제언을 논의하였다.

      • KCI등재

        경계선 성격 경향성과 강박적 성행동과의 관계: 지각된 스트레스와 부정 긴급성의 매개효과

        최재광,한지현,송원영 한국건강심리학회 2023 한국심리학회지 건강 Vol.28 No.6

        이 연구는 성인을 대상으로 경계선 성격 경향성과 강박적 성행동과의 관계를 확인하고 지각된 스트레스와 부정긴급성의 매개효과를 검증하여 경계선 성격 경향성으로 발생하는 자기파괴적 행동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전국에 거주중인 성인 306명을 대상으로 경계선 성격 경향성, 지각된 스트레스, 부정 긴급성, 강박적 성행동을 측정할 수 있는 척도를 사용하여 설문을 구성하고 조사를 실시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기술통계분석, 신뢰도 분석, Pearson 상관분석을 실시하여 자료의 기초적 특징을 확인하였고, 연구가설을 검증하기 위해 구조방정식 모델링을 활용하여 연구모형을 분석하였으며,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이 연구에서 활용된 주요변인들의 상관은 모두 정적으로 유의하였다. 둘째, 경계선 성격 경향성과 강박적 성행동과의 관계는 정적으로 유의하였으며, 두 관계를 지각된 스트레스와 부정 긴급성이 순차적으로 매개하는 경로도 정적으로 유의하였다. 이 결과는 경계선 성격 경향성이 높으면 지각된 스트레스와 부정 긴급성이 활성화되어 높은 빈도의 강박적 성행동을 보고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따라서 스트레스를 적응적으로 지각할 수 있도록 하여 부정적 정서의 수준을 낮추고 부정 긴급성을 감내할 수 있도록 개입하는 것이 경계선 성격 경향으로 발생하는 강박적 성행동을 효과적으로 대처할 수 있는 방법이 될 수 있겠다. 마지막으로 이 연구의 의의와 한계점을 논의하였다. This study attempted to identify the relationship between borderline personality tendency and obsessive sexual behavior in adults and to find ways to solve self-destructive behavior problems caused by borderline personality tendency by confirming the mediating effect of perceived stress and negative urgency. To this end, a survey was organized and conducted in 306 adults living across the country using scales that can measure borderline personality tendency, perceived stress, negative urgency, and obsessive sexual behavior. Descriptive statistical analysis, reliability analysis, and Pearson correlation analysis were performed on the collected data to confirm the basic characteristics of the data, and the research model was verified using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to verify the research hypothesis. The results of the analysis were as follows: First, the correlation between the main variables used in this study was positively significant. Second, the causal relationship between borderline personality tendencies and compulsive sexual behavior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and the causal relationship, in which perceived stress and negative urgency sequentially mediated the two relationships, was also confirmed to be statistically significant. These results indicated that when the borderline personality tendency was increased, perceived stress and denial urgency could be activated and the frequency of compulsive sexual behavior could increase. Therefore, an intervention to adaptively perceive stress, reduce the level of negative emotions, and endure negative urgency can be an effective way to cope with obsessive sexual behavior caused by borderline personality trends. Finally, the significance and limitations of this study were discusse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