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핵심역량 강화를 위한 기초일본어 수업 개발 연구

        김은영(Kim, Eun-Young),최원재(Choi, Won-Jai) 일본어문학회 2021 일본어문학 Vol.93 No.-

        本研究はコアコンピテンシー強化のために大学の教養科目である「基礎 日本語」の授業をコンピテンス基盤型授業として開発することを目的とした。「基礎日本語」の授業は力量中心の教育運営の核心要素である授業内容の再構造化、学生参加型授業、フィードバックを強調した過程中心の評価を基に開発された。論者は「基礎日本語」の授業で達成できると期待されるコンピテンスとしてグローバル市民の力量に最も重点を置き、デジタル読解力、感性的な認知能力、創造的な問題発見力および解決力を授業と連携させた。「基礎日本語」の授業は4つのコアコンピテンシーを向上させるために授業の目標をコンピテンス別に設定し、週単位で授業内容がコアコンピテンシーまたは下位力量と繋がるように設計した。授業方法は討論、発表、共同学習などを活用し、多様な日本語ICT学習コンテンツとeポートフォリオを活用することによってデジタルリテラシーと授業省察能力を培えるようにした。以上の結果を通じて「基礎日本語」の授業とコアコンピテンシーを結び付ける可能性を探り、日本語教育がコンピテンス基盤型教育に寄与できることを確認した。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velop a basic Japanese language course from a liberal arts course to a core competency-based course. The basic Japanese course is developed based on process-oriented evaluation, which emphasizes the key components of competency-based educational management: restructuring class content, student-engaging class and feedback. Among the four core competencies to be achieved in the course, global citizenship is greatly emphasized in liaison with the others - digital literacy, emotional cognition, and creative problem design and solution. In order to improve the four core competencies, the lesson goals are set separately by each competency, and the lessons of each week are designed to be linked to the core or sub competencies. The teaching methods used are class discussions, presentations, and collaborative learning enabling students to improve digital application and class reflection abilities through various Japanese ICT contents and e-portfolios. The research explored the possibility to connect a basic Japanese language course with core competencies, and the result confirmed that Japanese language education has a role to contribute to competency-based education.

      • KCI등재

        SPOT90을 통한 일본어 진단과 활용 및 감상 ― 기초일본어 비대면 수업을 중심으로 ―

        김현주 한국일어교육학회 2024 일본어교육연구 Vol.- No.67

        본 연구에서는 필자가 국립H대학교 ‘기초일본어’ 비대면 수업에서 온라인 평가도구인 SPOT90을 도입하여 일본어 능력을 진단하고 개별 학습 목표를 설정한 후 학생들의 감상을 분석한 결과를 보고하였다. 학생들의 주관적 감상을 분석한 결과, SPOT90의 활용이 일본어 학습에 도움이 된 것을 알 수 있었다. 구체적으로는 ‘JLPT 자격증 취득을 위한 목표 설정에 도움이 된 점’ ‘본인의 일본어 능력 수준을 파악하는 데 도움이 된 점’ ‘학습 계획 수립에 도움이 된 점’ ‘개별 맞춤식 학습에 도움이 된 점’을 제시할 수 있다. 또한 학생들이 SPOT90의 결과가 자신의 일본어 능력 수준을 정확하게 반영하고 있는 것으로 판단하고 있지만 음질에 대한 개선 요청이 많았던 점을 통해 평가도구의 의도된 노이즈에 대한 이해가 불충분했던 것을 알 수 있었다. 따라서 이 부분에 대해서는 학생들에게 충분한 사전 설명이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 SPOT90에 의한 일본어 능력 진단과 맞춤형 학습 목표 설정은 언어의 기능을 종합적으로 학습하는 기초일본어와 같은 수업에서 학습 수준의 격차로 인한 문제점을 개선할 수 있는 대안이 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교육의 디지털화가 가속화되는 오늘날, 원격 일본어 수업에서 유용하게 활용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향후 데이터의 확대를 통해 학습자가 본고에서 제안한 맞춤형 학습 목표를 효율적으로 달성할 수 있도록 구체적인 지원 방법을 모색하여 연구의 내실을 기하고 일본어 교육의 발전에 기여하고자 한다. For this study, the author introduced the online assessment tool SPOT90 into the non-face-to-face Basic Japanese classes at National H University to diagnose Japanese language proficiency, set individual learning goals, and analyze students' impressions. The analysis of students' subjective impressions shows that the utilization of SPOT90 was helpful for Japanese language learning. Specifically, it assisted in setting goals for obtaining the JLPT certification, understanding one's own Japanese language proficiency level, establishing learning plans, and facilitating personalized learning. Additionally, students considered that SPOT90 accurately reflected their Japanese language proficiency level, but there were many requests for improvement in audio quality, which indicates insufficient understanding of the evaluation tool. Therefore, it seems necessary to provide sufficient prior explanation to students regarding this aspect. Diagnosing Japanese language proficiency and setting personalized learning goals through SPOT90 could serve as an alternative for addressing the problem of learning level disparities in classes like Basic Japanese, which comprehensively teach language functions. Moreover, in today's accelerating digitization of education, it is expected to be a useful approach for remote Japanese language classes. In the future, by expanding data, we aim to explore specific support methods to efficiently achieve the personalized learning goals proposed in this paper and contribute to the advancement of Japanese language education.

      • KCI등재

        대학 교양 일본어학습에 관한 기초조사 -서울소재 S대학의 교양 일본어학습자를 중심으로-

        이선희 ( Lee Sun-hee ) 한국일본근대학회 2017 일본근대학연구 Vol.0 No.58

        본 논문에서는 교양 일본어를 수강하고 있는 학습자를 대상으로 일본어 학습배경 및 일본어학습에 관한 신념에 대하여 고찰하였다. 그 결과를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1) 교양 일본어 수강생의 과반수 이상은 이미 일본어를 배운 경험이 있는 학습자로 일본문화에 관심이 있어서 일본어를 배운다고 답한 학생이 가장 많았다. 2) 현재 자신의 일본어 능력에 관해서는 대부분의 수강생들이 [하]라고 답했으며 일본어학습 최종목표에 관해서는 여행을 갔을 때 불편하지 않을 정도로 혹은 일상회화가 가능해 질까지 일본어를 배우고 싶다는 학습자가 가장 많았다. 3) 교양 일본어 수강생들은 언어의 4기능 가운데 말하기-듣기-읽기-쓰기 순서로 중요하다고 생각하고 있었으며 실제 [기초일본어1] 수업은 말하기, 듣기 중심의 회화 수업으로 운영되기를 희망하는 수강생이 가장 많았다. 4) 교양 일본어를 수강하는 많은 학생들은 일본어를 그다지 어려운 언어는 아니며 자신이 일본어 습득에 특별한 재능을 갖고 있지는 않지만 일본어를 잘 하고 싶다는 생각이 있는 만큼 매일 꾸준히 공부한다면 2년 이내에 일본어능력이 향상될 것이라 인식하고 있었다. 5) 일본어를 일본에서 공부해야한다고 인식하고 있는 학습자 비율은 높지 않았으며 나아가 일본어를 공부하는데 일본인교사 및 일본인 친구가 필요하다고 인식하고 있는 학습자의 비율 역시 높지 않았다. 6) 일본어학습에 있어서 어휘 습득이 중요하다고 인식하는 수강생이 많았으며 일본어 학습방법에 있어서는 많이 반복하고 많이 연습하는 것/음성파일을 듣고 연습하는 것 등이 중요하다고 인식하고 있었다. This study was conducted on students who attended a Japanese language class as a liberal arts course at a university in order to examine their background and perception of learning Japanese, and the results are as follows. 1) The majority of the students who attended a Japanese language class answered that they had experience of learning Japanese before, and the number of students who answered that they started to learn Japanese as they were interested in Japanese culture was the highest. 2) Most of the students answered that the level of their Japanese language skills was low. To the question about their final goal of learning Japanese, the number of students who answered that they wanted to learn Japanese until they can feel comfortable when traveling to Japan or have a daily conversation in Japanese was the highest. 3) Most of the students thought that speaking among 4 language skills is most important, followed by listening, reading and writing. The number of students who hoped the “Basic Japanese 1” class was a conversation class focusing on speaking and listening was the highest. 4) Most of the students viewed that Japanese is not a language that is difficult to learn. They also thought that if they continued to study Japanese everyday even without any special talent for learning Japanese, they could improve their Japanese skills in 2 years as long as they wanted to be good at Japanese. 5) The share of students who thought that they should study Japanese in Japan was not high, and the share of those who thought that they need Japanese teachers or friends to study Japanese was also not high. 6) Many students viewed that vocabulary acquisition is important to learn the language, and that it is important to repeat and practice a lot, and listen to audio files and practice in learning Japanese.

      • KCI등재

        대학 교양 일본어학습에 관한 기초조사 ‒ 서울소재 S대학의 교양 일본어학습자를 중심으로 ‒

        한국일본근대학회 한국일본근대학회 2017 일본근대학연구 Vol.0 No.58

        본 논문에서는 교양 일본어를 수강하고 있는 학습자를 대상으로 일본어 학습배경 및 일본어학습에 관한 신념에 대하여 고찰하였다. 그 결과를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1) 교양 일본어 수강생의 과반수 이상은 이미 일본어를 배운 경험이 있는 학습자로 일본문화에 관심이 있어서 일본어를 배운다고 답한 학생이 가장 많았다. 2) 현재 자신의 일본어 능력에 관해서는 대부분의 수강생들이 [하]라고 답했으며 일본어학습 최종목표에 관해서는 여행을 갔을 때 불편하지 않을 정도로 혹은 일상회화가 가능해 질까지 일본어를 배우고 싶다는 학습자가 가장 많았다. 3) 교양 일본어 수강생들은 언어의 4기능 가운데 말하기-듣기-읽기-쓰기 순서로 중요하다고 생각하고 있었으며 실제 [기초일본어1] 수업은 말하기, 듣기 중심의 회화 수업으로 운영되기를 희망하는 수강생이 가장 많았다. 4) 교양 일본어를 수강하는 많은 학생들은 일본어를 그다지 어려운 언어는 아니며 자신이 일본어 습득에 특별한 재능을 갖고 있지는 않지만 일본어를 잘 하고 싶다는 생각이 있는 만큼 매일 꾸준히 공부한다면 2년 이내에 일본어능력이 향상될 것이라 인식하고 있었다. 5) 일본어를 일본에서 공부해야한다고 인식하고 있는 학습자 비율은 높지 않았으며 나아가 일본어를 공부하는데 일본인교사 및 일본인 친구가 필요하다고 인식하고 있는 학습자의 비율 역시 높지 않았다. 6) 일본어학습에 있어서 어휘 습득이 중요하다고 인식하는 수강생이 많았으며 일본어 학습방법에 있어서는 많이 반복하고 많이 연습하는 것/음성파일을 듣고 연습하는 것 등이 중요하다고 인식하고 있었다. This study was conducted on students who attended a Japanese language class as a liberal arts course at a university in order to examine their background and perception of learning Japanese, and the results are as follows. 1) The majority of the students who attended a Japanese language class answered that they had experience of learning Japanese before, and the number of students who answered that they started to learn Japanese as they were interested in Japanese culture was the highest. 2) Most of the students answered that the level of their Japanese language skills was low. To the question about their final goal of learning Japanese, the number of students who answered that they wanted to learn Japanese until they can feel comfortable when traveling to Japan or have a daily conversation in Japanese was the highest. 3) Most of the students thought that speaking among 4 language skills is most important, followed by listening, reading and writing. The number of students who hoped the “Basic Japanese 1” class was a conversation class focusing on speaking and listening was the highest. 4) Most of the students viewed that Japanese is not a language that is difficult to learn. They also thought that if they continued to study Japanese everyday even without any special talent for learning Japanese, they could improve their Japanese skills in 2 years as long as they wanted to be good at Japanese. 5) The share of students who thought that they should study Japanese in Japan was not high, and the share of those who thought that they need Japanese teachers or friends to study Japanese was also not high. 6) Many students viewed that vocabulary acquisition is important to learn the language, and that it is important to repeat and practice a lot, and listen to audio files and practice in learning Japanese.

      • KCI등재

        블렌디드 러닝을 적용한 ‘기초일본어1’ 수업

        이선희 한국일본근대학회 2016 일본근대학연구 Vol.0 No.51

        본 논문은 ‘기초일본어1’ 수업에 블렌디드 러닝을 적용한 결과에 대한 보고이다. 본 논문에서는 블렌디드 러닝으로 운영된 ‘기초일본어1’ 수업의 교수설계 과정을 제시하고, 학습자들을 대상으로 실시한 설문조사 결과를 분석하였다. 그 결과, 학습자들은 온·오프라인 병행 수업에 만족하고 있으며 온·오프라인 병행 수업이 오프라인 수업에 비하여 일본어 실력향상 및 유지에 도움이 된다고 하였다. 또, 블렌디드 러닝으로 운영된 ‘기초일본어1’ 수업의 시간 배분 및 운영 방식(온라인 수업에서는 단어 및 표현, 문법 중심으로 오프라인 수업에서는 말하기, 쓰기 연습 위주로 수업을 진행) 등에 대해서도 만족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그러나, 온라인 강의 제작 및 학습 관리 등에 있어서는 여러 가지 보완되어야 한다는 의견이 있었다. 이러한 것들이 향후 개선되어야 할 점이라고 할 수 있겠다. This paper is a report on the results of applying the blended learning in the class of “Basic Japanese 1”. In this study, we presented the instructional design process and analyzed the questionnaire results of the application of blended learning in basic Japanese 1 class. Through questionnaires, it was concluded that students showed higher satisfaction when we operated both online and offline classes, and they responded that online and offline combined classes are more helpful than offline classes in improving and maintaining Japanese language proficiency. In addition, it was found that they are even satisfied with the class hour allocation and class management methods of blended learning based “Basic Japanese 1” class. (Online classes were focused on words & expressions, grammar, whereas the focus of offline classes were speaking and writing practice.) But, with regard to producing online lectures and learning management system, students expressed many different opinions. These things will have to be further improved.

      • KCI등재

        ARCS 모형을 적용한 일본어 학습 영상콘텐츠의 개발 및 효과

        이현진,권희주 인문사회 21 2022 인문사회 21 Vol.13 No.4

        Development and Effect of Japanese Educational VideoBased on the ARCS ModelHyunjin Lee & Heeju Kwon Abstract: This study aims to develop learning videos that can motivate learners of basic Japanese and support their autonomous learning. This study drew motivation strategies for learning stages based on the ARCS model, produced learning videos in the micro-learning method and presented them on the YouTube and Notion platforms. This study conducted a practical case study in a basic Japanese class, conducted a survey to verify the effect on learning and analyzed the result of academic performance. This study found that the ARCS model-based video had positive effects on learning efficacy, but it is necessary to conduct a follow-up study with various learners to develop more effective video. Key Words: ARCS Model, YouTube, Basic Japanese, Micro Learning, Notion Platform ARCS 모형을 적용한 일본어 학습 영상콘텐츠의 개발 및 효과이 현 진**ㆍ권 희 주*** 연구 목적: 코로나19로 변화한 교육환경에서 기초일본어 학습자에게 학습 동기를 부여하고 자율학습을 지원할 수 있는 학습 영상콘텐츠를 개발한다. 연구 방법: ARCS 모형에 관한 이론적 연구를 진행하고, 영상콘텐츠를 제작해 실천적 사례연구를 실시한다. 학습 효과 검증을 위해 질문지 조사, 학업성취도 결과를 분석한다. 연구 내용: 학습 단계별 동기 유발 전략을 도출하고 마이크로러닝 방식으로 영상콘텐츠를 제작해 이를 유튜브, 노션 플랫폼에 공개하였다. 2022년 1학기 A대학 기초일본어 청해 강좌에 이를 활용한 교육을 실시하고, 학습과정 및 효과를 분석하였다. 결론 및 제언: ARCS 모형 기반 영상콘텐츠는 학습의 효용성 및 학습 동기 증진에 긍정적인 효과가 있음이 확인되었다. 하지만, 본 연구는 질적 사례연구라는 한계가 있다. 보다 효과적 영상콘텐츠 개발을 위해 다양한 학습자를 대상으로 한 후속 연구가 요구된다. 핵심어: ARCS 모형, 유튜브, 기초일본어, 마이크로 러닝, 노션 플랫폼 □ 접수일: 2022년 7월 31일, 수정일: 2022년 8월 20일, 게재확정일: 2022년 8월 20일* 이 논문은 2019년 대한민국 교육부와 한국연구재단의 지원을 받아 수행된 연구임(NRF-2019S1A5B5A07091756). 이 논문은 건국대학교 KU연구전임 프로그램에 의해서 수행된 과제임. ** 주저자, 서일대학교 비즈니스일본어과 강사(First Author, Lecturer, Seoil Univ., Email: ihyeonjin@daum.net)*** 교신저자, 건국대학교 KU중국연구원 조교수(Corresponding Author, Professor, Konkuk Univ., Email: shiawase@konkuk.ac.kr)

      • KCI등재

        기초일본어 교육에서의 어휘지도방안

        이윤정 일본어문학회 2020 일본어문학 Vol.90 No.-

        In order to learn basic Japanese, you will receive basic Japanese education regardless of what field and what kind of work you do. In this article, three basic Japanese teaching materials are selected, vocabulary is analyzed in terms of parts of speech, and the priority order of vocabulary learning is determined by presenting words with a large number of appearances, to the effect that the efficiency of vocabulary learning is enhanced. Basic Japanese vocabulary education is also important in Japanese language education at universities. Recently, there are more opportunities to find jobs in Japan, and the number of training courses at universities and institutions to prepare for employment in Japan is increasing. Trainees who participate in such training courses must learn technical terms and business vocabulary in each field while their vocabulary is based on basic Japanese. Accordingly, as an effective vocabulary teaching method, (i) the priority order of vocabulary learning is presented in terms of parts of speech based on the analysis of basic Japanese language teaching materials, (ii) the analysis of homonyms and synonyms, kanji learning methods, and mindmaps are prepared to organize words, and (iii) various vocabulary learning methods such as learning vocabularies in a fun play format can be presented, so that not only the direction of vocabularies learning of learners but also the educators in charge of education can improve their vocabularies.

      • KCI등재

        한국어교육과 일본어교육에서의 학문 목적 쓰기 교재 분석

        혼다 토모쿠니,김인규 영남대학교 인문과학연구소 2011 人文硏究 Vol.- No.61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a new approach to Korean education for Academic Purposes. For this, this study focuses on Japanese education for Academic Purposes, on which few studies with Korean education for Academic Purpose have been conducted so far. The reason is that it is thought that Japanese education shares much similarity with Korean education in terms of language and culture. In this regard, this study analyzes a Korean writing textbook for Academic Purposes and Japanese writing textbooks for Academic Purposes. Three categories of analysis are employed for this study: basic writing, basic organization of text, and assistant function of teaching and learning in textbooks. Based on these categories, one Korean writing textbook and four Japanese writing textbooks are analyzed. The textbooks from two countries are almost same, but they are different in approaches to types of exercises and learning contents. Especially, in terms of assistant function of teaching and learning, the Japanese writing textbooks focus more on materials for teachers, which help them use textbooks efficiently. On the other hand, the Korean writing textbook focuses more on materials for learners such as various glossaries compared with those of Japanese. 본고는 학문 목적을 위한 한국어교육의 새로운 모색을 위한 연구이다. 이를 위해 비교 연구가 거의 이루어지지 않은 학문 목적을 위한 일본어교육에 관심을 두었다. 그 이유는 언어적․문화적 유사점이 많은 일본어교육에서 한국어 교육에 대한 시사점을 찾을 수 있다고 생각하였기 때문이다. 연구를 위해 학문 목적 한국어 쓰기 교재와 학문 목적 일본어 쓰기 교재를 분석하였는데 분석 범주는 ‘글쓰기 기초, 글의 기본 구성, 교수ㆍ학습 지원 기능의 세 가지이다. 이를 통해 한국어 쓰기 교재 한 권, 일본어 쓰기 교재 네 권을 분석하였다. 양국의 교재는 대동소이하지만 연습 문제의 유형, 학습 내용에 대한 접근에 차이를 보였다. 특히 교수ㆍ학습 지원 기능에 있어서는 학문 목적 일본어 쓰기 교재가 교사 지침에 강조를 둔 반면 학문 목적 한국어 쓰기 교재는 일본어 쓰기 교재와 비교하여 볼 때 다양한 용어집을 제공하여 자료적인 측면을 더 고려하였다.

      • KCI등재

        기초일본어 교재에서의 명사 어휘 분석 연구

        이윤정(李倫姃) 한국일본문화학회 2019 日本文化學報 Vol.0 No.83

        In studies analyzing vocabulary , words are classified by part of speech, word type and word structure, and then are presented starting with high-frequency words to establish priority for vocabulary learning and to present suggestions for efficient vocabulary learning. This manuscript targets the noun vocabularies of basic Japanese language teaching materials, classifies highly relevant words by meaning into groups, and presents high-frequency words by groups. By allowing the determination of priorities for vocabulary learning, such lists allow for efficient Japanese vocabulary learning. The number of vocabulary items analyzed in three basic Japanese language textbooks ranged from 853 to 4,214 words in 『다-뉴』, from 1,298 to 7,424 words in 『시-민』, and from 841 to 3,412 words in 『동-도』. Although the number of words in each group varies from one textbook to another, words that appear frequently have similar features. Considering the influence of vocabulary power on Japanese conversation, forming a mind map and learning words in each group together is thought to be very useful to improving learner"s speaking abilities. In future studies, we will not only analyze vocabulary, but also offer efficient guidance for using the analyzed vocabulary.

      • KCI등재

        기초일본어 전공 교과목의 PBL(Project-Based Learning) 적용 사례연구

        김세련 대한일어일문학회 2021 일어일문학 Vol.90 No.-

        본 연구는 사범대 일어교육과 1학년 전공 교과목인 ‘기초일본어II’에 프로젝트학습을 적용한 사례연구이다. 연구대상은 본 교과목 수강생 25명이며, 팀 빌딩은 원활한 팀 프로젝트 활동을 위해 한 팀을 5명씩 총 5팀으로 편성하였다. 프로젝트학습의 수업 적용은 중간고사 이후부터 4주간(12시간)이고, 수업절차는 ‘준비-계획-실행-평가’의 4단계로 진행되었다. 본 프로젝트 수업의 전 과정에 학습자의 주도적 참여로 스스로 생각해내고 다양한 방법을 시도하며, 팀원들과 함께 협력하여 문제를 해결해나가는 수행 과정을 통하여 “소통역량과 협력역량”이 향상된 성과를 보였다. 아울러 기존의 교수 일방의 구조식 강의보다 학습자 중심의 프로젝트 활동을 통하여, 팀 내의 역할분담과 의견 조율을 통해 서로의 부족함을 채워주면서 연대감을 형성하고 배운 지식을 결과물에 적용해보는 좋은 기회를 제공함으로써, 교내 2020 학생성공 PBL 온라인 경진대회에 참가하여 우수상을 수여한 팀도 생겨 “도전역량”의 성과도 보였다. 본 프로젝트 수업에 대한 만족도 고찰을 위해 사후 설문조사 결과, 교수자 강의평가는 5점 만점에 4.45로 나타난 반면, 학습평가는 4.29로 다소 낮게 나타났다. 한편, 학습평가의 만족도는 4.5로 나타났으며. 특히 프로젝트수업에 대한 기대감과 검색 및 일본어 능력 향상이 4.5이상으로 높은 만족도를 보인 반면, 역할 분담은 4.14로 가장 낮은 만족도를 보였다. 향후 프로젝트학습의 수업 적용 시 학습자 눈높이에서 보다 비구조화된 실용적인 문제를 테마로 정하되, 수행평가에 대한 보다 구체화된 객관적인 기준을 마련하고 효율적인 역할분담의 조율을 강구해야 할 것이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