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디지털 혁신에 의한 한국문화예술의 세계화

        이미재 한국유럽학회 2012 유럽연구 Vol.30 No.3

        A culture is something that is not created over a night. It can only be established through history of times. And creative thinking is a vital element in healthy and growing people and cultures. South Korea lacks any significant natural resources and up until now its industrial structure has grown with high-tech as the center. Although it has made some successful stories, now it is time for Korea to plan its future forwardly. Korea has to make a way in which high-tech based industry is further blended with arts based on design creativity. This will bring certain level of national competitiveness and brand power in their manufactured goods. In many developed countries their name constitutes a certain brand. Brands that produce high value added industrial or manufacture goods and services. This is created through innovative reforms in their industrial structure. Blending arts and technology in a bowl, these countries certainly become the leading group in the global industrial market. This study seeks and analysis how Korea should work on strategies to redesign its high-tech based industrial structure: how to blend in the element of art and design creativity for its sustainable development; to become one of the advanced countries. This will then raise thoughts on creative mind,originality and individuality. How should a person be trained to be a creative thinker? How should the quality of education be changed to serve a good foundation? A person who has a strong background on humanities would produce more creatively minds based on originality and individuality. Creations based on high-tech and arts and design arrangements also blends in science and nature of people’s lives. This further indicates that the fusion ofhigh-tech, arts and environment will lead to a further growth in arts and cultures based on pragmatism. And finally developing Korea’s manufacturing business with such creative minds will develop its brand power and build up the national competitiveness. 문화는 인류역사에서 볼 때 도전과 응전의 원칙에 의해 소멸과 생성의 반복으로 지속되어왔다. 따라서 문화는 자연과의 관계 속에서 인간의 끊임없는 생존의지와 창의로 이루어지며, 문화예술은 국가와 개인의 사고력에서 뿌리내린 인문창의정신이 전제된다. 한국성장의 변화구조는 첨단산업 중심으로 발전되어왔지만 한 단계 도약을 위해서는 창의예술문화에 주력한 첨단디자인을 첨단기술과 동일화시키는 것이 관건이다. 현 시대는이미 기술과 예술의 융합으로 세계는 삶의 질을 추구하며 의⋅식⋅주의 가치를 변화시키고 있다. 선진문화국은 끊임없는 혁신으로 고부가가치의 제품을 국가브랜드 화 하여 나라의 이미지를 대표하며 세계 명품산업을 선도하고 있다. 한국은 교육과 훈련을 통해 기술과 예술의 통합차원에서 성장모델을 구도해야 한다. 인문학의 뿌리로부터 생성되는 개인의 독창적이고 개성적인 창의정신을 존중하여, 기술과예술이 소통되는 문화예술이 이 시대의 도래다. 미래 지속가능성장은 경제건설에서 문화예술 산업국으로 옮겨가야만 한국은 진정한 선진문화국으로의 편입화가 가능하다. 기술과예술의 실용주의합리로 성장 잠재력을 내다볼 수 있는 제조업에 주력해야 한다. 이는 창의를 바탕으로 디자인하는 산업구조의 실용예술 방향제시가 21세기 선진미래라 할 수 있다. 기술과 예술의 융합 의미는 삶 자체에서 자연과 환경을 떠나 예술이 존재할 수 없는 통섭된 삶의 포괄적 의미를 지니고 있다. 최근 독일의 제13차 카셀(Kassel) 도쿠멘타(dOCUME NTA)1)의 예술 감독인 ‘카로린 크리스토프-바카르지브(Carolyn Christov-Bakargiev)’2)가지적한 “무엇이 예술이고 무엇이 예술이 아닌가의 한계는 중요하지 않다.”3) 이는 오늘 시대의 삶과 자연과 환경의 모든 것들이 디지털과학기술 혁신에 의해 창의⋅융합되는 세계문화예술의 본성을 시사했다. “세계에서 어느 것도 창의보다 더 강하고 힘 있는 것이 없는 그런 시대가 도래 했다.”4)는 빅토르 위고( Victor Marie Hugo) 명구를 되새겨본다.

      • KCI등재

        통일 독일의 문화예술 정책이 통일 한국에 주는 시사점

        이미재 한독사회과학회 2015 한독사회과학논총 Vol.25 No.1

        분단 이후 한국은 북한 사회주의에 반해 자본주의 문화예술을 바탕으로 발전해 왔다. 분단국에서 벗어나지 못한 한국은 25년 전 분단을 뛰어 넘은 독일을 조사· 분석하여 모델로 삼아야 한다. 독일은 정치 외교적 화합과 주변국 도움으로 평화 통일을 이루었다. 한국은 평화통일을 이룩한 독일의 통일 경험을 토대로 해야 한 다는 점이 이 논문의 관점이다. 분단을 극복하는 길은 여러 가지 있겠으나, 동일문 화권의 두 체제는, 동질성회복을 위한 문화예술 교류가 중요하다. 한국은 분단극 복을 위한 통합과 협력의 대안모색이 필요하다. 이러한 대안으로 한국은 독일통일 과정에서 중요한 역할을 했던 문화예술분야 정책을 연구하여 한국 환경에 적합한 방안을 찾아야 한다. 한국은 정치외교, 안보, 경제발전이 중요한 것은 사실이다. 그러나 문화예술을 통한 동질성회복을 통해 남북이 화합할 수 있는 융합정책을 찾 아야 한다. 이러한 사례가 개성공단 조성과 북한관광지 개방이며, 이 과정을 통해 북한 주민의 생활이 향상되는 결과가 나타날 것이다. 결국 남북한 격차를 좁히는 일에 남한의 주도적 지원으로, 디오니소스적 비전이 요구된다. 또한 유엔을 통해 보다 적극적인 인권문제에 접근해야 한다. 그리하여 북한 주민 스스로 일어서게 할 방안을 연구해야 한다. 또한 탈북 주민들이 평화통일에 기여할 수 있는 접근도 모색해야 한다. 끝으로 한국은 성숙한 외교정책으로 인접 국가들의 이해와 협조를 얻어내야 한다. 독일통일의 주역을 담당했던 헬무트 콜(Helmut Kohl) 전 총리는 구동독을 “젖과 꿀이 흐르는 땅으로 만들어 준다.”고 했다. 이 약속을 25년 동안 지속적 으로 실천한 결과, 현재 구동독은 문화예술의 눈부신 발전상이 나타나고 있다. 바 로 이러한 문화예술의 발전 경험을 통일한국을 위해서는 잘 활용할 수 있어야 한 다고 생각한다. 결국 통일독일의 경험이 주는 시사점은 냉전체제에서 벗어나 한반 도 통일을 추진하고 있는 한국에 참고할 가치가 있다고 사료된다. 25 years ago, Germany achieved peaceful unification with the help from their neighboring countries. Since the Germany has become a role model for both South and North Korea as precedents. The following thesis asserts that both Koreas should take Germany as a model to work towards their peaceful unification: thus in the present century of 21st, which we call it as an era of globalization, both Koreas should carefully and thoroughly scrutinize and learn from the experience of Germany. cultures and Arts in South Korea have evolved along with capitalism since the Korean War unlike the North. As two Koreas share same culture, enhancing exchanges between the two Koreas through restoring culture homogeneity can be one way of over coming the divided nations. Cooperative policies in the field of cultures and Arts may even be more effective as an alternative road towards peaceful unification. The joint venture Kaeseong Industrial Complex (KIC) and Mountain Kumgang tour project are one of good examples of such an alternative policy. This was a case in which South Korea took a lead in supporting to improve their standards of living and to open North Korean tourism. Moreover South Korea should look for ways to approach North Korea's human rights issues through the United Nations (UN): in this way North Koreans can come to realization or movement on their own. At the same time South Korea should seek ways to work towards peaceful unification through making good use of defected North Koreans. Lastly, South Korea should gain understanding and cooperation of such an alternative North Korean policy from its neighboring countries through more mature foreign policies. Helmut Kohl, a former prime minster of Germany, who took a major lead in German unification, once promised Eastern Germans blooming landscapes and a new Western-style life. Such promises have been kept for the past 25 years and is shown through the current development of cultures and Arts in former East Germany. Circumstances of South and North Korea may not be all that identical to that of East and West Germanys yet somethings can surely be studies and learned as precedent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