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한국 기독교 세계관 운동의 회고와 전망

        양승훈 ( Paul S. Yang ) 밴쿠버기독교세계관대학원 2018 통합연구 Vol.20 No.1

        본 논문에서는 지난 40여년 가까이 지속된 한국에서의 기독교 세계관 운동을 개괄한다. 한국의 기독교 세계관 운동은 군사정권 치하의 1970-1980년대에 젊은 지성인들이 기독교적 신앙과 실천의 이원론적 분리를 고민하면서 시작되었다. 초기 세계관 운동에서 선구적 역할을 한 단체를 든다면 1981년에 설립된 ‘기독교대학설립동역회’(이하 동역회)와 1984년에 설립된 ‘기독교학문연구회’(이하 기학연)를 들 수 있다. 원래 동역회(후에 기독학술교육동역회로 개명)(이하 동역회)는 기독교 세계관에 기초한 대학 설립을 목표로 시작되었고, 기학연은 기독교 세계관에 기초한 학문을 목표로 시작되었지만 두 단체 모두 초기 활동은 한국 교회와 사회에서 기독교 세계관의 연구와 확산에 초점이 맞추어져 있었다. 이들을 통해 한국 기독교 세계관 운동은 한국 교회와 사회에 천천히 확산되기 시작했다. 기독교 세계관 운동이 시작된 이후 가장 중요한 사건은 밴쿠버기독교 세계관대학원(VIEW)의 시작과 초기 기독교 세계관 운동의 두 축이었던 동역회와 기학연의 통합이라고 할 수 있다. 본 논문에서는 한국에서의 기독교 세계관 운동을 네 시기로 나누어 살펴본다: DEW가 시작된 1981년 이전을 태동기로, 1981년부터 VIEW가 설립되던 1997년까지를 확산기로, 그리고 1997년부터 동역회와 기학연이 통합된 2009년 전까지를 제도화기, 두단체의 통합이 이루어진 2009년 이후를 성숙기로 나누어 살펴본다. 특히 본 논문에서는 기독교 세계관 운동의 제도화에 중심적인 역할을 했던 VIEW의 사역에 초점을 맞추어 살펴본다. In this study, we take a brief look at the historical overview of Christian worldview movement(CWM) in Korea since 1981. CWM in Korea was initiated by young Korean Christians who were struggling with dichotomic division between Christian belief and practice under the military government in the 1970-1980s. In the initiating stage of CWM, there were 2 dominant organizations which lead the movement: Christian University Fellow-workers Association(later renamed as Disciples with Evangelical Worldview, DEW) founded in 1981 and the Korean Society of Christian Studies(KSCS) founded in 1984. Originally DEW was started for founding a university with Christian worldview and KSCS for Christian scholarship. During the 1980s, however, the initial ministries of both organizations were focused on the introduction and dissemination of Christian worldview. Through them, CWM spread and became a movement in Korean church and society. In the history of CWM in Korea, most significant events were the creation of Vancouver Institute for Evangelical Worldview(VIEW) in 1997 and the unification of DEW and KACS in 2009. In this paper we divide the CWM in Korea into 4 periods: Inception(before 1981 when DEW was started), Expansion(from 1981 to 1997 when VIEW was started), Institutionalization(from 1997 to 2009 when DEW and KACS were united), Maturity(after 2009). In particular, we try to give a special attention to VIEW ministry which played a dominant role for institutionalizing CWM.

      • 기독교세계관 교육프로그램의 만족도가 기독교세계관 형성 및 실천의도에 미치는 영향

        함영주 總神大學校 2020 總神大論叢 Vol.40 No.-

        본 연구의 목적은 기독교 세계관 교육 프로그램의 만족도가 기독교 세계관 형성과 실천의도에 미치는 영향을 탐구하는 것이다. 현대 그리스도인들은 포스트모더니즘과 포스트휴머니즘이라는 거대한 세속적 세계관을 경험하고 있다. 이러한 인본주의적 세계관은 성경중심의 기독교 세계관과 충돌을 일으키고 결국 세계관의 전쟁을 초래하게 된다. 특히 청년기에 있는 그리스도인들은 가치관이 재정립되는 시기로서 자아정체감 이라는 매우 중요한 발달의 과업을 성취해야 하는 시기에 있다. 기독교교육자는 이 시기에 있는 청년 그리스도인들에게 기독교 세계관 교육을 통해 하나님의 관점으로 세상을 바라보고 실천할 수 있는 역량을 길러주어 세계관의 전쟁에서 승리하도록 해야 한다. 본 연구는 C대학교의 신입생 289명을 대상으로 기독교 세계관 교육 프로그램의 만족도가 기독교 세계관 형성과 실천의도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를 살펴보았다. 연구결과 기독교 세계관 교육 수업 및 소그룹 토론에 적극적으로 참여하는 학생들이 보통이나 수동적으로 참여하는 학생들보다 신앙성숙도, 교육동기 및 만족도, 기독교 세계관 형성 및 실천의도에서 높은 평균점수를 보였다. 또한 기독교 세계관 형성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 수업만족도, 수업필요성, 내적신앙성숙, 교육참여동기가 꼽혔으며 기독교 세계관 실천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 수업만족도 교육참여동기, 수업필요성, 내적신앙성숙이 꼽혔다. 이와 같은 연구 결과를 토대로 청년 대학생들의 기독교 세계관 형성과 실천의도를 높여주기 위하여 기독교 세계관 수업만족도 향상을 위한 노력 제고, 수업참여동기 향상을 위한 노력 제고, 내적신앙성숙도 향상을 통한 기독교 세계관 형성 및 실천 지원 등을 제안하였다.

      • KCI등재

        보건의료분야에 기독교세계관의 적용과 실천 : 교육과 연구를 중심으로

        김지원 기독교학문연구회 2013 신앙과 학문 Vol.18 No.4

        The objective of this study is to build a basic model to apply Christian worldview in health and medical science fields and to find ways to practice Christian worldview in these fields. How we look at health and disease, builds the basis of application of Christian worldview in health and medical fields. The contents of whole health, the origin of disease, caring patients, and teaching and learning of medical and heath science was applied to the Christian wordlview frame including creation, degradation, salvation. The creation frame of Christian worldviw in medical and health fields is that human created in the image of God at creation is the state of perfect health. Namely, the comprehensive and whole health mean the state of intact relationship with God, neighbor, and oneself. Degradation frame in medical and health is that disease is originated from the distortion of the creation due to original sin. The corruption coming from the original sin ruins relationship with God, neighbor, and oneself and led to a slanted view of health. Salvation frame means a recovering relationship with God, neighbor, and oneself beyond curing a disease. It also includes the restoration of the kingdom of God in the teaching and learning of medical and health fields. In order to practice the Christian worldview applied to healthcare, education and academic research were explained separately. Christian scholars need to develop Christianity based curriculum and Christian College with health and medical science fields should be reorganized overall to apply Christian world view in total curriculum framework. Studies of health and medical science fields were divided in terms of the Creation, the Fall, and the Redemption, accordingly. Through this, role of each educational studies were identified via Christian Worldview framework. Also, studies within heath and medical science fields were redefined in the light of Christian worldview. This research hopes to revisit the basics and to promote the practice of Christian worldview in each educational fields including health and medical science fields. 본 연구는 보건의료분야에 기독교세계관을 적용하기 위한 기초적인 모델을 제시하고 보건의료 분야의 각 영역에서 기독교세계관을 실천하기 위한 방안을 모색하는데 목적을 두고 있다. 건강과 질병을 어떻게 바라보는지의 문제가 보건의료분야에 기독교세계관을 적용하는 기초가 된다. 따라서 온전한 건강의 상태, 질병의 기원, 환자의 치료, 보건의료학문의 연구와 교육에 대한 내용을 기독교세계관의 창조, 타락, 구속, 완성의 기본적 틀에 적용하였다. 보건의료분야에 적용한 기독교세계관의 창조의 틀은 하나님의 형상을 따라 만들어진 창조 당시의 인간을 온전한 건강의 상태로 보는 것이다. 이는 하나님, 이웃, 나와의 온전한 관계를 이루고 있는 포괄적이고 전인적인 건강의 상태를 말한다. 보건의료분야에 적용한 타락의 틀은 인간의 죄와 이로 인한 창조세계의 왜곡으로 인해 질병이 기원했다고 보는 것이다. 죄로 인한 타락은 하나님, 이웃, 나와의 관계를 훼손시키고 건강에 대한 왜곡된 현상을 초래하였다. 보건의료분야에 적용한 구속의 틀은 환자의 치료에 있어서는 단순히 질병의 치료를 넘어 하나님, 이웃, 나와의 온전한 관계성을 회복하는 것으로 보았다. 학문의 영역에서는 과학적 자연주의, 진화론, 포스트모더니즘에 물들어 있는 보건의료분야의 왜곡된 점들을 찾아 하나님나라를 회복하는 것으로 설명하였다. 이와 같이 보건의료분야에 적용한 기독교세계관의 기본적 틀을 실천하기 위해 교육과 학문연구로 나누어 설명하였다. 보건의료분야의 왜곡된 상황을 회복하기 위해서는 해당 보건의료 분야의 문제를 해석할 수 있는 기독교지성을 가질 수 있도록 연구하고 교육해야 한다. 이를 위해 보건의료분야의 기독교학자는 기독교세계관에 근거한 교과목을 개발하고 보건의료분야의 대학을 가지고 있는 기독교대학에서는 기독교세계관에 근거하여 전체적인 교육과정의 틀을 개편하도록 해야 한다. 기독교세계관에 근거한 학문연구에 있어서는 보건의료분야 안에 있는 해부학, 생리학, 임상의학, 간호학, 물리치료학 등의 학문 연구내용이 보건의료분야에 적용한 기독교세계관의 창조, 타락, 구속의 틀 중 어디에 해당하는지 분류하여 기독교세계관의 틀에서 각 학문의 위치와 역할을 확인할 수 있도록 하였다. 또한, 기독교세계관의 관점에서 보건의료분야 내에 포함된 학문의 정의를 내려 봄으로서 기독보건의료분야의 학자들이 하나님나라를 향해 나아갈 길을 제시하고 보건의료분야의 왜곡된 학문을 회복할 수 있도록 하였다. 본 연구가 보건의료분야에 포함된 다양한 학문들이 기독교세계관의 틀 안에서 기초를 다지는 계기가 되고 각 학문 영역에서 기독교세계관을 실천하는데 도움이 될 수 있기를 기대한다.

      • KCI등재

        소그룹모임 활성화를 통한 대학생들의 기독교세계관 형성 방안 : 한세대학교 둥지모임을 중심으로….

        김홍근 한국실천신학회 2011 신학과 실천 Vol.0 No.26

        본 논문의 목적은 기독교 대학 학부생들에게 어떻게 기독교 세계관을 형성시킬 수 있는지에 대한 전략적 방안을 제시하는 데 있다. 이를 위하여 먼저 기독교 대학교의 정체성을 연구한다. 기독교 대학은 대학의 본질인 학문 연구와 교육을 수행하는 기관으로서의 임무에 충실하되 세속적인 학문 방법론을 지양하고, 성경과 교회의 전통에서 가르치는 기독교적 가치관과 정신에 입각해서 학문 연구와 교육을 수행하는 공동체이다. 이러한 일을 통해 학원 복음화를 이룰 뿐만 아니라, 궁극적으로 하나님의 나라를 실현하는 목표를 가진다. 세계관이란? 한 인간이 세계를 바라보는 눈, 즉 세상을 바라보는 관점을 지칭하는 말이며, 기독교 세계관은 성경과 교회의 전통에 귀를 기울이고, 자신의 존재의미와 목적을 그 안에 두고, 소명자로서 세계 공동체 안에서 그러한 가치를 실천하는 삶을 말한다. 기독교 세계관 형성이 중요한 이유는 세계관은 삶을 인도하는 기능을 하기 때문이다. 즉, 세계관은 사건과 쟁점들, 문화와 예술에 대한 가치기준 등을 평가하는 데 지대한 영향을 미친다. 기독교 세계관 형성의 전략적인 방안으로 소그룹 모임 활성화를 제시한다. 소그룹 환경에서는 인격적인 만남이 이루어진다. 즉, 대화가 인격적인 수준에서 일어나는 장점이 있다. 이와 같은 인격적인 교류가 기독교 세계관 형성을 위한 가장 적절한 환경이 된다. 인간은 인격적인 대화를 통해서 자발적이며, 능동적으로 기독교적인 세계관을 받아들일 수 있기 때문에 소그룹 모임이 중요하다. 한세대학교는 매년 신입생들에게 기독교 세계관 형성을 위하여 『기독교와 세계』라는 교양과목을 개설하고 있다. 특별히 2009년에는 “둥지모임”이라는 소그룹 환경을 통하여 기대 이상의 열매를 맺은 바 있다. 소그룹 모임 활성화가 기독교 세계관을 형성하는 데에 매우 효과적인 전략방안이라는 사실을 실제 적용사례인 “둥지모임”을 소개함으로써 증명하려 한다.

      • 21세기 기독교 세계관 운동의 방향과 기독교 세계관 교육

        유경상 ( Kyeong-sang Yue ) 밴쿠버기독교세계관대학원 2018 통합연구 Vol.20 No.1

        본 연구의 목적은 21세기를 위한 기독교 세계관 운동의 새로운 방향을 제시하고 이를 토대로 다음세대를 세우는 기독교 세계관 교육의 방향을 모색해 보는 것이다. 오늘날 기독교 세계관 운동은 이성의 절대성을 표방하는 모더니즘의 사변화를 극복하는 동시에 절대적인 모든 것을 상대화하는 포스트모더니즘의 도전에 맞서는 과제를 안고 있다. 따라서 앞으로의 기독교 세계관 운동은 그리스도인들이 성경의 계시를 절대적 진리의 기준으로 다시 회복시키고, 더 나아가 삶의 모든 영역에서 성경적 기준으로 살아가도록 도와야 할 것이다. 이를 위해 기독교 세계관운동의 새로운 방향은 지성을 넘어 전인격의 문제로, 합리적 논쟁을 넘어 영적 싸움으로, 이론을 넘어 실천의 문제로, 명제적 체계를 넘어 이야기로, 개인적 차원을 넘어 공동체적 차원으로, 성인에서 다음세대로 확장되는 것이 되어야 할 것이다. 이러한 기독교 세계관 운동의 새로운 방향을 토대로 하는 기독교 세계관 교육은 지성뿐만 아니라 감성과 의지를 포함한 전인적 차원의 교육, 성령충만을 기반으로 하는 교육, 삶의 실천을 지향하는 교육, 이야기로 전달하는 교육, 공동체와 연계되는 교육, 다음세대의 눈높이와 필요에 부합하는 교육일 뿐만 아니라 그들을 교육하는 성인들을 먼저 준비하는 교육이 되어야 할 것이다. 이러한 교육적 함의를 반영하는 기독교 세계관 교육은 그리스도인들, 특히 다음세대가 삶의 모든 영역에서 하나님의 말씀대로 생각하고 살아가는데 큰 역할을 하게 될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pose new direction of christian worldview education for helping christian live a life in accord with biblical worldview. There are new six direction for christian worldview movement to resist worldview as secularism and relativism that christians are confronted with. First, the meaning of worldview should be understood not only a concept but also as a heart. Second, competition of worldview should be recognized not only as a argument but also as spiritual warfare. Third, worldview should be understood not only as a theory but also as a practice. Forth, worldview should be understood not only as a proposition but also as a story. Fifth, worldview should be not only as a personal story but also a communal story. Sixth, worldview education should be focused on not only adult but also next generation. Christian worldview education following six direction will help christian, especially next generation, live in accord with God's word in their everyday life.

      • KCI등재후보

        기독교 세계관의 독특성 -개혁주의 관점에서-

        김영한 ( Yung Han Kim ) 한국기독교철학회 2007 기독교철학 Vol.3 No.1

        기독교 세계관은 기독교 신앙의 체계 위에 세워진 세계관이다. 기독교 신앙 체계란 삼위일체 하나님에 대한 신앙의 근거 위에 세워진 체계를 말한다. 오늘날 기독교 세계관이라고 할 때 자연주의 세계관 내지 인본주의 세계관과 혼합되어 있는 경우가 적지 않다. 그래서 역사적으로 나타나는 비기독교적 세계관과 결별하면서 기독교 세계관의 독특성을 바로 드러낸다는 것이 요청된다. 개혁주의 관점의 기독교 세계관은 종교개혁적 복음주의적 전통에 입각한 세계관이다. 이러한 세계관은 자연주의 세계관이나 인본주의 세계관과는 구분된다. 과학주의나 낭만주의 세계관도 자연주의 세계관에 기초한 것이다. 기독교 세계관은 자연주의-및 인본주의 세계관과 결별한다. 지연주의 세계관의 원천은 헬라적인 세계관으로 거슬러 올라간다. 기독교 세계관은 후기 어거스틴이 그러했던 것처럼 플라톤적 세계관과 결별해야 하며, 루터나 칼빈이 그러했던 것처럼 아리스토텔레스적 세계관과도 결별해야 한다. 기독교 세계관은 유신론적 인격주의의 태도를 갖는다. 유신론적 인격주의는 인식활동에 있어서 비판적 실재론, 인식론적 겸허와 인식론적 소망과 해석학적 실재론의 입장, 그리고 인식론적 헌신의 태도를 갖는다. 개혁주의 인식론은 비판적 실재론, 즉 해석학적 실재론의 입장을 갖는다. Christian worldview is the worldview built on the system of Christian faith. This system points to the system built on the ground of faith in the trinitarian God. It is today not the rare case, in which the christian worldview is mixed with naturalistic or anthropocentric worldview, when we say of it. We need to point out the distinctiveness of christian worldview, giving farewell to the non-christian worldview which appeared historically. The christian worldview in the reformed perspective is the worldview based on the reformation-oriented evangelical tradition. This worldview is distinguished from naturalistic or anthropocentric one. Both the scientific and romantic worldview is built on the naturalistic worldview. The christian worldview give farewell to both naturalistic and anthropocentric worldview. The origin of naturalistic worldview goes back to the greek worldview. Christian worldview should, as the late Augustine did, give farewell to the Platonic worldview, as well as to the Aristotelian worldview, as Luther and Calvin did. Christian worldview possesses the attitude of theistic personalism. Theistic personalism has in terms of the cognitive activity critical realism, cognitive humility, cognitive hope and hermeneutic realism and cognitive commitment. Reformed doctrine of knowledge has a position of hermeneutic realism. Cognitive faith, hope and love become a dynamics of performing the hermeneutic realism.

      • KCI등재후보

        개혁주의생명신학 관점에서의 영적 전쟁 이해와 기독교 세계관

        김필균 개혁주의생명신학회 2019 생명과 말씀 Vol.25 No.3

        According to Reformed Life Theology, it is safe to say that understanding spiritual warfare is related to the establishment of a Christian world view. In other words, we should not regard the essence of spiritual warfare as only visible miracle, but we need to connect it with how we should live in the world. If the Bible is not applied to our lives, we pursue a dichotomous life, separated from the biblical life. If so, we would live our own life without having an intimate relationship with God. Biblical Christianity is to live on the whole truth. The researcher did not view the spiritual war as an abstract concept, but linked it with our beliefs in the contemporary world. That is to say, we have to focus on applying a Christian world view revealing our biblical faith, to our real life. Everyone has their own world view, but not all people seem to recognize it. The term world view itself originates from Immanuel Kant, but it is Wilhelm Dilthey who explains his philosophy through this concept for the first time. For Dilthey, a world view is “a series of mental categories that come from the deep experience of life that essentially determines the outcome, thinking about how a person recognizes the world around him or her and then understands and feels about it and reacts with action.” The concept of Christian world view is that although there are many Christian thinkers, including especially James Orr and Abraham Kuyper, for Orr, his main purpose was to cope with cultural challenges by presenting a coherent and rationally defended Christian view of the world. For Kuyper, a world view does not stay on the basis of a triple relationship with God, human beings, and the world. Instead he gives considerable advice on how the Christian world view is connected to culture, and illuminate and influence the areas of religion, politics, science and art from the reformed world view called Calvinism. The researcher intends to come up with a solution for this. It is not just a fight against Satan, but it is about how to live with a biblical and Christian world view despite many temptations and challenges that come to our lives every day. Spiritual warfare is inevitable, especially in the field of missionary work, but after all we find it to be a battle concerning world view. It is said that a life of living faith, which is emphasized in the viewpoint of ‘reformed life theology,’ is an important driving force to win spiritual warfare or the war concerning world view. 개혁주의생명신학 관점에 따른 영적 전쟁 이해는 기독교 세계관 정립과 연관되어 있다고 말해도 무방하다. 즉 눈에 보이는 기적과 이사가 아닌 영적 전쟁의 본질은 우리가 어떻게 이 세상에서 살아야 하는지와 관련한다. 우리는 하나님 말씀에 반응하고 관계하지 않으면 어쩌면 성경과 삶이 괴리되고 나누어진 채 이분법적인 삶을 추구하며 하나님과는 본질적으로 관계하지 않는 삶으로 나아가기 쉽다. 성경적 기독교는 총체적 실재에 관한 진리다. 본 연구자는 현재의 세계와 우리의 믿음을 연계시키고자 하는 의도에서 영적 전쟁을 단지 추상적인 것으로 보지 않고 우리 믿음의 실재를 현실에서 드러내는 기독교 세계관 정립에 초점을 맞추었다. 세계관은 한 사람이 사물들에 가지는 근본적인 신념들의 포괄적인 틀이자, 일련의 전제들이다. 특정적으로 사람들은 각각 자신의 세계관을 갖고 있지만, 이 사실을 인식하는 사람은 그렇게 많지 않은 듯하다. 세계관이란 용어 자체가 철학적 담론에 등장하게 된 것은 칸트로부터 기원하지만, 이 개념을 통해 자신의 철학을 설명한 인물은 빌헬름 딜타이(Wilhelm Dilthey)다. 딜타이에게 세계관은“한 사람이 주변 세계와 거기에 담긴 수수께끼를 인식한 다음 이에 대해 어떻게 이해하고 느끼고 행동으로 반응하는지 고민하면서, 그 결과를 본질적으로 결정짓는 삶의 깊은 체험에서 나오는 일련의 정신적 범주”다. 세계관은 철학이 아니라 일관된 삶의 전제다. 기독교 세계관의 개념에 관해 여러 기독교 사상가들이 정리해왔지만, 특히 제임스 오르(James Orr)와 아브라함 카이퍼(Abraham Kuyper)를 주목해 볼 수 있다. 오르는 자신의 기독교적 변증을 세계관 개념을 빌어서 활용했다. 그의 주된 목적은 정합성 있고 이성적으로 변호할 수 있는 기독교를 제시함으로 세계관을 문화적 도전에 대처하는 것이었다. 카이퍼에게 세계관은 하나님, 인간, 세상과의 삼중적 관계를 토대로 하는 것에 머무르지 않는다. 그는 칼빈주의 세계관(Calvinistic World View)이라고 할 수 있는 개혁주의 세계관에서 기독교 세계관이 어떻게 문화와 관련을 갖고 종교, 정치, 과학, 예술 등의 영역에까지 조명하고 영향을 미칠 수 있는지에 대해 적지 않은 조언을 준다. 본 연구자는 단순히 사탄과의 싸움이 아닌 매일의 삶 속에서 다가오는 유혹과 도전들 속에서 어떻게 성경적이며 기독교적인 세계관을 갖고 살아야 할 것인지에 대한 해결 방안을 도출하고자 한다. 특히 선교현장에서 영적 전쟁은 피할 수 없다. 그렇지만 이 전쟁은 결국 다름 아닌 세계관 전쟁이다. 개혁주의생명신학에서 강조하는 살아있는 믿음의 삶은 영적 전쟁, 즉 세계관 전쟁에서 이기는 중요한 토대다.

      • KCI등재후보

        포스트모던 기독교 세계관

        김영한 ( Yung Han Kim ) 한국기독교철학회 2008 기독교철학 Vol.7 No.1

        포스트모던 세계관은 다원주의적 사고, 타종교에 대한 기독교의 지배 한계, 기계기술화에 의한 세속화 촉진, 이에 따른 그리스도인의 신앙 상실, 과학주의의 문화적 지배종식, 성경언어의 일식, 탈전통과 탈권위 확산으로 특징지워진다. 포스트모던 세계관은 위기상황에 직면하면서 한계를 경험하고 그 대안을 요청한다. 여기에 개혁신학의 세계관은 그 대안을 제시해 줄 수 있다. 본고는 개혁신학의 관점에서 포스트모던 세계관의 대안으로서 기독교 세계관을 제시하고자 한다 후기현대에서 개혁신학이 제시하는 기독교 세계관의 방향이란 다음같이 특징지워진다. 첫째, 하나님 절대 주권의 세계관이다. 둘째, 삼위일체론적 유일신론적 일원론의 세계관이다. 셋째, 창조론적 세계관이다. 넷째, 문화명령의 세계관이다. 다섯째, 구속사적 세계관이다. 여섯째, 변혁주의 세계관이다. 일곱째, 종말론적 세계관이다. 기독교는 영원불변하는 하나님 말씀에 근거하여 현대후기의 여러 사상과 대화하면서 성경적이고 기독교적 세계관을 후기현대를 사는 시대인들에게 제시해야 한다. 하나님 절대 주권의 세계관은 열린 유신론의 세계관에 대한 대안이다. 삼위일체론적 유신론적 일원론의 세계관은 이슬람 세계관에 대한 대안이다. 창조론적 세계관은 과학기술주의 세계관에 대한 대안이다. 문화명령의 세계관은 근본주의 세계관에 대한 대안이다. 구속사적 세계관은 인본주의 세계관에 대한 대안이다. 변혁주의 세계관은 운명론적 세계관에 대한 대안이다. 종말론적 세계관은 환생신드롬, 과정신론의 세계관, 그리고 과학기술주의 세계관에 대한 대안이다. 이러한 7가지 세계관들은 서로 다른 세계관이 아니라 하나의 기독교 세계관의 다양한 표현들이다. A postmodern worldview is characterized as pluralistic thinking, the limit of Christian rule over the other religions, an acceleration of secularization by means of technology, the loss of faith in Christians due to it, the end of cultural rule by technology, the eclipse of Biblical language. and the expansion of de-traditionalization and de-authorization. Postmodern worldview experiences its limits, facing the crisis situation, and asks for the alternative for it. Reformed worldview can suggest the alternative. This treatise aims to suggest a Christian worldview from the reformed perspective as an alternative for postmodern worldview. The direction of the Christian worldview the reformed theology suggests in the postmodern era is characterized as follows: firstly, it is the worldview of God`s absolute sovereignty. Secondly it is the one of trinitarian monotheistic monism. Thirdly, it is the creational worldview. Fourthly, it is the one cultural mandate. Fifthly, it is the salvation-historical worldview. Sixthly, it is the transformational worldview. Seventhly, it is the eschatological worldview. Christianity is asked to suggest a Biblical, Christian worldview to those living in the postmodern era, coming into the talk with the postmodern various thought. The worldview of God`s absolute sovereignty is an alternative for the worldview of the open theism. The worldview of trinitarian monotheistic monism is an alternative for the Islamic worldview. The creational worldview is an alternative for a worldview of technology. The worldview of cultural mandate is an alternative for fundamentalistic worldview. The salvation-historical worldview is an alternative for anthropocentric worldview. The transformational worldview is an alternative for the fatalistic worldview. The eschatological worldview is an alternative for the syndrome of transmigration, the one of process theology and the technological worldview. These seven worldviews are not different ones from each other, but the various expression of the one Christian worldview.

      • KCI등재

        기독교 세계관에 기초한 기독교 유아교육 강좌가 예비유아교사의 신앙성숙도와 기독교 세계관 및 기독교 교수 효능감에 미치는 효과

        박은주(Park, Eun-Ju) 한국영유아교원교육학회 2020 유아교육학논집 Vol.24 No.2

        본 연구의 목적은 기독교 세계관에 기초한 기독교 유아교육 강좌가 예비유아교사의 신앙 성숙도와 기독교 세계관 및 기독교 교수 효능감에 미치는 효과를 알아보기 위한 것이었다. 연구대상은 D광역시에 소재한 C대학교 학생들 25명으로, 2018년 2학기에 기독교 유아교육 강좌를 수강한 학생들이었다. 검사 도구는 김은실(2006)의 신앙성숙도 검사 도구, 정희영과 권태경(2012)의 기독교 세계관 검사 도구, 방승미(2014)의 기독교 교수 효능감 검사 도구를 활용하였다. 수집된 자료를 바탕으로 SPSS 18.0을 통해 대응표본 t 검증을 실시한 결과, 기독교 세계관에 기초한 기독교 유아교육 강좌는 예비유아교사의 신앙성숙도와 기독교 세계관 및 기독교 교수 효능감 모두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본 강좌는 신앙성숙도의 하위영역 중 ‘교리적 측면과 신앙적 측면’, 기독교 세계관의 하위영역 중 ‘창조의 시작과 의미, 인간의 본질, 인간 역사의 의미, 인간의 사망’, 그리고 기독교 교수 효능감의 하위영역인 ‘일반적 교수 효능감과 개인적 교수 효능감’을 증진하는 데에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Christian early childhood education lectures on pre-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s’ spiritual maturity, Christian world view, and christian teaching efficacy. Subjects of this study were 25 pre-service early childhood education department university students who had taken christian early childhood education lectures. Data were collected by spiritual maturity rating scales(Kim, 2005), Christian world view rating scales(Jeong & Kwon, 2012), and Christian teaching efficacy rating scales(Bang, 2014). The results of a quantitative analysis were as follows. Above all, Christian early childhood education lectures were effective on pre-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s’ spiritual maturity, Christian world view, and Christian teaching efficacy. Concretely, these lectures were effective on the doctrines and faith out of the sub-factors of spiritual maturity. Also these lectures were effective on shaping opinions regarding the beginning and meaning of creation, human nature, the meaning of the history of humanity, and the death of human beings out of the sub-factors of the Christian world view. Finally, these lectures were effective on the general teaching efficacy and personal teaching efficacy which were all sub-factors of Christian teaching efficacy.

      • 다음세대를 위한 기독교 세계관 교육의 원리

        유경상 ( Kyeong-sang Yue ) 밴쿠버기독교세계관대학원 2020 통합연구 Vol.22 No.1

        기독교 세계관 교육이란 성경의 이야기가 삶의 모든 영역에서 변함없는 해석과 판단과 행동의 지침이 되도록 훈련하는 것이다. 이를 통해 하나님 영광, 이웃 사랑, 세상 돌봄의 창조목적에 부합하는 삶을 살도록 돕는 것이 기독교 세계관 교육의 목적이다. 본고에서는 하나님 나라의 확장을 위해 다음세대를 위한 기독교 세계관 교육이 가장 시급한 일임을 보여주고자 한다. 이를 위해 다음세대의 생각과 삶에 영향을 주는 교육 환경들인 학교, 미디어, 교회, 가정을 통해 그들이 기독교 세계관보다 다양한 비기독교 세계관에 영향을 받고 있음을 살펴본다. 또한 이러한 현실 속에서 다음세대를 위한 기독교 세계관 교육을 준비하기 위해 기독교 세계관 교육의 목표를 제시한다. 저자는 이러한 기독교 세계관 교육의 목적과 목표를 토대로 실제적인 교육과정을 개발해야 함을 지적한다. Christian worldview education is to train the biblical narrative for guiding constant interpretation, judgment and action in all areas of life.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help people live a life that meets the creation purpose of God’s glory, love of neighbors, and care for the world. For the purpose, this paper argues that the education of Christian worldview for the next generation is the most urgent task. To this end, the author examines how the next generation is influenced by various non-Christian worldviews than the Christian worldview in various educational environments such as schools, media, church, home, etc. Finally, the author points out that a practical curriculum should be developed based on the goals and objectives of this Christian worldview educatio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